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148A - 접점 박판 부품과 접점 박판 부품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접점 박판 부품과 접점 박판 부품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148A
KR20180061148A KR1020187005925A KR20187005925A KR20180061148A KR 20180061148 A KR20180061148 A KR 20180061148A KR 1020187005925 A KR1020187005925 A KR 1020187005925A KR 20187005925 A KR20187005925 A KR 20187005925A KR 20180061148 A KR20180061148 A KR 20180061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hin plate
sheet metal
metal part
fea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셸 울리쩨
크리스티앙 마이어
Original Assignee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80061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81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ouver type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 소켓 등의 제1 접촉 부재와 이에 결합될 수 있는 접촉 핀 등의 제1 접촉 부재 간에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며 종방향(L)으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접점 박판(120, 121; 220, 221)을 포함하는 접점 박판 부품(100; 200)을 구비하는데, 각 접점 박판은 제1 접촉 부재 및/또는 제2 접촉 부재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접촉 영역(130, 131; 230, 231)을 가지며, 제1 접점 박판(120; 220)의 접촉 영역(130; 230)은 제2 접점 박판(121; 221)의 접촉 영역(131; 231)에 대해 종방향(L)으로 편심되어 배치된다.

Description

접점 박판 부품과 접점 박판 부품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preamble)에 따라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제1 접촉 부재(contact element)와 제2 접촉 부재 간에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접점 박판 부품(contact lamella part)에 관한 것이다. 접점 박판 부품은 종방향으로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접점 박판들을 가지는데, 각 접점 박판들은 제1 접촉 부재 및/또는 제2 접촉 부재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접촉 영역(contact zone)을 가지고 있다.
제1 접촉 부재는 예를 들어 접촉 핀 또는 접촉 플러그 형태의 제2 접촉 부재가 결합의 목적으로 플러그 결합 방향(plugging direction)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접촉 소켓인데, 여기서 접점 박판 부품이 접촉 소켓과 접촉 플러그 간에 전류 흐름 경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접점 박판 부품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에도 관련된다.
두 접촉 부재들 간에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접점 박판을 가지는 접점 박판 부품들이 공지되어 있다. 접점 박판은 접점 박판 부품과 접촉 부재 간에 낮은 접촉 저항(contact resistance)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결합 상태에서 기계적 예압(preload)으로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에 밀착되어 위치하도록 흔히 탄성적 또는 유연하게 설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박판 부품의 접점 박판이 접촉 핀(610)을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공간(receiving space)으로 돌출되도록, 접점 박판 부품들은 접촉 소켓(600)의 내부에 박판 케이지(lamellar cage; 620) 방식으로 지지(hold)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접점 박판의 중앙에 배치된 접촉부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절곡부(bend)를 가진다. 설계상 접촉 소켓(600)에 상보적(complementary)인 접촉 핀(610)들이 수용 공간으로 삽입되면, 접점 박판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결합 상태에서 기계적 예압에 의해 접촉 핀(610)에 밀착되어 위치한다.
그러나 접점 박판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접점 박판 부품이 구비된 플러그 연결의 결합에는 비교적 큰 플러그 결합력(plugging force)이 필요하다는 점이 파악되었다. 뿐만 아니라, 특히 고전류나 고주파 신호의 전송에는 특히 낮은 접점 저항이 필요한데, 이는 종래의 접점 박판 부품에 의해서는 신뢰성 높고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없다.
전술한 문제들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전류 또는 HF 신호의 전송에 적합한 동시에 특히 간단한 설치가 가능한 접점 박판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가지는 접점 박판 부품과 청구항 16에 따르는 플러그 커넥터에 의해 달성된다. 유용한 추가적 개발사항은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점 박판 부품은 제1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이 제2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에 대해 종방향으로 편심(offset)된 차이를 가진다.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은 결합된 상태에서 접점 박판이 접촉 핀 등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 또는 접촉 핀과 접촉 소켓 등의 두 접촉 부재들에 탄성적 예압으로 접점하여 위치하는 접점 박판의 종축을 따른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접점 박판은 접촉 영역에서 그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그 사이에 접점 박판이 작용하는 제1 접촉 부재와 제2 접촉 부재가 결합되면 기계적 예압 하에서 가압되어 접촉 부재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착(close contact), 특히 양 접촉 부재들 모두에 가압된다.
