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695B1 -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695B1
KR101321695B1 KR1020130105373A KR20130105373A KR101321695B1 KR 101321695 B1 KR101321695 B1 KR 101321695B1 KR 1020130105373 A KR1020130105373 A KR 1020130105373A KR 20130105373 A KR20130105373 A KR 20130105373A KR 101321695 B1 KR101321695 B1 KR 101321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low
hitting
determination unit
electronic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재
Original Assignee
김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재 filed Critical 김성재
Priority to KR1020130105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05Decision makers and devices using detection means facilitating arbitration
    • A63B71/0608Decision makers and devices using detection means facilitating arbitration using mechanical, i.e. non-electr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0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63B2071/12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breast and the abdomen, e.g. breast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3Force of an impact, e.g. blow or p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은, 외부 충격 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는 복수의 타격신호 발생부재를 동일 평면상에 배치한 필름센서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타격신호 감지부 및 상기 필름센서들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외부의 신호 수신 대상에 타격신호 리드회로, 호구를 타격하는 선수의 신체에 부착된 둘 이상의 영구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센서, 호구를 타격하는 선수의 손과 발 및 기타 신체 부위별로 개별 부착되는 복수의 영구자석, 상기 홀센서의 자기장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자기장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무선 출력하는 중계 모듈, 상기 타격신호 리드회로와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중계 모듈로부터 자기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을 포함하며, 유효타 판정기준이 사전 설정되어 상기 타격신호 리드회로를 통한 타격신호 감지부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유효타 판정기준과 비교하여 해당 전기적 신호가 상대 공격수의 유효타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고,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전기적 신호 및 상기 수신모듈을 통한 자기장 신호가 함께 입력 시 두 신호를 함께 분석하여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전기적 신호가 상대 선수의 어느 신체 부위의 타격인지 판단 후 제어신호를 생성해 출력하는 유효타 판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Electronic protector and sensing system of hitting region to electronic protector therefor}
본 발명은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호구 내측에 설치되는 중첩 형태의 필름 센서 및 각 필름 센서와 연계되는 매트릭스 구조의 회로를 통해 해당 호구에 대한 상대 선수의 타격이 유효타인지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동시에 홀센서 및 영구자석과의 연계를 통해 호구에 가해진 타격이 상대 선수의 어느 신체 부위에 의한 것인지 판별 가능한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격 방식의 격투기 스포츠에서는 선수들의 보호를 위해 호구 및 기타 보호 장비가 사용된다.
태권도를 예로 들면, 현재 태권도의 경기 방식은 다양한 종류의 발차기 기술 및 손의 지르기 기술을 사용하여 상대 선수의 유효 공격 부위를 정확하고 강한 힘으로 타격 시 점수가 획득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선수들은 경기 중의 부상 방지를 위해 헬멧과 호구를 착용한 상태로 경기에 임한다.
또한 태권도 경기의 초기 채점 방식은 심판들이 경기 중인 선수들의 발차기 및 지르기 공격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해당 공격의 유효타 여부를 판단 후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채점 방식은 심판의 주관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이어서, 상대적으로 낮은 객관성 및 잦은 오심 문제로 인해 공정성을 의심받는 것이었다.
따라서 세계태권도연맹은 심판 판정의 모호성 타파 및 태권도의 객관화와 과학화를 위해 센서를 설치한 전자 헬멧 및 전자 호구를 도입하여 채점에 활용하고 있다. 즉, 헬멧 및 호구의 가격되는 주요 포인트에 센서를 설치하고, 이렇게 설치된 센서에 충격이 가해질 때 이를 검출하여 점수를 부여한다. 그리고 전자 헬멧 및 전자 호구에 설치되는 센서로는 통상 압력센서 또는 접촉 센서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전자 헬멧 및 전자 호구는 그 센서로써 압력센서를 사용함에 따라, 비교적 무거운 압력센서의 특성상 헬멧 및 호구의 전체 영역에 넓게 분포시키기 어려워 상대적으로 타격을 인지하지 못하는 영역이 넓게 형성되고, 이와 동시에 전자적 센서로써 단선의 위험이 높은 압력센서의 특성 상 잦은 기능 이상 및 고장을 발생시킨다.
