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468B1 - 자동 득점 판정이 가능한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득점 판정이 가능한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468B1
KR102533468B1 KR1020220101116A KR20220101116A KR102533468B1 KR 102533468 B1 KR102533468 B1 KR 102533468B1 KR 1020220101116 A KR1020220101116 A KR 1020220101116A KR 20220101116 A KR20220101116 A KR 20220101116A KR 102533468 B1 KR102533468 B1 KR 102533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tting
player
sensor
motion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민관
Original Assignee
구민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민관 filed Critical 구민관
Priority to KR1020220101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05Decision makers and devices using detection means facilitating arbi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63B2071/12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breast and the abdomen, e.g. breast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3Force of an impact, e.g. blow or p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은, 복수의 타격강도센서가 설치되고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의 타격 대상 신체부위에 착용되는 전자호구; 동작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일방 선수 및 타방 선부의 타격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상기 타격강도센서 및 상기 동작센서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동작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일방선수 및 타당선수의 타격동작을 분석하고, 상기 타격강도센서에서 측정된 타격강도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강도값 이상이고, 상기 타격강도센서를 타격한 상기 일방 선수 또는 타방 선수의 타격동작이 미리 설정된 기준동작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유효타로 판정하는 득점판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격투경기에서 자동으로 정확하게 득점 판정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득점 판정이 가능한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 및 방법{COMBAT SPORTS OPERAT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AUTUMATIC SCORING}
본 발명은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득점 판정이 가능한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격투경기에 있어서 격투과정에서 발생되는 타격으로부터 선수를 보호하기 위해 호구가 착용되고 있다. 호구는 부위별로 머리(헤드), 몸통(바디)용 뿐 아니라, 손이나 발을 위한 것도 개발되어 있다.
전자호구는 전자장치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를 호구에 부착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센서 작동시 타격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이다.
태권도와 같은 격투경기에 있어서 선수들은 헤드기어와 몸통호구의 두 가지의 전자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헤드기어와 몸통호구에는 압전센서가 설치되어 타격시 압전센서에서 검출되는 압력값에 의하여 점수를 판정하는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경우 압전 센서가 충격량을 탐지하는 방식이 충격이 되는 면적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아 판정의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선수가 압전센서의 위치를 미리 파악한 후 제대로 된 발차기 없이 압전센서가가 위치한 부분을 발바닥으로 문지르는 행위 등으로 인해 득점이 인정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2217931호(이하 '931특허'라 함)의 경우 전자호구에서 감지된 파워값에 더하여 심판채점기에 의해 입력되는 유효타 검증결과를 더 고려하여 유효타를 판정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931특허의 경우 각각의 심판이 경기 동작을 보고 있다가 타격 발생시 유효타 판정에 대한 의견을 실시간으로 입력해야 한다는 점에서 자동화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2208099호(이하 '099특허'라 함)의 경우 전자호구에 대응되는 타격 판별 장치가 관성 측정 장치 및 감지용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관성 측정 장치의 관성 신호에 기초하여 타격 동작의 강도와 타격 동작의 모양을 판별하고, 감지용 안테나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타격 주체와 타격 대상 간의 근접 거리를 산출하여 유효타를 판별하는 격투 경기의 채점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099특허는 관성 신호에 기초하여 타격 동작의 모양을 판별하는 점에서 자동화의 목적은 달성되었지만 타격을 가하는 일방 선수의 손 또는 발에 착용된 타격 판별 장치의 관성 신호에 기초하여 타격 강도를 산출하며, NFC 모듈과 같은 근접 센서를 통하여 일방 선 또는 발이 타방 선수의 타격 대상에 근접했는지를 기초로 유효타를 판단함에 따라 실제 일방 선수의 강한 손 또는 발의 동작이 이루어졌으나 타방 선수의 타격 대상에 정타로 맞지 못하고 스치거나 하는 등의 경우에도 유효타로 판단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한계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17931호(2021.02.15) 한국등록특허 제10-2208099호(2021.01.2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심판의 유효타 판정 없이도 자동으로 정확하게 득점 판정이 가능한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은, 복수의 타격강도센서가 설치되고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의 타격 대상 신체부위에 착용되는 전자호구; 동작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일방 선수 및 타방 선부의 타격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상기 타격강도센서 및 상기 동작센서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동작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일방선수 및 타당선수의 타격동작을 분석하고, 상기 타격강도센서에서 측정된 타격강도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강도값 이상이고, 상기 타격강도센서를 타격한 상기 일방 선수 또는 타방 선수의 타격동작이 미리 설정된 기준동작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유효타로 