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361A -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361A
KR20180071361A KR1020187014936A KR20187014936A KR20180071361A KR 20180071361 A KR20180071361 A KR 20180071361A KR 1020187014936 A KR1020187014936 A KR 1020187014936A KR 20187014936 A KR20187014936 A KR 20187014936A KR 20180071361 A KR20180071361 A KR 20180071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sium
die
casting
magnesium alloy
m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483B1 (ko
Inventor
쉬웨이 슈
지춘 다이
웨이넝 탕
창롱 조우
하오민 지앙
피준 장
Original Assignee
바오샨 아이론 앤 스틸 유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오샨 아이론 앤 스틸 유한공사 filed Critical 바오샨 아이론 앤 스틸 유한공사
Publication of KR2018007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7/00Treating the metal in the mould while it is molten or ductile ; Pressure or vacuum casting
    • B22D27/003Treating the metal in the mould while it is molten or ductile ; Pressure or vacuum casting by using inert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2Making non-ferrous alloys by mel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22C23/04Alloys based on magnesium with zinc or cadm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22C23/06Alloys based on magnesium with a rare earth metal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상기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은, 질량 백분율에 의하면, 1% 내지 5%의 란탄(La), 0.5% 내지 3%의 아연, 0.1% 내지 2%의 칼슘, 0.1% 내지 1%의 망간, 및 마그네슘 및 다른 불가피한 불순물들인 나머지로 구성된다. 상기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제조 방법은 용융 단계, 정제 단계 및 다이-캐스팅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은 우수한 기계적 성능, 다이-캐스팅 성능, 및 열전도 성능을 가진다.

Description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합금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특히 마그네슘을 포함한 합금 물질 및 그 제조 방법에 에 관련된 것이다.
마그네슘 및 그 합금들은 오직 강철의 1/4 및 알루미늄의 2/3의 밀도를 가지는 매우 가벼운 금속 구조 물질들이다. 마그네슘 및 그 합금들은 높은 비강력 및 비강성, 뛰어난 전자기 차폐 성능, 우수한 방열성, 및 우수한 진동-완화 성능과 같은 많은 장점들을 가진다. 순수 마그네슘은 극히 낮은 강도(인장 항복 강도는 애즈-캐스트(as-cast) 상태에서 약 21MPa임) 및 낮은 캐스팅 성능을 가지고, 합금은 상기 기계적 성능들 및 캐스팅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에, 마그네슘 합금들은 순수 마그네슘을 대신 응용되어 사용되었다. 현재 마그네슘 합금 제조 방법에서, 다이-캐스팅 방법은 높은 생산 효율, 저비용, 및 제조된 파트들의 높은 차원 정밀도와 같은 많은 장점들을 가져, 현재 마그네슘 합금 파트들의 대부분은 다이-캐스팅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즉 마그네슘 합금 파트들의 90% 이상이 다이-캐스팅 피스들에 해당된다.
현재, 휴대폰들, 노트북들, 디지털 카메라들, 비디오 카메라들 등과 같은, 많은 3C 제품들(즉, 컴퓨터들, 통신들, 및 가전들의 일반적 명칭임)의 외형들은 마그네슘 합금 다이-캐스팅으로 주로 구성된다. 이는 상기 마그네슘 합금이 뛰어난 박벽 캐스팅 성능들 및 충돌 방지 능력(anti-collision ability)을 가지고, 이에 따라 3C 제품들의 고집적, 얇고 가벼움, 낙하 방지(anti-falling), 전자기 차폐, 방열, 및 환경 보호 요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다. 반도체 트랜지스터들의 성능이 급속히 향상됨에 따라, 3C 제품들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성장되는 산업들이 되었고, 더 가볍고, 더 얇고, 더 짧고, 더 작아지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고성능, 소형화, 집적은 발전의 추세가 되고 있다. 전자 부품들 및 장치의 체적 전력 밀도(volumetric power density)도 증가하여, 개인용 컴퓨터들, 새로운 고전력(high-power) LED 조명 시스템들, 및 고밀도 컴퓨터 서버 시스템들과 같은 전자 장치들의 총 전력 밀도(power density) 및 발열이 크게 증가하였다. 상기 전자 장치들의 작동 중에 발생된 열이 외형을 통해 제시간에 방출될 수 없는 경우, 주변 온도는 상승될 것이다. 한편, 전자 장치들의 작동 효율은 온도에 매우 민감하며, 즉, 일부 전자 장치들의 상기 작동 효율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이 제품들의 상기 외형들, 및 칩들과 같은 전자 장치가 탑재되는 기판들은 우수한 방열 성능을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열전도성, 다이-캐스팅 성능, 및 기계적 성능을 가지는 상기 저비용 마그네슘 합금들은 광범위한 분야들에서 적용될 수 있다.
