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797A -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797A
KR20180066797A KR1020160168036A KR20160168036A KR20180066797A KR 20180066797 A KR20180066797 A KR 20180066797A KR 1020160168036 A KR1020160168036 A KR 1020160168036A KR 20160168036 A KR20160168036 A KR 20160168036A KR 20180066797 A KR20180066797 A KR 20180066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purifier
contaminated
vap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태
Original Assignee
김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태 filed Critical 김광태
Priority to KR1020160168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6797A/ko
Publication of KR20180066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346Controlling the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은 외부 장치에 연결된 본체; 본체의 내부 일측에 제공되고,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오염된 증기를 일정 시간 동안 지체시키면서 이동시키는 증기 공급부; 증기 공급부에 연결되고, 증기 공급부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지체되면서 이동되는 오염된 증기를 정화시키는 증기 정화부; 및 본체에 연결되고, 증기 정화부에 의해 정화된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Purification apparatus and management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정화 장치는 임의의 본체안에서 오염된 증기를 정화시킨 후, 정화된 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였었다.
이러한, 정화 장치는 물을 이용하여 오염된 증기를 정화시켰다.
그런데, 종래 정화 장치는 오염된 증기를 일정 시간 동안 지체시키면서 이동시키는데에 한계가 있었으므로, 오염된 증기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키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오염된 증기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개선된 정화 장치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정화 장치를 구동시킬 때에, 정화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된 정화 장치 관리 시스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정화 장치를 구동시킬 때에, 전력의 효율성을 고려하면서 정화 작업의 편리함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된 정화 장치 관리 시스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정화 장치가 구동할 때에, 정화 장치의 정화 동작 상태를 빠르게 인지하여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켜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기 위한 개선된 정화 장치 관리 시스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오염된 증기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가 있는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정화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는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력의 효율성을 고려하면서 정화 작업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는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 장치에 연결된 본체; 본체의 내부 일측에 제공되고,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오염된 증기를 일정 시간 동안 지체시키면서 이동시키는 증기 공급부; 증기 공급부에 연결되고, 증기 공급부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지체되면서 이동되는 오염된 증기를 정화시키는 증기 정화부; 및 본체에 연결되고, 증기 정화부에 의해 정화된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 배출부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증기 공급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오염된 증기를 일정 시간 동안 지체시키면서 이동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 장치에 연결된 본체, 본체의 내부 일측에 제공되고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오염된 증기를 일정 시간 동안 지체시키면서 이동시키는 증기 공급부, 증기 공급부에 연결되고 증기 공급부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지체되면서 이동되는 오염된 증기를 정화시키는 증기 정화부, 본체에 연결되고 증기 정화부에 의해 정화된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 배출부, 본체의 내부 타측에 제공되어 현재 오염된 증기값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정화 장치; 및 감지부와 통신을 수행하고, 감지한 현재 오염된 증기값을 식별시키는 식별 장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식별 장치는 감지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 오염된 증기값을 식별시키고, 식별된 현재 오염된 증기값을 기초로 증기 정화부의 정화 오프 동작을 위한 정화 오프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증기 정화부에 더 전달하거나, 증기 정화부의 정화 계속 동작을 위한 정화 계속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증기 정화부에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은, 오염된 증기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은, 정화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은, 전력의 효율성을 고려하면서 정화 작업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은,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증기 공급부 및 증기 정화부와 증기 배출부를 이용하여 오염된 증기를 