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538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538B1
KR102617538B1 KR1020160181870A KR20160181870A KR102617538B1 KR 102617538 B1 KR102617538 B1 KR 102617538B1 KR 1020160181870 A KR1020160181870 A KR 1020160181870A KR 20160181870 A KR20160181870 A KR 20160181870A KR 102617538 B1 KR102617538 B1 KR 102617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amp
power
wireless pow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7477A (ko
Inventor
배진우
김종영
이가희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1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538B1/ko
Publication of KR20180077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0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comprising at least two indicat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 B60Q1/30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combined with a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에 대해 고정된 제1 램프 유닛과, 상기 제1 램프 유닛을 기준으로 일측에 설치된 제2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차량의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하되, 차량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된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의 전송방식 및 전송전력의 크기를 결정하며,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크기에 기초하여 점등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전력전송 기술을 이용하여 배선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램프는 트렁크 도어의 경계를 기준으로 내측 램프와 외측 램프로 분리되는 구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의 외측 램프는 트렁크 도어의 경계를 기준으로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내측 램프는 트렁크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트렁크의 개폐구조로 인해 내측 램프와 외측 램프는 각각 점등 제어신호와 동작전원을 제공받기 위한 와이어 배선이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차량 내부의 배선이 복잡해지고 리어 램프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측 램프는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동작전원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배선이 용이한 반면, 내측 램프는 트렁크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나, 상술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205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두 개의 분리된 램프 유닛이 결합하여 일체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되어 배선이 용이한 외측 램프로는 직접 유선으로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되, 외측 램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내측 램프로는 외측 램프가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크기의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에 대해 고정된 제1 램프 유닛과, 상기 제1 램프 유닛을 기준으로 일측에 설치된 제2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차량의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하되, 차량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된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의 전송방식 및 전송전력의 크기를 결정하며,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크기에 기초하여 점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 송신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램프 유닛으로 전송하는 상기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전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의 전력 전송 방식을 선택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자기유도방식으로 상기 전력을 전송하는 제1 무선전력 송신부 및 자기공진방식으로 상기 전력을 전송하는 제2 무선전력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된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전력 송신부 및 상기 제2 무선전력 송신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하는 제1 정전압 생성부, 상기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1 전력 증폭부 및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유도 방식의 전력을 송신하는 제1 송신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교류 전력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상기 제1 전력 증폭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점등 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른 송신 전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기,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증폭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기 및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무선전력 송신부, 제1 발광부 및 제1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램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하는 제2 정전압 생성부, 상기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2 전력 증폭부 및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공진 방식의 전력을 송신하는 제2 송신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교류 전력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정합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교류 전력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상기 제2 전력 증폭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점등 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른 송신 전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기,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전력 증폭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기 및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제2 무선전력 송신부, 제1 발광부 및 제1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램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송신 코일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전력의 전압 레벨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제2 발광부 및 상기 측정된 전압 레벨에 따라 상기 제2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자기유도방식으로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제1 무선전력 수신부 및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자기공진방식으로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제2 무선전력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전압 레벨에 따른 점등 제어신호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저장기,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된 전압 레벨에 따른 점등 제어신호를 결정하는 제2 제어기 및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자기유도방식으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제1 