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986A -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986A
KR20180063986A KR1020160163985A KR20160163985A KR20180063986A KR 20180063986 A KR20180063986 A KR 20180063986A KR 1020160163985 A KR1020160163985 A KR 1020160163985A KR 20160163985 A KR20160163985 A KR 20160163985A KR 20180063986 A KR20180063986 A KR 20180063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supply
external device
contents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태
Original Assignee
김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태 filed Critical 김광태
Priority to KR1020160163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3986A/ko
Publication of KR20180063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2Velocity of flow; Quantity of flow, e.g. by varying fan speed, by modifying cross flow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은 외부 장치에 제공되고, 외부 장치의 내용물을 1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부; 및 외부 장치에 연결되고, 외부 장치의 내용물을 2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발열부에 의해 발열된 잔열을 외부 장치에 공급하는 잔열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Drying apparatus and management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건조 장치는 내용물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였었다.
이러한, 종래 건조 장치는 발열체를 이용하여 대류 전열 방법과 전도 전열 방법 및 방사 전열 방법등으로 내용물을 건조하였다.
그런데, 종래 건조 장치는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키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한 개선된 건조 장치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건조 장치를 구동시킬 때에, 전력의 효율성을 고려하면서 건조 작업의 편리함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된 건조 장치 관리 시스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건조 장치가 구동할 때에, 건조 장치의 현재 발열 온도값을 빠르게 인지하여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켜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기 위한 개선된 건조 장치 관리 시스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건조 장치가 구동할 때에, 건조 장치의 현재 발열 온도값을 빠르게 인지하여 높은 발열에 의한 화재 발생 위험 상황이면, 해당 장소로 빠르게 출동하여 작업자의 인명 피해를 억제시키기 위한 개선된 건조 장치 관리 시스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가 있는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력의 효율성을 고려하면서 건조 작업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는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작업자의 인명 피해를 억제시킬 수가 있는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 장치에 제공되고, 외부 장치의 내용물을 1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부; 및 외부 장치에 연결되고, 외부 장치의 내용물을 2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발열부에 의해 발열된 잔열을 외부 장치에 공급하는 잔열 공급부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발열부에 더 연결되고, 발열부의 발열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키면서, 발열된 잔열을 외부 장치에 빠르게 공급하도록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체 유입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 장치에 제공되고 외부 장치의 내용물을 1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부, 외부 장치에 연결되고 외부 장치의 내용물을 2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발열부에 의해 발열된 잔열을 외부 장치에 공급하는 잔열 공급부, 발열부의 일부분에 제공되어 현재 발열 온도값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 및 감지부와 통신을 수행하고, 감지한 현재 발열 온도값을 식별시키는 식별 장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식별 장치는 감지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 발열 온도값을 식별시키고, 식별된 현재 발열 온도값을 기초로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 공급 오프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 오프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전원 공급 장치에 더 전달하거나,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 공급 계속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 계속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전원 공급 장치에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은,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은, 전력의 효율성을 고려하면서 건조 작업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은,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은, 작업자의 인명 피해를 억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가 외부 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일예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건조 장치와 외부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외부 장치를 X~X'영역으로 잘라 일예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회전 샤프트 및 제 1 회전 부재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제 2 회전 부재를 일예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제 2 회전 부재를 다른 일예로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제 1 회전 부재에 제 3 회전 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3에 도시한 몸체에 배출 개폐부가 장착된 상태를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가 외부 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다른 일예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건조 장치의 관리 시스템을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건조 장치의 관리 시스템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가 외부 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일예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건조 장치와 외부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외부 장치를 X~X'영역으로 잘라 일예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회전 샤프트 및 제 1 회전 부재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제 2 회전 부재를 일예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제 2 회전 부재를 다른 일예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제 1 회전 부재에 제 3 회전 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한 몸체에 배출 개폐부가 장착된 상태를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가 외부 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다른 일예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건조 장치의 관리 시스템을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건조 장치의 관리 시스템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는 발열부(202) 및 잔열 공급부(204)를 포함한다.
발열부(202)는 외부 장치(100)에 제공되고, 외부 장치(100)의 내용물을 1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전원 공급 장치(10)로부터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한다.
이때, 발열부(202)는 몸체(202a) 및 히팅 부재(202b)를 포함할 수가 있다.