정화시키고, 정화된 증기를 배출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 1 증기 보조 정화부를 이용하여 오염된 증기를 더 정화시키는 과정과, 수용된 유체를 정화용 유체 공급관 및 모터 순환 펌프에 의해 분사 부재에 공급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증기 배출부와 증기 유입부 및 증기 공급부중 적어도 하나에 제 2 증기 보조 정화부가 제공되어 오염된 증기를 더 정화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본체의 하부에 제 3 증기 보조 정화부 및 제 4 증기 보조 정화부가 제공되어 오염된 증기를 더 정화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본체의 하부에 제 3 증기 보조 정화부 및 제 4 증기 보조 정화부가 제공되어 오염된 증기를 더 정화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7은 도 1과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정화 장치의 증기 유입부에 연결된 건조 장치가 장착된 교반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건조 장치와 교반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한 교반 장치를 X~X'영역으로 잘라 일예로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회전 샤프트 및 제 1 회전 부재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제 2 회전 부재를 일예로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도 9에 도시한 제 2 회전 부재를 다른 일예로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도 9에 도시한 제 1 회전 부재에 제 3 회전 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도 9에 도시한 몸체에 배출 개폐부가 장착된 상태를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를 다른 일예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정화 장치의 관리 시스템을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7은 도 15에 도시한 정화 장치의 관리 시스템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증기 공급부 및 증기 정화부와 증기 배출부를 이용하여 오염된 증기를 정화시키고, 정화된 증기를 배출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 1 증기 보조 정화부를 이용하여 오염된 증기를 더 정화시키는 과정과, 수용된 유체를 정화용 유체 공급관 및 모터 순환 펌프에 의해 분사 부재에 공급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증기 배출부와 증기 유입부 및 증기 공급부중 적어도 하나에 제 2 증기 보조 정화부가 제공되어 오염된 증기를 더 정화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본체의 하부에 제 3 증기 보조 정화부 및 제 4 증기 보조 정화부가 제공되어 오염된 증기를 더 정화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본체의 하부에 제 3 증기 보조 정화부 및 제 4 증기 보조 정화부가 제공되어 오염된 증기를 더 정화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과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정화 장치의 증기 유입부에 연결된 건조 장치가 장착된 교반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건조 장치와 교반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교반 장치를 X~X'영역으로 잘라 일예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회전 샤프트 및 제 1 회전 부재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제 2 회전 부재를 일예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9에 도시한 제 2 회전 부재를 다른 일예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한 제 1 회전 부재에 제 3 회전 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9에 도시한 몸체에 배출 개폐부가 장착된 상태를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를 다른 일예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정화 장치의 관리 시스템을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한 정화 장치의 관리 시스템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300)는 본체(302)와 증기 공급부(304) 및 증기 정화부(306)와 증기 배출부(308)를 포함한다.
본체(302)는 외부 장치(100)에 연결되고, 증기 공급부(304)는 본체(302)의 내부 일측에 제공되며 외부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오염된 증기를 일정 시간 동안 지체시키면서 이동시킨다.
여기서, 증기 공급부(304)는 외부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오염된 증기를 일정 시간 동안 지체시키면서 이동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격벽(304a)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오염된 증기는 음식물 쓰레기 냄새, 음식물 쓰레기 연기, 발효 숙성된 냄새, 발효 숙성된 연기, 발효 숙성된 악취, 음식물 냄새, 고기굽는 연기, 산업용 유독가스, 공장굴뚝 연기, 축산농가악취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격벽(304a)은 오염된 증기량과 지체 시간 및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형상을 가변하여 제공할 수가 있다.
일예로, 적어도 하나의 격벽(304a)은 오염된 증기량과 지체 시간 및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요철 형태와 기울어진 형태 및 차등적인 이격 거리로 배치된 형태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가변되어 제공될 수가 있다.
증기 정화부(306)는 증기 공급부(304)에 연결되고, 증기 공급부(304)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지체되면서 이동되는 오염된 증기를 정화시킨다.
이때, 증기 정화부(306)는 유체 공급 부재(306a)와 적어도 하나의 분사 부재(306b)를 포함할 수가 있다.
유체 공급 부재(306a)는 본체(302)에 연결될 수가 있고, 유체를 공급할 수가 있다.
이때, 유체 공급 부재(306a)는 모터 순환 펌프(306a-1) 및 정화용 유체 공급관(306a-3)을 포함할 수가 있다.
모터 순환 펌프(306a-1)는 본체(302)에 연결될 수가 있고, 본체(302)에 수용된 유체를 펌핑 동작할 수가 있다.
여기서, 모터 순환 펌프(306a-1)는 본체(302)의 수용선(L)까지 수용된 유체를 펌핑 동작할 수가 있다.
