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078A -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쌍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078A
KR20180077078A KR1020170180749A KR20170180749A KR20180077078A KR 20180077078 A KR20180077078 A KR 20180077078A KR 1020170180749 A KR1020170180749 A KR 1020170180749A KR 20170180749 A KR20170180749 A KR 20170180749A KR 20180077078 A KR20180077078 A KR 20180077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ug
electrical connector
mat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3481B1 (ko
Inventor
야스아키 후쿠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7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6Parallel contacts arranged about a common axi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측 로크 부재는 제 2 플러그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는 기단부와, 기단부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외팔보 비임 형상으로 연장된 연출부를 갖는다. 연출부에는, 리셉터클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돌기가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연출부는 돌기의 높이 방향으로 휘는 탄성을 갖는다. 해제 부재는 돌기의 삽입 및 발거 방향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제 2 플러그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연출부를 돌기의 높이 방향으로 휘게 하는 것에 의해, 끼워맞춤 구멍의 돌기와의 끼워맞춤을 해제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쌍{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PAI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쌍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돌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착탈을, 푸시 조작과 풀 조작에 의해 실행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 플러그 커넥터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된 로크 쉘(locking shell)과, 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 외부 하우징을 구비한다. 로크 쉘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돌기와 결합한다. 외부 하우징은, 사용자에 의해 바로 앞으로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로크 쉘과 돌기의 결합을 해제한다.
상기 푸쉬 조작이란,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하고, 로크 쉘을 리셉터클 커넥터의 돌기와 결합시키는 조작을 가리킨다. 로크 쉘과 돌기가 결합하는 것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의 플러그 커넥터의 발거(拔去)가 저지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풀 조작이란, 외부 하우징을 바로 앞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로크 쉘과 돌기의 결합을 해제하는 조작을 가리킨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의 플러그 커넥터의 발거가 가능해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5-18742 호 공보
상기 로크 쉘은, 상기 돌기와 결합하는 부분이 후크 형상으로 되접혀 부풀어 오른 형상을 이룬다. 이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로크 쉘의 배치에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이것이 플러그 커넥터의 소형화를 방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상기 외부 하우징의 빠짐을 저지하기 위해서, 상기 로크 쉘 이외의 복수의 부재를 조합한 구조를 필요로 한다. 이것도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소형화를 방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보다 소형화가 도모된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쌍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상대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상대 하우징에 대하여, 삽입 및 발거가 가능한 형상을 갖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보지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상대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상대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상대 하우징에 보지되어 있는 상대 콘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로부터 상기 삽입 방향으로 외팔보 비임 형상으로 연장된 연출부(cantilever extension)를 갖고, 상기 상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돌기가 상기 삽입 완료 시에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 구멍이 상기 연출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연출부가 상기 돌기의 높이 방향으로 휘는 탄성을 갖는, 로크 부재와,
상기 삽입 및 발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의 상기 삽입 및 상기 발거 방향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상기 연출부를 상기 돌기의 높이 방향으로 휘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끼워맞춤 구멍의 상기 돌기와의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해제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기단부와 일체로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삽입 및 상기 발거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따라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기단부와의 접속 부분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해제 부재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삽입 방향의 빠짐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가져도 좋다.
상기 연출부가 상기 해제 부재를 상기 삽입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으며,
상기 저지부가 상기 연출부에 의해 상기 삽입 방향으로 부세된 상태의 상기 해제 부재의, 상기 삽입 방향의 빠짐을 저지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연출부가, 상기 연출부의 자유단에, 상기 삽입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갖고,
상기 해제 부재가, 상기 경사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상기 발거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쐐기부를 갖고,
상기 연출부가, 상기 하우징에 접근하는 방향의 탄성 복원력을 상기 경사부를 통하여 상기 쐐기부에게 부여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해제 부재를 상기 삽입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으며, 상기 탄성 복원력에 저항하여 상기 쐐기부를 상기 발거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상기 쐐기부에 의해, 상기 경사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 상기 연출부가 상기 돌기의 높이 방향으로 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상대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상대 하우징에 대하여, 삽입 및 발거가 가능한 형상을 갖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보지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상대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상대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상대 하우징에 보지되어 있는 상대 콘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로부터 상기 삽입 방향으로 외팔보 비임 형상으로 연장된 연출부를 갖고, 상기 상대 하우징에 마련된 결합부가 상기 삽입의 완료 시에 결합하는 피결합부가 상기 연출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연출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는 탄성을 갖는, 로크 부재와,
상기 삽입 및 발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의 상기 삽입 및 상기 발거 방향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상기 연출부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피결합부의 상기 결합부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해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기단부와 일체로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삽입 및 상기 발거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따라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기단부와의 접속 부분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해제 부재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삽입 방향의 빠짐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은,
상술한 제 1 관점에 따른 전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 전기 커넥터를 구비한다.
