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597A - 격투기용 호구의 유효타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유효타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격투기용 호구의 유효타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유효타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597A
KR20180068597A KR1020160170449A KR20160170449A KR20180068597A KR 20180068597 A KR20180068597 A KR 20180068597A KR 1020160170449 A KR1020160170449 A KR 1020160170449A KR 20160170449 A KR20160170449 A KR 20160170449A KR 20180068597 A KR20180068597 A KR 20180068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validity
segment
sensor
va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갑석
Original Assignee
정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갑석 filed Critical 정갑석
Priority to KR1020160170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8597A/ko
Priority to US15/390,719 priority patent/US20180161659A1/en
Priority to CN201611225849.4A priority patent/CN108225624A/zh
Publication of KR20180068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8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resistive materials, i.e. materials of which the ohmic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changes in magnitude or direction of force applied to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0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22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visual indication of the result of count on counting mechanisms, e.g. by window with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63B2071/0661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 A63B2071/0666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worn on the head or face, e.g. combined with goggles or 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63B2071/12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breast and the abdomen, e.g. breast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3Force of an impact, e.g. blow or p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 A63B2244/106Kar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05Decision makers and devices using detection means facilitating arbi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효타 감지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시스템은 격투기용 호구에 가해지는 타격이 유효한지를 정확히 감지한다. 센서는 길이 전체에 걸쳐 패턴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유효타로 판정하면 선수가 착용한 호구에 유효타 누적 횟수가 디스플레이된다. 유효타 여부는 선수의 성별, 체급 또는 연령별로 나누어 판단된다.

Description

격투기용 호구의 유효타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유효타 감지 시스템{Telling blow decision sensor of protective equipment for martial arts and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격투기용 호구의 유효타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유효타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격 방식의 격투기 스포츠에서는 선수들의 보호를 위해 호구와 같은 보호 장비가 사용된다. 선수들은 경기 중의 부상 방지를 위해 헬멧과 호구를 착용하고 경기에 임한다.
태권도는 8천만의 태권도인과 205개 가입국이 태권도로 연결돼 있으며, 올림픽 정식종목이다.
태권도를 예로 들면, 그 경기 방식은 다양한 종류의 발차기 기술 및 손의 지르기 기술을 이용하여 상대 선수의 유효 공격 부위를 정확하고 강한 힘으로 타격 시 점수가 획득되는 방식이다. 이때, 판정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호구가 가격되는 주요 포인트에 센서를 설치하고, 이렇게 설치된 센서에 충격이 가해질 때 이를 검출하여 점수를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호구에 적용되는 종래 기술의 유효타 감지 센서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도전성의 상부 접점(1')과 도전성의 하부 기판(2')을 설치하고, 상부 접점(1')과 하부 기판(2') 사이에 탄성 재질의 완충부(3')를 설치하고, 상부 접점(1')과 하부 기판(2')의 일단을 LED광원(4')에 연결시켜 회로를 구성하였다. 보통 상태에서는, 상부 접점(1')과 하부 기판(2')이 이격되어 있으므로 통전되지 않고 LED광원(4')은 발광하지 않는다. 그러나, 유효타로 인정될 수 있는 힘 이상의 외력이 상부 접점(1')에 가해지면,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 접점(1')과 하부기판(2')이 접하여 통전되고 LED광원(4')으로 전류가 흘러 발광한다. LED광원(4')이 발광하면 유효타로 인정된다.
