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426A - 연료유의 가열방법 및 이것을 이용하는 연료유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연료유의 가열방법 및 이것을 이용하는 연료유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426A
KR20180070426A KR1020170022303A KR20170022303A KR20180070426A KR 20180070426 A KR20180070426 A KR 20180070426A KR 1020170022303 A KR1020170022303 A KR 1020170022303A KR 20170022303 A KR20170022303 A KR 20170022303A KR 20180070426 A KR20180070426 A KR 20180070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oil
pump
feed pump
storage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3696B1 (ko
Inventor
다카야스 치지나미
Original Assignee
호쿠신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쿠신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쿠신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0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80Arrangements of heating or cooling devices for liquids to be transferred
    • B67D7/82Heating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4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02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 F02M31/16Other apparatus for heating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유의 이송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연료유 저장 탱크 내의 연료유의 온도관리가 가능한 연료유의 가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 해결수단으로서, 이송펌프(6)에 흡입되는 측에서의 연료유의 온도, 압력 및 이송펌프(6)의 가동시간의 전부 혹은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가 소정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이송펌프(6)를 강제적으로 정지시킨 후에 가열된 연료유를 유하펌프(11)에 의하여 이송펌프(6)의 연료유 흡입측을 경유하여 연료유 저장 탱크(2)를 향하여 유출함으로써 이송펌프(6)를 유통하려고 하는 연료유를 포함한 연료유와 가열된 연료유을 혼합시켜 연료유의 점도 상승을 개선한다.

Description

연료유의 가열방법 및 이것을 이용하는 연료유 이송장치{Method for heating fuel oil and a transfer device of fuel oil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연료유의 가열방법 및 이것을 이용하는 연료유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이나 발전기 등의 메인기나 보조기에 사용되는 연료유의 이송유동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방법 및 이것을 이용하는 연료유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나 발전기 등의 보일러에 이용되는 연료유의 하나로서 C중유가 알려져 있다. C중유 등의 비교적 점도가 높은 연료유는, 온도에 영향을 받아 점도가 변화하기 쉽다. 점도가 높아지면 유동저항이 증가하여, 이송성이 악화된다.
유동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연료유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처리가 이용된다. 연료유는, 온도 상승에 의하여 점도가 저하하고, 유동저항이 저감된다.
연료유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설비를 구비한 연료유 이송장치의 구성은, 예를 들어 연료유 저장 탱크로부터 이송되는 연료유를 가열하기 위한 연료유 세틀링 탱크(settling tank)와, 연료유 세틀링 탱크에 있어서 온도가 상승한 연료유를 저류하고, 저류하고 있는 연료유를 조금씩 유출하여 연료유 저장 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연료유 서비스 탱크를 구비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연료유는, 연료유 저장 탱크로부터 이송 펌프를 통하여 연료유 세틀링 탱크로 이송되고, 연료유 세틀링 탱크에 있어서 가열처리됨으로써 점도를 낮춘다. 연료유 세틀링 탱크에 있어서 가열된 연료유는, 청정화되고나서 연료유 서비스 탱크를 향하여 이송되고, 연료유 서비스 탱크로부터 일부가 연료유 저장 탱크를 향하여 유하(流下) 펌프를 통하여 조금씩 계속 유출된다.
연료유는, 연료유 서비스 탱크로부터 선박이나 발전기 등에 이용되는 내연기관 등의 메인기 또는 그 밖의 보조기의 연료분사장치에 공급된다.
가열되어 연료유 저장 탱크 내로 되돌아가는 연료유는, 그 저장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유와 부분적으로 혼합된다. 이 결과, 연료유 저장 탱크 내에 수용되어 있는 연료유는, 부분적으로 36~40℃로 유지된다.
연료유의 온도 유지는, 다음의 이유에 의하여 실행된다. 첫 번째로, 연료유의 순환루트에서 발생하는 유동저항의 증가가 펌프 등에 고부하를 주어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 두 번째로, 연료유 저장 탱크로부터 연료유 세틀링 탱크를 향하여 이송되는 연료유의 양이 점도에 의하여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종래, 점도 상승에 따른 유동저항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유 저장 탱크 내의 연료유를 가열함으로써, 저장되어 있는 연료유의 온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연료유 저장 탱크를 가열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증기 등의 열매체가 유통될 수 있는 히팅관 등의 배관을 연료유 저장 탱크에 설치하는 구성이나, 연료유 저장 탱크로의 연료유 이송로 중에 전기 히터를 설치하는 구성이 이용되고 있다.