판정하는 득점판정장치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제1 동작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의 제1 신체부위에 착용되는 제1 웨어러블 장치; 및 제2 동작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의 제2 신체부위에 착용되는 제2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타격강도센서는 발광모듈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득점판정장치는 유표타로 판정시 대응되는 상기 타격강도센서의 상기 발광모듈을 발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득점판정장치는 상기 제1 동작센서 및 상기 제2 동작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타격동작의 파워 및 스피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파워 및 스피드를 더 고려하여 타격동작이 상기 기준동작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은, 격투경기의 진행현황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득점판정장치는 상기 타격강도센서에서 측정된 타격강도값이 상기 기준강도값 이상인지 여부, 타격동작이 상기 기준동작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 및 유효타 판정 여부를 상기 표시장치을 통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득점판정장치는 상기 제1 동작센서 및 상기 제2 동작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격투경기 동안의 상기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의 타격동작 종류별 시도횟수 및 유효타 성공횟수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득점판정장치는 상기 제1 동작센서 및 상기 제2 동작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격투경기 동안의 상기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의 운동량 정보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투경기 운영 방법은, (a) 득점판정장치가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가 타격 대상 신체부위에 착용하는 전자호구에 설치된 복수의 타격강도센서에서 측정된 타격강도값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득점판정장치가 상기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에 의해 타격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에 설치된 동작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득점판정장치가 상기 동작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타격동작을 분석하는 단계; (d) 상기 득점판정장치가 상기 타격강도센서에서 측정된 타격강도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강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득점판정장치가 상기 타격강도센서에서 측정된 타격강도값이 상기 기준강도값 이상이고, 상기 타격강도센서를 타격한 상기 일방 선수 또는 타방 선수의 타격동작이 미리 설정된 기준동작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유효타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격투경기 운영 방법은, 상기 타격강도센서는 발광모듈과 일체로 형성되고, (f) 상기 득정판정장치가 유효타로 판정시 대응되는 상기 타격강도센서의 발광모듈을 발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은, 제1 위치에 설치되어 일방 선수의 타격 대상이 되고 복수의 제1 타격강도센서를 포함하는 제1 파워백; 제1 동작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일방 선수의 타격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제1 웨어러블 장치; 제2 위치에 설치되어 타방 선수의 타격 대상이 되고 복수의 제2 타격강도센서를 포함하는 제2 파워백; 제2 동작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타방 선수의 타격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제2 웨어러블 장치; 상기 제1 타격강도센서, 제2 타격강도센서, 제1 동작센서 및 제2 동작센서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동작센서 및 상기 제2 동작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일방선수 및 타방선수의 타격동작을 분석하고, 상기 제1 타격강도센서 또는 상기 제2 타격강도센서에서 측정된 타격강도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강도값 이상이고, 상기 제1 타격강도센서 또는 상기 제2 타격강도센서를 타격한 상기 일방 선수 또는 타방 선수의 타격동작이 미리 설정된 기준동작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유효타로 판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격강도센서 및 상기 제2 타격강도센서는 발광모듈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득점판정장치는 유효타로 판정시 상기 제1 타격강도센서 및 상기 제2 타격강도센서 중 실제 타격된 타격강도센서에 대응되는 원격의 타격강도센서의 발광모듈을 발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격강도센서 및 상기 제2 타격강도센서는 발광모듈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득점판정장치는 상기 분석된 타격동작에 기초하여 타격이 예상되는 상제1 타격강도센서 또는 상기 제2 타격강도센서를 판별하고, 상기 타격이 예상되는 타격강도센서에 대응되는 원격의 타격강도센서의 발광모듈을 미리 발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은, 타격강도센서가 설치되는 전자호구 및 동작센서가 설치되는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타격강도값이 기준강도값 이상이더라도 타격동작이 기준동작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유효타로 판정함으로써 자동으로 득점 판정을 수행하면서도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을 이용한 격투경기의 예시 운영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는 도 2의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에서 타방 선수가 일방 선수를 타격한 경우 전자호구(100), 득점판정장치(500) 및 웨어러블 장치(40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득점판정장치(500)의 데이터 학습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득점판정장치(500)가 타격동작이 기준동작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제1 웨어러블 장치(400a)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제2 웨어러블 장치(400b)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의 득점 판정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을 이용한 격투경기의 예시 운영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 