예를 들어, 접점 박판은 접촉 영역에서 절곡(bend), 굴곡(curvature), 비틀림(torsion), 또는 경사(tilted), 비틀림(twisted), 어떤 각도로 경사 등을 가져, 접촉 영역에서 박판 평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데, 이 돌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와 기계적 예압 하에서 접점을 형성(establish contact)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박판 평면은 접점 박판의 종축과 박판 폭의 횡축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두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이 종방향으로 편심된 구조를 가지면 두 접점 박판 중의 하나의 접촉 영역에만 교차하는 종축에 직교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평면이 존재한다. 달리 말해, 제1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은 박판의 종방향에서 제2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의 동일한 종방향 부분 위로 연장되지 않는다. 특히 제1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은 제2 접촉 부재의 접촉 영역과, 양 접촉 영역 모두에 교차하는 종축에 직교하는 부분 평면이 없도록 편심되어 배치된다. 달리 말해, 종방향에서 제2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이 개시될 때, 제1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은 이미 종단된다. 이와는 달리 두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들이 종방향의 특정한 부분에서 서로 교대(next to one another)로만 연장된다.
제1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또는 박판 평면으로부터 가장 멀리 돌출하는 접촉 영역의 점)과 제2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또는 박판 평면으로부터 가장 멀리 돌출하는 접촉 영역의 점) 간의 종방향에서의 거리는 접점 박판의 전체 길이의 10%보다 크고, 바람직하기로 20%보다 크며, 특히 40% 이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접점 박판 부품의 모든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들이 동일한 부분 평면, 특히 각각의 접촉 박판의 중간에 위치한다는 지식에 기반한다. 이에 따라 접촉 부재와 밀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결합 과정 중에 모든 접점 박판이 동시에 탄성적으로 변형해야 한다. 이 때문에 특히 높은 플러그 결합력이 특정한 점에 인가되고, 이는 설치 과정을 더욱 어렵게 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점 박판 부품은 개별적인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들이 서로에 대해 종방향으로 편심되어 배치되므로, 결합 과정 중에 제1 접점 박판이 먼저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그 다음에야 제2 접점 박판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결과적으로, 인가되어야 할 최대 플러그 결합력이 감소, 특히 반감되고, 이와 동시에 우수한 접촉 저항이 제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접점 박판 부품에서는 두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들이 박판의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두 부분 평면들에 위치하므로, 접점 박판 부품과 접촉 부재들 간에 우수한 전기적 접촉이 제공될 뿐 아니라, 적어도 두 이격된 접점(contact point)들이 접점 박판의 종축을 따라 접점 박판이 접촉 부재에 접촉하는 위치에 제공되므로 신뢰성 높은 기계적 연결도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두 접촉 부재들 간의 결합 상태를 안정시킨다.
접점 부품의 접촉 영역과 여기에 접촉하게 될 접촉 부품 간에 신뢰성 높은 전기적 접촉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접점 박판이 적어도 그 접촉 영역(contact zone)의 영역(region)에서 각각 그 자체의 종축에 대해 비틀리거나 및/또는 어떤 각도로 경사지는 것이 유요함이 밝혀졌다.
자체의 종축 둘레로 비틀린다는 것은 접점 박판이 그 종 연장(longitudinal extension)의 경로(course)에 걸쳐 비틀림, 회전 및/또는 경사를 가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비틀림은 예를 들어 종축에 직교하여 연장되는 제1 단면 평면에서의 접점 박판의 제1 단면의 면이 이로부터 이격된 제2 단면 평면에서의 접점 박판의 제2 단면의 면에 대략 대응하지만, 제1 단면의 면에 대해 특정한 각으로 비틀리거나 경사짐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점 박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폭 방향으로 특정한 웹 폭을 가지는 웹(web)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웹은 접점 박판의 종축의 경로에 걸쳐 원래의 폭 방향에 대해 점차 경사가 증가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경사지지 않은 웹 단면의 웹의 폭 방향과 웹의 종축이 박판 평면을 규정(define)하는데, 여기서 웹은 그 종 연장을 따라 박판 평면에 대해 점차 경사가 증가, 예를 들어 5°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특히 15°보다 크고 45°보다 작은 경사각(tilting angle)으로 증가한다. 접점 박판은 바람직하기로, 제1 접촉 부재 및/또는 제2 접촉 부재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할 접촉 영역 내의 박판 평면에 대해 최대 경사각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기로, 각 단면 평면에서 접점 박판의 종축은 대략 박판의 중간을 통해 연장된다. 달리 말해, 접점 박판은 그 종방향에서 전체적으로 굴곡되거나 절곡된 경로를 따르지 않고 그 자체의 축 둘레로 비틀리지만 직선인 경로를 따른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라 그 자체의 축 둘레로 비틀린 동시에 종축에 대해 굴곡된 접점 박판의 경로도 고려될 수 있다. 굴곡된 접점 박판의 경우, 접점 박판의 종방향(L) 역시 접점 박판의 굴곡된 종 연장을 따르는 굴곡된 경로를 가진다.