수신 코일부 및 상기 수신된 전력을 정류하여 정류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2 제어부로 제공하는 정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정류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무선전력 수신부, 전압 측정부, 제2 발광부 및 제2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 램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자기공진방식으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제2 수신 코일부 및 상기 수신된 전력을 정류하여 정류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2 제어부로 제공하는 정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정류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제2 무선전력 수신부, 전압 측정부, 제2 발광부 및 제2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 램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차량에 설치되어 배선이 용이한 외측 램프로는 직접 유선으로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되, 외측 램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내측 램프로는 외측 램프가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크기의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함으로써, 무선전력 전송만으로 내측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과 점등 제어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고, 램프의 설치에 따른 와이어 배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설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무선전력 송신부 및 제2 무선전력 송신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은 제1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제1 무선전력 수신부 및 제2 무선전력 수신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8은 제1 무선전력 수신부 및 제2 무선전력 수신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9는 제2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제1 램프 유닛의 제1 램프 하우징에 수용된 제1 송신 코일부 및 제2 송신 코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2 램프 유닛의 제2 램프 하우징에 수용된 제1 수신 코일부 및 제2 수신 코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설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차량(1)의 전방 또는 후방에 양측에 설치되어 차량(1)의 존재를 알리거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램프로서,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및 백업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테일 램프는 차량(1)의 차폭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차량(1)의 야간 주행시나 터널 주행시에 보행자나 다른 차량에게 차량(1)의 존재를 알릴 수 있으며, 브레이크 램프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차량(1)이 제동 상태임을 후방 차량에게 알릴 수 있고, 턴 시그널 램프는 일정 주기로 점멸되어 차량(1)의 선회 방향이나 차선 변경 방향을 다른 차량에게 알릴 수 있으며, 백업 램프는 후진시에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고, 보행자나 다른 차량에게 차량(1)이 후진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차량(1)에 고정된 제1 램프 유닛(100)과 제1 램프 유닛(100)에 인접한 위치와 이격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2 램프 유닛(200)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용 램프(10)는 제2 램프 유닛(200)이 제1 램프 유닛(100)에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제1 램프 유닛(100)에서 제공된 광과 제2 램프 유닛(200)에서 제공된 광에 의해 일체의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0)는 리어 램프일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램프(10)는 차체에 고정되는 제1 램프 유닛(100)과, 트렁크 도어(2)에 설치되어 트렁크 도어(2)의 개폐동작에 따라 제1 램프 유닛(100)에 인접한 위치와 이격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2 램프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용 램프(10)는 트렁크 도어의 경계(2)를 기준으로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램프 유닛(100) 및 트렁크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램프 유닛(200)으로 나뉘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램프 유닛(100)과 제2 램프 유닛(200)으로 전원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와이어 배선이 각각 필요하다. 여기서, 제1 램프 유닛(100)은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전원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배선이 용이한 반면, 제2 램프 유닛(200)은 트렁크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배선이 용이한 제1 램프 유닛(100)으로는 직접 유선으로 차량으로부터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되,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제2 램프 유닛(200)으로는 제1 램프 유닛(100)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제공된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는 리어 램프를 일례로 할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에 고정된 제1 램프 유닛 및 제1 램프 유닛과 인접한 위치와 이격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 램프 유닛이 서로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일체의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면 어느 것이든 적용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램프 유닛(100)은 차량(1)의 전원장치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는 유선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램프 유닛(100)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공된 전력을 이용하여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유닛을 제어함으로써, 점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램프 유닛(100)은 제2 램프 유닛(200)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램프 유닛(100)은 차량(1)의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이용해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램프 유닛(100)은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전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램프 유닛(100)은 점등 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라 기 설정된 크기의 전력을 생성하여 제2 램프 유닛(2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램프 유닛(100)은 점등 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전력의 크기에 따라 자기유도방식 및 자기공진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무선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제1 램프 유닛(100)은 점등 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전력의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보다 큰 경우,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전력의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인 경우,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제2 램프 유닛(200)은 제1 램프 유닛(100)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램프 