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468B1 -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468B1
KR101633468B1 KR1020130040001A KR20130040001A KR101633468B1 KR 101633468 B1 KR101633468 B1 KR 101633468B1 KR 1020130040001 A KR1020130040001 A KR 1020130040001A KR 20130040001 A KR20130040001 A KR 20130040001A KR 101633468 B1 KR101633468 B1 KR 101633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terminal
data
delivery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2930A (ko
Inventor
전화성
Original Assignee
씨엔티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엔티테크(주) filed Critical 씨엔티테크(주)
Priority to KR1020130040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468B1/ko
Publication of KR20140122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46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주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주문 데이터를 주문 단말의 식별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주문 단말로부터 수신된 주문 데이터를 주문 관제 단말로 전송하여, 주문 관제 단말에서 주문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주문 관제 단말로부터 주문 데이터에 대한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면, 주문 단말로 주문 데이터에 대한 시작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주문 관제 단말로부터 주문 데이터에 대한 완료 데이터를 수신하면, 주문 단말로 완료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주문 단말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 및 고정 단말과, 주문 관제 단말이 설치된 장소에 위치한 주문 자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STORE AUTOMATION SERVICE}
본 발명은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프랜차이즈 매장이 급증함에 따라 프랜차이즈 매장에는 매니저를 고용하여 매장의 매출을 관리하도록 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매니저는 POS 단말을 이용하여 주방, 배달, 홀, 매출 등의 모든 워크 플로우를 관리하고 감독하고 있다.
이때, POS 단말을 이용하여 매장을 관리하는 방법은, 캐셔나 매니저가 서비스 물품이나 상품의 접수를 받고 입력을 하면, 해당 서비스 물품이나 상품의 집계와 결산이 자동으로 계산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POS 단말을 이용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7-0119164호(2007.12.20 공개)에는 POS 단말을 이용하여 서비스 물품이나 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캐셔나 매니저가 입력하면, 결제와 정산을 자동으로 출력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POS 단말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매장에는 캐셔나 매니저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며, 매니저를 고용할 수 없거나 캐셔를 고용할 수 없는 소형 매장의 경우에는 매장주가 항시 매장에 대기를 하고 있어야 하고, 이러한 비용을 감당할 수 없는 상대적으로 영세한 개인들은 개인 시간을 가질 수 없다. 또한, 주문과 결제가 몰리는 피크 타임에는 캐셔나 매니저가 모든 주문이나 계산을 수용할 수 없어 고객의 불편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가 주문 단말과 주문 관제 단말을 연동함으로써, 매장에 주문을 접수하고 관리하는 직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일지라도 주문 접수와 결제 처리를 할 수 있는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주문 데이터를 주문 단말의 식별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주문 단말로부터 수신된 주문 데이터를 주문 관제 단말로 전송하여, 주문 관제 단말에서 주문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주문 관제 단말로부터 주문 데이터에 대한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면, 주문 단말로 주문 데이터에 대한 시작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주문 관제 단말로부터 주문 데이터에 대한 완료 데이터를 수신하면, 주문 단말로 완료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주문 단말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 및 고정 단말과, 주문 관제 단말이 설치된 장소에 위치한 주문 자판 단말을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매장을 한 명의 관리자가 관리할 수 있고, 주문 접수, 조리 시작 및 완료, 배달 시작 및 완료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푸시 메세지로 전송함으로써, 매장에 매니저가 부재중일 경우라도 실시간 고객 응대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무인 주문 자판기를 이용하여 주문 접수를 실시함으로써 매니저가 없더라도 홀 주문, 테이크 아웃 주문을 모두 접수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이동 단말 및 고정 단말로부터도 주문이 가능하게 하여 배달 주문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소형 매장에 구현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주문 단말(100),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 주문 관제 단말(400), 배달 단말(미도시), 로컬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주문 단말(100)과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주문 관제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고,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배달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서는 네트워크(200)에 접속할 수 없는 상태이거나 네트워크(200)가 불능인 경우를 대비하여 로컬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를 더 구비한다. 