종축에 대해 절곡 또는 굴곡된 경로를 가지는 접점 박판은 두 접촉 부재들과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서로 이격된 접점들을 가진다. 그러므로 결합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접점 박판 부품은 접촉 핀과 접점 박판의 중간에서 접촉을 형성하고 접촉 소켓과 접점 박판 부품의 종방향의 두 단부들에서 접촉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전류 도전 경로는 접점 박판의 종방향 중간으로부터 접점 박판 부품의 두 단부들에 이르기까지 연장된다. 이는 접점 박판 부품에 비교적 높은 접촉 저항을 야기하여 관련된 가열과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반면, 자체의 종축에 대해 비틀리거나 경사된 접점 박판은 한정된 공간, 즉 접촉 영역의 영역 내에서 제1 접촉 부재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데도 적절하고 제2 접촉 부재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데도 적절하다. 이는 경사된 접촉 영역의 제1 횡방향 모서리(lateral edge)가 접촉 영역의 제2 횡방향 모서리와 점점 평면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전류 도전 경로가 대략 접점 박판의 횡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접점 박판은 접촉 영역에서 어떤 각도로 경사되어, 전류 도전 경로가 접촉 영역의 제1 횡방향 모서리로부터 접촉 영역의 제2 횡방향 모서리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여기서 제1 접촉 부재의 제1 횡방향 모서리는 거의 동일한 단면 평면 내에서 제2 접촉 부재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기로, 제1 접점 박판은 제2 접점 박판과 인접한 접점 박판이다. 달리 말해, 제1 접점 박판은 제1 접점 박판 옆에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는 바로 인접한 제2 접점 박판과는 다른 단면 평면 내에서 접촉 부재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한다. 접점 박판 부품 및/또는 접촉 부재의 국부적 가열은 바로 인접한 접점 박판을 통해 제공되는 전류 흐름 경로의 "균등화(equalisation)"에 의해 저감될 수 있는데, 이는 접점 박판 부품을 고전류의 전송에 적합하도록 해준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들은 서로 이격되며 종축에 직교하여 연장되는 두 접촉 평면들에 교번하도록(alternatingly) 배치된다. 달리 말해, 두 인접한 접점 박판들의 접촉 영역들은 각각 다른 단면 평면들에 배치된다. 각각의 접촉 평면들은 이에 따라 접촉 영역이 접촉 평면으로부터 가장 멀리 돌출하는 점과 교차한다. 종방향에서 두 접촉 평면들 간의 거리는 5mm보다 크고 5cm보다 작고, 특히 1cm보다 크고 3cm보다 작은데, 이는 접점 박판의 전체 길이의 40%보다 더 큰 거리에 해당한다. 인접 점점 박판들의 접촉 영역들의 교번하는 배치는 한편으로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다른 편으로 결합력이 두 이격된 플러그 결합 위치에 인가되어 각각 힘이 절반으로 감소되므로 결합에 필요한 플러그 결합력을 최소화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점 박판들의 접촉 영역들은 다른 접촉 평면들에서 단순히 교번하도록((XYXYXY 등)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시퀀스(sequence)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접촉 영역들은 복수의 덩어리로(multiply) 교번하거나(예를 들어 XXYYXXYY 등) 교번하지 않는 시퀀스(예를 들어 XYYXXX 등)로 제공될 수 있다. “교번하도록(alternatingly)”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복수의 덩어리로 교번하는 시퀀스 역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점 박판은 제1 접촉 부재와 제2 접촉 부재 간에 쉴드(shielding)를 연속시키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접점 박판의 제1 부분 변량(partial quantity)이 그 종방향을 따라 제1 규정된(specified)의 폭 수열(width progression)을 나타내고 제2 부분 변량이 종축을 따라 제1 폭 수열과 다른 제2 규정된 폭 수열을 나타내는 것이 유용함이 밝혀졌다. 어떤 설계들에서는, 접점 박판의 제1 부분 변량의 폭 수열이 대략 접점 박판의 제1 부분 변량의 제1 폭 수열의 역순(inversion)을 나타낸다.
제1 부분 량의 접점 박판과 제2 부분 변량의 접점 박판은 교번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달리 말해, 각각의 두 인접 박판들은 종방향을 따라 서로 다르고 특히 역순인 폭 수열들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접점 박판 부품의 일단에서 시작하여, 제1 부분 변량의 접점은 규정된 범위로 좁아지는 반면, 접점 박판 부품의 같은 단부에서 시작하여 제1 부분 변량의 접점 박판들은 상기 규정된 범위로 넓어진다.
