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224B1 -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224B1
KR101646224B1 KR1020150082305A KR20150082305A KR101646224B1 KR 101646224 B1 KR101646224 B1 KR 101646224B1 KR 1020150082305 A KR1020150082305 A KR 1020150082305A KR 20150082305 A KR20150082305 A KR 20150082305A KR 101646224 B1 KR101646224 B1 KR 101646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ontrol unit
tobacco
terminal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헌수
박동국
Original Assignee
신흥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흥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흥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2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00Preparation of tobacco on the plantation
    • A24B1/02Arrangements in barns fo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tobacco, e.g. with device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3/00Preparing tobacco in the factory
    • A24B3/04Humidifying or drying tobacco bunches or cut tobacco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잎담배의 건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조기 내에 구비되어 잎담배의 건조 상태를 감지하는 건조상태 감지기구와; 상기 건조상태 감지기구로부터 잎담배의 건조상태 측정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제어 유닛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잎담배 건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를 가지는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1 발명으로 제공한다.

Description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to dry tobacco leaves}
본 개시(Disclosure)는, 잎담배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잎담배의 건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경작지의 담배 줄기로부터 채취된 잎담배는 농가에 비치된 건조기에 장입시키고 고온의 열을 가하여 건조시킨 다음에 출하된다.
이러한 건조기술로는 열풍에 의한 건조방식이 채택되고 있는데, 열풍에 의한 건조방식은 잎담배를 위한 건조기술 뿐만 아니라 고추 등의 농산물, 미역, 멸치 등의 수산물을 건조하는 데에도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서, 송풍기를 이용하여 뜨거운 공기를 건조기 내에 강제 순환시키면서 담배 잎 등을 건조시키는 방식이다.
잎담배 건조 시간은 건조기에 장입시킨 후에 장시간(대략 150시간까지) 건조하여야 한다. 잎담배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건조기 내에서 건조되는 잎담배의 건조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면서 정상적으로 건조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잎담배는 담배 잎의 색상이 황금색으로 변할 때까지 충분히 건조시켜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배 잎은 건조 과정에서 건조 시간에 따라 색상이 변하게 되는데, 건조 과정에서 담배 잎의 색상 상태를 확인하고, 색상 상태에 따라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 등을 적절하게 변화시키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되는 담배 잎의 건조 상태 즉, 담배 잎의 색상 등을 작업자가 수시로 육안으로 확인한 다음,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 등을 결정하면서 건조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잎담배 건조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보다 효율적인 잎담배 건조 작업을 진행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잎담배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건조기에서 멀리 떨어진 경우에는 사실상 잎담배 건조 상태를 확인하는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1.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231520 2.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22676
본 개시는, 종래의 잎담배 건조 작업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잎담배의 색상을 비롯하여 건조 상태를 원격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잎담배 건조 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개시는, 건조기 내에 구비되어 잎담배의 건조 상태를 감지하는 건조상태 감지기구와; 상기 건조상태 감지기구로부터 잎담배의 건조상태 측정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제어 유닛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잎담배 건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를 가지는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1 발명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제1 발명의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조상태 감지기구는 잎담배의 색상을 측정하는 컬러 센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2 발명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제1 발명의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에는 온도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 온도 측정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3 발명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제1 발명의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출력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4 발명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제1 발명의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건조상태 감지기구 및 건조기의 콘트롤러에서 입력된 정보를 입력받는 수신부와, 이 수신부를 통해서 입력된 정보를 계산하여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CPU)와, 이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처리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5 발명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제5 발명의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출력부에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건조기의 작동 상태 및 건조 상태를 상기 단말기에 송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6 발명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제5 발명의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건조상태 감지기구를 통해 입력된 감지결과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설정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에 경고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7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잎담배의 색상을 비롯하여 건조 온도, 건조기 이상 여부, 정전 여부 등 건조 진행 상태를 원격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잎담배 건조 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잎담배의 건조 진행에 따른 색깔 변화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잎담배 건조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한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만, 본 개시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개시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개시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건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조기(100)는 하우징(110) 내에는 열풍 건조를 위한 버너(130) 및 연통(136)이 구성된다.