또한 접촉 센서가 사용되는 종래 전자 헬멧 및 전자 호구의 경우, 해당 접촉 센서가 상대 선수의 타격이 아닌 선수 간 단순 신체 접촉 시에도 이를 타격으로 감지하는 현상을 발생시켜, 유효타 여부의 감지에 큰 기능적 한계를 보이는 것이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90848호(2010.08.18.공개), “타격값을 추출하는 격투기 경기용 전자호구 및 타격점수 인식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93669호(2011.12.15.공고), “겨루기용 전자호구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호구 내측에 중첩 형태의 필름 센서 및 이러한 중첩형 필름 센서의 각 필름 센서와 연계되는 매트릭스 구조의 회로를 설치하여 해당 호구에 대한 상대 선수의 타격 및 해당 타격의 유효타 여부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호구 내측에 설치되는 중첩 형태의 필름 센서 및 각 필름 센서와 연계되는 매트릭스 구조의 회로 그리고 상대 선수의 발과 손 등 신체 부위별로 부착되는 서로 다른 자기장을 갖는 영구자석과의 연계를 통해 해당 호구에 대한 상대 선수의 타격이 신체 어느 부위에 의한 타격인지 여부 및 해당 타격의 유효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는, 격투기 경기 시 선수들이 착용하는 호구에 있어서, 외부 충격 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는 복수의 타격신호 발생부재를 동일 평면상에 배치한 필름센서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타격신호 감지부와,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필름센서들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외부의 신호 수신 대상으로 전달하는 타격신호 리드회로와, 호구를 타격하는 선수의 신체에 부착된 둘 이상의 영구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타격신호 리드회로와 접속되고 유효타 판정기준이 사전 설정되어 상기 타격신호 리드회로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유효타 판정기준과 비교하여 해당 전기적 신호가 상대 공격수의 유효타에 의한 전기적 신호인지 판단하는 유효타 판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효타 판별부는 상기 홀센서의 자기장 신호를 수신 후 수신된 자기장 신호 및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전기적 신호를 함께 분석하여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전기적 신호가 상대 공격수의 신체 어느 부위에 의한 타격인지 판별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효타 판별부는 수신되는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전기적 신호가 유효타에 의한 전기적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유효타 판별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의 전광판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효타 판별부는 수신되는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전기적 신호가 유효타에 의한 전기적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유효타 판별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유효타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효타 판별부의 유효타 판정기준은 둘 이상의 상기 필름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 입력 시 유효타에 의한 전기적 신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름센서는 상기 타격신호 발생부재의 격자형 배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시트와, 상기 지지시트에 격자형으로 지지되는 복수의 타격신호 발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격신호 발생부재는 압전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격신호 리드회로는 외부 충격 시 상기 타격신호 발생부재들에 개별 접촉되는 접점들을 구비한 상태로 상기 타격신호 발생부재들과 외부의 신호 수신 대상을 직렬, 병렬, 직병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방식으로 접속시키는 연성회로기판의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격신호 리드회로와 접속되어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필름센서들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외부의 전광판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시템은, 외부 충격 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는 복수의 타격신호 발생부재를 동일 평면상에 배치한 필름센서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타격신호 감지부와,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필름센서들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외부의 신호 수신 대상으로 전달하는 타격신호 리드회로와, 호구를 타격하는 선수의 신체에 부착된 둘 이상의 영구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센서와, 호구를 타격하는 선수의 손과 발 및 기타 신체 부위별로 개별 부착되어 해당 부위의 호구에 대한 타격 시 상기 홀센서를 통해 