인접하는 접점 박판의 이와 같이 교번하는 폭 수열이, 특히 접점 박판 부분이 바람직하기로 적어도 하나의 신호 반송(signal-carrying) 도선(conductor)을 둘러쌀 수 있는 폐쇄된 박판 케이지 형태로 설계되었을 때 향상된 쉴드 효과를 유발할 수 있음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두 인접한 접점 박판이 서로 인접하여 같은 정도로 폭 수열을 변경하면, 접촉 박판을 통해 제공되는 쉴드에 특히 급격한 변화 또는 단거리에 걸쳐 특성 임피던스(characteristic impedance)의 변화를 유발한다. 인접하는 접점 박판의 폭 수열의 교번하는 변화는 쉴드의 이러한 급격한 변화를 “균등화”시켜 접점 박판 부품의 종 연장에 걸쳐 전체적으로 더 일정한 특성 임피던스를 가져온다.
바람직하기로, 각각 제1 박판 단부에서 시작되는 비틀림 웹(torsion web)을 가지는 접점 박판은 접촉 영역에까지 연장되면서 박판 평면에서 점차 더 경사져 나가는데, 박판 평면은 비틀림 웹의 경사지지 않은 표면에 대한 접평면(tangent plane)이다. 이와 같이 소위 “비틀림 스프링 효과(torsion spring principle)”를 구현하는 접촉 박판은 특히 낮은 접촉 저항과, 개별적 박판에 걸쳐 짧은 전류 경로를 가지는 두 접촉 부재들 상의 규정된 접점들을 가능하게 한다.
설치를 촉진하기 위해, 적어도 두 인접한 두 접점 박판, 특히 모든 접점 박판들의 비틀림 웹들은 바람직하기로 그 박판 평면들에 대해 각각의 종축 둘레의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다.
접촉 박판 부품에 걸쳐 전체적으로 우수한 쉴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비틀림 웹이 적어도 접촉 영역의 영역에서 제1 폭을 가지고 다른 박판 단부의 방향으로, 제1 폭보다 작은, 특히 절반보다 작은 폭의 제2 폭을 가지는 연결 바(connection bar)까지 천이하는 것이 유용함이 밝혀졌다. 작은 웹 두께를 가지는 비교적 넓은 비틀림 웹은 그 자체의 축 둘레의 비틀림에 특히 적합한 비틀림 계수(modulus of torsion)를 제공한다. 접촉 영역에 이어져 결합 과정에서 비틀릴 얇은 연결 바까지 웹의 폭을 좁히면 접촉 영역의 비틀림 가능성(twistability)을 향상시킴으로써 결합 과정을 촉진한다.
바람직하기로, 두 인접한 접점 박판의 두 연결 바(connecting rod)들은 종방향에 직교하여 연장되는 단면 평면이 양 연결 바 모두를 교차하지 않도록 종방향으로 서로 편심된다. 이는 두 인접한 접촉 박판 간의 적어도 어떤 영역에 우수한 쉴드 효과를 제공하는 데 부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갭(gap)이 형성되지 않게 방지한다.
우수한 쉴드 효과의 달성을 위해서는, 바람직하기로 비틀림 웹이 접점 박판의 전체 길이의 절반보다 크게, 특히 75%보다 큰 길이에 걸쳐 거의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는 것이 유용함이 밝혀졌다. 긴 비틀림 웹은 결합 과정 중에 접점 박판의 비틀림 가능성 또는 경사 가능성(tiltability)을 촉진한다. 비틀림 웹의 일정한 폭과 특히 일정한 단면의 면은 접촉 영역까지 접점 부품에 걸친 응력(stress)의 균일한 분포를 가능하게 하는데, 각 접촉 영역에서 비틀림 웹이 단부를 형성하여 거기서 비틀림 웹이 더 좁은 연결 바로 천이할 수 있다.
이는 접점 박판이 다른 단면을 가지는 두 영역들, 즉 비틀림 웹과 연결 바로 구분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데, 비틀림 웹은 한 영역을 탄성적으로 지지(hold0하고 연결 바는 더 짧은 구조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접점 박판 부품을 통한 짧은 전류 경로를 제공하면서 접점 박판 부품과 접촉 부재들 간에 낮은 접촉 저항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각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들이 탄성 예압(preload) 하에서 제1 접촉 부재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제1 횡방향 모서리 및/또는 탄성 예압 하에서 제2 접촉 부재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각 접점 박판의 종축 반대측의 제2 횡방향 모서리를 가지는 것이 유용함이 밝혀졌다.
