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775A -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775A
KR20140007775A KR1020130081040A KR20130081040A KR20140007775A KR 20140007775 A KR20140007775 A KR 20140007775A KR 1020130081040 A KR1020130081040 A KR 1020130081040A KR 20130081040 A KR20130081040 A KR 20130081040A KR 20140007775 A KR20140007775 A KR 20140007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impedance
power receiver
change
impedanc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3548B1 (ko
Inventor
변강호
김남윤
권혁춘
김호동
전해영
정수연
정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07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8Overvoltag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무선 전력 수신기로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를 제 1 임피던스 변화와 상이한 제 2 임피던스 변화로 설정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단계, 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전력을 인가하는 단계, 기 검출 전력을 인가하는 중 상기 제 2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를 상기 제 2 임피던스 변화로부터 상기 제 1 임피던스 변화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EACH THEREOF }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으로 충전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는 그 특성상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동되며, 이러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통상적으로 충전장치와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서 이를 서로 접촉시킴으로 인하여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접촉식 충전방식은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쉽고 이러한 이유로 배터리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접촉 단자가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무선 충전 또는 무접점 충전 기술이 개발되어 최근 많은 전자 기기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무선 전력 송수신을 이용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을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단지 충전 패드에 올려놓기만 하면 자동으로 배터리가 충전이 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동 칫솔이나 무선 전기 면도기 등으로 일반인들에게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함으로써 방수 기능을 높일 수 있고, 유선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자 기기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다가오는 전기차 시대에도 관련 기술이 크게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무선 충전 기술에는 크게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방식과, 공진(Resonance)을 이용하는 공진 방식과, 전기적 에너지를 마이크로파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전파 방사(RF/Micro Wave Radiation) 방식이 있다.
현재까지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 국내외에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수십 미터 거리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실험에 성공하고 있어, 가까운 미래에는 언제 어디서나 전선 없이 모든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세상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 전송 방법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 간의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코일에 자석을 움직이면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송신단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수신단에서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류가 유도되어 에너지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현상을 자기 유도 현상이라고 일컬으며 이를 이용한 전력 전송 방법은 에너지 전송 효율이 뛰어나다.
공진 방식은, 2005년 MIT의 Soljacic 교수가 Coupled Mode Theory로 공진 방식 전력 전송 원리를 사용하여 충전장치와 몇 미터(m)나 떨어져 있어도 전기가 무선으로 전달되는 시스템을 발표했다. MIT팀의 무선 충전시스템은 공명(resonance)이란 소리굽쇠를 울리면 옆에 있는 와인잔도 그와 같은 진동수로 울리는 물리학 개념을 이용한 것이다. 연구팀은 소리를 공명시키는 대신, 전기 에너지를 담은 전자기파를 공명시켰다. 공명된 전기 에너지는 공진 주파수를 가진 기기가 존재할 경우에만 직접 전달되고 사용되지 않는 부분은 공기 중으로 퍼지는 대신 전자장으로 재흡수되기 때문에 다른 전자파와는 달리 주변의 기계나 신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는 방법의 개발이 요청된다. 무선 전력 수신기가 무선 충전을 위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배치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배치된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여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충전 전력을 송신하지 않으며,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된 경우에만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는 방법의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임피던스 변경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로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를 제 1 임피던스 변화와 상이한 제 2 임피던스 변화로 설정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전력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검출 전력을 인가하는 중 상기 제 2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를 상기 제 2 임피던스 변화로부터 상기 제 1 임피던스 변화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로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를 제 1 임피던스 변화 또는 제 2 임피던스 변화 중 하나로 설정하는 임피던스 변화부;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상기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 송신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를 제 2 임피던스 변화로 설정하고, 상기 전력 송신부에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전력을 인가하고, 상기 검출 전력을 인가하는 중 상기 제 2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면,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를 상기 제 2 임피던스 변화로부터 상기 제 1 임피던스 변화로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충전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제 1 임피던스와 상이한 제 2 임피던스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상기 제 2 임피던스로부터 상기 제 1 임피던스로 변경하도록 하는 임피던스 변화 조건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임피던스 변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임피던스 변화 조건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임피던스 변화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상기 제 2 임피던스로부터 상기 제 1 임피던스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충전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제 1 임피던스 또는 상기 제 1 임피던스와 상이한 제 2 임피던스 중 하나로 설정하는 임피던스 변화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상기 제 2 임피던스로부터 상기 제 1 임피던스로 변경하도록 하는 임피던스 변화 조건을 검출하면,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상기 제 2 임피던스로부터 상기 제 1 임피던스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충전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제 1 임피던스 또는 상기 제 1 임피던스와 상이한 제 2 임피던스 중 하나로 설정하는 임피던스 변화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상기 제 2 임피던스로부터 상기 제 1 임피던스로 변경하도록 하는 임피던스 변화 명령을,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임피던스 변화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상기 제 2 임피던스로부터 상기 제 1 임피던스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로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상기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 