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593A - 필러 조성물 - Google Patents

필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593A
KR20180073593A KR1020187013046A KR20187013046A KR20180073593A KR 20180073593 A KR20180073593 A KR 20180073593A KR 1020187013046 A KR1020187013046 A KR 1020187013046A KR 20187013046 A KR20187013046 A KR 20187013046A KR 20180073593 A KR20180073593 A KR 20180073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rous
magnesium sulfate
particles
basic magnesium
fin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010B1 (ko
Inventor
다카시 이데미츠
쇼타로 히다
료이치 노무라
Original Assignee
우베 마테리알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베 마테리알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베 마테리알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3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5/00Compounds of magnesium
    • C01F5/40Magnes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8Oxy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1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one dimension, e.g. needle-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4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aspect ratio, i.e. the ratio of sizes in the longest to the shortest dimen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4Magnesium hyd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009Sulfides
    • C08K2003/3018Sulfides of magnesium,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045Sulfates
    • C08K2003/3063Magnesium sulf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6Additives defined by their aspect rati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Abstract

(과제) 높은 레벨에서 밸런스한 내충격성과 강성을 나타내는 수지 성형체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수지용의 필러 충전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와, 평균 입자경이 0.001 ∼ 0.5 ㎛ 의 범위에 있는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등의 무기물의 비섬유상 미립자를 질량비로 100 : 0.001 ∼ 100 : 50 의 범위의 양으로 함유하는 필러 조성물.

Description

필러 조성물
본 발명은, 필러 조성물, 특히 폴리올레핀 수지에 충전하여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체의 각종 물성의 개량을 가능하게 하는 필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대표되는 폴리올레핀 수지는, 자동차의 외장재나 내장재, 냉장고 및 세탁기 등의 가정 전화 제품의 외장재, 그리고 트레이, 선반 널, 포장 시트 등의 각종 성형체의 제조용의 재료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체의 강성이나 내충격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성형용 재료인 폴리올레핀 수지에 충전재 (필러) 를 첨가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것은 널리 행해지고 있다. 그러한 목적에서 사용되는 충전재로는, 섬유상 무기 충전재와 비섬유상 무기 충전재가 일반적이다.
특허문헌 1 에는, 성형시의 금형 오염이 적고, 대전 방지성, 내광 열화 안정성,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고, 또한, 높은 강성과 내충격성의 양호한 밸런스를 가지며, 성형체로 한 경우, 플로우 마크와 웰드 외관이 우수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서,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를 99 ∼ 60 질량부, 평균 입자경이 0.01 ∼ 100 ㎛ 인 무기 충전제 (또는 무기 충전재) 를 1 ∼ 40 질량부, 그리고 특정한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제를 0.05 ∼ 5 질량부의 양으로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무기 충전재로는, 비섬유상 무기 충전재, 섬유상 무기 충전재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에폭시 수지로 대표되는 수지에 충전하는 필러 조성물로서,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무기 섬유와, 체적 평균 입경이 0.01 ㎛ 이상 5 ㎛ 이하인 구상 실리카 입자를 함유하는 필러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이 문헌에 의하면, 상기의 필러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은, 유동 특성이 우수하다고 되어 있고, 무기 섬유의 예로서, 예를 들어, 애스팩트비가 5 이상인 탄소 재료 또는 탄소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나 유리나 유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6740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3978호
최근의 자동차의 개량 테마의 하나로서, 연비 절약을 목적으로 한 차체의 경량화가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범퍼 등의 외장재에서는, 경량화를 위해서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단, 자동차의 범퍼에서는, 두께를 얇게 한 경우에도, 다른 자동차나 각종 물체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용이하게 파손되지 않도록, 높은 내충격성과, 외력의 작용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는 것과 같은 높은 강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자동차 범퍼의 재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서는, 그 성형체의 내충격성과 강성은 일반적으로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에 있으므로, 일방의 물성을 높게 하면, 타방의 물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충전재로서, 특허문헌 1, 2 에 기재되어 있는 충전제의 사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그들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충전재를 첨가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두께가 얇은 성형체를 제조한 경우, 자동차의 범퍼에 있어서 요구되는 것과 같은 높은 내충격성을 나타내는 성형체를 강성을 희생시키지 않고 제조하는 것은 어렵다는 지견을 얻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로, 높은 레벨의 내충격성과 강성이 요구되는 자동차의 범퍼 등의 수지 성형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용의 충전재로서 특히 바람직한 필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체로 대표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체가 나타내는 높은 강성을 희생시키지 않고,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체의 제조 재료로서 유용한 폴리올레핀 수지 충전용 필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둘째로,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와 같은 추가적인 박육화와 경량화가 요망되고 있는 내장재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용의 충전재로서도 바람직한 필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에,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와, 평균 입자경이 0.001 ∼ 0.5 ㎛ 의 범위에 있는 미세한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를 질량비로 100 : 0.001 ∼ 100 : 50 의 범위가 되는 것과 같은 양으로 함유하는 필러 조성물을 첨가하여 조제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수지 성형체는, 강성의 지표가 되는 굽힘 탄성률이 저하되지 않고, 내충격성의 지표가 되는 아이조드 충격 강도가 대폭 향상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와, 평균 입자경이 0.001 ∼ 0.5 ㎛ 의 범위에 있는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를 질량비로 100 : 0.001 ∼ 100 : 50 의 범위의 양으로 함유하는 필러 조성물에 있다.
