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238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238A
KR20180065238A KR1020160165795A KR20160165795A KR20180065238A KR 20180065238 A KR20180065238 A KR 20180065238A KR 1020160165795 A KR1020160165795 A KR 1020160165795A KR 20160165795 A KR20160165795 A KR 20160165795A KR 20180065238 A KR20180065238 A KR 20180065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amp
power
wireless power
lam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7539B1 (ko
Inventor
배진우
김종영
이가희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5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539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 B60Q1/30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combined with a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에 대해 고정된 제1 램프 유닛과, 상기 제1 램프 유닛을 기준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차량의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하되, 상기 차량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된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주파수를 갖는 전력을 전송하며,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점등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전력전송 기술을 이용하여 배선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램프는 트렁크 도어의 경계를 기준으로 내측 램프와 외측 램프로 분리되는 구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의 외측 램프는 트렁크 도어의 경계를 기준으로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내측 램프는 트렁크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트렁크의 개폐구조로 인해 내측 램프와 외측 램프는 각각 점등 제어신호와 동작전원을 제공받기 위한 와이어 배선이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차량 내부의 배선이 복잡해지고 리어 램프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측 램프는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동작전원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배선이 용이한 반면, 내측 램프는 트렁크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나, 상술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205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두 개의 분리된 램프 유닛이 결합하여 일체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되어 배선이 용이한 외측 램프로는 직접 유선으로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되, 외측 램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내측 램프로는 외측 램프가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주파수의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에 대해 고정된 제1 램프 유닛과, 상기 제1 램프 유닛을 기준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차량의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하되, 상기 차량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된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주파수를 갖는 전력을 전송하며,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점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의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자기공진방식 또는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램프 유닛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 생성부, 상기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증폭부, 상기 교류 전력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정합 회로부 및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공진 방식의 전력을 송신하도록 기 설정된 주파수로 공진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점등 제어신호의 종류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전력 송신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기,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제어기 및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 제1 발광부 및 제1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램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의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제2 발광부 및 상기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전력 수신부로 전력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제어부는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부 각각에 대응되는 점등 제어신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저장기,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점등 제어신호를 결정하는 제2 제어기 및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부 및 상기 수신된 전력을 정류하여 정류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2 제어부로 제공하는 정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정류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부, 제2 발광부 및 제2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 램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차량에 설치되어 배선이 용이한 외측 램프로는 직접 유선으로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되, 외측 램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내측 램프로는 외측 램프가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주파수의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함으로써, 무선전력 전송만으로 내측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과 점등 제어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고, 램프의 설치에 따른 와이어 배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설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무선전력 송신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무선전력 수신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은 제1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제2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8는 제1 램프 유닛의 제1 램프 하우징에 수용된 송신 코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은 제2 램프 유닛의 제2 램프 하우징에 수용된 수신 코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설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차량(1)의 전방 또는 후방에 양측에 설치되어 차량(1)의 존재를 알리거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램프로서,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및 백업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테일 램프는 차량(1)의 차폭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차량(1)의 야간 주행시나 터널 주행시에 보행자나 다른 차량에게 차량(1)의 존재를 알릴 수 있으며, 브레이크 램프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차량(1)이 제동 상태임을 후방 차량에게 알릴 수 있고, 턴 시그널 램프는 일정 주기로 점멸되어 차량(1)의 선회 방향이나 차선 변경 