자기장을 감지당하는 복수의 영구자석과, 상기 홀센서의 자기장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자기장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무선 출력하는 중계 모듈과, 상기 타격신호 리드회로와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중계 모듈로부터 자기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을 포함하며, 유효타 판정기준이 사전 설정되어 상기 타격신호 리드회로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유효타 판정기준과 비교하여 해당 전기적 신호가 상대 공격수의 유효타에 의한 전기적 신호인지 판단하고,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전기적 신호 및 상기 수신모듈을 통한 자기장 신호가 함께 입력 시 두 신호를 함께 분석하여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전기적 신호가 상대 선수의 어느 신체 부위를 통한 타격인지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유효타 판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와 타격신호 리드회로 및 중계 모듈은 호구에 설치되어 상기 타격신호 리드회로와 상기 유효타 판별부 간 접속은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격신호 리드회로와 유효타 판별부 간의 무선 통신 및 상기 유효타 판별부의 수신 모듈 및 중계 모듈 간의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기반의 통신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효타 판별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효타 인정 및 해당 유효타의 점수 그리고 선수별의 경기 중 획득한 누적점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구 내측에 중첩 형태의 필름 센서 및 이러한 중첩형 필름 센서의 각 필름 센서와 연계되는 매트릭스 구조의 회로를 설치하여 해당 호구에 대한 상대 선수의 타격 및 해당 타격의 유효타 여부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태권도 등 격투기 경기의 공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대 선수의 발과 손 등 신체 부위별로 부착되는 서로 다른 자기장을 갖는 영구자석과의 연계를 통해 해당 호구에 대한 상대 선수의 타격이 신체 어느 부위에 의한 타격인지 여부 및 해당 타격의 유효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바, 태권도와 같이 신체의 거의 모든 부위를 이용하여 타격하는 격투기 경기에 적용 시 보다 정확한 채점 및 이를 통해 해당 경기의 공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에서 요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호구를 이용한 격투기 경기의 돌려차기 감지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 감지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100: 이하 “전자 호구”라 약칭함)는 외피(110), 타격신호 감지부(120), 타격신호 리드회로(130), 홀센서(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호구(100)는 유효타 판별부(140), 무선통신모듈(150), 유효타 표시부(미도시, 도 5 참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피(110)는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한 상태로 전자 호구(100)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도면을 기준으로 부연 설명하면, 외피(110)는 상,하부 외피(111,112)가 그 둘레를 서로 결합하여 두 외피(111,112) 사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형태이다. 그리고 이러한 외피(110)의 내측에 타격신호 감지부(120), 타격신호 리드회로(130), 홀센서(170)가 설치된다. 또한 전자 호구(100)가 유효타 판별부(140), 무선통신모듈(150), 유효타 표시부(160)를 포함하는 경우, 외피(110)의 내측에 유효타 판별부(140)의 전체 그리고 무선통신모듈(150)과 유효타 표시부의 일부가 설치된다.
타격신호 감지부(120)는 복수의 필름센서(121)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필름센서(121)는 외부 충격 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는 복수의 타격신호 발생부재(121b)를 동일 평면상에 배치한 형태이다.
타격신호 리드회로(130)는 타격신호 감지부(120)의 필름센서(121)들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외부의 신호 수신 대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홀센서(170)는 전자 호구(100)를 타격하는 선수의 신체에 부착된 둘 이상의 영구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타격신호 감지부(120)를 형성하는 필름센서(121) 및 타격신호 리드회로(130)의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에서 요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센서(121)는 지지시트(121a), 타격신호 발생부재(121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한 필름센서(121)는 절연시트(121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타격신호 리드회로(130)는 연성회로기판(132)으로 형성되어 필름센서(121)들의 일면에 개별 결합된다.
