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965B1 - 선박, 액화가스 증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그 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액화가스 증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그 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965B1
KR101476965B1 KR1020147021184A KR20147021184A KR101476965B1 KR 101476965 B1 KR101476965 B1 KR 101476965B1 KR 1020147021184 A KR1020147021184 A KR 1020147021184A KR 20147021184 A KR20147021184 A KR 20147021184A KR 101476965 B1 KR101476965 B1 KR 101476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flow rate
gas
pipe
m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8716A (ko
Inventor
마사루 오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8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5/00Measuring a proportion of the volume fl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9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 G05D7/0635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4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relating to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5Propane butane,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4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other properties of 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 F17C2223/042Localisation of the removal point
    • F17C2223/046Localisation of the removal point in the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07Single phase
    • F17C2225/0123Single phase gaseous, e.g. CNG, GN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3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5/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14Propulsion of the fluid with vacuum injectors, e.g. venturi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67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 F17C2227/0388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 F17C2227/0393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using a vapori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39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43Flow or movement of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6Controlling or regulating of parameters as output values
    • F17C2250/0605Parameters
    • F17C2250/0631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6Controlling or regulating of parameters as output values
    • F17C2250/0605Parameters
    • F17C2250/0636Flow or movement of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2Improving properties related to fluid or fluid transfer
    • F17C2260/024Improving me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17C2265/066Fluid distribution for feeding engines for propul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이 선박은, 주배관(5)으로부터 분기하여 바이패스되며, 주배관(5)에 재합류하도록 마련되고, 주배관(5)보다 저유량으로 된 LNG가 흐르는 부배관(13)과, 주배관(5)과 부배관(13)을 전환하는 전환 밸브(15)와, 부배관(13)을 흐르는 LNG의 유량을 계측하는 액유량계(17)와, 부배관(13)을 흐르는 LNG를 감압하는 감압 밸브(19)를 구비하고, 전환 밸브(15)에 의하여 주배관(5)이 선택된 경우에는, 가스 유량계(8)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유량 조정 밸브(6)를 제어하고, 또한, 전환 밸브(15)에 의하여 부배관(13)이 선택된 경우에는, 액유량계(17)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유량 조정 밸브(6)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선박, 액화가스 증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그 개선 방법{VESSEL, LIQUEFIED GAS VAPORIZ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S WELL AS IMPROVEMENT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액화가스 저장 탱크를 구비한 선박, 액화가스 증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그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액화가스인 LNG(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LNG 탱크(카고 탱크)를 구비한 LNG선에는,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NG 탱크 내의 LNG를 유도하여 증발시키는 LNG 베이퍼라이저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대형의 LNG 베이퍼라이저(기화기)와, 연료 가스 발생용의 소형 LNG 베이퍼라이저를 탑재한 LNG선도 잘 알려져 있다.
대형과 소형의 LNG 베이퍼라이저를 각각 1대씩 장비하는 것은, 설치 스페이스가 커져 초기 투자가 커지므로, 대형 LNG 베이퍼라이저로 소형 LNG 베이퍼라이저를 겸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6-177618호(도 1 참조)
그러나, 대형 LNG 베이퍼라이저는, 주로 LNG 탱크의 가스 치환용 가스를 생성할 때에 이용되므로, 연료 가스 발생용의 소형 LNG 베이퍼라이저에 비해 소요 가스량이 수 배 크다. 따라서, 대형 LNG 베이퍼라이저로 소형 LNG 베이퍼라이저가 요구하는 소량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LNG 베이퍼라이저는, 일반적으로, 증기 가열식의 셸 앤드 튜브식 열교환기를 채용하고 있으며, 튜브측에 LNG를 통과시키고, 쉘측은 포화 증기 분위기로 되어 있다. 가열된 LNG는, 과열 가스 상태로 열교환기를 나오며, 이 과열 가스 상태의 가스에 대하여, 열교환기 입구의 LNG의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분무함으로써 출구 온도를 조정하고 있다.
또, 증발 가스량은, 출구 배관에 설치한 오리피스 유량계 또는 벤투리 유량계로 용적 유량을 계측하고, 질량 유량으로 변환 후, 질량 유량에 따른 설정치에 맞춰 제어한다. 열교환기 입구측의 LNG 라인에는 유량 조정 밸브가 마련되고, 온도 조정용 바이패스 유로의 LNG 라인에는 온도 조정 밸브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유량 조정 밸브 및 온도 조정 밸브는, 정격유량에 맞춰 설계되어 사이즈가 결정되므로, 매우 소량의 LNG를 통과시키는 경우에는, 충분한 LNG 유량 조정 기능이나 가스 온도 조정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또, 저유량에서는 유량계에 의한 가스 유량의 검지도 부정확해져, 증발량의 관리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도 5에 참고예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형 LNG 베이퍼라이저로 소형 LNG 베이퍼라이저의 유량 범위도 커버하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LNG 베이퍼라이저(101)의 입구측의 LNG 라인(102)에는, 고유량용의 유량 조정 밸브(103)와 저유량용의 유량 조정 밸브(104)가 병렬로 마련되어 있다. 또, 온도 조정용의 완열기(105)에 LNG를 분무하는 온도 조정용 바이패스 LNG 라인(108)에는, 고유량용의 온도 조정 밸브(106)와 저유량용의 온도 조정 밸브(107)가 병렬로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량 조정 밸브 및 온도 조정 밸브를 고유량용과 저유량용으로 나누어 구성하면, 넓은 유량 범위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완열기(105)의 출구측의 유량계(109)에 의하여 유량계측하므로, 저유량에 있어서의 유량 계측 정밀도의 개선의 여지가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량 범위가 넓어도 정밀도 좋게 유량 제어 내지 온도 조정 제어할 수 있는 액화가스 증발장치를 구비한 선박, 액화가스 증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그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박, 액화가스 증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그 개선 방법은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선박은, 액화가스를 유도하는 액화가스 주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으로부터 유도된 액화가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기화된 가스를 유도하는 가스 출구 배관과, 상기 가스 출구 배관에 마련된 가스 유량계와,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기로 유도하는 액화가스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와,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으로부터 분기하여 바이패스되며,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에 재합류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보다 저유량으로 된 액화가스가 흐르는 액화가스 부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전환하는 전환 밸브와,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계측하는 액유량계와,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를 감압하는 감압 수단을 가지는 액화가스 증발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하여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가스 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하여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액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며, 상기 액화가스 증발장치로부터 액화 연료 가스가 공급되는 주기(主機)를 구비하고 있다.