유효타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완충부(3')를 눌러 충분히 가압하는 힘이 가해져야 하는데, 이 경계값을 기준으로 그보다 큰 힘이 가해지면 유효, 그 보다 작은 힘이 가해지면 무효로 판정하는 이분법적인 판단에 의존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 제1321695호는 센서로서의 타격신호 감지부를 필름 센서로 적층하여 타격 강도를 판단하며, 상대방 선수가 착용하는 자석에 의한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대방의 어느 부위가 가격했는지를 판단하는 감지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는 유효타로 인정하기 위하여 타격신호 감지부와 자기장 변화 감지 장치를 모두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전자호구에 있어 시스템 구동 및 유지 관리를 단순화하고, 연령별 타격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유연성과 센서의 고도화를 통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격투기용 호구의 어느 부위에 타격이 가해져도 충격량을 감지할 수 있는 유효타 감지 센서 및 유효타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격투기용 호구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유효타 인지의 여부를 정확히 판정할 수 있는 유효타 감지 센서 및 유효타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긴 띠 형상의 상부기판; 상기 상부기판에 대향하는 긴 띠 형상의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기판에는 회로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회로패턴은 하부기판의 실질적인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이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서로 단락된 제1패턴 및 제2패턴을 포함하는, 유효타 감지 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패턴은 교대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패턴은, 유효타 감지 센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긴 밴드 형상의 복수의 제1세그먼트 및 제1세그먼트의 하부 사이를 유효타 감지 센서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 제2세그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ㄴ"자형의 반복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제2패턴은, 상기 제1패턴과 상보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유효타 감지 센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긴 밴드 형상의 복수의 제3세그먼트 및 제3세그먼트의 상부 사이를 유효타 감지 센서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 제4세그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ㄱ"자형 의 반복 패턴을 형성하며, 제1패턴의 제1세그먼트는 인접하는 제3세그먼트의 빈 공간 사이를 차지하도록 연장되어 상단면이 제4세그먼트와 이격되어 대향하며, 제2패턴의 제3세그먼트는 인접하는 제1세그먼트의 빈 공간 사이를 차지하도록 연장되어 하단면이 제2세그먼트와 이격되어 대향하는, 유효타 감지 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효타 감지 센서; LED광원; 및
상기 유효타 감지 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유효타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유효타로 판정한 경우 LED광원을 점등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유효타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어모듈은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는 격투기의 체급과 성별에 대응하는 유효타 기준값이 저장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측정값을 해당하는 유효타 기준값과 비교하여 유효타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모듈은 통신서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서브모듈은, 제어모듈이 유효타로 판정한 경우 유효타의 누적 횟수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에 신호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격투기용 호구에 가해지는 충격을 누락 없이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격투기용 호구에 가해지는 충격이 유효타 인지의 여부를 선수의 체급과 성별에 맞추어 정확히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격투기용 호구에 가해지는 충격이 유효타인 경우 LED광원에 표시되고 선수가 착용한 호구에 유효타 누적 횟수가 디스를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므로, 심판과 관중이 유효타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효타 감지 센서의 개요를 보인 도면이다.
도 2은 도 1의 유효타 감지 센서가 통전된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타 감지 센서를 구비한 격투기용 호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타 감지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타 감지 센서가 조립된 경우 센서의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타 감지 센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약한 충격이 가해진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타 감지 센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유효타 감지 시스템의 일례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 ⅱ),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조절", "조정" 또는 "제어"한다고 할 때, 이는 상태나 물리량의 증가, 감소와 같은 변화는 물론 현재 조건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타 감지 센서(1)를 구비한 격투기용 호구(100)를 도시한다.
격투기용 호구(100)는 주로 가슴, 배, 허리 및 등과 같은 몸통을 보호한다. 유효타 감지 센서(1)는 몸통에 가해지는 타격을 놓치지 않고 감지하도록 격투기용 호구(100)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촘촘한 간격으로 복수 개 배열된다. 유효타 감지 센서(1)의 배열 영역이 "A"로 표시되어 있다.
LED광원(2)들이 격투기용 호구(100)의 외곽을 둘러 복수 개 설치된다. LED광원(2)이 점등하면, 외부에서 시인이 가능하도록 격투기용 호구(100)의 상부, 하부 및 좌우 측면에 복수 개 설치된다. LED광원(2)의 배열 영역이 "B"로 표시되어 있다. LED광원(2)은 가장 가까운 유효타 감지 센서(1)에서 감지한 충격값이 "유효"인 경우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심판이나 관중은 가격 부위가 몸통의 어느 부분인지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C"는 제어모듈이다. 제어모듈(C)은 유효타 감지 센서(1)의 신호를 수신하고 유효타 인지를 판단한다. 유효타로 판정되면, LED광원(2)을 점등시키고 무선신호를 통해 전광판을 점등시킨다. 제어모듈(C)은 케이스로 보호되며, 유효타 감지 센서(1) 및 LED광원(2)과 연결되어 격투기용 호구(100) 안에 내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타 감지 센서(1)의 분해 사시도이다. 유효타 감지 센서(1)는 예를 들어 FSR(force sensitive resistor) 압력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효타 감지 센서(1)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격투기용 호구(100)에 장착되도록 긴 띠의 형상으로 제작된다.