지지시트(121a)는 타격신호 발생부재(121b)의 격자형 배치를 지지하기 위한 용도이다. 이러한 지지시트(121a)는 유성성을 지녀 외부 충력시 자유롭게 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공지의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지지시트(121a)의 소재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타격신호 발생부재(121b)는 지지시트(121a)에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지지되며, 이러한 타격신호 발생부재(121b)는 외부 충격 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타격신호 발생부재(121b)가 압전필름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절연시트(121c)는 타격신호 발생부재(121b) 및 이러한 타격신호 발생부재(121b)와 마주하는 타격신호 리드회로(130)의 접점(131) 간을 절연하는 용도로써, 즉 절연시트(121c)는 전자 호구(100)에 대한 외부 타격이 없을 시 타격신호 발생부재(121b)와 타격신호 리드회로(130)의 접점(131) 간을 이격시켜 절연하는 용도이다. 따라서, 타격신호 발생부재(121b) 및 타격신호 리드회로(130)의 접점(131)과 마주하는 절연시트(121c) 영역에는 전자 호구(100)에 대한 외부 타격 시 타격신호 발생부재(121b)와 타격신호 리드회로(130)의 접점(131) 간 접촉을 위한 접속홀(121c-1)이 형성된다.
타격신호 리드회로(130)는 각 필름센서(121)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연성회로기판(132)의 구성이다. 즉, 타격신호 리드회로(130)는 외부 충격 시 타격신호 발생부재(121b)들에 개별 접촉되는 접점(131)들을 구비한 상태로 타격신호 발생부재(121b)들과 외부의 신호 수신 대상을 직렬, 병렬, 직병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방식으로 접속시키는 연성회로기판(13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렇게 연성회로기판(132)으로 이루어지는 타격신호 리드회로(130)는 각각의 필름센서(121)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해당 필름센서(121)의 일면에 부착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유효타 판별부(140)는 타격신호 리드회로(130)와 접속되며, 이러한 유효타 판별부(140)는 유효타 판정기준이 사전 설정되어 타격신호 리드회로(130)를 통해 전송되는 타격신호 감지부(120)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유효타 판정기준과 비교하여 해당 전기적 신호가 상대 공격수의 유효타에 의한 전기적 신호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유효타 판별부(140)는 수신되는 타격신호 감지부(120)의 전기적 신호가 유효타에 의한 전기적 신호인 것으로 판단 시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무선통신모듈(150)에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유효타 판별부(140)의 유효타 판정기준이 둘 이상의 필름센서(121)로부터 전기적 신호 입력 시 이를 유효타에 의한 전기적 신호로 판단하는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효타 판정기준은 필름센서(121)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를 따르는 등 다양한 기준으로 적용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150)은 유효타 판별부(14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의 전광판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전광판은 무선통신모듈(150)을 통해 유효타 판별부(140)의 제어신호를 수신 후 제어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전자 호구(100)에 대한 타격이 유효타인 것의 표시, 유효타에 의해 획득되는 점수, 유효타를 한 선수의 현재까지 누적 점수 등을 표시한다.
유효타 표시부는 유효타 판별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것으로서, 일 예로 유효타 판별부는 LED로 이루어져, 이러한 유효타 판별부가 외피(110)의 내외측에 걸쳐 설치되며, 외피(110) 외측에 위치한 LED 부분의 발광을 통해 해당 외피를 착용한 선수가 상대 선수에게 유효타를 허용하였음을 표시한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호구의 홀센서를 이용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필름센서(121)의 적층을 통해 구성되는 타격신호 감지부(120) 및 타격신호 리드회로(130) 등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에 해당하는바, 본 구성에서는 홀센서(170) 및 이러한 홀센서(170)를 통해 상대 선수의 타격 부위가 신체의 어느 부위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유효타 판별부(140)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밝혀 둔다.
홀센서는(170)는 유효타 판별부(140)에 전송하기 위한 영구자석의 자기장 신호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영구자석은 상대 선수의 발과 손 등 전자 호구에 대해 타격을 가하는 신체 부위에 부착된다. 또한 영구자석은 발과 손 등 신체 부위별로 서로 다른 자기장의 영구자석이 부착된다.