연료유 저장 탱크를 가열하는 구성은, 연료유 세틀링 탱크에 이용되는 가열기구와는 별도의 설치를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구성의 대형화나 관리비용이 상승한다. 더욱이, 연료유 저장 탱크를 가열하는 구성은, 연료유 저장 탱크에 전달되는 해수온도의 영향이나 주변의 외기온도의 영향을 받기 쉬워, 열손실이 커질 우려가 있다.
한편, 연료유의 점도가 상승하면 이송펌프에 작용하는 부하가 변화하고, 이 변화가 이송펌프의 구동원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이송펌프는 모터로 구동되는데, 모터는, 미리 세팅된 회전수 및 토크가 얻어지는 구동전류가 인가되고 있다. 하지만, 점도 상승에 의하여 회전수가 저하하면 그 회전수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구동전류가 높아진다. 구동전류를 높여도 회전수가 복귀되지 않는 경우에는, 구동전류가 더욱 높아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모터의 소손(燒損) 등의 사고가 일어날 위험이 있다.
모터의 사고가 발생하면 연료유의 이송이 불가능해져, 연료유 저장 탱크 내의 연료유의 점도를 개선할 수 없는 것이 원인이 되어 연료유의 이송효율이 저하되거나, 온도관리가 불가능해진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36594호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159074호
본 발명의 과제는, 코스트 상승을 초래하지 않고, 더욱이는 연료유의 이송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연료유 저장 탱크 내의 연료유의 온도관리가 가능한 연료유의 가열방법 및 이것을 이용하는 연료유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송펌프에 흡입되는 측에서의 연료유의 온도, 압력 및 연료유를 가열하기 위하여 그 연료유가 모이는 위치에서 그 연료유가 소정량에 도달할 때까지 필요로 하는 상기 이송펌프의 가동시간의 전부 혹은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가 소정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상기 이송펌프를 강제적으로 정지시킨 뒤에 가열된 연료유를 유하펌프에 의하여 연료유 저장 탱크를 향하여 유출함으로써 상기 이송펌프를 유통하려고 하는 연료유와 가열된 연료유를 혼합시켜 연료유의 점도 상승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된 연료유가 연료유 저장 탱크 내의 연료유에 혼합됨으로써 연료유 저장 탱크 내의 연료유가 가열된다. 이 결과, 연료유 저장 탱크에 구비되는 가열기구를 불필요로 하여 코스트 상승이 억제된다.
더욱이, 이송펌프에 도입되어 유통하려고 하는 연료유의 점도가 상승하였을 때에는, 이송펌프가 강제적으로 정지됨으로써 이송펌프에 막혀 유통이 차단된 연료유에 대하여, 가열된 연료유를 혼합시키면서 연료유 저장 탱크 내의 연료유와 혼합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이송펌프의 흡입측의 연료유 및 연료유 저장 탱크 내의 연료유가 모두 온도가 상승하여 점도가 저하되므로 이송펌프가 재시동하였을 때의 이송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가열방법을 대상으로 하는 연료유 이송장치의 구성 및 연료유 가열시에 있어서의 연료유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연료유 이송장치에서 실행되는 연료유 이송시에 있어서의 연료유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연료유 이송장치에 이용되는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어부에서 실시되는 소정 조건 판정에 이용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선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따른 연료유의 가열방법을 적용하는 연료유 이송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연료유 이송장치(1)는, 연료유 저장 탱크(2)에 연통하는 연료유 세틀링 탱크(3), 연료유 서비스 탱크(4)를 구비하고 있다.
연료유 세틀링 탱크(3)는, 연료유를 가열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탱크이고, 도시하지 않은 히터에 의하여, 일례로서 70~80℃의 온도로 연료유가 가열된다.
연료유 저장 탱크(2)와 연료유 세틀링 탱크(3)는 이송관(5)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고, 그 도중에는, 이송펌프(6), 온도센서(7) 및 압력센서(8)가 배치되어 있다.
온도센서(7)는, 예를 들어 이송펌프(6)의 연료유 입구측, 이른바 흡입측의 온도를 계측하고 있다.