파워백(7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지의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의 예시적인 격투경기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을 이용한 격투경기의 예시 운영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은 전자호구(100, 200), 웨어러블 장치(300, 400) 및 득점판정장치(500) 및 표시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자호구(100, 200)에는 복수의 타격강도센서가 설치되고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의 타격 대상 신체 부위에 작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자호구(100)는 일방 선수가 착용하는 호구로 제1 전자호구(100a) 및 제2 전자호구(1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전자호구(100a)는 일방 선수의 머리에 착용되는 헤드기어일 수 있으며, 복수의 제1 타격강도센서(11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전자호구(100b)는 일방 선수의 몸통에 착용되는 몸통호구일 수 있으며, 복수의 제2 타격강도센서(1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자호구(200)는 타방 선수가 착용하는 호구로 제1 전자호구(200a) 및 제2 전자호구(2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전자호구(200a)는 타방 선수의 머리에 착용되는 헤드기어일 수 있으며, 복수의 제1 타격강도센서(21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전자호구(200b)는 타방 선수의 몸통에 착용되는 몸통호구일 수 있으며, 복수의 제2 타격강도센서(2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웨어러블 장치(300, 400)에는 동작센서가 설치되고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의 타격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장치로, 손 보호대 및 발 보호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일방 선수가 착용하는 보호대로 제1 웨어러블 장치(300a) 및 제2 웨어러블 장치(3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웨어러블 장치(300a)는 일방 선수의 손에 착용되는 손 보호대의 형태로 구성되며, 도 2에서 후술할 바와 같이 제1 동작센서(31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웨어러블 장치(300b)는 일방 선수의 발에 착용되는 발 보호대의 형태로 구성되며, 도 2에서 후술할 바와 같이 제2 동작센서(3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웨어러블 장치(400)는 타방 선수가 착용하는 보호대로 제1 웨어러블 장치(400a) 및 제2 웨어러블 장치(4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웨어러블 장치(400a)는 타당 선수의 손에 착용되는 손 보호대의 형태로 구성되며, 도 2에서 후술할 바와 같이 제1 동작센서(41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웨어러블 장치(400b)는 타방 선수의 발에 착용되는 발 보호대의 형태로 구성되며, 도 2에서 후술할 바와 같이 제2 동작센서(4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득점판정장치(500)는 상기 타격강도센서 및 동작센서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동작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의 타격동작을 분석하고, 타격강도센서에서 측정된 타격강도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강도값 이상이고, 타격강도센서를 타격한 상기 일방 선수 또는 타방 선수의 타격동작이 미리 설정된 기준동작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유효타로 판정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장치(600)는 득점판정장치(5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득점판정장치(5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기초로 격투경기의 진행현황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득점판정장치(500)를 기준으로 좌측에는 격투경기의 일방 선수가 착용하게 되는 전자호구(100) 및 웨어러블 장치(300)가 위치하고, 우측에는 격투경기의 타방 선수가 착용하게 되는 전자호구(200) 및 웨어러블 장치(400)가 위치하고 있다.
전자호구(100)는 제1 전자호구(100a) 및 제2 전자호구(1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전자호구(100a)는 헤드기어일 수 있으며, 제2 전자호구(100b)는 몸통호구일 수 있다.
제1 전자호구(100a)는 제1 타격강도센서(110a), 제1 발광모듈(120a) 및 통신 모듈(130a)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2 전자호구(100b)는 제2 타격강도센서(110b), 제2 발광모듈(120b) 및 통신 모듈(13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타격강도센서(110a) 및 제2 타격강도센서(110b)는 일방 선수 또는 타방 선수의 타격 동작에 의한 충격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 피에조 방식의 압전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이며 외부의 충력에 의한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피에조 방식의 압전 센서 외의 다른 대체적인 센서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발광모듈(120a) 및 제2 발광모듈(120b)은 LED 소자 등으로 이루어진 발광할 수 있는 모듈을 나타낸다.
제1 발광모듈(120a) 및 제2 발광모듈(120b) 각각은 제1 타격강도센서(110a) 및 제2 타격강도센서(110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실시예로 제1 타격강도센서(110a) 및 제2 타격강도센서(110b)의 테두리부에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130a) 및 통신 모듈(130b)은 제1 타격강도센서(110a) 및 제2 타격강도센서(110b)에서 수신되는 타격강도값을 포함하는 센서값 등을 득점판정장치(500)로 전송하고, 득점판정장치(500)로부터 제1 발광모듈(120a) 및 제2 발광모듈(120b)의 온오프 제어신호를 포함한 각종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전자호구(200)는 제1 전자호구(200a) 및 제2 전자호구(2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2 전자호구(100a)는 헤드기어일 수 있으며, 제2 전자호구(200b)는 몸통호구일 수 있다.
제1 전자호구(200a)는 제1 타격강도센서(210a), 제1 발광모듈(220a) 및 통신 모듈(230a)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2 전자호구(200b)는 제2 타격강도센서(210b), 제2 발광모듈(220b) 및 통신 모듈(23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자호구(20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은 전자호구(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제1 웨어러블 장치(300a) 및 제2 웨어러블 장치(3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웨어러블 장치(300a)는 손 보호대일 수 있으며, 제2 웨어러블 장치(300b)는 발 보호대일 수 있다.