유효타 감지 센서(1)는 긴 띠 형상의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16) 및 상부기판(10)와 하부기판(16) 사이의 스페이서(spacer; 14)를 포함한다.
상부기판(10)은 카본 또는 잉크가 코팅된 연질의 반도체 기판이며, 저항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하부기판(16)은 반도체 기판이며 그 위에는 회로패턴(18)이 고정되어 있다. 또는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16)은 전형적으로 PET, 폴리이미드 또는 임의의 다른 필름과 같은 가요성 중합체 시트로 제작될 수 있다.
스페이서(14)는 두 기판들을 분리하고 동시에 이들을 접착하도록 감압 접착제로 스크린 인쇄되거나 필름 접착제로부터 절단되거나 또는 두 기판들에 각각 접착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를 조합시킴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스페이서(14)는 상부 및 하부기판(10,16)의 양편에서 두 기판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회로패턴(18)은 하부기판(16)상에 예를 들어 은(Ag) 폴리머의 후막 잉크로부터 스크린 인쇄되거나 또는 회로 보드에서와 같이 금이 도금된 구리로 형성될 수 있다. 회로패턴(18)은 한 쌍의 제1 및 제2패턴(18a,18b)으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패턴(18a)과 제2패턴(18b)은 서로 단락되어 있다. 제1 및 제2패턴(18a,18b) 각각의 단말(18a',18b')은 제어모듈(C) 내부의 예를 들어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로 이루어진 전류-전압 변환 회로에 연결되어 있다.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것과 같이,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16)이 접촉하면, 상부기판(10)이 저항으로 작용하여 제1 및 제2패턴(18,18b)들이 상부기판(10)을 개재하여 통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회로패턴(18)에 흐르는 전류는 제어모듈(C)로 공급되어 전압값으로 변환된다.
(12)는 접착밴드로 기판을 주위 부재에 접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접착밴드(12)는 하부기판(16)에도 형성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타 감지 센서(1)가 조립된 경우 센서의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평면도이다.
두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16) 사이의 양측에 스페이서(14)가 위치하고 있다. 회로패턴(18)은 도 5a에 과장되게 표현한 것과 같이 하부기판(16)의 베이스(160)로부터 돌출하도록 얇은 두께로 인쇄된다.
회로패턴(18)을 이루는 제1패턴(18a)과 제2패턴(18b)은, 도 5b에 도시한 것처럼, 서로 접촉하지 않고 대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1패턴(18a)과 제2패턴(18a)이 접촉하지 않는 빈 공간은 하부기판(16)의 베이스(160)가 차지한다. 제1 및 제2패턴(18a,18b)는 교대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패턴(18a)은, 유효타 감지 센서(1)의 폭 방향, 즉 스페이서(c)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긴 밴드 형상의 제1세그먼트(180)를 복수 개 배열하고, 제1세그먼트(180)의 하부 사이를 유효타 감지 센서(1)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 제2세그먼트(1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패턴(18a)은 전체적으로 "ㄴ"자형 의 반복 패턴으로 형성된다.
제2패턴(18b)은 상기 제1패턴(18a)과 상보하는(complementary)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2패턴(18b)은 유효타 감지 센서(1)의 폭 방향, 즉 스페이서(c)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긴 밴드 형상의 제3세그먼트(184)를 복수 개 배열하고, 제3세그먼트(184)의 상부 사이를 유효타 감지 센서(1)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 제4세그먼트(18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패턴(18b)은 전체적으로 "ㄱ"자형 의 반복 패턴으로 형성된다.
제1패턴(18a)의 제1세그먼트(180)는 인접하는 제3세그먼트(184)의 빈 공간 사이를 차지하도록 연장되며, 상단면은 제4세그먼트(186)와 이격되어 대향한다. 마찬가지로, 제2패턴(18b)의 제3세그먼트(184)는 인접하는 제1세그먼트(180)의 빈 공간 사이를 차지하도록 연장되며, 하단면은 제2세그먼트(182)와 이격되어 대향한다.