액화가스는, 전환 밸브에 의하여 액화가스 주배관이 선택되면 고유량이 흐르고, 액화가스 부배관이 선택되면 저유량이 흐르도록 되어 있다. 액화가스 주배관이 선택되어 고유량의 액화가스가 흐르는 경우는, 증발기의 하류측의 가스 출구 배관에 마련된 가스 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한다. 이로써, 원하는 유량의 가스를 정밀도 좋게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액화가스 부배관이 선택되어 저유량의 액화가스가 흐르는 경우는,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계측하는 액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한다. 즉, 저유량인 경우에는, 가스 유량계의 계측치를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이것은, 가스 유량계는 고유량이 흐를 때에 이용되므로 저유량에 있어서의 측정 정밀도를 보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액유량계로 정밀도 좋게 측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저유량인 경우에는, 감압 수단에 의하여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를 감압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감압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유량 조정 밸브의 개방도 범위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고유량인 경우에도, 저유량인 경우에도, 정밀도 좋게 유량계측할 수 있음과 함께, 제어성이 양호한 개방도 범위로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액화가스 증발장치는, 액화가스를 유도하는 액화가스 주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으로부터 유도된 액화가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기화된 가스를 유도하는 가스 출구 배관과, 상기 가스 출구 배관에 마련된 가스 유량계와,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기로 유도하는 액화가스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와,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으로부터 분기하여 바이패스되며,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에 재합류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보다 저유량으로 된 액화가스가 흐르는 액화가스 부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전환하는 전환 밸브와,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계측하는 액유량계와,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를 감압하는 감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하여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가스 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하여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액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한다.
액화가스는, 전환 밸브에 의하여 액화가스 주배관이 선택되면 고유량이 흐르고, 액화가스 부배관이 선택되면 저유량이 흐르도록 되어 있다. 액화가스 주배관이 선택되어 고유량의 액화가스가 흐르는 경우는, 증발기의 하류측의 가스 출구 배관에 마련된 가스 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한다. 이로써, 원하는 유량의 가스를 정밀도 좋게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액화가스 부배관이 선택되어 저유량의 액화가스가 흐르는 경우는,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계측하는 액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한다. 즉, 저유량인 경우에는, 가스 유량계의 계측치를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이것은, 가스 유량계는 고유량이 흐를 때에 이용되므로 저유량에 있어서의 측정 정밀도를 보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액유량계로 정밀도 좋게 측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저유량인 경우에는, 감압 수단에 의하여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를 감압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감압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유량 조정 밸브의 개방도 범위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고유량인 경우에도, 저유량인 경우에도, 정밀도 좋게 유량계측할 수 있음과 함께, 제어성이 양호한 개방도 범위로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액화가스 증발장치는, 상기 가스 출구 배관에 마련되어, 액화가스를 살포함으로써 가스 온도를 조정하는 온도 조정기와,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의 하류측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으로부터 액화가스의 일부를 유도하여 상기 온도 조정기에 액화가스를 살포하는 온도 조정용 배관과, 상기 온도 조정용 배관에 마련된 온도 조정 밸브와, 상기 온도 조정기로부터 유도된 가스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상기 온도 조정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3 양태에서는, 온도 조정 밸브에 대해서도, 상술한 유량 조정 밸브와 마찬가지로, 저유량인 경우에는 감압 수단에 의하여 감압된 액화가스가 유도되므로, 고유량인 경우에도, 저유량인 경우에도, 제어성이 양호한 개방도 범위로 온도 조정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관한 액화가스 증발장치는,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의 하류측 위치이며 또한 상기 유량 조정 밸브의 상류측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에는, 기액 분리기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4 양태에서는, 액화가스 부배관의 감압 수단을 통과하여 감압된 액화가스가 플래시 가스를 포함한 기액 2상류가 될 우려가 있다. 액화가스가 기액 2상류가 되면, 기상 부분이 유량 조정 밸브에 있어서의 액상의 흐름을 저해해 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량 조정 밸브의 상류측에 기액 분리기를 마련함으로써, 액상만을 유량 조정 밸브로 유도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관한 액화가스 증발장치는, 상기 기액 분리기에서 분리된 가스를 상기 가스 출구 배관으로 유도하는 가스 빼기 배관과, 상기 가스 빼기 배관에 마련된 가스 유량 조정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상기 가스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한다.
