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662A - 고객 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고객 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662A
KR20180071662A KR1020160174535A KR20160174535A KR20180071662A KR 20180071662 A KR20180071662 A KR 20180071662A KR 1020160174535 A KR1020160174535 A KR 1020160174535A KR 20160174535 A KR20160174535 A KR 20160174535A KR 20180071662 A KR20180071662 A KR 20180071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ation
information
customer
time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0743B1 (ko
Inventor
황지훈
Original Assignee
황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지훈 filed Critical 황지훈
Priority to KR1020160174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743B1/ko
Publication of KR20180071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객 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고객의 호 연결에 따른 전화 번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고객 정보가 저장되는 고객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고객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정보는 상기 고객의 이름, 상기 전화 번호, 상기 고객의 예약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예약 이력 정보는 예약 이행 완료 이력 정보, 예약 지연 이행 완료 정보, 예약 불이행 이력 정보, 예약 취소 이력 정보 및 예약 변경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객 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FOR MANAGING CUSTOMER'S RESERVATION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객 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객의 과거 예약 이력을 관리하여 예약 절차의 신뢰도 및 편의성을 높이는 고객 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원, 호텔, 항공, 극장, 음식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업체들을 이용하는 고객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현장에서 직접 찾아 오는 고객(walking guest) 이외에도 미리 시간을 정하여 서비스 제공을 예약하는 예약 고객이 있다.
고객이 서비스 제공을 예약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업체들은 예약 일정을 감안하여 예약일의 스케줄을 작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항공사는 예약 승객을 위해 비행기의 미리 좌석을 배정해 두거나, 음식점은, 예약 일/시간에 미리 특정 테이블을 배정해 두게 된다.
통상의 예약은, 예약 자체에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의 비용만이 발생하게 되며, 이를 악용하여, 예약 고객 중 일부가 예약 취소를 미리 하지 않은 상태에서 예약을 불이행하는 상황이 발생하고는 한다. 예약 불이행 여부는 예약 시간이 지나야만 확인이 가능하며, 확인될 때까지는 예약한 좌석이나 테이블 등 제공 가능한 서비스 수단에 제한이 생긴다는 점에서, 이러한 예약 불이행(또는 예약 부도)에 의해 서비스 제공업체들의 피해가 막심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는 예약일/시간에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였으나 예약 고객으로 인하여 이용하지 못하게 되는 다른 고객에게도 피해를 끼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예약일/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전에 고객에게 별도로 전화를 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는 별도로 전화를 위해 별도로 인력을 배치하거나, 고객에게 예약 사실을 통지하더라도 고객의 단순 변심 등으로 인한 예약 불이행을 막을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객의 과거 예약 이력을 관리하여 예약 절차의 신뢰도 및 편의성을 높이는 고객 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객 예약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고객의 호 연결에 따른 전화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고객 정보가 저장되는 고객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정보는 상기 고객의 이름, 상기 전화 번호, 상기 고객의 예약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예약 이력 정보는 예약 이행 완료 이력 정보, 예약 지연 이행 완료 정보, 예약 불이행 이력 정보, 예약 취소 이력 정보 및 예약 변경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약자 성명, 요청 예약일, 요청 예약 시간, 예약 인원, 예약 접수일, 예약 접수 시간, 예약 접수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예약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예약 정보를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요청 예약일, 상기 요청 예약 시간 및 상기 예약 인원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허용 가능한 예약 정보로부터 상기 예약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효성을 판단한 결과, 상기 예약 정보가 유효하면 상기 등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청 예약일의 업소 현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소 현황 정보는 상기 요청 예약일의 휴점 정보 및 상기 요청 예약일의 휴무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효성을 판단한 결과, 상기 예약 정보가 유효하지 않으면, 상기 예약 정보를 대기 예약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예약 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예약 이행 정보가 수신되는 시간과 상기 요청 예약일 및 상기 요청 예약 시간을 비교하여, 이행 완료 정보 또는 지연 이행 완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정보의 상기 예약 이력 정보로서 상기 이행 완료 정보 또는 지연 이행 완료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예약 불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정보의 상기 예약 이력 정보로서 상기 예약 불이행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예약 변경 정보 또는 예약 취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예약 변경 정보 또는 상기 예약 취소 정보에 따라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에서 상기 예약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약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예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예약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예약 정보를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약 정보의 삭제에 따라 상기 예약 대기 리스트를 참조하여 대기 예약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기 예약 정보는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에서 삭제된 예약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예약 대기 리스트에 포함되는 예약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고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고객 정보를 상기 고객 정보로서 상기 고객 정보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객의 비용 결제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예약 시간 및 상기 비용 결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의 이용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용 시간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고객에게 상기 예약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객 예약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고객의 호 연결에 따른 전화 번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고객 정보가 저장되는 고객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고객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정보는 상기 고객의 이름, 상기 전화 번호, 상기 고객의 예약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예약 