순수 마그네슘의 열전도도(상온에서 대략 157W/(m·K))가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혼합된 마그네슘 합금들의 열전도도는 보통 대폭 감소된다. 예를 들면, 현재 시판되는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Mg-9Al-1Zn-0.2Mn(AZ91)의 열전도도는 51W/(m·K)이고, Mg-5Al-0.5Mn(AM50) 및 Mg-6Al-0.5Mn(AM60)의 열전도도는 각각 65W/(m·K) 및 61W/(m·K)이며, 이는 순수 마그네슘의 열전도도에 비해 매우 낮다. 위에서 언급된 여러 마그네슘 합금들은 뛰어난 다이-캐스팅 성능 및 우수한 기계적 성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낮은 열전도 성능으로 인해 높은 열 전도도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다. 또한, 마그네슘 합금 AE44는 뛰어난 기계적 성능들 및 비교적 높은 열전도도(85W/(m·K))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쉽게 다이 스틱킹(die sticking)되는 경향을 가지며, 다이-캐스팅 성능이 좋지 않다.
3C 제조 분야에서 마그네슘 합금들의 높은 열전도도에 대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높은 열전도도를 가지는 마그네슘 합금들은 선행 기술에서 연속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면, "열전도성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을 명칭으로 한 중국 특허 CN102719716A(2012.10.10에 출원됨)는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마그네슘 합금의 화학 원소들의 질량 백분율은 1% 내지 7%의 아연, 0.1% 내지 3%의 칼슘, 0.1% 내지 3%의 란탄, 0.1% 내지 3%의 세슘, 및 나머지는 마그네슘이다. 상기 마그네슘 합금의 열전도도는 125W/(m·K) 보다 낮지 않으며, 항복 강도는 상온에서 300MPa보다 크며, 인장 강도는 340MPa보다 크다. 하지만, 상기 마그네슘 합금은 압출에 의해 변형되고, 2 종류의 희토류 금속들이 첨가된 마그네슘 합금이다. 또한, 상기 특허는 상기 마그네슘 합금의 다이-캐스팅 성능을 포함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면, "열전도성 마그네슘 합금"을 명칭으로 한 중국 특허 CN102251161A(2011.11.23에 출원됨)는 0.5wt% 내지 5wt%의 아연, 0.2wt% 내지 5wt%의 주석, 및 나머지는 마그네슘인 구성요소들로 구성된 열전도성 마그네슘 합금을 개시한다. 상기 마그네슘 합금은 110W/(m·K)보다 높은 열전도성, 180MPa 내지 230MPa의 인장 강도, 및 18% 내지 22%의 연성을 가진다. 하지만, 상기 마그네슘 합금은 열 처리 과정을 따르는 중력 캐스팅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특허는 또한 상기 마그네슘 합금의 다이-캐스팅 성능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다이-캐스팅을 위한 높은 열전도성 마그네슘 합금"을 명칭으로 한 중국 특허 CN102586662A(2012.07.18에 출원됨)는 다이-캐스팅을 위한 높은 열전도성 마그네슘 합금을 개시한다. 상기 마그네슘 합금의 화학 원소들의 질량 백분율은 1.5% 내지 3%의 란탄족 원소, 알루미늄과 아연 계 물질 중에서 선택된 0.5% 내지 1.5%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원소들, 및 망간과 지르코늄 중에서 선택되는 0.2% 내지 0.6%의 1개 또는 2개의 원소들, 및 마그네슘과 불가피한 불순물들로 구성된 나머지이다. 상기 마그네슘 합금의 열전도도가 102W/(m·K) 내지 122W/(m·K)임에도 불구하고, 위에서 언급된 상기 특허는 상기 마그네슘 합금의 다이-캐스팅 성능 및 기계적 성능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3C 제품들의 활발한 개발로 인해 마그네슘 합금 생성물들에 대한 상기 요건들이 높아져, 우수한 다이-캐스팅 성능, 뛰어난 기계적 성능들, 및 여 열전도성을 가지는 저비용 마그네슘 합금 개발이 시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들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마그네슘 합금 물질은 높은 열전도성, 우수한 다이-캐스팅 성능, 및 뛰어난 기계적 성능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그네슘 합금은 경제적인 생산 비용을 가지고, 대규모 산업 생산으로 적절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제조 방법에 따라, 우수한 다이-캐스팅 성능들, 뛰어나고 포괄적인 기계적 성능들, 및 높은 열전도성을 가진 마그네슘 합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은 다이-캐스팅 과정을 이용하며, 이는 단순한 제조 과정 및 경제적인 생산 비용을 가진다.
위에서 언급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질량에 의한 화학 원소 백분율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을 제공한다.
란탄(La): 1% 내지 5%;
아연(Zn): 0.5% 내지 3%;
칼슘(Ca): 0.1% 내지 2%;
망간(Mn): 0.1% 내지 1%;
나머지는 마그네슘 및 다른 불가피한 불순물들이다.
