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449B1 -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449B1
KR102596449B1 KR1020220103749A KR20220103749A KR102596449B1 KR 102596449 B1 KR102596449 B1 KR 102596449B1 KR 1020220103749 A KR1020220103749 A KR 1020220103749A KR 20220103749 A KR20220103749 A KR 20220103749A KR 102596449 B1 KR102596449 B1 KR 102596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tobacco
drying room
humidification system
discharge line
dried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창규
Original Assignee
손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창규 filed Critical 손창규
Priority to KR1020220103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3/00Preparing tobacco in the factory
    • A24B3/04Humidifying or drying tobacco bunches or cut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00Preparation of tobacco on the plantation
    • A24B1/02Arrangements in barns fo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tobacco, e.g. with devices for 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조가 완료된 잎담배(건조 잎담배)를 포함한 건조실에 적정량의 수분을 공급하여 건조 잎담배가 빠른 시간안에 적정수분을 포함하게 만듬으로 기다림 없이 연속적인 후공정(발내림과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잎담배 건조 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잎담배 건조 자동가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급장치와 제어장치 그리고 가습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Dry leaf tobacco automatic humid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가 완료된 잎담배(건조 잎담배)를 포함한 건조실에 적정량의 수분을 공급하여 건조 잎담배가 빠른 시간 안에 적정수분을 갖도록 만듬으로 기다림 없이 연속적인 후공정(발내림과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잎담배 건조 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잎담배 생산자는 담배 잎을 수확한 후 건조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건조된 건조 잎담배는 가공업자에게 인도되며, 가공업자는 수증기을 이용하여 다시 건조시킨 후, 맛을 내는 가공을 수행하며, 양생(養生)을 하고 잘게 자른 다음 제품화하고 있다.
이러한 건조기술로는 자연건조보다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열풍에 의한 건조방식이 채택되고 있는데, 경작지의 담배 줄기로부터 채취된 잎담배는 농가에 비치된 건조기에 장입시키고 고온의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게 된다.
열풍에 의한 건조방식은 잎담배를 위한 건조기술 뿐만 아니라 고추 등의 농산물, 미역, 멸치 등의 수산물을 건조하는 데에도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서, 송풍기를 이용하여 뜨거운 공기를 건조기 내에 강제 순환시키면서 담배 잎 등을 건조시키는 방식이다.
한편, 잎담배 건조 시간은 건조기에 장입시킨 후에 장시간(대략 150시간까지) 건조하여야 하는데, 통상 잎담배는 담배 잎의 색상이 황금색으로 변할 때까지 충분히 건조시킨다. 담배 잎은 건조 과정에서 건조 시간에 따라 색상이 변하게 되는데, 건조 과정에서 담배 잎의 색상 상태를 확인하고, 색상 상태에 따라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 등을 적절하게 변화시키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통상, 황색종 잎담배는 건조가 완료되면 잎담배 내의 수분 보유 함유량이 통상 5% 이하로, 잎이 잘 부서질 수 밖에 없으며 원활한 후속공정(발내림과 선별작업)이 불가하여 건조 잎담배가 적정수분(통상 12 ~15%)에 도달할 때까지 자연가습을 통해 함수율이 적정수분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리게 된다.
현재 농가에서 사용하는 자연가습 방식은 잎담배가 적정수분에 도달할 때까지 외기 중의 습기가 자연적으로 잎담배에 흡수되도록 건조기의 배기구 및 출입문을 개방하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연가습 방식은 일기(날씨)에 따라 건조 잎담배의 흡습량이 불균일하여 과습품 생산 위험성이 높고, 흡습 시간이 장시간(통상 24~72시간)이 소요되므로 자연가습 하는 동안 건조기는 건조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한 건조기 활용효율 및 잎담배 생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다시 말해, 자연가습을 하는 동안 발내림 불가로 건조기를 작동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건조가 완료된 잎담배를 건조실에서 꺼내고 선별작업 및 후 작업을 위해 작업자들이 필요한데, 날씨에 따라 언제 작업할 수 있을지 정확하게 공지할 수 없어 인건비 및 작업단가가 올라가는 문제점 또한 발생하였다.