제1세그먼트(180)와 제3세그먼트(184)는 서로 평행하고, 제2세그먼트(182)와 제4세그먼트(186)는 서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적으로 제1패턴(18a)과 제2패턴(18b)의 대응하는 각 구성간의 거리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본 발명에 있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제1패턴(18a)과 제2패턴(18b)은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타 감지 센서(1)에서, 제1패턴(18a)과 제2패턴(18b)으로 이루어진 회로패턴(18)은 센서(1)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인쇄된다. 통상 압력 감지 센서에서 특정 부위에 국한하여 가동 영역(activation area)을 설치한 것과 다르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회로패턴(18)을 배열하면, 호구의 어느 부분에 타격이 가해져도 이를 놓치지 않고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유효타 감지 센서(1)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타 감지 센서(1)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 예를 들어 상부기판(10)이 약한 충격을 받게 되면, 상부기판(10)의 영역(P)에 해당하는 부분이 눌려 영역(P)내의 회로패턴(18)이 상부기판(10)을 개재하여 통전 회로를 형성하게 되며, 이 회로에는 전류(Ia)가 흐른다.
도 7에서, 예를 들어 상부기판(10)이 강한 충격을 받게 되면, 상부기판(10)의 영역(P')에 해당하는 부분이 눌려 영역(P')내의 회로패턴(18)이 상부기판(10)을 개재하여 통전 회로를 형성하게 되며, 이 회로에는 전류(Ib)가 흐른다. 영역(P')은 영역(P)보다 크므로 패턴들이 더 많은 저항체(상부기판)와 접촉하고, 따라서 전류(Ib)는 전류(Ia)보다 큰 값을 가지게 된다.
외부에서의 충격량이 클수록 인체와 스페이서(14)의 변형을 통해 회로패턴(18)의 접촉 면적은 넓어지며, 충격량과 전류는 비례한다. 따라서, 외부 힘의 변화에 따른 전류량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면 충격 감도를 판별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타 감지 센서(1)를 구비한 유효타 감지 시스템을 도 8을 참조로 제어모듈(C)을 위주로 설명한다.
제어모듈(C)은 도시한 것과 같이 메인 컨트롤러 유닛(MCU: 200), 타격 정보 수신부(202), 메모리(204), LED 구동 장치(206) 및 통신서브모듈(208)을 포함한다. MCU(200)는 제어모듈(C)의 모든 내부 구성과 I/O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메모리(204)에는 태권도의 각 체급에 따른 유효타 기준 전압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태권도의 체급은 핀급, 플라이급 및 헤비급 등 총 8개 체급이며, 올림픽의 경우는 남자 4체급(58kg, 68kg, 80kg, 80kg 이상) 및 여자 4체급(49kg, 57kg, 67kg, 67kg 이상)이다. 유효타의 최소 기준은 체급별로 그리고 성별로 다를 수 있다. 충격량이 30Ns인 경우, 남자 헤비급에서는 "무효"이지만, 플라이급에서는 "유효"일 수 있다. 충격량이 20Ns인 경우, 남자 플라이급에서는 "무효"이지만, 여자 플라이급에서는 "유효"일 수 있다.
또는 메모리(204)에는 체급, 성별과 별도로 또는 같이, 연령별로 다른 유효타 기준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04)에는 유효타 감지 센서(1)의 위치 또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LED광원 정보가 기입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가슴 부위의 유효타 감지 센서(1)에는 이 센서와 가장 가까우며, 가슴 쪽에 위치한 LED 광원 정보가 매칭되어 있다.
타격 정보 수신부(202)는 유효타 감지 센서(1)에서 측정된 전류값을 전압값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 회로와 유효타 감지 센서(1)의 위치를 식별 하는 위치 식별부를 포함한다.
MCU(200)는 타격 정보 수신부(202)로부터 수신된 전압값을 메모리(204)를 참조하여 체급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유효타 인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측정 전압값이 2.0V이고 남자 68kg급의 유효타 기준 전압이 2.2V이면 "무효"로 판정하고, 측정 전압값이 2.4V이면 "유효"로 판정한다. 이를 위하여 MCU(200)는 도시하지 않은 비교기(comparator)에 연결될 수 있다.
MCU(200)가 "유효"로 판정한 경우, MCU(200)는 LED구동 장치(206)와 무선서브모듈(208)에 구동 신호를 보낸다.