이력 정보는 예약 이행 완료 이력 정보, 예약 지연 이행 완료 정보, 예약 불이행 이력 정보, 예약 취소 이력 정보 및 예약 변경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예약자 성명, 요청 예약일, 요청 예약 시간, 예약 인원, 예약 접수일, 예약 접수 시간, 예약 접수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생성된 예약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정보를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요청 예약일, 상기 요청 예약 시간 및 상기 예약 인원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허용 가능한 예약 정보로부터 상기 예약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예약 정보가 유효하면 상기 예약 정보를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는 상기 요청 예약일의 업소 현황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업소 현황 정보는 상기 요청 예약일의 휴점 정보 및 상기 요청 예약일의 휴무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정보가 유효하지 않으면, 상기 예약 정보를 대기 예약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예약 이행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이행 정보가 수신되는 시간과 상기 요청 예약일 및 상기 요청 예약 시간을 비교하여, 이행 완료 정보 또는 지연 이행 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고객 정보의 상기 예약 이력 정보로서 상기 이행 완료 정보 또는 지연 이행 완료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예약 불이행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객 정보의 상기 예약 이력 정보로서 상기 예약 불이행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예약 변경 정보 또는 예약 취소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변경 정보 또는 상기 예약 취소 정보에 따라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에서 상기 예약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예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 2 예약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예약 정보를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정보의 삭제에 따라 상기 예약 대기 리스트를 참조하여 대기 예약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대기 예약 정보는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에서 삭제된 예약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예약 대기 리스트에 포함되는 예약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고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고객 정보를 상기 고객 정보로서 상기 고객 정보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부는, 상기 고객의 비용 결제 시간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청 예약 시간 및 상기 비용 결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의 이용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예약 정보의 유효성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예약 정보를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한 이후에, 상기 통신부는 상기 고객에게 상기 예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 예약 절차 진행 시 고객 정보, 특히 고객의 과거 예약 이행 이력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여, 예약의 신뢰도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의 예약 이행 여부 등에 관하여 판단하고 이를 고객 정보에 반영함으로써 고객 정보, 특히 고객의 예약 이행 이력 정보를 지속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사업체에서의 고객 정보를 서로 공유하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고객 및 예약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 예약 절차 수행 시, 업소 현황을 확인하도록 하여, 서비스 제공에 따른 특이사항 등을 고객에게 미리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고객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완료된 예약으로 인하여 추가적인 예약이 어려운 경우, 대기 예약으로 등록하여 별도로 관리하여 기완료된 예약에 취소/변경 등이 발생하는 경우 대기 예약을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예약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예약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예약 관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예약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예약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예약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예약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예약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고객 예약 관리 시스템(1000)은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 및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은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를 운영하는 사업체(또는 업소)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단말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고객 단말(100)은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와 직접 통신하거나 (예를 들어,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와 연결된 전화기,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 등을 통해)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와 간접적으로 통신하면서 고객의 업소 이용을 위한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 고객 단말(100)로 지칭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전화기, 태블릿 등 다양한 통신 가능한 디바이스들이 이용될 수 있다.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는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체에 의해 운영되는 것으로서, 고객 정보를 관리하고, 고객의 요청에 따른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고객 정보와 연동하여 예약을 진행함으로써, 예약 절차의 신뢰도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약 수행 시에, 고객을 식별하여 고객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고객의 과거 예약 이력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예약을 요청하는 고객이 우량 고객인지 혹은 불량 고객(예를 들어, 노쇼(no-show) 고객)인지 등을 미리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약 완료 후에는 고객의 예약 이행 여부를 평가하여, 이를 고객 정보에 반영함으로써, 이후 예약 수행 시에 고객 정보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예약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고객 예약 관리 시스템(1000')은 종합 고객 관리 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종합 고객 관리 장치(200)는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와 직, 간접적으로 고객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종합 고객 관리 장치(200)는 하나의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와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종합 고객 관리 장치(200)는 복수의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합 고객 관리 장치(200)는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로부터 하나의 고객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수신된 고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고객 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종합 고객 관리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로부터 고객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사업체만이 아니라 복수의 사업체에서 생성한 종합적으로 고객 정보를 취합할 수 있다.
