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857A -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 - Google Patents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857A
KR20180069857A KR1020187013562A KR20187013562A KR20180069857A KR 20180069857 A KR20180069857 A KR 20180069857A KR 1020187013562 A KR1020187013562 A KR 1020187013562A KR 20187013562 A KR20187013562 A KR 20187013562A KR 20180069857 A KR20180069857 A KR 20180069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eat source
medium
temperature liquefied
low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1985B1 (ko
Inventor
마사히데 이와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180069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17D1/04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for distribution of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17C2227/0309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using another fluid
    • F17C2227/0311Ai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17C2227/0309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using another fluid
    • F17C2227/0316Water heating
    • F17C2227/0318Water heating using sea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이며, 수용부(10)와, 중간 매체 증발부(E1)와,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E2)와, 하우징(31)과, 가스 가열부(E3)와,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41)와, 제2 열원 매체 공급 유로(42)와, 가스 유로(50)를 구비한다. 하우징(31)은, 동체부(32)와, 동체부(32)의 일방측의 단부에 설치된 제1 유입부(32a)와, 동체부(32)의 타방측의 단부에 설치된 제2 유입부(32b)와, 동체부(32) 중 일방측의 단부와 타방측의 단부의 사이의 부위에 설치된 유출부(32c)를 갖는다. 가스 유로(50)는, 가스의 일부를 제1 유입부(32a)에 공급하는 제1 가스 유로(50a)와, 가스의 잔부를 제2 유입부(32b)에 공급하는 제2 가스 유로(50b)를 갖는다.

Description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
본 발명은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화 천연 가스(LNG) 등의 저온 액화 가스를 중간 매체(프로판 등)를 사용하여 기화시키는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IFV)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중간 매체를 수용하는 셸과, 중간 매체 증발관과, 전열관과, NG 가온기와, NG 도관과, 열원 매체 공급관과, 열원 매체 도관을 구비하는 가스 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중간 매체 증발관은 셸 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 매체 증발관 내에는 열원 매체가 공급된다. 중간 매체 증발관은, 당해 중간 매체 증발관 내를 흐르는 열원 매체와 액상의 중간 매체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중간 매체를 증발시킨다.
전열관은 셸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전열관 내에는 LNG가 공급된다. 전열관은, 당해 전열관 내를 흐르는 LNG와 기상의 중간 매체를 열교환시킴으로써 LNG를 기화시킨다.
NG 가온기는, 복수의 열원관과, 이들 열원관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갖고 있다. 각 열원관에는 열원 매체 공급관을 통하여 열원 매체가 공급되고, 하우징 내에는 NG 도관을 통하여 전열관으로부터 유출된 NG가 유도된다. 하우징은 셸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열원 매체 도관은, NG 가온기의 열원관으로부터 유출된 열원 매체를 셸 내의 중간 매체 증발관 내로 유도한다. 즉, 열원 매체는, 열원관 및 중간 매체 증발관을 이 순서대로 직렬로 흐른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에서는, NG 가온기가 대형화된다. 구체적으로, 열원관에 있어서 NG를 가열하는 데 필요한 열량과, 중간 매체 증발관에 있어서 액상의 중간 매체를 증발시키는 데 필요한 열량은, 전자 쪽이 작기는 하지만, 상기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에서는, 열원 매체가 열원관 및 중간 매체 증발관을 직렬로 흐르므로, 열원관에는 중간 매체 증발관에 대한 유량과 동일한 유량의 열원 매체가 공급된다. 이 때문에, 가온기의 열원관의 관 수가 많아지므로, 하우징(NG 가온기)이 대직경화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00995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소직경화가 가능한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원관(이하, 「가스 가열부」라고 함) 및 중간 매체 증발관(이하, 「중간 매체 증발부」라고 함)에 대하여 병렬로 열원 매체를 공급하는 것, 즉 중간 매체 증발부에 열원 매체를 공급하는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와, 가스 가열부에 열원 매체를 공급하는 제2 열원 매체 공급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하면, 중간 매체 증발부에 필요한 열원 매체의 유량과는 독립적으로 가스 가열부에 공급하는 열원 매체의 유량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가스 가열부의 열원관의 개수의 저감이 가능하게 되므로, 가온기의 하우징의 소직경화가 가능하게 된다. 