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655Y1 - 농수산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농수산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655Y1
KR200187655Y1 KR2019990027755U KR19990027755U KR200187655Y1 KR 200187655 Y1 KR200187655 Y1 KR 200187655Y1 KR 2019990027755 U KR2019990027755 U KR 2019990027755U KR 19990027755 U KR19990027755 U KR 19990027755U KR 200187655 Y1 KR200187655 Y1 KR 2001876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agricultural
drying chamber
drying apparatus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도
Original Assignee
최석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석도 filed Critical 최석도
Priority to KR2019990027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6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6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6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조실을 원적외선이 방사되고 축열효과와 열전도율이 좋은 황토를 사용하여 황토굴형태로 구성하고 건조실내에 흡출식으로 열풍을 순환공급되도록한 구성으로 골고루 건조되게 함으로서 농수산물의 건조상태가 균일하고 위생건조 및 고유의 영양가를 그대로 유지보존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장방형의 건조실(10)일측은 개폐형 공기유입구(11)를 형성하고 반대편은 개방형 공기배출구(12)를 형성하며, 상기 공기유입구(11)내측은 다수의 연관(13a)이 배치된 열풍체(13)를 설치하고 공기배출구(12) 내측은 송풍기(14)를 설치하며, 건조실(10)내의 상측은 분리대(15)를 설치하고 그 양측에 통기구멍(16)(16')이 형성된 통기실(17)을 구성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이다.

Description

농수산물 건조장치{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DRYING APPARATUS}
본 고안은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조실을 원적외선이 방사되고 축열효과와 열전도율이 좋은 황토를 사용하여 황토굴형태로 구성하고 건조실내에 흡출식으로 열풍을 순환공급되도록한 구성으로 골고루 건조되게 함으로서 농수산물의 건조상태가 균일하고 위생건조 및 고유의 영양가를 그대로 유지보존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농수산물을 자연건조시키지 않고 열풍으로 강제 건조시키는 건조장치가 설치되어 신속하게 건조시킬수 있게 하였으나 건조실이 시멘트몰탈층으로 구성되어 단열성과 축열성이 크게 떨어지는 열손실이 많기 때문에 그 만큼 열료비가 많이 들뿐만 아니라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냄새등이 건조실내에 잔류된 상태로 건조가 이루어지고 열풍만으로는 건조물의 살균능력도 떨어져서 위생적으로 건조되지 못하였다.
또한, 열풍공급수단은 건조실의 일측에서 열풍을 불어 넣는 구성이어서 열풍순환도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건조실내에 열풍이 골고루 펴져나가지 않은 상태이므로 건조물의 일부분은 과다하게 건조되고 또 다른 부분은 건조되지 않는 등 건조상태가 좋지 않아서 농수산물 고유의 영양가를 파괴시키고 육질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황토를 사용하여 황토굴형태의 건조실을 구성하되 장방형의 건조실 일측에 개폐형 공기유입구를 형성하고 반대편에 개방형 공기배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공기유입구 내측에 열풍체를 설치하고 공기배출구 내측에 송풍기를 설치하여 흡출식으로 열풍이 공급되게 하며 건조실내의 상측에 분리대를 설치하여 그 양측에 통기구멍이 각각 형성된 소폭의 통기실 구성으로 열풍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벽체의 일부확대 단면도로서
(가)는 황토층만으로 구성시킨 상태
(나)는 몰탈층에 황토층을 구성시킨 상태
(다)는 황토층에 숯, 옥, 맥반석등의 보조부재를 구성시킨 상태
도 4는 본 고안의 발열체의 구성예시도
(가)는 정면도, (나)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건조장치 10 : 건조실
11 : 공기유입구 12 : 공기배출구
13 : 열풍체 13a : 연관
14 : 송풍기 15 : 분리대
16,16' : 통기공 17 : 통기실
18 : 통기창 20 : 황토층
21 : 시멘트몰탈층 22 : 보조부재
본 고안의 건조장치(A)는 원적외선이 방사되고 축열효과와 열전도율이 좋은 황토를 사용하여 황토굴형태의 장방형으로 건조실(10)을 구성한다.
건조실(10)일측은 개폐형 공기유입구(11)를 형성하고 반대편은 개방형 공기 배출구(12)을 형성하며, 상기 공기유입구(11) 내측은 다수의 연관(13a)이 배치되어 버너로 가열되는 열풍체(13)를 설치하고 공기배출구(12)내측은 송풍기(14)를 설치하여 흡출식으로 열풍이 공급되도록 한다.
건조실(10)내의 상측은 칸막이 형태의 분리대(15)를 설치하고 그 양측에 건조실(10)과 관통된 통기구멍(16)(16')이 각각 형성되는 통기실(17)을 구성하며 통기실(17)벽체에 외부공기가 소통될수 있는 개폐형 통기창(18)을 형성한다.
건조실(10)의 황토층은 도3의 (가)는 황토층(20)만으로 된 구성이고 (나)는 시멘트 몰탈층(21)에 황토층(20)을 입힌 구성이며, (다)는 황토층(20)에 소정간격으로 보조부재(22)를 부착한 구성이다.
상기 보조부재(22)는 많은 음이온이 발생되고 수많은 미세구멍으로 유해물질 흡착기능을 가진 숯과, 원적외선이 많이 발생되는 옥과 맥반석을 사용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3, 23'는 건조물 출입구이고, 24는 대차안내레일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건조실(10)이 황토를 사용한 황토굴형태로 구성되어 건조실(10)내의 황토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되므로 원적외선의 효능인 탈취효과, 방균효과, 제습효과, 공기정화효과를 얻게 될뿐만 아니라 황토와 함께 부착된 숯, 옥, 맥반석에 의해서 그 효과를 한층 증대시킬수 있게 된다.
또, 황토는 열을 오래 지속시키는 축열효과가 뛰어나고 열을 고루퍼지게 하는 열전도율도 높아서 열효율도 향상시킬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건조실(10)은 공기유입구(11)내측에 열풍체(13)가 설치되고 반대편 공기배출구(12)내측에 송풍기(14)가 설치되어 흡출식으로 공기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열풍체(13)에 배치된 다수의 연관(13a)에 접촉되어 건조실(10)내에 열풍이 골고루 펴져서 균일하게 농산물을 건조시키게 되며 어느정도 건조가 되면 공기유입구(11)를 차단시켜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되면 건조실(10)내에 유입되는 공기는 송풍기(14)에 의해 공기배출구(12)로 빠져나가던 열풍이 통기공(16)을 통해 통기실(17)로 흡인되어 통기공(16')을 거쳐 건조실(10)로 공급되는 열풍순환방식으로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열풍효율이 높아지고 농수산물을 완전 건조하게 된다.
특히, 본 건조장치에 의해 건조된 건어물은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살균기능으로 위생적으로 건조되고 균일한 건조로 육질이 좋고 맞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건조실(10)에 농수산물을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이송대차등을 사용하여 안내레일(24)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건조장치는 농수산물의 건조상태가 균일하고 위생건조 및 고유의 영양가를 그대로 유지보존할수 있게 되어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장방형의 건조실(10)일측은 개폐형 공기유입구(11)를 형성하고 반대편은 개방형 공기배출구(12)를 형성하며, 상기 공기유입구(11)내측은 다수의 연관(13a)이 배치된 열풍체(13)를 설치하고 공기배출구(12) 내측은 송풍기(14)를 설치하며, 건조실(10)내의 상측은 분리대(15)를 설치하고 그 양측에 통기구멍(16)(16')이 형성된 통기실(17)을 구성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건조실(10)을 황토층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건조실(10)의 황토층에 소정간격으로 숯을 부착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건조실(10)의 황토층에 소정간격으로 옥을 부착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건조실(10)의 황토층에 소정간격으로 맥반석을 부착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19990027755U 1999-12-10 1999-12-10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01876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755U KR200187655Y1 (ko) 1999-12-10 1999-12-10 농수산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755U KR200187655Y1 (ko) 1999-12-10 1999-12-10 농수산물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655Y1 true KR200187655Y1 (ko) 2000-07-15