또한, 종합 고객 관리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에 고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종합 고객 관리 장치(20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화된 고객 정보를 종합 고객 관리 장치(20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에 전송하여 고객 관리에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각 사업체는 상기 사업체를 이용한 고객이 아니더라도 다른 사업체를 이용한 고객에 대한 정보를 미리 파악하고, 예약 절차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예약 관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장치는 통신부(310), 표시부(320), 저장부(330), 입력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외부와의 직접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부(31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10)는 제어부(350), 저장부(330) 등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수신하여 제어부(350)로 전달하거나 저장부(33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에는 전화 번호 정보, 고객 정보, 예약 정보, 대기 예약 정보, 업소 현황 정보, 이행 관련 정보, 이용 시간 정보, 예약 이력에 관한 통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고객 정보는 고객의 이름, 전화 번호, 고객의 예약 이력 정보 등을 포함하고, 예약 이력 정보는 예약 이행 완료 이력 정보, 예약 지연 이행 완료 정보, 예약 불이행 이력 정보, 예약 취소 이력 정보, 예약 변경 이력 정보 등을 포함하고, 예약 정보(또는 대기 예약 정보)는, 예약자 성명, 요청 예약일, 요청 예약 시간, 예약 인원, 예약 접수일, 예약 접수 시간, 예약 접수자 등을 포함하고, 업소 현황 정보는 요청 예약일의 휴점 정보, 요청 예약일의 휴무자 정보 등을 포함하고, 이행 관련 정보는, 예약 이행 정보(이행 완료 정보 또는 지연 이행 완료 정보), 예약 불이행 정보, 예약 변경 정보, 예약 취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랜(LA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Radio Frequency)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표시부(320)는 제어부(350)로부터 제공되는 이미지 또는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의 동작을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고객 정보, 예약 정보, 이행 관련 정보, 이용 시간 정보, 예약 이력에 관한 통계 정보 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32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330)에는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의 동작에 수반되는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에는 고객 정보, 예약 정보, 업소 현황 정보, 이행 관련 정보, 이용 시간 정보, 적어도 하나의 예약 정보를 등록되는 예약 현황 리스트, 적어도 하나의 대기 예약 정보가 등록되는 대기 예약 리스트, 예약 이력에 관한 통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33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 내부에 구비되거나, 별도의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340)는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의 사용자(또는 관리자)에 의해 다양한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에는 전화 번호 정보, 고객 정보, 예약 정보, 업소 현황 정보, 이행 관련 정보, 이용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입력부(340)는 키, 터치 패널, 스위치 등 당해 기술 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입력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350)는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그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50)는 고객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고객 전화 번호(또는 기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고객 정보를 확인하면서 예약 절차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50)는 고객 정보에 부가하여 업소 현황 정보를 추가적으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예약 정보를 생성한 후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함으로써 예약 절차를 완료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350)는 예약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예약 정보 및 예약 정보 내의 요청 예약일 및 요청 예약 시간에서의 허용 가능한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으로서, 예약 정보가 유효하면, 예약 현황 리스트에 예약 정보가 등록되고 반대로 예약 정보가 유효하지 않으면, 예약 정보는 대기 예약 정보로서 대기 예약 리스트에 등록되게 된다.