송신부; 상기 전력 송신부에,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전력을 인가하고, 상기 검출 전력 인가 기간 중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검출되면,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제 2 임피던스로부터 제 2 임피던스와 상이한 제 1 임피던스로 변경하도록 하는 임피던스 변화 명령을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로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전력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검출 전력 인가 기간 중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검출되면,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제 2 임피던스로부터 제 2 임피던스와 상이한 제 1 임피던스로 변경하도록 하는 임피던스 변화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임피던스 변경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 검출 기간에는 무선 전력 수신기 배치 시 임피던스 변경이 크도록 설계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충전 전력 송신 시에는 임피던스를 재조정하여 충전 전력 전송 효율이 크도록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 검출 기간에는 무선 전력 수신기 배치 시 임피던스 변경이 크도록 설계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는, 충전 전력 수신 시에는 임피던스를 재조정하여 충전 전력 전송 효율이 크도록 조작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충전 시스템 동작 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무선 충전 시스템 동작 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기(100)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를 포함한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에 무선으로 각각 전력(1-1,1-2,1-n)을 송신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소정의 인증절차를 수행한 인증된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하여서만 무선으로 전력(1-1,1-2,1-n)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로 전자기파 형태의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1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는 소정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패킷(2-1,2-2,2-n)을 처리하거나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프레임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특히, 이동통신단말기, PDA, PMP,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로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공진 방식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가 공진 방식을 채택한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100)와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10-n)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30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100)가 전자기 유도 방식을 채택한 경우, 전력제공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0cm 이하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는 무선 전력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나, 무선 전력 수신에 필요한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 상태 정보 또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 제어 정보 등을 무선 전력 송신기(1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의 송신 신호의 정보에 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는 각각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 각각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각각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가 충전이 완료되기까지 예상되는 시간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 각각에 무선 충전 기능을 디스에이블(disabled)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부터 무선 충전 기능의 디스에이블 제어 신호를 수신한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충전 기능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전력 송신부(211), 제어부(212) 및 통신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250)는 전력 수신부(251), 제어부(252) 및 통신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가 요구하는 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무선으로 무선 전력 수신기(25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 송신부(211)는 교류 파형의 형태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직류 파형의 형태로 전력을 공급하면서 이를 인버터를 이용하여 교류 파형으로 변환하여 교류 파형의 형태로 공급할 수도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내장된 배터리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구현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다른 구성 요소에 공급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일정한 교류 파형의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이 없다는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아울러, 전력 송신부(211)는 교류 파형을 전자기파 형태로 무선 전력 수신기(250)로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추가적으로 공진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정의 전자기파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가 공진회로로 구현되는 경우, 공진회로의 루프 코일의 인덕턴스(L)는 변경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전력 송신부(211)는 전자기파를 송수신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이 없는 것은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제어부(212)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저장부(미도시)로부터 독출한 제어에 요구되는 알고리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미니 컴퓨터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12)의 세부 동작과 관련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와 소정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통신부(253)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통신, 적외선 통신, 가시광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3)는 CSMA/CA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통신 방식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며, 본원 발명은 통신부(213)에서 수행하는 특정 통신 방식에 의하여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정보에 대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부(213)는 상기 신호를 유니캐스트(unicast),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할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20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데이터 구조이다.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하기의 프레임을 가지는 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는 이하에서는 Notice 신호로 명명될 수도 있다.
frame type protocol version sequence number network ID RX to Report(schedule mask) Reserved Number of Rx
Notice 4bit 1 Byte 1Byte 1Byte 5bit 3bit
표 1에서의 frame type은 신호의 타입을 지시하는 필드로, 표 1에서는 해당 신호가 Notice 신호임을 지시한다. protocol version 필드는, 통신 방식의 프로토콜의 종류를 지시하는 필드로, 예를 들어 4bit가 할당될 수 있다. sequence number 필드는, 해당 신호의 순차적인 순서를 지시하는 필드로, 예를 들어 1Byte가 할당될 수 있다. sequence number는, 예를 들어 신호의 송수신 단계에 대응하여 1씩 증가될 수 있다. network ID 필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네트워크 식별자(network ID)를 지시하는 필드로, 예를 들어 1Byte가 할당될 수 있다. Rx to Report(schedule mask) 필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로 보고를 수행할 무선 전력 수신기들을 지시하는 필드로, 예를 들어 1Byte가 할당될 수 있다. 표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Rx to Report(schedule mask) 필드이다.