상기 상대 전기 커넥터가,
상기 삽입 및 상기 발거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서 상기 상대 하우징을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상대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가 형성된 장착 부재를 가져도 좋다.
상기 돌기가 상기 삽입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상대 전기 커넥터의 돌기가 연출부의 끼워맞춤 구멍에 끼워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전기 커넥터를 상대 전기 커넥터에 삽입한 상태가 보지된다. 끼워맞춤 구멍이 형성된 연출부의 배치에 필요한 공간은, 종래의 후크 형상으로 되접혀 부풀어 오른 형상을 이루는 부재의 배치에 필요한 공간보다 작아도 된다. 이 때문에, 종래보다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상대 전기 커넥터와의 결합을 담당하는 로크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의 해제 부재의 빠짐을 저지하는 역할도 겸한다. 이 때문에,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결과, 종래보다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a는 전기 커넥터 쌍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전기 커넥터 쌍의 주요 부분의, 도 5의 AA-AA 선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c는 전기 커넥터 쌍의 주요 부분의, 도 5의 AA-AA 선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주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플러그 커넥터의 주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해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해제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플러그측 로크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플러그 커넥터의 주요 부분의, 도 5의 BB-BB 선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전기 커넥터 쌍의 주요 부분의, 도 5의 AA-AA 선의 위치에 있어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b는 전기 커넥터 쌍의 주요 부분의, 도 5의 AA-AA 선의 위치에 있어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c는 전기 커넥터 쌍의 주요 부분의, 도 5의 AA-AA 선의 위치에 있어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쌍(300)은 케이블(CP)과 케이블(CR)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며, 한쪽의 케이블(CP)의 단부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100)와, 다른쪽의 케이블(CR)의 단부에 장착되는 상대 전기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200)로 구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대하여 삽입 및 발거가 가능하다. 플러그 커넥터(100)가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삽입되고, 양 커넥터(100 및 200)가 끼워맞추어졌을 때, 케이블(CP)과 케이블(CR)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플러그 커넥터(100)를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삽입하는 방향을 플러스 방향, 발거하는 방향을 마이너스 방향으로 하는 X축을 정의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플러스 방향을 향한 화살표에 의해 X축을 나타낸다.
우선,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케이블(CR)의 단부에 고정되는 클램프 부재(210)와, 클램프 부재(210)의, 플러그 커넥터(100)에 가까운 단부에 연결된, 상대 하우징으로서의 절연성의 리셉터클 하우징(220)을 갖는다.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220)은 클램프 부재(210)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220)은 대략 통형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실드 부재(230)와, 실드 부재(230)의 내측에 배치된 복수의 상대 콘택트로서의 리셉터클 콘택트(240)를 보지하고 있다. 각각의 리셉터클 콘택트(240)는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케이블(CR)을 구성하는 도선(LR)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220)은 상술한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240)가 압입되는 보지부(221)와, 보지부(221)를 X축과 평행한 가상 중심축의 주위에 둘러싸는 외통부(222)를 갖는다. 보지부(221)는 상술한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240)를 서로의 절연을 확보한 상태에서 보지한다.
보지부(221)와 외통부(222)의 사이에는, 간극(223)이 확보되어 있다. 외통부(222)는,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플러그 커넥터(100)를 받아들였을 때에, 플러그 커넥터(100) 내로 진입한 상태가 된다.
또한, 외통부(222)의 도 1b에 도시한 클램프 부재(210)에 가까운 단부에는, 칼라 형상으로 돌출된 칼라부(224)가 마련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플러그 커넥터(100)를 받아들였을 때, 칼라부(224)에, 플러그 커넥터(100)가 맞닿는다.
또한, 외통부(222)의 외주면에는, X축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홈(222a)과, 둘레 홈(222a)과 교차하도록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교차 홈(222b)이 형성되어 있다. 교차 홈(222b)은 X축 주위의 둘레 방향에 관하여 이산적(離散的)으로 복수의 개소, 구체적으로는 둘레 방향으로 180도로 멀어진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220)에는, X축에 수직인 면 내에서 외통부(222)를 둘러싸는 장착 부재로서의 금속제의 리셉터클측 로크 부재(250)가 장착된다. 리셉터클측 로크 부재(250)는 X축을 둘러싸는 C자형의 링 형상부(251)와, 링 형상부(251)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252)와, 링 형상부(251)로부터 X축과 평행한 방향, 구체적으로는 X축 마이너스 방향으로 돌출된 장출부(extension)(253)를 갖는다.