이 제5 양태에서는, 기액 분리기에서 분리된 가스를 가스 유량 조정 밸브에 의하여 유량 조정한 후에 가스 출구 배관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로써, 가스 출구 배관을 흐르는 가스 온도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관한 액화가스 증발장치의 제어 방법은, 액화가스를 유도하는 액화가스 주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으로부터 유도된 액화가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기화된 가스를 유도하는 가스 출구 배관과, 상기 가스 출구 배관에 마련된 가스 유량계와,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기로 유도하는 액화가스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와,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으로부터 분기하여 바이패스되며,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에 재합류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보다 저유량으로 된 액화가스가 흐르는 액화가스 부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전환하는 전환 밸브와,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계측하는 액유량계와,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를 감압하는 감압 수단을 구비한 액화가스 증발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하여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가스 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며, 또한,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하여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액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한다.
또,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관한 액화가스 증발장치의 개선 방법은, 액화가스를 유도하는 액화가스 주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으로부터 유도된 액화가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기화된 가스를 유도하는 가스 출구 배관과, 상기 가스 출구 배관에 마련된 가스 유량계와,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기로 유도하는 액화가스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와,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액화가스 증발장치의 개선 방법으로서,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으로부터 분기하여 바이패스되며,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에 재합류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보다 저유량으로 된 액화가스가 흐르는 액화가스 부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전환하는 전환 밸브와,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계측하는 액유량계와,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를 감압하는 감압 수단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하여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가스 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며, 또한,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하여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액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 방법을 변경한다.
이 제7 양태에서는, 액화가스 부배관, 액유량계 및 감압 수단을 추가 마련하고, 제어부의 제어 방법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고유량용의 액화가스 증발장치를 저유량에도 대응시킬 수 있어, 매우 간편한 공사로 실현할 수 있다.
액화가스 부배관이 선택되어 저유량의 액화가스가 흐르는 경우에는,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계측하는 액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는 것으로 하고, 가스 유량계보다 정밀도가 양호한 액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고정밀도로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저유량인 경우에는, 감압 수단에 의하여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를 감압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감압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유량 조정 밸브의 개방도 범위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고유량인 경우에도, 저유량인 경우에도, 제어성이 양호한 개방도 범위로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액화가스 증발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액화가스 증발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액 분리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기액 분리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참고예로서의 액화가스 증발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는, 본 발명인 액화가스 증발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LNG(액화천연가스) 베이퍼라이저 장치(이하 "베이퍼라이저 장치" 라고 한다.)(1)가 나타나 있다. 베이퍼라이저 장치(1)는, LNG 저장 탱크(카고 탱크)를 구비한 LNG선에 설치되어 있다.
LNG선에서는, LNG 저장 탱크의 가스 치환용 가스로서 요구되는 고유량의 천연가스와, 보일러나 가스 연소 디젤 기관 등의 연료용으로서 요구되는 저유량의 천연가스가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베이퍼라이저 장치(1)는, LNG를 증발시킴으로써, 고유량 및 저유량의 가스를 공급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이퍼라이저 장치(1)는, LNG를 증발시키는 베이퍼라이저 본체(증발기)(3)와, 베이퍼라이저 본체(3)에 LNG를 공급하는 주배관(액화가스 주배관)(5)과, 베이퍼라이저 본체(3)에서 증발된 가스(천연가스)를 하류측으로 보내는 가스 출구 배관(7)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퍼라이저 본체(3)는, 셸 앤드 튜브식 열교환기로 되어 있으며, 주배관(5)으로부터 유도된 LNG를 받아들이는 입구 헤더(9)와, 입구 헤더(9)로부터 유도된 LNG를 증발시키는 열교환부(10)와, 열교환부(10)에 의하여 증발된 가스(천연가스)가 유도되는 출구 헤더(11)를 구비하고 있다. 열교환부(10) 내에는, 내부에 LNG를 유통시키는 다수의 튜브(전열관)가 마련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열교환부(10) 내에 공급된 증기에 의하여, 튜브 내를 유통하는 LNG가 튜브 밖으로부터 가열되도록 되어 있다.
주배관(5)은, 도시하지 않은 LNG 저장 탱크로부터 유도된 LNG를 베이퍼라이저 본체(3)로 공급하는 것이다. 주배관(5)의 배관 직경은 예를 들면 40A(호칭지름)로 되어 있으며, 약 70kg/h까지의 LNG를 유통시키도록 되어 있다.
주배관(5)에는, 베이퍼라이저 본체(3)로 공급하는 LNG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6)가 마련되어 있다. 유량 조정 밸브(6)는, 후술하는 가스 유량계(8) 또는 액유량계(17)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개방도가 제어된다.
유량 조정 밸브(6)의 상류측 위치에 있어서의 주배관(5)에는, 주배관(5)을 바이패스하도록 부배관(액화가스 부배관)(13)이 마련되어 있다. 부배관(13)의 배관 직경은 예를 들면 25A(호칭지름)로 되어 있으며, 주배관(5)의 수 분의 1의 유량의 LNG를 유통시키도록 되어 있다.
부배관(13)으로 분기하는 주배관(5)의 분기 위치(5a)와, 부배관(13)이 합류하는 주배관(5)의 합류 위치(5b)와의 사이에는, 전환 밸브(1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전환 밸브(15)를 완전 개방으로 함으로써 LNG를 주로 주배관(5)으로 흘려 고유량으로 하고, 전환 밸브(15)를 완전 폐쇄로 함으로써 LNG를 부배관(13)으로 흘려 저유량으로 한다. 전환 밸브(15)의 조작은, 원격 제어로 행해도 되고, 수동으로 행해도 된다.