건조기(100)는 하우징(110) 내에 열교환기(미도시) 및 송풍기(미도시)가 구비되어, 버너(130)를 통해 얻은 열과 열교환된 공기를 내부로 순환시키면서 담배 잎을 건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우징(110)에는 열풍의 공급을 골고루 분산해주기 위한 다공판(150)이 상부에 설치되고, 다공판(150) 하부에는 횡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면서 형성되는 다수열의 렉크(152)가 구비된다.
도 2에서 도면 부호 140은 외기 흡입구를 나타내고, 142는 배출구(미도시)와 흡입구(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자동배습장치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면 부호 154는 하우징(110) 내부에서 건조되는 잎담배의 건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을 나타내고, 160은 건조 시간, 건조 온도, 버너(130) 및 송풍기 등을 작동하는 콘트롤러를 나타낸다. 여기서 콘트롤러(160)는 건조기 작동 이상시에 경보 신호 등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건조기(100)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22676호에 개시된 구성을 이용하거나, 공지된 농산물, 수산물 건조기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건조기(100)를 비롯해 공지의 건조기의 구성에, 잎담배의 건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여러 감지 기구들이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건조상태 감지기구(190)는 도 2에 예시된 온도 센서(170), 컬러 센서(18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온도 센서(170), 컬러 센서(180)는 도 2에 예시된 위치에 설치되는데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하우징(110) 내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온도 센서(170)는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콘트롤러(160)에 제공함으로써 콘트롤러(160)에서 건조 진행에 따라 버너(130), 송풍기 등을 제어하여 건조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컬러 센서(180)는 물체가 방사 또는 반사하는 빛의 파장을 감지하여 색을 판별하는 센서로서, CCD에 의한 MOS형 카메라나 기타의 수광 소자 등이 이용되며, 파장을 전압으로 바꾸어서 출력한 것을 처리하여 색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기구이다. 이러한 컬러 센서(180)는 여러 종류가 있는바, 실시 조건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광 소자를 이용한 컬러 센서(180)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수광 소자를 이용한 컬러 센서(180)는 포토다이오드(Photodiode)가 여러 개 있는 반도체 소자로 구성된 것으로서, 적색 포토다이오드, 녹색 포토다이오드, 청색 포토다이오드로 구성되어 해당 색깔의 세기를 수치화하여 인식하는 센서이다. 예를 들면, 어떤 대상의 색깔을 컬러 센서(180)를 통해 수광된 결과가 R : 255, G : 255, B : 255 이라고 하였을 때, R,G,B의 빛의 혼색에 따라 흰색으로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컬러 센서(180)는 TAOS사의 TCS230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 과정에서 담배 잎이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건조 진행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게 되므로, 이를 컬러 센서(180)를 이용하여 감지함으로써 색상 변화를 체크하여 담배 잎의 건조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수광 소자를 이용한 컬러 센서(180)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은 있지만, 카메라 즉, CCD에 의한 MOS형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건조 상태에 따른 색상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건조상태 감지기구(190)는 콘트롤러(160) 등에 구비된 전압 센서부를 통한 정전 감지기, 하우징(110)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국, 건조상태 감지기구(190)는 건조기에 설치되는 제반 감지 센서 등을 통해 담배 잎의 건조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시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콘트롤러(160)의 작동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는 앞서 설명한 건조상태 감지기구(190)를 통해 얻은 정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 및 블록도이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컬러 센서(180)를 포함한 건조상태 감지기구(190)를 통해 얻은 정보를 사용자(작업자)의 단말기(300)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 제어 유닛(200)과 이 제어 유닛(200)에서 송출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단말기(300)가 구비된다.
