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083A -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083A
KR20090012083A KR1020080068891A KR20080068891A KR20090012083A KR 20090012083 A KR20090012083 A KR 20090012083A KR 1020080068891 A KR1020080068891 A KR 1020080068891A KR 20080068891 A KR20080068891 A KR 20080068891A KR 20090012083 A KR20090012083 A KR 20090012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plug
normal body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유키 사미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90012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0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5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wall or panel out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이탈의 조작성이 향상하고 나아가 불필요한 이탈이 억제된 전기 커넥터 등을 제공한다.
전기 커넥터(1)에 있어서, 외벽에 계지부(22a)가 설치된 후드부(22)를 갖는 상대 커넥터(2)의 후드부(22)에 삽입 방향 전단 부분(51)이 삽발되는 하우징(50)과, 하우징(50)을 감아 하우징(50)에 대해 삽발되는 전후 방향(FB)으로 이동 자재로 유지된 통상체(30)와, 통상체(30)보다도 후방(B)에 배치되고, 통상체(30)의 이동을 저지하는 저지 위치와 저지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자재로 유지된 이동 저지 부재(40)와, 하우징(50)과 통상체(30)와의 사이에 연재하고, 계지부(22)와 계합하는 계합완(52, 53)을 구비하고, 통상체(30)가 계합완(52, 53)의 전단 부분의 전방(F)에 대면하고 통상체(30)가 후방으로 이동한 때에 계합완(52, 53)과 간섭하여 계지완의 계지부(22a)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계합 해제부(32)를 갖는다.
전기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및 이 전기 커넥터와 감합하는 상대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대 커넥터로부터의 빠짐 방지 능력을 갖는 타입의 전기 커넥터가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상대 커넥터의 수나사에 들어가는 너트 대신에 잠금용 링을 갖는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잠금용 링에는 가요성을 갖는 복수의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는 잠금용 링의 전단측 외주에 설치된 결합링에 의해 링 중심을 향해 눌려져 있고, 2개의 커넥터가 감합한 상태로 상대 커넥터의 수나사와 결합한다. 결합링만이 전기 커넥터의 이탈 방향으로 복귀하면 돌출부의 누름이 해제되고, 커넥터가 이탈가능해진다.
[특허 문헌 1] 특개 2001 - 214993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전기 커넥터는 조작자가 이 전기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일방의 손으로 결합링을 되돌린 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타방의 손으로 전기 커넥터를 쥐어 탈착 방향으로 움직일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실제로 커넥터를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커넥터에 양손을 사용할 필요가 있어 작업성이 저하한다. 또한 전기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감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진동을 받거나 결합링에 물건이 잘못 접촉하거나 하면 결합이 풀어지고 커넥터가 이탈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한손으로도 조작 가능하고, 나아가 불필요한 이탈이 억제된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외벽에 계지부가 설치된 후드부를 갖는 상대 커넥터의 해당 후드부에 삽입 방향 전단 부분이 삽발되는 하우징과, 상기 후드부를 둘러싸는 내경을 갖는 통상이며 상기 하우징을 감아 해당 하우징에 대해 삽발되는 전후 방향으로 해당 하우징에 이동 자재로 유지된 통상체와, 상기 통상체보다도 후방에 배치되고, 해당 통상체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저지 위치와 해당 통상체의 이동 저지를 해제하는 저지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자재로 상기 하우징에 유지된 이동 저지 부재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통상체와의 사이에 연재하고, 해당 하우징이 상기 후드부에 삽입된 때에 전단부가 상기 계합완의 전단 부분의 전방에 대면하고, 해당 통상체가 후방으로 이동한 때에 상기 계합완이 상기 계합부와 계합하는 계합완을 구비하고, 상기 통상체가 상기 계합완의 전단 부분의 전방에 대면하고 해당 통상체가 후방으로 이동한 때에 상기 계합완과 간섭하여 해당 계지완의 상기 계지부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계합 해제부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계합완이 상대 커넥터의 후드부의 외벽에 설치된 계지부와 계합함으로써 상대 커넥터로부터 빠짐 방지되고, 통상체가 후방에 이동한 때에는 계합 해제부가 계지완의 상기 계지부와의 계합이 해제된다. 이동 저지 부재가 저지 위치로 변위와 통상체의 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는 이동 저지 부재를 저지 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통상체에 외력이 가해져도 상대 커넥터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동 저지 부재가 저지 해제 위치로 변위한 상태에서는 통상체를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만으로 빠짐 방지의 해제와 상대 커넥터로부터의 이탈이 행해진다. 