부배관(13)에는,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액유량계(17)와, 감압 밸브(감압 수단)(19)가 마련되어 있다. 다만, 감압 밸브(19) 대신에, 고정식 감압 수단으로서 오피리스를 마련해도 된다. 액유량계(17)로서는, 예를 들면 코리올리식 유량계가 이용되고, 액유량을 직접 계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액유량계(17)의 계측치(PV)는, 액유량 컨트롤러(21)로 보내진다. 액유량 컨트롤러(21)는, 액유량계(17)에서 얻어진 계측 유량(PV)이 소정의 설정치(SP)가 되도록, 소정의 함수(21a)에 근거한 개방도 지령(OP)을 유량 조정 밸브(6)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다만, 액유량 컨트롤러(21)에 의한 유량 조정 밸브(6)의 제어는, 전환 밸브(15)에 의하여 부배관(13)이 선택되어 있을 때만 행해지고, 전환 밸브(15)에 의하여 부배관(13)이 선택되어 있지 않을 때는 행해지지 않는다.
부배관(13)이 합류하는 합류 위치(5b)보다 하류측이며, 또한, 유량 조정 밸브(6)의 상류측에는, 주배관(5)의 분기 위치(5c)로부터 분기되는 온도 조정용 배관(23)이 마련되어 있다. 온도 조정용 배관(23)의 배관 직경은, 예를 들면 주배관(5)과 동일 직경인 40A(호칭지름)로 되어 있다. 온도 조정용 배관(23)의 하류단은, 베이퍼라이저 본체(3)의 출구측에 마련된 완열기(온도 조정기)(25)에 접속되어 있다. 완열기(25) 내에, 온도 조정용 배관(23)으로부터 유도된 LNG를 분무함으로써, 베이퍼라이저 본체(3)로부터 유도된 과열 가스를 냉각하여 온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완열기(25)에 분무하는 LNG 유량은, 온도 조정용 배관(23)에 마련한 온도 조정 밸브(27)에 의하여 조정된다. 온도 조정 밸브(27)는, 가스 출구 배관(7)에 마련된 온도 센서(29)의 계측치(PV)에 근거하여, 온도 조정용 컨트롤러(31)에 의하여 제어된다. 온도 조정용 컨트롤러(31)는, 온도 센서(29)에서 얻어진 계측 온도(PV)가 소정의 설정치(SP)가 되도록, 소정의 함수(31a)에 근거한 개방도 지령(OP)을 온도 조정 밸브(27)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다만, 온도 조정용 컨트롤러(31)에 의한 온도 조정 밸브(27)의 제어는, 전환 밸브(15)에 의하여 부배관(13)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 및 전환 밸브(15)에 의하여 주배관(5)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 중 어느 경우에도 행해진다.
온도 조정 밸브(27)의 상류측 위치에 있어서의 온도 조정용 배관(23)의 분기점(23a)으로부터 가스 빼기 배관(33)이 분기되고 있다. 가스 빼기 배관(33)에 의하여, 주배관(5)을 흐르는 LNG 중의 가스 성분이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가스 빼기 배관(33)의 배관 직경은, 주배관(5) 및 온도 조정용 배관(23)보다 소경이 되고, 예를 들면 25A(호칭지름)로 되어 있다. 가스 빼기 배관(33)의 하류단은, 가스 출구 배관(7)의 합류부(7a)에 접속되어 있다. 이 합류부(7a)는, 완열기(25)의 하류측이며 또한, 온도 센서(29) 및 가스 유량계(8)의 상류측에 마련되어 있다. 가스 빼기 배관(33)에는, 가스 유량을 조정하는 가스 빼기 밸브(가스 유량 조정 밸브)(35)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가스 빼기 밸브(35)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가스 출구 배관(7)을 흐르는 가스 온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스 출구 배관(7)은, 베이퍼라이저 본체(3)의 출구에 접속되고,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완열기(25)와, 합류부(7a)와, 온도 센서(29)와, 가스 유량계(8)가 마련되어 있다. 가스 출구 배관(7)의 배관 직경은, 예를 들면 40A(호칭지름)로 되어 있으며, 약 70kg/h까지의 가스(천연가스)를 유통시키도록 되어 있다.
가스 유량계(8)는, 예를 들면 오리피스 유량계가 이용되고, 가스의 용적 유량을 계측한다.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서는, 가스 유량계(8)에서 얻어진 가스 용적 유량을, 질량 유량으로 변환한 후, 소정의 설정치가 되도록 유량 조정 밸브(6)의 개방도를 제어한다. 가스 유량계(8)의 계측치에 근거하는 유량 조정 밸브(6)의 제어는, 전환 밸브(15)에 의하여 주배관(5)이 선택되어 있을 때만 행해지고, 전환 밸브(15)에 의하여 주배관(5)이 선택되어 있지 않을 때는 행해지지 않는다. 다만, 가스 유량계(8)로서는 다양한 것이 사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오리피스 유량계 대신에, 벤투리 유량계를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구성의 베이퍼라이저 장치(1)는, 이하와 같이 이용된다.
<고유량인 경우>
LNG 저장 탱크 내의 가스 치환을 행하는 경우와 같이, 고유량의 LNG를 증발시키는 경우에는, 전환 밸브(15)를 완전 개방으로 하고, 주배관(5)을 선택한다. 그리고, 유량 조정 밸브(6)는, 가스 유량계(8)에 근거한 제어로 한다.