이때, 유체는 물을 포함할 수가 있고, 오염된 증기를 빠르게 정화시키기 위한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정화용 유체 공급관(306a-3)은 모터 순환 펌프(306a-1)에 연결될 수가 있고, 모터 순환 펌프(306a-1)의 펌핑 동작에 의해 토출되는 유체를 이후에 진술할 적어도 하나의 분사 부재(306b)에 공급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분사 부재(306b)는 유체 공급 부재(306a)와 연결될 수가 있고, 유체 공급 부재(306a)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증기 공급부(304)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지체되면서 이동되는 오염된 증기를 정화시킬 수가 있다.
일예로, 적어도 하나의 분사 부재(306b)는 정화용 유체 공급관(306a-3)과 연결될 수가 있고, 정화용 유체 공급관(306a-3)으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증기 공급부(304)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지체되면서 이동되는 오염된 증기를 정화시킬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분사 부재(306b)는 유체 공급 부재(306a)와 연결될 수가 있고, 증기 공급부(304)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지체되면서 이동되는 오염된 증기를 정화시키도록 유체 공급 부재(306a)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분사시키는 분사 노즐(306b-1)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일예로, 적어도 하나의 분사 부재(306b)는 정화용 유체 공급관(306a-3)과 연결될 수가 있고, 정화용 유체 공급관(306a-3)으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증기 공급부(304)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지체되면서 이동되는 오염된 증기를 정화시키도록 유체 공급 부재(306a)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분사시키는 분사 노즐(306b-1)을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증기 정화부(306)는 목적과 장소에 따라 유체 공급 부재(306a)와 적어도 하나의 분사 부재(306b)의 형상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가 있다.
일예로, 유체 공급 부재(306a)의 정화용 유체 공급관(306a-3)은 목적과 장소에 따라 S자형, 꽈리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가 있다.
증기 배출부(308)는 본체(302)에 연결되고, 증기 정화부(306)에 의해 정화된 증기를 배출한다.
이때, 증기 배출부(308)는 본체(302)에 연결될 수가 있고, 증기 정화부(306)에 의해 정화된 증기를 배출하도록 증기 배출공 또는 증기 배출관(308a)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300)는 냉각부(310)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냉각부(310)는 본체(302)에 연결될 수가 있고, 오염된 증기를 냉각시킬 수가 있다.
이때, 냉각부(310)는 프레온 냉매를 이용한 냉각판(310a)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냉각부(310)는 증기 공급부(304)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지체되면서 이동되는 오염된 증기를 빠르게 정화시키도록 냉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300)는 증기 보조 정화부(312)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증기 보조 정화부(312)는 제 1 증기 보조 정화부(312a) 및 제 2 증기 보조 정화부(312b)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증기 보조 정화부(312a)는 본체(302)를 커버하는 커버(311)에 증기 보조 정화를 위한 증기 정화용 유입공 또는 증기 정화용 유입관으로 제공되어 오염된 증기를 더 정화시킬 수가 있다.
이때, 증기 정화용 유입공 또는 증기 정화용 유입관은 물과 탈취제 및 방향제중 적어도 하나를 유입시킬 수가 있다.
탈취제는 EM(Effective Micro-organisms) 미생물, 피톤치드원액, 활성탄, 실리카겔, 활성 백토, 과망간산 칼륨 수용액, 표백분 수용액, 포르말린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EM 미생물은 효모균, 유산균, 광합성균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고, 방향제는 아로마 방향제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2 증기 보조 정화부(312b)는 증기 배출부(308)와 증기 유입부(301) 및 증기 공급부(304)중 적어도 하나에 증기 보조 정화를 위한 연기 제거 필터로 제공되어 오염된 증기를 더 정화시킬 수가 있다.
이때, 연기 제거 필터는 카본 필터와 백금 필터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300)는 제 3 증기 보조 정화부(313) 및 제 4 증기 보조 정화부(315)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제 3 증기 보조 정화부(313)는 본체(302)의 하부에 제 1 산소 발생 수단으로 제공되어 본체(302)의 수용선(L)까지 수용된 유체를 휘저어 산소를 발생시킴으로써, 오염된 증기를 더 정화시킬 수가 있다.
제 4 증기 보조 정화부(315)는 본체(302)의 하부에 제 1 산소 발생 수단과 이격되도록 제공되어 본체(302)의 수용선(L)까지 수용된 유체를 휘저어 산소를 발생시킴으로써, 오염된 증기를 더 정화시킬 수가 있다.