유닛(200)은 제1 램프 유닛(100)에서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송신한 경우,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수신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1 램프 유닛(100)에서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송신한 경우,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램프 유닛(200)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램프 유닛(100)으로부터 무선으로 제공되는 전력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유닛을 제어함으로써, 점등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램프 유닛(100)은 무선전력 송신부(110), 제1 발광부(120) 및 제1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램프 유닛(200)은 무선 전력 수신부(210), 전압 측정부(220), 제2 발광부(230) 및 제2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부(110)는 차량(1)의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무선전력 수신부(210)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전력 수신부(210)로 제공되는 전력의 크기 및 전송방식은 제1 제어부(13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부(110)는 제1 제어부(130)의 선택에 따라 자기유도방식 또는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해 무선전력 수신부(210)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유도방식의 경우, 무선전력 송신부(110)는 제1 제어부(130)를 통해 전원 입력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하여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정전압을 이용해 교류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발생시켜 무선전력 수신부(210)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자기공진방식의 경우, 무선전력 송신부(110)는 제1 제어부(130)를 통해 차량(1)의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하여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정전압을 이용해 교류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공진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발생시켜 동일한 공진주파수로 설계된 무선전력 수신부(210)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제1 발광부(120)는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및 백업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점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램프들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소자는 할로겐,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및 LED (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HID 또는 LED의 경우, 제1 제어부(130)는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듈(예컨대, Ballast 또는 LDM(LED Drive Modu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30)는 제1 램프 유닛(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30)는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점등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제2 램프 유닛(200)으로 전송할 전력의 크기 및 전송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30)는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점등 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라 제2 램프 유닛(200)으로 전송할 전력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력의 전송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부(110)는 자기유도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제1 무선전력 송신부와, 자기공진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제2 무선전력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제어부(130)는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력의 크기에 따라 제1 무선전력 송신부와 제2 무선전력 송신부 중 어느 하나로 전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전송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부(130)는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결정된 크기의 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선택한 제1 무선전력 송신부 또는 제2 무선전력 송신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30)는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발광부(120)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점등 제어신호는 테일 램프 점등신호, 브레이크 램프 점등신호, 턴 시그널 램프 점등신호 및 백업 램프 점등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어부(130)는 제1 발광부(120)와 제2 발광부(230)가 동시에 동작해야 되는 경우, 무선전력 수신부(210)로 전력이 전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만큼 제1 발광부(120)의 동작을 지연시킴으로써, 제1 발광부(120)와 제2 발광부(230)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무선전력 송신부(12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자기유도방식 또는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해 무선전력 송신부(120)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유도방식의 경우,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무선전력 송신부(120)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자기공진방식의 경우,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무선전력 송신부(120)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자기장의 공진주파수와 동일한 공진주파수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무선전력 송신부(120)로부터 수신한 교류전력을 정류하여 제2 제어부(240)에 제공할 수 있다.
전압 측정부(220)는 무선전력 수신부(210)로 전송된 전력의 전압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전압 측정부(220)는 무선전력 수신부(210)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측정한 전압 레벨을 제2 제어부(240)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발광부(230)는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및 백업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점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램프들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소자는 할로겐,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및 LED (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 제어부(240)는 제2 램프 유닛(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40)는 전압 측정부(220)에 의해 측정된 전압 레벨에 따라 제2 발광부(230)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40)는 무선전력 수신부(210)로 전송된 전력의 전압 레벨에 따른 점등 제어신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를 참조하여 점등 제어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40)는 상기 결정된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제2 발광부(230)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점등 제어신호는 테일 램프 점등신호, 브레이크 램프 점등신호, 턴 시그널 램프 점등신호 및 백업 램프 점등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부(110)는 제1 무선전력 송신부(112) 및 제2 무선전력 송신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제1 