압력센서(8)는, 이송펌프(6) 내에 흡입되는 연료유의 압력 변화를 감시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압력 변화는, 연료유의 점도 변화에 따른 유동저항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특히, 점도가 높아져 유동저항이 증가한 경우에는, 이송펌프(6)의 입구측의 압력이 진공화 경향이 된다. 따라서, 진공화 경향의 압력 변화가 감지되면 연료유의 점도를 낮추기 위한 가열이 필요해진다.
연료유 세틀링 탱크(3)에는, 이송펌프(6)에 의하여 흡입된 연료유의 액면을 감지하기 위한 레벨센서(9)가 설치되어 있다.
레벨센서(9)는, 연료유 세틀링 탱크(3) 내에 연료유가 소정량 도입되었을 때의 액면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레벨센서(9)는, 연료유 세틀링 탱크(3) 내에 연료유가 소정량 도입된 것을 감지하면, 이송펌프(6)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연료유 서비스 탱크(4)는, 가열된 연료유를 청정화한 후, 일시적으로 저류하고, 내연기관 등을 향하여 연료유를 공급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탱크이다. 연료유 저장 탱크(2)와 연료유 서비스 탱크(4)는 흡입관(10)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고, 그 도중에는, 유하펌프(11)가 배치되어 있다. 연료유 서비스 탱크(4)에 저류되어 있는 연료유의 일부는 유하펌프(11)에 의하여 연료유 저장 탱크(2)에 유하되어 연료유 저장 탱크(2) 내의 연료유의 온도를 높인다.
이 경우에 말하는 유하펌프(11)의 명칭은, 연료유 서비스 탱크(4)가 연료유 저장 탱크(2)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이 이유이다. 즉, 상위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4)로부터, 이보다 하위의 연료유 저장 탱크(2)에 연료유를 흘려 떨어뜨리듯이 계속 유출하는 것을 의미하여 유하라는 표현으로 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연료유 세틀링 탱크(3) 및 연료유 서비스 탱크(4)가 각각 흡입관(10)에 연통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양쪽의 탱크(3, 4) 또는 어느 한 쪽의 탱크로부터 연료유 저장 탱크(2)를 향한 연료유의 유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각 탱크(3, 4) 연료유의 출구의 유로에 밸브(12)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연료유 이송장치(1)는, 이송펌프(6)에 의하여 연료유 저장탱크(2)로부터 연료유 세틀링 탱크(3)에 흡입된 연료유가 가열되고, 가열된 연료유가 청정화된 후에 연료유 서비스 탱크(4)에 도입되며, 저류된 연료유가 내연기관 등으로의 공급에 대비된다.
연료유 세틀링 탱크(3) 및 또는 연료유 서비스 탱크(4)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저류되어 있는 연료유의 일부는, 유하펌프(11)에 의하여 연료유 저장 탱크(2)로 되돌아간다. 이 결과, 연료유 저장 탱크(2) 내의 연료유는 가열된 연료유와 혼합됨으로써 부분적으로 36~40℃로 가열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펌프끼리의 가동시간으로서, 예를 들어 이송펌프(6)가 15분 정도, 그리고 유하펌프(11)가 45분 정도를 선택되어 교대로 가동된다. 이 시간 중에 이송펌프(6)의 가동시간은, 예를 들어 상술한 연료유 세틀링 탱크(3) 내의 레벨센서(9)에 의하여 연료유의 액면이 감지될 때까지의 시간에 대응시킬 수 있다. 즉, 이송펌프(6)의 회전수, 구동전류 등의 정격에 근거한 유량으로 연료유를 유출하였을 때의 가동시간 내에 연료유의 액면이 레벨센서(9)에 의하여 감지되면 연료유의 유동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는 연료유의 점도라고 판단할 수 있고, 이 가동시간을 넘을 경우에는 연료유의 점도가 높아 유동성이 나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레벨센서(9)는, 연료유 세틀링 탱크(3) 내에 도입되는 연료유가 소정량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면, 이송펌프(6)의 가동을 정지시켜 연료유가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정박 중 등과 같이 연료유의 소비가 없을 때에는, 이송펌프(6)의 가동시간이 짧고, 레벨센서(9)가 작동할 때까지의 시간이 예를 들어 6분 정도이다.