이에 따라, 로컬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는 네트워크(200)가 동작하지 않거나 네트워크(200)에 접속할 수 없을 때 주문 단말(100)과 주문 관제 단말(400)이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로컬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는 소켓 통신, 웹과 같은 미들웨어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직접 통신(Direct Connection)도 가능하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에 개시된 주문 단말(100),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 주문 관제 단말(400)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주문 단말(100)은 이동 단말, 고정 단말, 주문 자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단말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문 자판 단말은 매장에 설치되고, 무인 키오스크나 무인 자판기, 무인 POS 단말, 무인 식권 자동 발매기일 수 있다. 이때, 무인 자판 단말은 전면이 터치 기반의 패널로 구비될 수 있고, 주문 메뉴와 쿠폰이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주문 자판 단말에서 쿠폰을 클릭하면 주문 자판 단말을 통해 오프라인으로 인쇄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소유한 스마트 단말로 전송될 수도 있다. 주문 자판 단말은 현금이나 카드로 결제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결제가 완료된 주문에 대해서는 발권 티켓을 출력할 수 있다. 주문 자판 단말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문 관제 단말(400)은 주문을 접수하는 주방에 설치되는 터치 기반의 POS 단말일 수도 있다. 주문 관제 단말(400)은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네트워크(200)로 연결될 수 있고,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결제가 완료된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나 스피커를 통하여 주문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주문 관제 단말(400)은 주문 데이터가 수신 확인되는 경우, 확인 데이터를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주문 데이터에 대한 완료 데이터가 입력 데이터로 수신되는 경우, 완료 데이터를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배달 단말은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고,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주문 시작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배달 단말은 GPS를 포함할 수 있고,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배달 단말의 위치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배달 단말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배달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최근 스마트 패드나 타블렛 PC, 스마트 폰의 보급이 증가되면서 이러한 기기들을 통해서 음식을 주문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전국에 복수개의 프렌차이즈를 운영하는 사용자는 스마트 폰과 같은 스마트 단말을 통하여 주문을 수신하기 위하여 콜센터를 운영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A 치킨 역삼점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운영을 담당하는 매니저 B는 매장에 항시 대기하고 있어야 하며, A 치킨을 조리하는 주방장과 A 치킨의 배달을 담당하는 직원이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또한, 매니저 B가 A 치킨 역삼점 뿐만 아니라 강남점, 청담점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면, 매니저 B가 믿을만한 친인척을 강남점, 청담점에 항시 대기시켜야 한다. 또한, 매니저 B가 전국적으로 A 치킨을 운영하고 있다면, 각 지점의 매출이나 주문 접수 현황 등을 체크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A 치킨의 매장을 주방장과 배달 직원만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A 치킨의 각 매장에는 주문 단말(100) 중 주문 자판 단말이 설치될 수 있고, 주문 자판 단말을 이용하여 고객들은 결제와 주문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매장에는 매니저가 없더라도 무인으로 매장 운영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소형 매장에 구현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문 접수부(310), 주문 전송부(320), 시작 알림부(330), 완료 알림부(340), 데이터 생성부(350), 데이터베이스화부(360), 통계부(370), 배달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주문 단말(100), 주문 관제 단말(400), 배달 단말 및 로컬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면,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구성 프로파일 공유 서비스 프로그램이 주문 단말(100), 주문 관제 단말(400), 배달 단말 및 로컬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 외에도, 온라인 마켓, 앱스토어(App Store) 등에서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200) 연결은 주문 단말(100)과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주문 관제 단말(400),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배달 단말이 통신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며, 네트워크(200) 연결을 생성하는 것은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주문 접수부(310)는 주문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주문 데이터를 주문 단말(100)의 식별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한다. 이때, 주문 접수부(310)는 고객이 현금으로 결제하거나 카드로 결제를 완료하는 경우, 주문 단말(100)로 발권 티켓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발권 티켓은 주문 단말(100)이 이동 단말인 경우 모바일 티켓일 수도 있고, 주문 단말(100)이 고정 단말인 경우 프린터를 통하여 출력되는 티켓일 수도 있고, 주문 단말(100)이 주문 자판 단말인 경우, 주문 자판 단말에 설치된 프린트 기기를 통하여 출력되는 티켓일 수도 있다.