단, 하우징의 소직경화에 의해, 하우징 내를 흐르는 가스의 유속이 커지므로, 당해 가스의 에너지에 의해 가스 가열부가 진동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상기 에너지는 하우징의 단면당의 가스 유량의 증감에 수반하여 증감하므로, 이 유량을 저감시키는 것, 즉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로부터 유출된 가스의 전량이 균일하게 하우징 내를 흐르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 내에 있어서의 가스의 유로를 나눔으로써, 가스 가열부의 진동을 억제 가능하다는 것에 상도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르는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는, 저온 액화 가스를 당해 저온 액화 가스의 비점보다 높은 비점을 갖는 중간 매체를 사용하여 기화시키는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이며, 상기 중간 매체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있고, 열원 매체가 도입되는 중간 매체 증발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저온 액화 가스가 도입되는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와,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에서의 상기 저온 액화 가스의 기화에 의해 발생한 가스가 도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열원 매체가 도입되는 가스 가열부와,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에 상기 열원 매체를 공급하는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와, 상기 가스 가열부에 상기 열원 매체를 공급하는 제2 열원 매체 공급 유로와,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로부터 유출된 가스를 상기 하우징으로 유도하는 가스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는, 당해 중간 매체 증발부 내를 흐르는 상기 열원 매체와 당해 중간 매체 증발부 밖에 존재하는 상기 중간 매체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증발시키고,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는, 당해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 내를 흐르는 상기 저온 액화 가스와 당해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 밖에 존재하는 상기 중간 매체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저온 액화 가스의 적어도 일부를 기화시키고, 상기 가스 가열부는, 당해 가스 가열부 내를 흐르는 상기 열원 매체와 당해 가스 가열부 밖에 존재하는 상기 가스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가스를 가열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스 가열부를 수용하는 동체부와, 상기 동체부의 일방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를 상기 동체부 내로 유입시키는 제1 유입부와, 상기 동체부의 타방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를 상기 동체부 내로 유입시키는 제2 유입부와, 상기 동체부 중 상기 일방측의 단부와 상기 타방측의 단부의 사이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를 상기 동체부로부터 유출시키는 유출부를 갖고, 상기 가스 유로는,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로부터 유출된 가스의 일부를 상기 제1 유입부에 공급하는 제1 가스 유로와,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로부터 유출된 가스의 잔부를 상기 제2 유입부에 공급하는 제2 가스 유로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수용부와 하우징의 배치 관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가온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1)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1)는, 저온 액화 가스를 당해 저온 액화 가스의 비점보다 높은 비점을 갖는 중간 매체를 사용하여 기화시키는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IFV)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온 액화 가스로서 액화 천연 가스(LNG)가 사용되고, 중간 매체로서 프로판이 사용되고 있다. 단, 저온 액화 가스는 에틸렌, 액화 산소, 액화 질소 등이어도 된다. 또한, 중간 매체는 프로판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1)에서는, 중간 매체의 가열은 열원 매체(해수나 대기 등)에 의해 행해진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1)는, 중간 매체(2)와, 중간 매체(2)를 수용하는 수용부(10)와, 중간 매체 증발부(E1)와,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E2)와, 가온기(30)와,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41)와, 제2 열원 매체 공급 유로(42)와, 가스 유로(50)를 구비하고 있다.
수용부(10)는, 중간 매체(2), 중간 매체 증발부(E1) 및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E2)를 통합하여 수용하는 단일의 케이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 매체 증발부(E1)는 수용부(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간 매체 증발부(E1)는 수용부(10) 내의 하부(액상의 중간 매체(2)에 잠기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 매체 증발부(E1)는 복수의 전열관의 다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중간 매체 증발부(E1) 내에 열원 매체가 도입된다. 중간 매체 증발부(E1)는, 당해 중간 매체 증발부(E1) 내를 흐르는 열원 매체와 수용부(10) 내의 하부에 존재하는 액상의 중간 매체(2)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중간 매체(2)의 적어도 일부를 증발시킨다.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E2)는 수용부(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E2)는 수용부(10) 내의 상부(기상의 중간 매체(2)가 존재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E2)는 U자형으로 형성된 전열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E2) 내에 저온 액화 가스가 도입된다.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E2)는, 당해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E2) 내를 흐르는 저온 액화 가스와 수용부(10) 내의 기상의 중간 매체(2)를 열교환시킴으로써 당해 저온 액화 가스의 적어도 일부를 기화시킨다.
수용부(10)의 일방측의 단부의 하부에는, 서로 구획판(20)으로 구획된 입구실(21) 및 출구실(22)이 접속되어 있다. 입구실(21) 및 출구실(22)은, 각각 중간 매체 증발부(E1) 내와 연통되어 있다. 수용부(10)의 타방측의 단부의 하부에는, 반환실(23)이 접속되어 있다. 반환실(23)은 중간 매체 증발부(E1) 내와 연통되어 있다. 즉, 중간 매체 증발부(E1)는, 소위 2패스 방식이다.