본 발명의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에서 각 화학 원소의 구현 원칙은 다음과 같다:
란탄(La): 희토류 원소(RE)는 합금의 용융을 정제시킬 수 있고, 상온 및 고온에서 마그네슘 합금의 기계적 성능들 및 내식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희토류 원소들은 상기 합금의 응고 온도 범위를 좁힐 수 있어, 상기 합금의 캐스팅 성능을 향상시키고, 용접 중 균열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캐스팅의 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그네슘 합금들의 강화를 위해 사용되는 희토류 원소들은 일반적으로 가돌리늄(Gd), 이트륨(Y), 네오디뮴(Nd), 사마륨(Sm), 프라세오디뮴(Pr), 란탄(La), 세륨(Ce) 등과 같다. 하지만, 가돌리늄, 이트륨, 네오디뮴, 및 사마륨과 같은 원소들은 고가여서, 이러한 희토류 금속들의 사용은 마그네슘 합금들의 생산 비용들을 현저히 증가시킬 것이다. 반면, 프라세오디뮴, 란탄, 및 세륨은 비교적 경제적인 희토류 원소들이고, 란탄은 상기 3개의 경제적인 희토류 원소들 중에서 비교적 쉽게 이용 가능한 희토류 원소여서, 란탄은 상기 합금에 추가되는 원소로 선택되었다. 란탄이 1wt% 미만인 경우, 상기 마그네슘 합금의 내식성 및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제한된다. 한편, 란탄의 첨가량은 낮은 수준의 상기 생산 비용들을 유지하기 위해 지나치게 높아서는 안된다. 상기 성능 향상 효과 및 상기 마그네슘 합금의 상기 생산 비용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상기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에서의 상기 란탄의 함량은 1% 내지 5%의 범위 내여야만 한다.
아연(Zn): 아연은 마그네슘 합금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합금 원소들 중 하나이다. 아연은 용액 강화 및 에이징(aging) 강화라는 이중 기능들을 가진다. 적절한 양의 아연 첨가는 마그네슘 합금의 강도 및 가소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상기 용융물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캐스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0.5% 이상의 아연 첨가는 마그네슘 합금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합금의 기계적 성능들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아연의 첨가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아연 합금의 유동성이 크게 감소할 것이고, 상기 마그네슘 합금의 미소 공동 또는 고온 균열이 발생되기 쉽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된 기술적 해결 수단에 기초하여, 아연의 함량은 0.5% 내지 3%의 범위 내여야만 한다.
칼슘(Ca): 알칼리 희토류 원소인 칼슘의 첨가는 마그네슘 합금들의 야금 품질을 유리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칼슘 첨가 비용은 비교적 낮아, 칼슘은 마그네슘 합금들의 생산 과정에 주로 첨가된다. 칼슘을 첨가하는 이유는 1) 마그네슘 합금 용융물들의 발화 온도를 높이고, 용융 과정에서의 용융물 및 열처리 중 상기 합금의 산화를 감소시키기 위해, 특히, 소량의 칼슘(예를 들면, 0.1 wt%의 칼슘)은 마그네슘 합금들의 내산화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2) 칼슘은 마그네슘 합금 입자들을 정제시킬 수 있고, 마그네슘 합금들의 내식성 및 크립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에서 상기 칼슘의 함량은 0.1% 내지 2%의 범위에서 구현될 필요가 있다.
망간(Mn): 마그네슘 합금들은 화학적으로 활성이여서, 그들은 쉽게 부식된다. 또한, 용융 단계에서 사용되는 도가니 및 혼합 도구들과 같은 대부분의 도구들은 철분을 함유하여, 마그네슘 합금들은 비교적 많은 양의 철(Fe) 및 구리(Cu)와 같은 불순물들을 주로 포함한다. 이러한 불순물들은 마그네슘 합금들의 상기 내식성을 더욱 심각하게 악화시킬 것이다. 마그네슘 합금의 상기 내식성은 망간 원소를 첨가함에 따라 향상될 수 있다. 소량의 망간은 순수 철 원소와 철-망간 복합체들을 형성하여, 불순물들의 유독성을 감소시키고, 상기 합금의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망간은 마그네슘 합금들의 상기 항복 강도 및 용접성을 약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합금 입자들을 정제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상기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에서 상기 마그네슘의 함량은 0.1% 내지 1%의 범위에서 설정될 필요가 있다.
알루미늄은 마그네슘 합금들의 상기 열전도성을 매우 낮추어, 상기 알루미늄 합금 원소는 본 발명의 상기 마그네슘 합금에 첨가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마그네슘 합금 물질의 열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합금 첨가용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선행 문헌의 마그네슘 합금 물질과는 상이하다.
또한, 상기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은 α-마그네슘 매트릭스 및 침전상으로 구성된 미세 구조를 가진다. 상기 α-마그네슘 매트릭스는 미립자들 및 소량의 비교적 큰 입자들로 구성되고, 상기 비교적 큰 입자들은 20% 이하의 체적율을 가진다.
또한, 상기 미립자들은 3um 내지 15um의 크기를 가지고, 상기 비교적 큰 입자들은 40um 내지 100um의 크기를 가진다.