따라서 이탈의 조작성이 향상하고 나아가 불필요한 이탈이 억제된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가 상기 저지 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통상체에 닿는 캠면을 갖고, 해당 하우징의 주변에 해당 저지 위치와 상기 캠면이 상기 통상체로부터 이격된 저지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하는 환상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저지 부재가 하우징의 주변에 회전하는 환상의 부재인 경우에는 조작이 용이하며, 더욱이 회전 전후로 전후 방향의 위치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 저 지 부재가 다른 물건에 접촉할 염려가 저감한다. 또한 이동 저지 부재의 회전방향이 통상체의 삽발방향과 다르기 때문에 불필요한 이탈의 염려가 더욱 저감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기도자재로 유지되고, 쓰러진 상태로 상기 통상체에 닿는 부재이며, 쓰러진 상태로 이루어지는 저지 위치와 세워진 상태로 이루어지는 저지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저지 부재가 기도 자재로 유지된 부재의 경우에는 저지 위치와 저지 해제 위치가 이동 저지 부재 자체의 기도에 의해 용이하게 판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가 상기 저지 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통상체에 닿는 캠면을 갖고, 상기 하우징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삽입 방향과는 수직인 방향으로 해당 저지 위치와, 상기 캠면이 상기 통상체로부터 떨어진 저지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U자형 부재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상대 커넥터 및 이 상대 커넥터와 감합한 전기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는 외벽에 계지부가 설치된 후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해당 후드부에 삽입 방향 전단 부분이 삽발된 하우징과, 상기 후드부를 둘러싸는 내경을 갖는 통상이며 상기 하우징을 감아 해당 하우징에 대해 삽발된 전후 방향으로 해당 하우징에 이동 자재로 유지된 통상체와, 상기 통상체보다도 후방에 배치되고, 해당 통상체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저지 위치와 해당 통상체의 이동 저지를 해제하는 저지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자재로 상기 하우 징에 유지된 이동 저지 부재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통상체와의 사이에 연재하고, 해당 하우징이 상기 후드부에 삽입된 때에 전단 부분이 상기 계지부와 계합하는 계합완을 구비하고, 상기 통상체가 상기 계합완의 전단 부분의 전방에 대면하고 해당 통상체가 후방으로 이동한 때에 상기 계합완과 간섭하여 해당 계지완의 상기 계지부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계합 해제부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손으로도 조작 가능하고 나아가 불필요한 이탈이 억제되는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가 실현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제1 실시예인 플러그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형 커넥터(2)로부터 이탈한 상태의 플러그형 커넥터(1)가 리셉터클형 커넥터(2)와 함께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의 명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1)는 케이블단에 취부되고 리셉터클형 커넥터(2)는 장치의 패널 등에 취부되어 사용된다. 리셉터클형 커넥터(2)가 취부되는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거치형 장치뿐 아니라 가동형장치도 상정되기 때문 에, 리셉터클형 커넥터(2)와 감합하는 플러그형 커넥터(1) 및 리셉터클형 커넥터(2)는 각각 복수의 콘택트(C1, C2 :도 2 참조)를 내장하고 있고 서로 감합함으로써 콘택트(C1, C2)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그리고 도 2에 있어서는 복수의 콘택트(C1, C2) 중의 하나를 도시하고, 도 2의 다른 도에 있어서는 콘택트 및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 코어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러그형 커넥터(1)가 리셉터클형 커넥터(2)에 감입하는 방향을 전방(F)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B)으로 하여 설명한다.
플러그형 커넥터(1)는 이른바 푸쉬풀형 잠금기구를 구비하고, 리셉터클형 커넥터(2)에 삽발되는 하우징으로서의 플러그 이너 케이스(50)와, 플러그 이너 케이스(50)를 감아 전후 방향(FB)에 이동 자재로 설치된 통상체로서의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와,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이동 저지 부재로서의 잠금링(40)을 갖고 있다. 리셉터클형 커넥터(2)는 이 쟈크형 커넥터(2)를 장치의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플런지부(21) 및 플러그형 커넥터(1)의 플러그 이너 케이스(50)가 삽입되는 후드부(22)를 갖고 있다. 후드부(22)의 외벽에는 계지부로서의 2개의 계지 손톱(2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형 커넥터(2) 내에는 하우징 코어(H2: 도 2)는 복수의 콘택트(C2)를 수용하고 있다.