또한, 제어부(350)는 고객의 예약을 이행하고, 이에 따른 서비스의 비용을 결제한 경우에, 예약 이행 시간과 비용 결제 시간에 기초하여 고객의 이용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고객의 이용 시간은 예약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예약 정보 및/또는 대기 예약 정보가 등록되면 이를 통신부(310)를 통해 고객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은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1회 또는 복수 회에 걸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이행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고객 정보, 예약 현황 리스트, 대기 예약 리스트에 반영할 수 있다. 즉, 예약의 이행, 지연 이행, 불이행, 변경, 취소 등의 사유가 발생하면, 이를 고객 정보에 반영하여, 차후 예약 시에 활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유의 발생에 따라 예약 현황 리스트, 대기 예약 리스트에 예약 정보(또는 대기 예약 정보)의 수정, 삭제, 신규 예약 정보(또는 대기 예약 정보)의 생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통신부(310)를 통해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 내의 고객 정보를 종합 고객 관리 장치(200)에 전송하거나, 종합 고객 관리 장치(200)로부터 고객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고객 정보를 종합 고객 관리 장치(200)와 공유하고, 고객 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통신부(310) 및/또는 표시부(320)를 통해 예약 현황 리스트 및/또는 대기 예약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사용자(예를 들어, 예약 접수자, 업소 관리자 등)의 요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예약 현황 및/또는 대기 예약에 대해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예약 현황 리스트, 대기 예약 리스트, 고객 정보 등을 참조하여,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서의 예약 이력에 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통계 정보는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서의 예약 빈도, 예약 인원, 예약 시간, 예약 취소 빈도 등에 관한 평균, 추세 등의 통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0)의 동작에 관한 보다 자세한 한 내용은 하기 도 4 내도 도 7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예약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S410 단계에서, 통신부(310) 또는 입력부(340)는 고객의 호 연결(call connection)에 따른 전화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고객은 예를 들어, 써킷(circuit) 통신망이나 패킷(packet) 통신망 등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장치의 통신부(310)와 직접 호 연결을 하거나, 휴대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와 호 연결을 할 수 있으며, 이때, 통신부(310) 또는 입력부(340)는 사용자 단말기, 교환기 등으로부터 직, 간접적으로 고객과의 호 연결에 따른 식별 정보 중 하나로서 고객의 전화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S420 단계에서, 제어부(350)는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420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고객 정보가 저장되는 고객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고객을 식별하고, 이에 기초하여 고객 정보 리스트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객 정보 중 해당하는 고객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 정보는 고객의 이름, 전화 번호, 고객의 예약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예약 이력 정보는 예약 이행 완료 이력 정보, 예약 지연 이행 완료 정보, 예약 불이행 이력 정보, 예약 취소 이력 정보 및 예약 변경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S420 단계에서 고객 정보의 추출을 위해 참조하는 고객 정보 리스트는 저장부(330)에 저장되는 고객 정보 리스트 및/또는 종합 고객 관리 장치(200)의 고객 정보 리스트일 수 있다. 종합 고객 관리 장치(200)의 고객 정보 리스트의 경우, S420 단계는 제어부(350)는 통신부(310)를 통해 고객의 전화 번호 정보 등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 요청 신호를 종합 고객 관리 장치(200)에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통신부(310)를 통해 종합 고객 관리 장치(200)로부터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S430 단계에서, 표시부(320)는 고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S430 단계를 통해 사용자(예를 들어, 예약 접수자 등)는 고객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고객과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400)은 통신부(310) 또는 입력부(340)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고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350)가 저장부(330)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고객 정보를 고객 정보로서 고객 정보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외부 고객 정보를 수신하여 고객 정보 리스트에 등록함으로써, S420 단계의 고객 정보 추출에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 예약 관리 시스템(1000) 내의 적어도 하나의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가 수집한 고객 정보를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방법(400)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고객의 전화 번호는 호 연결한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전화 번호 이외에 다른 식별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예약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5의 방법(500)은 도 4의 방법(400) 중 S430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S430 단계에서 표시부(320)가 고객 정보를 표시한 이후에, 제어부(350)는 예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10 단계). 