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1520B1 - 재래종, 벌리(burley)종 엽연초의 자동제어식 일관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재래종, 벌리(burley)종 엽연초의 자동제어식 일관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520B1
KR100231520B1 KR1019960001782A KR19960001782A KR100231520B1 KR 100231520 B1 KR100231520 B1 KR 100231520B1 KR 1019960001782 A KR1019960001782 A KR 1019960001782A KR 19960001782 A KR19960001782 A KR 19960001782A KR 100231520 B1 KR100231520 B1 KR 100231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humidifier
sealed chamber
heat exchange
leaf tobac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638A (ko
Inventor
세이이치로 이나바
Original Assignee
세이이치로 이나바
간토 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이치로 이나바, 간토 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이치로 이나바
Publication of KR970009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3/00Preparing tobacco in the factory
    • A24B3/04Humidifying or drying tobacco bunches or cut tobacco

Landscapes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재래종, 벌리종 엽연초의 자동제어식 일관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문이 달린 밀폐실의 바다면은 통풍구멍을 배설하여 바닥아래에 통풍공간을 형성하고, 밀폐실과 이 통풍공간을 연결하는 통풍경로에는 전열히터, 송풍기를 비치함과 동시에, 상기 통풍경로의 천장부위에는 실외에 비치한 기습기를 조립한 전체열 교환형 환기장치의 급기덕트를 설치하고, 또한 밀폐실에 건구, 습구센서를 비치하고, 밀폐실 밖에 그 건구, 습구센서와 상기 전열히터와 송풍기와 전체열 교환형 환기장치, 가습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그것들의 출력조정 및 설정온도하의 습도조정을 담당하는 자동제어기구를 구비하며, 또한 밀폐실 내에는 안길이방향의 중앙 소정간격에 지주를 세워 설치하고, 이들 지주의 안길이 수평방향의 중간높이와 위방향 높이 및 밀폐실(1)의 양 측벽의 대응부위에 행거레일을 부착하고, 또한 전체열 교환형 환기 장치, 가습기에 배기덕트를 조립하여 그 끝단구멍을 밀폐실의 천장벽 내에 위치시킨다.

Description

재래종, 벌리(burley)종 엽연초의 자동제어식 일관건조장치
제1도는 본원 발명에 관한 장치의 외관사시도.
제2도는 그의 종단측면도.
제3도는 통풍경로부분을 나타낸 종단정면도.
제4도는 사용상태의 종단정면도.
제5도는 본원 발명에 관한 장치의 가습기가 조립된 전체열 교환형 환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본원 발명에 관한 장치의 자동제어기구 제어상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밀폐실 2 : 문
3 : 바닥면 4 : 통풍구멍
5 : 통풍공간 6 : 통풍경로
7 : 전열(電熱)히터 8 : 송풍기
9 : 전체열 교환형 환기장치 10 : 가습기
11 : 급기덕트 12 : 건구(乾球)센서
13 : 습구(濕球) 센서 14 : 자동제어기구
15 : 지주(支柱) 16 : 격자틀
17 : 천장면 18, 19 : 행거레일
20 : 등량분배형 급기덕트 21 : 행거
22 : 활주걸림편 23 : 배기덕트
23a : 끝단구멍 24 : 배수드레인
30 : 창
본, 발명은, 재래종, 벌리(burley)종 엽연초의 황변기(黃變期)∼갈변기(褐變期)∼중골건조기(中骨乾燥期) (마무리 건조를 포함함)에 걸친 전공정을 자동제어식으로 하는 일관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래종, 벌리종의 생엽(生葉)의 장치건조는, 황변기∼갈변기∼중골건조기(마무리건조를 포함함)에 걸친 공정중에서, 특히, 품종 본래의 향을 피우는 맛의 발현에 크게 관여하는 갈변기의 흡습 및 방습작용을, 엽연초를 빽빽하게 매단 밀폐계의 건조장치 내에서 하는 기술과 장치의 갤발이 곤란하였기 때문에, 갈변기전의 황변기와 중골건조기 후반만으로 한정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갈변기는, 자연건조를 기본으로 하고, 풍력이나 화력은 악조건을 회피하기 위하여 보조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정도로서 그 사이의 바꿔매달기 작업이 중노동이기 때문에, 산지보급이 급속하게 진행되지 않는 상황에 있다.