Rx to Report(schedule mask)
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1 0 0 0 0 1 1 1
여기에서, Rx1 내지 Rx8은 무선 전력 수신기 1 내지 8에 대응할 수 있다. Rx to Report(schedule mask) 필드는 스케쥴 마스크의 번호가 1로 표시된 무선 전력 수신기가 보고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Reserved 필드는, 향후의 이용을 위하여 예약된 필드로 예를 들어 5Byte가 할당될 수 있다. Number of Rx 필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주위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개수를 지시하는 필드로, 예를 들어 3bit가 할당될 수 있다.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로부터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용량, 배터리 잔량, 충전 횟수, 사용량, 배터리 용량, 배터리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충전 기능을 제어하는 충전 기능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충전 기능 제어 신호는 특정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무선 전력 수신부(251)를 제어하여 충전 기능을 인에이블(enabled)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d)하게 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전력 정보는 유선 충전 단자의 인입, SA 모드로부터 NSA 모드로의 전환, 에러 상황 해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 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미도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3)는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상술한 표 1의 프레임의 Notice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전력 송신부(211) 및 통신부(213)가 상이한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무선 전력 송신기(200)가 아웃-밴드(out-band) 형식으로 통신되는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본 발명은 전력 송신부(211) 및 통신부(213)가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현되어 무선 전력 송신기(200)가 인-밴드(in-band) 형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2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250)는 각종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200)가 주관하는 무선 전력 네트워크로의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가입과 무선 전력 송수신을 통한 충전 과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과정은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전력 송신부(211), 제어부 및 통신부(212,213), 구동부(214), 증폭부(215) 및 매칭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250)는 전력 수신부(251), 제어부 및 통신부(252,253), 정류부(254), DC/DC 컨버터부(255), 스위치부(256) 및 로드부(257)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14)는 기설정된 전압 값을 가지는 직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구동부(214)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력의 전압 값은 제어부 및 통신부(212,213)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구동부(214)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는 증폭부(215)로 출력될 수 있다. 증폭부(215)는 기설정된 이득으로 직류 전류를 증폭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 및 통신부(212,21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직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폭부(215)는 교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매칭부(216)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부(216)로부터 바라본 임피던스를 조정하여, 출력 전력이 고효율 또는 고출력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매칭부(216)는 제어부 및 통신부(212,213)의 제어에 기초하여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다. 매칭부(216)는 코일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및 통신부(212,213)는 코일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와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입력된 교류 전력을 전력 수신부(251)로 송신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 및 전력 수신부(251)는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공진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 주파수는 6.78MHz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 및 통신부(212,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 측의 제어부 및 통신부(252,253)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력 수신부(251)는 충전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정류부(254)는 전력 수신부(251)에 수신되는 무선 전력을 직류 형태로 정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브리지 다이오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DC/DC 컨버터부(255)는 정류된 전력을 기설정된 이득으로 컨버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C/DC 컨버터부(255)는 출력단(259)의 전압이 5V가 되도록 정류된 전력을 컨버팅할 수 있다. 한편, DC/DC 컨버터부(255)의 전단(258)에는 인가될 수 있는 전압의 최솟값 및 최댓값이 기설정될 수 있다.
스위치부(256)는 DC/DC 컨버터부(255) 및 로드부(257)를 연결할 수 있다. 스위치부(256)는 제어부(252)의 제어에 따라 온(on)/오프(off)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로드부(257)는 스위치부(256)가 온 상태인 경우에 DC/DC 컨버터부(255)로부터 입력되는 컨버팅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S401). 전원이 인가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환경을 설정(configuration)할 수 있다(S402).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전력 절약 모드(power save mode)에 진입할 수 있다(S403). 전력 절약 모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이종의 검출용 전력 비콘 각각을 각각의 주기로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검출용 전력 비콘(power beacon)(404,405)를 인가할 수 있으며, 검출용 전력 비콘들(404,405) 각각의 전력 값의 크기는 상이할 수도 있다. 검출용 전력 비콘들(404,405)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통신부를 구동할 수 있는 전력량과 인가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검출용 전력 비콘들(404,405)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하여 통신부를 구동시켜 무선 전력 송신기(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태를 널(Null) 상태로 명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배치에 의한 로드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저전력 모드(S409)로 진입할 수 있다. 저전력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검출 전력을 주기 또는 비주기적으로 인가하는 모드일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부터 수신된 전력에 기초하여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S409).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PTU searching)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0).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BLE 기반의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신호로서,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시간이 도래할 때까지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가 수신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응답 신호(PRU Respnse)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1). 여기에서 응답 신호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450) 사이의 연결(connection)을 형성(establishment)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PRU static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2). 여기에서, PRU static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400)가 관제하는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PTU static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3). 무선 전력 송신기(400)가 송신하는 PTU static 신호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의 캐퍼빌리티(capability)를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450)가 PRU static 신호 및 PTU static 신호를 송수신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무선 전력 수신기 다이내믹(PRU Dynamic)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S414,S415). 무선 전력 수신기 다이내믹(PRU Dynamic)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에서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 다이내믹(PRU Dynamic)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정류부 후단의 전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부트(Boot) 상태라고 명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전력 송신 모드로 진입하고(S416),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가 충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 신호인 무선 전력 수신기 명령(PRU command)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7). 전력 송신 모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가 송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명령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충전을 인에이블/디스에이블하는 정보 및 승인(permiss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 명령 신호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가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하는 경우에 송신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주기, 예를 들어 250ms의 주기로 송신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00)는 무선 전력 수신기 명령 신호에 따라서 설정을 변경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보고하기 위한 무선 전력 수신기 다이내믹(PRU Dynamic)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8,S419). 무선 전력 수신기(450)가 송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다이내믹(PRU Dynamic) 신호는 전압, 전류, 무선 전력 수신기 상태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On 상태로 명명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수신기 다이내믹(PRU Dynamic) 신호는 표 3과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Field octets description use units