수용부(10)의 상부에는, 서로 구획판(24)으로 구획된 입구실(25) 및 출구실(26)이 접속되어 있다.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E2)의 일단은,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E2) 내와 입구실(25) 내가 연통되도록 입구실(25)에 접속되어 있다.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E2)의 타단은,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E2) 내와 출구실(26) 내가 연통되도록 출구실(26)에 접속되어 있다.
가온기(30)는, 저온 액화 가스의 기화에 의해 발생한 가스를 가열한다. 가온기(30)는, 열원 매체가 도입되는 가스 가열부(E3)와, 가스 가열부(E3)를 수용하는 하우징(31)을 갖고 있다.
가스 가열부(E3)는, 복수의 전열관의 다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스 가열부(E3)는, 당해 가스 가열부(E3) 내를 흐르는 열원 매체와 하우징(31) 내에 공급된 가스를 열교환시킴으로써 가스를 가열한다.
하우징(31)은, 동체부(32)와, 제1 유입부(32a)와, 제2 유입부(32b)와, 유출부(32c)를 갖고 있다.
동체부(32)는, 가스 가열부(E3)를 수용 가능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유입부(32a)는, 동체부(32)의 일방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가스를 동체부(32) 내로 유입시킨다. 제2 유입부(32b)는, 동체부(32)의 타방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가스를 동체부(32) 내로 유입시킨다. 유출부(32c)는, 동체부(32) 중 일방측의 단부와 타방측의 단부의 사이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고, 가스를 동체부(32)로부터 유출시킨다.
동체부(32)의 일방측의 단부에는, 서로 구획판(35)으로 구획된 입구실(36) 및 출구실(37)이 접속되어 있다. 입구실(36) 및 출구실(37)은, 각각 가스 가열부(E3) 내와 연통되어 있다. 동체부(32)의 타방측의 단부에는, 반환실(38)이 접속되어 있다. 반환실(38)은 가스 가열부(E3) 내와 연통되어 있다. 즉, 가스 가열부(E3)는, 소위 2패스 방식이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온기(30)는 수용부(10)의 상부에 적재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체부(32)의 길이 L3의 동체부(32)의 직경 D3에 대한 비율 L3/D3은, 5 이상 10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동체부(32)의 직경 D3의 수용부(10)의 직경 D1에 대한 비율 D3/D1은, 0.5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수용부(10)의 길이 L1의 동체부(32)의 길이 L3에 대한 비율 L1/L3은, 0.8 이상 1.3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41)는, 중간 매체 증발부(E1)에 열원 매체를 공급하는 유로이다.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41)는, 수용부(10)에 접속된 입구실(21)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41)에는, 개방도 조정이 가능한 제1 개폐 밸브(V1)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열원 매체 공급 유로(42)는, 가스 가열부(E3)에 열원 매체를 공급하는 유로이다. 제2 열원 매체 공급 유로(42)는, 동체부(32)에 접속된 입구실(36)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열원 매체 공급 유로(42)에는, 개방도 조정이 가능한 제2 개폐 밸브(V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 공급 유로(40)와 열원 매체 합류 유로(43)를 더 구비하고 있다.
공통 공급 유로(40)는,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41)와 제2 열원 매체 공급 유로(42)에 열원 매체를 공급하는 유로이다. 공통 공급 유로(40)에는, 열원 매체의 유량을 조정 가능한 유량 조정부(개폐 밸브, 유량계 등)가 설치되어 있다. 각 개폐 밸브(V1, V2)의 개방도는, 공통 공급 유로(40)로부터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41)로 분기된 열원 매체의 유량과 열원 매체 합류 유로(43)를 통하여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41)에 합류된 열원 매체의 유량을 합한 양의, 공통 공급 유로(40)로부터 제2 열원 매체 공급 유로(42)로 분기된 열원 매체의 유량에 대한 비율, 즉 중간 매체 증발부(E1)에 대한 열원 매체의 공급량의, 가스 가열부(E3)에 대한 열원 매체의 공급량에 대한 공급 비율이 3 이상 5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 개폐 밸브(V1, V2)는, 미리 개방도가 설정되어 있고 교체 가능한 제한 오리피스여도 된다.
열원 매체 합류 유로(43)는, 가스 가열부(E3)로부터 유출된 열원 매체를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41)에 합류시키는 유로이다. 구체적으로, 열원 매체 합류 유로(43)의 상류측의 단부는, 동체부(32)에 접속된 출구실(37)에 접속되어 있다. 열원 매체 합류 유로(43)의 하류측의 단부는,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41) 중 제1 개폐 밸브(V1)와 입구실(21)의 사이의 부위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열원 매체 합류 유로(43)의 하류측의 단부는, 직접 입구실(21)에 접속되어도 된다.