이송펌프(6)를 이용하여 연료유 저장 탱크(2)로부터 연료유 세틀링 탱크(3)를 향하여 연료유를 흡입하는 루트는, 도 1에 있어서 부호 F1~F5로 나타나고 있다. 유하펌프(11)를 이용하여 연료유 서비스 탱크(4)로부터 연료유 저장 탱크(2)를 향하여 연료유를 유하시키는 루트는, 도 2에 있어서 화살표 F10~F13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는 연료유 이송장치(1)는, 그 주요부의 구성이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1712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유 이송장치(1)의 특징은, 이송펌프(6)에 대한 연료유 저장 탱크(2)로부터의 연료유의 유동저항이 증가한 경우에 실행되는 연료유의 가열방법에 있다. 이 경우의 가열이란, 가열된 연료유를 가열되지 않은 연료유와 혼합시킴으로써 가열되지 않은 연료유의 온도를 높이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연료유 이송장치(1)는, 연료유의 점도가 낮고, 유동저항이 적은 경우에 실행되는 통상운전모드와, 상기 점도가 높고, 유동저항이 증가한 경우에 실행되는 가열운전모드 중 어느 것을 선택 가능하다. 통상운전모드는, 레벨센서(9)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가동하는 이송펌프(6) 및 연료유 저장 탱크(2) 내로 연료유의 공급을 행하는 유하펌프(11)가 교대로 운전되어 연료유가 순환되는 모드이다. 가열운전모드는, 이송펌프(6)를 강제적으로 정지한 후, 이송펌프(6)의 흡입측에서 막혀 있는 연료유를 가열하는 동시에, 연료유 저장 탱크(2)로 되돌아오는 연료유에 의하여 연료유 저장 탱크(2) 내의 연료유도 가열하는 모드이다. 가열운전모드는, 이송펌프(6) 측에서 막혀 있는 연료유의 점도가 유동저항을 증가시키지 않는 값에 도달할 때까지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운전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다음의 파라미터가 이용된다.
즉, 파라미터는, 적어도, 이송펌프(6)에 흡입되는 연료유의 온도, 압력 및 이송펌프(6)의 가동시간이 이용된다. 이송펌프(6)의 가동시간에 관하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벨센서(9)가 작동할 때까지의 가동시간이나 이송펌프(6) 자체에 구비된 타이머의 계시(計時)시간이 참조된다. 이러한 각 파라미터의 전부 혹은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가, 가열을 필요로 하는 소정 조건에 일치하면 가열운전모드가 실행된다.
이하, 이러한 운전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송펌프(6) 및 유하펌프(11)는 그 가동상태가 도 3에 나타내는 제어부(20)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어부(20)는, 이송관(5)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센서(7), 압력센서(8), 레벨센서(9)가 입력측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20)의 출력측에는, 이송펌프(6)의 구동부 및 유하펌프(11)의 구동부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송펌프(6) 및 유하펌프(11)는, 전부 모터(도 1, 2 중의 부호 M1, M2로 나타내는 부재)가 회전 제어됨으로써 유량이나 유속을 제어할 수 있는 타이머가 사용된다.
도 3에 있어서 부호 15는, 예를 들어 각 펌프(6, 11)의 가동시간이나 연료유의 유량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및 연료소비량 더욱이는 복귀량 등의 필요 조건을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조작패널이고, 부호 16은 타이머이다.
타이머(16)는, 예를 들어 이송펌프(6)가 가동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레벨센서(9)에 의하여 액면감지가 행하여질 때까지의 소요시간을 계측한다. 따라서, 이송펌프(6)가 가동되면서 레벨센서(9)에 의한 액면감지까지의 가동시간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질 때에는 점도가 높고 유동저항이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바꿔말하면, 이송펌프(6)의 가동시간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질 때에는 이송펌프(6)를 흐르는 연료유의 점도가 높고, 유동저항이 큰 상태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송펌프(6)는, 가동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를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자체 타이머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가동시간 이상으로 이송펌프(6)가 가동되었을 때에 연료유의 점도가 높고 유동저항이 높은 상태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연료유의 점도가 유동저항을 증가시키는 점도인 것을 판단하는 소정 조건을 이용하는 감시대상항목으로서, 이송펌프(6)의 구동원에 사용되는 모터의 구동전류치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구동전류치는, 미리 세팅되어 있는 모터의 회전수, 토크를 얻기 위하여 결정되어 있는데, 회전수나 토크가 변화한 경우에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변화하고, 특히 회전수나 토크가 저하된 경우에는 구동전류치는 상승한다. 그래서, 구동전류치가 상승한 경우를 감시함으로써 연료유의 점도가 상승한 것을 판단할 수 있고, 운전모드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제어부(20)에 의하여 선택되는 통상운전모드는, 연료유의 점도가 유동저항을 증가시키지 않는 값인 경우에 보온하면서 연료유를 순환시킨다. 이러한 운전모드에 따르면, 연료유 저장 탱크(2) 내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유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억제하고 점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가 유지된다.