더불어 자연가습시 잎담배 과건, 과습, 부패엽 발생율이 올라가 고품질의 잎담배 생산이 어렵고 이로 인한 농가 소득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건조기의 연속적인 활용이 가능하면서 연속적인 후속작업(발내림 및 선별작업)의 수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건조 잎담배에 균일한 적정수분 공급과 흡습시간 단축을 위한 기술이 필요하며, 잎담배의 건조 완료 후 신속한 발내림을 통해 건조기의 작동 시간 즉, 활용능률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6224호 (2016.08.01.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건조가 완료된 잎담배(건조 잎담배)를 포함한 건조실에 적정량의 수분을 공급하여 건조 잎담배가 빠른 시간 안에 적정수분을 갖도록 만듬으로 기다림 없이 연속적인 후공정(발내림과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잎담배 건조 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은, 건조가 완료된 잎담배(건조 잎담배)를 포함한 건조기 건조실에 설정의 유량과 압력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설정의 압력으로 외부 수전과 연결된 유입라인을 통해 물을 내부로 펌핑하여 배출라인을 통해 펌핑한 물을 배출하는 공급장치와; 상기 건조실에 공급할 유량을 설정하고, 설정된 유량만큼 상기 배출라인으로 배출되게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배출라인의 일측과 연결되어 건조실의 타공바닥판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공급된 물을 상기 타공바닥판의 타공을 통해 건조실 내부로 공급하는 가습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급장치는 제어장치와 케이블로 전기적 연결되어 동작이 제어되되, 유입라인을 통해 물을 끌어오는 펌프와, 배출라인과 연결되어 배출되는 유량을 체크하는 유량센서와, 상기 펌프를 통해 펌핑되고 배출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고 조절하는 압력조절기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필요에 따라, 공급장치는, 유입라인을 통해 유입된 물을 저장하는 보조탱크와, 이송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더 포함한다.
한편, 제어장치는 공급장치와 케이블로 전기적 연결되어 공급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면제어패널부를 포함하되, 공급할 유량을 임의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와,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된 유량을 확인하기 위한 현재상태확인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일 예로, 설정부는, 물의 공급량설정치를 수치적으로 보여주는 공급량설정표시창과, 유량을 공급할 시간 또는 습도를 설정하여 수치적으로 보여주는 시간/습도설정표시창과, 설정 수치를 조정하기 위한 설정버튼을 포함한다.
일 예로, 현재상태확인부는, 현재까지 공급된 물의 공급량(유량)을 수치적으로 보여주는 공급량표시창과, 현재까지 물을 공급한 시간 또는 현재 습도를 수치적으로 보여주는 경과시간/습도표시창과, 리셋을 위한 초기화버튼과, 시간과 습도를 선택적으로 보기 위한 확인버튼을 포함한다.
한편, 제어장치는, 공급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보여주는 작동상태확인부와, 공급장치의 구동여부 및 공급장치를 통해 제어가능한 기능 설정을 보여주는 제어가능설정부와, 이미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가능한 설정을 보여주는 빠른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습장치는, 건조실 내벽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배출라인과 연결된 입구관과; 설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분사구를 형성하고, 설정의 길이를 가지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분기된 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입구관과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태로 건조실 내벽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타공바닥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노즐관과; 입구관과 노즐관을 구분하는 위치에 설정의 크기를 가지는 판상 형태를 가지며, 건조실 내벽의 관통공의 틈새를 차단하면서 건조실 내벽에 고정되어 입구관과 노즐관을 지지하는 결합판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가습장치의 입구관은 상기 배출라인의 단부와 착탈되게 결합하며, 일측에 배출라인과 연결되지 않은 입구관에 삽입되는 입구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판은, 관통공의 테두리에 형성한 거치홈에 안착되어 관통공을 덮으면서 탈착가능하게 고정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건조기의 건조실 건구온도는 65℃ 이상이고, 건조실 내의 수분은 포화상태를 조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은, 건조가 완료된 잎담배(건조 잎담배)를 포함한 건조실에 적정량의 수분을 공급하여 건조 잎담배가 빠른 시간 안에 적정수분을 갖도록 만듬으로 기다림 없이 연속적인 후공정(발내림과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잎담배 건조 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빠른 시간안에 건조 잎담배가 적정수분을 갖도록 하여 건조기를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에 적용한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에 적용한 제어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에 적용한 가습장치의 일 실시예와 건조실 내벽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에 적용한 가습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부 또는 상방은 설치된 바닥면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며, 하부 또는 하방은 이와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1)은, 건조기(10)의 건조실(11) 내부로 걸대(20)에 널려진 건조가 완료된 잎담배(건조 잎담배, 30)가 빠른 시간 안에 적정 수분을 함유할 수 있도록 수분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1)은, 건조가 완료된 잎담배를 포함한 건조기 건조실(11) 내부에 설정의 유량와 압력으로 수분을 공급하는데, 도 1을 참조하면, 유입라인(L1)을 통해 외부 수전에서 물을 공급받고, 공급된 물을 배출라인(L2)을 통해 건조실(11) 내부로 강제적으로 분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크게 공급장치(100)와 제어장치(200) 및 가습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먼저,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1)에 적용한 공급장치(100)는, 외부 수전과 연결된 유입라인(L1)을 통해 설정의 압력으로 물을 내부로 펌핑하여 배출라인(L2)으로 펌핑한 물을 배출 이송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배출라인(L2)으로 배출되는 유량은 후술의 제어장치(200)를 통해 설정되며, 공급장치(100)의 제어장치(200)의 전기적 신호를 명령 신호로 받아들여 그 동작이 제어된다.