본 발명의 필러 조성물의 바람직한 양태는, 다음과 같다.
(1)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가, 애스팩트비가 2 이하인 금속 산화물, 금속 수산화물 및 금속 탄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무기물의 비섬유상 미립자이다.
(2)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가, 애스팩트비가 2 이하인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무기물의 비섬유상 미립자이다.
(3)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가 구상 실리카 입자는 아니다.
(4) 폴리올레핀 수지 충전용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필러 조성물의 주성분인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와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는,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해, 폴리올레핀 수지와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를 질량비로 99 : 1 ∼ 50 : 50 의 범위의 양으로 함유하고, 추가로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를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 100 질량부에 대해 0.001 ∼ 50 질량부의 범위의 양 및/또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0.0002 ∼ 10 질량부의 범위의 양으로 함유하도록 배합함으로써,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성형체 제조용의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러 조성물을 첨가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성형체는, 높은 내충격성과 강성을 나타내므로, 자동차의 범퍼 등의 외장재로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필러 조성물을 첨가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성형체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의 자동차 내장재로서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러 조성물은,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와, 평균 입자경이 0.001 ∼ 0.5 ㎛ 의 범위에 있는 미세한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를 함유한다.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는,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의 표면에 점재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 100 질량부에 대한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의 함유량은, 0.001 ∼ 50 의 범위의 양, 바람직하게는 0.001 ∼ 20 질량부의 범위의 양,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 8 질량부의 범위의 양,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5 ∼ 2 질량부의 범위의 양이다.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는, 평균 장경이 일반적으로 5 ∼ 50 ㎛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0 ∼ 30 ㎛ 의 범위이고, 평균 단경이 일반적으로 0.1 ∼ 2.0 ㎛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5 ∼ 1.0 ㎛ 의 범위이며, 평균 애스팩트비 (평균 장경/평균 단경) 가 일반적으로 2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50 의 범위이다.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의 평균 장경 및 평균 단경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에 의한 확대 화상으로부터 측정한 1000 개의 입자의 장경 및 단경의 각각의 평균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는, 평균 입자경 (1 차 입자의 평균 입자경) 이 0.001 ∼ 0.5 ㎛ (1 ㎚ ∼ 500 ㎚)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002 ∼ 0.2 ㎛ (2 ㎚ ∼ 200 ㎚) 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5 ∼ 0.1 ㎛ (5 ㎚ ∼ 100 ㎚) 의 범위에 있다.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은 또,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의 평균 단경에 대해, 일반적으로 1/2 ∼ 1/1000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2 ∼ 1/500 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 1/500 의 범위의 길이이다.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은, 예를 들어, SEM 사진의 화상 해석 혹은 입도 분포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의 예로는, 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입자, 산화마그네슘 (마그네시아) 입자, 수산화마그네슘 입자,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입자, 및 탄산칼슘 입자를 들 수 있다.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는 평균 애스팩트비 (평균 장경/평균 단경) 가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본 발명의 필러 조성물은, 예를 들어,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와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혼합은, 건식 혼합 장치를 사용하는 건식 혼합에 의해 실시해도 되고, 액체 분산매를 이용하는 습식 혼합에 의해 실시해도 된다.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와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습식 혼합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식 혼합에서 사용하는 혼합 장치의 예로는, 고속 회전 밀 (예를 들어, 커터 밀, 케이지 밀, 해머 밀, 핀 밀, 터보 타입 밀, 원심 분급 밀), 제트 밀을 들 수 있다.