가스 유로(50)는,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E2)로부터 유출된 가스를 하우징(31)으로 유도하는 유로이다. 가스 유로(50)의 상류측의 단부는, 수용부(10)에 접속된 출구실(26)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스 유로(50)의 하류측의 부위는 두 갈래로 분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가스 유로(50)는,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E2)로부터 유출된 가스의 일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절반)를 제1 유입부(32a)에 공급하는 제1 가스 유로(50a)와,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E2)로부터 유출된 가스의 잔부를 제2 유입부(32b)에 공급하는 제2 가스 유로(50b)를 갖고 있다. 제1 가스 유로(50a)의 하류측의 단부는 제1 유입부(32a)에 접속되어 있고, 제2 가스 유로(50b)의 하류측의 단부는 제2 유입부(32b)에 접속되어 있다.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1)가 구동되면,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41)를 통하여 입구실(21)에 열원 매체가 공급됨과 함께 제2 열원 매체 공급 유로(42)를 통하여 입구실(36)에 열원 매체가 공급되는 한편, 입구실(25)에 LNG가 공급된다.
입구실(21)에 공급된 열원 매체는, 중간 매체 증발부(E1), 반환실(23), 중간 매체 증발부(E1), 출구실(22)을 이 순서대로 흐른 후,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열원 매체는, 중간 매체 증발부(E1)에 있어서, 액상의 중간 매체(2)를 가열하고, 이에 의해 중간 매체(2)의 적어도 일부가 증발한다. 입구실(36)에 공급된 열원 매체는, 가스 가열부(E3), 반환실(38), 가스 가열부(E3), 출구실(37)을 이 순서대로 흐른 후, 열원 매체 합류 유로(43)를 통하여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41)에 합류된다. 이때, 열원 매체는, 가스 가열부(E3)에 있어서, 가스(NG)를 가열한다.
한편, 입구실(25)에 공급된 LNG는,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E2) 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용부(10) 내에 있어서 기상의 중간 매체(2)로부터 열을 받음으로써 기화한다.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E2)로부터 유출된 저온의 NG는, 출구실(26) 및 가스 유로(50)를 경유하여 하우징(31) 내로 유입된다. 구체적으로, 출구실(26)로부터 유출된 저온의 NG의 50%는, 제1 가스 유로(50a) 및 제1 유입부(32a)를 통하여 동체부(32) 내로 유입되고, 출구실(26)로부터 유출된 저온의 NG의 나머지 50%는, 제2 가스 유로(50b) 및 제2 유입부(32b)를 통하여 동체부(32) 내로 유입된다. 제1 유입부(32a)로부터 동체부(32) 내로 유입된 저온의 NG 및 제2 유입부(32b)로부터 동체부(32) 내로 유입된 저온의 NG는, 각각 유출부(32c)를 향하는 과정에서 가스 가열부(E3) 내를 흐르는 열원 매체에 의해 가열된 후, 유출부(32c)로부터 상온의 NG로 되어 유출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1)에서는,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41) 및 제2 열원 매체 공급 유로(42)에 의해 가스 가열부(E3) 및 중간 매체 증발부(E1)에 대하여 병렬적으로 열원 매체가 공급되므로, 하우징(31)의 소직경화가 가능하게 되고, 게다가, 하우징(31) 내에 있어서의 가스의 유로가 나누어져 있으므로, 가스 가열부(E3)의 진동이 억제된다. 구체적으로,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E2)로부터 유출된 가스의 약 절반은, 제1 가스 유로(50a) 및 제1 유입부(32a)로부터 동체부(32) 내로 유입되고 나서 유출부(32c)를 향하는 한편, 상기 가스의 나머지 약 절반은, 제2 가스 유로(50b) 및 제2 유입부(32b)로부터 동체부 내로 유입되고 나서 유출부를 향하므로, 동체부(32)의 단면당의 가스 유량이 저감된다. 따라서,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E2)로부터 유출된 가스의 전량이 균일하게 동체부(32) 내를 흐르는 경우에 비하여, 동체부(32) 내를 흐르는 가스의 에너지가 약 4분의 1로 되므로, 가스 가열부(E3)의 진동이 억제된다.