다시 말해, 공급장치(100)는, 제어장치(200)와 케이블(260)로 전기적 연결되어 동작이 제어되는데, 상술의 유입라인(L1)을 통해 물을 펑핑시켜 끌어오는 펌프(110)와, 상술의 배출라인(L2)와 연결되어 배출되는 유량이 어느 정도인지 체크하는 유량센서(120)와, 펌프(110)를 통해 펑핑되고 배출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고 조절하는 압력조절기(1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펌프(110)와 유량센서(120)와 압력조절기(130)는 제어장치(20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며, 측정된 값은 전기적 신호로 제어장치(200)에 전달되어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수치로서 표시창을 통해 보여진다.
한편, 공급장치(100)는 일측에 유입라인(L1)이 연결되고 타측에 배출라인(L2)이 연결된 함체 형상의 하우징(101) 내부에 그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데, 이를 통해 공급장치(100)를 보호하고 그 설치가 용이하게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공급장치(100)는, 유입라인(L1)을 통해 펌핑되어 유입된 물을 일시 저장하는 보조탱크(140)와, 이송되는 물에 혹시 포함되어 있을지 모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연결된 필터(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송되는 물의 안정적인 흐름(정방향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측에 전자변(16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공급장치(100)의 누전을 차단하고 전기적 안전을 위해 차단기(1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공급장치(100)를 구성하는 펌프(110)와 유량센서(120) 및 압력조절기(130), 그리고 보조탱크(140)와 필터(150) 등은 유체를 이송하는 통상의 이송관을 통해 연결되는데, 이러한 유체의 이송관은 공지의 기술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보조탱크(140)는 유입라인(L1)에서 유입된 물을 저장하여 안정적인 유량으로 배출라인(L2) 측으로 공급되게 하는데, 필요에 따라 하우징(101) 외부에 별도 형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1) 내부에 다른 공급장치 구성요소들과 함께 배치된다.
한편, 압력조절기(130)는 압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에 압력계(131)를 포함한다.
이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1)에 적용한 제어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장치(100)의 동작과 구동을 전기적 신호로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장치(200)는 건조실(11)의 크기에 따라 공급할 유량을 작업자가 선택 설정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설정된 유량만큼이 배출라인(L2)을 통해 배출되어 후술의 가습장치(300)를 통해 건조실 내부로 분사 공급된다.
이를 위해 제어장치(200)는, 공급장치(100)와 케이블(260)로 전기적 연결되어 공급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면제어패널부(200a)를 갖는다.