본 기술적 해결 수단에서, 상기 미세한 α-마그네슘 매트릭스는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들의 상기 기계적 성능들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침전상들은 입자 경계들 주위에 연속적으로 분포되는 마그네슘-아연-란탄-칼슘의 4차 상으로 구성되고, 마그네슘-아연 상은 상기 입자들의 내부에 침전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슘-아연 상은 1nm 내지 20nm의 폭 및 10nm 내지 1000nm의 길이를 가진다.
본 기술적 해결 수단에서, 상기 마그네슘-아연-란탄-칼슘 4차 상은 상기 합금들의 상기 기계적 성능들 및 크립 저항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상기 마그네슘-아연 상은 α-마그네슘 매트릭스에서 아연 고용체의 상기 함량을 감소시키고, 열전도성에 미치는 합금 원소들의 영향을 약화시키고, 상기 합금들의 상기 기계적 성능들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은 110W/m·K 이상의 열전도성, 200MPa 내지 270MPa의 인장 강도, 150MPa 내지 190MPa의 항복 강도, 및 2% 내지 10%의 연성을 가진다.
위에서 언급된 다른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 용광로에서 순수 마그네슘 잉곳들 및 순수 아연 잉곳을 용융하는 단계;
(2) 마그네슘-칼슘 및 마그네슘-망간 마스터 합금들을 용광로에 첨가하고, 그들을 완전히 용융하는 단계;
(3) 마그네슘-란탄 마스터 합금을 용광로에 첨가하고 그것을 완전히 용해하고, 생성된 용융물의 표면을 덮기 위해 융제(flux)를 동시에 첨가하는 단계;
(4) 상기 용융물을 정제하는 단계;
(5) 630℃ 내지 750℃에서 상기 정제된 용융물을 쿨링하는 단계;
(6)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을 얻기 위해 상기 용융물을 다이-캐스팅하는 단계.
위에서 언급된 제조 단계들로부터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상기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의 상기 제조 방법은 다이-캐스팅 과정이 본 발명의 상기 마그네슘 합금을 얻기 위한 생산 과정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기술적 해결 수단에서, 상기 융제(flux)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Rj-5 마그네슘 합금 융제(RJ-5, 마그네슘 합금 산업에서의 표준 제품, 주요 구성요소들은 24wt% 내지 30 wt%의 염화 마그네슘(MgCl2), 20wt% 내지 26 wt%의 염화 칼륨(KCl), 28wt% 내지 31 wt%의 염화 바륨(BaCl2), 13wt% 내지 15 wt%의 플루오르화 칼슘(CaF2)임)일 수 있고, 선행 문헌에서 사용된 다른 마그네슘 합금 융제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1)에서, 용융 온도는 700℃ 내지 760℃로 조절되고, 상기 용융은 육플루오르황(SF6) 가스의 보호 하에서 수행된다.
또한, 상기 단계(2)에서, 용융 온도는 700℃ 내지 760℃로 조절되고, 상기 용융은 육플루오르황(SF6) 가스의 상기 보호 하에서 수행된다.
또한, 상기 단계(3)에서, 용융 온도는 700℃ 내지 760℃로 조절되고, 상기 용융은 육플루오르황(SF6) 가스의 상기 보호 하에서 수행된다.
또한, 상기 단계(4)에서, 용융 온도는 730℃ 내지 780℃로 조절되고, 상기 아르곤 가스는 상기 용융물에 주입되거나 상기 용융물은 수동적으로 교반되는 반면, RJ-5 융제는 5분 내지 15분 동안 정제된 용융물을 얻기 위한 정제를 위해 동시에 첨가된다. 그 다음, 상기 정제된 용융물은 80분 내지 120분 동안 730℃ 내지 760℃에서 방치된다.
위에서 언급된 기술적 해결 수단들에서, 상기 용융물에 대한 아르곤 가스의 주입 및 상기 용융물의 수동 교반은 모두 상기 용융물의 교반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6)에서, 상기 다이-캐스팅은 주입 속도는 2m/s 내지 50m/s이고, 다이 온도는 220℃ 내지 400℃이고, 캐스팅 압력은 10MPa 내지 90MPa과 같이 조절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은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복합체 구현을 가진다. 즉, 상기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은 비교적 고가의 희토류 합금 원소들을 첨가하는 것을 피하고, 비교적 경제적인 희토류 합금 원소 란탄을 첨가하였다. 또한, 생산 과정에서 상기 다이-캐스팅 과정은 마그네슘 합금들의 포괄적인 기계적 성능들, 다이-캐스팅 성능들, 및 열전도성을 향상시키기에 최적화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은 높은 인장 강도(즉, 200MPa 내지 270MPa) 및 높은 항복 강도(즉, 150MPa 내지 190MPa)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그네슘 합금은 110W/(m·K) 이상의 열전도성을 가지는 우수한 열전도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그네슘 합금은 2% 내지 10%의 연성을 가지는 우수한 연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그네슘 합금은 우수한 유동성 및 우수한 다이-캐스팅 성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상기 마그네슘 합금은 경제적인 합금 첨가 비용 및 저가의 생산 비용을 가진다.