optional fields 1 defines which optional fields are populated mandatory
Vrect 2 voltage at diode output mandatory mV
Irect 2 current at diode output mandatory mA
Vout 2 voltage at charge/battery port optional mV
Iout 2 current at charge/battery port optional mA
temperature 1 temperature of PRU optional Deg C from -40C
Vrect min dyn 2 Vrect low limit(dynamic value) optional mV
Vrect set dyn 2 desired Vrect (dynamic value) optional mV
Vrect high dyn 2 Vrect high limit (dynamic value) optional mV
PRU alert 1 warnings mandatory Bit field
RFU 3 undefined
무선 전력 수신기 다이내믹(PRU Dynamic) 신호는, 표 3에서와 같이 선택적 필드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전압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전류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DC/DC 컨버터의 후단의 전압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DC/DC 컨버터의 후단의 전류 정보, 온도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소 전압값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적 전압값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대 전압값 정보 및 경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고 정보는 하기의 표 4와 같은 데이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7 6 5 4 3 2 1 0
over voltage over current over temperature charge complete TA detect transition restart request RFU
경고 정보는, 표 4와 같이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과온도(over temperature), 충전 완료(charge complete), 유선 충전 단자 인입 감지(TA detect), SA 모드/ NSA 모드 전환(transition), 재충전 요청(restart reques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무선 전력 수신기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를 충전하기에 충분한 전력을 가지는 경우 충전을 인에이블하도록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명령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수신기 명령 신호는 충전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송신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 명령 신호는 예를 들어 250ms 마다 송신될 수 있거나, 파라미터 변경이 있을 때 송신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 명령 신호는 파라미터가 변경되지 않더라도 기설정된 임계 시간, 예를 들어 1초 이내에는 송신되어야 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에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경고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S420). 경고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 다이내믹(PRU Dynamic) 신호로 송신되거나 또는 경고(alert) 신호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표 3의 PRU alert 필드에 에러 상황을 반영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에러 상황을 지시하는 단독 경고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경고 신호를 수신하면, 래치 실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422).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널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S423).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의 제어 방법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5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S501).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초기 설정을 리셋할 수 있다(S503).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S505). 여기에서, 전력 절약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전력 송신부에 전력량이 상이한 이종의 전력을 인가하는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6에서의 제 2 검출 전력(601,602) 및 제 3 검출 전력(611,612,613,614,615)을 전력 송신부에 인가하는 구간일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601,602)을 제 2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제 2 검출 전력(601,602)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 2 기간 동안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611,612,613,614,615)을 제 3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제 3 검출 전력(611,612,613,614,615)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 3 기간 동안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제 3 검출 전력(611,612,613,614,615)의 각각의 전력 값은 상이한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지만, 제 3 검출 전력(611,612,613,614,615)의 각각의 전력 값은 상이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동일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611)을 출력한 이후에 동일한 크기의 전력량을 가지는 제 3 검출 전력(612)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가 동일한 크기의 제 3 검출 전력을 출력하는 경우, 제 3 검출 전력의 전력량은 가장 소형의 무선 전력 수신기, 예를 들어 카테고리 1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611)을 출력한 이후에 상한 크기의 전력량을 가지는 제 3 검출 전력(612)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이한 크기의 제 3 검출 전력을 출력하는 경우, 제 3 검출 전력의 전력량 각각은 카테고리 1 내지 5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검출 전력(611)는 카테고리 5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으며, 제 3 검출 전력(612)는 카테고리 3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으며, 제 3 검출 전력(613)는 카테고리 1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2 검출 전력(601,602)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2 검출 전력(601,602)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부 및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601,602) 및 제 3 검출 전력(611,612,613,614,615)을 전력 수신부로 각각 제 2 주기 및 제 3 주기로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일 지점에서 바라보는 임피던스가 변경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601,602) 및 제 3 검출 전력(611,612,613,614,615)이 인가되는 중 임피던스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615)을 인가하는 중, 임피던스가 변경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S507). 물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S507-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종의 전력을 주기적으로 인가하는 전력 절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505).
한편, 임피던스가 변경되어 물체가 검출되는 경우에는(S507-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저전력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부 및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진 구동 전력을 인가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도 6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동 전력(620)을 전력 송신부에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동 전력(620)을 수신하여 제어부 및 통신부를 구동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동 전력(620)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와 소정의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는 인증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가 관장하는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할 수 있다. 다만, 무선 전력 수신기가 아닌 이물질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될 수 없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배치된 물체가 이물질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511).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물체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물체를 이물질로 결정할 수 있다.