이에 따라, 전자 호구(100)에 대한 상대 선수의 타격 시, 홀센서(170)는 상대 선수의 신체에 부착된 영구자석의 자기장 신호를 감지 후 이를 유효타 판별부(14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유효타 판별부(140)는 입력되는 홀센서(170)의 자기장 신호 및 타격신호 감지부(120)의 전기적 신호를 함께 분석하여 타격신호 감지부(120)의 전기적 신호가 상대 공격수의 발과 손 등 신체 어느 부위에 의한 타격인지 판별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무선통신모듈(150)이 유효타 판별부(140)의 제어신호를 전광판에 무선 전송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무선통신모듈(150)은 타격신호 리드회로(130)로부터 타격신호 감지부(120)의 신호를 수신 후 이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무선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유효타 판별부(140)에 해당하는 구성이 전자 호구(100)에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경기 감독관의 PC 또는 전광판 등에 구성되는 경우에 해당된다.
이러한 구성은 이어서 설명되는 도 6을 참조한 전자 호구를 이용한 격투기 경기의 돌려차기 감지시스템을 통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호구를 이용한 격투기 경기의 돌려차기 감지시스템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호구를 이용한 격투기 경기의 돌려차기 감지시스템은 타격신호 감지부(120), 타격신호 리드회로(130), 홀센서(170), 영구자석(210), 중계 모듈(220), 유효타 판별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타격신호 감지부(120) 및 타격신호 리드회로(130) 그리고 홀센서(170)는 전자 호구(200)의 외피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는 도 1 내지 도 5를 예로 설명한 전자 호구(100)의 구성과 동일하며, 또한 타격신호 감지부(120) 및 타격신호 리드회로(130) 그리고 홀센서(170) 각각의 구체적인 구성 역시 도 1 내지 도 5을 예로 설명한 전자 호구(100)의 그 것들과 동일한 구성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타격신호 감지부(120), 타격신호 리드회로(130), 홀센서(17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는 동시에 부호도 도 1 내지 도 5의 해당 구성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영구자석(210), 중계 모듈(220), 유효타 판별부(23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영구자석(210)은 격투기 선수의 발, 손 등에 부착되어 해당 선수의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 기술 시 해당 자기장을 전자 호구의 홀센서에 감지당한다. 다시 말해, 전자 호구에 대한 상대 선수의 타격 시 해당 전자호구의 홀센서가 상대 선수의 신체에 부착된 영구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한다.
중계 모듈(220)은 홀센서(170)의 자기장 신호를 수신 후 수신된 자기장 신호를 유효타 판별부(230)에 전송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중계 모듈(220)은 전자 호구(200)에 설치되어 해당 전자 호구(200)에 타격을 하는 상대 선수의 영구자석(210)으로부터 자기장 신호를 감지 후 감지한 자기장 신호를 유효타 판별부(230)에 무선 전송한다. 이에 따라 유효타 판별부(230)는 자기장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의 수신모듈(231)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유효타 판별부(230)의 수신 모듈(231) 및 중계 모듈(220) 간의 무선 통신이 블루투스 기반의 통신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중계 모듈(220)은 타격신호 리드회로(130)와 유효타 판별부(230) 간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기능도 가지지만, 이와 다른 형태로써 전자 호구(200)에 별도의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 설치되고, 이러한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타격신호 리드회로(130)와 유효타 판별부(230) 간의 전기적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중계 모듈(220)이 타격신호 리드회로(130)와 유효타 판별부(230) 간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을 중계하고 또한 홀센서(170)와 유효타 판별부(230) 간 자기장 신호의 송수신을 중계하는 형태를 예로 설명한다.
유효타 판별부(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수신모듈(231)이 전자 호구(200)의 중계 모듈(220)로부터 타격신호 감지부(120)의 전기적 신호 및 홀센서(170)의 자기장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유효타 판별부(230)는 유효타 판정기준이 사전 설정되어 타격신호 리드회로(130)를 통해 전송되는 타격신호 감지부(120)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유효타 판정기준과 비교하여 해당 전기적 신호가 상대 공격수의 유효타에 의한 전기적 신호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유효타 판별부(230)는 타격신호 감지부(120)의 전기적 신호 및 홀센서(170)의 자기장 신호가 수신모듈(231)을 통해 함께 입력 시 두 신호를 함께 분석하여 타격신호 감지부(120)의 전기적 신호가 상대 선수의 신체 어느 부위에 의한 타격인지 판별한다. 그리고 그 판별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유효타 판별부(230)는 디스플레이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240)는 유효타 판별부(2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효타 인정 및 해당 유효타의 점수 그리고 선수별의 경기 중 획득한 누적점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표시한다.