여기서 예약 정보는 예약자 성명, 요청 예약일, 요청 예약 시간, 예약 인원, 예약 접수일, 예약 접수 시간, 예약 접수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고객과의 호 연결에 따른 통신 결과, 입력부(340)에 의해 입력되거나 통신부(310)에 의해 입력되는 예약 요청 정보(예를 들어, 예약자 성명, 요청 예약일, 요청 예약 시간, 예약 인원, 예약 접수일, 예약 접수 시간, 예약 접수자)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S510 단계에서 표시부(320)는 생성되는 예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520 단계). S430 단계를 통해 사용자(예를 들어, 예약 접수자 등)는 예약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확인을 구하는 등 고객과 통신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제어부(350)는 예약 정보를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 S530 단계를 통해 예약 정보가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예약이 완료되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S530 단계는 S520 단계 이후에, 입력부(340) 및/또는 통신부(310)에 의해 확인 입력이 수신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S520 단계를 통해 예약 정보가 사용자에게 표시된 이후에, 이에 대해 최종적으로 확인하면, S530 단계를 통해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됨으로써 예약이 종료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확인 입력이 아니라 취소 입력, 변경 입력이 수신되면, S530 단계는 수행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표시부(320)가 업소 현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S510 단계 이전에 또는 S510 단계와 함께 수행되는 것으로서, 입력부(340) 및/또는 통신부(310)가 예약 요청일을 수신하면, 해당하는 예약 요청의 업소 현황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고객과의 예약 통신에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업소 현황 정보는 요청 예약일의 휴점 정보 및 요청 예약일의 휴무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 이후에, 통신부(310)가 고객에게 예약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를 통해 예약의 수행 완료 및 이에 따른 예약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S530 단계 이후의 임의의 시기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530 단계의 수행 직후에 수행되거나,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예약일/예약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전/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1회 또는 복수 회에 걸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예약 현황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제어부(350)가 통신부 또는 표시부(320)를 통해 사용자(예를 들어, 예약 접수자, 업소 관리자 등)에게 예약 현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소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업소 관리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와 통신하면서 예약 현황 리스트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업소의 예약 현황에 대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서의 예약 이력에 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예약 현황 리스트, 대기 예약 리스트, 고객 정보 등을 참조하여 수행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통계 정보는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서의 예약 빈도, 예약 인원, 예약 시간, 예약 취소 빈도 등에 관한 평균, 추세 등의 통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예약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의 방법(600)은 도 5의 방법(500) 중 S520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S520 단계에서 표시부(320)가 예약 정보를 표시한 이후에, 제어부(350)는 예약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S610 단계). S610 단계는 예약 정보에 따른 예약의 실제 수행 가능한지에 관하여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약 정보 내의 요청 예약일, 요청 예약 시간 및 예약 인원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생성되는 허용 가능한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용 가능한 예약 정보는 요청 예약일 및 요청 예약 시간에서의 전체 예약 한도 정보와 이미 완료된 예약 정보(즉, 예약 현황 리스트에 기등록된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허용 가능한 예약 정보는 요청 예약일 및 요청 예약 시간과 동일하거나 이로부터 소정의 시간 범위 내일 수 있다.
S610 단계에서 유효성을 판단한 결과, 예약 정보가 유효하면, S53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예약 정보가 유효한 경우에만 S530 단계에 따라 예약 현황 리스트에 예약 정보를 등록될 수 있다.