몸체(202a)는 외부 장치(100)를 감싸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몸체(202a)는 에너지 절감과 시간 단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유전 발열 도료와 무기 발열재 및 무기 발열체와 탄화 규소 발열체 및 단열재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히팅 부재(202b)는 몸체(202a)의 내부에 제공되고, 외부 장치(100)의 내용물을 1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전원 공급 장치(10)로부터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한다.
이때, 히팅 부재(202b)는 판 형태의 히터와 봉 형태의 히터 및 코일 형태의 히터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잔열 공급부(204)는 외부 장치(100)에 연결되고, 외부 장치(100)의 내용물을 2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발열부(202)에 의해 발열된 잔열을 외부 장치(100)에 공급한다.
이때, 잔열 공급부(204)는 외부 장치(100)에 연결될 수가 있고, 외부 장치(100)의 내용물을 2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발열부(202)에 의해 발열된 잔열을 외부 장치(100)에 공급하는 잔열 공급관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는 유체 유입부(206)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유체 유입부(206)는 발열부(202)에 더 연결될 수가 있고, 발열부(202)의 발열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키면서, 발열된 잔열을 외부 장치(100)에 빠르게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 장치(10)로부터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유체를 유입시킬 수가 있다.
이때, 유체 유입부(206)는 유체 유입관(206a) 및 송풍기(206b)를 포함할 수가 있다.
유체 유입관(206a)은 발열부(202)에 연결되어 유체를 유입시킬 수가 있다.
이때, 유체는 공기를 포함할 수가 있고, 발열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키면서 발열된 잔열을 외부 장치(100)에 빠르게 공급하기 위한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가 있다.
송풍기(206b)는 유체 유입관(206a)에 연결될 수가 있고, 발열부(202)의 발열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키면서, 발열된 잔열을 외부 장치(100)에 빠르게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 장치(10)로부터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동작하여 유체를 유체 유입관(206a)에 유입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는 발열된 유체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208)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배출부(208)는 배출공을 포함할 수가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발열된 유체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다른 배출 수단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배출부(208)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연결관인 연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유체 유입관(206a)으로 발열된 유체의 증기를 다시 공급하여 발열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는 내용물을 발효시키거나 숙성시키기 위한 장치일 수도 있고, 외부 장치(100)는 교반 장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일예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장치(100)는 몸체(102)와 회전 발생부(104) 및 회전부(106)를 포함할 수가 있다.
회전 발생부(104)는 몸체(102)에 연결되어 회전 동작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이때, 회전 발생부(1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회전부(106)는 회전 발생부(104)의 회전 동작에 의해 내용물을 몸체(102)의 바닥면까지 긁어 교반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내용물은 음식물 쓰레기일 수가 있고, 발효 숙성된 물체일 수가 있으며, 교반시키기 위한 모든 대상체일 수가 있다.
이때, 회전부(106)는 회전 샤프트(106a)와 다수의 제 1 회전 부재(106b) 및 다수의 제 2 회전 부재(106c)를 포함할 수가 있다.
회전 샤프트(106a)는 회전 발생부(104)와 연결될 수가 있고, 다수의 제 1 회전 부재(106b)는 회전 샤프트(106a)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다수의 제 2 회전 부재(106c)는 다수의 제 1 회전 부재(106b)의 일부분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다수의 제 1 회전 부재(106b)의 회전 동작에 의해 내용물을 몸체(102)의 바닥면까지 긁어 교반시킬 수가 있다.
이때, 다수의 제 2 회전 부재(106c)는 내용물을 몸체(102)의 바닥면까지 긁어 교반시키면서 배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일예로, 다수의 제 2 회전 부재(106c)는 내용물을 몸체(102)의 바닥면까지 긁어 교반시키면서 배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사선 형태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다수의 제 2 회전 부재(106c)는 몸체(102)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분(P)이 넓게 제공될 수가 있다.
일예로, 다수의 제 2 회전 부재(106c)는 몸체(102)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분(P)이 요철 형태(A)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반 장치(100)의 회전부(106)는 제 3 회전 부재(106d)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제 3 회전 부재(106d)는 다수의 제 1 회전 부재(106b)의 일부분에 제공되어 바닥면까지 더 긁어 교반된 내용물을 배출 방향으로 유도할 수가 있다.