그리고 유효타 판별부(230)의 유효타 판정기준은 타격신호 감지부(120)를 형성하는 둘 이상의 필름센서(121)로부터 전기적 신호 입력 시 이를 유효타에 의한 전기적 신호로 판단하는 형일 수 있고, 이밖에 필름센서(121)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를 따르는 등 다양한 기준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은, 호구 내측에 중첩 형태의 필름 센서 및 이러한 중첩형 필름 센서의 각 필름 센서와 연계되는 매트릭스 구조의 회로를 설치하여 해당 호구에 대한 상대 선수의 타격 및 해당 타격의 유효타 여부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태권도 등 격투기 경기의 공정성이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상대 선수의 발과 손 등 신체 부위별로 부착되는 서로 다른 자기장을 갖는 영구자석과의 연계를 통해 해당 호구에 대한 상대 선수의 타격이 신체 어느 부위에 의한 타격인지 여부 및 해당 타격의 유효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바, 태권도와 같이 신체의 거의 모든 부위를 이용하여 타격하는 격투기 경기에 적용 시 보다 정확한 채점 및 이를 통해 해당 경기의 공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전자 호구 110 : 외피
111 : 상부 외피 112 : 하부 외피
120 : 타격신호 감지부 121 : 필름센서
121a : 지지시트 121b : 타격신호 발생부재
130 : 타격신호 리드회로 131 : 접점
132 : 연성회로기판 140,230 : 유효타 판별부
150 : 무선통신모듈 160 : 유효타 표시부
170 : 홀센서 200 : 타격부위 감지시스템
210 : 영구자석 220 : 중계 모듈
230 : 유효타 판별부 231 : 수신모듈
24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7)

  1. 격투기 경기 시 선수들이 착용하는 호구에 있어서,
    외부 충격 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는 복수의 타격신호 발생부재를 동일 평면상에 배치한 필름센서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타격신호 감지부;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필름센서들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외부의 신호 수신 대상으로 전달하는 타격신호 리드회로;
    호구를 타격하는 선수의 신체에 부착된 둘 이상의 영구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하는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신호 리드회로와 접속되고 유효타 판정기준이 사전 설정되어 상기 타격신호 리드회로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유효타 판정기준과 비교하여 해당 전기적 신호가 상대 공격수의 유효타에 의한 전기적 신호인지 판단하는 유효타 판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타 판별부는 상기 홀센서의 자기장 신호를 수신 후 수신된 자기장 신호 및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전기적 신호를 함께 분석하여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전기적 신호가 상대 공격수의 신체 어느 부위에 의한 타격인지 판별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타 판별부는 수신되는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전기적 신호가 유효타에 의한 전기적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유효타 판별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의 전광판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타 판별부는 수신되는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전기적 신호가 유효타에 의한 전기적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유효타 판별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유효타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타 판별부의 유효타 판정기준은 둘 이상의 상기 필름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 입력 시 유효타에 의한 전기적 신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센서는
    상기 타격신호 발생부재의 격자형 배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시트;
    상기 지지시트에 격자형으로 지지되는 복수의 타격신호 발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신호 발생부재는 압전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신호 리드회로는 외부 충격 시 상기 타격신호 발생부재들에 개별 접촉되는 접점들을 구비한 상태로 상기 타격신호 발생부재들과 외부의 신호 수신 대상을 직렬, 병렬, 직병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방식으로 접속시키는 연성회로기판의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신호 리드회로와 접속되어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필름센서들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외부의 전광판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기 경기용 전자호구.