플러그형 커넥터(1)의 플러그 이너 케이스(50)는 개략 원통형이며 복수의 콘택트(C1)를 수용한 하우징 코어(H1: 도 2)가 내부에 취부되어 있다. 플러그형 이너 케이스(50)는 하우징 코어(H1)가 취부되어 있음으로써 콘택트(C1)를 수용한 하우징으로서 기능한다. 플러그 이너 케이스(50)의 전방 F측 즉 삽입 방향 전단 부 분에는 리셉터클형 커넥터(2)의 후드부(22)에 삽입되는 전단부(51)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 코어(H1:도 2)는 플러그 이너 케이스(50)의 전단부(5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 이너 케이스(50)에는 플러그 이너 케이스(50)의 외벽을 따라 전방 F로 연장된 2개의 계합완(52, 53)이 형성되어 있다. 계합완(52, 53)은 플러그 이너 케이스(50)와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와의 사이에 연재되어 있고, 전단 부분(52a, 53a)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완(52, 53)의 전단 부분(52a, 53a)은 플러그형 커넥터(1)와 리셉터클형 커넥터(2)가 서로 감합한 상태로 후드부(22)의 계지 손톱(22a)과 계합한다. 계합완(52, 53)과 계합함으로써 플러그형 커넥터(1)가 빠짐 방지된다.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는 리셉터클형 커넥터(2)의 후드부(22)를 둘러싸는 내경을 가진 개략 통상이며, 플러그 이너 케이스(50)를 감아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형 커넥터(1)와 리셉터클형 커넥터(2)가 감합하는 때에는 플러그 이너 케이스(50)와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와의 사이에 리셉터클형 커넥터(2)의 후드부(22)가 파고든다.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는 전후 방향 FB에 이동 자재로 플러그 이너 케이스(50)에 유지되어 있고, 도 2에 나타내는 중립 위치 N과 중립 위치(N)보다도 후방(B)의 이탈 위치(M)과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의 전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후방(B)에 돌출한 2개의 계합 해제부(32, 33)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 해제부(32, 33)는 계합완(52, 53)의 전단 부분(52a, 53a)의 전방(F)에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다. 계합 해제부(32, 33)는 플러 그 아우터 케이스(30)가 슬라이드조작되어 후방(B)을 향해 이탈 위치(M)까지 이동하면 계합완(52, 53)과 간섭한다. 플러그형 커넥터(1)와 리셉터클형 커넥터(2)가 서로 감합한 상태로 계합 해제부(32, 33)가 계합완(52, 53)과 계합 손톱(22a)과의 계합이 해제된다. 또한 계합 해제부(32, 33)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가 후방(B)로 이동하면 2개의 계합완(52, 53)을 서로 당겨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눌러 넓힌다. 이 때문에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는 계합완(52, 53)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F)으로 밀어내지고, 조작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는 중립 위치(N)으로 복귀한다. 플러그 아우터(30)의 후방(B)로의 이동은 잠금링(40)에 의해 규제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내듯이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의 후단에는 후방(B)를 향해 돌출한 4개의 캠핀(35, 36, 37, 38)가 설치되어 있다. 4개의 캠핀(35~38)은 잠금링(40)에 닿는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잠금링(40)을 앞에서 본 도이다. 도 5에는 잠금링(40)이 플러그 이너 케이스(50)의 홈(55)의 부분의 모식적인 단면과 함께 나타내어져 있다.
플러그 이너 케이스(50)의 주변에 회전하는 환상의 잠금링(40)은 반원호상의 2개의 링부재(41a, 41b)가 플러그 이너 케이스(50; 도3 참조)에 형성된 홈(55)에 감입된 상태로 조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잠금링(40)에는 잠금링(40) 자체의 회전 각도를 규제하는 절결(42a, 42b), 회전시의 클릭감을 생기게 하기 위한 클릭 아 암(43a, 43b) 및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의 캠핀(35, 36, 37, 38)에 대응한 캠면(45, 46, 47, 48)이 설치되어 있다. 캠면(45)은 도 3에 의해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전측면(45a) 후측면(45c) 및 면(45a)와의 사이의 경사면(45c)으로 이루어진다. 나머지 캠면(46~48)도 캠면(45)과 마찬가지로 3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이너 케이스(50)의 홈(55: 도 3 참조)에는 절결(42a, 42b)에 대응한 돌기(56a, 56b) 및 클릭 아암(43a, 43b)에 대응한 홈(57a, 57b)이 설치되어 있다. 잠금링(40)은 전후 방향(FB)에 연장되는 플러그 이너 케이스(5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잠금링(40)의 회전 각도는 절결(42a, 42b) 및 돌기(56a, 56b)에 의해 약 30도의 범위로 규제되어 있다. 또한 클릭 아암(43a, 43b)이 홈(57a, 57b)에 파고 들어감으로써 클릭감을 생기게 함과 함께, 잠금링(40)의 위치가 유지된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잠금링에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의 캠핀이 닿아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A)에는 잠금링(40)의 저지 위치의 상태가 나타나고 도 6(B)에는 저지 해제 위치의 상태가 나타난다.