또한, 주문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해 주문 데이터가 입력되면, 현금 또는 카드 결제를 실시하고, 결제가 완료된 주문 데이터를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사용자에게 발권 티켓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주문 접수부(310)는 주문 데이터가 테이크 아웃 주문 데이터이거나, 홀 주문 데이터인 경우에는, 카드 결제나 현금 결제가 완료된 이후, 주문 데이터를 주문 단말(100)의 식별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덧붙여서, 주문 접수부(310)는 주문 데이터가 배달 주문 데이터인 경우, 카드 결제나 현금 결제를 배달이 완료된 후에 실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수 있으므로, 주문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주문 단말(100)의 식별 데이터와 주문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주문 단말(100)의 식별 데이터는 주문 단말(100)이 이동 단말이나 고정 단말인 경우 사용자의 전화번호일 수 있고, 주문 단말(100)이 주문 자판 단말인 경우에는 매장의 고유 번호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조합한 것일 수 있다.
주문 접수부(310)에서 주문 데이터와 주문 단말(100)의 식별자를 조합하여 저장함으로써, 각 매장의 매출이나 통계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 매장을 이용한 주문 단말(100)이 100개 있는 경우, 주문 단말(100)이 선택한 C 매장과 주문 단말(100)의 식별자와, 주문 단말(100)이 선택한 메뉴와 가격 등을 모두 레이블화된 테이블로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인기있는 메뉴가 무엇이 있는지, 테이블 점유율은 얼마나 되는지, 예약 상황은 어떻게 되고 있는지, 실시간 매출 현황은 어떠한지 등에 대한 정보를 통계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주문 접수부(310)의 통계에 따라 각 매장의 매출을 자동으로 정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주문 전송부(320)는 주문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주문 데이터를 주문 관제 단말(400)로 전송하여, 주문 관제 단말(400)에서 주문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주문 관제 단말(400)에서 출력되는 주문 데이터는 메뉴만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고, 긴급, 보통, 느림 등으로 설정되어 표시될 수도 있고, 조리 시작 시간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사용자는 주문 단말(100)을 통하여 오후 4시 30분에 테이크 아웃을 한다고 주문 접수를 하고, B 라는 사용자는 3시 30분에 홀에서 먹기 위하여 주문 접수를 하였고, 현재 시간은 3시라고 가정하자. 이때, 두 가지 주문 중 먼저 조리를 해야 하는 주문은 B 사용자의 주문이므로, 주문 관제 단말(400)은 B 사용자의 주문을 우선순위로 하여 정렬하고, 정렬된 순서대로 표시할 수도 있다.
시작 알림부(330)는 주문 관제 단말(400)로부터 주문 데이터에 대한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면, 주문 단말(100)로 주문 데이터에 대한 시작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관제 단말(400)에서 주방장이 주문 데이터를 확인하여 조리를 시작하겠다는 뜻으로 해당 주문 데이터를 터치하거나 클릭하면, 주문 관제 단말(400)은 시작 알림부(330)로 확인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시작 알림부(330)에서는 확인 데이터와 완료 데이터가 접수된 시간을 기준으로 메뉴별, 시간별, 날짜별 평균 조리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또한, 시작 알림부(330)는 주문 단말(100)로 사용자가 주문한 메뉴에 대하여 조리가 시작되고 있다는 푸시 메세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문이 밀리고 있는 경우, 사용자들은 해당 매장으로 전화를 걸어 진행 상황을 확인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매장에 매니저나 전화에 응대하는 피고용인이 없으면 주문 확인 전화에 대하여 응대를 할 수가 없다. 따라서, 조리가 시작될 때, 조리가 완료될 때, 배달이 시작될 때를 각각 푸시 메세지로 사용자의 주문 단말(100) 또는 매장에 설치된 주문 단말(1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진행 상황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완료 알림부(340)는 주문 관제 단말(400)로부터 주문 데이터에 대한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면, 주문 단말(100)로 주문 데이터에 대한 시작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완료 알림부(340)는 배달부(380)로 완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배달부(380)는 배달 단말과 연동되어 배달 직원에게 배달 주문에 대한 조리가 완료되었다는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350)는 주문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주문 데이터, 주문 관제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시작 데이터 및 완료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뉴별, 시간별, 날짜별, 실시간 판매 현황 및 조리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메뉴별 판매 현황 및 조리 시간, 시간별 판매 현황 및 조리 시간, 날짜별 판매 현황 및 조리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생성부(350)는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주문 단말(100)로 전송하여 주문 단말(10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양념 치킨을 주문하려고 한다. 