습식 혼합에서 사용하는 분산매의 예로는, 물, 저급 알코올 및 케톤을 들 수 있다. 습식 혼합은,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의 분산액과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의 분산액을 혼합하는 방법,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의 분산액과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의 분말을 혼합하는 방법,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의 분말과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의 분산액을 혼합하는 방법,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의 분말과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의 분말과 액체 매체를 혼합하는 방법의 어느 방법에 의해 실시해도 된다. 습식 혼합에서 사용하는 혼합 장치의 예로는, 교반기, 매체 교반 밀을 들 수 있다. 또, 초음파 분산기, 호모 믹서 등의 회전식의 분산기, 고압 호모 믹서, 습식 제트 밀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필러 조성물은, 수지에 대한 친화성을 높이기 위해서,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해도 된다. 커플링제의 예로는, 페닐기, 비닐기, 에폭시기, 메타크릴 기, 아미노기, 우레이드기, 메르캅토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아크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관능기를 갖는 알콕시실란 (실란 커플링제) 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러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의 어느 것에도 첨가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의 예로는,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를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예로는,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의 예로는, 6-나일론, 6,6-나일론을 들 수 있다. 폴리아크릴 수지의 예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메타크릴산메틸을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의 예로는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우레탄 수지를 들 수 있다.
필러 조성물의 수지에 대한 첨가량은, 수지와 필러 조성물의 질량비 (전자 : 후자) 로 일반적으로 99 : 1 ∼ 50 : 50 의 범위의 양, 바람직하게는 99 : 1 ∼ 70 : 30 의 범위의 양이다. 필러 조성물의 수지에 대한 첨가에는, 1 축 용융 혼련 압출기, 2 축 용융 혼련 압출기, 밴버리 믹서 등의 혼련기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지에는, 필러 조성물과 함께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안료, 대전 방지제, 부식 방지제, 난연제, 활제, 중화제, 발포제, 가소제, 기포 방지제, 가교제 등의 수지 조성물의 물성이나 특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의 필러 조성물이 첨가된 수지 조성물은, 임의의 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수지 성형체로 할 수 있다. 성형 방법의 예로는, 사출 성형법, 압출 성형법, 캘린더 성형법, 블로 성형법, 발포 성형법 및 연신 성형법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참고예]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의 제조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슬러리 (고형분 농도 : 2.0 질량%, 평균 섬유 길이 : 15 ㎛, 평균 섬유 직경 : 0.5 ㎛, 평균 애스팩트비 : 30) 1.5 ℓ 를 뷰흐너 깔때기로 감압 여과하여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함수물 120 g 을 얻었다. 얻어진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함수물의 함수율은 75 질량% 였다.
상기의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함수물을 압출 조립 (造粒) 기를 사용하여 직경 2.4 ㎜ 의 입상으로 성형하고, 이어서 상자형 건조기로 160 ℃ 에서 24 시간 가열 건조시켜,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분말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의 조립물) 을 얻었다.
[비교예]
폴리프로필렌 수지 [MFR (온도 230 ℃, 하중 2.16 ㎏) : 52 g/10 분] 를 85 질량부, 그리고 참고예에서 얻은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를 15 질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2 축 용융 혼련 압출기 (L/D = 25, (주) 이모토 제작소 제조) 를 사용하여, 온도 230 ℃, 축의 회전수 90 rpm 의 조건에서 용융 혼련하여, 생성된 용융 혼련물을 스트랜드상으로 압출한 후, 절단하여,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펠릿을, 소형 사출 성형기 (수동식 사출 성형기, (주) 신코 셀빅 제조, 핸디 트라이) 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30 ℃, 금형 온도 50 ℃ 에서 사출 성형하고, 시험편 (단책 (短冊) 상, 폭 5 ㎜ × 두께 2 ㎜ × 길이 50 ㎜) 을 제조하였다. 