무선전력 수신부(212) 및 제2 무선전력 수신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전력 송신부(112)는 자기유도방식으로 제1 무선전력 수신부(212)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무선전력 송신부(112)는 제1 제어부(130)를 통해 전원 입력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하여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정전압을 이용해 교류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발생시켜 무선전력 수신부(210)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제2 무선전력 송신부(114)는 자기공진방식으로 제2 무선전력 수신부(214)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무선전력 송신부(114)는 제1 제어부(130)를 통해 차량(1)의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하여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정전압을 이용해 교류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공진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발생시켜 동일한 공진주파수로 설계된 무선전력 수신부(210)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무선전력 송신부(112) 및 제2 무선전력 송신부(114)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무선전력 수신부(212)는 자기유도방식으로 제1 무선전력 송신부(112)로부터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전력 수신부(212)는 제1 무선전력 송신부(112)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무선전력 수신부(214)는 자기공진방식으로 제2 무선전력 송신부(114)로부터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무선전력 수신부(214)는 제2 무선전력 송신부(114)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자기장의 공진주파수와 동일한 공진주파수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무선전력 수신부(212) 및 제2 무선전력 수신부(214)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제1 무선전력 송신부 및 제2 무선전력 송신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무선전력 송신부(112)는 제1 정전압 생성부(112a), 제1 전력 증폭부(112b) 및 제1 송신 코일부(112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무선전력 송신부(114)는 제2 정전압 생성부(114a), 제2 전력 증폭부(114b), 정합 회로부(114c) 및 제2 송신 코일부(114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전압 생성부(112a)는 제1 제어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전력의 전압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정전압 생성부(112)a는 부스트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 전력 증폭부(112b)는 제1 정전압 생성부(112a)에서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력 증폭부(112b)는 제1 제어부(130)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교류전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전력 증폭부(112b)에 의해 생성된 교류전력이 제1 송신 코일부(112c)에 인가되면,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송신 코일부(112c)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제1 송신 코일부(112c)와 수신 코일부(212d)가 커플링 되면, 수신 코일부(212d)에 유도전류가 흐르는 방식으로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제2 정전압 생성부(114a)는 제1 제어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전력의 전압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정전압 생성부(114a)는 부스트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2 전력 증폭부(114b)는 제2 정전압 생성부(114a)에서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력 증폭부(114)b는 제1 제어부(130)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교류전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정합 회로부(114c)은 무선전력의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교류 전력의 임피던스를 정합할 수 있다.
제2 송신 코일부(114d)는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공진 방식의 전력을 송신하도록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송신 코일부(114d)는 기 설정된 공진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발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송신 코일부(114d)는, 비록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교류전력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하는 유도코일과 상기 자기장에 의해 공진하면서 공명파를 발생하는 공진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제1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30)는 제1 저장기(132), 제1 제어기(134) 및 제1 구동기(1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장기(132)는 점등 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른 송신 전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저장기(142)는 하기의 표 1와 같은 점등 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른 송신 전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점등 제어신호 송신 전력(Watt)
A 3
B 4
C 5
A+B 7
A+C 8
B+C 9
A+B+C 12
여기서, A, B, C는 테일 램프 점등신호, 브레이크 램프 점등신호, 턴 시그널 램프 점등신호 및 백업 램프 점등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A+B, A+C, B+C는 상기 점등신호 중 선택된 두 신호의 조합일 수 있으며, A+B+C는 상기 점등신호 중 선택된 세 신호의 조합일 수 있다.
제1 제어기(134)는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무선전력 송신부(110)에서 생성되는 전력의 크기 및 상기 전력을 전송할 무선전력 송신부(112, 114)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무선전력 송신부에서 생성되는 전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기(134)는 제1 저장기(132)에 저장된 상기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전력의 크기 및 무선전력 송신부(112, 114)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기(134)는 상기 전력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제1 무선전력 송신부(112)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의 크기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제2 무선전력 송신부(114)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어기(134)는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해 선택된 송신 전력에 따라 결정된 무선전력 송신부로 전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 무선전력 송신부(112)와 제2 무선전력 송신부(11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 무선전력 송신부(112)와 제2 무선전력 송신부(114) 중 선택된 무선전력 송신부로 상기 선택된 크기의 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점등 제어신호가 A+B이며, 상기 기준값이 5 W인 경우, A+B에 대응되는 송신 전력은 7 W이므로, 제1 제어기(134)는 제1 무선전력 송신부(112)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제1 전력 증폭부(112c)로 송신전력 7 W의 전력이 생성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구동기(136)는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발광부(120)의 점등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발광부(120)의 발광소자 HID의 경우, 제1 구동기(136)는 상기 HID를 구동시키기 위한 Ballast일 수 있으며, LED의 경우, 제1 구동기(136)는 상기 LED를 구동시키기 위한 LDM(LED Drive Module)일 수 있다.