이때, 데이터 생성부(350)는 양념 치킨 옆에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조리 시간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현재 주문을 하면 어느 정도 시각에 조리가 완료될지의 여부를 파악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어떠한 메뉴를 고를지 고민하는 경우, 데이터 생성부(350)는 각 메뉴 옆에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판매 현황, 즉 인기도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도와줄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생성부(350)는 이동 단말 또는 고정 단말로부터 테이크 아웃 주문 데이터가 수신되고, 테이크 아웃 주문 데이터에 테이크 아웃 시간이 입력된 경우, 테이크 아웃 시간과 시간별, 날짜별, 메뉴별 평균 조리 시간에 기초하여 테이크 아웃 주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생성부(350)는 생성된 테이크 아웃 주문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간에 주문 관제 단말(400)로 테이크 아웃 주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간이 오후 2시이고 테이크 아웃 시간은 저녁 7시라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데이터 생성부(350)에서 실시간으로 테이크 아웃 주문 데이터를 주문 접수부(310)로 전송한다면, 오후 2시에 조리가 시작되어 저녁 7시에 찾아갈 때쯤에는 음식이 모두 식어버릴 수 있다. 따라서, 테이크 아웃 시간이 7시이고, 현재 시간, 날짜, 메뉴에 기초한 평균 조리 시간이 20분이라고 가정하면, 데이터 생성부(350)는 6시 40분부터 주문을 시작할 수 있도록 6시 40분이라는 데이터를 포함시켜 주문 관제 단말(400)로 테이크 아웃 주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주문 관제 단말(400)은 6시 40분이라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주문 데이터를 정렬할 수도 있고, 또는 6시 40분이 되었을 때 주문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주문 단말(100)이 주문 자판 단말인 경우,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로컬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주문 자판 단말이 연동되지 않는 경우, 로컬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하여 주문 자판 단말과 주문 관제 단말(400)을 연동시킬 수 있다. 즉, 인터넷이 끊겼을 경우에도 매장이 운영될 수 있도록 별도의 로컬 서버를 더 설치하는 것이며, 로컬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와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 간의 통신은 소켓 통신이나 웹과 같은 미들웨어를 사용할 수도 있고, 직접 통신(Direct Connection)을 이용할 수도 있다.
통계부(370)는 주문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매장에 대한 주문 접수 처리를 실시하고, 주문 데이터에 기초한 통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산출된 통계 데이터는 광고나 마케팅, 실시간 매출 산출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배달부(380)는 이동 단말 또는 고정 단말로부터 배달 주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실시간으로 주문 관제 단말(400)로 배달 주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주문 데이터는 홀 주문 데이터, 테이크 아웃 주문 데이터, 배달 주문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달부(380)는 주문 관제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시작 데이터, 완료 데이터를 이동 단말 또는 고정 단말로 전송할 수 있고, 배달 단말로부터 배달 시작 데이터가 수신되면, 배달 시작 데이터와 배달 단말의 식별자를 매핑하여 이동 단말 또는 고정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생성부(350)는 주문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배달 단말로부터 수신된 배달 시작 데이터와 배달 완료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간별, 날짜별, 거리별 평균 배달 시간을 레이블화된 테이블로 생성할 수 있다. 배달부(380)는 평균 배달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주문 단말(100)로 배달 지연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평균 배달 시간은 주문 데이터에 기초한 주문 시간으로부터 기산될 수 있다. 또는, 평균 배달 시간은 배달 시작 데이터로부터 기산될 수도 있다. 각각의 기준에 따라 평균 배달 시간에 대하여 기 설정된 임계값은 달라질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화부(360)는 시작 데이터 및 완료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뉴별, 시간별, 날짜별로 평균 조리 시간을 레이블화된 테이블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주문 단말(100)은 주문 단말(100)의 주문 접수 화면에 평균 조리 시간을 메뉴별, 시간별, 날짜별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월드컵이 열리는 기간 등과 같이 특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다음 특수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의 평균 조리 시간을 통계치를 이용하여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주말과 