잠금링(40)은 플러그 이너 케이스(50)에 도 6(A)에 나타내는 저지 위치와 도 6(B)에 나타내는 저지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자재로 유지되어 있다. 도 6(A)에 나타내는 저지 위치에서는 캠핀(35)이 캠면(45) 중 전측면(45a)에 닿아 있다. 이것은 나머지 캠핀(36~38)과 캠면(46~48)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에는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가 중립 위치(N)(도 2참조)에서 잠금링(40)의 캠핀(36~38)이 캠면(46~48)에 닿아져 있고,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의 후방(B)로 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다.
잠금링(40)이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도 7의 화살표(R)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6(B)에 나타내는 저지 해제 위치의 상태가 된다. 도 6(B)에 나타내는 저지 해제 위치에서는 캠핀(35)에는 캠면(45) 중 뒤로부터의 면(45c)가 대향한다. 이것은 나머지 캠핀(36~38)과 캠면(46~48)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저지 해제 위치에서는 캠면(45~48)이 캠핀(35~38)으로부터 떨어진다. 따라서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의 후방(B)로의 이동 저지가 해제된다. 따라서,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가 중립 위치(N)(도 2 참조)으로부터 잠금링(40)의 캠핀(36~38)이 캠면(45~48)에 닿는 이탈 위치(M)까지 이동 가능해진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와 리셉터클형 커넥터와의 감합 및 이탈의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에는 플러그형 커넥터(1)와 리셉터클형 커넥터(2)가 감합하고 그리고 이탈하기까지의 과정이 순서대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8(A)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1)와 리셉터클형 커넥터(2)가 감합하는 때에는 리셉터클형 커넥터(2)의 후드부(22)가 내측의 통인 플러그 이너 케이스(50)와 외측의 통인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와의 사이에 형성된 통 모양의 간극에 파고든다. 더욱이 잠금링(40)은 플러그형 커넥터(1)와 리셉터클형 커넥터(2)가 감합하는 때, 저지 위치(도 6(A)) 및 저지 해제 위치(도 6(B))의 어느 위치라도 좋다.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는 전방(F)으로 압출되어 있고, 잠금링(40)의 위치에 관계없이 중립 위치(N)(도 2 참조)에 있다.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이너 케이스(50)의 전단부(51)가 후드부(22)에 압입되면 계합완(52, 53)의 전단 부분(52a, 53a)이 후드부(22)의 계지 손톱(22a)을 넘어가고, 도 8(C)에 나타내듯이 후드부(22)의 계지 손톱(22a)과 계합한다. 계합완(52, 53)이 계지 손톱(22a)과 계합함으로써 플러그형 커넥터(1)가 리셉터클형 커넥터(2)로부터 빠짐 방지된다. 도 8(C)에 나타내는 상태에 이르면 플러그형 커넥터(1)와 리셉터클형 커넥터(2)가 감합한 커넥터 조립체(A1)가 완성한다.
도 8(C)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잠금링(40)이 저지 위치(도 6(A))에 있는 경우,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는 이탈 위치(M)(도 2참조)로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빠짐 방지가 확실해진다. 잠금링(40)이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저지 해제 위치(도 6(B))로 변위하면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는 후방(B)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가 조작에 의해 도 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B)에 이탈 위치(M)까지 이동하면 계합 해제부(32, 33)가 계합완(52, 53)과 간섭하고, 계합완(52, 53)과 계합 손톱(22a)과의 계합이 해제한다. 도 8(C)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가 조작에 의해 더욱 후방(B)로 당겨지면 플러그형 커넥터(1)가 리셉터클형 커넥터(2)로부터 이탈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제 2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지금까지 설명해온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전술한 실시예와의 상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제2실시예인 플러그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202)는 서로 감합함으로써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한다.