방향을 다른 차량에게 알릴 수 있으며, 백업 램프는 후진시에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고, 보행자나 다른 차량에게 차량(1)이 후진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차량(1)에 고정된 제1 램프 유닛(100)과 제1 램프 유닛(100)에 인접한 위치와 이격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2 램프 유닛(200)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용 램프(10)는 제2 램프 유닛(200)이 제1 램프 유닛(100)에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제1 램프 유닛(100)에서 제공된 광과 제2 램프 유닛(200)에서 제공된 광에 의해 일체의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0)는 리어 램프일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램프(10)는 차체에 고정되는 제1 램프 유닛(100)과, 트렁크 도어(2)에 설치되어 트렁크 도어(2)의 개폐동작에 따라 제1 램프 유닛(100)에 인접한 위치와 이격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2 램프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용 램프(10)는 트렁크 도어의 경계(2)를 기준으로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램프 유닛(100) 및 트렁크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램프 유닛(200)으로 나뉘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램프 유닛(100)과 제2 램프 유닛(200)으로 전원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와이어 배선이 각각 필요하다. 여기서, 제1 램프 유닛(100)은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전원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배선이 용이한 반면, 제2 램프 유닛(200)은 트렁크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배선이 용이한 제1 램프 유닛(100)으로는 직접 유선으로 차량으로부터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되,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제2 램프 유닛(200)으로는 제1 램프 유닛(100)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제공된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는 리어 램프를 일례로 할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에 고정된 제1 램프 유닛 및 제1 램프 유닛과 인접한 위치와 이격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 램프 유닛이 서로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일체의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면 어느 것이든 적용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램프 유닛(100)은 차량(1)의 전원장치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는 유선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램프 유닛(100)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공된 전력을 이용하여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유닛을 제어함으로써, 점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램프 유닛(100)은 제2 램프 유닛(200)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램프 유닛(100)은 차량(1)의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이용해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램프 유닛(100)은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전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램프 유닛(100)은 점등 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라 기 설정된 크기의 전력을 생성하여 제2 램프 유닛(2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램프 유닛(100)은 자기유도방식, 자기공진방식 및 방사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무선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제2 램프 유닛(200)은 제1 램프 유닛(100)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램프 유닛(200)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램프 유닛(100)으로부터 무선으로 제공되는 전력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유닛을 제어함으로써, 점등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램프 유닛(100)은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110a, 110b, 110c), 제1 발광부(120) 및 제1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램프 유닛(200)은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부(210a, 210b 및 210c), 제2 발광부(220) 및 제2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110a, 110b 및 110c)는 서로간에 간섭을 최소화 하기 위해 서로 다른 주파수의 전력을 생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예컨대, 제1 무선전력 송신부(110a)는 6.78 MHz, 제2 무선전력 송신부(110b)는 10.17 MHz, 제3 무선전력 송신부(110c)는 15.12 MHz의 전력을 생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110a, 110b 및 110c) 중 제1 제어부(130)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전력 송신부(110a, 110b 및 110c)는 차량(1)의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무선전력 수신부(210a, 210b 또는 210c)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부(130)에 의해 선택된 무선전력 송신부(110a, 110b 또는 110c)는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하여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정전압을 이용해 교류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공진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발생시켜 동일한 공진주파수로 설계된 무선전력 수신부(210a, 210b 또는 210c)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제1 발광부(120)는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및 백업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점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램프들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소자는 할로겐,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및 LED (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HID 또는 LED의 경우, 제1 제어부(130)는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듈(예컨대, Ballast 또는 LDM(LED Drive Modu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30)는 제1 램프 유닛(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30)는 차량(1)의 전원장치 및 제어장치로부터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부(130)는 차량(1)의 전원장치 및 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30)는 상기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110a, 110b 및 110c)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부(130)는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110a, 110b 및 110c) 중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전력 송신부(110a, 110b 또는 110c)에 상기 전력을 제공함으로써 무선전력 송신부(110)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110a, 110b 및 110c) 각각은 하나의 점등 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무선전력 송신부(110a), 제2 무선전력 송신부(110b) 및 제3 무선전력 송신부(110c)는 각각 테일 램프 점등 제어신호(이하 'a'라고 함), 브레이크 램프 점등 제어신호(이하 'b'라고 함), 및 턴 시그널 램프 점등 제어신호(이하 'c'라고 