한편, 지금까지의 주류인, 재래종, 벌리종의 자연건조는, 완성된 결과가 날씨에 좌우되기 쉽고, 장기간에 걸쳐서 섬세한 건조관리를 필요로 하는 것 외에, 황색종엽연초의 건조와 같이 빽빽하게 매달 수 없기 때문에, 대규모의 건조시설 면적을 필요로 하고, 경제효율과 생선성의 향상을 저해하고 있다.
그런데, 본건 출원인은, 먼저 재래종, 벌리종의 건조공정중의 황변과정을 전기적 열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행하고, 또한, 고품질을 얻기 위하여 황변에 적합한 실내환경조건(건조정도에 따른 변온변습의 설정조정)을 자동제어할 수 있는 건조장치를 개발하고, 현재 특허출원중이다(일본국 특원평 7-120716(특원평 6-228618 호의 국내 우선출원)).
그러나, 이 출원기술에서는, 그 뒤의 갈변공정을 자연의 변온변습조건에 맞는 건조(흡방습)가 외관품질(색상·광택)과 향을 피우는 맛을 형성하는 데에 중요하기 때문에, 자연조건에 맡긴 건조시설(목조형, 파이프하우스, 건조실 등)에 맡겨진다.
또한, 본건 출원인은, 전에 재래종, 벌리종의 건조공정중의 갈변과정을 가상상황에 영향받지 않고, 또 잎의 상태(두꺼운 잎, 얇은 잎)에 따른 적정한 습도조건, 바람의 효과를 유지시키면서 갈변중의 물러짐, 곰팡이, 부패의 발생을 방지하는 자동제어식의 건조장치를 개발하여, 현재 특허출원중이다(일본국 특원평 6-332479).
그러나, 이 출원기술은, 갈변기로부터 중골건조기 종료까지의 장치로서, 앞공정인 황변기 건조와는 연계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공정이동을 위한 바꿔매달기 작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실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생엽(生葉)의 매달기로부터 마무리까지를 한 곳의 실내에서 바꿔매달기작업 없이(정지상태처리)일관해서 행하고, 특히 엽연초의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갈변기∼중골건조기 전반부에 있어서의 이상적인 건조조건, 흡방습작용을 건조실 내에 반복설정하는 기술을 도입하고, 아울러 이제까지의 장치건조에서 문제가 되어 있던 중골건조와 마무리건조 종료후에 있어서의 엽연초의 습도 조절기능도 다할 수 있는 일관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면에 문(2)을 가진 밀폐실(1)의 바닥면(3)은 통풍구멍(4)을 다수 배설하여 그 바닥(다공판:多孔板) 아래에 통풍공간(5)을 형성하고, 뒷부분에는 상기 밀폐실(1)과 바닥 아래의 통풍공간(5)을 연결하는 통풍경로(6)를 형성한다.
그리고, 그 통풍경로(6)내에는 전열히터(7) 및 송풍기(8)를 비치함과 동시에 상기 통풍경로(6)의 천장부위에는 실외에 비치한 가습기(10)를 조합한 전체열 교환형환기장치(9)의 급기덕트(11)를 임하게 하고, 또한, 상기 밀폐실(1)내의 적당한 부위에 건구(乾球)·습구(濕球)센서(12),(13)를 비치하고, 상기 밀폐실(1) 밖에 그 건구·습구센서(12),(13)와 상기 전열히터(7)와 송풍기(8)와 열교환형 환기장치(9), 가습기(1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그것들의 출력조정 및 설정온도하의 습도조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자동제어기구(14)를 비치한다.
그리고, 다시 상기 밀폐실(1) 내에는, 안길이방향의 중앙소정간격의 바닥면(3)과 천장면(17) 사이에 지주(支柱)(15)를 붙이고 떼기 가능하게 세워 설치하고, 그들 지주(15)의 안길이 수평방향의 중간높이와 위편 높이 및 밀폐실(1)의 양 측벽의 대응부위에, 엽연초의 행거레일(18),(19)을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전체열교환형 환기장치(9), 가습기(10)에 배기덕트(23)를 조립하여 그 끝단구멍(23a)을 밀폐실(1)의 천장벽 내에 위치시켜서, 재래종, 벌리종 엽연초의 자동제어식 일관건조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구성중의 가습기(10)는 수증기만으로 가습시키므로 물의 입자가 작고, 마른 잎의 젖음에 따른 품질의 나쁜 변화를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견지에서 통상의 투습막(透濕膜)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이웃하는 지주(15)의 공간에 격자틀(16)을 팽팽하게 설치하고, 그 격자틀(16)의 안쪽 길이방향 수평방향의 중간높이와 위편높이 및 밀폐실(1)의 양 측벽의 대응부위에 엽연초의 행거레일(18),(19)을 부착한 재래종, 벌리종 엽연초의 자동제어식 일관건조장치이다.