LNG 저장 탱크로부터 유도된 LNG는, 조작 밸브(37)를 지나, 주배관(5)을 흐르고, 감압 밸브(19)에 의하여 유로 저항이 부여되어 있는 부배관(13)으로는 거의 흐르지 않고 완전 개방으로 된 전환 밸브(15)를 통과한다. 전환 밸브(15)를 통과한 LNG는, 유량 조정 밸브(6)에 의하여 소정 유량으로 조정된 후에, 베이퍼라이저 본체(3) 내로 유입된다. 유량 조정 밸브(6)는, LNG 저장 탱크의 가스 치환을 행할 때에 요구되는 가스 유량(설정치)을 충족하도록, 가스 유량계(8)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하여 개방도 제어가 행해진다. 이 때의 유량 조정 밸브(6)에서 이용되는 개방도 범위는, 제어성이 양호한 개방도 범위(예를 들면 70~80%)가 이용된다. 즉, 고유량 시의 조건에 맞춰 유량 조정 밸브(6)가 선정되고 있다.
베이퍼라이저 본체(3)에 유입된 LNG는, 먼저 입구 헤더(9)로 유입된 후, 다수의 전열관(도시하지 않음)으로 분배되고, 열교환부(10)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증기에 의하여 가열되어 증발된다. 열교환부(10)에서 증발된 가스(천연가스)는, 과열 상태가 되어 출구 헤더(11)로 유도되어, 완열기(25)로 흐르게 된다.
완열기(25)에서는, 주배관(5)의 분기 위치(5c)로부터 분기되어 온도 조정용 배관(23)을 통하여 유도된 LNG가 분무되고, 과열 가스가 원하는 온도까지 냉각된다. 이 때에 분무하는 LNG량은, 온도 조정 밸브(27)에 의하여 조정된다. 온도 조정 밸브(27)는, 가스 출구 배관(7)에 마련한 온도 센서(29)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소정의 목표 온도가 되도록 온도 조정용 컨트롤러(31)에 의하여 제어된다.
완열기(25)에서 소정 온도까지 냉각된 가스(천연가스)는, 가스 출구 배관(7)을 지나 합류부(7a)까지 유도된다. 합류부(7a)에서는, 온도 조정용 배관(23)의 분기 위치(23a)로부터 분기된 가스 빼기 배관(33)을 통하여, 가스 빼기기 밸브(35)로 유량 조정된 가스가 합류된다. 이 가스 빼기 배관(33)으로부터 유도되는 가스에 의하여, 가스 출구 배관(7)을 통하여 유도되는 가스의 온도가 최종적으로 조정된다.
그 후, 가스 출구 배관(7)으로부터 유도된 가스는,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배관 경로를 통하여, LNG 저장 탱크의 가스상(相)으로 공급된다.
<저유량인 경우>
보일러나 가스 연소 디젤 기관에 연료 가스를 공급하는 경우와 같이, 저유량의 LNG를 증발시키는 경우에는, 전환 밸브(15)를 완전 폐쇄로 하고, 부배관(13)을 선택한다. 그리고, 유량 조정 밸브(6)는, 액유량계(17)에 근거한 제어로 한다.
LNG 저장 탱크로부터 유도된 LNG는, 조작 밸브(37)를 지나, 주배관(5)을 흐르고, 전환 밸브(15)가 완전 폐쇄로 된 주배관(5)으로는 흐르지 않고, 분기 위치(5a)에서 주배관(5)으로부터 분기된 부배관(13)으로 유입된다. LNG는, 부배관(13)에서는, 액유량계(17)에 의하여 액체 유량이 계측된 후에, 감압 밸브(19)로 예를 들면 100kPa 이하까지 감압되어, 합류 위치(5b)에서 주배관(5)으로 유입된다. 감압 밸브(19)로 감압된 LNG는, 유량 조정 밸브(6)에 의하여 소정 유량으로 조정된 후에, 베이퍼라이저 본체(3) 내로 유입된다. 유량 조정 밸브(6)는, 보일러나 가스 연소 디젤 기관이 요구하는 가스 유량(설정치)을 충족하도록, 액유량계(17)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액유량 컨트롤러(21)에 의하여 개방도 제어가 행해진다. 이 때의 유량 조정 밸브(6)로 이용되는 개방도 범위는, 감압 밸브(19)로 감압되고 있기 때문에, 고유량 시와 마찬가지로 제어성이 양호한 개방도 범위(예를 들면 70~80%)가 이용된다. 즉, 고유량 시의 조건에 맞춰 유량 조정 밸브(6)가 선정되고 있는 경우이더라도, 상류압(1차압)이 감압되고 있기 때문에, 저유량에서도 제어성이 양호한 개방도 범위가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
베이퍼라이저 본체(3) 내에 LNG가 유도된 후의 동작은 고유량 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가스(천연가스)는, 가스 출구 배관(7)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배관 경로를 통하여, 보일러나 가스 연소 디젤 엔진으로 유도된다.