플러그형 커넥터(201)는 이른바 잠금 부착의 푸쉬풀형이고, 쟈크형 커넥터(202)에 삽발되는 하우징으로서의 플러그 이너 케이스(250)와, 플러그 이너 케이스(250)의 외측에 전후 방향(FB)으로 이동 자재로 설치된 통상체로서의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230)와,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이동 저지 부재로서의 스토퍼부(240)를 갖고 있다. 쟈크형 커넥터(202)는 플러그형 커넥터(201)의 플러그 이너 케이스(250)가 삽입되는 후드부(22)를 갖고 있다. 후드부(222)의 외벽에는 계지부로서의 계지홈(222a)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형 커넥터(201)의 플러그 이너 케이스(250)는 대략 통모양이며 통모양의 전측인 전단부(251)가 리셉터클형 커넥터(202)의 후드부(222)에 삽입된다. 플러그 이너 케이스(250)에는 전단부(251)의 외측을 따라 전방(F)으로 연장된 2개의 계합완(252, 253)이 설치되어 있다. 계합완(252, 253)의 각각의 전단 부분(252a, 253a)에는 플러그형 커넥터(201)와 플러그형 커넥터(202)가 서로 감합한 상태로 후드부(222)의 계지홈(222a)과 계합하는 갈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완(252, 253)이 계지홈(222a)과 계합함으로써 플러그형 커넥터(201)가 빠짐 방지된다.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230)는 플러그 이너 케이스(250)에 대해 전후 방향(FB)으로 이동 자재로 유지되어 있다.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230)의 전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후방(B)으로 돌출한 2개의 계합 해제부(232, 233)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 해제부(232, 233)는 계합완(252, 253)의 전단 부분(252a, 253a)과 접 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230)의 후방(B)로의 이동은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230)보다도 후방에 설치된 스토퍼부(240)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스토퍼부(240)는 플러그 이너 케이스(250)에 힌지 기구에 의해 유지되어 있고, 쓰러진 상태로 이루어지는 저지 위치와 일으켜진 상태로 이루어지는 저지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한다. 또한 도 9에는 스토퍼부(240)가 플러그 이너 케이스(250)에 대해 일으켜진 저지 해제 위치의 상태가 나타내어지고, 도 10에는 스토퍼부(240)가 쓰러진 저지 위치의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스토퍼부(240)가 쓰러진 저지 위치의 상태에서는 스토퍼부(240)가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230)에 닿는다. 이로 인해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230)는 후방(B)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가 리셉터클형 커넥터와 감합하고, 스토퍼부가 저지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에 있어서 스토퍼부가 저지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듯이, 플러그형 커넥터(201)가 리셉터클형 커넥터(202)와 감합한 상태에서는 플러그 이너 케이스(250)의 전단부(251)가 후드부(222)에 들어가고, 계합완(252, 253)의 전단 부분(252a, 253a)이 후드부(222)의 계지홈(222a)과 계합하고 있다. 계합완(252, 253)이 계지홈(222a)과 계합함으로써 플러그형 커넥터(201)가 빠짐 방지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상태로 플러 그형 커넥터(201)와 리셉터클형 커넥터(202)가 감합한 커넥터 조립체(A2)가 완성된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부(240)가 쓰러진 저지 위치에 있는 경우,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230)는 외력이 가해져도 후방 위치(B)(도 10 참조)로 이동 않는다. 따라서, 쟈트형 커넥터(202)로부터의 플러그형 커넥터(201)의 빠짐 방지가 확실해진다. 스토퍼부(240)가 조작에 의해 일으켜진 저지 해제 위치(도 11)로 변위하면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230)가 후방(B)로 이동 가능해진다.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가 조작에 의해 더욱 후방(B)로 이탈 위치(M)(도 10 참조)까지 이동하면, 계합 해제부(232, 233)가 계합완(252, 253)과 간섭하고, 계합완(252, 253)을 계지홈(222a)과의 계합이 해제한다.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230)가 조작에 의해 더욱 후방(B)로 당겨지면 플러그형 커넥터(201)가 리셉터클형 커넥터(202)로부터 이탈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제2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지금까지 설명해온 실시예에서의 각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전술한 실시예와의 상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제3 실시예인 플러그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301) 및 리셉터클형 커넥터(202)는 서로 감합함으로써 커넥터 조립체가 된다.
플러그형 커넥터(301)는 리셉터클형 커넥터(202)에 삽발되는 하우징으로서의 플러그 이너 케이스(350)와 플러그 이너 케이스(350)의 외측에 전후 방향(FB)으로 이동 자재로 설치된 통상체로서의 플러그 이너 케이스(330)와,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0)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이동 저지 부재로서의 U자 부재(340)를 갖고 있다.