LED 구동 장치(204)는 유효타 감지 센서(1)의 식별 정보를 토대로 유효타 감지 센서(1)와 근사한 LED광원(2)을 점등시킨다.
통신서브모듈(208)은 격투기용 호구(100)에 일체로 장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210)에 유효타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10)는 격투기용 호구(100)의 앞쪽 또는 뒷쪽 등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유효타로 판정한 경우 유효타 임을 점등으로 나타내거나 또는 지금까지의 누적 유효타 숫자를 카운터하여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10)는 다수의 LED 광원을 격자형으로 배치하고, 해당하는 숫자에 대응하는 LED 광원만을 점등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심판과 관중들은 선수가 장착한 호구를 통하여 유효타가 일어나는 것 및 유효타 횟수를 인지하여 경기의 진행 경과와 유불리를 실시간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서브모듈(208)은 전광판의 안테나와 연결되어 전광판에 유효타 인지의 여부 또는 누적 유효타 수치를 카운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급별, 성별 및 연령별로 격투기용 호구(100)가 상이한 경우 그에 맞추어 미리 제작된 제어모듈(C)을 구비한 격투기용 호구(100)를 착용하면 적절한 유효타 기준값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제어모듈(C)과 통신하는 유효타 수치 조정기(212)를 두고, 선수의 체급과 성별 또는 연령에 맞추어 경기 전에 미리 유효타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격투기용 호구(100)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유효타 수치 조정기(212)는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제어모듈(C)에 장착된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격투기용 호구(100) 내에 유효타 감지 센서(1), LED 광원(2)은 물론 제어모듈(C)을 일체로 장착하였으므로 전자 호구의 취급, 유지 보수가 간편하고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센서(1), LED 광원(2) 및 제어모듈(C)은 전자 호구뿐만 아니라 헤드기어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개시한 실시예를 임의로 변경 또는 추가할 수 있으며 이들 변형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와 동일 또는 균등한 영역까지 미친다는 점은 자명하다.
(1): 유효타 감지 센서 (2): LED광원
(100): 격투기용 호구 (10): 상부기판 (16): 하부기판
(18): 회로패턴 (18a):제1패턴 (18b): 제2패턴
(200): MCU (204):메모리 (206): LED 구동장치
(208): 통신서브모듈

Claims (6)

  1. 격투기용 호구 또는 헤드 기어에 장착되는 유효타 감지 센서로서, 상기 유효타 감지 센서는:
    긴 띠 형상의 상부기판;
    상기 상부기판에 대향하는 긴 띠 형상의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기판에는 회로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회로패턴은 하부기판의 실질적인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이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서로 단락된 제1패턴 및 제2패턴을 포함하는, 유효타 감지 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패턴은 교대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패턴은, 유효타 감지 센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긴 밴드 형상의 복수의 제1세그먼트 및 제1세그먼트의 하부 사이를 유효타 감지 센서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 제2세그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ㄴ"자형의 반복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제2패턴(18b)은, 상기 제1패턴과 상보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유효타 감지 센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긴 밴드 형상의 복수의 제3세그먼트 및 제3세그먼트의 상부 사이를 유효타 감지 센서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 제4세그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ㄱ"자형 의 반복 패턴을 형성하며,
    제1패턴의 제1세그먼트는 인접하는 제3세그먼트의 빈 공간 사이를 차지하도록 연장되어 상단면이 제4세그먼트와 이격되어 대향하며, 제2패턴의 제3세그먼트는 인접하는 제1세그먼트의 빈 공간 사이를 차지하도록 연장되어 하단면이 제2세그먼트와 이격되어 대향하는, 유효타 감지 센서.
  3. 유효타 감지 센서;
    LED광원; 및
    상기 유효타 감지 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유효타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유효타로 판정한 경우 LED광원을 점등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유효타 감지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는 격투기의 체급 또는 성별 또는 연령에 대응하는 유효타 기준값이 저장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측정값을 해당하는 유효타 기준값과 비교하여 유효타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유효타 감지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제어모듈은 통신서브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서브모듈은, 제어모듈이 유효타로 판정한 경우 유효타의 누적 횟수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에 신호를 송출하는, 유효타 감지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격투기용 호구 또는 헤드기어의 앞쪽 또는 뒷쪽에 장착되는, 유효타 감지 시스템.