제1 웨어러블 장치(300a)는 제1 동작센서(310a) 및 통신 모듈(320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2 웨어러블 장치(300b)는 제2 동작센서(310b) 및 통신 모듈(32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동작센서(310a) 및 제2 동작센서(310b)는 일방 선수 또는 타방 선수의 특정 신체부위의 모션(움직임), 파워 및 스피드 등을 검출하는 역할을 하며,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3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통신 모듈(320a) 및 통신 모듈(320b)은 제1 동작센서(310a) 및 제2 동작센서(310b)에서 수신되는 동작센서값을 포함하는 센서값 등을 득점판정장치(500)로 전송하고, 득점판정장치(500)로부터 각종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웨어러블 장치(400)는 제1 웨어러블 장치(400a) 및 제2 웨어러블 장치(4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웨어러블 장치(400a)는 손 보호대일 수 있으며, 제2 웨어러블 장치(400b)는 발 보호대일 수 있다.
제1 웨어러블 장치(400a)는 제1 동작센서(410a) 및 통신 모듈(420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2 웨어러블 장치(400b)는 제2 동작센서(410b) 및 통신 모듈(42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웨어러블 장치(40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은 웨어러블 장치(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득점판정장치(500)는 타격강도값 및 동작센서값을 기초로 유효타를 판정하고, 유효타 판정 결과를 기초로 경기현황 정보를 표시장치(600)를 통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격투경기에서 타격이 이루어진 경우의 득점 판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는 도 2의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에서 타방 선수가 일방 선수를 타격한 경우 전자호구(100), 득점판정장치(500) 및 웨어러블 장치(40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전자호구(100)의 구성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웨어러블 장치(400)는 제1 웨어러블 장치(400a) 및 제2 웨어러블 장치(4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웨어러블 장치(400a)는 제1 동작센서(410a) 및 통신 모듈(420a)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동작센서(410a)는 자이로 센서(411a), 가속도 센서(412a) 및 지자자기 센서(41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웨어러블 장치(400b)는 제2 동작센서(410b) 및 통신 모듈(420b)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2 동작센서(410b)는 자이로 센서(411b), 가속도 센서(412b) 및 지자기 센서(41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이로 센서(411a, 411b)는 물체의 회전 속도인 각속도의 값을 측정하는 센서로 '각속도 센서'라고도 불린다. 자이로 센서(411a, 411b)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회전하는 물체의 회전각과 기울기 등의 정보는 물체의 회전 동작 등을 포함한 움직임 판단에 이용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12a, 412b)는 움직이는 물체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 센서의 측정값은 가속도 및 기울기 각도 등을 계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지자기 센서(413a, 413b)는 진북 방향, 자기장 세기, 방위각 등의 방위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자이로 센서(411a, 411b), 가속도 센서(412a, 412b) 및 지자기 센서(413a, 413b) 각각은 x축, y축 및 z축의 방향의 값들을 측정하는 3축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는 일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제1 동작센서(310a, 410a) 및 제2 동작센서(310b, 410b)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만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 하나만으로 구성되거나, 자이로센서와 가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와 자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와 지자기 센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득점판정장치(500)는 동작판단부(510), 득점판정부(520), 저장부(530) 및 통신 모듈(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동작판단부(510)는 웨어러블 장치(300, 400)로부터 수신되는 동작센서값들을 기초로 격투 선수의 구체적인 발차기 등의 자세, 회전 방향, 회전 각도, 스피드, 파워 등의 타격동작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판단부(510)는 AI 학습 알고리즘을 통하여 태권도 등의 격투 경기의 각 동작별 자세, 회전 방향, 회전 각도, 스피드, 파워 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해당 데이터베이스는 저장부(53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득점판정장치(500)의 데이터 학습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은 최초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시범 선수가 각각의 격투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1 동작센서(410a) 및 제2 동작센서(410b)(또는 제1 동작센서(310a) 및 제2 동작센서(310b))를 통해 측정되는 동작센서값들을 득점판정장치(500)의 통신 모듈(540)이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들은 동작판단부(510)의 AI 학습 모델에 적용되어 동작 판단을 위한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축된 학습 모델 데이터는 저장부(53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득점판정장치(500)가 타격동작이 기준동작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득점판정장치(500)는 동작센서값들이 수집되면 저장부(530)에 저장된 격투 동작별 모션 데이터 카테고리 영역의 데이터들과 동작센서값들을 비교하여 격투경기의 선수가 구체적으로 어떤 동작을 수행하고 있으며, 해당 동작의 스피드, 파워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저장부(530)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판단부(510)가 구축하는 AI 학습 모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그 외 통신 모듈(540)에 의해 수집되는 타격강도값 및 동작센서값 등의 센서값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득점판정부(520)에서 판정되는 득점관련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모듈(540)은 통신 모듈(130a, 130b) 및 통신 모듈(420a, 420b) 등과 블루수트, 와이파이, 3G, 4G, 5G, 지그비 등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각 기기 간의 센서값 및 제어 신호들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도 2의 제1 웨어러블 장치(400a)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2의 제2 웨어러블 장치(400b)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웨어러블 장치(400a)는 손에 착용되는 장갑 형태의 손 보호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 동작센서(410a), 통신 모듈(420a) 및 강도 센서(43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동작센서(410a)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손에서의 동작센서값들을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세한 측정이 필요한 경우 복수의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동작센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통신 모듈(420a)는 제1 동작센서(410a)에서 측정된 센서값을 수집하여 득점판정장치(5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강도 센서(430a)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부가적으로 타격의 주체가 되는 선수의 타격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설치될 수 있다.