본 발명의 상기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의 상기 제조 방법을 통해, 우수한 강도, 우수한 열전도 성능, 우수한 인장 신장 성능, 및 우수한 다이-캐스팅 성능을 가지는 마그네슘 합금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 E의 상기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의 상기 광학 미세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실시 예 E의 상기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시한다.
도 3은 실시 예 E의 상기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의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은 첨부된 도면들 및 특정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수단들은 상기 설명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예들 A 내지 E 및 비교 예 F]
위에서 언급된 상기 실시 예들 및 비교 예는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상기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의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1) 육플루오르화황(SF6) 가스의 상기 보호 하에서 순수 마그네슘 잉곳들 및 순수 아연 잉곳들을 용광로에서 용융시키고, 용융 온도는 700℃ 내지 760℃로 조절되는 단계;
(2) Mg-Ca 및 Mg-Mn 마스터 합금들이 상기 용광로에 첨가되고, 상기 육플루오르화황(SF6) 가스의 상기 보호 하에서 완전히 용융되고, 용융 온도는 700℃ 내지 760℃로 조절되는 단계;
(3) Mg-La 마스터 합금이 상기 용광로에 첨가되고, 상기 육플루오르화황(SF6) 가스의 상기 보호 하에서 완전히 용융되고, 용융 온도는 700℃ 내지 760℃로 조절되고, 용융물의 표면을 덮기 위해 융제 RJ-5를 동시에 첨가하는 단계;
(4) 상기 용융물을 정제하는 단계로서, 용융 온도는 730℃ 내지 780℃로 조절되고, 상기 용융물에 아르곤 가스를 주입시키는 반면, 5분 내지 15분 동안 정제된 용융물을 얻기 위한 정제를 위해 RJ-5를 첨가한 다음; 상기 용융물을 80분 내지 120분 동안 730℃ 내지 760℃로 방치하고, 상기 용융물 내 화학 원소들의 상기 질량 백분율이 표 1에 도시된 값으로 조절되는 단계;
(5) 다이-캐스팅을 위한 용융물을 얻기 위해 상기 정제된 용융물을 630℃ 내지 750℃로 쿨링하는 단계;
(6) 상이한 크기들의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들을 얻기 위한 300톤의 냉각 챔버 다이 캐스팅 머신에 의해 상기 용융물을 다이-캐스팅하는 단계로서,
상기 다이-캐스팅 파라미터들은 상기 단계 (5)에서 다이-캐스팅을 위한 상기 용융물을 상기 다이-캐스팅 머신에 주입하는 샷 속도는 2m/s 내지 50m/s이고, 다이 온도는 220℃ 내지 400℃이고, 캐스팅 압력은 10MPa 내지 90MPa와 같이 조절되는 단계.
표 1은 상기 실시 예들 및 비교 예의 마그네슘 합금들의 화학 원소들의 상기 질량 백분율을 도시한다.
(wt%, 나머지는 마그네슘 및 다른 불가피한 불순물들임)
번호 란탄 아연 칼슘 망간 다이-캐스팅 크기
A 5 0.5 2 0.1 150mmХ50mmХ2mm
B 1 3 0.1 0.5 100mmХ40mmХ1mm
C 4 2 1 1 100mmХ40mmХ1mm
D 2 2.5 1 0.5 1000mmХ50mmХ0.6mm
E 5 0.5 0.5 0.9 1200mmХ50mmХ0.6mm
F 5 0.5 - 0.9 1200mmХ50mmХ0.6mm
표 2는 상기 실시 예들 및 비교 예의 마그네슘 합금들의 상기 제조 방법의 구체적인 공정 파라미터들을 도시한다.
번호 단계
(1)
단계
(2)
단계
(3)
단계(4) 단계
(5)
단계(6)
용융 온도
(oC)
용융 온도
(oC)
용융
온도
(oC)
용광로
온도
(oC)
정제
시간
(분)
방치 온도
(oC)
방치
시간
(분)
쿨링

온도
(oC)

속도
(m/s)
다이 온도
(oC)
캐스팅
압력
(MPa)
A 720 740 740 780 5 750 80 630 50 230 12
B 740 760 720 760 10 740 80 650 15 400 80
C 740 760 720 760 10 740 100 750 3 300 50
D 750 750 730 760 15 740 120 700 10 260 20
E 760 760 740 750 15 750 120 720 6 240 10
F 760 760 740 750 15 750 120 720 6 240 10
실시 예들 A 내지 E 및 비교 예 F의 마그네슘 합금 샘플들은 테스트 되었다. 또한, 발화점 및 크립 성능 테스트들은 실시 예 E 및 비교 예 F에서 또한 실시하였다. 상기 테스트 결과들은 표 3에 도시되었다.
표 3은 상기 실시 예들 및 비교 예의 상기 마그네슘 합금들의 전체 성능 파라미터들을 도시한다.