이때, 제 1 산소 발생 수단은 제 1 구동축(313a)과 제 1 구동 기어(313b) 및 제 1 산소 발생 부재(313c)를 포함할 수가 있고, 제 2 산소 발생 수단은 제 2 구동축(315a)과 제 2 구동 기어(315b) 및 제 2 산소 발생 부재(315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구동축(313a)은 본체(302)의 하부에 제공될 수가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산소 발생용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제 1 산소 발생용 모터(미도시)의 회전 동작에 의해 회전할 수가 있다.
제 1 구동 기어(313b)는 이후에 진술할 제 2 구동 기어(315b)와 맞물리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산소 발생 부재(313c)는 제 1 구동축(313a)에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제공되어 제 1 산소 발생용 모터(미도시)의 회전 동작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가 있다.
제 2 구동축(315a)은 본체(302)의 하부에 제 1 구동축(313a)과 서로 이격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2 산소 발생용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제 2 산소 발생용 모터(미도시)의 회전 동작에 의해 회전할 수가 있다.
제 2 구동 기어(315b)는 제 1 구동 기어(313b)와 맞물리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제 2 산소 발생 부재(315c)는 제 2 구동축(315a)에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제 1 산소 발생 부재(313c)와 교번적으로 제공되어 제 2 산소 발생용 모터(미도시)의 회전 동작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구동 기어(313b)의 회전 동작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산소 발생 부재(313c) 및 제 2 산소 발생 부재(315c)는 증기 공급부(304)의 격벽(304a) 사이마다 교번적으로 제공될 수가 있고, 휠 브러쉬 형태의 물레로 제공될 수가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수용된 유체를 휘저어 산소를 발생시킴으로써 오염된 증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모든 산소 발생수단이면 가능하다.
한편, 외부 장치(100, 200)는 건조 장치(200)가 장착된 교반 장치(100)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본체(302)는 건조 장치(200)의 배출부(208)와 증기 유입부(301)를 통해 연결될 수가 있고, 증기 유입부(301)는 건조 장치(200)의 배출부(208)로부터 공급되는 발열된 유체의 증기에 해당하는 오염된 증기를 유입하도록 증기 유입공 또는 증기 유입관(301a)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일예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장치(200)는 발열부(202) 및 잔열 공급부(204)를 포함할 수가 있다.
발열부(202)는 교반 장치(100)에 제공될 수가 있고, 교반 장치(100)의 내용물을 1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전원 공급 장치(10)로부터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할 수가 있다.
이때, 발열부(202)는 몸체(202a) 및 히팅 부재(202b)를 포함할 수가 있다.
몸체(202a)는 교반 장치(100)를 감싸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몸체(202a)는 에너지 절감과 시간 단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유전 발열 도료와 무기 발열재 및 무기 발열체와 탄화 규소 발열체 및 단열재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히팅 부재(202b)는 몸체(202a)의 내부에 제공될 수가 있고, 교반 장치(100)의 내용물을 1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전원 공급 장치(10)로부터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할 수가 있다.
이때, 히팅 부재(202b)는 판 형태의 히터와 봉 형태의 히터 및 코일 형태의 히터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잔열 공급부(204)는 교반 장치(100)에 연결될 수가 있고, 교반 장치(100)의 내용물을 2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발열부(202)에 의해 발열된 잔열을 교반 장치(100)에 공급할 수가 있다.
이때, 잔열 공급부(204)는 교반 장치(100)에 연결될 수가 있고, 교반 장치(100)의 내용물을 2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발열부(202)에 의해 발열된 잔열을 외부 장치(100)에 공급하는 잔열 공급관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건조 장치(200)는 유체 유입부(206)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유체 유입부(206)는 발열부(202)에 더 연결될 수가 있고, 발열부(202)의 발열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키면서, 발열된 잔열을 교반 장치(100)에 빠르게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 장치(10)로부터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유체를 유입시킬 수가 있다.
이때, 유체 유입부(206)는 유체 유입관(206a) 및 송풍기(206b)를 포함할 수가 있다.