이물질로 결정된 경우에는(S511-Y),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6에서의 제 1 전력(631 내지 634)을 제 1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전력을 인가하는 중에 임피던스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이 회수되는 경우에는 임피던스 변경을 검출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물질이 회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이물질이 회수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임피던스 변경을 검출할 수 없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물질이 회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물질이 회수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램프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현재의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가 에러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램프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이 회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515-N),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513). 한편, 이물질이 회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515-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로 재진입할 수 있다(S517).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전력(651,652) 및 제 3 전력(661 내지 665)을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6과 관련한 경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배치에 기인한 임피던스 변경이 크지 않은 경우에는 무선 전력 수신기 검출이 어려울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블록도이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공진부(701), 제어부(702), 통신부(703), 구동부(704), 신호 발생부(705), 증폭부(706), 매칭부(707), 스위치부(708), 임피던스 변화부(709), 제 1 측정부(710) 및 제 2 측정부(711)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진부(701)는, 무선으로 무선 전력 수신기에 충전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공진부(701)는 교류 파형의 형태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직류 파형의 형태로 전력을 공급하면서 이를 인버터를 이용하여 교류 파형으로 변환하여 교류 파형의 형태로 공급할 수도 있다. 공진부(701)는 기설정된 공진 주파수에서 충전 전력을 송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공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2)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702)는 스위치부(708)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임피던스 변화부(709)로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2)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는 동안에는, 스위치부(708)를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2)는 스위치부(708)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임피던스 변화부(709)가 매칭부(707)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2)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한 이후에는, 스위치부(708)를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2)는 스위치부(708)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임피던스 변화부(709)가 매칭부(707)로 연결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703)는 아웃 밴드 방식으로 무선 전력 수신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703)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통신, 적외선 통신, 가시광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703)는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704)는 기설정된 전압 값을 가지는 직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구동부(704)에서 출력되는 전력은 증폭부(706)에 의하여 기설정된 이득으로 증폭될 수 있다. 증폭부(706)는 D 클래스 또는 E 클래스 증폭기로 구현될 수 있다. 증폭부(706) 신호 발생부(70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 직류 전력을 증폭하여, 교류 파형의 충전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증폭부(706)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력은 공진부(701)를 통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될 수 있다.
매칭부(707)는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능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수신기와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매칭부(707)가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함으로써 충전 전력 전송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매칭부(707)는 충전 전력 전송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임피던스를 가지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능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매칭부(707)는 스위치부(708)에 연결될 수 있으며, 스위치부(708)는 임피던스 변화부(709)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부(708)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서 임피던스 변화부(709)가 매칭부(707)에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측정부(710)는 구동부(704) 또는 증폭부(706)에 인가되는 전력 값, 전류 값, 전압 값 및 임피던스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제 2 측정부(711)는 공진부(701)에 인가되는 전력 값, 전류 값, 전압 값 및 임피던스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702)는 제 1 측정부(710) 및 제 2 측정부(71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임피던스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제 1 측정부(710) 및 제 2 측정부(711) 양자를 포함하는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측정부(710) 또는 제 2 측정부(711)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임피던스 변화부(709)는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능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피던스 변화부(709)는 스위치부(709)가 온 상태로 제어되는 경우에 매칭부(707)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의 임피던스가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임피던스 변화부(709)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검출이 용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무선 전력 수신기가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배치되지 않은 경우보다 무선 전력 수신기가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배치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임피던스 변경이 크게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임피던스 변화부(709)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배치에 의한 임피던스 변화가 제 1 임피던스 변화고, 임피던스 변화부(709)가 연결된 경우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배치에 의한 임피던스 변화가 제 2 임피던스 변화이면, 제 2 임피던스 변화가 제 1 임피던스 변화보다 클 수 있다.
즉, 임피던스 변화부(709)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한 임피던스 변경보다, 임피던스 변화부(709)가 연결된 경우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한 임피던스 변경이 크도록, 임피던스 변화부(709)는 설계될 수 있다. 다만, 임피던스 변화부(709)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한 임피던스 변경은 상대적으로 커서 무선 전력 수신기의 검출이 용이할 수는 있지만, 충전 전력 전송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제어부(702)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한 이후에는 스위치부(708)를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으며, 임피던스 변화부(709)가 연결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702)는 무선 전력 수신기 검출 이후, 충전 전력 전송 효율을 다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임피던스 변화부를 매칭부(707)로 연결할 수 있다(S801). 임피던스 변화부는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 임피던스 변경이 크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를 제 1 임피던스 변화로부터 제 2 임피던스 변화로 변화시키도록 내부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임피던스 변화는 제 1 임피던스 변화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한 임피던스 변경을 명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가 임피던스 변화부를 매칭부(707)로 연결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는 모드를 무선 전력 수신기 검출 모드라고 명명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수신기 검출 모드에서는 제 1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을 가지는 것을 상정하도록 한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S803). 무선 전력 송신기는 검출 전력 인가 기간 동안에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다(S805). 무선 전력 송신기는 검출 전력을 인가하는 중 제 1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수신기가 검출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검출 전력을 인가하는 중 제 2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제 1 및 제 2 임피던스의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치보다 크면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면(S805-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임피던스 변화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S807). 여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임피던스 변화부의 연결을 해제하는 모드를 무선 전력 전송 모드라고 명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모드는 제 2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을 가지며, 제 2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은 제 1 무선 전력 전송 효율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전송 효율보다 높은 제 2 무선 전력 전송 효율로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통신부(901), 제어부(902), 공진부(903), 매칭부(904), 제 1 스위치부(905), 제 1 임피던스 변화부(906), 정류부(907), 제 1 측정부(908), 제 2 스위치부(909), 제 2 임피던스 변화부(910), DC/DC 컨버터부(911), 제 3 스위치부(912), 제 3 임피던스 변화부(913), 제 2 측정부(914) 및 로드부(91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901)는 아웃 밴드 방식으로 무선 전력 송신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901)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통신, 적외선 통신, 가시광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901)는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902)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02)는 제 1 스위치부(905), 제 2 스위치부(909) 및 제 3 스위치부(912) 중 적어도 하나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902)는 제 1 임피던스 변화부(906), 제 2 임피던스 변화부(910) 및 제 3 임피던스 변화부(913) 각각의 무선 전력 수신기로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02)는 임피던스 변화 조건을 검출하면 제 1 임피던스 변화부(906), 제 2 임피던스 변화부(910) 및 제 3 임피던스 변화부(913) 각각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902)는 통신부(901)에 임피던스 변화 명령이 수신되면, 제 1 임피던스 변화부(906), 제 2 임피던스 변화부(910) 및 제 3 임피던스 변화부(913) 각각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공진부(903)는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충전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공진부(903)는 기설정된 공진 주파수에서 충전 전력을 수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공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매칭부(904)는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능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와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매칭부(904)가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함으로써 충전 전력 전송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매칭부(904)는 충전 전력 전송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임피던스를 가지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능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정류부(907)는 충전 전력을 직류 형태로 정류할 수 있다. 제 1 측정부(908)는 정류부(807)의 후단 즉 DC/DC 컨버터부(911)의 전단의 전류, 전압, 전력, 임피던스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DC/DC 컨버터부(911)는 정류된 전력을 기설정된 이득으로 컨버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C/DC 컨버터부(911)는 출력단의 전압이 5V가 되도록 정류된 전력을 컨버팅할 수 있다.