돌기(252)와 장출부(253)는 각각 X축 주위의 둘레 방향에 관하여 복수의 개소, 구체적으로는, 외통부(222)에 있어서의 교차 홈(222b)과 마찬가지로, 둘레 방향으로 180도로 멀어진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돌기(252)와 장출부(253)의 둘레 방향의 위치는 동일하지만, 장출부(253)의 둘레 방향의 폭은 돌기(252)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 넓다.
그리고, 리셉터클측 로크 부재(250)는, C자형의 링 형상부(251)를 직경 방향으로 넓힌 상태에서, 링 형상부(251)가 둘레 홈(222a)에 끼워지고, 또한 장출부(253)가 교차 홈(222b)에 끼워지도록 리셉터클 하우징(220)에 장착된다.
링 형상부(251)가 둘레 홈(222a)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리셉터클 하우징(220)에 대한 리셉터클측 로크 부재(250)의 X축 방향의 변위가 저지된다. 또한, 장출부(253)가 교차 홈(222b)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리셉터클 하우징(220)에 대한 리셉터클측 로크 부재(250)의 X축 주위의 둘레 방향의 변위가 저지된다.
또한, 도 1b에는, 리셉터클측 로크 부재(250)가 리셉터클 하우징(220)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다음에, 플러그 커넥터(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로 되돌아와, 플러그 커넥터(100)는 케이블(CP)의 단부에 고정되는 클램프 부재(110)와, 클램프 부재(110)의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가까운 단부에 연결된 하우징 구조체(120)를 갖는다.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구조체(120)는 클램프 부재(110)의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가까운 단부에 나사 결합한 절연성의 제 1 플러그 하우징(130)과, 제 1 플러그 하우징(130)의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가까운 단부에 나사 결합한 절연성의 제 2 플러그 하우징(140)과, X축에 평행한 가상 중심축의 주위에 제 1 플러그 하우징(130)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을 둘러싸는 대략 통형상의 해제 부재(150)를 갖는다.
또한, 해제 부재(150)와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의 사이,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140)과 제 1 플러그 하우징(130)의 사이에는,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가 개재되어 있다.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는 상술한 리셉터클측 로크 부재(250)와 결합한다.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은 대략 통형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실드 부재(160)와, 실드 부재(160)의 내측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로서의 플러그 콘택트(170)를 보지하고 있다. 각각의 플러그 콘택트(170)는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케이블(CP)을 구성하는 도선(LP)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리셉터클 하우징(220)에 대하여, 삽입 및 발거가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이 리셉터클 하우징(220)에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 콘택트(170)가 리셉터클 콘택트(240)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이에 의해, 케이블(CP)과 케이블(CR)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이 때에,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가 리셉터클측 로크 부재(250)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도 1c의 상태가 보지된다.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와 리셉터클측 로크 부재(250)의 결합은 해제 부재(150)의 X축 마이너스 방향으로의 슬라이드에 의해 해제된다. 즉, 사용자는, 해제 부재(150)를 X축 마이너스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0)를 리셉터클 커넥터(200)로부터 발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가 리셉터클측 로크 부재(250)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00)의 발거를 저지하는 역할 외에, 해제 부재(150)의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역할과, 해제 부재(150)의 X축 플러스 방향으로의 빠짐을 저지하는 역할과, 해제 부재(150)를 X축 플러스 방향으로 부세하는 역할을 겸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플러그 커넥터(1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는 X축과 평행한 가상 중심축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는 링 형상부(181)와, 링 형상부(181)의 외주연에 위치하는 기단부(182)와, 기단부(182)로부터 X축 플러스 방향으로 외팔보 비임 형상으로 연장된 연출부(183)를 갖는다. 링 형상부(181)는 X축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르는 편평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는 금속판을 펀칭한 펀칭제품을 휨가공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며, 링 형상부(181), 기단부(182), 및 연출부(183)를 포함하는 전체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기단부(182)와 연출부(183)는 X축 주위의 둘레 방향에 관하여 복수의 개소,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리셉터클측 로크 부재(250)에 있어서의 돌기(252)와 마찬가지로, 둘레 방향으로 180도로 멀어진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연출부(183)는 대향하고 있다. 각각의 연출부(183)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 즉 링 형상부(181)의 직경 방향에 관하여 외측으로 휘는 탄성을 갖는다.
또한, 각각의 연출부(183)에는, 이것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끼워맞춤 구멍(184)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리셉터클측 로크 부재(250)와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의 결합은, 구체적으로는 끼워맞춤 구멍(184)과, 도 2에 도시한 돌기(252)의 끼워맞춤을 가리킨다. 끼워맞춤 구멍(184)과 돌기(252)의 끼워맞춤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200)로부터의 플러그 커넥터(100)의 발거가 저지된다.
