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920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920B1
KR102581920B1 KR1020160161993A KR20160161993A KR102581920B1 KR 102581920 B1 KR102581920 B1 KR 102581920B1 KR 1020160161993 A KR1020160161993 A KR 1020160161993A KR 20160161993 A KR20160161993 A KR 20160161993A KR 102581920 B1 KR102581920 B1 KR 102581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amp
power
vehicle
lam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2090A (ko
Inventor
배진우
김종영
이가희
김정훈
안재혁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1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9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 B60Q1/30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combined with a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에 대해 고정된 제1 램프 유닛과, 상기 제1 램프 유닛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차량의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하며, 차량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된 점등 제어신호를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전력전송 및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배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램프는 트렁크 도어의 경계를 기준으로 내측 램프와 외측 램프로 분리되는 구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의 외측 램프는 트렁크 도어의 경계를 기준으로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내측 램프는 트렁크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트렁크의 개폐구조로 인해 내측 램프와 외측 램프는 각각 점등 제어신호와 동작전원을 제공받기 위한 와이어 배선이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차량 내부의 배선이 복잡해지고 리어 램프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측 램프는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동작전원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배선이 용이한 반면, 내측 램프는 트렁크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나, 상술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205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두 개의 분리된 램프 유닛이 결합하여 일체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되어 배선이 용이한 외측 램프로는 직접 유선으로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되, 외측 램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내측 램프로는 외측 램프가 무선으로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에 대해 고정된 제1 램프 유닛과, 상기 제1 램프 유닛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차량의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하며, 차량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된 점등 제어신호를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된 전력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하는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점등 제어신호를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하는 신호 송신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을 상기 제2 램프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 생성부, 상기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증폭부 및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제1 송신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전원 입력부, 무선전력 송신부, 신호 송신부, 제1 발광부 및 제1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램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송신 코일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 생성부, 상기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증폭부 및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제2 송신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교류 전력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정합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전원 입력부, 무선전력 송신부, 신호 송신부, 제1 발광부 및 제1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램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송신 코일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부,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상기 점등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제2 발광부 및 상기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부 및 상기 수신된 전력을 정류하여 정류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2 제어부로 제공하는 정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정류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 신호 수신부, 제2 발광부 및 제2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 램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 코일부는 상기 제2 플랜지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두 개의 분리된 램프 유닛이 결합하여 일체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되어 배선이 용이한 외측 램프로는 직접 유선으로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되, 외측 램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내측 램프로는 외측 램프가 무선으로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램프의 설치에 따른 와이어 배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설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2 램프 유닛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제1 램프 유닛의 제1 램프 하우징에 수용된 송신 코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2 램프 유닛의 제2 램프 하우징에 수용된 수신 코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설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차량(1)의 전방 또는 후방에 양측에 설치되어 차량(1)의 존재를 알리거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램프로서,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및 백업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테일 램프는 차량(1)의 차폭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차량(1)의 야간 주행시나 터널 주행시에 보행자나 다른 차량에게 차량(1)의 존재를 알릴 수 있으며, 브레이크 램프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차량(1)이 제동 상태임을 후방 차량에게 알릴 수 있고, 턴 시그널 램프는 일정 주기로 점멸되어 차량(1)의 선회 방향이나 차선 변경 방향을 다른 차량에게 알릴 수 있으며, 백업 램프는 후진시에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고, 보행자나 다른 차량에게 차량(1)이 후진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차량(1)에 고정된 제1 램프 유닛(100)과 제1 램프 유닛(100)에 인접한 위치와 이격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2 램프 유닛(200)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용 램프(10)는 제2 램프 유닛(200)이 제1 램프 유닛(100)에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제1 램프 유닛(100)에서 제공된 광과 제2 램프 유닛(200)에서 제공된 광에 의해 일체의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0)는 리어 램프일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램프(10)는 차체에 고정되는 제1 램프 유닛(100)과, 트렁크 도어(2)에 설치되어 트렁크 도어(2)의 개폐동작에 따라 제1 램프 유닛(100)에 인접한 위치와 이격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2 램프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용 램프(10)는 트렁크 도어의 경계(2)를 기준으로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램프 유닛(100) 및 트렁크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램프 유닛(200)으로 나뉘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램프 유닛(100)과 제2 램프 유닛(200)으로 전원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와이어 배선이 각각 필요하다. 