도 7은 제1 무선전력 수신부 및 제2 무선전력 수신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8은 제1 무선전력 수신부 및 제2 무선전력 수신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무선전력 수신부(212)는 제1 수신 코일부(212a) 및 제1 정류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무선전력 수신부(21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버터(21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 코일부(212a)는 제1 송신 코일부(112c)로부터 자기유도방식으로 전달된 전력을 제1 정류부(212b)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정류부(212b)는 제1 수신 코일부(212a)로부터 전달된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정류부(212b)는 상기 직류 전력을 전압 측정부(220)를 통해 제2 제어부(240)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컨버터(212c)는 제1 정류부(212b)에 의해 정류된 직류전력이 입력되면, 상기 직류전력의 전압의 레벨을 제2 제어부(240)가 제2 발광부(230)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레벨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변환된 정류 전력은 전압 측정부(220)를 통해 제2 제어부(240)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무선전력 수신부(214)는 제2 수신 코일부(214a) 및 제2 정류부(214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무선전력 수신부(21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컨버터(21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신 코일부(214a)는 제2 송신 코일부(114d)로부터 자기공진방식으로 전달된 전력을 제2 정류부(214b)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수신 코일부(214a)는 제2 송신 코일부(114d)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공진주파수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수신 코일부(214a)는, 비록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 송신 코일부(114a)의 공진코일에 의해 발생된 공명파를 수신하여 공진하는 공진코일과, 상기 공진코일로부터 전류가 유도되는 유도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신 코일부(214b)는 제2 송신 코일부(114d)에 의해 전달된 전력을 제2 정류부(214b)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정류부(214b)는 제2 수신 코일부(214a)로부터 전달된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정류부(214b)는 상기 직류 전력을 전압 측정부(220)를 통해 제2 제어부(240)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컨버터(214c)는 제2 정류부(214)에 의해 정류된 직류전력이 입력되면, 상기 직류전력의 전압의 레벨을 제2 제어부(240)가 제2 발광부(230)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레벨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변환된 정류 전력은 전압 측정부(220)를 통해 제2 제어부(24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제2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부(240)는 제2 저장기(242), 제2 제어기(244) 및 제2 구동기(24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저장기(242)는 전압 레벨에 따른 점등 제어신호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저장기(242)는 하기의 표 2와 같은 전압 레벨에 따른 점등 제어신호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수신부 전압(V) 점등 제어신호
40 ~ 50 A
51 ~ 60 B
61 ~ 70 C
71 ~ 80 A+B
81 ~ 90 A+C
91 ~ 100 B+C
101 ~ 110 A+B+C
여기서, A, B, C는 테일 램프 점등신호, 브레이크 램프 점등신호, 턴 시그널 램프 점등신호 및 백업 램프 점등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A+B, A+C, B+C는 상기 점등신호 중 선택된 두 신호의 조합일 수 있으며, A+B+C는 상기 점등신호 중 선택된 세 신호의 조합일 수 있다.
제2 제어기(244)는 전압 측정부(220)에 의해 측정된 수신측 전력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점등 제어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제어기(244)는 제2 저장기(242)에 저장된 상기 정보를 참조하여 점등 제어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 측 전력의 전압 레벨이 91 ~ 100 V 사이의 값인 경우, 제2 제어기(244)는 B+C를 점등 제어신호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제어기(244)는 상기 정보를 참조하여 결정된 점등 제어신호를 제2 구동기(246)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구동기(246)는 제2 제어기(244)로부터 전송된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제2 발광부(230)의 점등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발광부(230)의 발광소자 HID의 경우, 제2 구동기(246)는 상기 HID를 구동시키기 위한 Ballast일 수 있으며, LED의 경우, 제2 구동기(246)는 상기 LED를 구동시키기 위한 LDM(LED Drive Module)일 수 있다.