제 1 플러그 하우징(130)은 전체적으로 대략 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1 플러그 하우징(130)은 도 1b에 도시한 클램프 부재(110)와 나사 결합하는 수 나사부(131)와, 제 2 플러그 하우징(140)과 나사 결합하는 암 나사부(132)와, 수 나사부(131)와 암 나사부(132)의 경계에 있어서 칼라 형상으로 돌출된 칼라부(133)를 갖는다. 암 나사부(132)의 내주면에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플러그 하우징(140)도 전체적으로 대략 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은 제 1 플러그 하우징(130)의 암 나사부(132)와 나사 결합하는 수 나사부(141)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삽입되는 삽입부(142)를 갖는다. 삽입부(142)는,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보지부(221)와 외통부(222)의 간극(223)에 삽입된다.
도 3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수 나사부(141)와 삽입부(142)의 내측에는, 보지부가 마련되어 있다. 수 나사부(141)와 삽입부(142)에, 플러그 콘택트(170)를 둘러싼 실드 부재(160)를 X축 플러스 방향으로 압입하면,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이 실드 부재(160) 및 플러그 콘택트(170)를 보지한 상태가 된다. 도시하지 않은 보지부가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170)를 서로의 절연을 확보한 상태에서 보지한다.
또한,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은 수 나사부(141)와 삽입부(142)의 경계에 있어서 칼라 형상으로 돌출된 칼라부(143)를 갖는다. 칼라부(143)에는, X축과 평행한 정면에서 보아 직선 형상을 이루는 평탄한 지지면(143a)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는, 1개의 지지면(143a)만이 나타나 있지만, 지지면(143a)은,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에 있어서의 기단부(182) 및 연출부(183)와 마찬가지로, 칼라부(143)의 둘레 방향으로 180도로 멀어진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플러그 하우징(140)과, 제 1 플러그 하우징(130)이 양자 간에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를 개재한 상태에서 나사 결합한다. 수 나사부(141)가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의 링 형상부(181)를 통과하고, 암 나사부(132)와 나사 결합했을 때, 링 형상부(181)는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의 칼라부(143)와, 제 1 플러그 하우징(130)의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에 가까운 단부면(134)에 의해 개재된다.
이에 의해,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는, X축에 수직인 면 내에서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의 외주면을 따라서 연장된 상태에서, 마찰력에 의해, 제 1 플러그 하우징(130)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 때,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의 기단부(182)는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의 지지면(143a)과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의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에 대한 X축 주위의 회전이 방지된다.
해제 부재(150)도 전체적으로 대략 통형상을 이룬다. 해제 부재(150)는, X축과 평행한 가상 중심축의 주위에, 제 2 플러그 하우징(140),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 및 제 1 플러그 하우징(130)을 둘러싸고, 이들 3자에 대하여, X축 플러스 방향 및 마이너스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다만, 해제 부재(150)의 제 1 플러그 하우징(130)에 가까운 단부면은 칼라부(133)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해제 부재(150)는 제 1 플러그 하우징(130)에 대해서는 암 나사부(132)만을 둘러싼다. 해제 부재(150)는 칼라부(133)보다 X축 플러스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으며, 또한 칼라부(133)에 맞닿도록 X축 마이너스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가 해제 부재(150)의 슬라이드를 안내하고, 또한 해제 부재(150)의 X축 플러스 방향으로의 빠짐을 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이 역할을 설명하기 위해서, 우선 해제 부재(150)의 내주면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제 부재(150)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X축 방향 중간 위치에는, X축 마이너스 방향을 향하여 내경이 계단 형상으로 작아진 단차(152)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152)는 X축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해제 부재(150)의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에 가까운 단부면(151)으로부터 단차(152)까지의 X축을 따르는 거리는 도 3에 도시한 연출부(183)의 길이 이상이다.
또한, 해제 부재(150)의 내주면에는,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볼록 돌기(153)도 형성되어 있다. 볼록 돌기(153)는 단차(152)로부터 단부면(151)에 걸쳐서 존재한다.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 돌기(153)는 X축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구체적으로는 3개 형성되어 있다. 어느 볼록 돌기(153)와, 그것에 둘레 방향에 관하여 인접하는 볼록 돌기(153)의 사이에 있어서, 상술한 단차(152)가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의, 해제 부재(150)의 내주면과 접하는 외주 부분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의 링 형상부(181)의 외주면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18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85)는 X축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개소, 구체적으로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해제 부재(150)의 볼록 돌기(153)와 마찬가지로 3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오목부(185)의 각각이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해제 부재(150)의 볼록 돌기(153)와 끼워맞추어진다. 이에 의해,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는 해제 부재(150)의 X축 주위의 회전을 저지하면서, 해제 부재(150)의 X축 플러스 방향 및 마이너스 방향의 슬라이드를 안내한다. 해제 부재(150)가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에 대하여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때, 해제 부재(150)의 볼록 돌기(153)가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의 오목부(185)에 대하여 미끄럼운동한다.