평일, 평일 중에서도 시간대별 조리 시간을 통계치를 이용하여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들에게 통계치를 제시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릴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화부(370)는 현재 점유 테이블과 예약 테이블, 빈 테이블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현재 점유 테이블이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주문 단말(100)로 쿠폰을 발행하여 빈 테이블을 채울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화부(370)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광고나 마케팅에 이용될 수도 있으며, 매장별 매출을 산출할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도움을 주는 용도로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이 적용된 소형 매장의 설계도를 도시한다. 주문 자판 단말(100)은 출입문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사용자들이 줄을 서서 해당 주문 자판 단말(100)을 이용하도록 한다. 이때, 주문의 편리성과 신속함을 위하여 주문 자판 단말(100)은 각 매장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주문 자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주문 데이터는 오픈형 주방의 주방장이 볼 수 있도록, 오픈형 주방의 전면에 주문 관제 단말(400)이 설치될 수 있다. 주방장이나 조리사들은 주문 관제 단말(400)을 통하여 현재 조리해야 할 메뉴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조리를 시작할 때 및 조리가 완료되었을 때 각각 해당 메뉴를 터치하거나 클릭함으로써, 시작 데이터와 완료 데이터를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오픈형 주방에서 매장의 외부로 통하는 장소에는, 테이크 아웃 부스와 배달 부스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픈형 주방으로부터 조리된 음식이 바로 테이크 아웃을 기다리는 사용자에게 또는 배달을 기다리는 배달 직원에게 바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오픈형 주방을 둘러싸도록 테이블을 구비함으로써 조리가 완료된 음식이 홀 서빙 직원이 없이도 고객에게까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문 관제 단말(400)은 사용자가 주문 단말(100)에서 받은 발권 티켓에 적힌 번호가 주문 관제 단말(4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자신이 주문한 음식이 나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주문 관제 단말(400)에서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도록 주방장이 해당 메뉴를 터치한 경우, 주문 관제 단말(400)은 발권 티켓에 기재된 번호를 주문 관제 단말(400)상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매장을 한 명의 관리자가 관리할 수 있고, 주문 접수, 조리 시작 및 완료, 배달 시작 및 완료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푸시 메세지로 전송함으로써, 매장에 매니저가 부재중일 경우일지라도 실시간 고객 응대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무인 주문 자판기를 이용하여 주문 접수를 실시함으로써 매니저가 없더라도 홀 주문, 테이크 아웃 주문을 모두 접수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이동 단말 및 고정 단말로부터도 주문이 가능하게 하여 배달 주문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주문 단말(100)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주문 데이터를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S4100). 이때,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문 단말(100)의 식별자와 주문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S4200).
그리고 나서,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문 관제 단말(400)로 주문 데이터를 전송하고(S4210), 주문 관제 단말(400)은 주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S4230). 주문 관제 단말(400)로부터 주문 데이터에 대한 확인 데이터를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면(S4300),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문 단말(100)로 시작 데이터를 전송한다(S4310).
또한, 주문 관제 단말(400)로부터 주문 데이터에 대한 완료 데이터를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면(S4400),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문 단말(100)로 완료 데이터를 전송하고(S4410), 주문 단말(100)은 완료 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주문 단말(100)로부터 배달 주문 데이터가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되면(S4500),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문 단말(100)의 식별자와 배달 주문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한다(S4600). 그리고 나서,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배달 주문 데이터를 주문 관제 단말(400)로 전송하면, 주문 관제 단말(400)은 배달 주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S4700).