그리고, 가스 가열부(E3) 및 중간 매체 증발부(E1)에 대하여 병렬적으로 열원 매체가 공급됨으로써, 가스 가열부(E3)를 구성하는 전열관의 수가 저감되므로, 전열관의 용접 개소나 관 판의 두께의 저감에 기인하여 제조 비용이 대폭 삭감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개폐 밸브(V1, V2)의 개방도는, 상기 공급 비율이 3 이상 5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하우징(31)의 소직경화와 가스 가열부(E3)의 진동의 억제의 양쪽이 유효하게 달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원 매체 합류 유로(43)를 갖고 있으므로, 중간 매체 증발부(E1)에 대한 열원 매체의 공급량이 확보된다. 이 때문에, 상기 공급 비율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가스 가열부(E3)에 대한 열원 매체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스 가열부(E3)에 있어서 열원 매체가 가스에 제공하는 열량이 증가하므로, 가스 가열부(E3)의 전열 면적을 작게 하는 등 가스 가열부(E3)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 형태의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동체부(32)의 일방측의 단부에 입구실(36a)이 접속되고, 동체부(32)의 타방측의 단부에 출구실(37a)이 접속되어도 된다. 즉, 가스 가열부(E3)는, 소위 1패스 방식으로 되어도 된다. 이것은 중간 매체 증발부(E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온기(30)는 수용부(10)의 측방에 적재되어도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31)은, 동체부(32)와, 동체부(32)의 일방측의 단부에 설치된 제1 유출부(32d)와, 동체부(32)의 타방측의 단부에 설치된 제2 유출부(32e)와, 동체부(32) 중 일방측의 단부와 타방측의 단부의 사이의 부위에 설치된 유입부(32f)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가스 유로(50)의 하류측의 부위는, 두 갈래로 분기되지 않고 유입부(32f)에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실시 형태의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 장치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실시 형태의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는, 저온 액화 가스를 당해 저온 액화 가스의 비점보다 높은 비점을 갖는 중간 매체를 사용하여 기화시키는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이며, 상기 중간 매체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있고, 열원 매체가 도입되는 중간 매체 증발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저온 액화 가스가 도입되는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와,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에서의 상기 저온 액화 가스의 기화에 의해 발생한 가스가 도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열원 매체가 도입되는 가스 가열부와,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에 상기 열원 매체를 공급하는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와, 상기 가스 가열부에 상기 열원 매체를 공급하는 제2 열원 매체 공급 유로와,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로부터 유출된 가스를 상기 하우징으로 유도하는 가스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는, 당해 중간 매체 증발부 내를 흐르는 상기 열원 매체와 당해 중간 매체 증발부 밖에 존재하는 상기 중간 매체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증발시키고,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는, 당해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 내를 흐르는 상기 저온 액화 가스와 당해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 밖에 존재하는 상기 중간 매체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저온 액화 가스의 적어도 일부를 기화시키고, 상기 가스 가열부는, 당해 가스 가열부 내를 흐르는 상기 열원 매체와 당해 가스 가열부 밖에 존재하는 상기 가스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가스를 가열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스 가열부를 수용하는 동체부와, 상기 동체부의 일방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를 상기 동체부 내로 유입시키는 제1 유입부와, 상기 동체부의 타방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를 상기 동체부 내로 유입시키는 제2 유입부와, 상기 동체부 중 상기 일방측의 단부와 상기 타방측의 단부의 사이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를 상기 동체부로부터 유출시키는 유출부를 갖고, 상기 가스 유로는,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로부터 유출된 가스의 일부를 상기 제1 유입부에 공급하는 제1 가스 유로와,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로부터 유출된 가스의 잔부를 상기 제2 유입부에 공급하는 제2 가스 유로를 갖는다.
