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073B1 - 토출 장치 - Google Patents

토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073B1
KR101326073B1 KR1020110113668A KR20110113668A KR101326073B1 KR 101326073 B1 KR101326073 B1 KR 101326073B1 KR 1020110113668 A KR1020110113668 A KR 1020110113668A KR 20110113668 A KR20110113668 A KR 20110113668A KR 101326073 B1 KR101326073 B1 KR 101326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chemical liquid
discharge
valv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8819A (ko
Inventor
박규원
박용석
이해돈
한경훈
Original Assignee
(주) 테크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테크로스 filed Critical (주) 테크로스
Priority to KR1020110113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07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8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03Details of the outlet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05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lready applied to the surface, e.g. coating thickness, weight or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교반/토출액 이송장치의 저장 탱크로부터 약액을 이송하는 토출 배관; 교반/토출액 이송장치와 상기 토출 배관을 연결하며 약액 이송을 조절하는 이송 펌프; 상기 토출 배관으로부터 받은 약액을 저장하는 임시 저장 탱크; 상기 임시 저장 탱크에 저장된 약액을 토출하는 토출 펌프; 및, 제 1 밸브 및 제 2 밸브를 포함하여 형성된 U자형 배관부;로 구성하되, 상기 이송 펌프는 저장 탱크 및 토출 배관 사이에 설치되며, 순방향 운전시 저장 탱크에서 토출 배관으로, 역방향 운전시 토출 배관에서 저장 탱크로 약액을 이송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출 장치{DISCHARGE DEVICE}
본 발명은 토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성이 있는 액체 또는 고체를 정량 토출하기 위한 토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 또는 고체를 정량 토출하기 위한 종래의 토출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교반/토출액 이송장치(100)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교반/토출액 이송장치(100)로부터 교반액을 받아 정량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교반/토출액 이송장치(100)는 저장 탱크(101), 교반기(102), 교반 모터(103), 제어기(104) 및 센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탱크(101)는 약액을 저장하는 탱크이고, 교반기(102)는 프로펠러로 형성되어 상기 저장탱크(101) 내부의 약액을 균일하게 혼합한다. 여기서, 교반기(102)는 교반모터(103)에 연결되어 교반모터(103)가 동작함과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교반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기(107)의 조작을 통해 교반, 이송, 토출작업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센서는 만수위 감지 센서(105), 저수위 감지 센서(106) 및 게이지 센서(1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만수위 감지 센서(105)는 저장 탱크(101) 내부에 저장된 약액의 만수위를 감지하고, 저수위 감지 센서(106)는 저장 탱크(101) 내부에 저장된 약액의 저수위를 감지하며, 게이지 센서(107)는 저장 탱크(101) 내부에 저장된 약액의 양(量)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전술한 교반/토출액 이송장치(10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종래의 토출장치는 토출배관, 토출 펌프, 임시 저장 탱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토출배관이 상기 교반/토출액 이송장치에 연결되어 저장탱크로부터 이송되는 약액을 전달한다.
그러나, 종래 토출 장치의 토출 배관의 설치에 있어서, 설치 공간에 제한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토출 배관은 저장 탱크와 토출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데, 토출 배관 설치 길이가 원거리로 구성되므로 토출되기까지의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토출 배관이 가스 유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토출 장치가 유입된 가스에 의해 인화될 수도 있다는 위험이 있어, 이로 인해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부식성이 있는 약액을 토출하는 경우 또는 장시간 배관 장치에 약액이 고여있는 경우, 수분 증발로 인한 약액 고형화로 토출 배관 또는 토출 장치가 부식되거나 막힐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토출 배관을 근거리로 구성함으로써 설치 환경에 제한을 받지 않고 최적의 토출 성능을 갖는 토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토출 배관에 가스가 유입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정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토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토출 배관 내의 약액을 교반/토출액 이송장치의 저장 탱크로 회수함으로써 토출 배관이 토출 배관에 고인 약액으로 인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토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토출 장치는,