제어 유닛(200)은 도 2를 통해서 설명하였던, 온도 센서(170), 컬러 센서(180) 등을 통해서 감지한 정보, 콘트롤러(160)의 건조기 작동 상태 정보 등을 입력받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 유닛(200)은 각종 센서 및 콘트롤러(160)에서 입력된 정보를 입력받는 수신부와, 이 수신부를 통해서 입력된 정보를 수치화된 데이터 등으로 처리할 수 있는 중앙처리장치(CPU), 그리고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등이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 유닛(200)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건조상태 감지기구(190)를 통해 입력된 정보와 비교하여 경보 신호 등 각종 제어 신호 등을 출력할 수 있도록 기준값 설정입력부 및 비교 판단부 등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 유닛(200)은 출력된 정보를 수신 받을 단말기(300)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단말기 정보 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건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전용 단말기의 수신 가능 코드나, 핸드폰 등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 등을 입력하여 수신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유닛(200)에 구비되는 출력부는 정보의 무선 송출이 가능한 CDMA 모뎀(250) 등으로 이루어진 무선 송출 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단말기(300)는 건조 상태 확인을 위한 전용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 등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전용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어 유닛(200)에서 출력된 정보를 보여주는 별도의 프로그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단말기(300)를 단순 경보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건조상태 감지기구(190)를 통해 획득된 정보가 제어 유닛(200)에 이미 입력되어 있는 기준 설정값과 비교하여 일정 이상 차이가 발생할 경우에 사용자의 단말기(300)에 경보 정보를 송출하여 알려주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건조 진행 경과에 따라 황색으로 변해야할 담배 잎이 그대로 녹색 상태이면, 제어 유닛(200)에서 이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단말기(300)에 이상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 유닛(200)의 출력부는 무선 송출 기구에 한정되지 않고, 유선을 통해 전용 모니터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해 특정 위치의 컴퓨터 단말기 등으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유닛(200)은 출력부에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건조기의 작동 상태 및 건조 상태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출력하도록 입력할 경우에는 원하는 시간에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어 유닛(200)에서 각종 감지 정보를 바탕으로 기 설정되어 입력되어 있는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에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경고 정보 등을 출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 건조상태 감지기구(190) 중 하나인 컬러 센서(180)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건조기 하우징(110) 내에서 건조되고 있는 담배 잎의 건조 색상 변화를 컬러 센서(180)를 통해 감지한다.
컬러 센서(180)를 통해 감지된 색상 정보는 제어 유닛(200)의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고, 이렇게 입력된 정보는 중앙처리장치(CPU)에서 수치화되어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다.
출력된 정보는 사용자의 단말기(300)에 전송되고,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건조기(100) 내의 담배 잎 건조 색상을 확인하면서 정상 건조 유무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단말기(300)에 표시된 정보는 컬러 센서(180)를 통해 입력된 색상 정보를 단말기(300)에서 수치로 알려주거나, 이미지로 보여주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수치로 알려줄 경우에는 사용자는 R.G.B의 각각의 수치에 따른 색코드 색상표 등을 참조하여, 현재 건조 색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단말기(300) 등에 설치된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수치를 그에 맞는 이미지로 변환하여 보여주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미지로 보여주는 방법은 컬러 센서(180)를 카메라 모듈로 구성하여 제어 유닛(200)에서 촬영 정보를 송출하여 사용자의 단말기(300)에서 이미지 정보 또는 영상 정보로 확인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단말기(300) 등을 통해 확보된 건조 상태 감지 정보를 통해 담배 잎의 건조 상태를 수시로 또는 필요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필요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면서 잎담배 건조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잎담배 건조를 시작한 후에 30시간이 경과되었는데도 아직 담배 잎이 녹색잎 상태이면, 건조 과정에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때에는 제어 유닛(200)에서 비교 판단하여 단말기(300)를 통해 이상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단말기(300)에 표시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결국 건조 진행 시간에 맞게 실제 담배 잎 색상이 변하지 않으면,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조치할 수 있도록 알려줌으로써 직접 건조기(100) 내부를 확인하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신속하게 담배 잎의 건조 상태를 확인하여 필요한 제반 조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잎담배를 건조하는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동일 유사한 구성을 통해 고추, 약재 등 농산물과, 건어물 같은 해산물을 건조하는 시스템에도 적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100 : 건조기 110 : 하우징
160 : 콘트롤러 170 : 온도 센서
180 : 컬러 센서 190 : 건조상태 감지지구
200 : 제어 유닛 300 : 단말기

Claims (7)