이와 달리, S610 단계에서 유효성을 판단한 결과, 예약 정보가 유효하지 않으면, 제어부(350)는 예약 정보를 대기 예약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S620 단계). 실시예에 따라, S620 단계에서 예약 정보에는 대기 예약 순위 정보가 할당되어 대기 예약 리스트에 등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의 비용 결제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예약 이행 시간 및 비용 결제 시간에 기초하여 고객의 이용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의 비용 결제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는 통신부(310) 및/또는 입력부(340)를 통하여 비용 결제 시간이 직접 입력되거나, 통신부(310)가 POS 등의 결제 관련 장치로부터 비용 결제 시간을 수신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이용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제어부(350)가 예약 이행 시간과 비용 결제 시간 간의 차를 계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예약 이행 시간은 고객의 도착에 따라 예약의 이행이 왼료되는 시간을 말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예약 이행 정보가 수신되는 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요청 예약 시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의 이용 시간은, S610 단계에서 허용 가능한 예약 정보를 결정하는 소정의 시간 범위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600)은 대기 예약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 이후에, 통신부(310)가 고객에게 대기 예약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를 통해 대기 예약의 수행 완료 및 이에 따른 대기 예약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S620 단계 이후의 임의의 시기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620 단계의 수행 직후에 수행되거나,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예약일/예약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전/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1회 또는 복수 회에 걸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600)은 대기 예약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제어부(350)가 통신부 또는 표시부(320)를 통해 사용자(예를 들어, 예약 접수자, 업소 관리자 등)에게 대기 예약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소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업소 관리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고객 예약 관리 장치(300)와 통신하면서 대기 예약 리스트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업소의 대기 예약에 대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6의 방법(600)은 도 5의 방법(500) 중 S520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방법(600)은 도 5의 방법(500) 중 S510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S610 단계의 판단 결과, 예약 정보가 유효한 경우, S530 단계가 아니라 S52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예약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의 방법(700)은 도 5의 방법(500) 중 S530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먼저, S710 단계에서, 통신부(310) 또는 입력부(340)가 이행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행 관련 정보는 예약 완료 이후, 고객이 수행하는 예약 이행 등에 관한 정보로서, 예약 이행 정보, 예약 불이행 정보, 예약 변경 정보, 예약 취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약 이행 정보는, 고객이 예약 정보에 따른 예약을 이행한 것을 나타내며, 고객의 이행 완료 시간에 따라 이행 완료 정보 또는 지연 이행 완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약 변경 정보는, 고객이 예약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나타내고, 예약 불이행 정보는, 고객이 예약 정보에 따른 예약을 이행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며, 예약 취소 정보는 고객이 완료된 예약을 취소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S720 단계에서, 제어부(350)가 고객 정보 중 예약 이력 정보로서 이행 관련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720 단계는, 이행 관련 정보에 따라 고객 정보의 예약 이행 완료 이력 정보, 예약 지연 이행 완료 정보, 예약 불이행 정보 이력 정보, 예약 취소 이력 정보 및 예약 변경 이력 정보 중 하나로서, 이행 관련 정보(예약 이행 정보, 예약 불이행 정보, 예약 변경 정보, 예약 취소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약 이행에 관한 고객의 행동 이력을 고객 정보 중 예약 이력 정보의 일부로서 등록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고객 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행 관련 정보가 예약 이행 정보인 경우, 방법(700)은 제어부(350)가 예약 이행 정보가 수신되는 시간과 요청 예약일 및 요청 예약 시간을 비교하여, 이행 완료 정보 또는 지연 이행 완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예약 이행 정보로서, 이행 완료 정보 또는 지연 이행 완료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지 않고, 예약 이행 정보만 수신되면, 수신되는 시간에 따라 이행 완료 정보 또는 지연 이행 완료 정보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약 이행 정보가 수신되는 시간과 요청 예약일 및 요청 예약 시간이 동일하거나 소정의 시간 범위 이내이면 이행 완료 정보가 생성되고, 예약 이행 정보가 수신되는 시간과 요청 예약일 및 요청 예약 시간이 소정의 시간 범위 이내에 속하지 않으면 지연 이행 완료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행 관련 정보가 예약 변경 정보인 경우, 방법(700)은 제어부(350)가 예약 변경 정보에 따라 예약 현황 리스트에서 예약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예약 변경에 따라 기존에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된 예약 정보가 취소되는 것을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방법(700)은 제어부(350)가 예약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예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표시부(320)가 제 2 예약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제어부(350)가 제 2 예약 정보를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예약 변경에 따라 새로운 예약 정보(제 2 예약 정보)에 대해 도 5의 방법(500)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도 6의 방법(600)이 부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행 관련 정보가 예약 취소 정보인 경우, 방법(700)은 제어부(350)가 예약 취소 정보에 따라 예약 현황 리스트에서 예약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예약 취소에 따라 기존에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된 예약 정보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때, 방법(700)은 제어부(350)가 예약 정보의 삭제에 따라 예약 대기 리스트를 참조하여 대기 예약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예약 정보는 예약 현황 리스트에서 삭제된 예약 정보에 대응하는 예약 대기 리스트에 포함되는 예약 정보로서, 예약 취소에 따라 대기 예약 정보를 예약 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 즉, 대기 예약 정보에 대해 도 5의 방법(500)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하나의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반송하거나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7)