번호 열전도성 W/(m·K) 인장
강도 (MPa)
항복
강도 (MPa)
연성(%) 결함이 있거나 없는 다이-캐스팅 표면 발화점 (oC) 200°C/60MPa에서의 일정한 크립 속도
A 130 260 185 4% 결함 없음
B 115 280 195 10% 결함 없음
C 120 270 170 2% 결함 없음
D 115 275 174 5% 결함 없음
E 115 280 170 6% 결함 없음 847 1.4Х10-7 s-1
F 110 274 162 7.6% 결함 없음 764 2.5Х10-6 s-1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 A 내지 E의 모든 마그네슘 합금들은 260MPa이상의 인장 강도, 170MPa이상의 항복 강도, 및 2% 이상의 연성을 가진다. 따라서, 실시 예들의 상기 마그네슘 합금들은 높은 강도 및 우수한 인장 연성 성능과 같은 포괄적인 기계적 성능들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A 내지 E의 모든 상기 마그네슘 합금들의 열전도성은 115W/(m·K)이상이며, 이는 상기 실시 예들의 상기 마그네슘 합금들의 우수한 열전도성을 나타낸다.
표 1, 표 2, 및 표 3의 조합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제조 공정 파라미터들이 실시 예 E 및 비교 예 F에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교 예 F(즉, 110W/(m·K))의 상기 열전도성은 실시 예 E의 상기 열전도성에 비해 낮았다. 상기 발화점은 상기 용융 과정에서 상기 합금의 산화 및 연소의 난이도를 특징으로 한다. 즉, 합금이 가지는 발화점이 더 높을수록 상기 용융 과정 중 산화 및 연소될 가능성은 더 줄어드는 반면, 합금이 가지는 발화점이 더 낮을수록 산화 및 연소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비교 예 F의 상기 발화점(즉, 764℃)은 또한 실시 예 E의 상기 발화점보다 낮았다. 상기 일정한 크립 속도는 고온에서 장시간 동안 외부 하중들에 노출되었을 때 상기 합금의 변형 속도를 특징으로 한다. 즉, 합금이 가지는 크립 속도가 낮을수록 고온에서 상기 합금이 변형될 가능성이 낮아지고, 상기 합금의 상기 안정성은 우수해진다. 그렇지 않으면, 합금은 고온에서 변형되는 경향이 있어 안정성이 떨어진다. 비교 예 F의 200°C/60MPa에서의 일정한 상기 크립 속도(즉, 2.5Х10-6 s-1)는 실시 예 E의 상기 크립 속도에 비해 높으며, 이는 비교 예 F가 칼슘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상기 내용은 칼슘의 상기 첨가가 상기 합금의 상기 발화점 및 크림 저항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증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은 실시 예 E의 상기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의 상기 광학 현미경 사진, 상기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 및 상기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을 각각 도시한다. 상기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의 상기 α-마그네슘 매트릭스는 대개 3um 내지 15um의 입자 크기들인 미세 입자를 주로 형성하는 반면, 40um 내지 100um 크기들을 가지는 큰 결정 입자들은 소량만 존재하는 것을 도 1로부터 알 수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입자 경계에 분포된 많은 2차 상들(침전 상)이 있다. 상기 상들은 또한 상기 합금의 상기 기계적 성능들 및 크립 저항성을 효과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 상기 상들은 상기 입자 경계 주위에 연속적인 방식으로 분포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스펙트럼 분석 결과들은 상기 2차 상들이 마그네슘-아연-란탄-칼슘의 4차 상임을 보여준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1nm 내지 20nm의 폭 및 10nm 내지 1000nm의 범위인 길이를 가지는 상기 입자들 내부의 침전 상들 또한 존재한다. 상기 에너지 스펙트럼 분석은 상기 상들이 상기 마그네슘 매트릭스의 상기 아연 함량을 낮추고, 상기 열전도성에 미치는 합금 원소들의 영향을 약화시키고, 상기 합금의 상기 기계적 성능들을 향상시키는 마그네슘-아연 상임을 보여 준다.
상기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에 불과하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유사한 변형들이 있음이 명백하다.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상기 개시로부터 유도하거나 직접 연관시키는 모든 변형들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해야 한다.