플러그형 커넥터(301)의 플러그 이너 케이스(350)는 후단측의 형상이 육각형인 점에서 제2 실시예의 플러그 이너 케이스(250)와는 다르고, 그 밖의 점은 제2 실시예의 플러그 이너 케이스(250)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플러그 이너 케이스에는 각종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플러그 아우터(330)는 후단에 경사면을 갖는 캠 종동부(339)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제2 실시예의 플러그 이너 케이스(250)와 다르고, 그 밖의 점은 제2 실시예의 플러그 이너 케이스(250)와 마찬가지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의 U자 부재(34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U자 부재(340는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듯이 U자형의 부재이며 한 쌍의 아암(304a)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아암(304a)에 플러그 이너 케이스(350)가 끼워져 있다. U자 부재(340)는 삽입 방향인 전후 방향(FB)와는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 쌍의 아암(304a)의 각각에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돌기(340b)가 설치되어 있다. U자 부재(340)가 이동하는 때에는 돌기(340b)가 플러그 이너 케이스(350)를 넘는다. 또한 U자 부재(340)는 도 14에 나타내듯이 U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230)의 캠 종동부(339)에 닿는 캠면(349)를 갖고 있다.
도 16은 도 14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가 리셉터클형 커넥터와 감합하고, 스토퍼부가 저지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듯이 플러그형 커넥터에 있어서 스토퍼부가 저지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형 커넥터(301)가 리셉터클형 커넥터(202)와 감합한 상태에서는 플러그형 커넥터(301)가 빠짐 방지된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플러그형 커넥터(301)와 리셉터클형 커넥터(202)가 감합한 커넥터 조립체(A3)가 완성한다.
도 17에 나타내듯이, U자 부재(340)가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30)와 동일한 높이로 압입된 저지 위치에 있으면,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30)의 캠종동부(339)가 U자 부재(340)의 캠면(349)에 닿아진 상태가 된다. 이 때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230)는 외력이 가해져도 이탈 위치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빠짐 방지가 확실해진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자 부재(340)가 인출되어 저지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U자 부재(340)의 캠면(349)이 캠 종동부(339)로부터 떨어지고,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30)가 후방(B)로 이동 가능해진다.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330)가 조작에 의해 더욱 후방(B)로 당겨지면 플러그형 커넥터(301)가 리셉터클형 커넥터(202)로부터 이탈한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로서 플러그형 커넥터의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전기 커넥터는 리셉터클형 커넥터로서 구성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제1 실시예인 플러그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의 각 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 타내는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잠금링을 앞에서 본 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잠금링에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의 캠핀이 닿아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잠금링이 회전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와 리셉터클형 커넥터와의 감합 및 이탈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제2 실시예인 플러그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가 리셉터클형 커넥터와 감합하고, 스토퍼부가 저지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에 있어서 스토퍼부가 저지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제3 실시예인 플러그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의 U자부재(34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와 감합하고, 스토퍼부가 저지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플러그형 커넥터에 있어서 스토퍼부가 저지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01, 301 : 플러그형 커넥터(전기 커넥터)
2, 202 : 리셉터클형 커넥터(상대 커넥터)
22, 202 : 후드부
22a : 계지 손톱(계지부)
30, 230, 330 : 플러그 아우터 케이스(통상체)
32, 33, 232, 233 : 계합 해제부
35, 36, 37, 38 : 캠핀
40 : 잠금링(이동 저지 부재)
45, 46, 47, 48 : 캠면
50, 250 : 플러그 이너 케이스
51, 251 : 전단부
52, 53, 252, 253 : 계합완
240 : 스토퍼부(이동 저지 부재)
340 : U자부재(이동 저지 부재)
349 : 캠면
A1, A2, A3 : 커넥터 조립체

Claims (5)

  1. 외벽에 계지부가 설치된 후드부를 갖는 상대 커넥터의 해당 후드부에 삽입 방향 전단 부분이 삽발되는 하우징과,
    상기 후드부를 둘러싸는 내경을 갖는 통상이며 상기 하우징을 감아 해당 하우징에 대해 삽발되는 전후 방향으로 해당 하우징에 이동 자재로 유지된 통상체와,
    상기 통상체보다도 후방에 배치되고, 해당 통상체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저지 위치와 해당 통상체의 이동 저지를 해제하는 저지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자재로 상기 하우징에 유지된 이동 저지 부재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통상체와의 사이에 연재하고, 해당 하우징이 상기 후드부에 삽입된 때에 전단 부분이 상기 계지부와 계합하는 계합완을 구비하고,