함)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어부(130)는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점등 제어신호가 a인 경우, 제1 무선전력 송신부(110a)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점등 제어신호가 b+c인 경우, 제2 무선전력 송신부(110b)와 제3 무선전력 송신부(110c)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30)는 상기 점등 제어신호가 a+b+c인 경우, 제1 무선전력 송신부(110a), 제2 무선전력 송신부(110b) 및 제3 무선전력 송신부(110c)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30)는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전력을 제공함으로써,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주파수의 전력(선택된 무선전력 송신부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제2 램프 유닛(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의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와 관련하여 제1 무선전력 송신부, 제2 무선전력 송신부 및 제3 무선전력 송신부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선전력 송신부의 개수는 점등 제어신호의 종류 및 개수와 관련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30)는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발광부(120)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점등 제어신호는 테일 램프 점등신호, 브레이크 램프 점등신호, 턴 시그널 램프 점등신호 및 백업 램프 점등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어부(130)는 제1 발광부(120)와 제2 발광부(220)가 동시에 동작해야 되는 경우, 무선전력 수신부(210)로 전력이 전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만큼 제1 발광부(120)의 동작을 지연시킴으로써, 제1 발광부(120)와 제2 발광부(220)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부(210a, 210b 및 210c)는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110a. 110b 및 110c)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부(210a, 210b 및 210c)는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110a. 110b 및 110c)로부터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부(210a, 210b 및 210c) 각각은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110a. 110b 및 110c)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자기장의 공진주파수와 동일한 공진주파수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제1 무선전력 수신부(210a)는 제1 무선전력 송신부(110a)와 동일한 공진주파수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제2 무선전력 수신부(210b)는 제2 무선전력 송신부(110b)와 동일한 공진주파수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고, 제3 무선전력 수신부(210c)는 제3 무선전력 송신부(110c)와 동일한 공진주파수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부(210a, 210b 및 210c) 중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110a, 110b 및 110c)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력을 수신한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상기 수신한 전력을 정류하여 제2 제어부(230)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발광부(220)는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및 백업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점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램프들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소자는 할로겐,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및 LED (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 제어부(230)는 제2 램프 유닛(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30)는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부(210a, 210b 및 210c)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력이 전송되면, 상기 전력의 주파수(또는 상기 전력을 전송한 무선전력 수신부)에 기초하여 제2 발광부(220)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부(210a, 210b 및 210c) 각각은 하나의 점등 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무선전력 수신부(210a), 제2 무선전력 수신부(210b) 및 제3 무선전력 수신부(210c)는 각각 테일 램프 점등 제어신호(이하 'a'라고 함), 브레이크 램프 점등 제어신호(이하 'b'라고 함), 및 턴 시그널 램프 점등 제어신호(이하 'c'라고 함)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제어부(230)는 제1 무선전력 수신부(210a)로부터 전력이 전송되는 경우, 점등 제어신호가 a인 것으로 판단하여, 테일 램프가 점등되도록 제2 발광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30)는 제2 무선전력 수신부(210b)와 제3 무선전력 수신부(210c)로부터 전력이 전송되면, 상기 점등 제어신호가 b+c인 것으로 판단하여, 브레이크 램프와 턴 시그널 램프가 점등되도록 제2 발광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30)는 제1 무선전력 수신부(210a), 제2 무선전력 슈신부(210b)와 제3 무선전력 수신부(210c)로부터 전력이 전송되면, 상기 점등 제어신호가 a+b+c인 것으로 판단하여,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및 턴 시그널 램프가 점등되도록 제2 발광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무선전력 송신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부(110)는 정전압 생성부(112), 전력 증폭부(114), 정합 회로부(116) 및 송신 코일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전압 생성부(112)는 제1 제어부(13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의 전압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전압 생성부(112)는 부스트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력 증폭부(114)는 정전압 생성부(112)에서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 증폭부(114)는 제1 제어부(130)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교류전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정합 회로부(116)은 무선전력의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교류 전력의 임피던스를 정합할 수 있다.
송신 코일부(118)는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공진 방식의 전력을 송신하도록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송신 코일부(118)는 기 설정된 공진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발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 코일부(118)는, 비록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교류전력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하는 유도코일과 상기 자기장에 의해 공진하면서 공명파를 발생하는 공진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무선전력 수신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수신 코일부(212), 정류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컨버터(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코일부(212)는 송신 코일부(118)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공진주파수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 코일부(212)는, 비록 도시되진 않았지만, 송신 코일부(118)의 공진코일에 의해 발생된 공명파를 수신하여 공진하는 공진코일과, 상기 공진코일로부터 전류가 유도되는 유도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코일부(212)는 송신 코일부(118)에 의해 전달된 전력을 정류부(214)로 제공할 수 있다.
정류부(214)는 수신 코일부(212)로부터 전달된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정류부(214)는 상기 직류 전력을 제2 제어부(230)로 제공할 수 있다.