종래의 교반/토출액 이송장치의 저장 탱크로부터 약액을 이송하는 토출 배관; 교반/토출액 이송장치와 상기 토출 배관을 연결하며 약액 이송을 조절하는 이송 펌프; 상기 토출 배관으로부터 받은 약액을 저장하는 임시 저장 탱크; 상기 임시 저장 탱크에 저장된 약액을 토출하는 토출 펌프; 및, 제 1 밸브 및 제 2 밸브를 포함하여 형성된 U자형 배관부;로 구성하되, 상기 이송 펌프는 저장 탱크 및 토출 배관 사이에 설치되며, 순방향 운전시 저장 탱크에서 토출 배관으로, 역방향 운전시 토출 배관에서 저장 탱크로 약액을 이송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임시 저장 탱크에 고레벨 감지 센서, 저레벨 감지 센서 및, 공레벨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고레벨 감지 센서는 임시 저장 탱크 내부에 저장된 약액의 만수위를 체크하고, 저레벨 감지 센서는 임시 저장 탱크 내부에 저장된 약액의 저수위를 체크하며, 공레벨 감지 센서는 임시 저장 탱크 내부에 저장된 약액의 비어있는 상태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U자형 배관부는 토출 배관 내의 인화성 가스 유입을 방지하고, 제 1 밸브는 상기 U자형 배관부의 말단에 형성되어 토출 장치 미작동의 경우 토출액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제 2 밸브는 상기 U자형 배관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토출 배관 내의 유체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 배관에 제 3 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 3 밸브는 토출 배관과 교반/토출액 이송장치를 연결하는 이송 펌프의 측면에 구성함으로써 상기 이송 펌프로부터 이송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 1 밸브 내지 제 3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하고, 상기 이송 펌프와 저장 탱크 사이에 흐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흐름 감지 센서는 저장 탱크로부터 임시 저장 탱크로 이송되는 약액의 정상 이송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임시 저장 탱크는 약액을 저장할 수 있도록 밑면을 포함하는 통의 형상으로 구성하되, 파이프 마운트 타입(Pipe Mount Type) 또는 플랜지 마운트 타입(Flange Mount Type)으로 구성하며 토출 배관 근거리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U자형 배관은 S자형 배관 또는 P자형 배관으로 대체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U자형 배관, S자형 배관 및 P자형 배관은 단일 또는 복수개의 조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가스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임시 저장 탱크는 수평타입(Horizontal Type) 또는 수직타입(Vertical Type)으로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토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 하부에 약액 공급탱크를 더 구성함으로써, 교반 시 약액의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고 교반 중에도 지속적인 약액 공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저장탱크 및 약액 공급탱크 사이에 탱크 밸브를 더 구성하고, 상기 탱크 밸브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펌프는 제 3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약액의 공급과 회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토출 장치는 토출 배관 설치시, 설치 공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토출 배관을 근거리로 구성함으로써 저장탱크로부터 약액이 토출 되는데 까지 시간을 오래 소요하지 않아도 된다. 이로 인해, 최적의 토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출 배관부를 U자형으로 설계 및 가스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설계 하고, 기구부와 전장부를 분리하여 설계함으로써 가스 유입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정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토출 과정이 완료되면 이송 펌프를 이용하여 토출 배관 내의 약액을 저장 탱크로 회수함으로써 토출 배관에 고인 약액으로 인해 토출 배관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토출 장치는 저장 탱크와 약액 공급 탱크를 분리함으로써 저장 탱크가 교반 중에도 약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반/토출액 이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토출 장치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토출 배관, 이송 펌프 및 흐름 감지 센서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토출 장치를 도시한 전체적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토출 장치(200)는 교반/토출액 이송장치(100)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교반/토출액 이송장치(100)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토출 장치(200)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 장치(100)는 토출 배관(210), 이송 펌프(220), 임시 저장 탱크(300), 토출 펌프(310) 및, U자형 배관부(400)로 구성한다.
먼저, 토출 배관(210)은 교반/토출액 이송장치(100)에 연결되어 교반/토출액 이송장치(100)의 저장 탱크(101)로부터 약액을 이송하는 배관이다. 상기 토출 배관(210)은 이송 펌프(220)를 통해 펌핑된 약액을 임시 저장 탱크(300)로 이송하는데, 여기서 이송 펌프(220)는 토출 배관(210) 및 저장 탱크(101) 사이에 설치되며, 저장탱크(101)로부터 토출 배관(210)을 거쳐 임시 저장 탱크(300)로 이송되는 약액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송 펌프(220)는 순방향/역방향 운전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저장탱크(101)에서 임시 저장 탱크(300)로 약액이 이송될 때는 순방향 운전을 하고, 토출 과정이 끝난 후 토출 배관(210)에 남은 약액을 저장 탱크(101)로 회수할 때는 역방향 운전을 한다. 여기서, 종래의 저장 탱크(101)의 하부에 약액 공급탱크(108)를 더 구성함으로써 교반 시 약액의 일정한 농도를 유지할 수 있고, 교반 중에도 토출장치로 지속적인 약액 공급이 가능하다. 