강도 센서(430a)는 위에서 언급된 타격강도센서와 마찬가지로 압전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손가락 마디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은 타격강도값은 타격 대상이 되는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전자호구(100, 200)에서 측정된 타격강도센서의 값을 기초로 측정하지만, 보조적으로 강도 센서(430a)를 활용하여 타격강도값을 검증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강도 센서(430a)의 값은 전자호구(100, 200)에서 타격강도값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타격을 가하는 선수의 세부적인 타격 정보 등을 생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물론, 타격을 가하는 선수의 타격 강도는 상기 강도 센서(430a)의 측정값 외에도 제1 동작센서(410a)에서 측정되는 동작센서값 즉, 모션, 회전방향, 회전속도 등의 정보를 기초로 파워값을 산출하는 방식에 의해서 획득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7을 참조하면, 제2 웨어러블 장치(400b)는 발에 착용되는 보호대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 동작센서(410b), 통신 모듈(420b) 및 강도 센서(43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동작센서(410b)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발에서의 동작센서값들을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세한 측정이 필요한 경우 복수의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동작센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 모듈(420b)는 제2 동작센서(410b)에서 측정된 센서값들을 수집하여 득점판정장치(5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강도 센서(430b) 역시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부가적으로 타격의 주체가 되는 선수의 타격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설치될 수 있다.
강도 센서(430)의 측정값의 활용 등은 도 6에서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 2의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의 득점 판정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은 격투경기를 진행하는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가 착용하는 전자호구(100, 200) 및 타격강도센서(110a, 110b, 210a, 210b)로부터 타격강도값 및 동작센서값을 수신한다(S810).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의 동작판단부(510)는 수집된 동작센서값을 기초로 타격동작을 분석한다(S820).
득점판정부(520)는 타격강도값이 미리 구축된 기준강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830).
이때, 단계 S830에서 타격강도값이 미리 구축된 기준강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타격강도센서(110a, 110b, 210a, 210b)의 위치 정보 및/또는 동작판단부(510)가 판단한 타격 동작의 종류 정보를 고려하여 각각 다른 기준값도값을 적용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단계 S830에서 타격강도값이 기준강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계 S860으로 이동하여 무효타로 판정한다.
단계 S830에서 타격강도값이 기준강도값 이상인 경우에는 득점판정부(520)는동작판단부(510)를 통하여 타격을 가한 선수의 타격동작이 미리 구축된 기준동작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840).
예를 들어, 타격을 가한 선수의 발차기 동작이 돌려차기, 나래차기, 찍기 등의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와 주요 특징의 유사도를 판단하여 특정 타격 동작의 고전을 만족하는지와 회전 반경, 스피드, 파워 등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타격 동작을 제대로 수행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840에서 타격동작이 기준동작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단계 S860으로 이동하여 무효타로 판정한다(S860).
단계 S840에서 타격동작이 기준동작을 만족했다고 판단되면 득점판정부(520)는 유효타로 판정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대응되는 득점을 산출한다(S850).
예를 들어, 측정된 타격강도센서값이 헤드기어인 제1 전자호구(100a, 200a)에 설치된 제1 타격강도센서(110a, 210a)로부터 측정된 값인 경우 득점을 3점 가산할 수 있으며, 측정된 타격강도값이 몸통호구인 제2 전자호구(100b, 200b)에 설치된 제2 타격강도센서(110b, 210b)로부터 측정된 값인 경우 득점을 1점 가산할 수 있다.
다음 득점판정부(520)는 유효타 판정결과 및 득점 정보를 표시장치(600)에 표시한다(S870).