컨버터(216)는 정류부(214)와 제2 제어부(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정류부(214)에 의해 정류된 직류전력의 전압 레벨을 제2 제어부(230)가 제2 발광부(230)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레벨로 변환할 수 있다. 컨버터(216)는 상기 변환된 정류 전력을 제2 제어부(23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제1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30)는 제1 저장기(132), 제1 제어기(134) 및 제1 구동기(1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장기(132)는 점등 제어신호의 종류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전력 송신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저장기(132)는 하기의 표 1와 같은 점등 제어신호의 종류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전력 송신부에 대한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점등 제어 신호 무선전력 송신부(공진주파수)
A 제1 무선전력 송신부(6.78 MHz)
B 제2 무선전력 송신부(10.17 MHz)
C 제3 무선전력 송신부(15.12 MHz)
A+B 제1 무선전력 송신부(6.78 MHz), 제2 무선전력 송신부(10.17 MHz)
A+C 제1 무선전력 송신부(6.78 MHz), 제3 무선전력 송신부(15.12 MHz)
B+C 제2 무선전력 송신부(10.17 MHz), 제3 무선전력 송신부(15.12 MHz)
A+B+C 제1 무선전력 송신부(6.78 MHz), 제2 무선전력 송신부(10.17 MHz), 제3 무선전력 송신부(15.12 MHz)
여기서, A, B, C는 테일 램프 점등신호, 브레이크 램프 점등신호, 턴 시그널 램프 점등신호 및 백업 램프 점등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A+B, A+C, B+C는 상기 점등신호 중 선택된 두 신호의 조합일 수 있으며, A+B+C는 상기 점등신호 중 선택된 세 신호의 조합일 수 있다.
제1 제어기(134)는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110a, 110b 및 110c)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기(134)는 제1 저장기(132)에 저장된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점등 제어신호가 A+B인 경우, 제1 제어기(134)는 제1 무선전력 송신부(110a) 및 제2 무선전력 송신부(110b)를 선택하여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구동기(136)는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발광부(120)의 점등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발광부(120)의 발광소자 HID의 경우, 제1 구동기(136)는 상기 HID를 구동시키기 위한 Ballast일 수 있으며, LED의 경우, 제1 구동기(136)는 상기 LED를 구동시키기 위한 LDM(LED Drive Module)일 수 있다.
도 7은 제2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230)는 제2 저장기(232), 제2 제어기(234) 및 제2 구동기(2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저장기(232)는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부 각각에 대응되는 점등 제어신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저장기(232)는 하기의 표 2와 같은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부 각각에 대응되는 점등 제어신호에 대한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부(공진주파수_ 점등 제어신호
제1 무선전력 수신부(6.78 MHz) A
제2 무선전력 수신부(10.17 MHz) B
제3 무선전력 수신부(15.12 MHz) C
여기서, A, B, C는 테일 램프 점등신호, 브레이크 램프 점등신호, 턴 시그널 램프 점등신호 및 백업 램프 점등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 제어기(234)는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부(210a, 210b 및 210c) 중 어느 무선전력 수신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점등 제어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제어기(234)는 제2 저장부(232)에 저장된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점등 제어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제어기(234)는 제2 무선전력 수신부(210b)와 제3 무선전력 수신부(210c)로부터 전력이 전송되면, B+C를 점등 제어신호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제어기(234)는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결정된 점등 제어신호를 제2 구동기(236)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구동기(236)는 제2 제어기(234)로부터 전송된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제2 발광부(220)의 점등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발광부(220)의 발광소자 HID의 경우, 제2 구동기(236)는 상기 HID를 구동시키기 위한 Ballast일 수 있으며, LED의 경우, 제2 구동기(236)는 상기 LED를 구동시키기 위한 LDM(LED Drive Module)일 수 있다.