제 2 측정부(914)는 DC/DC 컨버터부(911)의 후단의 전류, 전압, 전력, 임피던스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로드부(915)는 DC/DC 컨버터부(911)로부터 입력되는 컨버팅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제 1 임피던스 변화부(906)는 정류부(907)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임피던스 변화부(910)는 DC/DC 변환부(911)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 임피던스 변화부(913)는 DC/DC 변환부(911)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임피던스 변화부(906), 제 2 임피던스 변화부(910) 및 제 3 임피던스 변화부(913)는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능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임피던스 변화부(906), 제 2 임피던스 변화부(910) 및 제 3 임피던스 변화부(913)가 연결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임피던스가 변화될 수 있다. 특히, 제 1 임피던스 변화부(906), 제 2 임피던스 변화부(910) 및 제 3 임피던스 변화부(913)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검출이 용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무선 전력 수신기가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배치되지 않은 경우보다 무선 전력 수신기가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배치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임피던스 변경이 크게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제 1 임피던스 변화부(906), 제 2 임피던스 변화부(910) 및 제 3 임피던스 변화부(913)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한 임피던스 변경보다, 제 1 임피던스 변화부(906), 제 2 임피던스 변화부(910) 및 제 3 임피던스 변화부(913)가 연결된 경우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한 임피던스 변경이 크도록, 제 1 임피던스 변화부(906), 제 2 임피던스 변화부(910) 및 제 3 임피던스 변화부(913)는 설계될 수 있다. 다만, 제 1 임피던스 변화부(906), 제 2 임피던스 변화부(910) 및 제 3 임피던스 변화부(913)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한 임피던스 변경은 상대적으로 커서 무선 전력 수신기의 검출이 용이할 수는 있지만, 충전 전력 전송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도 8의 실시 예에서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제 1 임피던스 변화부(906), 제 2 임피던스 변화부(910) 및 제 3 임피던스 변화부(913)를 모두 포함하는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제 1 임피던스 변화부(906), 제 2 임피던스 변화부(910) 및 제 3 임피던스 변화부(9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임피던스 변화부를 연결할 수 있다(S1001). 무선 전력 수신기는 도 9에서의 제 1 임피던스 변화부(906), 제 2 임피던스 변화부(910) 및 제 3 임피던스 변화부(913)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전력 수신기로 연결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수신기는 내부 임피던스를 제 1 임피던스로부터 제 2 임피던스로 변경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가 제 2 임피던스를 가지는 경우에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배치되면, 무선 전력 수신기가 제 1 임피던스를 가지면서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배치된 경우와 비교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 입장에서 더 큰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배치되는 경우 임피던스 변경이 크게 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로 하여금 무선 전력 수신기를 명확하게 검출하도록 한다. 무선 전력 수신기가 임피던스 변화부를 연결하는 모드를 무선 전력 수신기 검출 모드라고 명명하도록 한다. 무선 전력 수신기 검출 모드는 제 1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임피던스 변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003). 임피던스 변화 명령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임피던스 변화부로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명령일 수 있다. 임피던스 변화 명령은 응답 신호(PRU Response), PTU static 신호 또는 PRU 스태틱 신호에 삽입되어 수신되거나 또는 임피던스 변화 명령을 포함하는 단독 신호로 수신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가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임피던스 변화 명령을 수신하면(S1003-Y), 무선 전력 수신기는 임피던스 변화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S1005). 임피던스 변화부의 연결을 해제하는 모드를 무선 전력 전송 모드라고 명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진입한 이후, 충전 전력을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임피던스 변화부를 연결할 수 있다(S1001). 무선 전력 수신기는 임피던스 변화 조건을 검출할 수 있다(S1013). 임피던스 변화 조건이 검출되면(S1013-Y), 무선 전력 수신기는 임피던스 변화부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S1015).