  1. 건조기 내에 구비되어 잎담배의 건조 상태를 감지하는 건조상태 감지기구; 상기 건조상태 감지기구로부터 잎담배의 건조상태 측정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잎담배 건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를 가지는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조상태 감지기구는 잎담배의 색상을 측정하는 컬러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컬러 센서 및 건조기의 콘트롤러에서 입력된 정보를 입력받는 수신부와, 이 수신부를 통해서 입력된 정보를 계산하여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CPU)와, 이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처리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출력부에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건조기의 작동 상태 및 건조 상태를 상기 단말기에 송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컬러 센서를 통해 입력된 감지결과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설정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에 경고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출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이미 입력되어 있는 설정 기준치는 건조 시작 후 경과 된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에는 온도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 유닛에 온도 측정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출력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082305A 2015-06-11 2015-06-11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46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305A KR101646224B1 (ko) 2015-06-11 2015-06-11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305A KR101646224B1 (ko) 2015-06-11 2015-06-11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224B1 true KR101646224B1 (ko) 2016-08-05

Family

ID=56711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305A KR101646224B1 (ko) 2015-06-11 2015-06-11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2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986A (ko) * 2016-12-03 2018-06-14 김광태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KR102596449B1 (ko) 2022-08-19 2023-11-02 손창규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6924A (ja) * 1991-03-15 1992-10-12 Japan Tobacco Inc 色彩検出型種別装置
KR100231520B1 (ko) 1995-08-11 1999-11-15 세이이치로 이나바 재래종, 벌리(burley)종 엽연초의 자동제어식 일관건조장치
KR20020095936A (ko) * 2001-06-18 2002-12-28 한성공업 주식회사 농수산물.곡물 건조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WO2004049836A1 (en) * 2002-12-03 2004-06-17 Aldo Spapperi Oven for the drying of tobacco leaves or the like
KR100622676B1 (ko) 2004-11-24 2006-09-19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풍량제어 하향 송풍식 열풍순환 벌크 건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6924A (ja) * 1991-03-15 1992-10-12 Japan Tobacco Inc 色彩検出型種別装置
KR100231520B1 (ko) 1995-08-11 1999-11-15 세이이치로 이나바 재래종, 벌리(burley)종 엽연초의 자동제어식 일관건조장치
KR20020095936A (ko) * 2001-06-18 2002-12-28 한성공업 주식회사 농수산물.곡물 건조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WO2004049836A1 (en) * 2002-12-03 2004-06-17 Aldo Spapperi Oven for the drying of tobacco leaves or the like
KR100622676B1 (ko) 2004-11-24 2006-09-19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풍량제어 하향 송풍식 열풍순환 벌크 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986A (ko) * 2016-12-03 2018-06-14 김광태 건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KR102596449B1 (ko) 2022-08-19 2023-11-02 손창규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30563A (ja) エアフィルタの状態感知
US99080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lacing air filters
KR101646224B1 (ko)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
US20160169826A1 (en) Wireless in-kiln moisture sensor and system for use thereof
JP6480948B2 (ja) 熱撮像を使用したプロセス導管異常検知
EP2777813A3 (en) Pulverizer monitoring
CN111295504A (zh) 用于基于内燃发动机的机器的一氧化碳检测系统
KR20140125934A (ko) 가축 분만실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JP5461954B2 (ja) 火源探査システム
JP2010185704A (ja) 熱画像センサ
KR101535234B1 (ko) 농가용 최적 환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061799A1 (en) Wireless combustion/efficiency analyzer
EP3798631B1 (en) Gas detection system and a method for gas detection
KR102448728B1 (ko) 환기팬 이상 및 암모니아 가스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환기팬 콘트롤러 및 그 제어 방법
CN203759474U (zh) 用于识别工业过程中的诊断状况的诊断现场装置
US10500595B2 (en) Statu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magnetic filters
KR102328523B1 (ko) 드론을 이용한 실외기 발열 점검 시스템 및 방법
JP6587478B2 (ja) 試験システム
KR102658221B1 (ko) 반려동물용 스마트 케어 장치
KR101690375B1 (ko) 농산물 건조기용 제어장치
CN205512281U (zh) 一种用于混合冷却饲料的冷却器
KR101702892B1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환경관리 시스템
KR102376687B1 (ko) 산업장비의 원격 감시 시스템
JP7209855B2 (ja) データ収集装置、データ収集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収集方法
KR101755629B1 (ko) 축사용 환경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