이 시험편을 사용하여 하기 방법에 의해 아이조드 충격 강도과 굽힘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아이조드 충격 강도 : 아이조드 충격 시험기 ((주) 마이즈 시험기 제조) 를 사용하여, JIS-K-7110 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굽힘 탄성률 : 전동 계측 스탠드 ((주) 이마다 제조, MX-500N) + 디지털 포스 게이지 ((주) 이마다 제조, ZTA-500N) 를 사용하고, 부하 속도 10 ㎜/분, 지점 (支點) 간 거리 40 ㎜ 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슬러리 (고형분 농도 : 2.0 질량%, 평균 섬유 길이 : 15 ㎛, 평균 섬유 직경 : 0.5 ㎛, 평균 애스팩트비 : 30) 1.5 ℓ 에 나노 알루미나 입자 (고형분 농도 10 질량%, 평균 입자경 : 31 ㎚, 애스팩트비 : 1.18) 0.45 g 을 함유하는 슬러리를 투입하고, 10 분간 교반 혼합하여, 뷰흐너 깔때기로 감압 여과하여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과 나노 알루미나 입자를 함유하는 함수물을 얻은 후, 얻어진 함수물로부터 참고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과 나노 알루미나 입자를 함유하는 필러 조성물을 얻었다.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를 상기의 필러 조성물로 바꾼 것 이외에는, 비교예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의 필러 조성물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펠릿을 사용하여 비교예 1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 시험편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에 의해 아이조드 충격 강도과 굽힘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참고예에서 얻어진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 15 g 과 고순도 초미분 산화마그네슘 (500 A, 우베 머티리얼즈 (주) 제조, 평균 입자경 : 52 ㎚, 애스팩트비 : 1.21) 0.0225 g 을 용량 500 cc 의 원기둥상 플라스틱 용기에 투입하고, 10 분간 회전 혼합함으로써,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와 고순도 초미분 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필러 조성물을 얻었다.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를 상기의 필러 조성물로 바꾼 것 이외에는, 비교예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의 필러 조성물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펠릿을 사용하여 비교예 1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 시험편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에 의해 아이조드 충격 강도과 굽힘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참고예에서 얻어진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 15 g 과 고순도 초미분 수산화마그네슘 (500H, 우베 머티리얼즈 (주) 제조, 평균 입자경 : 72 ㎚, 애스팩트비 : 1.20) 0.0225 g 을 용량 500 cc 의 원기둥상 플라스틱 용기에 투입하고, 10 분간 회전 혼합함으로써,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와 고순도 초미분 수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필러 조성물을 얻었다.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를 상기의 필러 조성물로 바꾼 것 이외에는, 비교예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의 필러 조성물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펠릿을 사용하여 비교예 1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 시험편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에 의해 아이조드 충격 강도과 굽힘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참고예에서 얻어진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 15 g 과 초고순도 탄산칼슘 (CS3N-A30, 우베 머티리얼즈 (주) 제조, 평균 입자경 : 70 ㎚, 애스팩트비 : 1.35) 0.0225 g 을 용량 500 cc 의 원기둥상 플라스틱 용기에 투입하고, 10 분간 회전 혼합함으로써,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와 초고순도 초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지는 필러 조성물을 얻었다.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를 상기의 필러 조성물로 바꾼 것 이외에는, 비교예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의 필러 조성물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펠릿을 사용하여 비교예 1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 시험편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에 의해 아이조드 충격 강도과 굽힘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러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하여 얻은 성형체는,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를 필러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하여 얻은 성형체와 비교하면, 굽힘 탄성률은 동일한 정도이지만, 아이조드 충격 강도는 현저하게 향상된다.

Claims (4)

  1. 섬유상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입자와, 평균 입자경이 0.001 ∼ 0.5 ㎛ 의 범위에 있는 무기물 미립자를 질량비로 100 : 0.001 ∼ 100 : 50 의 범위의 양으로 함유하는 필러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가, 애스팩트비가 2 이하인 금속 산화물, 금속 수산화물 및 금속 탄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무기물의 비섬유상 미립자인 필러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비섬유상 무기물 미립자가, 애스팩트비가 2 이하인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무기물의 비섬유상 미립자인 필러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수지 충전용인 필러 조성물.