또한, 상기 각 구성에 있어서, 통풍경로(6)의 천장부위에 임하게 한 전체열 교환형 환기장치(9), 가습기(10)의 급기덕트(11)는 등량분배형 급기덕트(20)인 재래종, 벌리종 엽연초의 자동제어식 일관건조장치이다.
또한, 상기 각 구성에 있어서, 행거레일(18),(19)에, 이 행거레일(18),(19)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활주걸림편(22)군을 설치하여서 이루어진 재래종, 벌리종 엽연초의 자동제어식 일관건조장치이다.
그리고, 또 상기 각 구성에 있어서, 바닥 아래의 통풍공간(5)에 실내를 흘러내리는 물의 배수드레인(24)을 설치하여서 이루어진 재래종, 벌리종 엽연초의 자동제어식 일관건조장치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정면에 문(2)을 가진 폭 3750mm, 안길이 4200mm인 밀폐실(1)의 바닥면(3)은 통풍구멍(4)을 다수 배열설치하여 그 바닥(다공판) 아래에 통풍공간(5)을 형성하고, 후부에는 상기 밀폐실(1)과 바닥 아래의 통풍공간(5)을 연결하는 통풍경로(6)를 형성한다.
또, 상기 바닥아래의 통풍공간(5)의 네 귀퉁이에는, 실내에서 흘러내리는 배수드레인(4)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그 통풍경로(6)내에는 경로 폭에 전열히터(7) 및 4개의 송풍기(8)를 비치함과 동시에, 상기 통풍경로(6)의 천장부위에는 실외에 비치한 투습막(透濕膜)가습기(10)를 조립한 전체열 교환형 환기장치(9)의 등량분배형 급기덕트(20)를 임하게 하고, 또한, 상기 밀폐실(1)내의 적당한 부위에 건구·습구센서(12), (13)을 비치하고, 상기 밀폐실(1) 밖에는 그 건구 습구센서(12),(13), 전열히터(7), 송풍기(8), 전체열 교환형 환기장치(9) 및 투습막 가습기(1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그것들의 출력조정 및 설정온도하의 습도조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자동제어기구(14)를 비치한다.
이때, 상기 투습막 가습기(10)를 조립한 전체열 교환형 환기장치(9)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를 밀폐실(1)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급기통로(9a)와 밀폐실(1)내의 공기를 배출하여 밀폐실(1)내를 제습하기 위한 배기통로(9b)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급기 및 배기통로(9a,9b)상에는 에어필터(9c,9d)가 각각 설치된 구성이다. 또한 급기 및 배기통로(9a,9b)상에는 자동제어기구(14)에 의해 제어되는 급기용송풍기(9e) 및 배기용송풍기(9f)가 각각 설치되어 급기 및 배기가 강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급기통로(9a)상에는 통상의 투습막 가습기(10)가 설치되어 급기통로(9a)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가습시키도록 된 구성이다.
또한, 상기 투습막 가습기(10)를 조립한 전체열 교환형 환기장치(9)의 급기통로(9a)에는 급기덕트(11)를 연결하여, 이 급기덕트(11)의 다른 끝단을 통풍경로(6) 천장부위의 등량분배형 급기덕트(20)에 연결하고, 배기통로(9b)에는 배기덕트(23)를 연결하여, 이 배기덕트(23)의 그 끝단구멍(23a)를 밀폐실(1)의 천장부위에 설치한 구성이다.