Family

ID=19600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755U KR200187655Y1 (ko) 1999-12-10 1999-12-10 농수산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65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493A (ko) * 2002-01-09 2003-07-16 차영섭 황토를 이용한 벼의 건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93375B1 (ko) * 2006-11-28 2008-01-11 김영곤 고추 건조장치
KR101673268B1 (ko) 2016-03-31 2016-11-07 유준모 황토볼이 구비된 가마형 농수축산물 건조장치
KR20210023204A (ko) 2019-08-22 2021-03-04 박규태 황토를 이용한 건조장
KR20220062775A (ko) * 2020-11-09 2022-05-17 이상철 냉방, 난방 또는 건조를 위한 공기조화실의 설치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493A (ko) * 2002-01-09 2003-07-16 차영섭 황토를 이용한 벼의 건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93375B1 (ko) * 2006-11-28 2008-01-11 김영곤 고추 건조장치
KR101673268B1 (ko) 2016-03-31 2016-11-07 유준모 황토볼이 구비된 가마형 농수축산물 건조장치
KR20210023204A (ko) 2019-08-22 2021-03-04 박규태 황토를 이용한 건조장
KR20220062775A (ko) * 2020-11-09 2022-05-17 이상철 냉방, 난방 또는 건조를 위한 공기조화실의 설치구조
KR102587929B1 (ko) 2020-11-09 2023-10-10 이상철 냉방, 난방 또는 건조를 위한 공기조화실의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181B1 (ko)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US20130199581A1 (en) Equipment disinfecting and drying unit
CN211503107U (zh) 一种带蒸干功能的湿帘加湿器
US5874050A (en) Room air sterilization device
KR100370363B1 (en) Clothes drying machine having wrinkles removing function
WO2021206240A1 (ko) 유속저하수단을 구비한 제습장치를 포함하는 신발 살균건조 장치
KR200187655Y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JP2006207869A (ja) 壁面設置又は自立式パネル型冷暖房装置
US3110286A (en) Forced air ventilating floor for poultry houses
KR102463866B1 (ko) 유기성 폐기물 탈취장치
CN111184898A (zh) 智能消毒灭菌干燥柜
CN212214258U (zh) 智能消毒灭菌干燥柜
KR200407737Y1 (ko) 중앙열원장치를 가진 농수산물 건조기
KR20090038954A (ko) 멸균 온풍기
JP2004144450A (ja) 収納室の空調システム
CN209847042U (zh) 一种环形出风的烘手机
KR0144207B1 (ko) 건조기능 및 제습기능을 갖는 옷장
JP2000046466A (ja) 布団乾燥を可能としたバスル−ムシステム
JP3051975B2 (ja) 製床用畳わらの乾燥殺菌装置
CN211854671U (zh) 一种消毒灭菌用的气密及通风干燥系统
KR200369084Y1 (ko) 살균 및 방향수단을 갖는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JP2004061068A (ja) 住宅換気システム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CN212644793U (zh) 一种暖风除湿装置
KR101741511B1 (ko) 건조기
KR200298653Y1 (ko) 빨래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