이때, 제 3 회전 부재(106d)는 다수의 제 1 회전 부재(106b)의 일부분에 제공되어 바닥면까지 더 긁어 교반된 내용물을 배출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사선 형태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일예로, 제 3 회전 부재(106d)는 몸체(102)의 가장자리 부분에 근접한 제 1 회전 부재(106b)의 일부분에 제공되어 바닥면까지 더 긁어 교반된 내용물을 이후에 진술할 배출 개폐부(107)로 유도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 3 회전 부재(106d)는 몸체(102)의 가장자리 부분에 근접한 제 1 회전 부재(106b)의 일부분에 제공되어 바닥면까지 더 긁어 교반된 내용물을 이후에 진술할 배출 개폐부(107)로 유도하도록 사선 형태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 3 회전 부재(106d)는 몸체(102)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분(S)이 넓게 제공될 수가 있고, 몸체(102)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분(S)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요철 형태(미도시)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일예로, 제 3 회전 부재(106d)는 이후에 진술할 배출 개폐부(107)의 근접 벽면과 바닥면까지 더 긁어 교반된 내용물을 이후에 진술할 배출 개폐부(107)로 유도하도록 날개 형태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반 장치(100)는 배출 개폐부(107)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배출 개폐부(107)는 몸체(102)의 외측 또는 내측에 제공되어 바닥면까지 긁어 교반된 내용물을 이후에 진술할 외부 장치(미도시)에 배출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배출 개폐부(107)는 개폐 동작 부재(107a)와 이동 부재(107b) 및 개폐 부재(107c)와 가이드 부재(107d)를 포함할 수가 있다.
개폐 동작 부재(107a)는 몸체(102)의 외측 또는 내측에 제공되고 개폐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전달할 수가 있으며, 이동 부재(107b)는 개폐 동작 부재(107a)에 연결되고 개폐 동작 부재(107a)의 동력 전달에 의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수직 운동할 수가 있다.
일예로, 개폐 동작 부재(107a)는 통상적인 모터를 포함할 수가 있고, 이동 부재(107b)는 통상적인 모터 동작에 의한 개폐 동작 부재(107a)의 폐쇄 동작시에 길이를 늘리거나 개폐 동작 부재(107a)의 개방 동작시에 길이를 줄일 수 있는 통상적인 길이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가 있으며, 이동 부재(107b)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적인 모터 동작에 의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수직 운동할 수가 있는 통상적인 모든 이동 수단이면 가능하다.
개폐 부재(107c)는 이동 부재(107b)와 연결되고 개폐 동작 부재(107a)의 개폐 동작과 이동 부재(107b)의 이동에 의해 바닥면까지 긁어 교반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가 있고, 가이드 부재(107d)는 개폐 부재(107c)를 감싸도록 가이드하여 바닥면까지 긁어 교반된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배출시킬 수가 있다.
일예로, 개폐 부재(107c)는 개폐 동작 부재(107a)의 폐쇄 동작시에 이동 부재(107b)의 길이 조절에 의해 하방향으로 수직 운동하거나 개폐 동작 부재(107a)의 개방 동작시에 이동 부재(107b)의 길이 조절에 의해 상방향으로 수직 운동할 수가 있는 통상적인 개폐 수단을 포함할 수가 있고, 가이드 부재(107d)는 개폐 부재(107c)를 감싸 가이드할 수가 있는 통상적인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가이드 수단을 포함할 수가 있다.