이때, 표시장치(600)에 표시되는 정보에는 타격강도센서에서 측정된 타격강도값이 기준강도값 이상인지 여부, 타격동작이 기준동작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 유효타 판정 결과, 타격 동작의 스피드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득점판정부(520)는 표시장치(600)에 상기 결과를 표시함과 더불어 유효타로 판정된 경우 대응되는 타격강도센서와 인접하여 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발광모듈을 발광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은 심판의 주관적인 판정 결과의 입력 없이도 자동으로 유효타 판정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유효타 판정시 대응되는 발광모듈을 발광시킴으로써 유효타 판정결과를 시작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600)에 유효타 판정 여부 및 현재 득점 상황을 표시함은 물론, 타격강도값이 기준강도값 이상인지 여부, 타격동작이 기준동작조건을 만족하는지 등의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관전자들이 유효타가 어떻게 판정되었는지를 빠르고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득점판정장치(500)는 측정되는 동작센서값을 기초로 격투경기 동안의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의 타격동작 종류별 시도횟수 및 유효타 성공횟수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표시장치(60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득점판정장치(500)는 측정되는 동작센서값을 기초로 격투경기 동안의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의 운동량 정보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표시장치(60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득점판정장치(500)는 상기 타격동작 종류별 시도횟수, 유효타 성공횟수 및 운동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경기규칙에 따라 적극적으로 공격을 하지 않고 수비적으로 경기 운영을 하는 선수를 판별하여, 해당 선수에게 페널티 점수을 부여하고, 이를 표시 장치(60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을 이용한 격투경기의 예시 운영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격투경기 원영 시스템은 전자호구(100, 200), 웨어러블 장치(300, 400), 제1 파워백(700), 제2 파워백(800), 득점판정장치(500) 및 표시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자호구(100, 200)는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가 각각 착용하는 호구로 제1 전자호구(100a, 200a) 및 제2 전자호구(100b, 2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세부 구성 및 동작은 도 1에서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웨어러블 장치(300, 400)에는 동작센서가 설치되고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의 타격 신체부위에 착용되는 장치로, 손 보호대 및 발 보호대의 형태로 구성되며, 세부 구성 및 동작은 도 1에서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득점판정장치(500) 및 표시장치(600)의 구성 및 역할도 도 1과 비교하여 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차이점이 있다면 타격강도센서가 설치되는 제1 파워백(700) 및 제2 파워백(800)이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도 9에서 복수의 타격강도센서가 설치되는 전자호구(100, 200)가 도 1과 동일하게 도시되어 있지만 도 9의 실시예에서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생략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제1 위치(A1)에서 일방 선수가 제1 파워백(700)과 가상 대결을 하고, 제1 위치(A1)와 떨어진 원격지의 제1 위치(A2)에서 타방 선수가 제2 파워백(800)과 가상 대결을 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제1 파워백(700)은 제1 위치(A1)에 설치되고 일방 선수의 타격 대상이 되는 인간 모형의 샌드백이며, 복수의 제1 타격강도센서(750-7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파워백(800)은 제2 위치(A2)에 설치되고 타방 선수의 타격 대상이 되는 인간 모형의 샌드백이며, 복수의 제2 타격강도센서(850-8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파워백(700)은 제1 위치(A1)에서 타방 선수를 대신하는 역할을 하며, 제2 파워백(800)은 제2 위치(A2)에서 일방 선수를 대신하는 역할을 한다.
웨어러블 장치(300, 400)의 동작센서에서 측정되는 값과 제1 파워백(700) 및 제2 파워백(800)에서 측정되는 타격강도값은 와이파이, 블루수트, 3G, 4G, 5G 등의 무선통신 및/또는 유선통신 방식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득점판정장치(500)로 전달되며, 득점판정장치(500)는 유효타 판정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제1 파워백(7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파워백(700)은 인간 모형의 샌드백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머리 및 몸통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제1 타격강도센서(750-757)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이며, 도 10과 같이 총 8개의 타격강도센서 외에 몸통의 후방쪽에 제1 타격강도센서(755)와 대응되는 별도의 타격강도센서가 배치되고, 머리의 후방쪽에 제1 타격강도센서(750)과 대응되는 별도의 타격강도센서가 배치되고, 머리의 상방쪽에 별도의 타격강도센서가 배치되는 등 추가적인 타격강도센서가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제1 파워백(700)의 하단 베이스부는 무거운 재질로 형성되어 제1 파워백(700)이 넘어지지 않도록 구성되거나 바닥면에 별도의 체결부재 등으로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단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기둥부는 몸통 및 얼굴 부분의 형상 부분이 선수에 의해서 타격되는 경우에 몸통 및 얼굴 부분의 형상이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일정 범위로 변위를 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도 9의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지의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의 예시적인 격투경기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위치(A1)에 위치하는 일방 선수가 좌측 발을 이용하여 제1 파워백(700)의 오른쪽 어깨 부분에 대응되는 제1 타격강도센서(753)를 타격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일방 선수의 손 및 발에 부착된 제1 웨어러블 장치(300a) 및 제2 웨어러블 장치(300b)에 설치된 동작센서의 측정값과 제1 타격강도센서(753)에서 측정된 타격강도값은 득점판정장치(500)로 전송되고, 득점판정장치(500)은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유효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때, 득점판정장치(500)가 유효타라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제1 타격강도센서(753)와 대응되는 제2 파워백(800)의 제2 타격강도센서(854)의 발광모듈을 발광시킨다.
