KR20180085198A -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식품 - Google Patents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198A
KR20180085198A KR1020170008537A KR20170008537A KR20180085198A KR 20180085198 A KR20180085198 A KR 20180085198A KR 1020170008537 A KR1020170008537 A KR 1020170008537A KR 20170008537 A KR20170008537 A KR 20170008537A KR 20180085198 A KR20180085198 A KR 20180085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weight
parts
improvin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승권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주)메타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타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메타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70008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5198A/ko
Publication of KR20180085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1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저분자량의 콜라겐 펩타이드 및 저분자량의 엘라스틴 펩타이드를 포함함으로써 체내 흡수가 용이하여 피부 진피층 재건에 효과가 있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식품{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AND HEALTH FOOD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저분자량의 콜라겐 펩타이드 및 저분자량의 엘라스틴 펩타이드를 포함함으로써 체내 흡수가 용이하여 피부 진피층 재건에 효과가 있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 조직의 3개 층으로 구분할 수 있고, 외부 환경과 직접 접해 있으면서 다양한 유해 인자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고, 체내 수분이 체외로 증발되는 것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피부는 연령의 증가 또는 자외선, 외부 오염 물질 및 스트레스에 의해 점점 손상되고 이러한 요인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이 약화됨으로써, 세포 보호 및 증식 능력이 떨어짐에 따라 피부 노화 현상이 촉진된다.
이러한 노화 현상은 피부 보습력 약화, 섬유아세포의 콜라겐(collagen) 생성 부진 등으로 인하여 피부 각질 층 및 진피 층의 수분 보유 능력이 감소하고, 엘라스틴(elastine) 섬유 조직의 약화에 의해 피부 탄력이 감소함으로 나타난다.
피부 보습력은, 보통 나이가 들면서 약화되는 경향을 보이며, 특히 여성들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 분비의 감소로 인해 피지 분비가 원활하지 못하여 유ㆍ수분 균형이 파괴되어 피부가 건성화 되면서 피부노화로 이어지는 경향이 많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 피부 표면 수분량이 감소하게 되면, 이에 대한 결과로 피부 표면 각질층의 유연성이 상실되고 건성 피부나 거친 피부가 생기게 되므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부의 수분량, 즉 피부 보습력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콜라겐이란, 피부의 진피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동물들에서 발견되는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 외 간질에 존재하며, 생체 단백질 총 중량의 약 30%를 차지하는 중요한 단백질로서 견고한 3중 나선구조를 가지고 있다.
피부에 존재하는 콜라겐의 기능은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세포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
엘라스틴은 콜라겐과 함께 피부의 결합조직에 존재하고 고무탄력성과 같은 신축성이 있는 단백질로, 조직의 유연성 및 신축성에 관여한다.
이렇게 피부 탄력에 관여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피부가 노화됨에 따라 진행되는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 나이의 증가 및 폐경 등의 내인성 요인, 유전적인 요인,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섬유아세포의 분열 감소, 합성의 감소, MMP생성의 증가 등으로 인해 피부 내에서 점차 감소하게 된다.
특히, 40대 전후로는 호르몬의 균형이 깨져 세포재생능력, 콜라겐 및 엘라스틴 합성능력이 크게 약화되어 피부 탄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피부 미용을 위해 피부에 필요한 유효 성분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외용과 경구라고 하는 두 가지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피부는 외계와 접해 있는 장기이기 때문에 피부 표면에 화장품이나 의약품을 도포함으로써 표면을 통해 피부 내부로 유용한 성분을 전달하는 외용 방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피부는 또한 외래 물질의 침입에 대해 피부 표면이 일종의 장벽으로서 보호 작용도 하고 있기 때문에 유익한 성분이라고 할지라도 이러한 장벽을 통과하여 흡수되는 정도가 기대 이하인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피부의 아래 부위에 대해서는 경구 섭취를 통해 소화기관을 거쳐 혈액을 타고 피부까지 도달시키는 쪽이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피부가 지니고 있는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외용과 경구 섭취를 함께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근래 들어 경구 섭취에 의한 피부 미용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피부 미용 식품의 수요와 공급이 모두 증대되고 있으며, 다양한 피부 미용 식품들이 연구되고 있다(한국공개특허 10-2015-0136464호).