한편, 건구·습구센서(12),(13), 전열히터(7), 송풍기(8), 전체열 교환형 환기장치(9) 및 투습막 가습기(1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자동제어기구(14)는, 밀폐실(1)내의 건조조건에 따라 온도, 습도 및 작동시간의 설정범위를 미리 설정하여 두면, 제6도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에서와 같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각 구동부의 출력이 자동제어되어 밀폐실(1)내를 설정시간동안 설정범위내의 온도 및 습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시 상기 밀폐실(1)내에는, 안길이방향의 중앙소정간격의 바닥면(3)과 천장면(17) 사이에 지주(15)를 붙이고 떼기 가능하게 세워 설치하고, 그것들이 이웃하는 지주(15)의 공간에 격자틀(16)을 설치하고, 그 격자틀(16)의 안길이 수평방향의 중간높이와 위편높이 및 밀폐실(1)의 양측벽의 대응부위에 엽연초의 행거레일(18), (19)을 부착하여 재래종, 벌리종 엽연초의 자동제어식 일관건조장치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금, 생엽을 거꾸로 매단행거(21)를 지주(15)에 의하여 좌우로 나누어진 밀폐실(1)의 각 건조공간에 대응하는 행거레일(18),(19)에 보조매달기반송차로부터 옮기든가, 직접 수작업으로 차례로 매단다. 행거(21)를 사용하지 않고, 행거레일(18), (19)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활주걸림편 (22)에 직접 엽연초의 새끼줄의 끝단부를 걸면서 매다는 것도 수고가 필요하지만 가능하다. 이때, 지주(15), 격자틀(16)을 떼어서 좌우의 간막이를 없애고, 길이 2간의 새끼줄에 끼워 철한 엽연초를 새끼줄채로 건조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황변기의 건조준비공정이 종료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건조열원으로 청결한 전열히터(7)의 전기열을 이용하고, 송풍기(8)로 열풍을 강제순환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실내공기의 균일화, 온도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슴은 물론, 건구·습구센서(12),(13)가 열풍에 흐름 속에서 정확한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고, 이 건구·습구센서(12),(13), 전열히터(7), 송풍기(8), 전체열교환형 환기장치(9) 및 가습기(10가 자동제어기구(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각각의 출력조정을 가능케 하고, 전체열교환형 환기장치(9), 가습기(10)에 의하여 증효(蒸酵) 후의 제습(除濕), 제습외기의 도입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지고, 설정온도(35℃∼37℃)를 유지하면서 습도조정(건습구차 2℃∼3℃, 풍속 25cm/초)을 정확하게 할 수 있고, 황변기에 필요한 실내환경조건을 효율적으로 설정할수 있다.
제6도를 참조하여 자동제어기구(14)의 제어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황변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밀폐실(1)내의 온도를 35℃∼37℃, 상대습도를 70%∼75% 범위로하고, 72시간을 설정시간으로 하여 자동제어기구(14)에 미리 설정하는 경우, 건구·습구센터(12), (13)가 밀폐실(1)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측정치가 미리 설정한 온도 및 습도설정범위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
측정치가 온도 및 습도설정범위, 즉 35℃∼37℃내에 있으면, 송풍기(8)만을 구동한다(스텝 S2). 온도 측정치가 온도설정범위보다 낮으면(스텝 S3), 송풍기(8)와 전열히터(7)를 구동시켜 온도를 높이고(스텝 S4), 온도 측정치가 온도설정범위보다 높아지면(스텝 S3), 송풍기(8)만 구동하고 전열히터(7)는 오프시켜 온도를 낮춤으로써(스텝 S5) 밀폐실(1)내의 온도를 35℃∼37℃범위내로 유지한다.
또한 습도 측정치가 습도설정범위, 즉 70%∼75%범위보다 낮으면(스텝 S6), 전체열교환형 환기장치(9)의 배기쪽은 오프시키고, 급기쪽과 가습기(10)를 구동시켜 급기통로(9a)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습시킴으로써 밀폐실(1)내의 습도를 높이고(스텝 S7), 습도 측정치가 습도설정범위보다 높아지면(스텝 S6), 가습기(10)와 전체열교환형 환기장치(9)의 급기쪽을 오프시키고, 전체열교환형 환기장치(9)의 배기쪽을 온시켜(스텝 S8), 밀폐실(1)내의 공기를 강제배기하여 제습함으로써 밀폐실(1)내의 습도를 70%∼75%범위내로 유지한다.
이어서 현재의 시간이 설정시간, 즉 72시간에 도달하였는가(스텝 S9)를 판단하여, 설정시간에 도달하였으면 종료하고, 도달하지 않았으면 스텝(S1) 이전으로 돌아가 설정시간동안 상기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밀폐실(1)내의 온도 및 습도를 설정범위내로 유지하여 건조장치 내의 분위기 온도 및 습도를 이상적인 황변건조조건으로 한다.