또한, 주문 관제 단말(400)은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확인 데이터를 전송하고(S4810),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문 단말(100)로 시작 데이터를 전송하여(S4830), 주문 단말(100)에서 시작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주문 관제 단말(400)로부터 주문 데이터에 대하여 완료 데이터를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면(S4910),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문 단말(100)과 배달 단말(500)로 전송하여(S4930), 주문 단말(100)과 배달 단말(500)이 해당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배달 단말(500)로부터 배달 시작 데이터가 전송되면(S4950),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배달 단말(500)의 식별자와 배달 시작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한다(S4970). 이때,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문 단말(100)로 매핑된 데이터를 전송하고(S4980), 주문 단말(100)에서 배달 단말(500)의 전화번호와 현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배달 단말(500)은 배달 완료 데이터를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도 4의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3을 통해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단계들(S4100~S499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9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주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주문 데이터를 주문 단말의 식별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한다(S5100).
그리고 나서, 주문 단말로부터 수신된 주문 데이터를 주문 관제 단말로 전송하여, 주문 관제 단말에서 주문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5200).
또한, 주문 관제 단말로부터 주문 데이터에 대한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면, 주문 단말로 주문 데이터에 대한 시작 데이터를 출력하고(S5300), 주문 관제 단말로부터 주문 데이터에 대한 완료 데이터를 수신하면, 주문 단말로 완료 데이터를 출력한다(S5400). 이때, 주문 단말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 및 고정 단말과, 주문 관제 단말이 설치된 장소에 위치한 주문 자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목록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가 실행하는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주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주문 데이터를 상기 주문 단말의 식별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주문 단말로부터 수신된 주문 데이터를 주문 관제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주문 관제 단말에서 상기 주문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문 관제 단말로부터 상기 주문 데이터에 대한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주문 단말로 상기 주문 데이터에 대한 시작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관제 단말로부터 상기 주문 데이터에 대한 완료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주문 단말로 상기 완료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문 단말로부터 수신된 주문 데이터, 상기 주문 관제 단말로부터 수신된 시작 데이터 및 완료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뉴별, 시간별, 날짜별, 실시간 판매현황 및 조리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주문 단말로 푸쉬 메세지로 전송하여 상기 주문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문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배달 단말로부터 수신된 배달 시작 데이터와 배달 완료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간별, 날짜별, 거리별 평균 배달 시간을 레이블화된 테이블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데이터에 대한 상기 평균 배달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주문 단말로 배달 지연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문 단말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 및 고정 단말과, 상기 주문 관제 단말이 설치된 장소에 위치한 주문 자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주문 자판 단말은, 로컬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와 상기 주문 자판 단말이 연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로컬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와 상기 주문 자판 단말 및 상기 주문 관제 단말간에 소켓 통신이나 웹과 같은 미들웨어 또는 직접 통신을 통하여 연동되며,
    상기 주문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주문 데이터가 입력되면, 현금 또는 카드 결제를 실시하고, 결제가 완료된 주문 데이터를 상기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며, 사용자에게 발권 티켓을 출력하고,
    상기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서버는 주문 데이터가 테이크 아웃 주문 데이터이거나, 홀 주문 데이터인 경우에는, 카드 결제나 현금 결제가 완료된 이후, 주문 데이터를 주문 단말의 식별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하며,
    주문 데이터가 배달 주문 데이터인 경우, 주문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주문 단말의 식별 데이터와 주문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되, 상기 주문 단말의 식별 데이터는 상기 주문 단말이 이동 단말이나 고정 단말인 경우 사용자의 전화번호일 수 있고, 상기 주문 단말이 주문 자판 단말인 경우에는 매장의 고유 번호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조합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주문 데이터는 홀 주문 데이터, 테이크 아웃 주문 데이터, 배달 주문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 또는 고정 단말로부터 배달 주문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실시간으로 상기 주문 관제 단말로 상기 배달 주문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주문 관제 단말로부터 수신된 시작 데이터, 완료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 또는 고정 단말로 전송하고,