통상운전모드시의 제어부(20)는, 이송펌프(6)에 도입되는 연료유의 온도, 압력 그리고 이송펌프(6)의 가동시간, 더욱이 이송펌프(6)의 구동원인 모터에 대하여 인가되는 구동전류치의 변화를 감시한다.
이들 감시대상항목은, 예를 들어 다음의 4종류의 케이스가 발생한 경우에 연료유의 점도 변화, 특히 점도가 상승한 것을 판단하는 소정 조건으로서 이용된다.
(1) 연료유의 점도가 상승하여 유동저항이 증가하는 온도 이하에 도달한 경우.
(2) 이송펌프(6)의 연료유 도입측의 압력 변화가 진공화 경향 발생 상태인 경우.
(3) 레벨센서(9)가 작동할 때까지의 이송펌프(6)의 가동시간이 장대화된 경우.
(4) 이송펌프(6)의 구동원에 대한 구동전류치가 상승한 경우.
이들 소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고 연료유의 점도 상승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통상운전모드가 실행된다.
통상운전모드 실행시에는, 연료유 저장 탱크(2)로부터 연료유 세틀링 탱크(3)로 연료유를 흡입하는 사이클과 연료유 세틀링 탱크(3) 및 또는 연료유 서비스 탱크(4) 내의 일부의 연료유를 연료유 저장 탱크(2)를 향하여 유하시키는 사이클이 교대로 반복된다. 단, 사이클 도중이더라도, 레벨센서(9)의 작동에 따라서 이송펌프(6)는 정지된다. 이러한 운전모드 실행시에서의 각 펌프(6, 11)의 가동상태가 조작패널(15)에 표시된다.
상기 감시대사항목의 감시가 계속되어 통상운전모드가 실행되고 있을 때, 그 감시대상항목에 의하여 유도되는 소정 조건의 전부, 혹은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가 일치한 경우에는, 통상운전모드로부터 가열운전모드로 전환된다.
가열운전모드에서는, 이송펌프(6)가 강제적으로 정지되고, 유하펌프(11)를 가동시켜 가열된 연료유가 연료유 저장 탱크(2)에 흐르게 된다. 이때, 가열된 연료유, 이송펌프(6)의 연료유 도입측을 경유하여 이 위치에 막혀 있는 연료유와 혼합되면서 연료유 저장 탱크(2)를 향하여 흐른다. 연료유는, 예를 들어 필터(도 2에 있어서 부호 FT로 나타내는 부재)에 대하여 역류하도록 흐르면, 필터의 막힘을 해소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제어부(20)에서는, 감시대상항목 중에서 온도, 압력은 직접센서에 의하여 감시가 가능한데, 레벨센서(9)를 이용하여 액면을 감지할 때까지의 이송펌프(6)의 가동시간에 관하여는, 도 4에 나타내는 상태에 근거하여 가열운전모드를 실행할지 말지를 판정한다.
도 4는, 세로축이 연료유의 양(레벨센서(9)가 작동하는 양)을 나타내고, 가로축이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연료유의 점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이송펌프(6)를 일정 출력으로 한 경우에 레벨센서(9)가 작동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점도가 낮은 연료유가 연료유 세틀링 탱크(3) 내로 도입되어 레벨센서(9)가 작동할 때까지의 시간(도 4 중의 부호 T로 나타내는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그 시간보다 장대화된 경우(도 4 중의 부호 T1으로 나타내는 시간)에는 연료유의 점도가 높은 것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송펌프(6) 자체에 타이머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타이머의 설정시간과 실제 가동시간을 비교하여 실제 가동시간이 장대화되고 있는 경우에 연료유의 점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감시대상항목으로부터 유도되는 소정 조건의 전부, 혹은 일부 또는 복수가 일치한 경우에 가열운전모드가 선택되면, 가열된 연료유가 연료유 저장 탱크(2)를 향하여 이송된다. 이에 따라, 연료유 저장 탱크(2) 내의 연료유에 직접 혼합되는 것 만이 아니라, 이송펌프(6)의 흡입측에 막혀 있는 연료유와도 혼합되어 연료유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송펌프(6)에 연료유가 흡입되기 직전의 유로에 있어서 연료유가 가열되므로, 이송펌프(6)에 흘러 들어가는 연료유의 점도 저하를 확보할 수 있다.