또, 증효기(蒸酵期)로부터 황변전기에 걸쳐서 엽연초로부터 증발하여 흩어지고, 천장면이나 측벽에 맺힌 물방에 의한 흘러내리는 물은 바닥 아래의 통풍공간(5)에 떨어지고, 배수드레인(24)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즉, 지금까지 종종 볼 수 있었던 천장면이나 측벽으로의 결로로부터의 낙하 및 정면의 문(2)이나 측벽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이 바닥면에 체류하는 일이 많고, 그 재증발에 의한 건조실 내의 온도상승에 기인한 부패나 온도의 과잉상승과 온도의 과잉하강에 기인한 엽연초악화의 발생은 완전히 해소된다.
상하단으로 매단 생엽은 균일하게 완전황변하고, 이 단계에서 중골의 연화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에 갈변기에 있어서는, 밀폐실(1)내의 온도를 25℃∼30℃, 상대습도를 70%∼75%로하여 설정하는 경우, 건구·습구센서(12),(13)와 전열히터(7)와 송풍기(8)와 전체열교환형 환기장치(9), 가습기(1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자동제어기구(14)의 제어에 의해 상술한 황변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엽연초의 방습에 이상적인 온,습도조건으로 유지한다.
그리고, 야간에는, 자동제어기구(14)에 미리 건조조건을 미리 입력하여 두고, 외기가 고습인 경우에는 전체열 교환형 환기장치(9)로 고습한 외기를 설정습도에 근접시켜서 장치내에 공급하고, 외기가 저습한 경우에는, 가습기(10)로 수증기를 장치내에 공급하고, 모두 야간의 엽연초의 흡습에 이상적인 상대습도 80%∼90%로 제어하는 것이 좋다(이때의 장치내 온도는 20℃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하루의 온도와 상대습도의 변화를, 이상과 같은 갈변기의 건조에 이상적인 조건으로 하여서 갈변이 끝날때까지 매일 되풀이함으로써 밀폐계의 촘촘히 매다는 조건하에서도, 엽연초의 흡방습을 이상적으로 행할 수 있슴과 동시에, 물크러진 잎의 발생의 원인이 되는 장치내 공기의 혼탁도 방지할 수 있다.
이와같이 전체열 교환형 환기장치(9)에 의하여 열회수 및 제습된 공기, 또는 가습기(10)에 의하여 수증기로 가습된 공기는 급기덕트(11)를 거쳐서 장치내 통풍경로(6)로 유도되는데, 이 경우, 장치내 전체에 소정의 상대습도로 조정된 공기가 균일하게 분배될 필요가 있으나, 상기 급기덕트(11)에 동량분배형 급기덕트(20)를 채용함으로써 그들 공기는, 복수의 동량분배형 급기덕트(20)로부터 분산되어서 송풍기(8) 상에 보내지고, 건구·습구센서(12),(13)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제어기구(14)에 넣어지는 프로그램의 지시에 의거하여 작동하는 전열히터(7)에 의하여 온도조절된 후, 건조장치의 바닥 아래의 통풍공간(5)으로 보내지고, 바닥면(3)의 통풍구멍(4)을 거쳐서 엽연초의 매달기부에 균일하게 불려올라간다. 이 경우의 공기를 불어올리는 속도(풍속)는 황변기로부터 갈변기까지는 25cm/sec, 중골건조기와 마무리건조기에서는 15cm/sec가 되도록 송풍기(8)의 회전속도를 제어기구(14)에 넣어져 있는 인버터 조정기능으로 자동조절된다.
황변기나 갈변기에 있어서의 고습공기는, 불어올리기나 순환에 의하여 건조장치 위편에 모이는데, 이것들은 전체열 교환형 환기장치(9), 가습기(10)에 조립한 배기덕트(23)의 끝단구멍(23a)로부터 배기덕트(23)를 거쳐서 전체열 교환형 환기장치(9)에 혼입되고, 그 내부에서 실내쪽 흡입공기(고습공기)와 실외쪽 흡입공기가 열교환기를 사이에 두고 교차할 때에, 온도와 습도의 교환이 행하여지고, 열회수와 습도를 적절하게 한 신선한 공기가 상기한 경로로 건조장치 내에 공급된다.