즉, 제1 파워백(700)의 우측 어깨에 위치하는 제1 타격강도센서(753)가 타격 받은 경우이므로, 타방 선수의 입장에서 자신의 오른쪽 어깨에 일방 선수가 발로 타격하는 상황을 느껴지게 할 수 있도록 제2 파워백(800)의 왼쪽 어깨에 위치하는 제2 타격강도센서(854)의 발광모듈을 발광시키는 것이다.
또한, 일방 선수의 입장에서도 자신의 공격이 유효타로 인정되었는지를 알리기 위해서 득점판정장치(500)는 제1 타격강도센서(753)의 발광모듈을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위의 사례에 있어서 타방 선수가 보다 더 인터랙티브한 가상 격투경기를 체험할 수 있도록 득점판정장치(500)는 원격지의 일방 선수가 제1 타격강도센서(753)를 타격한다고 예상이 되는 경우 타격이 예상되는 제2 타격강도센서(854)의 발광모듈을 미리 발광시키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득점판정장치(500)는 제2 웨어러블 장치(300b) 등의 동작센서값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제1 파워백(700)의 복수의 제1 타격강도센서(750-757) 중 타격이 예상되는 타격강도센서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제2 파워백(800)의 제2 타격강도센서(850-857) 중 중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른 대응되는 타격강도센서의 발광모듈을 발광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제어하는 경우 일방 선수의 타격이 이루어지기 직전에 제2 파워백(800)의 대응되는 타격강도센서의 발광모듈을 발광시킴으로써 원격지의 양 선수가 더 실감나는 경기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타격이 예상되는 경우에 발광되는 발광모듈의 색상은 제1 색상으로 설정하고, 타격이 이루어진 경우에 발광되는 발광모듈의 색상은 제2 색상으로 설정함으로써 타방 선수가 경기 상황을 더 세부적으로 파악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의 전자호구(100, 200)에 복수의 진동 모듈이 부착되어 타격이 예상되는 또는 타격된 신체 부위에 위치한 진동 모듈이 진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에는 진동 모듈로 자신의 신체 타격이 인지되도록 하고 자신의 공격의 성공 여부는 제1 파워백(700) 및 제2 파워백(800)의 발광모듈이 발광으로 인지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웨어러블 장치(300, 400)에서 측정되는 동작센서값과 제1 파워백(700) 및 제2 파워백(800)에서 측정되는 타격강도값을 기초로 양 선수의 가상 격투경기를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가상격투화면을 표시부(60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경기화면에는 파워백이 아닌 양 선수의 실시간 동작화면이 출력되고, 동작은 웨어러블 장치(300, 400)에서 측정되는 동작센서값, 파워백에서 측정되는 타격강도값과 득점판정장치(500)에서 판정되는 유표타 판정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원격지에 위치한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가 실감나는 가상 격투경기를 진행할 수 있으며, 관전자들은 표시부(600)를 통하여 양 선수의 실제 격투경기가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실감나는 대결 상황을 볼 수 있으며, 일방 선수 및 타방 선수 역시 경기 후에 녹화된 가상 대결 상황을 확인함으로써 경기에 대한 분석을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전자호구(100, 200) 제1 전자호구(100a, 200a)
제2 전자호구(100b, 200b) 제1 타격강도센서(110a, 210a)
제1 발광모듈(120a, 220a) 통신 모듈(130a, 230a)
제2 타격강도센서(110b, 210b) 제2 발광모듈(120b, 220b)
통신 모듈(130b, 230b) 웨어러블 장치(300, 400)
제1 웨어러블 장치(300a, 400a) 제2 웨어러블 장치(300b, 400b)
제1 동작센서(310a, 410a) 자이로 센서(411a, 421a)
가속도 센서(412a, 422a) 지자기 센서(413a, 423a)
통신 모듈(320a, 420a) 제2 동작센서(310b, 410b)
통신 모듈(320b, 420b) 강도 센서(430a, 430b)
득점판정장치(500) 동작판단부(510)
득점판정부(520) 저장부(530)
통신 모듈(540) 표시장치(600)
제1 파워백(700) 제1 타격강도센서(750-757)
제2 파워백(800) 제2 타격강도센서(850-857)
A1: 제1 위치 A2: 제2 위치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 위치에 설치되어 일방 선수의 타격 대상이 되고 복수의 제1 타격강도센서를 포함하는 제1 파워백;
    제1 동작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일방 선수의 타격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제1 웨어러블 장치;
    제2 위치에 설치되어 타방 선수의 타격 대상이 되고 복수의 제2 타격강도센서를 포함하는 제2 파워백;
    제2 동작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타방 선수의 타격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제2 웨어러블 장치; 및
    상기 제1 타격강도센서, 제2 타격강도센서, 제1 동작센서 및 제2 동작센서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동작센서 및 상기 제2 동작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일방선수 및 타방선수의 타격동작을 분석하고, 상기 제1 타격강도센서 또는 상기 제2 타격강도센서에서 측정된 타격강도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강도값 이상이고, 상기 제1 타격강도센서 또는 상기 제2 타격강도센서를 타격한 상기 일방 선수 또는 타방 선수의 타격동작이 미리 설정된 기준동작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유효타로 판정하는 득점판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타격강도센서 및 상기 제2 타격강도센서는 발광모듈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득점판정장치는 상기 분석된 타격동작에 기초하여 타격이 