감시대상항목인 온도, 압력, 이송펌프의 가동시간 더욱이는 이송펌프의 모터에서의 구동전류치의 변화가 점도 상승을 해소하는 조건에 도달하고, 소정 조건에 일치하지 않게 된 경우에는, 통상운전모드로 복귀한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유 이송장치(1)에 따르면, 이송펌프(6)가 강제적으로 정지되었을 때, 연료유 세틀링 탱크(3)에서 가열된 연료유를 사용하여 이송펌프(6)에 흡입되는 연료유뿐만 아니라, 연료유 저장 탱크(2) 내의 연료의 가열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이송펌프(6)의 구동부하 증가를 억제하는 동시에, 이송펌프(6)의 입구측의 연료유가 가열되어 유동저항을 저감하고, 거의 강제적으로 저감되어서 정지되는 기간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이송펌프의 강제 정지를 하는 것을 이용하여 이송펌프에 흡입되는 연료유와 연료유 저장 탱크 내의 연료유의 양쪽을 동시에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저항이 증가하는 점도의 연료유를 이송펌프에 의하여 이송하는 경우와 달리, 이송펌프로의 부하저감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유하펌프의 구동만으로 이송펌프의 재가동에 이르는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는 점에서 이용가능성이 높다.
1: 연료유 이송장치
2: 연료유 저장 탱크
3: 연료유 세틀링 탱크
4: 연료유 서비스 탱크
5: 이송관
6: 이송펌프
7: 온도센서
8: 압력센서
16: 타이머
20: 제어부

Claims (4)

  1. 연료유 저장 탱크로부터 연료유 세틀링 탱크를 향하여 이송펌프에 의하여 이송관을 통과한 연료유가 가열된 후, 가열된 연료유가 유하펌프에 의하여 흡입관을 통과하여 연료유 저장 탱크에 공급됨으로써 그 연료유 저장 탱크 내의 연료유를 가열하는 연료유의 가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송펌프에 흡입되는 측에서의 연료유의 온도, 압력 및 상기 이송펌프의 가동시간의 전부 혹은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가 소정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상기 이송펌프를 강제적으로 정지시킨 후에, 가열된 연료유를 상기 유하펌프에 의하여 상기 이송펌프의 연료유 흡입측을 경유하여 상기 연료유 저장 탱크를 향하여 유출함으로써, 상기 이송펌프를 유통하려고 하는 연료유와 가열된 연료유를 혼합시켜 연료유의 점도 상승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유의 가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조건은, 상기 연료유의 유동저항이 증가하지 않는 연료유의 점도가 얻어지는 온도 이하인 것, 상기 이송펌프에 흡입되는 측에서의 압력이 진공화 경향 발생 상태에 있는 것, 연료유가 모이는 위치에서 그 연료유가 소정량에 도달할 때까지 필요로 하는 상기 이송펌프의 가동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에 도달한 것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유의 가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펌프를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조건으로서, 그 이송펌프에 인가되는 구동전류치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유의 가열방법.
  4. 연료유 저장 탱크와 연료유의 가열이 가능한 연료유 세틀링 탱크를 연통하는 이송관에 설치되어 그 연료유 저장 탱크 내의 연료유를 상기 연료유 세틀링 탱크를 향하여 흡입하는 이송펌프와,
    상기 가열된 연료유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연료유 서비스 탱크와 상기 연료유 저장 탱크를 연통하는 흡입관에 설치되어 연료유 서비스 탱크의 연료유를 조금씩 계속 유출하는 유하펌프와,
    상기 이송펌프 및 유하펌프의 가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연료유 이송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연료유 저장 탱크로부터 상기 연료유 세틀링 탱크를 향하여 흐르는 연료유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이송펌프에 흘러 들어가는 연료유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이송펌프의 가동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가 입력측에 접속되고, 상기 이송펌프 및 유하펌프의 구동부가 출력측에 접속되며, 각 센서 및 타이머로부터의 데이터를 소정 조건과 비교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이송펌프에 흡입되는 연료유의 점도가 높다고 판단한 경우에, 그 이송펌프를 강제적으로 정지하고, 상기 이송펌프에 흐르는 연료유의 점도 상승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유하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가열된 연료유를 상기 이송펌프의 연료유 흡입측에 막혀 있는 연료유와 혼합시켜 상기 연료유 저장 탱크를 향하여 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유 이송장치.