본 발명은 피부 진피층의 구성 성분인 콜라겐, 엘라스틴 및 콘드로이틴 황산과 함께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가교 역할에 대한 활성 효소인 황산구리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여, 피부 진피층의 재건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타민 B6, 히알루론산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여, 피부 보습력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식이섬유 및 아미노산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피부 개선뿐만 아니라 다이어트 효과를 구현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0 내지 2000의 분자량을 갖는 콜라겐 펩타이드; 10 내지 2000의 분자량을 갖는 엘라스틴 펩타이드; 무취 콘드로이틴 황산염; 및 황산구리(CuSO4)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비타민 B6, 히알루론산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펙틴, 구아검, 아라비아검, 로커스트검, 알긴산, 카라지난,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리그닌, 키틴 및 헤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이섬유를 더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트립토판, 티로신, 시스틴, 타우린, L-메티오닌, L-아르기닌 및 L-카르니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을 더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개선용 조성물로 제조되는 피부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구 투여 가능한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외용제 화장품으로는 그 성분이 도달하기 어려운 피부 진피에 혈액 내 저분자량의 영양소 공급을 통해 피부 진피층 내의 탄력 및 보습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식이섬유 및 L-카르니틴을 포함함으로써, 섭취시 피부 탄력 향상뿐만 아니라, 변비 개선, 체지방 감소 등 섭취자의 미용 향상에 전반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피부의 진피층은 표피층 아래 약 3mm에 위치하는 피부 조직으로, 피부의 탄력과 보습의 정도가 결정되는 매우 중요한 층이다.
진피층은 혈액을 통해서만 영양분이 공급되고, 바르는 화장품으로는 그 성분이 각질층, 표피층을 투과하여 진피층까지 도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피층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함과 동시에 그 흡수율이 매우 증대된 형태로 제공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에서 "피부 탄력 개선"이란 엘라스틴으로 구성된 탄력섬유가 콜라겐(collagen)이라고 하는 교원섬유와 함께 존재하는데, 엘라스틴과 콜라겐이 충분히 존재하는 상태에서 피부 탄력이 유지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10 내지 2000의 분자량을 갖는 콜라겐 펩타이드; 10 내지 2000의 분자량을 갖는 엘라스틴 펩타이드; 무취 콘드로이틴 황산염; 및 황산구리(CuSO4)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진피층의 70%를 구성하는 콜라겐은 피부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외부의 힘에 저항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피부 탄력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진피층에 콜라겐을 공급하여 콜라겐의 생성과 대사를 촉진하고, 피부의 유연성과 탄력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콜라겐은 고분자물질로 소화, 흡수가 어렵고 외용제 타입의 화장품으로 피부에 직접 도포하여도 각질층 등 외부 장벽이 가로막고 있기 때문에, 콜라겐이 필요한 영역인 진피층까지 도달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콜라겐을 효소처리로 펩티드화 하여 초저분자로 분해한 분자량이 10 내지 2000인의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상기 저분자량의 콜라겐 펩타이드가 포함된 조성물을 섭취하는 경우, 콜라겐의 피부 도달율이 증가하여 피부 탄력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한편, 콜라겐은 동물성 콜라겐과 해양성 콜라겐으로 나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콜라겐은 생리활성도가 보다 높은 해양성 콜라겐이다.
어류에서 추출한 것으로, 피쉬 콜라겐, 마린 콜라겐이라고도 불리며, 동물성 콜라겐과 비교하여 체내 흡수성이 좋고 안정성도 높고, 열안정성 및 내산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엘라스틴은 신축성이 높은 단백질로 콜라겐과 함께 피부 진피층의 탄력을 유지하는 중요한 물질이다.
상기 10 내지 2000의 비교적 저분자량의 엘라스틴 펩타이드를 섭취함으로써, 혈액 내 용해된 상태로 피부의 진피층에 원활히 공급되어 엘라스틴 섬유의 경화 및 피부 처짐현상 등을 방지하고, 엘라스틴의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
콘드로이틴 황산염은 피부, 근육, 장기 등의 생체 내 각 조직 등에 수분과 영양분을 축적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어 연골 등에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콘드로이틴 황산염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그 양이 감소화고 노화와 피부의 상태 저하에 관계되기 때문에, 이를 보충 섭취함으로써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데, 특유의 냄새가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콘드로이틴의 고유한 냄새가 제거된 콘드로이틴 황산염을 제공하여, 향미가 개선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황산구리는, 콜라겐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로써, 콜라겐 성숙에 필요한 효소를 활성화 시킨다.