다음에,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의, 해제 부재(150)의 X축 플러스 방향으로의 빠짐을 저지하는 역할에 대하여, 도 5의 BB-BB 선의 위치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100)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제 부재(150)가, 제 1 플러그 하우징(130),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에 대하여, 칼라부(133)로부터 X축 플러스 방향으로 규정량 변위되었을 때, 도 4a 및 도 4b에도 도시한 단차(152)가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의 링 형상부(181)의 주연에 맞닿는다. 이에 의해, 해제 부재(150)의 X축 플러스 방향의 규정량 이상의 변위가 제한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에 있어서, 링 형상부(181)가, 도 3에 도시한 기단부(182)와의 접속 부분 이외의 주연 부분에 있어서, 해제 부재(150)의 X축 플러스 방향으로의 빠짐을 저지하는 저지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해제 부재(150)의 X축 마이너스 방향의 변위는 제 1 플러그 하우징(130)의 칼라부(133)에 의해 제한된다. 즉, 해제 부재(150)는, 칼라부(133)와 링 형상부(181)의 사이의 구간에 있어서 X축 플러스 방향 및 마이너스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 1 플러그 하우징(130)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140)과 연결된다.
또한,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는 해제 부재(150)를 X축 플러스 방향으로 부세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 역할에 대하여, 도 5의 AA-AA 선의 위치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 쌍(300)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의 외팔보 비임 형상의 연출부(183)는, 이 연출부(183)의 자유단에 경사부(186)를 갖는다. 경사부(186)는, X축 플러스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의 삽입부(1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삽입부(142)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한편, 해제 부재(150)는, 경사부(186)와 접촉하는 부분에, 쐐기부(154)를 갖는다. 쐐기부(154)는, X축 마이너스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의 삽입부(142)에 접근하는 방향, 즉 삽입부(142)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출부(183)가 둘레 방향으로 180도로 간격을 두고 2개 존재하는 것에 대응하여, 쐐기부(154)도,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180도로 간격을 두고 2개 존재한다.
도 7a로 되돌아와, 사용자가 해제 부재(150)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자연 상태에 있어서는, 쐐기부(154)가, 경사부(186)를, 삽입부(1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약간 밀어 올리고 있다. 연출부(183)는, 삽입부(142)에 접근하는 방향의 탄성 복원력을, 경사부(186)를 통하여 쐐기부(154)에 부여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해제 부재(150)는 연출부(183)에 의해 X축 플러스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이 때, 도 6(도 5의 BB-BB 선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부재(150)의 단차(152)가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의 링 형상부(181)에 맞닿아 있다. 즉, 링 형상부(181)는, 도 7a(도 5의 AA-AA 선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에 도시하는 연출부(183)에 의해 X축 플러스 방향으로 부세된 상태의 해제 부재(150)의, X축 플러스 방향의 빠짐을 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는, 링 형상부(181)에 있어서 해제 부재(150)의 X축 플러스 방향의 변위를 저지한 상태에서, 연출부(183)에 있어서는, 해제 부재(150)를 X축 플러스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자연 상태에 있어서는, 제 1 플러그 하우징(130)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에 대한 해제 부재(150)의 X축 방향의 위치가, 도 7a 및 도 6에 도시하는 위치, 즉 단차(152)가 링 형상부(181)에 맞닿을 때의 위치(이하, 중립 위치라 함)에 안정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해제 부재(150)는, 경사부(186)가 쐐기부(154)에 접하고,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링 형상부(181)가 단차(152)보다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에 가까운 위치에 놓인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와 함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플러그 하우징(130)과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에 의해 개재된다. 이에 의해, 해제 부재(150)가 제 1 플러그 하우징(130)과 제 2 플러그 하우징(140)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하,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100)의 삽입 및 발거 시의 전기 커넥터 쌍(3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0)는, 삽입부(142)의 외주면이, 리셉터클 하우징(220)의 외통부(222)의 내주면과 미끄럼접촉하도록, X축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리셉터클 하우징(220)에 대하여 위치맞춤된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삽입된다.
삽입부(142)의 외주면으로부터, 삽입부(142)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 정의한다. 쐐기부(154)를 포함하는 해제 부재(150)의 전체는 돌기(252)의 정점보다 높은 위치에 존재한다. 이 때문에, 해제 부재(150)는, 돌기(252)의, X축 마이너스 및 플러스 방향의 상대 이동을 허용한다. 즉, X축과 직교하는 면 내에서 위치맞춤된 플러그 커넥터(100)를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삽입하는 과정에 있어서, 해제 부재(150)는 돌기(252)와 접촉하지 않는다.