임피던스 변화 조건은, 임피던스 변화부로의 연결을 해제하는 기설정된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의 제 1 측정부(908) 및 제 2 측정부(914) 중 적어도 하나가 측정한 온도, 전압, 전류 및 전력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충전이 개시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기설정된 신호를 수신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Claims (29)

  1. 무선 전력 수신기로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를 제 1 임피던스 변화와 상이한 제 2 임피던스 변화로 설정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전력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검출 전력을 인가하는 중 상기 제 2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를 상기 제 2 임피던스 변화로부터 상기 제 1 임피던스 변화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를 상기 제 1 임피던스 변화로부터 상기 제 2 임피던스 변화로 변화시키는 임피던스 변화부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변화부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연결시키는 것은, 상기 임피던스 변화부에 연결되는 스위치부를 온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변화부는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능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임피던스 변화는 상기 제 1 임피던스 변화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가 상기 제 2 임피던스 변화인 경우의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가 상기 제 1 임피던스 변화인 경우의 무선 전력 전송 효율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7. 무선 전력 수신기로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를 제 1 임피던스 변화 또는 제 2 임피던스 변화 중 하나로 설정하는 임피던스 변화부;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상기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 송신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를 제 2 임피던스 변화로 설정하고, 상기 전력 송신부에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전력을 인가하고, 상기 검출 전력을 인가하는 중 상기 제 2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면,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를 상기 제 2 임피던스 변화로부터 상기 제 1 임피던스 변화로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에 따라서, 상기 임피던스 변화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연결시키거나 또는 연결 해제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면, 상기 임피던스 변화부에 연결되는 스위치부를 온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변화부는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능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임피던스 변화는 상기 제 1 임피던스 변화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가 상기 제 2 임피던스 변화인 경우의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가 상기 제 1 임피던스 변화인 경우의 무선 전력 전송 효율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3.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충전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제 1 임피던스와 상이한 제 2 임피던스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상기 제 2 임피던스로부터 상기 제 1 임피던스로 변경하도록 하는 임피던스 변화 조건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임피던스 변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임피던스 변화 조건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임피던스 변화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상기 제 2 임피던스로부터 상기 제 1 임피던스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임피던스를 제 1 임피던스와 상이한 제 2 임피던스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연결되는 경우의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가 제 2 임피던스인 임피던스 변화부를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변화부를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연결시키는 것은, 상기 임피던스 변화부에 연결되는 스위치부를 온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변화부는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능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가 제 1 임피던스인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배치된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는 제 1 임피던스 변화이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가 제 2 임피던스인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배치된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는 제 2 임피던스 변화이며,
    상기 제 2 임피던스 변화는 상기 제 1 임피던스 변화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가 상기 제 2 임피던스인 경우의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가 상기 제 1 임피던스인 경우의 무선 전력 전송 효율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변화 조건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일 지점에서의 온도, 전압, 전류 및 전력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
  20.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충전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제 1 임피던스 또는 상기 제 1 임피던스와 상이한 제 2 임피던스 중 하나로 설정하는 임피던스 변화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상기 제 2 임피던스로부터 상기 제 1 임피던스로 변경하도록 하는 임피던스 변화 조건을 검출하면,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상기 제 2 임피던스로부터 상기 제 1 임피던스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연결되는 경우의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가 제 2 임피던스인 임피던스 변화부를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연결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피던스 변화부에 연결되는 스위치부를 온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변화부는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능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가 제 1 임피던스인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배치된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는 제 1 임피던스 변화이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가 제 2 임피던스인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배치된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는 제 2 임피던스 변화이며,
    상기 제 2 임피던스 변화는 상기 제 1 임피던스 변화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가 상기 제 2 임피던스인 경우의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가 상기 제 1 임피던스인 경우의 무선 전력 전송 효율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변화 조건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일 지점에서의 온도, 전압, 전류 및 전력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27.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충전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제 1 임피던스 또는 상기 제 1 임피던스와 상이한 제 2 임피던스 중 하나로 설정하는 임피던스 변화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상기 제 2 임피던스로부터 상기 제 1 임피던스로 변경하도록 하는 임피던스 변화 명령을,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임피던스 변화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상기 제 2 임피던스로부터 상기 제 1 임피던스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28. 무선 전력 수신기로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상기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 송신부;
    상기 전력 송신부에,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전력을 인가하고, 상기 검출 전력 인가 기간 중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검출되면,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제 2 임피던스로부터 제 2 임피던스와 상이한 제 1 임피던스로 변경하도록 하는 임피던스 변화 명령을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29. 무선 전력 수신기로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전력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검출 전력 인가 기간 중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검출되면,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제 2 임피던스로부터 제 2 임피던스와 상이한 제 1 임피던스로 변경하도록 하는 임피던스 변화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KR1020130081040A 2012-07-10 2013-07-10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102023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75098 2012-07-10
KR1020120075098 2012-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775A true KR20140007775A (ko) 2014-01-20