여기서, 제1 램프 유닛(100)은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전원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배선이 용이한 반면, 제2 램프 유닛(200)은 트렁크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배선이 용이한 제1 램프 유닛(100)으로는 직접 유선으로 차량으로부터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되,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제2 램프 유닛(200)으로는 제1 램프 유닛(100)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제공된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는 리어 램프를 일례로 할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에 고정된 제1 램프 유닛 및 제1 램프 유닛과 인접한 위치와 이격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 램프 유닛이 서로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일체의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면 어느 것이든 적용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램프 유닛(100)은 차량(1)의 전원장치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는 유선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램프 유닛(100)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공된 전력을 이용하여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유닛을 제어함으로써, 점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램프 유닛(100)은 상기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점등 제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제2 램프 유닛(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램프 유닛(100)은 RF(Radio Frequency)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및 ZigBee 등 공지의 무선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제2 램프 유닛(200)으로 점등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램프 유닛(100)은 제2 램프 유닛(200)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램프 유닛(100)은 차량(1)의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이용해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램프 유닛(100)은 자기유도방식, 자기공진방식 및 방사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무선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제2 램프 유닛(200)은 제1 램프 유닛(100)으로부터 무선으로 점등 제어신호 및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램프 유닛(200)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램프 유닛(100)으로부터 무선으로 제공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유닛을 제어함으로써, 점등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램프 유닛(100)은 전원 입력부(110), 무선전력 송신부(120), 신호 송신부(130), 제1 발광부(140) 및 제1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램프 유닛(200)은 무선 전력 수신부(210), 신호 수신부(220), 제2 발광부(230) 및 제2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입력부(110)는 차량(1)의 전원장치로부터 제1 램프 유닛(100)이 동작하기 위한 전력이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입력부(110)는 차량(1)의 전원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입력부(110)는 상기 전력을 제2 램프 유닛(200)으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부(120)와, 무선신호 송신부(130) 및 제1 발광부(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부(150)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부(120)는 전원 입력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무선전력 수신부(210)로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부(120)는 자기유도방식 또는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해 무선전력 수신부(210)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유도방식의 경우, 무선전력 송신부(120)는 전원 입력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하여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정전압을 이용해 교류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발생시켜 무선전력 수신부(210)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자기공진방식의 경우, 무선전력 송신부(120)는 전원 입력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하여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정전압을 이용해 교류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공진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발생시켜 동일한 공진주파수로 설계된 무선전력 수신부(210)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신호 송신부(130)는 무선통신을 통해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점등 제어신호를 신호 수신부(22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송신부(13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및 ZigBee 등 공지의 무선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신호 수신부(220)로 상기 점등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발광부(140)는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및 백업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점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램프들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소자는 할로겐,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및 LED (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HID 또는 LED의 경우, 제1 제어부(150)는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듈(예컨대, Ballast 또는 LDM(LED Drive Modu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50)는 제1 램프 유닛(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50)는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점등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무선전력 송신부(120)를 제어하여 전원 입력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무선전력 수신부(210)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50)는 신호 송신부(130)를 제어하여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점등 제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신호 수신부(22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50)는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발광부(140)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점등 제어신호는 테일 램프 점등신호, 브레이크 램프 점등신호, 턴 시그널 램프 점등신호 및 백업 램프 점등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어부(150)는 제1 발광부(140)와 제2 발광부(230)가 동시에 동작해야 되는 경우, 무선전력 수신부(210) 및 신호 수신부(220)로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가 전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만큼 제1 발광부(140)의 동작을 지연시킴으로써, 제1 발광부(140)와 제2 발광부(230)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무선전력 송신부(12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자기유도방식 또는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해 무선전력 송신부(120)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유도방식의 경우,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무선전력 송신부(120)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자기공진방식의 경우,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무선전력 송신부(120)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자기장의 공진주파수와 동일한 공진주파수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무선전력 송신부(120)로부터 수신한 교류전력을 정류하여 제2 제어부(240)에 제공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220)는 신호 송신부(130)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점등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수신부(22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및 ZigBee 등 공지의 무선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신호 송신부(220)로부터 상기 점등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220)는 상기 수신한 점등 제어신호를 제2 제어부(240)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발광부(230)는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및 백업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점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램프들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소자는 할로겐,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및 LED (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 제어부(240)는 제2 램프 유닛(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40)는 신호 수신부(220)를 통해 점등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무선전력 수신부(210)를 통해 전송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른 제2 발광부(230)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점등 제어신호는 테일 램프 점등신호, 브레이크 램프 점등신호, 턴 시그널 램프 점등신호 및 백업 램프 점등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무선전력 송신부(120)는 정전압 생성부(122), 전력 증폭부(124) 및 제1 송신 코일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수신 코일부(212) 및 정류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전압 생성부(122)는 전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전력의 전압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전압 생성부(122)는 부스트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력 증폭부(124)는 정전압 생성부(122)에서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된 교류전력이 제1 송신 코일부(126)에 인가되면,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송신 코일부(126)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제1 송신 코일부(126)와 수신 코일부(212)가 커플링 되면, 수신 코일부(212)에 유도전류가 흐르는 방식으로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수신 코일부(212)는 제1 송신 코일부(126)에 의해 전달된 전력을 정류부(214)로 제공할 수 있다.