이때, 전면제어패널부(200a)에는 작업자가 건조실(11)의 크기에 따라 공급할 유량을 임의 설정할 수 있도록 조작가능한 설정부(210)와, 가동시간동안 배출라인(L2)을 통해 펌핑되어 배출된 유량을 확인하기 위한 현재상태확인부(2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설정부(210)는 물의 공급량설정치를 수치적으로 보여주는 공급량설정표시창(211)과, 유량을 공급할 시간 또는 습도를 설정하여 수치적으로 보여주는 시간/습도설정표시창(212)과, 설정 수치를 조정하기 위한 설정버튼(213)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현재상태확인부(220)는, 현재까지 공급된 물의 공급량(유량)을 수치적으로 보여주는 공급량표시창(221)과, 현재까지 물을 공급한 시간 또는 현재 습도를 수치적으로 보여주는 경과시간/습도표시창(222)과, 리셋을 위한 초기화버튼(223)과, 시간과 습도를 선택적으로 보기 위한 확인버튼(22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적용한 전면제어패널부(200a)에는 제어장치(200)를 구성하면서, 공급장치(1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보여주는 작동상태확인부(230)와, 공급장치(100)의 구동여부 및 공급장치를 통해 제어가능한 기능 설정을 보여주는 제어가능설정부(240)와, 이미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정해진 유량과 동작을 수행하도록 가능한 설정을 보여주는 빠른설정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작동상태확인부(230)는 펌프, 노즐막힘, 저수위, 자동종료 등의 상태를 점멸등(231)을 통해 보여주고, 제어가능설정부(240)는 현재 장치가 수행하고 있는 기능-예를 들어, 운전중/정지, 유량제어, 시간제어, 습도제어 등-을 상태표시등(점멸등)(241)을 통해 보여주고, 각각의 기능이 적힌 작동버튼(242)을 눌러 작업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빠른설정부(250)는, 선택된 조건, 예를 들어 건조실의 크기 - 2.5평, 6평 등 - 별 설정, 공급시간, 펌프 동작을 누름버튼(252)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누름버튼(252)을 눌렀을 때, 각 버튼의 동작에 이미 저장된 데이터에 의해 정해진 동작을 공급장치(100)가 수행하게 한다.
이어서, 재차 도 1과 도 4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한 가습장치(300)는, 배출라인(L2)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배출라인의 일측과 연결되어 건조실(11)의 타공바닥판(40)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가습장치(300)는, 배출라인(L2)을 통해 공급된 물을 타공바닥판(40)의 타공(41)을 통해 건조실(11) 내부로 공급한다.
이때, 건조실(11) 내부로 공급된 물은 분무 형태로 분사되고, 건조실(11) 내부의 열풍 공기 흐름에 따라 건조실(11) 내부를 돌면서 잎담배에 흡습된다.
한편, 잎담배는 저온에서 보다 고온에서 흡습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건조기(100)의 건조실 건구온도는 6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흡수율이 증가하므로 건조실(11) 내의 수분은 포화상태를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건조실(11) 환경조건을 통해 건조 잎담배의 흡습 속도와 흡수율을 높인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4(a)를 참조하면, 가습장치(300)는 입구관(310)과 노즐관(320) 및 결합판(330)의 구성을 갖는다.
입구관(310)은 건조실(11) 내벽(12) 외부로 돌출된 부분으로 배출라인(L2)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된다.
노즐관(320)은 설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분사구(321)를 갖는다. 그리고 설정의 길이를 갖는 관 형태를 가지며, 입구관(310)과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태로 건조실(11) 내벽의 관통공(12a)을 통과 관통하여 타공바닥판(40)의 하부에 배치된다. 필요에 따라 노즐관(320)은 하나 또는 분기된 복수개의 관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결합판(330)은 입구관(310)와 노즐관(320)을 구분하는 위치에 설정의 크기를 가지는 판상 형태를 가지며, 건조실 내벽(12)의 관통공(12a) 틈새를 차단하면서 건조실 내벽(12)에 고정되어 입구관(310)와 노즐관(320)을 정위치에 지지한다.
일 실시예로 결합판(330)은, 도 4(a)와 같이 결합공(331)에 관통되게 결합한 결합볼트(332)를 통해 건조실 내벽(12)에 고정된다.
한편, 입구관(310)과 배출라인(L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 필요에 따라 입구관을 막아 필요할 때만 가습장치(300)를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습장치(300)의 입구관(310)은 배출라인의 단부와 착탈되게 결합하며, 일측에 배출라인과 연결되지 않은 입구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의 입구마개(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에 적용한 입구관(310)-노즐관(320)-결합판(330)으로 이루어진 일체형상의 가습장치(300)는 필요에 따라 건조실 내벽(12)에서 분리착탈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습장치(300)가 장착되지 않은 건조실(11)은 내부 열기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게 관통공(12a)을 임의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차단판부(13)를 더 형성할 수 있다(도 4(b) 참조).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가습장치(300)의 설치를 위해 건조실 내벽(12)에 없던 관통공(12a)을 타공하여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건조실 내벽에 가습장치(300)의 설치를 위한 관통공(12a)이 형성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결합판(330)은 관통공(12a)의 테두리에 형성한 거치홈(12b)에 안착되어 관통공(12a)을 덮으면서 탈착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일예로, 결합판(33)을 힘(F)을 가해 밀면 단부 일측이 건조실 내벽에 구비된 고정구(12c)에 걸려 원터치 결합되는 방식일 수 있다.