Claims (12)

  1.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은, 질량에 의한 화학 원소 백분율에 의하면,
    란탄(La): 1%내지 5%;
    아연(Zn): 2% 내지 3%;
    칼슘(Ca): 0.1% 내지 2%;
    망간(Mn): 0.1% 내지 1%;
    나머지(balance)는 마그네슘(Mg) 및 다른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는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 합금은 α-마그네슘 매트릭스 및 침전상들을 포함하는 미세구조를 가지며,
    상기 α-마그네슘 매트릭스는 미립자들 및 소량의 비교적 큰 입자들로 구성되고, 상기 비교적 큰 입자들은 20% 이하의 체적율을 가지는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들은 3um 내지 15um의 크기를 가지고, 상기 비교적 큰 입자들은 40um 내지 100um의 크기를 가지는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상은 입자 경계들 주위에 연속적으로 분포되는 마그네슘-아연-란탄-칼슘 4차 상으로 구성되고, 마그네슘-아연 상은 상기 입자들 내부에 침전되는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아연 상은 1nm 내지 20nm의 폭 및 10nm 내지 1000nm의 길이를 가지는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 합금은 110W/(m·K) 이상의 열전도성, 200MPa 내지 270MPa의 인장 강도, 150Mpa 내지 190MPa의 항복 강도, 및 2% 내지 10%의 연성을 가지는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의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1) 순수 마그네슘 잉곳들 및 순수 아연 잉곳들을 용광로에서 용융시키는 단계;
    (2) 마그네슘-칼슘 및 마그네슘-망간 마스터 합금들을 용광로에 첨가하고, 그들을 완전히 용융시키는 단계;
    (3) 마그네슘-란탄 마스터 합금을 용광로에 첨가하고 그것을 완전히 용융시키고, 생성된 용융물의 표면을 덮기 위해 융제(flux)를 동시에 첨가하는 단계;
    (4) 상기 용융물을 정제하는 단계;
    (5) 630℃ 내지 750℃에서 상기 정제된 용융물을 쿨링하는 단계;
    (6)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을 얻기 위해 상기 용융물을 다이-캐스팅하는 단계들로 구성되는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제조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1)에서, 용융 온도는 700℃ 내지 760℃로 조절되고, 상기 용융은 육플루오르화황(SF6) 가스의 보호 하에서 수행되는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제조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2)에서, 용융 온도는 700℃ 내지 760℃로 조절되고, 상기 용융은 육플루오르화황(SF6) 가스의 보호 하에서 수행되는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제조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3)에서, 용융 온도는 700℃ 내지 760℃로 조절되고, 상기 용융은 육플루오르화황(SF6) 가스의 보호 하에서 수행되는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제조 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4)에서, 용융 온도는 730℃ 내지 780℃로 조절되고, 아르곤 가스는 상기 용융물에 주입되거나 상기 용융물은 수동으로 교반되는 반면, RJ-5 융제는 5분 내지 15분 동안 정제된 용융물을 얻기 위한 정제를 위해 동시에 첨가되고,
    그 다음에 상기 정제된 용융물은 80분 내지 120분 동안 730℃ 내지 760℃에서 방치되는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제조 방법.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6)에서, 상기 다이-캐스팅은 주입 속도가 2m/s 내지 50m/s로 조절되고, 다이 온도는 220℃ 내지 400℃이고, 캐스팅 압력은 10MPa 내지 90MPa인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제조 방법.
KR1020187014936A 2015-12-14 2016-12-06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2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926273.3A CN105401032B (zh) 2015-12-14 2015-12-14 一种低成本高导热压铸镁合金及其制造方法
CN201510926273.3 2015-12-14
PCT/CN2016/108673 WO2017101709A1 (zh) 2015-12-14 2016-12-06 一种低成本高导热压铸镁合金及其制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361A true KR20180071361A (ko) 2018-06-27
KR102172483B1 KR102172483B1 (ko) 2020-10-30

Family

ID=55466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936A KR102172483B1 (ko) 2015-12-14 2016-12-06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70905B2 (ko)
EP (1) EP3392358B1 (ko)
JP (1) JP6771032B2 (ko)
KR (1) KR102172483B1 (ko)
CN (1) CN105401032B (ko)
AU (1) AU2016372755B2 (ko)
WO (1) WO20171017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1032B (zh) 2015-12-14 2017-08-25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低成本高导热压铸镁合金及其制造方法
CN108118226B (zh) * 2016-11-30 2020-04-28 宝钢集团有限公司 一种高导热、耐蚀、耐热压铸镁合金及其制造方法
CN110195180B (zh) * 2018-02-26 2021-10-19 中国宝武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高导热压铸镁合金及其制造方法
CN110195181B (zh) * 2018-02-26 2021-10-22 中国宝武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高温耐热性能的压铸镁合金及其制造方法
CN108994479B (zh) * 2018-08-24 2020-08-07 温州市星峰新材料有限公司 一种耐腐蚀高强度的焊接材料及其制造方法
CN111378882B (zh) * 2018-12-29 2021-09-17 嘉丰工业科技(惠州)有限公司 一种高导热性能压铸镁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GB2583482A (en) * 2019-04-29 2020-11-04 Univ Brunel A casting magnesium alloy for providing improved thermal conductivity