이상에 의하여, 본 실시형태의 베이퍼라이저 장치(1)에 의하면, 이하의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주배관(5)이 선택되어 고유량의 LNG가 흐르는 경우는, 베이퍼라이저 본체(3)의 하류측의 가스 출구 배관(7)에 마련된 가스 유량계(8)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유량 조정 밸브(6)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고유량으로 된 유량 범위에서 양호한 측정 정밀도를 가지는 가스 유량계(8)와, 이 유량 범위에서 제어성이 양호한 밸브 개방도 범위로 유량 조정할 수 있는 유량 조정 밸브(6)를 이용하므로, 원하는 유량의 가스를 정밀도 좋게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전환 밸브(15)에 의하여 부배관(13)이 선택되어 저유량의 LNG가 흐르는 경우는, 부배관(13)을 흐르는 LNG의 유량을 계측하는 액유량계(17)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유량 조정 밸브(6)를 제어한다. 즉, 저유량인 경우에는, 고유량 시의 유량 범위에 적정한 정밀도를 가지는 가스 유량계(8)의 계측치를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이것은, 가스 유량계(8)는 고유량이 흐를 때에 이용되므로 저유량에 있어서의 측정 정밀도를 보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배관(13)을 흐르는 LNG의 유량을 액유량계(17)로 정밀도 좋게 측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저유량인 경우에는, 감압 밸브(19)에 의하여 부배관(13)을 흐르는 LNG를 감압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감압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유량 조정 밸브(6)의 개방도 범위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고유량인 경우에도, 저유량인 경우에도, 정밀도 좋게 유량계측할 수 있음과 함께, 제어성이 양호한 개방도 범위로 유량 조정 밸브(6)를 제어할 수 있다.
온도 조정 밸브(27)에 대해서도, 유량 조정 밸브(6)와 마찬가지로, 저유량인 경우에는 감압 밸브(19)에 의하여 감압된 LNG가 유도되므로, 고유량인 경우에도, 저유량인 경우에도, 제어성이 양호한 개방도 범위로 온도 조정 밸브(27)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에 추가하여, 기액 분리기(40)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그 외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부배관(13)이 주배관(5)에 합류하는 합류 위치(5b)의 하류측이며 또한, 유량 조정 밸브(6) 및 온도 조정 밸브(27)의 상류측(즉 분기 위치(5c)의 상류측)에는, 기액 분리기(40)가 마련되어 있다.
기액 분리기(4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NG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용기(42)와, 용기(42) 내에 마련되어 LNG에 대하여 부력을 가지는 밀봉 볼(44)을 구비하고 있다. 기액 분리기(40)의 용기(42) 내에 일시적으로 LNG가 저장되고 있는 동안에, 기액 2상류로 된 LNG 중의 가스 성분이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밀봉 볼(44)은, LNG의 액면에 떠오르고, 액면이 상승하여 밀봉 볼(44)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출구 개구(46)를 폐쇄함으로써, 액면의 상승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기액 분리기(40)의 상부에는, 가스 빼기 배관(48)이 접속되어 있다. 이 가스 빼기 배관(48)은, 도 1에 나타낸 가스 빼기 배관(33)과 마찬가지로, 가스 빼기 밸브(35)를 구비함과 함께, 합류부(7a)에서 가스 출구 배관(7)에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기액 분리기(40)는, 이하와 같이 이용된다.
저유량 시에 부배관(13)이 선택되면, LNG는 감압 밸브(19)에 의하여 감압된다. 이 때에 LNG가 플래시하여 기액 2상류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기액 2상류가 된 LNG는, 기액 분리기(40)로 유입된다. LNG는, 기액 분리기(40)의 용기(42) 내에서 일시 저장되고 있는 동안에, 가스 성분이 분리된다. 분리된 가스 성분(천연가스)은, 용기(42)의 상부에 접속된 가스 빼기 배관(48)을 통하여 가스 출구 배관(7)으로 유도된다. 이 때에, 가스 빼기 밸브(35)에 의하여 유량 조정을 행하고, 가스 출구 배관(7)을 흐르는 가스의 온도를 조정하는 점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용기(42) 내의 액면이 상승하면, 밀봉 볼(44)이 액면과 함께 상승하여, 출구 개구(46)를 폐쇄한다. 이로써, LNG가 가스 빼기 배관(48)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부배관(13)의 감압 밸브(19)를 통과하여 감압된 LNG가 플래시 가스를 포함한 기액 2상류가 되어도, 가스 성분을 기액 분리기(40)에 의하여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기액 2상류가 된 LNG가 유량 조정 밸브(6)나 온도 조정 밸브(27)에 유입되어, 유량 조정 밸브(6) 및 온도 조정 밸브(27)에 있어서의 액상의 흐름을 저해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나타낸 기액 분리기(40) 대신에, 도 4에 나타낸 기액 분리기(40´) 를 이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액면위치를 검지하는 액위 센서(50)를 마련하고, 이 액위 센서(50)의 검출치에 근거하여 액위 제어 밸브(52)를 제어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밀봉 볼(44)을 생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배관(13)에 마련한 액유량계(17)와 감압 밸브(19)와의 위치 관계가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와 반대로 되어 있지만, 이러한 위치 관계로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기액 분리기(40, 40´)를 제1 실시형태에 적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분기 위치(23a)에 기액 분리기(40, 40´)를 마련한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액화가스로서 LNG를 일례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액화가스여도 되며, 예를 들면 LPG(액화 프로판 가스)여도 된다.
또,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LNG선에 마련된 베이퍼라이저 장치로서 설명하였지만, 선박으로서는 LNG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LPG선 등의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탱크를 구비한 선박이어도 적용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베이퍼라이저 장치는, 신규의 선박에 이용할 수도 있지만, 특히, 기존의 선박에 설치된 고유량용의 베이퍼라이저 장치에 대하여, 연료 가스 공급 등을 위하여 저유량의 가스를 공급하는 계통을 추가 마련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이 경우에는, 부배관(13), 액유량계(17) 및 감압 밸브(19)를 추가 마련하고, 유량 조정 밸브(6)의 제어 소프트를 변경하기만 해도 되어, 매우 간편한 공사로 실현할 수 있다.