본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에서는,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 및 제2 열원 매체 공급 유로에 의해 가스 가열부 및 중간 매체 증발부에 대하여 병렬적으로 열원 매체가 공급되므로, 하우징의 소직경화가 가능하게 되고, 게다가 하우징 내에 있어서의 가스의 유로가 나누어져 있으므로, 가스 가열부의 진동이 억제된다. 구체적으로,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로부터 유출된 가스의 일부는, 제1 가스 유로 및 제1 유입부로부터 동체부 내로 유입되고 나서 유출부를 향하는 한편, 상기 가스의 잔부는, 제2 가스 유로 및 제2 유입부로부터 동체부 내로 유입되고 나서 유출부를 향하므로, 동체부의 단면당의 가스 유량이 저감된다. 따라서, 가스 가열부의 진동이 억제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열원 매체를 상기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와 상기 제2 열원 매체 공급 유로에 공급하는 공통 공급 유로와, 상기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에 설치되어 있고, 개방도 조정이 가능한 제1 개폐 밸브와, 상기 제2 열원 매체 공급 유로에 설치되어 있고, 개방도 조정이 가능한 제2 개폐 밸브를 더 구비하고, 각 개폐 밸브의 개방도는,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에 대한 상기 열원 매체의 공급량의 상기 가스 가열부에 대한 상기 열원 매체의 공급량에 대한 공급 비율이 3 이상 5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하우징의 소직경화와 가스 가열부의 진동의 억제의 양쪽이 유효하게 달성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가스 가열부로부터 유출된 열원 매체를 상기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에 합류시키는 열원 매체 합류 유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중간 매체 증발부에 대한 열원 매체의 공급량이 확보되므로, 상기 공급 비율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가스 가열부에 대한 열원 매체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스 가열부에 있어서 열원 매체가 가스에 제공하는 열량이 증가하므로, 가스 가열부의 전열 면적을 작게 하는 등 가스 가열부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의 길이의 상기 동체부의 직경에 대한 비율은, 5 이상 10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의 직경의 상기 수용부의 직경에 대한 비율은, 0.5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길이의 상기 동체부의 길이에 대한 비율은, 1.3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의 일방측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가스 가열부 내와 연통되는 입구실과, 상기 동체부의 일방측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가스 가열부 내와 연통되는 출구실과, 상기 동체부의 일방측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입구실과 상기 출구실을 구획하는 구획벽과, 상기 동체부의 타방측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가스 가열부 내와 연통되는 반환실을 더 구비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가스 가열부의 길이가 대략 절반이 되므로, 가온기 전체의 길이가 단축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는, 저온 액화 가스를 당해 저온 액화 가스의 비점보다 높은 비점을 갖는 중간 매체를 사용하여 기화시키는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이며, 상기 중간 매체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있고, 열원 매체가 도입되는 중간 매체 증발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저온 액화 가스가 도입되는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에서의 상기 저온 액화 가스의 기화에 의해 발생한 가스가 도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열원 매체가 도입되는 가스 가열부와,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에 상기 열원 매체를 공급하는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와, 상기 가스 가열부에 상기 열원 매체를 공급하는 제2 열원 매체 공급 유로와,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로부터 유출된 가스를 상기 하우징으로 유도하는 가스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는, 당해 중간 매체 증발부 내를 흐르는 상기 열원 매체와 당해 중간 매체 증발부 밖에 존재하는 상기 중간 매체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증발시키고,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는, 당해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 내를 흐르는 상기 저온 액화 가스와 당해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 밖에 존재하는 상기 중간 매체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저온 액화 가스의 적어도 일부를 기화시키고, 상기 가스 가열부는, 당해 가스 가열부 내를 흐르는 상기 열원 매체와 당해 가스 가열부 밖에 존재하는 상기 가스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가스를 가열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스 가열부를 수용하는 동체부와, 상기 동체부의 일방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를 상기 동체부로부터 유출시키는 제1 유출부와, 상기 동체부의 타방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를 상기 동체부로부터 유출시키는 제2 유출부와, 상기 동체부 중 상기 일방측의 단부와 상기 타방측의 단부의 사이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를 상기 동체부 내로 유입시키는 유입부를 갖고, 상기 가스 유로의 하류측의 단부는, 상기 유입부에 접속되어 있다.
본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에 있어서도, 하우징의 소직경화가 가능하게 되고, 게다가 하우징 내에 있어서의 가스의 유로가 나누어져 있으므로, 가스 가열부의 진동이 억제된다.