도 8은 제1 램프 유닛의 제1 램프 하우징에 수용된 송신 코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제2 램프 유닛의 제2 램프 하우징에 수용된 수신 코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유닛(100)은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110a, 110b 및 110c), 제1 발광부(120) 및 제1 제어부(130)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램프 하우징(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램프 하우징(140)은 제2 램프 유닛(200)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제2 램프 유닛(200)과의 접촉면을 제공하기 위한 제1 플랜지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램프 유닛(100)은 무선전력 전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송신 코일부(118a, 118b, 118c)를 제1 플랜지부(142)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램프 유닛(200)은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부(210a, 210b 및 210c), 제2 발광부(220) 및 제2 제어부(230)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 램프 하우징(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램프 하우징(240)은 제2 램프 유닛(200)이 제1 램프 유닛(100)과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제1 램프 유닛(100)과의 접촉면을 제공하기 위한 제2 플랜지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램프 유닛(200)은 무선전력 전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송신 코일부(212a, 212b 및 212c)를 제2 플랜지부(242)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 차량
2: 트렁크 도어
10: 차량용 램프
100: 제1 램프 유닛
110: 무선전력 송신부
110a: 제1무선전력 송신부
110b: 제2 무선전력 송신부
110c: 제3 무선전력 송신부
120: 제1 발광부
130: 제1 제어부
140: 제1 램프 하우징
142: 제1 플랜지부
200: 제2 램프유닛
210: 무선전력 수신부
210a: 제1무선전력 수신부
210b: 제2 무선전력 수신부
210c: 제3 무선전력 수신부
220: 제2 발광부
230: 제2 제어부
240: 제2 램프 하우징
242: 제2 플랜지부

Claims (11)

  1. 차량에 대해 고정된 제1 램프 유닛과, 상기 제1 램프 유닛을 기준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차량의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하되, 상기 차량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된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주파수를 갖는 전력을 전송하며,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점등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의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자기공진방식 또는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램프 유닛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차량용 램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 생성부;
    상기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증폭부;
    상기 교류 전력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정합 회로부; 및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공진 방식의 전력을 송신하도록 기 설정된 주파수로 공진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코일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점등 제어신호의 종류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전력 송신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기;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제어기; 및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구동기;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부, 제1 발광부 및 제1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램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의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제2 발광부; 및
    상기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전력 수신부로 전력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부 각각에 대응되는 점등 제어신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저장기;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점등 제어신호를 결정하는 제2 제어기; 및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구동기;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부; 및
    상기 수신된 전력을 정류하여 정류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2 제어부로 제공하는 정류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정류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부, 제2 발광부 및 제2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 램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60165795A 2016-12-07 2016-12-07 차량용 램프 KR102617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795A KR102617539B1 (ko) 2016-12-07 2016-12-07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795A KR102617539B1 (ko) 2016-12-07 2016-12-07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238A true KR20180065238A (ko) 2018-06-18
KR102617539B1 KR102617539B1 (ko) 2023-12-26

Family

ID=6276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795A KR102617539B1 (ko) 2016-12-07 2016-12-07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5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342A (ja) * 1999-03-10 2000-09-19 Harness Syst Tech Res Ltd 車両用電装品への給電システム及び車両用電装品
KR20120126909A (ko) * 2011-05-13 2012-11-21 주식회사 포유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조명용 전원 공급 제어장치
KR101342059B1 (ko) 2012-08-23 2013-12-18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차량용 리어 램프
KR20140007775A (ko) * 2012-07-10 2014-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20160028912A (ko) * 2014-09-04 2016-03-14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342A (ja) * 1999-03-10 2000-09-19 Harness Syst Tech Res Ltd 車両用電装品への給電システム及び車両用電装品
KR20120126909A (ko) * 2011-05-13 2012-11-21 주식회사 포유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조명용 전원 공급 제어장치
KR20140007775A (ko) * 2012-07-10 2014-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101342059B1 (ko) 2012-08-23 2013-12-18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차량용 리어 램프
KR20160028912A (ko) * 2014-09-04 2016-03-14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539B1 (ko) 202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8310B2 (en) Configurable LED driver/dimmer for solid state lighting applications
US6922022B2 (en) LED switching arrangement for enhan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9466988B2 (en) Induction power transfer for auxiliary vehicle lights
KR101601607B1 (ko) 일체형 확장 제어용 엘이디 조명 장치
US20180249539A1 (en) Assembly with control gear for lamps
US9723699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ly powered lighting
KR20180108943A (ko) 무선 급전되는 비상용 안전 삼각대
KR102581920B1 (ko) 차량용 램프
JP2008206086A (ja) 可視光通信システム
KR101232304B1 (ko)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조명용 전원 공급 제어장치
US20150305112A1 (en) Operating device for illuminant
JP2013223270A (ja) 照明用非接触給電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WO2018159540A1 (ja) 地上側給電装置
KR20180065238A (ko) 차량용 램프
KR20190007832A (ko) 차량용 램프
KR102617538B1 (ko) 차량용 램프
KR102581919B1 (ko) 차량용 램프
JP7150472B2 (ja) 車両用灯具、照明システム、および照灯制御方法
US20150028757A1 (en) Single wire lighting driver control
US10731837B2 (en) Lighting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KR20170077950A (ko) 무선전력전달 및 무선충전 기술이 적용된 무선 조명 시스템
JPH0218129A (ja) 車輌用前照灯
KR100894183B1 (ko) 무선 dmx512 및 순차적 온도제어 방식이 적용된 경관조명기구
JP6078918B2 (ja) 照明用非接触給電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20160075447A (ko) 가로등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