유체 유입관(206a)은 발열부(202)에 연결되어 유체를 유입시킬 수가 있다.
이때, 유체는 공기를 포함할 수가 있고, 발열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키면서 발열된 잔열을 교반 장치(100)에 빠르게 공급하기 위한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가 있다.
송풍기(206b)는 유체 유입관(206a)에 연결될 수가 있고, 발열부(202)의 발열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키면서, 발열된 잔열을 외부 장치(100)에 빠르게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 장치(10)로부터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동작하여 유체를 유체 유입관(206a)에 유입시킬 수가 있다.
또한, 건조 장치(200)는 발열된 유체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208)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배출부(208)는 배출공을 포함할 수가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발열된 유체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다른 배출 수단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배출부(208)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연결관인 연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유체 유입관(206a)으로 발열된 유체의 증기를 다시 공급하여 발열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한편, 건조 장치(200)는 내용물을 발효시키거나 숙성시키기 위한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장치(100)는 몸체(102)와 회전 발생부(104) 및 회전부(106)를 포함할 수가 있다.
회전 발생부(104)는 몸체(102)에 연결되어 회전 동작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이때, 회전 발생부(1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회전부(106)는 회전 발생부(104)의 회전 동작에 의해 내용물을 몸체(102)의 바닥면까지 긁어 교반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내용물은 음식물 쓰레기일 수가 있고, 발효 숙성된 물체일 수가 있으며, 교반시키기 위한 모든 대상체일 수가 있다.
이때, 회전부(106)는 회전 샤프트(106a)와 다수의 제 1 회전 부재(106b) 및 다수의 제 2 회전 부재(106c)를 포함할 수가 있다.
회전 샤프트(106a)는 회전 발생부(104)와 연결될 수가 있고, 다수의 제 1 회전 부재(106b)는 회전 샤프트(106a)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다수의 제 2 회전 부재(106c)는 다수의 제 1 회전 부재(106b)의 일부분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다수의 제 1 회전 부재(106b)의 회전 동작에 의해 내용물을 몸체(102)의 바닥면까지 긁어 교반시킬 수가 있다.
이때, 다수의 제 2 회전 부재(106c)는 내용물을 몸체(102)의 바닥면까지 긁어 교반시키면서 배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일예로, 다수의 제 2 회전 부재(106c)는 내용물을 몸체(102)의 바닥면까지 긁어 교반시키면서 배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사선 형태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다수의 제 2 회전 부재(106c)는 몸체(102)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분(P)이 넓게 제공될 수가 있다.
일예로, 다수의 제 2 회전 부재(106c)는 몸체(102)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분(P)이 요철 형태(A)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교반 장치(100)의 회전부(106)는 제 3 회전 부재(106d)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제 3 회전 부재(106d)는 다수의 제 1 회전 부재(106b)의 일부분에 제공되어 바닥면까지 더 긁어 교반된 내용물을 배출 방향으로 유도할 수가 있다.
이때, 제 3 회전 부재(106d)는 다수의 제 1 회전 부재(106b)의 일부분에 제공되어 바닥면까지 더 긁어 교반된 내용물을 배출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사선 형태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일예로, 제 3 회전 부재(106d)는 몸체(102)의 가장자리 부분에 근접한 제 1 회전 부재(106b)의 일부분에 제공되어 바닥면까지 더 긁어 교반된 내용물을 이후에 진술할 배출 개폐부(107)로 유도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 3 회전 부재(106d)는 몸체(102)의 가장자리 부분에 근접한 제 1 회전 부재(106b)의 일부분에 제공되어 바닥면까지 더 긁어 교반된 내용물을 이후에 진술할 배출 개폐부(107)로 유도하도록 사선 형태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 3 회전 부재(106d)는 몸체(102)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분(S)이 넓게 제공될 수가 있고, 몸체(102)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분(S)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요철 형태(미도시)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일예로, 제 3 회전 부재(106d)는 이후에 진술할 배출 개폐부(107)의 근접 벽면과 바닥면까지 더 긁어 교반된 내용물을 이후에 진술할 배출 개폐부(107)로 유도하도록 날개 형태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교반 장치(100)는 배출 개폐부(107)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배출 개폐부(107)는 몸체(102)의 외측 또는 내측에 제공되어 바닥면까지 긁어 교반된 내용물을 이후에 진술할 다른 외부 장치(미도시)에 배출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배출 개폐부(107)는 개폐 동작 부재(107a)와 이동 부재(107b) 및 개폐 부재(107c)와 가이드 부재(107d)를 포함할 수가 있다.