활성화된 상기 효소는 콜라겐 섬유와 엘라스틴 간의 교차 결합을 증가시키기 ?문에, 결과적으로 황산구리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가교 대사를 증진시킨다.
따라서, 상기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 저분자 엘라스틴 펩타이드와 무취의 콘드로이틴 황산염 및 황산구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섭취함으로써, 피부 진피층 내 콜라겐과 엘라스틴 그리고 콘드로이틴의 함량이 증가되고,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대사가 증진되어 피부 탄력이 개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콜라겐 펩타이드 대 상기 엘라스틴 펩타이드의 함량비는 15 : 1 내지 1 : 1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1 내지 2:1일 수 있다.
피부 진피층은 일반적으로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비율이 약 8 :2인 바, 상기 상기 범위의 함량비로 포함되는 경우에 피부 내 흡수된 탄력에 유효한 성분의 비가 가장 적절하기 때문에, 피부탄력 및 주름 개선 효과가 가장 뛰어나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콜라겐 펩타이드는 2.5 내지 7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2.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미할 수 잇고, 7 중량부 초과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조성물의 점도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최적의 식감을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엘라스틴 단백질은 0.5 내지 2.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0.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콜라겐과 교차 결합을 이루기에 부족할 수 있고, 2.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첨가량 대비 피부 흡수량이 그 이하인 경우보다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효과 대비 제조 비용만 증가할 우려가 있다.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취 콘드로이틴 황산염은 10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3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고, 황산구리는 0.002 내지 0.00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피부 상태 개선에 가장 적합한 유효성분이 체내에 흡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 B6, 히알루론산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B6는 단백질 소화와 이용에 필수적인 비타민으로, 비타민 B6를 섭취함으로써 콜라겐 펩타이드와 엘라스틴 펩타이드의 체내 흡수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히알루론산은 1g 당 약 1,000ml의 수분을 축적할 수 있어 피부 보습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물질인데, 본 발명의 히알루론산은 합성 또는 반합성된 물질일 수 있고, 체내 진피 세포에서 안정되게 분산될 수 있는 점도를 부여할 수 있도록 약 200,000 내지 4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80,000 내지 32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N-아세틸글루코사민은 국내산 홍게 껍질에서 완전효소발효공법으로 생산된 것으로, 프로테오글리칸을 구성하는 히알루론산의 전구체로 피부 진피층의 히알루론산을 생성, 증진시켜 피부 보습을 강화할 수 있는 물질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히알루론산 그 자체는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장내소화흡수가 보다 쉬운 저분자량의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함께 섭취함으로써, 히알루론산의 체내 함량을 증가시켜 피부 내 수분 함량을 증진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B6는 0.02 내지 0.04 중량부, 히알루론산은 1 내지 4 중량부, N-아세틸글루코사민은 12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이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수용성 식이섬유인 펙틴, 구아검, 아라비아검, 로커스트검, 알긴산, 카라지난과 불용성 식이섬유인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리그닌, 키틴 및 헤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장 내에서 수분을 유지시켜 변을 젤 상태로 유지시켜 원할한 배변을 도우며 유산균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불용성 식이섬유는 변의 부피를 증가시켜 대변 성분의 장내 통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식이섬유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피부 개선 조성물은 공복감을 완화시켜 식욕을 억제할 수 있고, 대변량을 증가시키고, 유산균에 에너지를 공급함과 동시에 변의 수분 함량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변비를 개선하여 피부 미용 및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식이섬유를 약 50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이섬유를 약 5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장 내에 식이섬유가 충분하지 않아 대변량이 적어지고, 장 내에 서식하는 미생물 균총에 영양분을 공급하기에 충분하지 않아 변비 개선 효과가 적고, 약 70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하는 경우 칼슘, 철, 아연 등 미네랄의 체내 흡수를 방해할 수 있고, 설사, 복부 팽만 등 부작용을 초래할 우려가 있어 오히려 피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지방 감소에 용이한 아미노산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트립토판, 티로신, 시스틴, 타우린, L-메티오닌, L-아르기닌 및 L-카르니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L-아르기닌 및 L-카르니틴일 수 있다.
특히, L-카르니틴은 정상인의 간이나 신장에서 합성되고 적색류의 고기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서 지방을 산화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중요한 성분으로, L-카르니틴이 결핍되면 미토콘드리아 내의 지방산 농도가 감소하며 그로인해 에너지 생산도 감소할 우려가 있다.