가습장치(300)는 건조기(10)의 건조실(11) 각각 구비되게 설치할 수 있지만, 사용의 편이성과 설치단가를 고려하여 가습장치(300)를 사용할 건조실(11) 별로 착탈 결합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에서 하나의 배출라인(L2)은 하나의 가습장치(300)와 연결되는 것 처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배출라인(L2)에 분기장치(미도시)를 설치하고, 분기장치에 다수개의 가습장치(300)가 각각 연결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1)은, 구동장치(100)와 제어장치(200) 및 가습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어장치(200)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구동장치(100)과 펌핑하여 이송시킨 물을 가습장치(300)를 통해 설정된 유량과 시간만큼 건조실(11) 내부에 분사하여 건조 잎담배(30)가 2~3시간 이내에 적정수분까지 도달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건조 잎담배(30)가 빠른 시간 안에 적정수분을 갖도록 만듬으로 기다림 없이 연속적인 후공정(발내림과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잎담배 건조 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빠른 시간안에 건조 잎담배가 적정수분을 갖도록 하여 건조기(10)를 필요에 따라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전체적인 잎담배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
10 : 건조기 11 : 건조실
12 : 건조실 내벽 12a : 관통공
100 : 구동장치 110 : 펌프
120 : 유량센서 130 : 압력조절기
140 : 보조탱크 150 : 필터
160 : 전자변 170 : 차단기
200 : 제어장치
300 : 가습장치 310 : 입구관
320 : 노즐관 330 : 결합판

Claims (11)

  1. 건조가 완료된 잎담배(건조 잎담배)를 포함한 건조기 건조실에 설정의 유량과 압력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설정의 압력으로 외부 수전과 연결된 유입라인을 통해 물을 내부로 펌핑하여 배출라인을 통해 펌핑한 물을 배출하는 공급장치와;
    상기 건조실에 공급할 유량을 설정하고, 설정된 유량만큼 상기 배출라인으로 배출되게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배출라인의 일측과 연결되되,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공급된 물을 건조실 내부로 공급하는 가습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장치는,
    건조실 내벽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배출라인과 연결된 입구관과,
    설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분사구를 형성하고, 설정의 길이를 가지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분기된 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입구관과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태로 건조실 내벽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건조실 내부에 배치되는 노즐관과,
    상기 입구관과 노즐관을 구분하는 위치에 설정의 크기를 가지는 판상 형태를 가지며, 상기 건조실 내벽의 관통공의 틈새를 차단하면서 건조실 내벽에 고정되어 상기 입구관과 노즐관을 지지하는 결합판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가습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건조실은 내부 열기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게 상기 관통공을 임의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차단판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결합판은,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에 형성한 거치홈에 안착되어 관통공을 덮으면서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결합판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결합판의 단부 일측이 상기 건조실 내벽에 구비된 고정구에 걸려 원터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는 제어장치와 케이블로 전기적 연결되어 동작이 제어되되,
    유입라인을 통해 물을 끌어오는 펌프와,
    배출라인과 연결되어 배출되는 유량을 체크하는 유량센서와,
    상기 펌프를 통해 펌핑되고 배출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고 조절하는 압력조절기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는,
    유입라인을 통해 유입된 물을 저장하는 보조탱크와,
    이송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공급장치와 케이블로 전기적 연결되어 공급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면제어패널부를 포함하되,
    공급할 유량을 임의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와,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된 유량을 확인하기 위한 현재상태확인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물의 공급량설정치를 수치적으로 보여주는 공급량설정표시창과, 유량을 공급할 시간 또는 습도를 설정하여 수치적으로 보여주는 시간/습도설정표시창과, 설정 수치를 조정하기 위한 설정버튼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상태확인부는,
    현재까지 공급된 물의 공급량(유량)을 수치적으로 보여주는 공급량표시창과, 현재까지 물을 공급한 시간 또는 현재 습도를 수치적으로 보여주는 경과시간/습도표시창과, 리셋을 위한 초기화버튼과, 시간과 습도를 선택적으로 보기 위한 확인버튼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공급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보여주는 작동상태확인부와,