KR102023548B1 KR102023548B1 (ko) 2019-11-04

Family

ID=49916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040A KR102023548B1 (ko) 2012-07-10 2013-07-10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59745B2 (ko)
EP (1) EP2874276A4 (ko)
KR (1) KR102023548B1 (ko)
CN (1) CN104521106B (ko)
IN (1) IN2015DN00954A (ko)
WO (1) WO201401095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9241B2 (en) 2014-11-04 201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electric power in wireless charging
KR20180065238A (ko) * 2016-12-07 2018-06-1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80077477A (ko) * 2016-12-29 2018-07-0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358B1 (ko) 2013-03-22 2019-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JP6202853B2 (ja) * 2013-03-29 2017-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
KR102113853B1 (ko) * 2013-07-17 202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플링 영역 검출 방법 및 장치
EP3108570B1 (en) * 2014-02-19 2020-09-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etecting load in wireless charging
JP6497614B2 (ja) * 2014-05-26 2019-04-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送電装置及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EP3127248B1 (en) 2014-06-19 2019-08-07 Koninklijke Philips N.V. Wireless inductive power transfer
JP6296917B2 (ja) * 2014-06-26 2018-03-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DE102015213981A1 (de) * 2015-07-24 2017-01-26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Detektion eines Fremdkörpers in einem elektromagnetischen Feld, insbesondere mit Hilfe eines NFC Chips
US20180219428A1 (en) * 2015-07-27 2018-08-02 Lg Innotek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wireless power receiver
JP6975136B2 (ja) 2015-09-03 2021-12-0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データ及び電力のワイヤレス交換のためのバッテリモジュール
KR102595793B1 (ko) * 2016-01-08 2023-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277058B2 (en) * 2016-05-16 2019-04-30 Qualcomm Incorporate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oexistance
WO2017217686A1 (en) 2016-06-16 2017-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102607032B1 (ko) * 2016-06-16 2023-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2928829A (zh) * 2016-07-26 2021-06-08 宁波微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非接触电能传输装置及其控制方法
CN109075611B (zh) 2016-07-29 2022-05-17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无线充电
KR101919571B1 (ko) * 2016-11-01 2018-11-19 주식회사 에코웰 담수 또는 수돗물의 수소 농도를 강화하기 위한 전극 구조물, 이를 이용한 수소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수소수 제조 장치
US11409972B2 (en) * 2018-09-14 2022-08-09 Apple Inc. Coexistence of wireless technologies on an antenn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1120A1 (en) * 2007-03-20 2008-09-25 Seiko Epson Corporation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power transmitting device
KR20110037728A (ko) * 2009-10-07 2011-04-13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US20110221388A1 (en) * 2010-03-11 2011-09-15 Qualcomm Incorporated Detection and protection of devices within a wireless pow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8393B2 (en) * 2008-05-13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fer for vehicles
KR101248453B1 (ko) 2008-12-09 2013-04-01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및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에 있어서의 전력 전송 방법
CH700129A1 (de) 2008-12-17 2010-06-30 Rotzinger Ag Zwischenspeicher.
US9136914B2 (en) 2009-01-22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Impedance change detec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JP5569182B2 (ja) * 2010-06-28 2014-08-13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非接触送電システム、非接触送電装置、およびインピーダンスの調整方法
KR101726195B1 (ko) * 2010-08-25 201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진 전력 전달 시스템에서 공진 임피던스 트래킹 장치 및 방법
WO2012073349A1 (ja) * 2010-12-01 2012-06-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給電設備、車両およ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5670869B2 (ja) * 2010-12-22 2015-02-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US20130038136A1 (en) * 2011-03-25 2013-02-14 Qualcomm Incorporated Filter for improved driver circuit efficiency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848931B1 (ko) 2011-12-15 201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1120A1 (en) * 2007-03-20 2008-09-25 Seiko Epson Corporation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power transmitting device
KR20110037728A (ko) * 2009-10-07 2011-04-13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US20110221388A1 (en) * 2010-03-11 2011-09-15 Qualcomm Incorporated Detection and protection of devices within a wireless power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9241B2 (en) 2014-11-04 201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electric power in wireless charging
KR20180065238A (ko) * 2016-12-07 2018-06-1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80077477A (ko) * 2016-12-29 2018-07-0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0951A1 (ko) 2014-01-16
CN104521106B (zh) 2017-06-06
EP2874276A4 (en) 2016-03-23
US20150180268A1 (en) 2015-06-25
US9859745B2 (en) 2018-01-02
EP2874276A1 (en) 2015-05-20
IN2015DN00954A (ko) 2015-06-12
KR102023548B1 (ko) 2019-11-04
CN104521106A (zh)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548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101807335B1 (ko)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슬립 모드 설정 방법
KR102055866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102187962B1 (ko) 무선 충전에서 수신기 검출을 위한 로드 변화 감지 방법 및 무선 전력 송신기
KR101807899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기의 무선 전력 수신기 허가 방법
KR101787796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102039375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3358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EP3282590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excluding cross-connecte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39350B1 (ko)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비정상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1950688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0096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충전 네트워크에서 응급 정보 전송 방법
KR101962667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101968519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8455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20150098575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KR20160008103A (ko)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신호 전송 방법,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KR102039495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15704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와 그 동작 방법
KR20170035213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KR20170142085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4178A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2079035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