  11. 외부 충격 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는 복수의 타격신호 발생부재를 동일 평면상에 배치한 필름센서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타격신호 감지부;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필름센서들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외부의 신호 수신 대상으로 전달하는 타격신호 리드회로;
    호구를 타격하는 선수의 신체에 부착된 둘 이상의 영구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센서;
    호구를 타격하는 선수의 손과 발 및 기타 신체 부위별로 개별 부착되어 해당 부위의 호구에 대한 타격 시 상기 홀센서를 통해 자기장을 감지당하는 복수의 영구자석;
    상기 홀센서의 자기장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자기장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무선 출력하는 중계 모듈;
    상기 타격신호 리드회로와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중계 모듈로부터 자기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을 포함하며, 유효타 판정기준이 사전 설정되어 상기 타격신호 리드회로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유효타 판정기준과 비교하여 해당 전기적 신호가 상대 공격수의 유효타에 의한 전기적 신호인지 판단하고,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전기적 신호 및 상기 수신모듈을 통한 자기장 신호가 함께 입력 시 두 신호를 함께 분석하여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의 전기적 신호가 상대 선수의 어느 신체 부위를 통한 타격인지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유효타 판별부를 포함하는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와 타격신호 리드회로 및 중계 모듈은 호구에 설치되어 상기 타격신호 리드회로와 상기 유효타 판별부 간 접속은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신호 리드회로와 유효타 판별부 간의 무선 통신 및 상기 유효타 판별부의 수신 모듈 및 중계 모듈 간의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기반의 통신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타 판별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효타 인정 및 해당 유효타의 점수 그리고 선수별의 경기 중 획득한 누적점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타 판별부의 유효타 판정기준은 둘 이상의 상기 필름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 입력 시 유효타에 의한 전기적 신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신호 감지부는
    상기 타격신호 발생부재의 격자형 배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시트;
    상기 지지시트에 격자형으로 지지되는 복수의 타격신호 발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신호 발생부재는 압전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
KR1020130105373A 2013-09-03 2013-09-03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 KR101321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373A KR101321695B1 (ko) 2013-09-03 2013-09-03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373A KR101321695B1 (ko) 2013-09-03 2013-09-03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1695B1 true KR101321695B1 (ko) 2013-10-23

Family

ID=4963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373A KR101321695B1 (ko) 2013-09-03 2013-09-03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69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666B1 (ko) 2014-05-01 2015-01-02 주식회사 제미타 타격용 전자 강도 감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571546B1 (ko) 2014-10-31 2015-11-24 하이네트(주) 전자 호구 장치
KR20170035373A (ko) 2015-09-22 2017-03-31 주식회사 스타폴 유연성을 가지는 2종 감지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체험훈련 및 엔터테인먼트용 전자슈트 시스템
CN109506682A (zh) * 2019-01-02 2019-03-22 成都高阳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实战训练护具的接触检测系统
KR20190137648A (ko) 2018-06-03 2019-12-11 진성우 합기도전자몸통보호대
CN111530056A (zh) * 2020-04-29 2020-08-14 吉林化工学院 一种基于时间序列分析的物料概率统计提取器
KR102217931B1 (ko) * 2020-03-19 2021-02-19 주식회사 유비스포 전자호구를 이용한 반자동 경기운용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10088454A (ko) * 2020-01-06 2021-07-14 주식회사 제미타 격투 경기의 채점 시스템 및 방법
WO2021141364A1 (ko) * 2020-01-06 2021-07-15 주식회사 제미타 격투 경기의 채점 시스템 및 방법