KR1020187013046A 2015-10-23 2016-10-21 필러 조성물 KR102201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09059 2015-10-23
JP2015209059 2015-10-23
PCT/JP2016/081255 WO2017069236A1 (ja) 2015-10-23 2016-10-21 フィラー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593A true KR20180073593A (ko) 2018-07-02
KR102201010B1 KR102201010B1 (ko) 2021-01-08

Family

ID=58557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046A KR102201010B1 (ko) 2015-10-23 2016-10-21 필러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80312666A1 (ko)
JP (1) JP6764416B2 (ko)
KR (1) KR102201010B1 (ko)
CN (1) CN108137337A (ko)
WO (1) WO20170692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7383B (zh) * 2019-05-31 2021-11-1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填料柱及分离分析烃类燃料中烃组分的系统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6986A (ja) * 1995-12-05 1997-06-17 Ube Ind Ltd 高流動性セメント組成物
KR19990087902A (ko) * 1998-04-10 1999-12-27 마쓰시마 게이조 커플링제로처리된무기입자의제조방법,그로부터제조된무기입자를함유하는합성수지조성물및상기합성수지조성물로부터얻어진성형된물품
JP2001172557A (ja) * 1999-12-20 2001-06-26 Kansai Paint Co Ltd 管内面補修用エポキシ樹脂塗料
KR20070120092A (ko) * 2005-02-18 2007-12-21 림텍 가부시키가이샤 노르보르넨계 수지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09035713A (ja) * 2007-07-09 2009-02-19 Japan Polypropylene Corp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
JP2009167407A (ja) 2007-12-21 2009-07-30 Sumitomo Chemical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15013978A (ja) 2013-04-19 2015-01-22 株式会社アドマテックス フィラー組成物、フィラー含有樹脂組成物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6102913B2 (ja) * 2012-03-16 2017-03-2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封止用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48400A (en) * 2002-02-26 2007-06-17 Dynamic Shells Ltd Modular construction and method for its construction
US20050180035A1 (en) * 2003-02-26 2005-08-18 Fujitsu Limited Rotation partic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tation particle display apparatus
JP4129920B2 (ja) * 2003-09-18 2008-08-06 東海興業株式会社 窓組立体の製造方法
JP5052316B2 (ja) * 2007-12-07 2012-10-17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共重合体組成物
WO2016158943A1 (ja) * 2015-03-30 2016-10-06 宇部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フィラー組成物及び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6986A (ja) * 1995-12-05 1997-06-17 Ube Ind Ltd 高流動性セメント組成物
KR19990087902A (ko) * 1998-04-10 1999-12-27 마쓰시마 게이조 커플링제로처리된무기입자의제조방법,그로부터제조된무기입자를함유하는합성수지조성물및상기합성수지조성물로부터얻어진성형된물품
JP2001172557A (ja) * 1999-12-20 2001-06-26 Kansai Paint Co Ltd 管内面補修用エポキシ樹脂塗料
KR20070120092A (ko) * 2005-02-18 2007-12-21 림텍 가부시키가이샤 노르보르넨계 수지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09035713A (ja) * 2007-07-09 2009-02-19 Japan Polypropylene Corp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
JP2009167407A (ja) 2007-12-21 2009-07-30 Sumitomo Chemical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6102913B2 (ja) * 2012-03-16 2017-03-2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封止用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装置
JP2015013978A (ja) 2013-04-19 2015-01-22 株式会社アドマテックス フィラー組成物、フィラー含有樹脂組成物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9236A1 (ja) 2017-04-27
KR102201010B1 (ko) 2021-01-08
US20200131339A1 (en) 2020-04-30
JP6764416B2 (ja) 2020-09-30
US20180312666A1 (en) 2018-11-01
CN108137337A (zh) 2018-06-08
JPWO2017069236A1 (ja)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38104A (ja) 着色長繊維強化ペレ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着色樹脂成形品
KR102208291B1 (ko) 필러 조성물 및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US6239196B1 (en) Polymer filled with solid particles
CN109971145B (zh) 树脂组合物、树脂成形体、用于制造树脂成形体的方法以及电子设备
WO2016158943A1 (ja) フィラー組成物及び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KR102201010B1 (ko) 필러 조성물
CN107337841B (zh) 具有优异的触感和尺寸稳定性的聚丙烯的组合物
US9822242B2 (en) Composite material and molded goods comprising the same
JP6591860B2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KR10218756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JP2007016221A (ja) 成形用樹脂材料および成形品
CN106893149A (zh) 树脂组合物和树脂成型体
JP2011140179A (ja) 成形品の製造方法、成形品および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6591859B2 (ja) フィラー組成物
JP2018104529A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CN109642056B (zh) 树脂组合物、母料颗粒以及树脂组合物成型体及其制造方法
JP2007119609A (ja) ポリ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H09291210A (ja) 自動車部品用ポリアミド系樹脂組成物
JPWO2018193893A1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及び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成形体
KR101551019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09167318A (ja) 成形体、その塗装製品及びその塗膜のボイド防止方法
JPH11349801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471542B1 (ko) 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KR20070117427A (ko) 성형용 수지 재료 및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