CN112048650A (zh) * 2020-07-22 2020-12-08 东华大学 一种高电磁屏蔽和导热性能高强镁合金及其制备方法
CN113308614A (zh) * 2021-05-21 2021-08-27 贵州安吉航空精密铸造有限责任公司 一种zm6合金精炼方法
CN113308632A (zh) * 2021-05-27 2021-08-27 长春理工大学 一种高温抗蠕变压铸镁合金及其制备方法
CN113337765A (zh) * 2021-05-27 2021-09-03 长春理工大学 一种耐高温高压蠕变压铸镁合金及其制备方法
CN113621858B (zh) * 2021-07-14 2022-05-20 西安理工大学 一种抗菌及抑肿瘤增殖的可降解镁合金骨钉及其制备方法
CN116219244A (zh) * 2023-03-10 2023-06-06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高强高导热压铸稀土镁合金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2067A (ko) * 1995-02-06 1998-07-15 세도우 린다 에프. 마그네슘 합금
KR20170049083A (ko) * 2015-10-28 2017-05-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열전도 마그네슘 주조 합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4670B2 (ja) 1992-05-22 1997-04-30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高強度マグネシウム合金
JP2002212662A (ja) * 2001-01-19 2002-07-31 Aisin Takaoka Ltd マグネシウム合金
JP2006002184A (ja) * 2004-06-15 2006-01-05 Toudai Tlo Ltd 高強靭性マグネシウム基合金およびそれを用いた駆動系部品並びに高強靭性マグネシウム基合金素材の製造方法
RU2007101661A (ru) 2004-06-24 2008-07-27 Каст Сентр Пти Лтд. (Au) Сплав магния, отлитый в постоянную форму
JP4678373B2 (ja) * 2004-06-30 2011-04-2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マグネシウム合金材の製造方法
CN102312144A (zh) * 2010-07-07 2012-01-11 乐普(北京)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超细晶医用镁合金及其制备方法
JP5674136B2 (ja) 2011-01-14 2015-02-25 三井金属ダイカスト株式会社 ダイカスト鋳造用高熱伝導性マグネシウム合金
CN102251161A (zh) * 2011-07-14 2011-11-23 四川大学 一种导热镁合金
CN102719716B (zh) * 2012-05-28 2014-10-15 哈尔滨工业大学 导热镁合金的制备方法
CN105755340B (zh) * 2014-12-17 2017-12-26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低成本高强高韧高导热变形镁合金及其制备方法
CN104846250A (zh) * 2015-05-29 2015-08-19 苏州慧驰轻合金精密成型科技有限公司 高导热压铸耐腐蚀镁合金及其制备方法
CN105088037A (zh) * 2015-08-28 2015-11-25 上海交通大学 一种Mg-RE-Mn系多元镁合金及其制备方法
CN105401032B (zh) * 2015-12-14 2017-08-25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低成本高导热压铸镁合金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2067A (ko) * 1995-02-06 1998-07-15 세도우 린다 에프. 마그네슘 합금
KR20170049083A (ko) * 2015-10-28 2017-05-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열전도 마그네슘 주조 합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71032B2 (ja) 2020-10-21
EP3392358A1 (en) 2018-10-24
CN105401032A (zh) 2016-03-16
CN105401032B (zh) 2017-08-25
WO2017101709A1 (zh) 2017-06-22
US20180347010A1 (en) 2018-12-06
EP3392358B1 (en) 2021-06-09
AU2016372755B2 (en) 2019-10-03
AU2016372755A1 (en) 2018-06-07
JP2019504186A (ja) 2019-02-14
EP3392358A4 (en) 2019-06-12
KR102172483B1 (ko) 2020-10-30
US10870905B2 (en) 202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2483B1 (ko) 저비용 고열전도성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CN101363094B (zh) 一种高强度铸造铝合金材料
KR101258470B1 (ko) 고강도 고연성 난연성 마그네슘 합금
CN101363093B (zh) 一种高强度铸造铝合金材料
KR101264219B1 (ko) 마그네슘계 합금 및 그 제조방법
CN102230118A (zh) 一种具有高强度和高屈强比的镁合金及其制备方法
CN102732763A (zh) 一种高强度Mg-Gd-Y-Zn-Mn合金
CN105779838B (zh) 一种高导热压铸镁合金及其制备工艺
JP2008001921A (ja) マグネシウム合金およびoa機器用部品
CN101831581A (zh) 高强高韧稀土镁合金
JP2019218577A (ja) マグネシウム合金
JP2013204087A (ja) 高強度高熱伝導性アルミニウム合金部材とその製造方法
WO2017068332A1 (en) A casting magnesium alloy for providing improved thermal conductivity
CN108118226B (zh) 一种高导热、耐蚀、耐热压铸镁合金及其制造方法
KR20170049083A (ko) 고열전도 마그네슘 주조 합금 및 그 제조방법
CN110029252A (zh) 一种5g手机中板用高强高韧抗氧化铝镁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581461B1 (ko) 방열특성이 우수한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방법
CN111286658A (zh) 一种可压铸的高导热阻燃镁合金及其制备方法
EP2692883A2 (en) Mg-al-ca-based master alloy for mg alloys,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CN113481395A (zh) 一种改进铸造Al-Si系合金导热性能的复合处理方法
GB2583482A (en) A casting magnesium alloy for providing improved thermal conductivity
KR20170049082A (ko) 고열전도 마그네슘 주조 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101732595B1 (ko) 압출용 고열전도도 마그네슘 합금 및 이를 이용한 압출 방법
CN115491558A (zh) 一种压铸镁合金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475589B (zh) Mg-La-Zr稀土镁基合金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