L-아르기닌은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며 특히 어류 등의 정자 단백질 내에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고, 인체의 지방조직의 분해 대사를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물질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미노산을 약 0.5 내지 약 3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고, L-카르니틴 및 L-아르기는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미용뿐만 아니라 체지방 감소에 효과적이어서 비만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복용 시 건강개선을 위하여 알로에겔과 같은 기능성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알로에는 약해진 소장과 대장의 기능을 알로에에모딘 및 알로에인 성분이 장의 점막을 자극, 장의 운동을 원활하게 하여 변비에 효과가 좋으며, 알로에친 성분이 바이러스 등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시킨다. 그러므로 피부 상태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건강 개선에 도움이 된다.
상기 조성물은 복용시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와 같은 감미료들을 포함 할 수 있다.
비제한적 예시로서, 상기 향미제는 에리스리톨, 레몬향 분말, 사과향 분말, 감귤향 분말, 포도향 분말, 딸기향 분말, 복숭아향 분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미제로서, 과일 농축액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예컨대, 레몬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아사이베리 농축액, 사과 농축액, 복숭아 농축액, 포도 농축액 및 라임 농축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향미제는 1 내지 8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조성물에 따라 제조된 건강식품의 풍미를 좋게할 수 있어, 식품의 복용을 더 용이하게 한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감미료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과 같은 천연 탄수화물, 효소처리스테비아 등일 수 있다.상기 조성물은 상기 향미제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유화제, 보존제, 증점제 산미료 등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 및 보존제 등은 효과를 낼 수 있는 최소한의 한도로 미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상기 조성물이 적정 산도가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당 분야에서 상기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물질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다양한 기능성 식품 및 건강식품의 제조시 식품의 주성분 또는 첨가제 및 보조제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성물은 분말 상태로 공급되는 경우 우유와 1:1 로 혼합하여 겔형태로 섭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재료 및 방법>
분자량 800의 콜라겐 펩타이드 및 분자량 800의 엘라스틴 펩타이드를 준비하였다. 이들은 각각 콜라겐 및 엘라스틴을 가수분해하여 수득한 것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그 외 L-아세틸글루코사민, 무취 콘드로이틴 황산, 히알루론산, 황산구리, 펙틴, 비타민 B6, L-카르니틴, 사과향 분말, 레몬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알로에겔, 구연산나트륨 및 효소처리스테비아는 시판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L-아세틸글루코사민 1,000 mg, 무취 콘드로이틴 황산 800 mg, 콜라겐 펩타이드 200 mg, 히알루론산 130 mg, 엘라스틴 펩타이드 80 mg, 황산구리(cupric sulfate, CuSO4) 0.2 mg, 펙틴 7,4000 mg, 비타민 B6 2 mg, L-carnitine 80 mg, 사과향 분말 21.8 mg, 레몬 농축액 3380 mg, 블루베리 농축액 1100 mg, 알로에겔 80 mg, 구연산나트륨 62 mg 및 효소처리스테비아 80 mg을 혼합하여 분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균일하게 교반된 상기 조성물 6.404g을 취하여 이를 포장하였다.
비교예
일반적인 콜라겐 300 mg 이 함유된 분말 조성물 6.404g을 포장하였다.
<실험예>
1) 관능성 실험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맛, 전체적인 기호도와 같은 관능 평가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관능 평가는 식품관련분야에서 3년 이상 경험을 가진 20명(남녀 각각 10명)으로 하여 5점 척도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1 2 3 4 5
응답률(%) 1명(5%) 2명(10%) 6명(30%) 8명(40%) 3명(15%)
상기 표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3점 이상의 응답률이 75% 이상으로, 맛과 식감이 좋고 기호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2) 피부 탄력 향상 효과 측정
큐토메타(Cutometer)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을 측정하였다. 큐토메타는 그 기기의 장비내부에 음압이 발생되고 피부는 프루브(probe)안의 작은 구멍으로 빨려 들어가며, 피부는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본 기기는 이러한 피부의 특성을 이용하며 탄성 값은 이하 표 5의 수치가 1에 근접하면 가장 이상적이며, 피부가 젊어 진피층을 구성하는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네트워크가 잘 이루어진 상태로 볼 수 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각각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일정기간 꾸준히 섬취하게 한 후 하기 표 2에 피부의 탄력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각각의 군들의 피험자 20명의 평균을 소수점 둘째자리 이하는 반올림한 값이다).