개폐 동작 부재(107a)는 몸체(102)의 외측 또는 내측에 제공되고 개폐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전달할 수가 있으며, 이동 부재(107b)는 개폐 동작 부재(107a)에 연결되고 개폐 동작 부재(107a)의 동력 전달에 의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수직 운동할 수가 있다.
일예로, 개폐 동작 부재(107a)는 통상적인 모터를 포함할 수가 있고, 이동 부재(107b)는 통상적인 모터 동작에 의한 개폐 동작 부재(107a)의 폐쇄 동작시에 길이를 늘리거나 개폐 동작 부재(107a)의 개방 동작시에 길이를 줄일 수 있는 통상적인 길이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가 있으며, 이동 부재(107b)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적인 모터 동작에 의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수직 운동할 수가 있는 통상적인 모든 이동 수단이면 가능하다.
개폐 부재(107c)는 이동 부재(107b)와 연결되고 개폐 동작 부재(107a)의 개폐 동작과 이동 부재(107b)의 이동에 의해 바닥면까지 긁어 교반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가 있고, 가이드 부재(107d)는 개폐 부재(107c)를 감싸도록 가이드하여 바닥면까지 긁어 교반된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배출시킬 수가 있다.
일예로, 개폐 부재(107c)는 개폐 동작 부재(107a)의 폐쇄 동작시에 이동 부재(107b)의 길이 조절에 의해 하방향으로 수직 운동하거나 개폐 동작 부재(107a)의 개방 동작시에 이동 부재(107b)의 길이 조절에 의해 상방향으로 수직 운동할 수가 있는 통상적인 개폐 수단을 포함할 수가 있고, 가이드 부재(107d)는 개폐 부재(107c)를 감싸 가이드할 수가 있는 통상적인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가이드 수단을 포함할 수가 있다.
한편, 교반 장치(100)의 몸체(10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외부 장치(미도시)에 기울어지게 설치되거나, 기울어진 형태(미도시)로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서, 교반 장치(100)의 몸체(10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위쪽으로 밀어 올리면서 내용물을 배출할 때에, 내용물의 효율적인 배출을 위해 받이용 그릇등의 형태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다른 외부 장치(미도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교반 장치(100)에 의해 교반되어 배출된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300)를 이용하여 정화 장치(300)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을 살펴보면 다음 도 13 내지 도 15와 같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300)의 관리 시스템(1400)은 정화 장치(300) 및 식별 장치(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화 장치(300)는 본체(302)의 내부 타측에 제공되어 현재 오염된 증기값을 감지하는 감지부(314)를 더 포함할 수가 있고, 감지부(31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현재 오염된 증기값을 감지하기 위한 오염 농도 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정화부(306)는 감지부(314)와 통신을 더 수행할 수가 있고, 감지부(314)에서 감지한 현재 오염된 증기값에 따라 설정된 각각의 정화 동작 모드에 맞춰 오염된 증기를 더 정화시킬 수가 있다.
일예로, 증기 정화부(306)중 모터 순환 펌프(306a-1)는 감지부(314)와 통신을 더 수행할 수가 있고, 감지부(314)에서 감지한 현재 오염된 증기값에 따라 설정된 각각의 정화 동작 모드에 맞춰 오염된 증기를 더 정화시킬 수가 있다.
이때, 각각의 정화 동작 모드는 현재 오염된 증기값이 설정된 낮은 레벨의 오염된 증기값이면, 모터 순환 펌프(306a-1)를 낮은 레벨의 오염된 증기값에 해당하는 저회전 상태로 펌프 동작시키는 모드일 수가 있다.
반면에, 각각의 정화 동작 모드는 현재 오염된 증기값이 설정된 중간 레벨의 오염된 증기값이면, 모터 순환 펌프(306a-1)를 중간 레벨의 오염된 증기값에 해당하는 중회전 상태로 펌프 동작시키는 모드일 수가 있다.