    배달 단말로부터 배달 시작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배달 시작 데이터와 상기 배달 단말의 식별자를 매핑하여 상기 이동 단말 또는 고정 단말로 전송하는,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데이터 및 완료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뉴별, 시간별, 날짜별로 평균 조리 시간을 레이블화된 테이블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문 단말은 상기 주문 단말의 주문 접수 화면에 상기 평균 조리 시간을 메뉴별, 시간별, 날짜별로 출력하는 것인,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데이터는 홀 주문 데이터, 테이크 아웃 주문 데이터, 배달 주문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 또는 고정 단말로부터 테이크 아웃 주문 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테이크 아웃 주문 데이터에 테이크 아웃 시간이 입력된 경우, 상기 테이크 아웃 시간과 시간별, 날짜별, 메뉴별 평균 조리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크 아웃 주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테이크 아웃 주문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간에 상기 주문 관제 단말로 상기 테이크 아웃 주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40001A 2013-04-11 2013-04-11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33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001A KR101633468B1 (ko) 2013-04-11 2013-04-11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001A KR101633468B1 (ko) 2013-04-11 2013-04-11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930A KR20140122930A (ko) 2014-10-21
KR101633468B1 true KR101633468B1 (ko) 2016-06-24

Family

ID=51993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001A KR101633468B1 (ko) 2013-04-11 2013-04-11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4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179A (ko) 2018-03-13 2018-04-25 전대연 스마트 무인스토어 시스템
KR20190131371A (ko) 2018-05-16 2019-11-26 주식회사 랩피스 무인주문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10088822A (ko) 2020-01-07 2021-07-15 티오더 주식회사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pos 연계 무인 주문 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318B1 (ko) * 2017-06-05 2017-07-31 주식회사 달콤 커피 제조 장치가 사용자에게 주문한 커피를 제공하게 하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02945B1 (ko) * 2019-01-28 2021-01-14 주식회사 스마트캐스트 스마트 주문처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9912A (ja) * 2003-09-22 2005-04-14 Toshiba Tec Corp 注文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2782B2 (ja) * 1999-08-20 2004-10-27 ワールドピーコム株式会社 飲食店用接客管理装置
KR20050018013A (ko) * 2003-08-12 2005-02-23 주식회사 엘지홈쇼핑 배송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09986A (ko) * 2009-07-23 2011-01-31 홍태훈 음식주문시스템 및 음식주문시스템을 이용한 음식주문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9912A (ja) * 2003-09-22 2005-04-14 Toshiba Tec Corp 注文管理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179A (ko) 2018-03-13 2018-04-25 전대연 스마트 무인스토어 시스템
KR20190131371A (ko) 2018-05-16 2019-11-26 주식회사 랩피스 무인주문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10088822A (ko) 2020-01-07 2021-07-15 티오더 주식회사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pos 연계 무인 주문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930A (ko) 201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8009B2 (en) System to text a payment link
KR101468152B1 (ko) 스마트 차임벨을 이용하여 음식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53851B1 (ko) 고객 단말을 이용한 무인 주문, 결제 및 수령을 포함하는 무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33468B1 (ko)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68403A (ko) 식당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US9495701B2 (en) Retail venue ordering system and method
US20120310408A1 (en) Vending machine ordering
EP3343492A1 (en) Order management server, order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KR20150106484A (ko)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5007384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electronic receipt system
KR20140118655A (ko) 전자 메뉴판을 이용한 전자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Noor et al. The development of self-service restaurant ordering system (SROS)
KR20190011624A (ko)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맞춤형 양방향 비대면 전자주문시스템
KR102129112B1 (ko) 블록체인 간편결제 플랫폼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비대면 원스탑 주문예약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2215755A (ja) 外食オーダ方法と外食オーダシステム
KR101272658B1 (ko) Qr코드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및 주문 방법
US11720983B2 (en) System to text a payment link
JP2020098425A (ja) 式典管理装置、式典管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6682735B2 (ja) 振込案内通知サーバ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50019915A (ko) Nfc 기능의 스마트 주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52456A (ko) Nfc 기능의 스마트 주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88976A (ko) 3세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전자 주문 시스템 및 그 방법
Qamar et al. SMARTABLE-Digital Ordering System for Restaurant Using Android
KR101224407B1 (ko) 쿠폰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2018139124A (ja) 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及びポイント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