  1. 고객 예약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고객의 호 연결에 따른 전화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고객 정보가 저장되는 고객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정보는 상기 고객의 이름, 상기 전화 번호, 상기 고객의 예약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예약 이력 정보는 예약 이행 완료 이력 정보, 예약 지연 이행 완료 정보, 예약 불이행 이력 정보, 예약 취소 이력 정보 및 예약 변경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예약자 성명, 요청 예약일, 요청 예약 시간, 예약 인원, 예약 접수일, 예약 접수 시간, 예약 접수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예약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예약 정보를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요청 예약일, 상기 요청 예약 시간 및 상기 예약 인원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허용 가능한 예약 정보로부터 상기 예약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효성을 판단한 결과, 상기 예약 정보가 유효하면 상기 등록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예약일의 업소 현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소 현황 정보는 상기 요청 예약일의 휴점 정보 및 상기 요청 예약일의 휴무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을 판단한 결과, 상기 예약 정보가 유효하지 않으면, 상기 예약 정보를 대기 예약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예약 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예약 이행 정보가 수신되는 시간과 상기 요청 예약일 및 상기 요청 예약 시간을 비교하여, 이행 완료 정보 또는 지연 이행 완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정보의 상기 예약 이력 정보로서 상기 이행 완료 정보 또는 지연 이행 완료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예약 불이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정보의 상기 예약 이력 정보로서 상기 예약 불이행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예약 변경 정보 또는 예약 취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예약 변경 정보 또는 상기 예약 취소 정보에 따라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에서 상기 예약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예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예약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예약 정보를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정보의 삭제에 따라 상기 예약 대기 리스트를 참조하여 대기 예약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기 예약 정보는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에서 삭제된 예약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예약 대기 리스트에 포함되는 예약 정보인,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고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고객 정보를 상기 고객 정보로서 상기 고객 정보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비용 결제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예약 시간 및 상기 비용 결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의 이용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용 시간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방법.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고객에게 상기 예약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고객 예약 관리 장치로서,
    고객의 호 연결에 따른 전화 번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고객 정보가 저장되는 고객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고객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정보는 상기 고객의 이름, 상기 전화 번호, 상기 고객의 예약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예약 이력 정보는 예약 이행 완료 이력 정보, 예약 지연 이행 완료 정보, 예약 불이행 이력 정보, 예약 취소 이력 정보 및 예약 변경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예약자 성명, 요청 예약일, 요청 예약 시간, 예약 인원, 예약 접수일, 예약 접수 시간, 예약 접수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생성된 예약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정보를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요청 예약일, 상기 요청 예약 시간 및 상기 예약 인원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허용 가능한 예약 정보로부터 상기 예약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예약 정보가 유효하면 상기 예약 정보를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하는,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요청 예약일의 업소 현황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업소 현황 정보는 상기 요청 예약일의 휴점 정보 및 상기 요청 예약일의 휴무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정보가 유효하지 않으면, 상기 예약 정보를 대기 예약 리스트에 등록하는,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예약 이행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이행 정보가 수신되는 시간과 상기 요청 예약일 및 상기 요청 예약 시간을 비교하여, 이행 완료 정보 또는 지연 이행 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고객 정보의 상기 예약 이력 정보로서 상기 이행 완료 정보 또는 지연 이행 완료 정보를 등록하는,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예약 불이행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객 정보의 상기 예약 이력 정보로서 상기 예약 불이행 정보를 등록하는,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예약 변경 정보 또는 예약 취소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변경 정보 또는 상기 예약 취소 정보에 따라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에서 상기 예약 정보를 삭제하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예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 2 예약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예약 정보를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하는,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정보의 삭제에 따라 상기 예약 대기 리스트를 참조하여 대기 예약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대기 예약 정보는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에서 삭제된 예약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예약 대기 리스트에 포함되는 예약 정보인, 장치.