반면에, 각각의 정화 동작 모드는 현재 오염된 증기값이 설정된 높은 레벨의 오염된 증기값이면, 모터 순환 펌프(306a-1)를 높은 레벨의 오염된 증기값에 해당하는 고회전 상태로 펌프 동작시키는 모드일 수가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 장치(400)는 감지부(314)와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고, 감지부(314)에서 감지한 현재 오염된 증기값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일예로, 식별 장치(4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감지부(314)와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가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DP1)을 통해 현재 오염된 증기값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패널(DP1)에 의해 식별된 현재 오염된 증기값을 기초로 증기 정화부(306)의 정화 오프 동작을 위한 정화 오프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증기 정화부(306)에 더 전달하거나, 증기 정화부(306)의 정화 계속 동작을 위한 정화 계속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증기 정화부(306)에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일예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패널(DP1)에 의해 식별된 현재 오염된 증기값을 기초로 모터 순환 펌프(306a-1)의 정화 오프 동작을 위한 정화 오프 입력 신호를 정화 오프 동작 버튼(B1)의 터치 동작으로 발생하여 모터 순환 펌프(306a-1)에 더 전달하거나, 모터 순환 펌프(306a-1)의 정화 계속 동작을 위한 정화 계속 입력 신호를 정화 계속 동작 버튼(B2)의 터치 동작으로 발생하여 모터 순환 펌프(306a-1)에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 장치(300)의 증기 정화부(306)는 이미 설정된 고유 번호를 더 포함할 수가 있고, 현재 정화 동작의 상태가 이상(abnormal) 동작하는지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즉, 증기 정화부(306)는 현재 정화 동작의 상태가 이상(abnormal) 동작하는지를 판단할 때에, 모터 순환 펌프(306a-1)의 현재 회전값이 설정된 기준 회전값 범위보다 큰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일예로, 식별 장치(4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증기 정화부(306)와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가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증기 정화부(306)에서 현재 정화 동작의 상태가 이상(abnormal) 동작한 것으로 판단하면, 고유 번호를 소유한 해당 증기 정화부(306)로 출동하도록 현재 정화 동작의 상태가 이상(abnormal) 동작함을 디스플레이 패널(DP2)을 통해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관리자 차량(미도시)과 유지보수 차량(미도시)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된 단말기일 수가 있고, 관리자와 유지보수자중 적어도 하나가 소유한 단말기일 수가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Bluetooth 모듈(미도시)과 Wi-Fi 모듈(미도시) 및 Zigbee 모듈(미도시)과 Z-Wave 모듈(미도시) 및 Wibro 모듈(미도시)과 Wi-Max 모듈(미도시) 및 LTE 모듈(미도시)과 LTE Advanced 모듈(미도시) 및 Li-Fi 모듈(미도시)과 Beacon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증기 정화부(308) 및 감지부(314)와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가 있고,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마트폰(미도시)일 수가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PDA(미도시)와 휴대폰(미도시) 및 태블릿 PC(미도시)와 노트북(미도시)중 어느 하나일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300)는 본체(302)와 증기 공급부(304) 및 증기 정화부(306)와 증기 배출부(308)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300)는 일정 시간 동안 지체되면서 이동되는 오염된 증기를 정화시킬 수가 있으므로, 오염된 증기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300) 및 그 관리 시스템(1400)은 감지부(314)에서 감지한 현재 오염된 증기값에 따라 설정된 각각의 정화 동작 모드에 맞춰 오염된 증기를 증기 정화부(306)에서 더 정화시킬 수가 있으므로, 정화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300) 및 그 관리 시스템(1400)은 정화 장치(300) 및 식별 장치(40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300) 및 그 관리 시스템(1400)은 디스플레이 패널(DP1)에 의해 식별된 현재 오염된 증기값을 기초로 증기 정화부(306)의 정화 오프 동작을 위한 정화 오프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증기 정화부(306)에 더 전달하거나, 증기 정화부(306)의 정화 계속 동작을 위한 정화 계속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증기 정화부(306)에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300) 및 그 관리 시스템(1400)은 원격으로 증기 정화부(306)의 정화 동작을 제어할 수가 있으므로, 전력의 효율성을 고려하면서 정화 작업의 편리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300) 및 그 관리 시스템(1400)은 정화 장치(300) 및 식별 장치(40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300) 및 그 관리 시스템(1400)은 증기 정화부(306)에서 현재 정화 동작의 상태가 이상(abnormal) 동작하면, 고유 번호를 소유한 해당 증기 정화부(306)로 출동하도록 현재 정화 동작의 상태가 이상(abnormal) 동작함을 디스플레이 패널(DP2)을 통해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300) 및 그 관리 시스템(1400)은 원격으로 현재 정화 동작의 상태가 이상(abnormal) 동작함을 인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300) 및 그 관리 시스템(1400)은 초기 대응을 빠르게 할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다.