상기 약액 공급탱크(108)는 또한 상기 이송펌프(220)에 약액을 공급한다. 상기 저장탱크(101)와 약액 공급탱크(108)는 탱크 밸브(109)로 연결되는데, 상기 저장 탱크(101)가 교반 중일 경우 제어기(103)에서 탱크 밸브(109)를 닫힘 상태로 제어하여 저장 탱크(101)와 약액 공급탱크(108)를 분리한다. 또한, 저장 탱크(101)가 교반 중이 아닌 경우 제어기(103)에서 탱크 밸브(109)를 열림 상태로 제어하여 저장 탱크(101)의 약액이 약액 공급탱크(108)로 항상 유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탱크 밸브(109)는 상기 저장 탱크(101)가 교반 중인 경우에도 약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때, 상기 토출 배관(210) 및 이송 펌프(220)가 연결되는 토출 배관(210)의 말단에 제 3 밸브(23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3 밸브(230)는 저장탱크(101)부터 이송 펌프(220)를 통해 이송되는 약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토출 배관, 이송 펌프 및 흐름 감지 센서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펌프(220)와 저장 탱크(101) 사이에 흐름 감지 센서(250)를 구성하며, 흐름 감지 센서(250)는 저장탱크(101)로부터 임시 저장 탱크(300)로 이송되는 약액의 정상 이송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임시 저장 탱크(300)는 저장 탱크(101)로부터 토출 배관(210)을 통해 이송받은 약액을 저장하는 곳으로, 약액을 저장할 수 있도록 밑면을 포함하는 통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파이프 마운트 타입(Pipe Mount Type) 또는 플랜지 마운트 타입(Flange Mount Type)으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토출 배관(210) 근거리에 설치된다. 여기서, 임시 저장 탱크(300)에 저장된 약액은 토출 펌프(310)를 통해 토출 된다. 또한, 임시 저장 탱크(300)은 수평타입(Horizontal Type) 또는 수직타입(Vertical Type)으로 설치 가능하다.
이 때, 토출 펌프(310)는 종래의 토출 장치의 구동 모터, 오거링 스크류 등의 구성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설계 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임시 저장 탱크(300)는 고레벨 감지 센서(301), 저레벨 감지 센서(302) 및 공레벨 감지 센서(303)를 포함하고, 상기 고레벨 감지 센서(301)는 임시 저장 탱크(300) 내부에 저장된 약액의 만수위를, 상기 저레벨 감지 센서(302)는 임시 저장 탱크(300) 내부에 저장된 약액의 저수위를 각각 체크하는 센서이다. 그리고, 상기 공레벨 감지 센서(303)는 임시 저장 탱크(300) 내부에 저장된 약액의 비어 있는 상태를 체크하는 센서이다.
U자형 배관부(400)는 상기 임시 저장 탱크(300)에 연결되어 형성됨으로써 토출 배관(210) 내의 인화성 가스가 유입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안정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밸브(401) 및 제 2 밸브(4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밸브(401)는 상기 U자형 배관부(400)의 말단에 형성되어 토출 장치(20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토출액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제 2 밸브(402)는 상기 U자형 배관(400)의 상부에 형성되어 토출 배관(210) 내의 약액이 역류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U자형 배관은 S자형 배관 또는 P자형 배관으로 대체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U자형 배관, S자형 배관 및 P자형 배관은 단일 또는 복수개의 조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밸브(401, 402, 230)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어 배관 내부에 흐르는 약액을 제어하며, 솔레노이드 밸브 외의 다른 장치를 이용하여 배관을 개폐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토출 장치를 도시한 전체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토출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흐름에 의해, 이를 한정하지 않는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교반/토출액 이송장치 101 : 저장 탱크
102 : 교반기 103 : 교반 모터
104 : 제어기 105 : 만수위 감지 센서
106 : 저수위 감지 센서 107 : 게이지 센서
108 : 약액 공급 탱크 109 : 탱크 밸브
200 : 토출 장치 210 : 토출 배관
220 : 이송 펌프 230 : 제 3 밸브
250 : 흐름 감지 센서 300 : 임시 저장 탱크
301 : 고레벨 감지 센서 302 : 저레벨 감지 센서
303 : 공레벨 감지 센서 310 : 토출 펌프
400 : U자형 배관부 401 : 제 1 밸브
402 : 제 2 밸브

Claims (12)

  1. 약액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탱크를 구비하는 교반/토출액 이송장치의 상기 저장 탱크로부터 상기 약액을 이송하는 토출 배관,
    상기 저장 탱크와 상기 토출 배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교반/토출액 이송장치와 상기 토출 배관을 연결하고, 상기 토출 배관 내부에서 이송되는 상기 약액의 이송을 조절하는 이송 펌프,
    상기 토출 배관으로부터 이송받은 상기 약액을 저장하고 있고, 저장된 상기 약액의 만수위를 체크하는 고레벨 감지 센서, 상기 저장된 약액의 저수위를 체크하는 저레벨 감지 센서 및 상기 저장된 약액의 비어있는 상태를 체크하는 공레벨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임시 저장 탱크,
    상기 임시 저장 탱크에 저장된 상기 약액을 토출하는 토출 펌프, 그리고
    제 1 밸브 및 제 2 밸브를 구비하고 U 형상을 갖는 U자형 배관부
    를 포함하여 상기 약액을 상기 저장 탱크에서 상기 토출 배관으로 이송하거나 상기 약액을 상기 토출 배관에서 상기 저장 탱크로 이송하는 토출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배관부는 토출 배관 내의 인화성 가스 유입을 방지하고,