다만, 연출부(183)의, 삽입부(142)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내면의 높이는 돌기(252)의 정점의 높이보다 낮다. 이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100)를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돌기(252)가 경사부(186)에 맞닿는다. 그리고, 더욱 플러그 커넥터(100)를 삽입하면, 돌기(252)에 의해, 연출부(183)가 삽입부(1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올려진다.
돌기(252)의, 플러그 커넥터(100)의 삽입 시에 경사부(186)와 면하는 전면은 X축 플러스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경사부(186)가 돌기(252)에 의해 부드럽게 밀어 올려진다.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0)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돌기(252)가 끼워맞춤 구멍(184)에 끼워맞추어지고, 연출부(183)가 돌기(252)에 의해 밀어 올려지기 전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200)로부터의 플러그 커넥터(100)의 발거가 저지된 상태가 된다.
돌기(252)의, 칼라부(224)에 가까운 후면은 솟아 올라있다. 구체적으로는, 돌기(252)의 후면은 X축과 직교하는 가상 평면과 대략 평행이다. 또한, 끼워맞춤 구멍(184)의 내면의, 돌기(252)의 후면과 접촉하는 부분도 상기 가상 평면과 대략 평행이다. 이 때문에, 해제 부재(150)가 슬라이드되는 일 없이 플러그 커넥터(100)를 발거하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 돌기(252)와 끼워맞춤 구멍(184)의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기 어려워, 플러그 커넥터(100)의 발거를 저지하는 효과가 높아져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의 발거를 가능하게 하려면, 돌기(252)와 끼워맞춤 구멍(184)의 끼워맞춤을 해제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해제 부재(150)를,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중립 위치로부터 X축 마이너스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제 부재(150)를 X축 마이너스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즉 외통부(222)에 접근하는 방향의 연출부(183)의 탄성 복원력에 저항하여, 쐐기부(154)를 X축 마이너스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쐐기부(154)에 의해, 경사부(186)가 외통부(2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올려진다. 이에 의해, 연출부(183)가 돌기(252)의 높이 방향으로 휘는 결과, 끼워맞춤 구멍(184)과 돌기(252)의 끼워맞춤이 해제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제 부재(150)를 X축 마이너스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0)를 리셉터클 커넥터(200)로부터 발거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의 발거 후, 사용자가 해제 부재(150)의 X축 마이너스 방향으로의 슬라이드를 해제하면, 연출부(18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부재(150)가 중립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0)에 의하면,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돌기(252)가, 연출부(183)의 끼워맞춤 구멍(184)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00)를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삽입한 상태가 보지된다.
끼워맞춤 구멍(184)이 형성된 연출부(183)의 배치에 필요한 제 2 플러그 하우징(140)과 해제 부재(150)의 사이의 공간은 종래의 후크 형상으로 되접혀 부풀어 오른 형상을 이루는 부재의 배치에 필요한 공간보다 작아도 된다. 이 때문에, 종래보다 플러그 커넥터(10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00)에 있어서,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가 리셉터클측 로크 부재(250)와 결합하는 역할 외에, 해제 부재(150)의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역할과, 해제 부재(150)의 X축 플러스 방향으로의 빠짐을 저지하는 역할과, 해제 부재(150)를 X축 플러스 방향으로 부세하는 역할을 겸한다. 이 때문에, 부품 점수의 삭감 및 부품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결과, 종래보다 플러그 커넥터(10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00)의 연출부(183) 뿐만 아니라,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돌기(252)도 금속제이기 때문에, 수지제의 돌기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내용 수명(service life)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200)로의 금속제의 돌기(252)의 설치는, 돌기(252)를 갖는 리셉터클측 로크 부재(250)를, 리셉터클 하우징(220)의 둘레 홈(222a) 및 교차 홈(222b)에 끼우는 것에 의해 실현되므로, 금속제의 돌기(252)를 구비하는 것에도 불구하고,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직경 방향으로 대형화되기 어렵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하는 변형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0)를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삽입된 상태의 보지를 끼워맞춤 구멍(184)과 돌기(252)의 끼워맞춤에 의해 실현되었지만, 돌기(252)와 끼워맞춤 구멍(184)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러그 커넥터(100)의 연출부(183)에 형성된 피결합부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마련된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끼워맞춤 구멍(184)과 돌기(252)의 조합을 채용하지 않아도,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가 해제 부재(150)의 빠짐을 저지하는 역할 등을 겸하는 것에 의해, 종래보다 플러그 커넥터(100)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의 링 형상부(181)에 오목부(185)를 형성하고, 이것에 끼워지는 볼록 돌기(153)를 해제 부재(150)의 내주면에 형성했지만,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의 링 형상부(181)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것에 끼워지는 오목 돌기를 해제 부재(150)의 내주면에 형성하여도 좋다. 요컨데, 플러그측 로크 부재(180)는, 해제 부재(150)의 X축 주위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해제 부재(150)를 X축 방향으로 안내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면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X축에 평행한 방향에서 본 외형이 대략 원형을 이루는 환형 커넥터인 경우를 설명했지만, 플러그 커넥터(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외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플러그 커넥터(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X축에 평행한 방향에서 본 외형이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각형 커넥터라도 좋다.