예상되는 상제1 타격강도센서 또는 상기 제2 타격강도센서를 판별하고, 상기 타격이 예상되는 타격강도센서에 대응되는 원격의 타격강도센서의 발광모듈을 미리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KR1020220101116A 2022-08-12 2022-08-12 자동 득점 판정이 가능한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533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116A KR102533468B1 (ko) 2022-08-12 2022-08-12 자동 득점 판정이 가능한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116A KR102533468B1 (ko) 2022-08-12 2022-08-12 자동 득점 판정이 가능한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468B1 true KR102533468B1 (ko) 2023-05-17

Family

ID=8654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116A KR102533468B1 (ko) 2022-08-12 2022-08-12 자동 득점 판정이 가능한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792B1 (ko) * 2023-05-19 2024-01-03 주식회사 에이아이비즈 영상 정보를 활용한 격투기 인공지능 판정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695B1 (ko) * 2013-09-03 2013-10-23 김성재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
KR20140052529A (ko) * 2012-10-24 2014-05-07 주식회사 제미타 간접 대련 시스템
KR102208099B1 (ko) 2020-01-06 2021-01-27 주식회사 제미타 격투 경기의 채점 시스템 및 방법
KR102217931B1 (ko) 2020-03-19 2021-02-19 주식회사 유비스포 전자호구를 이용한 반자동 경기운용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234165B1 (ko) * 2020-07-13 2021-03-31 주식회사 스포츠로그 경기 분석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55934B1 (ko) * 2020-04-10 2021-05-26 주식회사 제미타 증강 현실을 이용한 격투 경기 스코어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2529A (ko) * 2012-10-24 2014-05-07 주식회사 제미타 간접 대련 시스템
KR101321695B1 (ko) * 2013-09-03 2013-10-23 김성재 격투기 경기용 전자 호구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호구에 대한 타격을 가한 부위의 감지시스템
KR102208099B1 (ko) 2020-01-06 2021-01-27 주식회사 제미타 격투 경기의 채점 시스템 및 방법
KR102217931B1 (ko) 2020-03-19 2021-02-19 주식회사 유비스포 전자호구를 이용한 반자동 경기운용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255934B1 (ko) * 2020-04-10 2021-05-26 주식회사 제미타 증강 현실을 이용한 격투 경기 스코어링 시스템
KR102234165B1 (ko) * 2020-07-13 2021-03-31 주식회사 스포츠로그 경기 분석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792B1 (ko) * 2023-05-19 2024-01-03 주식회사 에이아이비즈 영상 정보를 활용한 격투기 인공지능 판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4150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objects at sporting events
US1132204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ensor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JP2020036979A5 (ko)
JP6234928B2 (ja) スポーツアイテムのユーザ依存の状態を検出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96752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scores made by a player
CN112969513B (zh) 用于确定体育赛事中降低的运动员表现的系统和方法
US20110021280A1 (en) Hitting technique by identifying ball impact points
TW201501752A (zh) 運動解析方法及運動解析裝置
US9873031B2 (en) Smart target system for combat fitness and competition training
CN109069903B (zh) 用于监测体育事件中的对象的系统和方法
KR102533468B1 (ko) 자동 득점 판정이 가능한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US100862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penalties
CN107308629B (zh) 一种搏击训练系统
KR20150065431A (ko) 골프 스윙 분석 장치
CN110270077A (zh) 一种击球评估系统及其方法
US201803262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icket/baseball game scoring and umpiring
CN111672089B (zh) 一种针对多人对抗类项目的电子计分系统及实现方法
KR102208099B1 (ko) 격투 경기의 채점 시스템 및 방법
US10441848B1 (en) System for automatic evaluation of martial arts moves
JP2012200540A (ja) スイング解析システムおよびスイング解析装置
KR20210026586A (ko) 가상현실 운동 시스템
KR101948861B1 (ko) 야구 게임 및 시뮬레이션의 투수 역할을 위한 시스템
Yamada et al.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moment of touching a card using wrist-worn sensor in competitive karuta
KR20210037350A (ko) 관성센서 기반의 타격 훈련 장치 및 방법
KR101936028B1 (ko) 골프공의 속력과 회전각 검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