    상기 통상체가 상기 계합완의 전단 부분의 전방에 대면하고 해당 통상체가 후방으로 이동한 때에 상기 계합완과 간섭하여 해당 계지완의 상기 계지부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계합 해제부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가 상기 저지 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통상체에 닿는 캠면을 갖고, 해당 하우징의 주변에 해당 저지 위치와 상기 캠면이 상기 통상체로부터 이격된 저지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 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기도 자재로 유지되고, 쓰러진 상태로 상기 통상체에 닿는 부재이며, 쓰러진 상태로 이루어지는 저지 위치와 세워진 상태로 이루어지는 저지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저지 부재가 상기 저지 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통상체에 닿는 갬면을 갖고, 상기 하우징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삽발 방향과는 수직인 방향으로 해당 저지 위치와, 상기 캠면이 상기 통상체로부터 떨어진 저지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U자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상대 커넥터 및 이 상대 커넥터와 감합한 전기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는 외벽에 계지부가 설치된 후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해당 후드부에 삽입 방향 전단 부분이 삽발된 하우징과,
    상기 후드부를 둘러싸는 내경을 갖는 통상이며 상기 하우징을 감아 해당 하우징에 대해 삽발된 전후 방향으로 해당 하우징에 이동 자재로 유지된 통상체와,
    상기 통상체보다도 후방에 배치되고, 해당 통상체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저지 위치와 해당 통상체의 이동 저지를 해제하는 저지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자재로 상기 하우징에 유지된 이동 저지 부재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통상체와의 사이에 연재하고, 해당 하우징이 상기 후드부에 삽입된 때에 전단 부분이 상기 계지부와 계합하는 계합완을 구비하고,
    상기 통상체가 상기 계합완의 전단 부분의 전방에 대면하고 해당 통상체가 후방으로 이동한 때에 상기 계합완과 간섭하여 해당 계지완의 상기 계지부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계합 해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0080068891A 2007-07-27 2008-07-16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200900120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96466A JP4767923B2 (ja) 2007-07-27 2007-07-27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JPJP-P-2007-00196466 2007-07-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083A true KR20090012083A (ko) 2009-02-02

Family

ID=4029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891A KR20090012083A (ko) 2007-07-27 2008-07-16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32130B2 (ko)
EP (1) EP2037543A1 (ko)
JP (1) JP4767923B2 (ko)
KR (1) KR20090012083A (ko)
CN (1) CN10135521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221A (ko) * 2012-01-25 2014-10-01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플러그 커넥터용 플러그 접속 시스템
KR20180077078A (ko) * 2016-12-28 2018-07-06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쌍
WO2022155191A1 (en) * 2021-01-13 2022-07-21 Interplex Industries, Inc. Connectors with universal compon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9883B2 (en) 2006-09-28 2012-02-07 Tyco Healthcare Group Lp Cable monitoring apparatus
US8668651B2 (en) 2006-12-05 2014-03-11 Covidien Lp ECG lead set and ECG adapter system
DE102007051587A1 (de) * 2007-10-29 2009-04-30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elektrischen Gerätes an einem Gehäuse
US8038484B2 (en) 2007-12-11 2011-10-18 Tyco Healthcare Group Lp ECG electrode connector
USD737979S1 (en) 2008-12-09 2015-09-01 Covidien Lp ECG electrode connector
US20100255724A1 (en) * 2009-04-03 2010-10-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ocking clip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201440527U (zh) * 2009-06-16 2010-04-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头连接器组件
US8694080B2 (en) 2009-10-21 2014-04-08 Covidien Lp ECG lead system
CA2746944C (en) 2010-07-29 2018-09-25 Tyco Healthcare Group Lp Ecg adapter system and method
ES2762190T3 (es) 2011-07-22 2020-05-22 Kpr Us Llc Conector de electrodo ECG
US8634901B2 (en) 2011-09-30 2014-01-21 Covidien Lp ECG leadwire system with noise suppression and related methods
JP5826594B2 (ja) * 2011-10-28 2015-12-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44881B2 (ja) * 2011-11-22 2016-1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電制御装置
JP5282156B1 (ja) * 2012-04-27 2013-09-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56826B2 (ja) * 2012-05-10 2016-07-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03917B2 (ja) * 2012-12-18 2017-03-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EP2967396B1 (en) 2013-03-15 2019-02-13 Kpr U.S., Llc Electrode connector with a conductive member
US9408546B2 (en) 2013-03-15 2016-08-09 Covidien Lp Radiolucent ECG electrode system
USD771818S1 (en) 2013-03-15 2016-11-15 Covidien Lp ECG electrode connector
DE102013112103A1 (de) * 2013-11-04 2015-05-2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Push-Pull-Steckverbinder mit zusätzlichem Verriegelungselement
JP2016012532A (ja) * 2014-06-30 2016-01-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5990750B (zh) * 2015-02-12 2018-05-11 无锡祥生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方便插拔的连接器连接锁紧结构
DE102015105832B4 (de) * 2015-04-16 2017-03-3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nd Verfahren zum Lösen einer elektrischen Steckverbindung
DE102015120025A1 (de) * 2015-11-19 2017-05-24 HARTING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mit Sicherungselement