Claims (8)

  1. 저온 액화 가스를 당해 저온 액화 가스의 비점보다 높은 비점을 갖는 중간 매체를 사용하여 기화시키는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이며,
    상기 중간 매체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있고, 열원 매체가 도입되는 중간 매체 증발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저온 액화 가스가 도입되는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와,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에서의 상기 저온 액화 가스의 기화에 의해 발생한 가스가 도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열원 매체가 도입되는 가스 가열부와,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에 상기 열원 매체를 공급하는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와,
    상기 가스 가열부에 상기 열원 매체를 공급하는 제2 열원 매체 공급 유로와,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로부터 유출된 가스를 상기 하우징으로 유도하는 가스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는, 당해 중간 매체 증발부 내를 흐르는 상기 열원 매체와 당해 중간 매체 증발부 밖에 존재하는 상기 중간 매체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증발시키고,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는, 당해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 내를 흐르는 상기 저온 액화 가스와 당해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 밖에 존재하는 상기 중간 매체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저온 액화 가스의 적어도 일부를 기화시키고,
    상기 가스 가열부는, 당해 가스 가열부 내를 흐르는 상기 열원 매체와 당해 가스 가열부 밖에 존재하는 상기 가스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가스를 가열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스 가열부를 수용하는 동체부와,
    상기 동체부의 일방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를 상기 동체부 내로 유입시키는 제1 유입부와,
    상기 동체부의 타방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를 상기 동체부 내로 유입시키는 제2 유입부와,
    상기 동체부 중 상기 일방측의 단부와 상기 타방측의 단부의 사이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를 상기 동체부로부터 유출시키는 유출부를 갖고,
    상기 가스 유로는,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로부터 유출된 가스의 일부를 상기 제1 유입부에 공급하는 제1 가스 유로와,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로부터 유출된 가스의 잔부를 상기 제2 유입부에 공급하는 제2 가스 유로를 갖는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매체를 상기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와 상기 제2 열원 매체 공급 유로에 공급하는 공통 공급 유로와,
    상기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에 설치되어 있고, 개방도 조정이 가능한 제1 개폐 밸브와,
    상기 제2 열원 매체 공급 유로에 설치되어 있고, 개방도 조정이 가능한 제2 개폐 밸브를 더 구비하고,
    각 개폐 밸브의 개방도는,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에 대한 상기 열원 매체의 공급량의, 상기 가스 가열부에 대한 상기 열원 매체의 공급량에 대한 공급 비율이 3 이상 5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가열부로부터 유출된 열원 매체를 상기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에 합류시키는 열원 매체 합류 유로를 더 구비하는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의 길이의 상기 동체부의 직경에 대한 비율은 5 이상 10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의 직경의 상기 수용부의 직경에 대한 비율은 0.5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길이의 상기 동체부의 길이에 대한 비율은 1.3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의 일방측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가스 가열부 내와 연통되는 입구실과,
    상기 동체부의 일방측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가스 가열부 내와 연통되는 출구실과,
    상기 동체부의 일방측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입구실과 상기 출구실을 구획하는 구획벽과,
    상기 동체부의 타방측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가스 가열부 내와 연통되는 반환실을 더 구비하는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
  8. 저온 액화 가스를 당해 저온 액화 가스의 비점보다 높은 비점을 갖는 중간 매체를 사용하여 기화시키는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이며,
    상기 중간 매체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있고, 열원 매체가 도입되는 중간 매체 증발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저온 액화 가스가 도입되는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와,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에서의 상기 저온 액화 가스의 기화에 의해 발생한 가스가 도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열원 매체가 도입되는 가스 가열부와,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에 상기 열원 매체를 공급하는 제1 열원 매체 공급 유로와,
    상기 가스 가열부에 상기 열원 매체를 공급하는 제2 열원 매체 공급 유로와,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로부터 유출된 가스를 상기 하우징으로 유도하는 가스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는, 당해 중간 매체 증발부 내를 흐르는 상기 열원 매체와 당해 중간 매체 증발부 밖에 존재하는 상기 중간 매체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증발시키고,
    상기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는, 당해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 내를 흐르는 상기 저온 액화 가스와 당해 저온 액화 가스 기화부 밖에 존재하는 상기 중간 매체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저온 액화 가스의 적어도 일부를 기화시키고,
    상기 가스 가열부는, 당해 가스 가열부 내를 흐르는 상기 열원 매체와 당해 가스 가열부 밖에 존재하는 상기 가스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가스를 가열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스 가열부를 수용하는 동체부와,