1 LNG 베이퍼라이저 장치(액화가스 증발장치)
3 베이퍼라이저 본체(증발기)
5 주배관(액화가스 주배관)
6 유량 조정 밸브
7 가스 출구 배관
7a 합류부
8 가스 유량계
9 입구 헤더
10 열교환부
11 출구 헤더
13 부배관(액화가스 부배관)
15 전환 밸브
17 액유량계
19 감압 밸브(감압 수단)
21 액유량 컨트롤러
21a 함수
23 온도 조정용 배관
25 완열기(온도 조정기)
27 온도 조정 밸브
29 온도 센서
31 온도 조정용 컨트롤러
31a 함수
33 가스 빼기 배관
35 가스 빼기 밸브(가스 유량 조정 밸브)
37 조작 밸브
40, 40´ 기액 분리기
42 용기
44 밀봉 볼
46 출구 개구
48 가스 빼기 배관
50 액위 센서
52 액위 제어 밸브

Claims (7)

  1. 액화가스를 유도하는 액화가스 주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으로부터 유도된 액화가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기화된 가스를 유도하는 가스 출구 배관과,
    상기 가스 출구 배관에 마련된 가스 유량계와,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기로 유도하는 액화가스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와,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으로부터 분기하여 바이패스되며,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에 재합류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보다 저유량으로 된 액화가스가 흐르는 액화가스 부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전환하는 전환 밸브와,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계측하는 액유량계와,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를 감압하는 감압 수단
    을 가지는 액화가스 증발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하여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가스 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하여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액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며,
    상기 액화가스 증발장치로부터 액화 연료 가스가 공급되는 주기를 구비하고 있는 선박.
  2. 액화가스를 유도하는 액화가스 주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으로부터 유도된 액화가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기화된 가스를 유도하는 가스 출구 배관과,
    상기 가스 출구 배관에 마련된 가스 유량계와,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기로 유도하는 액화가스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와,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으로부터 분기하여 바이패스되며,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에 재합류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보다 저유량으로 된 액화가스가 흐르는 액화가스 부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전환하는 전환 밸브와,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계측하는 액유량계와,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를 감압하는 감압 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하여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가스 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하여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액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는 액화가스 증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스 출구 배관에 마련되어, 액화가스를 살포함으로써 가스 온도를 조정하는 온도 조정기와,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의 하류측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으로부터 액화가스의 일부를 유도하여 상기 온도 조정기에 액화가스를 살포하는 온도 조정용 배관과,
    상기 온도 조정용 배관에 마련된 온도 조정 밸브와,
    상기 온도 조정기로부터 유도된 가스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상기 온도 조정 밸브를 제어하는 액화가스 증발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의 하류측 위치이며 또한 상기 유량 조정 밸브의 상류측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에는, 기액 분리기가 마련되어 있는 액화가스 증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액 분리기에서 분리된 가스를 상기 가스 출구 배관으로 유도하는 가스 빼기 배관과,
    상기 가스 빼기 배관에 마련된 가스 유량 조정 밸브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상기 가스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는 액화가스 증발장치.
  6. 액화가스를 유도하는 액화가스 주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으로부터 유도된 액화가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기화된 가스를 유도하는 가스 출구 배관과,
    상기 가스 출구 배관에 마련된 가스 유량계와,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기로 유도하는 액화가스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와,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으로부터 분기하여 바이패스되며,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에 재합류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보다 저유량으로 된 액화가스가 흐르는 액화가스 부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전환하는 전환 밸브와,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계측하는 액유량계와,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를 감압하는 감압 수단
    을 구비한 액화가스 증발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하여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가스 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고, 또한,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하여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액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는 액화가스 증발장치의 제어 방법.
  7. 액화가스를 유도하는 액화가스 주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으로부터 유도된 액화가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기화된 가스를 유도하는 가스 출구 배관과,
    상기 가스 출구 배관에 마련된 가스 유량계와,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기로 유도하는 액화가스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와,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한 액화가스 증발장치의 개선 방법으로서,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으로부터 분기하여 바이패스되며,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에 재합류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보다 저유량으로 된 액화가스가 흐르는 액화가스 부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과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전환하는 전환 밸브와,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계측하는 액유량계와,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을 흐르는 액화가스를 감압하는 감압 수단
    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하여 상기 액화가스 주배관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가스 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며, 또한,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하여 상기 액화가스 부배관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액유량계의 계측치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 조정 밸브를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 방법을 변경하는 액화가스 증발장치의 개선 방법.