    공급장치의 구동여부 및 공급장치를 통해 제어가능한 기능 설정을 보여주는 제어가능설정부와,
    이미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가능한 설정을 보여주는 빠른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장치의 입구관은 상기 배출라인의 단부와 착탈되게 결합하며,
    일측에 배출라인과 연결되지 않은 입구관에 삽입되는 입구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건조실 건구온도는 65℃ 이상이고, 건조실 내의 수분은 포화상태를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
KR1020220103749A 2022-08-19 2022-08-19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 KR102596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749A KR102596449B1 (ko) 2022-08-19 2022-08-19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749A KR102596449B1 (ko) 2022-08-19 2022-08-19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449B1 true KR102596449B1 (ko) 2023-11-02

Family

ID=8874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749A KR102596449B1 (ko) 2022-08-19 2022-08-19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44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9226A (ja) * 1994-04-20 1995-11-07 Sanshu Sangyo Kk 葉たばこの調湿方法
KR101646224B1 (ko) 2015-06-11 2016-08-05 신흥기업 주식회사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130661A (ko) * 2015-05-04 2016-11-14 디에이치엠(주) 고압 분사장치
KR20180007784A (ko) * 2016-07-14 2018-01-24 최수인 곶감제조장치,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곶감제조시스템,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곶감제조장치의 건조방법,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 및 곶감제조방법
KR20180003217U (ko) * 2017-05-04 2018-11-14 볼캐스트 리미티드 공기 가습기
JP2020115763A (ja) * 2019-01-21 2020-08-06 パナソニック建設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農業用ハウスの給水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9226A (ja) * 1994-04-20 1995-11-07 Sanshu Sangyo Kk 葉たばこの調湿方法
KR20160130661A (ko) * 2015-05-04 2016-11-14 디에이치엠(주) 고압 분사장치
KR101646224B1 (ko) 2015-06-11 2016-08-05 신흥기업 주식회사 잎담배 건조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07784A (ko) * 2016-07-14 2018-01-24 최수인 곶감제조장치,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곶감제조시스템,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곶감제조장치의 건조방법,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 및 곶감제조방법
KR20180003217U (ko) * 2017-05-04 2018-11-14 볼캐스트 리미티드 공기 가습기
JP2020115763A (ja) * 2019-01-21 2020-08-06 パナソニック建設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農業用ハウスの給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75432B (zh) 洗碗机
EP1887127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U20092724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rooms within a building
CN102087041A (zh) 空调器加湿控制方法及具有加湿功能的空调器
BRPI0900994A2 (pt) máquina de lavar louças incluindo um sistema de recuperação de calor com suplemento de água quente
KR102596449B1 (ko)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
WO2011128241A1 (en) Condensation laundry dryer
WO2019095866A1 (zh) 空调器加湿系统
US20150201570A1 (en) Watering control method by monitoring soil moisture
WO2019095870A1 (zh) 空调器加湿系统
CN208082489U (zh) 恒温恒湿箱的加湿装置和恒温恒湿箱
US2631021A (en) Air conditioning unit
JP4837547B2 (ja) 浴室換気乾燥装置
US9682585B2 (en) Automatic film washout system
EP1551272B1 (en) A method for drying washed dishes, and a device for its implementation
JP3653398B2 (ja) 栽培ハウス用細霧冷房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30036850A (ko) 저진공 건조기능을 갖는 전기건조기
CN210123153U (zh) 蒸汽发生装置以及空气调节装置
KR102578283B1 (ko) 비닐하우스용 송풍장치
WO2014169707A1 (zh) 一种植物墙
US20050166615A1 (en) Evaporative cooler drain pump
CN201094182Y (zh) 一种催芽室的湿度控制装置
KR100708553B1 (ko) 실내 습도조절장치
KR20110115265A (ko) 습도 조절가능한 환기 장치
KR101621741B1 (ko) 터보 열풍분사 방식을 이용한 건물의 난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