본 발명은 그 광의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실시형태 및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형태가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다. 청구범위 내 및 그것과 동등한 발명의 의의의 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내라 간주된다.
100: 플러그 커넥터(전기 커넥터)
110: 클램프 부재
120: 하우징 구조체
130: 제 1 플러그 하우징
131: 수 나사부
132: 암 나사부
133: 칼라부
134: 단부면
140: 제 2 플러그 하우징(하우징)
141: 수 나사부
142: 삽입부
143: 칼라부
143a: 지지면
150: 해제 부재
151: 단부면
152: 단차
153: 볼록 돌기
154: 쐐기부
160: 실드 부재
170: 플러그 콘택트(콘택트)
180: 플러그측 로크 부재
181: 링 형상부(저지부)
182: 기단부
183: 연출부
184: 끼워맞춤 구멍(피결합부)
185: 오목부
186: 경사부
200: 리셉터클 커넥터(상대 전기 커넥터)
210: 클램프 부재
220: 리셉터클 하우징(상대 하우징)
221: 보지부
222: 외통부
222a: 둘레 홈
222b: 교차 홈
223: 간극
224: 칼라부
230: 실드 부재
240: 리셉터클 콘택트(상대 콘택트)
250: 리셉터클측 로크 부재(장착 부재)
251: 링 형상부
252: 돌기(결합부)
253: 장출부
300: 전기 커넥터 쌍
CP, CR: 케이블
LP, LR: 도선

Claims (8)

  1. 상대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상대 하우징에 대하여, 삽입 및 발거가 가능한 형상을 갖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보지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상대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상대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상대 하우징에 보지되어 있는 상대 콘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로부터 상기 삽입 방향으로 외팔보 비임 형상으로 연장된 연출부(cantilever extension)를 갖고, 상기 상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돌기가 상기 삽입의 완료 시에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 구멍이 상기 연출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연출부가 상기 돌기의 높이 방향으로 휘는 탄성을 갖는, 로크 부재와,
    상기 삽입 및 발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의 상기 삽입 및 상기 발거 방향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상기 연출부를 상기 돌기의 높이 방향으로 휘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끼워맞춤 구멍의 상기 돌기와의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해제 부재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기단부와 일체로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삽입 및 상기 발거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따라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기단부와의 접속 부분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해제 부재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삽입 방향의 빠짐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부가 상기 해제 부재를 상기 삽입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으며,
    상기 저지부가 상기 연출부에 의해 상기 삽입 방향으로 부세된 상태의 상기 해제 부재의, 상기 삽입 방향의 빠짐을 저지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부가, 상기 연출부의 자유단에, 상기 삽입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갖고,
    상기 해제 부재가, 상기 경사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상기 발거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쐐기부를 갖고,
    상기 연출부가, 상기 하우징에 접근하는 방향의 탄성 복원력을, 상기 경사부를 통하여 상기 쐐기부에게 부여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해제 부재를 상기 삽입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으며, 상기 탄성 복원력에 저항하여 상기 쐐기부를 상기 발거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상기 쐐기부에 의해, 상기 경사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 상기 연출부가 상기 돌기의 높이 방향으로 휘는
    전기 커넥터.
  5. 상대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상대 하우징에 대하여, 삽입 및 발거가 가능한 형상을 갖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보지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상대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상대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상대 하우징에 보지되어 있는 상대 콘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로부터 상기 삽입 방향으로 외팔보 비임 형상으로 연장된 연출부를 갖고, 상기 상대 하우징에 마련된 결합부가 상기 삽입의 완료 시에 결합하는 피결합부가 상기 연출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연출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는 탄성을 갖는, 로크 부재와,
    상기 삽입 및 발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의 상기 삽입 및 상기 발거 방향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상기 연출부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피결합부의 상기 결합부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해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기단부와 일체로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삽입 및 상기 발거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따라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기단부와의 접속 부분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해제 부재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삽입 방향의 빠짐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6. 제 1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쌍.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전기 커넥터가,
    상기 삽입 및 상기 발거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서 상기 상대 하우징을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상대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가 형성된 장착 부재를 갖는
    전기 커넥터 쌍.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상기 삽입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는
    전기 커넥터 쌍.