도 10은 제1 램프 유닛의 제1 램프 하우징에 수용된 제1 송신 코일부 및 제2 송신 코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제2 램프 유닛의 제2 램프 하우징에 수용된 제1 수신 코일부 및 제2 수신 코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유닛(100)은 무선전력 송신부(110), 제1 발광부(120) 및 제1 제어부(130)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램프 하우징(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램프 하우징(140)은 제2 램프 유닛(200)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제2 램프 유닛(200)과의 접촉면을 제공하기 위한 제1 플랜지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램프 유닛(100)은 무선전력 전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제1 송신 코일부(112c) 및 제2 송신 코일부(114c)를 제1 플랜지부(142)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제1 램프 유닛(100)의 제1 플랜지부(142)와 제2 램프 유닛(200)의 제2 플랜지부(252)는 차량용 램프의 디자인 또는 설치되는 차량에 따라 상호간에 단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플랜지부(142)와 제2 플랜지부(252)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플랜지부(142)에 수용되는 제1 송신 코일부(112c) 및 제2 송신 코일부(114c) 중 상대적으로 무선전력 전송 거리가 짧은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하는 제1 송신 코일부(112c)를 제1 플랜지부(142)와 제2 플랜지부(252)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쪽에 배치하고, 상대적으로 무선전력 전송 거리가 긴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하는 제2 송신 코일부(114c)를 제1 플랜지부(142)와 제2 플랜지부(252) 사이의 거리가 먼 쪽에 배치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램프 유닛(200)은 무선전력 수신부(210), 전압 측정부(220), 제2 발광부(230) 및 제2 제어부(240)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 램프 하우징(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램프 하우징(250)은 제2 램프 유닛(200)이 제1 램프 유닛(100)과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제1 램프 유닛(100)과의 접촉면을 제공하기 위한 제2 플랜지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램프 유닛(200)은 무선전력 전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제1 수신 코일부(212a) 및 제2 수신 코일부(214a)를 제2 플랜지부(252)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142)와 제2 플랜지부(252)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는 경우, 제2 플랜지부(252)에 수용되는 제1 수신 코일부(212a) 및 제2 수신 코일부(214a) 중 상대적으로 무선전력 전송 거리가 짧은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하는 제1 수신 코일부(212a) 를 제1 플랜지부(142)와 제2 플랜지부(252)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쪽에 배치하고, 상대적으로 무선전력 전송 거리가 긴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하는 제2 수신 코일부(214a)를 제1 플랜지부(142)와 제2 플랜지부(252) 사이의 거리가 먼 쪽에 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 차량
2: 트렁크 도어
10: 차량용 램프
100: 제1 램프 유닛
110: 무선전력 송신부
120: 제1 발광부
130: 제1 제어부
140: 제1 램프 하우징
142: 제1 플랜지부
200: 제2 램프유닛
210: 무선전력 수신부
220: 전압 측정부
230: 제2 발광부
240: 제2 제어부
250: 제2 램프 하우징
252: 제2 플랜지부

Claims (22)

  1. 차량에 대해 고정된 제1 램프 유닛과, 상기 제1 램프 유닛을 기준으로 일측에 설치된 제2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차량의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하되, 차량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된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의 전송방식 및 전송전력의 크기를 결정하며,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전력의 크기에 기초하여 점등되고,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전력의 전압 레벨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제2 발광부; 및
    상기 측정된 전압 레벨에 따라 상기 제2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 송신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램프 유닛으로 전송하는 상기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전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의 전력 전송 방식을 선택하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자기유도방식으로 상기 전력을 전송하는 제1 무선전력 송신부; 및
    자기공진방식으로 상기 전력을 전송하는 제2 무선전력 송신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된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전력 송신부 및 상기 제2 무선전력 송신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동시키는 차량용 램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하는 제1 정전압 생성부;
    상기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1 전력 증폭부; 및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제1 송신 코일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교류 전력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상기 제1 전력 증폭부를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점등 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른 송신 전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기;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력 증폭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기; 및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구동기;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무선전력 송신부, 제1 발광부 및 제1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램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하는 제2 정전압 생성부;