0주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실시예의 조성물섭취군 0.5 0.5 0.5 0.6 0.6 0.7 0.7 0.8 0.9
비교예의 조성물 섭취군 0.5 0.5 0.5 0.4 0.5 0.5 0.4 0.4 0.4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조성물을 섭취하는 경우 일반 콜라겐 조성물을 섭취한 경우보다 우수한 피부 탄성 증가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섭취 경과 8주에는 약 2배 이상 피부탄성력이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8)

10 내지 2000의 분자량을 갖는 콜라겐 펩타이드;
10 내지 2000의 분자량을 갖는 엘라스틴 펩타이드;
무취 콘드로이틴 황산염; 및
황산구리(CuSO4)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 펩타이드 대 상기 엘라스틴 펩타이드의 함량비는 15 : 1 내지 1 : 1인,
피부 개선용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콜라겐 펩타이드는 2.5 내지 7 중량부, 엘라스틴 단백질은 0.5 내지 2.5 중량부, 무취 콘드로이틴 황산염은 10 내지 15 중량부, 황산구리는 0.002 내지 0.005 중량부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비타민 B6, 히알루론산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B6는 0.02 내지 0.04 중량부, 히알루론산은 1 내지 4 중량부, N-아세틸글루코사민은 12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펙틴, 구아검, 아라비아검, 로커스트검, 알긴산, 카라지난,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리그닌, 키틴 및 헤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이섬유를 더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트립토판, 티로신, 시스틴, 타우린, L-메티오닌, L-아르기닌 및 L-카르니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을 더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부 개선용 조성물로 제조되는 피부 개선용 건강식품.
KR1020170008537A 2017-01-18 2017-01-18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식품 KR20180085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537A KR20180085198A (ko) 2017-01-18 2017-01-18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537A KR20180085198A (ko) 2017-01-18 2017-01-18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198A true KR20180085198A (ko) 2018-07-26

Family

ID=63047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537A KR20180085198A (ko) 2017-01-18 2017-01-18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51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844A (ko) * 2020-04-14 2021-10-25 코스맥스 주식회사 저분자 콜라겐, 엘라스틴 및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3178A (ko) * 2020-06-09 2021-12-17 (주)세울코퍼레이션 콜라겐의 흡수 및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는 조성물
KR20240010399A (ko) 2022-07-15 2024-01-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콜라겐 파편 재흡수 증진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844A (ko) * 2020-04-14 2021-10-25 코스맥스 주식회사 저분자 콜라겐, 엘라스틴 및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3178A (ko) * 2020-06-09 2021-12-17 (주)세울코퍼레이션 콜라겐의 흡수 및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는 조성물
KR20240010399A (ko) 2022-07-15 2024-01-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콜라겐 파편 재흡수 증진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16620B (zh) 一种美白化妆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899257B (zh) 基于植物的用于改善皮肤水分、纹理和外观的制剂
KR101342192B1 (ko) 콜라겐 산생 증강제와 그 용도
KR101776071B1 (ko) 붉은 작두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미백용 조성물
KR101096393B1 (ko)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9363006A (zh) 一种胶原蛋白肽饮品
EP2532252B1 (en) Beverage to ameliorate skin condition
KR102432924B1 (ko) 식물성 콜라겐 및 식물성 뮤신을 포함하는 추출물 및 조성물
JP3495712B2 (ja) 食品組成物
CN105211862A (zh) 一种适用于女性润肤、美白养颜的营养包
EP3003264A1 (en) Combination of active agents for treating skin aging
CN113017093A (zh) 一种具有美容养颜及助眠功能的组合物及制备方法
KR20180085198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식품
JP2000201649A (ja) 皮膚代謝促進物及び機能性食品
JP2007320891A (ja) 経口用皮膚美容促進組成物
CN114698764A (zh) 透明质酸钠弹性蛋白肽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JP2023532093A (ja) 植物性コラーゲン及び植物性ムチンを含む植物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814901A (zh) 一种预防妊娠纹凝胶及其制备方法
WO2021133284A1 (en) A composition of hyaluronic acid and hydrolyzed collagen with vitamins and its production method
EP2695610B1 (en) Food supplement for improving connective tissue health
JP4420357B1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JP2002223726A (ja) 美容食品
JP2006143671A (ja) 経口用皮膚老化予防・改善剤。
CN115336687A (zh) 一种二氢槲皮素透明质酸钠液
CN114938835A (zh) 一种二氢槲皮素sod胶原三肽饮配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