Claims (4)

  1. 외부 장치에 연결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제공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오염된 증기를 일정 시간 동안 지체시키면서 이동시키는 증기 공급부;
    상기 증기 공급부에 연결되고, 상기 증기 공급부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지체되면서 이동되는 오염된 증기를 정화시키는 증기 정화부;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증기 정화부에 의해 정화된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정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공급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오염된 증기를 일정 시간 동안 지체시키면서 이동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하는 정화 장치.
  3. 외부 장치에 연결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제공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오염된 증기를 일정 시간 동안 지체시키면서 이동시키는 증기 공급부, 상기 증기 공급부에 연결되고 상기 증기 공급부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지체되면서 이동되는 오염된 증기를 정화시키는 증기 정화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증기 정화부에 의해 정화된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 배출부,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에 제공되어 현재 오염된 증기값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정화 장치; 및
    상기 감지부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감지한 현재 오염된 증기값을 식별시키는 식별 장치를 포함하는 정화 장치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장치는,
    상기 감지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현재 오염된 증기값을 식별시키고, 상기 식별된 현재 오염된 증기값을 기초로 상기 증기 정화부의 정화 오프 동작을 위한 정화 오프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증기 정화부에 더 전달하거나, 상기 증기 정화부의 정화 계속 동작을 위한 정화 계속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증기 정화부에 더 전달하는 정화 장치 관리 시스템.
KR1020160168036A 2016-12-09 2016-12-09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KR20180066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036A KR20180066797A (ko) 2016-12-09 2016-12-09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036A KR20180066797A (ko) 2016-12-09 2016-12-09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443A Division KR20180134828A (ko) 2018-12-12 2018-12-12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797A true KR20180066797A (ko) 2018-06-19

Family

ID=62790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036A KR20180066797A (ko) 2016-12-09 2016-12-09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67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0349A1 (ko) 2018-06-11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알데히드 및 케톤의 검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0349A1 (ko) 2018-06-11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알데히드 및 케톤의 검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4828A (ko)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KR20180066797A (ko) 정화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CN204848846U (zh) 一种安全恒温培养箱
KR102116780B1 (ko) 습도센서가 내장된 상업용 음식물처리기
WO2021251114A1 (ja) 発酵処理装置
JP2006337013A (ja) 清浄度区分方法及び清浄度区分システム
JP2007313440A (ja) 廃棄物処理方法及び廃棄物処理装置
KR20030075557A (ko) 발효 건조 장치
JP3729088B2 (ja) 生ゴミ処理機
CN218119969U (zh) 加湿净化装置和空调室内机
JP2011122754A (ja) 換気装置及び発酵処理装置
JP2001025744A (ja) 生ゴミ処理装置
KR200278448Y1 (ko) 멸균 및 발효 사료 제조장치
KR20230172052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
JP2007069168A (ja) 廃棄物処理装置
KR20180063986A (ko)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KR20030088957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조 공기 유입 및 배출장치
JP2006289205A (ja) 有機性廃棄物処理装置
KR20020025156A (ko) 멸균 및 발효 사료 제조장치
JP2004223338A (ja) 生ごみ処理機
JP2011117690A (ja) 流体加熱装置及び処理装置
KR2020011140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1269649A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装置
JP2003340414A (ja) 生ゴミ処理装置
JPH07171545A (ja) 有機物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