한편, 교반 장치(100)의 몸체(10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외부 장치(미도시)에 기울어지게 설치되거나, 기울어진 형태(미도시)로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서, 교반 장치(100)의 몸체(10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위쪽으로 밀어 올리면서 내용물을 배출할 때에, 내용물의 효율적인 배출을 위해 받이용 그릇등의 형태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다른 외부 장치(미도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교반 장치(100)에 의해 교반되어 배출된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를 이용하여 건조 장치(200)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을 살펴보면 다음 도 9 내지 도 11과 같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의 관리 시스템(1000)은 건조 장치(200) 및 식별 장치(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건조 장치(200)는 발열부(202)의 일부분에 제공되어 현재 발열 온도값을 감지하는 감지부(210)를 더 포함할 수가 있고, 감지부(2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현재 발열 온도값을 감지하기 위한 열감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 장치(300)는 감지부(210)와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고, 감지부(210)에서 감지한 현재 발열 온도값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일예로, 식별 장치(3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감지부(210)와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가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DP1)을 통해 현재 발열 온도값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패널(DP1)에 의해 식별된 현재 발열 온도값을 기초로 전원 공급 장치(10)의 전원 공급 오프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 오프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전원 공급 장치(10)에 더 전달하거나, 전원 공급 장치(10)의 전원 공급 계속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 계속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전원 공급 장치(10)에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일예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패널(DP1)에 의해 식별된 현재 발열 온도값을 기초로 전원 공급 장치(10)의 전원 공급 오프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 오프 입력 신호를 전원 공급 오프 동작 버튼(B1)의 터치 동작으로 발생하여 전원 공급 장치(10)에 더 전달하거나, 전원 공급 장치(10)의 전원 공급 계속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 계속 입력 신호를 전원 공급 계속 동작 버튼(B2)의 터치 동작으로 발생하여 전원 공급 장치(10)에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장치(200)의 감지부(210)는 이미 설정된 고유 번호를 더 포함할 수가 있고, 현재 발열 온도값이 화재 방지를 위해 설정된 기준 발열 온도값 범위보다 큰 제 1 상태인지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일예로, 식별 장치(3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감지부(210)와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가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감지부(210)에서 제 1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고유 번호를 소유한 해당 감지부(210)로 출동하도록 현재 발열 온도값이 화재 방지를 위해 설정된 기준 발열 온도값 범위보다 큰 상황임을 디스플레이 패널(DP2)을 통해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관리자 차량(미도시)과 유지보수 차량(미도시) 및 소방차(미도시)와 응급차(미도시)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된 단말기일 수가 있고, 관리자와 유지보수자 및 소방대원과 응급 구조사중 적어도 하나가 소유한 단말기일 수가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Bluetooth 모듈(미도시)과 Wi-Fi 모듈(미도시) 및 Zigbee 모듈(미도시)과 Z-Wave 모듈(미도시) 및 Wibro 모듈(미도시)과 Wi-Max 모듈(미도시) 및 LTE 모듈(미도시)과 LTE Advanced 모듈(미도시) 및 Li-Fi 모듈(미도시)과 Beacon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감지부(210)와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가 있고,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마트폰(미도시)일 수가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PDA(미도시)와 휴대폰(미도시) 및 태블릿 PC(미도시)와 노트북(미도시)중 어느 하나일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는 발열부(202) 및 잔열 공급부(204)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는 외부 장치(100)의 내용물을 1차적으로 건조시키고, 발열된 잔열을 외부 장치(100)에 공급하여 외부 장치(100)의 내용물을 2차적으로 건조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는 내용물을 1차 건조와 2차 건조시킬 수가 있으므로,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는 유체 유입부(206)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는 발열부(202)의 발열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키면서, 발열된 잔열을 외부 장치(100)에 빠르게 공급할 수가 있으므로, 내용물을 더욱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 및 그 관리 시스템(1000)은 건조 장치(200) 및 식별 장치(30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 및 그 관리 시스템(1000)은 디스플레이 패널(DP1)에 의해 식별된 현재 발열 온도값을 기초로 전원 공급 장치(10)의 전원 공급 오프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 오프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전원 공급 장치(10)에 더 전달하거나, 전원 공급 장치(10)의 전원 공급 계속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 계속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전원 공급 장치(10)에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 및 그 관리 시스템(1000)은 원격으로 전원 공급 장치(10)의 전원 공급 동작을 제어할 수가 있으므로, 전력의 효율성을 고려하면서 건조 작업의 편리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 및 그 관리 시스템(1000)은 건조 장치(200) 및 식별 장치(30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 및 그 관리 시스템(1000)은 감지부(210)에서 현재 발열 온도값이 화재 방지를 위해 설정된 기준 발열 온도값 범위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면, 고유 번호를 소유한 해당 감지부(210)로 출동하도록 현재 발열 온도값이 화재 방지를 위해 설정된 기준 발열 온도값 범위보다 큰 상황임을 디스플레이 패널(DP2)을 통해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 및 그 관리 시스템(1000)은 원격으로 현재 발열 온도값이 큰 상황임을 인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 및 그 관리 시스템(1000)은 초기 대응을 빠르게 할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고, 높은 발열에 의한 화재 발생 위험 상황이면 해당 감지부(210)의 장소로 빠르게 출동할 수가 있어 작업자의 인명 피해를 억제시킬 수가 있다.