KR1020147021184A 2012-03-30 2013-03-14 선박, 액화가스 증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그 개선 방법 KR101476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80334 2012-03-30
JP2012080334A JP2013210045A (ja) 2012-03-30 2012-03-30 船舶、液化ガス蒸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その改修方法
PCT/JP2013/057269 WO2013146316A1 (ja) 2012-03-30 2013-03-14 船舶、液化ガス蒸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その改修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716A KR20140108716A (ko) 2014-09-12
KR101476965B1 true KR101476965B1 (ko) 2014-12-24

Family

ID=4925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184A KR101476965B1 (ko) 2012-03-30 2013-03-14 선박, 액화가스 증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그 개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833046B1 (ko)
JP (1) JP2013210045A (ko)
KR (1) KR101476965B1 (ko)
CN (1) CN104136827B (ko)
WO (1) WO20131463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5134B2 (ja) * 2014-05-19 2018-09-05 四国化工機株式会社 殺菌剤の送液・霧化装置
DE102014018099A1 (de) * 2014-12-06 2016-06-09 Hydac Accessories Gmbh Verfahren zum Ermitteln einer Gasmenge nebst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ieses Verfahrens
WO2017077718A1 (ja) * 2015-11-06 2017-05-1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船舶
JP6609176B2 (ja) * 2015-11-06 2019-11-2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船舶
JP6957165B2 (ja) * 2017-02-28 2021-11-02 三菱重工マリンマシナリ株式会社 ボイラ及びボイラシステム並びにボイラの運転方法
JP7009083B2 (ja) * 2017-05-24 2022-01-25 株式会社堀場製作所 排ガス分析装置及び排ガス分析方法
KR102601307B1 (ko) * 2018-11-14 2023-11-13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용 연료 공급 시스템 및 방법
JP7156070B2 (ja) * 2019-02-12 2022-10-19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燃料ガスの成分調整装置
US20210190421A1 (en) * 2019-12-21 2021-06-24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a cryogenic stream with a controlled temperature from a back-up system
CN112303489A (zh) * 2020-10-26 2021-02-02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新型环保绝缘介质的恒温电加热快速充气方法及系统
JP2023084555A (ja) * 2021-12-07 2023-06-1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体容器のクールダウン方法及び貯蔵設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4213B2 (ja) 1995-11-02 1998-04-2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運搬船用貨物部の熱交換器及びその熱交換装置
JP5046998B2 (ja) 2008-02-26 2012-10-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貯蔵設備およびこれを用いた船舶あるいは海洋構造物
JP5077881B2 (ja) 2007-10-10 2012-11-21 千代田化工建設株式会社 液化天然ガスの受入設備
JP5229752B2 (ja) 2011-03-03 2013-07-03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天然ガスの希釈熱量調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1107A (en) * 1980-10-14 1982-07-27 Tylan Corporation Calibratable system for measuring fluid flow
US6672104B2 (en) * 2002-03-28 2004-01-06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Reliquefaction of boil-off from liquefied natural gas
JP4331539B2 (ja) * 2003-07-31 2009-09-16 株式会社フジキン チャンバへのガス供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チャンバの内圧制御方法
JP4275061B2 (ja) 2004-12-22 2009-06-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lng船
JP2007024198A (ja) * 2005-07-19 2007-02-01 Chubu Electric Power Co Inc ボイルオフガス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5148319B2 (ja) * 2008-02-27 2013-02-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再液化装置、これを備えた液化ガス貯蔵設備および液化ガス運搬船、並びに液化ガス再液化方法
JP5173639B2 (ja) * 2008-07-15 2013-04-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天然ガス処理設備および液化天然ガス運搬船
KR101187532B1 (ko) * 2009-03-03 2012-10-02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US20110023491A1 (en) * 2009-07-30 2011-02-03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fuel to a gas turb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4213B2 (ja) 1995-11-02 1998-04-2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運搬船用貨物部の熱交換器及びその熱交換装置
JP5077881B2 (ja) 2007-10-10 2012-11-21 千代田化工建設株式会社 液化天然ガスの受入設備
JP5046998B2 (ja) 2008-02-26 2012-10-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貯蔵設備およびこれを用いた船舶あるいは海洋構造物
JP5229752B2 (ja) 2011-03-03 2013-07-03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天然ガスの希釈熱量調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33046A4 (en) 2015-10-28
EP2833046A1 (en) 2015-02-04
CN104136827B (zh) 2016-03-16
KR20140108716A (ko) 2014-09-12
CN104136827A (zh) 2014-11-05
JP2013210045A (ja) 2013-10-10
WO2013146316A1 (ja) 2013-10-03
EP2833046B1 (en) 201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965B1 (ko) 선박, 액화가스 증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그 개선 방법
KR101959154B1 (ko) 보일러 급수 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보일러, 보일러 급수 방법
US10920933B2 (en) Device and process for refueling containers with pressurized gas
US11499765B2 (en) Device and process for refueling containers with pressurized gas
CN104955727B (zh) 天然气体燃料供给装置、船舶、向发动机供给天然气体燃料的方法
KR20120049731A (ko) 연료가스 공급장치 및 방법
KR101319364B1 (ko) 연료용 lng를 이용한 액화가스탱크 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가지는 액화가스운반선
KR101571364B1 (ko) 해양용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KR102050789B1 (ko) 액화가스의 재기화 장치 및 방법
WO2019230603A1 (ja) ガス供給ユニット及び混焼発電装置
KR102071985B1 (ko) 중간 매체식 가스 기화기
US20160010800A1 (en) Liquid Natural Gas Vaporization
JP3978856B2 (ja) 液化天然ガスの気化設備
KR101671475B1 (ko) Lng 재기화 플랜트
KR101995462B1 (ko) Lng 연료공급시스템
WO2020226504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heating lng before it enters a storage tank of a ship or other gas
JP2016125567A (ja) 液化ガス用気化装置
JP5617641B2 (ja) Lng気化設備
JP7257827B2 (ja) 熱量調整装置
KR101742294B1 (ko) Lng 재기화 플랜트 및 lng 재기화 방법
AU2015271951B2 (en) Liquid natural gas vaporization
KR20200072031A (ko) 도서산간 및 소형 엔진용 lng 재기화 장치
JP2014020342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