JP6806606B2 (ja) 2017-03-23 2021-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340618B1 (en) * 2017-12-19 2019-07-02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housing with releasable terminal locks
DE102018101325A1 (de) * 2018-01-22 2019-07-25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Halte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Ladeeinrichtung
JP2019140046A (ja) * 2018-02-15 2019-08-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コネクタ装置
CZ32906U1 (cs) * 2018-05-07 2019-06-04 BLOCKAUDIO s r.o. Fixační systém zásuvkového spojení pro kabely napájecího napětí
CN109038127B (zh) * 2018-07-04 2020-04-07 深圳市凌科电气有限公司 可更换接口的安全电连接器
EP3896800A1 (en) * 2020-04-16 2021-10-20 Connecteurs Electriques Deutsch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a securing tab
US11296466B2 (en) * 2020-07-30 2022-04-05 The Esab Group Inc. Coradial connector
CN115117669A (zh) * 2021-03-19 2022-09-2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和连接器组件
CN113437586B (zh) * 2021-07-07 2022-08-23 杭州永谐科技有限公司 一种盲插自锁式结构的无源器件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7371A (en) * 1968-03-04 1970-06-23 Itt Coupling locking device
US3569903A (en) * 1969-08-07 1971-03-09 Sealectro Corp Coaxial connector with axial interlock
JPS5031909Y1 (ko) * 1970-05-14 1975-09-17
US4390222A (en) * 1979-10-01 1983-06-28 Automation Industries, Inc. Lanyard release/umbilical electrical connector
JPH04133373U (ja) * 1991-05-31 1992-12-1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DE4325895C1 (de) * 1993-08-02 1994-12-22 Contact Gmbh Steckverbinderpaar
FR2727799B1 (fr) * 1994-12-02 1997-01-17 Marechal Sepm Prise pour connexion electrique, a contacts proteges
JPH08227755A (ja) * 1995-02-21 1996-09-0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の接続構造
EP0762554B1 (en) * 1995-08-09 2000-11-2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ocking device for connectors and use thereof for charging connectors and/or high-voltage connectors
US6267612B1 (en) 1999-12-08 2001-07-31 Amphenol Corporation Adaptive coupling mechanism
DE10021377C2 (de) * 2000-05-02 2002-03-07 Franz Binder Gmbh & Co Elek Sc Rundsteckverbinder
FR2828343B1 (fr) * 2001-08-03 2004-06-11 Radiall Sa Connecteur coaxial a verrouillage par encliquetage
US7189097B2 (en) * 2005-02-11 2007-03-13 Winchester Electronics Corporation Snap lock connector
US7322846B2 (en) * 2005-11-04 2008-01-29 Winchester Electronics Corporation Quick connect connec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221A (ko) * 2012-01-25 2014-10-01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플러그 커넥터용 플러그 접속 시스템
KR20180077078A (ko) * 2016-12-28 2018-07-06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쌍
WO2022155191A1 (en) * 2021-01-13 2022-07-21 Interplex Industries, Inc. Connectors with universal compon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32587A (ja) 2009-02-12
US7632130B2 (en) 2009-12-15
CN101355212A (zh) 2009-01-28
EP2037543A1 (en) 2009-03-18
JP4767923B2 (ja) 2011-09-07
CN101355212B (zh) 2012-08-08
US20090029584A1 (en)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2083A (ko)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4492449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5584712A (en) Connector
EP2253977B1 (en) Waterproof connector and waterproof device using the same
US5823813A (e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7645162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a slider element
JP4031374B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US20110058773A1 (en) Plug connector having unlocking mechanism
JP3841389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JP4970571B2 (ja) プッシュ・プル方式の差込式コネクター
CA2722495A1 (en) Optical connector and insertion and removal method of optical connector
JP2002373735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の組み付け方法及び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2020087906A (ja) コネクタ装置
JP449710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2037652A (ja) 光コネクタ、取り外し治具、及び光コネクタの取り外し構造
EP2710684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for such assembly
JP2003068401A (ja) コネクタ
JP3495881B2 (ja) コネクタ
US9083116B2 (en) Connector
JP2010097954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9048576B2 (en) Multiple-stage interlocking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 assurance mechanism
JP2003317865A (ja) コネクタの離脱構造及びコネクタ離脱用治具
JP2009104945A (ja) ロック構造およびコネクタ
JP7469344B2 (ja) コネクタ
JPH08185925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