Claims (4)

  1. 외부 장치에 제공되고, 상기 외부 장치의 내용물을 1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부; 및
    상기 외부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장치의 내용물을 2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상기 발열부에 의해 발열된 잔열을 상기 외부 장치에 공급하는 잔열 공급부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에 더 연결되고, 상기 발열부의 발열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키면서, 상기 발열된 잔열을 상기 외부 장치에 빠르게 공급하도록 상기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체 유입부를 더 포함하는 건조 장치.
  3. 외부 장치에 제공되고 상기 외부 장치의 내용물을 1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부, 상기 외부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장치의 내용물을 2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상기 발열부에 의해 발열된 잔열을 상기 외부 장치에 공급하는 잔열 공급부, 상기 발열부의 일부분에 제공되어 현재 발열 온도값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 및
    상기 감지부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감지한 현재 발열 온도값을 식별시키는 식별 장치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장치는,
    상기 감지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현재 발열 온도값을 식별시키고, 상기 식별된 현재 발열 온도값을 기초로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 공급 오프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 오프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원 공급 장치에 더 전달하거나,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 공급 계속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 계속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원 공급 장치에 더 전달하는 건조 장치 관리 시스템.
KR1020160163985A 2016-12-03 2016-12-03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KR20180063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985A KR20180063986A (ko) 2016-12-03 2016-12-03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985A KR20180063986A (ko) 2016-12-03 2016-12-03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986A true KR20180063986A (ko) 2018-06-14

Family

ID=6262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985A KR20180063986A (ko) 2016-12-03 2016-12-03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398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039U (ko) * 2007-04-26 2008-10-30 주식회사 무경 전기온풍기
KR101183033B1 (ko) * 2010-12-31 2012-09-14 (재)한국섬유기계연구소 엘이디를 이용한 천연염색 건조장치의 폐열회수장치
KR101224465B1 (ko) * 2010-12-31 2013-01-21 신한화섬(주)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천연염색원단 건조장치
KR101646224B1 (ko) * 2015-06-11 2016-08-05 신흥기업 주식회사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039U (ko) * 2007-04-26 2008-10-30 주식회사 무경 전기온풍기
KR101183033B1 (ko) * 2010-12-31 2012-09-14 (재)한국섬유기계연구소 엘이디를 이용한 천연염색 건조장치의 폐열회수장치
KR101224465B1 (ko) * 2010-12-31 2013-01-21 신한화섬(주)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천연염색원단 건조장치
KR101646224B1 (ko) * 2015-06-11 2016-08-05 신흥기업 주식회사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572167U (zh) 一种微波气流干燥仪
KR20180063986A (ko)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CN204574743U (zh) 一种多功能烘干炉
CN109349933B (zh) 一种智能加热装置
CN103225943A (zh) 热风循环烘箱
CN202085679U (zh) 一种解冻机
CN205980673U (zh) 板连续烘干设备
CN109504602A (zh) 发酵箱
KR101621474B1 (ko) 해태의 화입 건조장치
CN205403342U (zh) 具有终端控制结构的烘箱
CN105091326A (zh) 智能型工业热风机
CN105423713A (zh) 具有终端控制结构的烘箱及其工作方法
CN204757034U (zh) 一种家用智能烘烤箱
KR20180134828A (ko)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CN202274727U (zh) 多层隧道式微波中药丸干燥机
CN204388532U (zh) 杂粮烘干塔
KR20180066797A (ko)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CN209243048U (zh) 发酵箱
CN215909586U (zh) 一种饲料加工用原材料烘干装置
CN205448292U (zh) 智能型工业热风机
CN213713798U (zh) 一种盐酸胍高效率回转烘干装置
KR100461461B1 (ko) 증숙 및 건조장치
CN209857527U (zh) 热风式烘片仪
CN109774009A (zh) 一种用于烘干装置的控制柜
CN213456368U (zh) 一种用于食品检测的解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