    상기 동체부의 일방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를 상기 동체부로부터 유출시키는 제1 유출부와,
    상기 동체부의 타방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를 상기 동체부로부터 유출시키는 제2 유출부와,
    상기 동체부 중 상기 일방측의 단부와 상기 타방측의 단부의 사이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를 상기 동체부 내로 유입시키는 유입부를 갖고,
    상기 가스 유로의 하류측의 단부는, 상기 유입부에 접속되어 있는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
KR1020187013562A 2015-10-21 2016-10-06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 KR1020719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07135A JP6454628B2 (ja) 2015-10-21 2015-10-21 中間媒体式ガス気化器
JPJP-P-2015-207135 2015-10-21
PCT/JP2016/079719 WO2017068983A1 (ja) 2015-10-21 2016-10-06 中間媒体式ガス気化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857A true KR20180069857A (ko) 2018-06-25
KR102071985B1 KR102071985B1 (ko) 2020-01-31

Family

ID=5855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562A KR102071985B1 (ko) 2015-10-21 2016-10-06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54628B2 (ko)
KR (1) KR102071985B1 (ko)
CN (1) CN108351072B (ko)
SG (1) SG11201803070SA (ko)
WO (1) WO20170689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78738A (ja) * 2018-03-30 2019-10-17 大阪瓦斯株式会社 液化天然ガス気化器
JP2019178737A (ja) * 2018-03-30 2019-10-17 大阪瓦斯株式会社 液化天然ガス気化器及び液化天然ガス気化器の運転方法
CN110761864B (zh) * 2019-11-08 2021-12-07 江苏科技大学 一种新型液化天然气动力集装箱船冷能综合利用系统
CN115479209B (zh) * 2022-11-15 2023-03-10 无锡特莱姆气体设备有限公司 一种高效节能的中间介质气化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0585A (en) * 1979-08-22 1981-03-27 Chiyoda Chem Eng & Constr Co Ltd Lng evaporation apparatus
JPS5777800U (ko) * 1981-08-27 1982-05-13
JP2001200995A (ja) 2000-01-18 2001-07-27 Kobe Steel Ltd 中間媒体式気化器及び当該気化器を用いた天然ガスの供給方法
KR20070066560A (ko) * 2005-12-22 2007-06-27 한국가스공사 중간매체식 기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6289A (en) * 1975-01-20 1977-07-19 General Atomic Company Heat exchanger tube bundle support system
JPS59194200A (ja) * 1984-03-30 1984-11-02 Hitachi Ltd 中間媒体封入型液化ガス気化器
DE102004045021B4 (de) * 2004-09-15 2013-07-11 Behr Gmbh & Co. Kg Wärmetauscher für Verbrennungsmotoren
JP2006189240A (ja) * 2004-12-07 2006-07-20 Tgk Co Ltd 膨張装置
JP2007247797A (ja) * 2006-03-16 2007-09-27 Ihi Corp Lngベーパライザ
JP2008286438A (ja) * 2007-05-16 2008-11-27 Tohoku Univ 揮発性溶液の添加装置およびガス化方法
US20090272034A1 (en) * 2008-04-30 2009-11-05 Cliff Yi Guo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piping vibration
JP5999874B2 (ja) * 2011-02-28 2016-09-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の再ガス化装置および再ガス化ガス製造方法
CN102829326B (zh) * 2012-09-12 2014-07-23 镇海石化建安工程有限公司 一种蒸汽加热水浴式汽化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0585A (en) * 1979-08-22 1981-03-27 Chiyoda Chem Eng & Constr Co Ltd Lng evaporation apparatus
JPS5777800U (ko) * 1981-08-27 1982-05-13
JPS5824080Y2 (ja) * 1981-08-27 1983-05-23 大阪瓦斯株式会社 液化天然ガス気化器
JP2001200995A (ja) 2000-01-18 2001-07-27 Kobe Steel Ltd 中間媒体式気化器及び当該気化器を用いた天然ガスの供給方法
KR20070066560A (ko) * 2005-12-22 2007-06-27 한국가스공사 중간매체식 기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51072A (zh) 2018-07-31
KR102071985B1 (ko) 2020-01-31
JP6454628B2 (ja) 2019-01-16
JP2017078475A (ja) 2017-04-27
WO2017068983A1 (ja) 2017-04-27
CN108351072B (zh) 2020-07-10
SG11201803070SA (en)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9857A (ko)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
JP3946398B2 (ja) 中間媒体式気化器及び当該気化器を用いた天然ガスの供給方法
KR102520903B1 (ko) 압력 축적 극저온 유체 전달 시스템
KR101476965B1 (ko) 선박, 액화가스 증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그 개선 방법
TWI672756B (zh) 流體加熱器、加熱塊及氣化系統
JP2016122841A (ja) 気化システム
CN109536923A (zh) 多托盘压载抽蒸气系统
KR20150114417A (ko) 차량 공급 시스템 및 차량에서의 열-유압 유닛의 사용
KR102086641B1 (ko) 중간 매체식 기화기
CN111902672B (zh) 中间介质式气化器
TWI263013B (en) Continuous-flow steam generator and its operation method
CN105980807A (zh) 非对称式蒸发器
CN104428619B (zh) 用于加热液化的流体的装置以及方法
RU2014145702A (ru) Испар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работы
CN106456928A (zh) 用于将麻醉剂配量到气体流中的装置和方法
JP2015102324A5 (ko)
JP2016125567A (ja) 液化ガス用気化装置
JP5473720B2 (ja) タービン装置及びそのタービン装置を備えた冷熱発電システム
JP6058930B2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WO2023047937A1 (ja) 液体水素気化装置及び水素を生成する生成方法
KR101644343B1 (ko) 순환식 기화장치
PH12020551569A1 (en) Liquefied natural gas vaporization system
WO2022124292A1 (ja) 気化器及び気化方法
WO2022075111A1 (ja) 気化装置、ガス供給装置及びガス供給装置の制御方法
KR20230042639A (ko) 액체 재료 기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