KR1020160170449A 2016-12-14 2016-12-14 격투기용 호구의 유효타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유효타 감지 시스템 KR20180068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449A KR20180068597A (ko) 2016-12-14 2016-12-14 격투기용 호구의 유효타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유효타 감지 시스템
US15/390,719 US20180161659A1 (en) 2016-12-14 2016-12-27 Body protector device for martial arts and valid hit determination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CN201611225849.4A CN108225624A (zh) 2016-12-14 2016-12-27 格斗用护具的有效击打检测传感器及有效击打检测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449A KR20180068597A (ko) 2016-12-14 2016-12-14 격투기용 호구의 유효타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유효타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597A true KR20180068597A (ko) 2018-06-22

Family

ID=6248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449A KR20180068597A (ko) 2016-12-14 2016-12-14 격투기용 호구의 유효타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유효타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161659A1 (ko)
KR (1) KR20180068597A (ko)
CN (1) CN10822562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1273B (zh) * 2016-12-22 2019-11-26 厦门衡拓电子信息有限公司 一种智能交互式击打设备的实现方法
FR3062315B1 (fr) * 2017-01-31 2019-03-15 Frederic Marciano Equipement de detection de coups
CN108926831B (zh) * 2018-07-26 2019-12-31 厦门大学 一种电子护具及体联网系统
CN110354479A (zh) * 2019-07-08 2019-10-22 重庆道吧网络科技有限公司 格斗竞技评分系统及方法
CN114913734B (zh) * 2022-04-07 2024-03-15 福建泉城特种装备科技有限公司 刺杀对抗考评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9217U (zh) * 1990-05-10 1991-01-16 杨子明 触摸式防盗装置
CN2203890Y (zh) * 1994-06-14 1995-07-26 宛志成 自动显示计分目标靶
TW457504B (en) * 1999-06-25 2001-10-01 Tokyo Sensor Co Ltd Elongated shape switch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E10137420A1 (de) * 2001-07-27 2003-02-13 Jan Helming Spielgerät
CN2726530Y (zh) * 2003-12-22 2005-09-21 孙飙 灵敏素质象限跳测试与评价系统
EP1725309B1 (en) * 2004-03-19 2008-05-14 Sports Innovation AS Mat for sport and games
CN101846564A (zh) * 2010-03-24 2010-09-29 鲁东大学 一种基于冲量原理测量击打力的方法及检测系统
CN204043680U (zh) * 2014-03-13 2014-12-24 贺伟 搏击比赛用传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61659A1 (en) 2018-06-14
CN108225624A (zh)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8597A (ko) 격투기용 호구의 유효타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유효타 감지 시스템
KR200397918Y1 (ko) 태권도용 전자호구
ES2781331T3 (es) Aparato para monitorizar y registrar la ubicación y la intensidad de impactos en los deportes
US7891231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registering the location and intensity of impacts in sports
KR101321695B1 (ko)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
US11344780B2 (en) Strike detection equipment
US96752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scores made by a player
WO2015077546A1 (en) Fencing weapon including indicator integrated in guard
CN101027104A (zh) 用于体育和比赛的垫子
US20220012990A1 (en) Peripheral vision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50148140A1 (en) Sporting equipment including integrated diffused indicator
WO2011110806A1 (en) Improved sports bat
ES2221734T3 (es) Localizacion electronica del impacto de un dardo en una diana.
KR101235136B1 (ko) 태권도용 전자호구
US6715760B2 (en) Projectile impact locating device
KR101093669B1 (ko) 겨루기용 전자호구 시스템
KR200446527Y1 (ko) 정확도가 향상된 태권도용 전자호구
US200401714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hits while sparring
KR20110019570A (ko) 부심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호구 운영시스템
JPH04504965A (ja) 接触スポーツ用の衣類
JP2003038703A (ja) 武道用防具及びこれを用いた打撃判定システム
KR20070117947A (ko) 격투기용 충격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US10493348B2 (en) Electronic scoring system with impact zone locator
US20230011015A1 (en) Measuring device / sensor system for measuring, transferring and processing of relevant performance data from training and competition in contact sports, in particular the physical contact and its force effect
KR102220723B1 (ko) 태권도용 전자호구 및 이를 이용한 판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