정류부(214)는 수신 코일부(212)로부터 전달된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정류부(214)는 상기 직류 전력을 제2 제어부(24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무선전력 송신부(120)는 정전압 생성부(122), 전력 증폭부(124), 정합 회로부(128) 및 제2 송신 코일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전압 생성부(122)는 전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전력의 전압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전압 생성부(122)는 부스트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력 증폭부(124)는 정전압 생성부(122)에서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정합 회로부(128)은 무선전력의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교류 전력의 임피던스를 정합할 수 있다.
제2 송신 코일부(129)는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공진 방식의 전력을 송신하도록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송신 코일부(129)는 기 설정된 공진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발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송신 코일부(129)는, 비록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교류전력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하는 유도코일과 상기 자기장에 의해 공진하면서 공명파를 발생하는 공진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코일부(212)는 제2 송신 코일부(129)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공진주파수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 코일부(212)는, 비록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 송신 코일부(212)의 공진코일에 의해 발생된 공명파를 수신하여 공진하는 공진코일과, 상기 공진코일로부터 전류가 유도되는 유도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코일부(212)는 제2 송신 코일부(126)에 의해 전달된 전력을 정류부(214)로 제공할 수 있다.
정류부(214)는 수신 코일부(212)로부터 전달된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정류부(214)는 상기 직류 전력을 제2 제어부(24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제2 램프 유닛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의 실시예는 기본적인 구성은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정류부(214)에서 정류된 직류전력의 전압을 변환하는 컨버터(216)를 더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컨버터(216)는 정류부(214)에 의해 정류된 직류전력이 입력되면, 상기 직류전력의 전압의 레벨을 제2 제어부(240)가 제2 발광부(230)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레벨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변환된 정류 전력은 제2 제어부(240)로 제공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제1 램프 유닛의 제1 램프 하우징에 수용된 송신 코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제2 램프 유닛의 제2 램프 하우징에 수용된 수신 코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유닛(100)은 전원 입력부(110), 무선전력 송신부(120), 무선신호 송신부(130), 제1 발광부(140) 및 제1 제어부(150)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램프 하우징(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램프 하우징(160)은 제2 램프 유닛(200)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제2 램프 유닛(200)과의 접촉면을 제공하기 위한 제1 플랜지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램프 유닛(100)은 무선전력 전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제1 송신 코일부(126) 또는 제2 송신 코일부(129)를 제1 플랜지부(162)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램프 유닛(200)은 무선전력 수신부(210), 무선신호 수신부(220), 제2 발광부(230) 및 제2 제어부(240)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 램프 하우징(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램프 하우징(250)은 제2 램프 유닛(200)이 제1 램프 유닛(100)과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제1 램프 유닛(100)과의 접촉면을 제공하기 위한 제2 플랜지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램프 유닛(200)은 무선전력 전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송신 코일부(212)를 제2 플랜지부(252)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 차량
2: 트렁크 도어
10: 차량용 램프
100: 제1 램프 유닛
110: 전원 입력부
120: 무선전력 송신부
130: 무선신호 송신부
140: 제1 발광부
150: 제1 제어부
160: 제1 램프 하우징
162: 제1 플랜지부
200: 제2 램프유닛
210: 무선전력 수신부
220: 무선신호 수신부
230: 제2 발광부
240: 제2 제어부
250: 제2 램프 하우징
252: 제2 플랜지부

Claims (16)

  1. 차량에 대해 고정된 제1 램프 유닛과, 상기 제1 램프 유닛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차량의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된 전력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하는 무선전력 송신부와, 차량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된 점등 제어신호를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하는 신호 송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부와,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점등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제2 발광부 및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수신된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을 상기 제2 램프 유닛으로 전송하는 차량용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 생성부;