중골건조는 자연건조에 의하면 15∼20일의 장기간을 요하고, 더구나 완성된 잎은 출하적정수분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를 위한 마무리 건조를 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중골건조를, 그 기본조건인 40℃까지의 단계적 승온과 그 후의 주간 간헐운전·야간휴지, 풍속 15cm/초를 장치내에서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마른 잎은 걷어내리기에 이상적인 수분이 되고, 매우 귀찮은 습도 조정작업이 현저하게 간이하고 되고, 건조기간 전체의 단축과 향끽미의 향상이 기대된다.
본 발명 장치에 의한 건조일수는, 수확회기에 따라서 어느 정도 다르지만, 평균으로 황변기 3일간, 갈변기 8일간, 중골건조기 10일간, 습도조정 0일간, 계 21일간이고, 종래의 자연건조에 비하여 각각 4일간, 2일간 8일간 및 1일간, 계 15일간으로 대폭 단축이 되고, 건조시설의 더한층 효율적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처리능력은, 13.2m2(약 4평) 타입의 경우, 1회기의 수확에 대하여 45∼50아르분의 엽연초를 건조할 수 있으나, 이것은 종래의 건조시설의 10배 이상에 상당하고, 현저한 능력상승이다.
이상과 같이 전공정의 관리체제가, 모두 자동제어방식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가끔 들여다보는 창(30)으로 감시하는 정도로, 일체의 노력이 불필요 하다. 전열히터를 열원으로 하면서 전자 제어조작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열효율성이 매우 양호하고, 생산성도 높고, 고품질이 확보된다. 화재발생의 위험도 해소된다. 평면설치식이서 기초공사가 불필요한 것도 큰 잇점이다.
연초농가에게 유익한 발명이 될 것이 확실하며, 산지보급의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으로서 헤아릴 수 없는 이익을 가져온다.

Claims (6)

  1. 정면에 문(2)을 가진 밀폐실(1)의 바닥면(3)은 통풍구멍(4)을 다수 배설하여 그바닥 아래에 통풍공간(5)을 형성하고, 후부에는 상기 밀폐실(1)과 바닥 아래의 통풍공간(5)을 연결하는 통풍경로(6)를 형성하여, 그 통풍경로(6)내에는 전열(電熱) 히터 (7) 및 송풍기(8)를 비치함과 동시에 상기 통풍경로(6)의 천장부위에는 실외에 비치한 가습기(10)를 조립한 전체열 교환형(全熱交換型) 환기장치(9)의 급기덕트(11)를 임하게 하고, 또한 상기 밀폐실(1)의 적당한 부위에 건구(乾球)·습구(濕球) 센서(12), (13)를 비치하고, 상기 밀폐실(1) 밖에 그 건구·습구센서(12),(13)와 상기 전열히터 (7)와 송풍기(8)와 전체열 교환형 환기장치(9), 가습기(1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그것들의 출력조정 및 설정온도하의 습도조정을 담당하는 자동제어기구(14)를 비치하고, 또한 상기 밀폐실(1)내에는, 안길이방향의 중앙소정간격의 바닥면(3)과 천장면(17) 사이에 지주(支柱)(15)를 붙이고 떼기 가능하게 세워설치하고, 이들 지주(15)의 안길이 수평방향 중간높이와 위편높이 및 밀폐실(1)의 양측벽의 대응부위에 엽연초의 행거레일(18), (19)을 부착하고, 또한 상기 전체열 교환형 환기장치(9), 가습기(10)에 배기덕트(23)를 짜넣어서 그 끝단구멍(23a)를 밀폐실(1)의 천장벽내에 임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래종, 벌리종 엽연초의 자동 제어식 일관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습기(10)가 투습막(透濕膜) 가습기인 재래종, 벌리종 엽연의 자동제어식 일관건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지주(15)의 공간에 격자틀(16)을 설치하고, 그 격자틀(16)의 안길이 수평방향의 중간높이와 위편높이 및 밀폐실(1)의 양 측벽의 대응부위에 엽연초의 행거레일(18),(19)을 부착한 재래종, 벌리종 엽연초의 자동제어식 일관건조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통풍경로(6)의 천장부위에 임하게 한 전체열교환형 환기장치(9), 가습기(10)의 급기덕트(11)가 등량분배형 급기덕트(20)인 재래종, 벌리종 엽연초의 자동제어식 일관건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행거레일(18), (19)에 이 행거레일(18), (19)를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활주걸림편(22)군을 설치하여서 이루어진 재래종, 벌리종 엽연초의 자동제어식 일관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바닥아래의 통풍공간(5)에 실내를 흘러내리는 물의 배수드레인(24)을 설치하여서 이루어지는 재래종, 벌리종 엽연초의 자동제어식 일관건조장치.