KR1020170022303A 2016-12-16 2017-02-20 연료유의 가열방법 및 이것을 이용하는 연료유 이송장치 KR102013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44557A JP6447618B2 (ja) 2016-12-16 2016-12-16 燃料油移送装置
JPJP-P-2016-244557 2016-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426A true KR20180070426A (ko) 2018-06-26
KR102013696B1 KR102013696B1 (ko) 2019-08-23

Family

ID=62604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303A KR102013696B1 (ko) 2016-12-16 2017-02-20 연료유의 가열방법 및 이것을 이용하는 연료유 이송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47618B2 (ko)
KR (1) KR102013696B1 (ko)
CN (1) CN108204321B (ko)
TW (1) TWI6776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08546B2 (ja) * 2016-12-16 2018-10-17 ホクシン産業株式会社 燃料油移送装置
JP6410325B2 (ja) * 2016-12-16 2018-10-24 ホクシン産業株式会社 燃料油移送装置
CN113426185A (zh) * 2021-06-04 2021-09-24 张季 一种石油过滤器
CN114508433B (zh) * 2022-02-16 2022-10-28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燃油供给系统的控制方法
CN114526180B (zh) * 2022-02-24 2022-10-14 南京工业大学 航空活塞自增压直喷重油发动机的燃油预热系统及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6594A (ja) 2002-07-08 2004-02-05 Hokushin Sangyo Kk 燃料油の加熱方法
JP2012159074A (ja) 2011-01-31 2012-08-23 Kita Engineering:Kk ディーゼル機関の排熱を利用した燃料油加熱供給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4060U (ja) * 1982-08-27 1984-03-0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燃料油の加熱装置
US20060043029A1 (en) * 2004-08-30 2006-03-0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Continuous liquid delivery system with anti-clog function
JP5024213B2 (ja) * 2008-07-18 2012-09-1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フィルタ洗浄装置
JP2011183257A (ja) * 2010-03-05 2011-09-22 Conhira Co Ltd 濾過装置
JP5019082B1 (ja) * 2011-03-25 2012-09-05 栗田工業株式会社 液体加熱方法及び液体加熱装置並びに加熱液体供給装置
JP5819375B2 (ja) * 2013-09-20 2015-11-24 ホクシン産業株式会社 燃料油の加熱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6594A (ja) 2002-07-08 2004-02-05 Hokushin Sangyo Kk 燃料油の加熱方法
JP2012159074A (ja) 2011-01-31 2012-08-23 Kita Engineering:Kk ディーゼル機関の排熱を利用した燃料油加熱供給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47618B2 (ja) 2019-01-09
TWI677621B (zh) 2019-11-21
TW201823584A (zh) 2018-07-01
KR102013696B1 (ko) 2019-08-23
CN108204321B (zh) 2020-05-19
JP2018096348A (ja) 2018-06-21
CN108204321A (zh) 201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0426A (ko) 연료유의 가열방법 및 이것을 이용하는 연료유 이송장치
JP5330945B2 (ja) 油圧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た風力発電装置
KR20180070427A (ko) 연료유 이송장치
KR20210066311A (ko) 연료분사밸브의 제어밸브 시험 장치
KR20130014096A (ko) 펌프의 공회전 방지장치
KR102059448B1 (ko) 연료유 이송 시스템
KR102031674B1 (ko) 연료유 이송 시스템
JP6511697B2 (ja) 燃料油移送システム
JP2018178962A (ja) 燃料油移送装置
KR101619277B1 (ko) 전동식 워터펌프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19119252A (ja) 燃料油移送装置
KR101326073B1 (ko) 토출 장치
JP2012159277A (ja) 液体循環制御装置
JPH06288215A (ja) 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2002295847A (ja) 暖房装置の凍結防止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