    상기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증폭부; 및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제1 송신 코일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전원 입력부, 무선전력 송신부, 신호 송신부, 제1 발광부 및 제1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램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코일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차량용 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램프 유닛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차량용 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 생성부;
    상기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증폭부; 및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제2 송신 코일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교류 전력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정합 회로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전원 입력부, 무선전력 송신부, 신호 송신부, 제1 발광부 및 제1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램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코일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차량용 램프.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부; 및
    상기 수신된 전력을 정류하여 정류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2 제어부로 제공하는 정류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정류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 신호 수신부, 제2 발광부 및 제2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 램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코일부는 상기 제2 플랜지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차량용 램프.
KR1020160161993A 2016-11-30 2016-11-30 차량용 램프 KR102581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993A KR102581920B1 (ko) 2016-11-30 2016-11-30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993A KR102581920B1 (ko) 2016-11-30 2016-11-30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090A KR20180062090A (ko) 2018-06-08
KR102581920B1 true KR102581920B1 (ko) 2023-09-22

Family

ID=6260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993A KR102581920B1 (ko) 2016-11-30 2016-11-30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9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8940A1 (en) * 2021-03-08 2022-09-15 HELLA GmbH & Co. KGaA Lighting device, rear lamp,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EP4286219A1 (en) * 2022-06-01 2023-12-06 Hella Autotechnik Nova, s.r.o. Light element for a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9188A (ja) * 2009-12-28 2011-07-14 Hitachi Ltd 照明および表示システム
JP2013023077A (ja) * 2011-07-21 2013-02-04 Koito Mfg Co Ltd 車両用ランプの給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059B1 (ko) 2012-08-23 2013-12-18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차량용 리어 램프
JP5652482B2 (ja) * 2013-01-17 2015-01-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ランプ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9188A (ja) * 2009-12-28 2011-07-14 Hitachi Ltd 照明および表示システム
JP2013023077A (ja) * 2011-07-21 2013-02-04 Koito Mfg Co Ltd 車両用ランプの給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090A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6988B2 (en) Induction power transfer for auxiliary vehicle lights
JP2015177213A (ja) 照明光通信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光通信システム
KR102581920B1 (ko) 차량용 램프
KR101986309B1 (ko) 무선 급전되는 비상용 안전 삼각대
US9723699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ly powered lighting
KR101736766B1 (ko) Led조명등 셀프 디밍 장치
WO2018159540A1 (ja) 地上側給電装置
CN103929867A (zh) 照明灯控制方法
KR101232304B1 (ko)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조명용 전원 공급 제어장치
KR102581919B1 (ko) 차량용 램프
KR102617538B1 (ko) 차량용 램프
KR102617539B1 (ko) 차량용 램프
KR20190007832A (ko) 차량용 램프
JP2013239354A (ja) 照明装置
KR20150000098A (ko) Led 조명 제어 시스템
US10731837B2 (en) Lighting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US20150028757A1 (en) Single wire lighting driver control
KR20170077950A (ko) 무선전력전달 및 무선충전 기술이 적용된 무선 조명 시스템
US10057957B2 (en) Vehicle light
JPH0218129A (ja) 車輌用前照灯
KR200443046Y1 (ko) 디밍제어기능을 갖는 조명등 점멸기
KR100729337B1 (ko) 미등 및 정지등을 겸하는 정지 스위치 센서
JP6078918B2 (ja) 照明用非接触給電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CN211831267U (zh) 一种无人机探照灯灯控电路及灯控系统
JP2006163609A (ja) 発光標識システム及び無線電力送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