    상기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2 전력 증폭부; 및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제2 송신 코일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교류 전력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정합 회로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교류 전력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상기 제2 전력 증폭부를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점등 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른 송신 전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저장기;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전력 증폭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기; 및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구동기;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제2 무선전력 송신부, 제1 발광부 및 제1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램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자기유도방식으로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제1 무선전력 수신부; 및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자기공진방식으로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제2 무선전력 수신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전압 레벨에 따른 점등 제어신호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저장기;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된 전압 레벨에 따른 점등 제어신호를 결정하는 제2 제어기; 및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구동기;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자기유도방식으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제1 수신 코일부; 및
    상기 수신된 전력을 정류하여 정류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2 제어부로 제공하는 제1 정류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정류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컨버터;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무선전력 수신부, 전압 측정부, 제2 발광부 및 제2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 램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자기공진방식으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제2 수신 코일부; 및
    상기 수신된 전력을 정류하여 정류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2 제어부로 제공하는 제2 정류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정류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컨버터;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제2 무선전력 수신부, 전압 측정부, 제2 발광부 및 제2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 램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60181870A 2016-12-29 2016-12-29 차량용 램프 KR102617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870A KR102617538B1 (ko) 2016-12-29 2016-12-29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870A KR102617538B1 (ko) 2016-12-29 2016-12-29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477A KR20180077477A (ko) 2018-07-09
KR102617538B1 true KR102617538B1 (ko) 2023-12-26

Family

ID=6291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870A KR102617538B1 (ko) 2016-12-29 2016-12-29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5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342A (ja) * 1999-03-10 2000-09-19 Harness Syst Tech Res Ltd 車両用電装品への給電システム及び車両用電装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304B1 (ko) * 2011-05-13 2013-02-15 (주)롬스페이스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조명용 전원 공급 제어장치
CN104521106B (zh) * 2012-07-10 2017-06-06 三星电子株式会社 无线电力发送器、无线电力接收器及其控制方法
KR101342059B1 (ko) 2012-08-23 2013-12-18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차량용 리어 램프
KR20160028912A (ko) * 2014-09-04 2016-03-14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342A (ja) * 1999-03-10 2000-09-19 Harness Syst Tech Res Ltd 車両用電装品への給電システム及び車両用電装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477A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1857B2 (en) Wireless supplyable lighting module
US7928664B2 (en) Illumination systems
DE60038209D1 (de) Betriebsschaltung für eine LED mit Beleuchtungsstärkerückkopplung
JP5000327B2 (ja) 可視光通信システム
JP2010055841A (ja) 照明装置、車室内用照明装置、車両用照明装置
US8558467B2 (en) Adjustable lighting system for fluorescent lamp and sensing apparatus of the adjustable lighting system
KR102581920B1 (ko) 차량용 램프
JP2008206086A (ja) 可視光通信システム
KR20140127193A (ko) 교류 전력선 통신 장치
KR101736766B1 (ko) Led조명등 셀프 디밍 장치
KR101232304B1 (ko)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조명용 전원 공급 제어장치
KR102617538B1 (ko) 차량용 램프
JP2013223270A (ja) 照明用非接触給電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2012174663A (ja) 調光照明装置および調光照明システム
KR102581919B1 (ko) 차량용 램프
WO2018159540A1 (ja) 地上側給電装置
KR102617539B1 (ko) 차량용 램프
KR20190007832A (ko) 차량용 램프
US20150028757A1 (en) Single wire lighting driver control
US10731837B2 (en) Lighting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KR100894183B1 (ko) 무선 dmx512 및 순차적 온도제어 방식이 적용된 경관조명기구
JPH0218129A (ja) 車輌用前照灯
KR101698346B1 (ko) 별도의 배선없이 led 조명 제어를 수행하는 교류전원 벽스위치
JP6078918B2 (ja) 照明用非接触給電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200355683Y1 (ko) 엘이디 교통 신호등의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