    제 1 밸브는 상기 U자형 배관부의 말단에 형성되어 토출 장치 미작동의 경우 토출액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제 2 밸브는 상기 U자형 배관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토출 배관 내의 유체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배관에 제 3 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 3 밸브는 토출 배관과 교반/토출액 이송장치를 연결하는 이송 펌프의 측면에 구성함으로써 상기 이송 펌프로부터 이송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 제 2 밸브 또는 제 3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펌프와 저장 탱크 사이에 흐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흐름 감지 센서는 저장 탱크로부터 임시 저장 탱크로 이송되는 약액의 정상 이송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저장 탱크는 약액을 저장할 수 있도록 밑면을 포함하는 통의 형상으로 구성하되,
    파이프 마운트 타입(Pipe Mount Type) 또는 플랜지 마운트 타입(Flange Mount Type)으로 구성하며, 토출 배관 근거리에 설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배관은 S자형 배관 또는 P자형 배관으로 대체되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U자형 배관, S자형 배관 및 P자형 배관은 단일 또는 복수개의 조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가스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저장탱크는 수평타입(Horizontal Type) 또는 수직타입(Vertical Type)으로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 하부에 약액 공급탱크를 더 구성함으로써, 교반 시 약액의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고 교반 중에도 지속적인 약액 공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 및 상기 약액 공급탱크 사이에 위치하는 탱크 밸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탱크 밸브는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되는 토출장치.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펌프는 제 3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약액의 공급과 회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장치.
KR1020110113668A 2011-11-03 2011-11-03 토출 장치 KR101326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668A KR101326073B1 (ko) 2011-11-03 2011-11-03 토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668A KR101326073B1 (ko) 2011-11-03 2011-11-03 토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819A KR20130048819A (ko) 2013-05-13
KR101326073B1 true KR101326073B1 (ko) 2013-11-07

Family

ID=4865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668A KR101326073B1 (ko) 2011-11-03 2011-11-03 토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0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9379A (ja) 2002-12-27 2004-07-29 Motonobu Ura 散布機
KR100687505B1 (ko) * 2005-11-04 2007-02-27 세메스 주식회사 슬릿코터의 예비토출장치
KR20070055842A (ko) * 2005-11-28 2007-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착제 토출장치
JP2009504382A (ja) 2005-08-12 2009-02-05 ティーエムシー−アイピー,エルエルシー 化学コーティングの塗布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9379A (ja) 2002-12-27 2004-07-29 Motonobu Ura 散布機
JP2009504382A (ja) 2005-08-12 2009-02-05 ティーエムシー−アイピー,エルエルシー 化学コーティングの塗布装置
KR100687505B1 (ko) * 2005-11-04 2007-02-27 세메스 주식회사 슬릿코터의 예비토출장치
KR20070055842A (ko) * 2005-11-28 2007-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착제 토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819A (ko) 2013-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386910Y (zh) 泥浆输送和清洗系统
JP2009120204A (ja) 低引火点燃料の貯蔵システム
KR102013696B1 (ko) 연료유의 가열방법 및 이것을 이용하는 연료유 이송장치
JP2008282907A (ja) 液体材料供給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体材料供給方法
KR101326073B1 (ko) 토출 장치
KR20130014096A (ko) 펌프의 공회전 방지장치
KR20170039360A (ko) 탱크 필터링 장치
RU2604171C2 (ru) Дозирующая установка в водно-гидравл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е
CN209792189U (zh) 一种尿素箱清洗装置
JP6932059B2 (ja) 燃料供給システムおよび燃料供給方法
JP5442569B2 (ja) 風呂給湯装置
KR100788906B1 (ko) 처리액 공급 방법
KR101658810B1 (ko) 연속식 혼합장치를 이용한 재생약액 공급 장치
JP2007182242A (ja) 液体供給システム
JP2006240727A (ja) 液体供給装置
KR100468061B1 (ko) 간이 상수도에서의 약액 자동 투입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07863313B (zh) 用于晶圆刻蚀的化学液供应装置及化学液供应方法
CN210369289U (zh) 一种隧道清淤的环流系统
JP2000055704A (ja) 液体供給システム
JP5004463B2 (ja) 油タンクからの油の抜き取り方法
JP6449130B2 (ja) 浸漬型検出器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CN218060543U (zh) 一种恒压供水管线中潜水泵的实时保护系统
KR20210030716A (ko) 플러싱 장치
JP2018066278A (ja) 給水装置および給水装置の運転方法
JP4138440B2 (ja) 薬液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