KR1020170180749A 2016-12-28 2017-12-27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쌍 KR101953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55965 2016-12-28
JP2016255965A JP6451729B2 (ja) 2016-12-28 2016-12-28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対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078A true KR20180077078A (ko) 2018-07-06
KR101953481B1 KR101953481B1 (ko) 2019-02-28

Family

ID=60673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749A KR101953481B1 (ko) 2016-12-28 2017-12-27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쌍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35187B2 (ko)
EP (1) EP3343707A1 (ko)
JP (1) JP6451729B2 (ko)
KR (1) KR101953481B1 (ko)
CN (1) CN108258515B (ko)
TW (1) TWI62411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177A1 (ko) * 2021-04-27 2022-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51729B2 (ja) * 2016-12-28 2019-01-1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対
CN109638536A (zh) * 2018-11-30 2019-04-16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器组件
DE102018131720A1 (de) * 2018-12-11 2020-06-18 HARTING Electronics GmbH Rundsteckverbinder mit Verriegelung
EP3840130A1 (en) * 2019-12-20 2021-06-23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ctrical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charging robot for a conductive charging system
CN113675639A (zh) * 2020-05-13 2021-11-19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JP7476808B2 (ja) * 2021-01-08 2024-05-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CN113948916B (zh) * 2021-09-26 2024-03-1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直插拔水密连接器
CN114300890B (zh) * 2021-12-22 2024-03-26 江苏正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性能射频连接器用推入自锁工装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6070A1 (en) * 2005-06-04 2006-12-07 Albert Ferderer Latching device for a connector
US20090029584A1 (en) * 2007-07-27 2009-01-29 Toshiyuki Sami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20100304598A1 (en) * 2009-06-01 2010-12-02 Thomas Kari Coaxial connector with coupling spring
JP2015018742A (ja) 2013-07-12 2015-01-2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プラグ及びこれを備えた同軸コネクタ
EP2978079A1 (de) * 2014-07-23 2016-01-27 Multi-Holding AG Kupplu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7775U (ja) 1992-01-10 1993-07-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装置のロック構造
JP3296794B2 (ja) 1998-10-20 2002-07-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1035594A (ja) 1999-07-26 2001-02-09 Fci Japan Kk コネクタ構造体
US6267612B1 (en) * 1999-12-08 2001-07-31 Amphenol Corporation Adaptive coupling mechanism
JP2010092689A (ja) * 2008-10-07 2010-04-22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DE102009041371A1 (de) * 2009-09-11 2011-03-24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Verriegelungssystem für mehrteilige Gehäuse
JP5358606B2 (ja) * 2011-03-28 2013-12-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JP2015018741A (ja) 2013-07-12 2015-01-2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プラグ及びこれを備えた同軸コネクタ
JP5949838B2 (ja) * 2014-06-16 2016-07-13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6451729B2 (ja) * 2016-12-28 2019-01-1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対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6070A1 (en) * 2005-06-04 2006-12-07 Albert Ferderer Latching device for a connector
US20090029584A1 (en) * 2007-07-27 2009-01-29 Toshiyuki Sami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20090012083A (ko) * 2007-07-27 2009-02-02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US20100304598A1 (en) * 2009-06-01 2010-12-02 Thomas Kari Coaxial connector with coupling spring
JP2015018742A (ja) 2013-07-12 2015-01-2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プラグ及びこれを備えた同軸コネクタ
EP2978079A1 (de) * 2014-07-23 2016-01-27 Multi-Holding AG Kuppl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177A1 (ko) * 2021-04-27 2022-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35187B2 (en) 2018-11-20
CN108258515A (zh) 2018-07-06
TW201824660A (zh) 2018-07-01
JP2018107096A (ja) 2018-07-05
US20180183182A1 (en) 2018-06-28
EP3343707A1 (en) 2018-07-04
JP6451729B2 (ja) 2019-01-16
KR101953481B1 (ko) 2019-02-28
TWI624118B (zh) 2018-05-11
CN108258515B (zh) 201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7078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쌍
US7892004B2 (en) Connector having a sleeve member
US8079880B2 (en) Connector assembly featured head-to-head mating interconnection and quick-disconnection therefrom
US9448370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727339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KR101740170B1 (ko) 커넥터
JP2014053128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7540753B2 (en) Electric socket
JP4970571B2 (ja) プッシュ・プル方式の差込式コネクター
JP2014530446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8992240B2 (en) Connector
JP2005251540A (ja) コネクタ装置
KR20180016267A (ko) 커넥터 부재 및 커넥터
KR20150041064A (ko) 패널 고정형 커넥터 장치
CN117080801A (zh) 具有反冲件的高频连接器
US7553194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10571568B (zh) 连接器
WO2019012809A1 (ja) コネクタ
JP2002025706A (ja) コネクタ
JP7318311B2 (ja) 雌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
JP6891040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4056700A (ja) コネクタ
EP1804343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JP7226196B2 (ja) コネクタ
JP6074753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