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고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고객 정보를 상기 고객 정보로서 상기 고객 정보 리스트에 등록하는, 장치.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고객의 비용 결제 시간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청 예약 시간 및 상기 비용 결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의 이용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예약 정보의 유효성을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2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예약 정보를 상기 예약 현황 리스트에 등록한 이후에, 상기 통신부는 상기 고객에게 상기 예약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27.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0174535A 2016-12-20 2016-12-20 고객 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70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535A KR101970743B1 (ko) 2016-12-20 2016-12-20 고객 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535A KR101970743B1 (ko) 2016-12-20 2016-12-20 고객 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746A Division KR20190042515A (ko) 2019-04-15 2019-04-15 고객 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662A true KR20180071662A (ko) 2018-06-28
KR101970743B1 KR101970743B1 (ko) 2019-04-22

Family

ID=6278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535A KR101970743B1 (ko) 2016-12-20 2016-12-20 고객 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7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842A (ko) * 2018-09-17 2020-03-25 배선구 차량 정비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1360A (ko) *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브로컴퍼니 노쇼를 방지하기 위한 예약 시스템
US20220188913A1 (en) * 2020-12-10 2022-06-16 Fujifilm Business Innovation Corp.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357A (ko) * 2000-12-05 2001-03-05 강범형 인터넷상에서 운동장 소개 및 예약 사이트의 운영방법
KR20030027341A (ko) * 2001-09-28 2003-04-07 주식회사 아이엠씨다이렉트 통신망을 이용한 실시간 예약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293454A (ja) * 2007-05-28 2008-12-04 News Line:Kk 予約問合せシステム
KR20140140300A (ko) * 2013-05-29 2014-12-09 이강진 예약 허용인원 설정이 가능한 식당 예약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357A (ko) * 2000-12-05 2001-03-05 강범형 인터넷상에서 운동장 소개 및 예약 사이트의 운영방법
KR20030027341A (ko) * 2001-09-28 2003-04-07 주식회사 아이엠씨다이렉트 통신망을 이용한 실시간 예약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293454A (ja) * 2007-05-28 2008-12-04 News Line:Kk 予約問合せシステム
KR20140140300A (ko) * 2013-05-29 2014-12-09 이강진 예약 허용인원 설정이 가능한 식당 예약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842A (ko) * 2018-09-17 2020-03-25 배선구 차량 정비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1360A (ko) *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브로컴퍼니 노쇼를 방지하기 위한 예약 시스템
US20220188913A1 (en) * 2020-12-10 2022-06-16 Fujifilm Business Innovation Corp.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743B1 (ko)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3530B2 (en) Servi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20140343977A1 (en) Queue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30226627A1 (en) Mobile reservation application
US20170083831A1 (en) Real-time wait estimation and prediction via dynamic individual and group service experience analysis
KR101970743B1 (ko) 고객 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38651A (ko) 숙박 예약 시스템 및 방법
US20210368288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monitoring facilities
US20180240205A1 (en) Order Management Server, Order System, and Recording Medium
KR20180035423A (ko) 위치 및 후기를 기반으로 매장을 추천하는 예약 주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001934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customer payments for an establishment
KR20140140300A (ko) 예약 허용인원 설정이 가능한 식당 예약 시스템
KR101633468B1 (ko)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8135799A1 (ko) 실시간 숙박 시설 예약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행하기 위한 숙박업체 단말 및 서버
US11315096B2 (en) Payment support system, payment support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JP612777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1253261A (ja) 予約処理装置、予約処理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予約処理方法
KR20190042515A (ko) 고객 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619465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90104691A (ko) 노쇼 고객 대응 시스템 및 방법
US202104068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tone-based kiosk service
KR20140124557A (ko) 방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1271A (ko) 객실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7288180B2 (ja) 予約管理システム、予約管理方法、及び予約管理プログラム
JP2020177325A (ja) 施設管理システム、施設管理方法、及び施設管理プログラム
JP7277717B2 (ja) 予約管理システム、予約管理方法、及び予約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