KR1019960001782A 1995-08-11 1996-01-27 재래종, 벌리(burley)종 엽연초의 자동제어식 일관건조장치 KR100231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27056 1995-08-11
JP7227056A JP3041575B2 (ja) 1995-08-11 1995-08-11 葉たばこの自動制御式一貫乾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638A KR970009638A (ko) 1997-03-27
KR100231520B1 true KR100231520B1 (ko) 1999-11-15

Family

ID=16854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782A KR100231520B1 (ko) 1995-08-11 1996-01-27 재래종, 벌리(burley)종 엽연초의 자동제어식 일관건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41575B2 (ko)
KR (1) KR100231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224B1 (ko) 2015-06-11 2016-08-05 신흥기업 주식회사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9627A (zh) * 2012-04-01 2012-07-25 黄灿荣 节能型烟叶烤房
CN103478881A (zh) * 2013-09-09 2014-01-01 贵州省烟草科学研究院 一种密集烤房的加热装置
JP6641701B2 (ja) 2014-03-14 2020-02-05 株式会社リコー 雰囲気センサとその製造方法、及び印刷物の製造方法
CN105192871B (zh) * 2015-10-12 2017-03-08 罗朝三 烤烟房及烟叶烘烤工艺
CN108208902B (zh) * 2018-04-08 2020-08-11 江苏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气流式烘丝机工艺气温度控制方法
CN109156863B (zh) * 2018-11-14 2021-07-13 云南省烟草农业科学研究院 一种三段式控时变黄的烤烟密集烘烤方法
CN109330011B (zh) * 2018-11-29 2021-04-06 云南省烟草农业科学研究院 一种烤烟热泵烤房用换热装置
CN113475731B (zh) * 2021-07-20 2022-08-16 湖北省烟草科学研究院 一种智能化控制的茄衣专用晾房及晾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9056U (ko) * 1978-02-08 1979-08-21
JPH03195484A (ja) * 1989-12-26 1991-08-27 Ono Kiko Kk たばこ葉乾燥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224B1 (ko) 2015-06-11 2016-08-05 신흥기업 주식회사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41575B2 (ja) 2000-05-15
JPH0951790A (ja) 1997-02-25
KR970009638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45007B2 (ja) 高層建築物
KR100231520B1 (ko) 재래종, 벌리(burley)종 엽연초의 자동제어식 일관건조장치
KR100622676B1 (ko) 풍량제어 하향 송풍식 열풍순환 벌크 건조기
KR101275867B1 (ko) Led를 이용한 식물재배 겸용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RU2549087C1 (ru) Теплица и способ поддержания и регулирования микроклимата в ней
CN213719750U (zh) 一种温湿调节均衡的白茶萎凋房
KR200403920Y1 (ko) 고추 건조기
JP2530422B2 (ja) 葉たばこの調湿方法
JPH01289475A (ja) 葉たばこ乾燥方法
CN213631234U (zh) 一种采用双风机循环的热泵烤房
KR100503971B1 (ko) 곶감의 제습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
KR100723992B1 (ko) 대류 건조기
JP3396509B2 (ja) 褐色種葉たばこ乾燥装置
KR102124262B1 (ko) 곶감 건조 시스템
CN208012257U (zh) 一种可拆卸猕猴桃花粉干燥装置
CN216255389U (zh) 一种区间恒温恒湿雪茄烟调制房
CN219556294U (zh) 一种温湿度均匀的雪茄烟叶晾制系统
KR0144207B1 (ko) 건조기능 및 제습기능을 갖는 옷장
CN217772287U (zh) 热风循环式烘鞋装置
CN205482125U (zh) 一种均热热泵烘干房
CN220859412U (zh) 一种雪茄烟烟叶排湿晾房
JPH0420571B2 (ko)
CN215686006U (zh) 用于家居或办公场所的智能集成板
JP2004019989A (ja) 干し柿の乾燥装置
CN217885056U (zh) 一种烟草烘烤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