KR102533468B1 (ko) * 2022-08-12 2023-05-17 구민관 자동 득점 판정이 가능한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069A (ko) * 2008-07-08 2010-01-18 (주)케이피앤피 전자호구와 전자호구 시스템 및 전자호구에서의 유효타판별방법
KR20100092733A (ko) * 2009-02-13 2010-08-23 (주)아이크로스테크놀로지 무선등록을 위한 전자호구와 전자호구 운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자호구 무선등록방법
KR20100131646A (ko) * 2009-06-08 2010-12-16 최영삼 태권도용 전자호구와 미트의 타격에 따른 송수신 전광판 및 그 운용방법
KR20120095933A (ko) * 2009-10-23 2012-08-29 니드사이프 노미니스 피티와이 엘티디 무술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자 채점 시스템, 방법 및 호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069A (ko) * 2008-07-08 2010-01-18 (주)케이피앤피 전자호구와 전자호구 시스템 및 전자호구에서의 유효타판별방법
KR20100092733A (ko) * 2009-02-13 2010-08-23 (주)아이크로스테크놀로지 무선등록을 위한 전자호구와 전자호구 운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자호구 무선등록방법
KR20100131646A (ko) * 2009-06-08 2010-12-16 최영삼 태권도용 전자호구와 미트의 타격에 따른 송수신 전광판 및 그 운용방법
KR20120095933A (ko) * 2009-10-23 2012-08-29 니드사이프 노미니스 피티와이 엘티디 무술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자 채점 시스템, 방법 및 호구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666B1 (ko) 2014-05-01 2015-01-02 주식회사 제미타 타격용 전자 강도 감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571546B1 (ko) 2014-10-31 2015-11-24 하이네트(주) 전자 호구 장치
KR20170035373A (ko) 2015-09-22 2017-03-31 주식회사 스타폴 유연성을 가지는 2종 감지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체험훈련 및 엔터테인먼트용 전자슈트 시스템
KR20190137648A (ko) 2018-06-03 2019-12-11 진성우 합기도전자몸통보호대
CN109506682A (zh) * 2019-01-02 2019-03-22 成都高阳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实战训练护具的接触检测系统
KR20210088454A (ko) * 2020-01-06 2021-07-14 주식회사 제미타 격투 경기의 채점 시스템 및 방법
WO2021141364A1 (ko) * 2020-01-06 2021-07-15 주식회사 제미타 격투 경기의 채점 시스템 및 방법
KR102652531B1 (ko) * 2020-01-06 2024-04-01 주식회사 제미타 격투 경기의 채점 시스템 및 방법
KR102217931B1 (ko) * 2020-03-19 2021-02-19 주식회사 유비스포 전자호구를 이용한 반자동 경기운용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N111530056A (zh) * 2020-04-29 2020-08-14 吉林化工学院 一种基于时间序列分析的物料概率统计提取器
KR102533468B1 (ko) * 2022-08-12 2023-05-17 구민관 자동 득점 판정이 가능한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695B1 (ko)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
KR200397918Y1 (ko) 태권도용 전자호구
US6700051B2 (en) Contac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N102711931B (zh) 在武术中使用的电子计分系统、方法和盔甲
US9873031B2 (en) Smart target system for combat fitness and competition training
KR20100006069A (ko) 전자호구와 전자호구 시스템 및 전자호구에서의 유효타판별방법
KR20190111046A (ko) 타격 검출 장비
KR20160092769A (ko) 격투기용 발 보호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호구세트
KR101446604B1 (ko) 태권도용 전자 호구 장치
KR20110072713A (ko) 타격상태 출력 기능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8597A (ko) 격투기용 호구의 유효타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유효타 감지 시스템
KR100835348B1 (ko) 격투기 훈련기구용 타격강도 출력장치
KR20110019570A (ko) 부심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호구 운영시스템
KR101376357B1 (ko)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격투기 경기의 돌려차기 감지시스템
JP2011224284A (ja) 打数カウントシステム
KR102220723B1 (ko) 태권도용 전자호구 및 이를 이용한 판정시스템
JP2000042162A (ja) 有効打判定装置
KR101719729B1 (ko) 전자 호구
JP5057178B2 (ja) 離隔攻撃判定装置
US20190134486A1 (en) Electronic scoring system with impact zone locator
KR102044903B1 (ko) 가변되는 타격조건에 대응하는 파워 측정장치
KR200429415Y1 (ko) 궁도용 표적판의 적중알림장치
KR100274610B1 (ko) 무술용구
KR102631268B1 (ko) 전자 타격측정 시스템
KR20100090848A (ko) 타격값을 추출하는 격투기경기용 전자호구 및 타격점수 인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