특히 짧은 전류 경로는 접촉 영역의 제1 횡방향 모서리(또는 박판 평면의 일측 상의 박판 평면으로부터 가장 먼 접촉 영역의 점)와 제2 횡방향 모서리(또는 박판 평면의 타측 상의 박판 평면으로부터 가장 먼 접촉 영역의 점) 간을 기하학적으로 연결하는 선이 종축에 거의 직교하여 연장됨으로써 제공된다.
두 접촉 부재들 사이에 간단한 방식으로 도입될 수 있는 컴팩트(compact)한 구성 부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접점 박판이 제1 지지 스트립(support strip) 또는 지지 링(support ring) 등의 제1 연결 몸체(connecting body)와 이로부터 종방향으로 이격된 제2 지지 스트립 또는 지지 링 등의 제2 연결 몸체 간으로 연장되는 것이 유용함이 밝혀졌다. 지지 링은 반드시 둥글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 특히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지지 링은 둥근 형, 특히 원형이다.
접점 박판은 두 연결 몸체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개별적인 접점 박판은 두 인접한 접점 박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두 연결 몸체들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 몸체들은 횡방향, 특히 접점 박판의 종방향에 직교하여 연장되는 횡방향 웹(transverse web)의 형태, 특히 지지 링 또는 지지 스트립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 접점 박판과 연결 몸체들은 그 사이에 90°의 각도를 포함(enclose)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직선(straight) 박판 케이지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각 접점 박판이 연결 몸체에 대해 어떤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접점 박판의 종축과 지지 스트립 형태로 설계된 연결 몸체들의 연장 방향 사이의 각도는, 45° 보다 크고 90° 보다 작고, 특히 75° 보다 크고 90° 보다 작은 크기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기울어진(slanting) 박판 케이지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기울어진 박판 케이지의 경우, 각 접점 박판의 종방향은 지지 스트립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여 연장되지 않으며, 기울어진 경사에 기인하는 접점 박판의 종축(L)의 곡률 때문에 개별적인 접점 박판은 서로 정확히 평행하지 않지만 서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박판 케이지는 단면이 반드시 원형 형상을 가지는 것은 아니며 타원 또는 다각형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촉 블레이드(contact blade)가 사각형 소켓 등의 내에서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각형 형상의 박판 케이지가 제공될 수 있다.
각 접점 박판의 일단은 제1 연결 몸체와 연결되고, 각 접점 박판의 반대측의 제2 단부는 제2 연결 몸체와 연결될 수 있어, 접점 박판의 전체가 두 연결 몸체들에 의해 하나로 지지(hold together)될 수 있다. 접점 박판 부품은 예를 들어 금속의 단일 부품(single-part) 또는 단일 몸체의 구성 부품(single-piece component)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점 박판 부품은 스탬핑된(stamped) 금속 부품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지지 링은 완전한 원주의 링 부재 또는 예를 들어 180°보다 크게, 특히 270°보다 크게 연장되는 부분적 원주의 링 부재가 될 수 있다.
컴팩트한 구성 부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박판 케이지를 형성할 때 접점 박판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 특히 거의(부분적으로) 고리형(annular) 구조로 제공되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 역시 밝혀졌다. (부분적으로) 고리형 박판 케이지로 설계된 접점 박판 부품은 예를 들어 원통형 플러그 소켓(제1 접촉 부재) 내에 수납될 수 있고, 여기에 원통형 플러그 소켓(제2 접촉 부재)이 플러그 결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고리형 박판 케이지로 설계된 접점 박판 부품은 플러그 소켓과 결합될 목적으로 원통형 접촉 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점 박판의 종방향은 접촉 핀이 접촉 소켓 내로 진입할 수 있는 결합 방향에 대응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점 박판 부품은 접점 박판이 그 사이에 연장되는 두 지지 스트립의 처음 평탄한(flat) 구조의 두 단부들이 서로 접촉하거나 서로 연결되어 접점 박판의 원주형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aspect)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가 제공된다.
제1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는 접촉 핀과 결합될 접촉 소켓을 가지는데, 선행하는 특징들 중의 하나에 따른 접점 박판 부품이 접촉 소켓 내에 지지(hold)된다.
제2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는 접촉 소켓과 결합될 접촉 핀을 가지는데, 선행하는 특징들 중의 하나에 따른 접점 박판 부품이 접촉 핀 상에 지지된다.
접촉 핀 또는 접촉 소켓은 대략 원통형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접점 박판 부품은 부분적인 고리형 또는 고리형 박판 케이지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접촉 핀이 접촉 블레이드(contact blade) 형태로 설계되고 접촉 소켓이 사각형 소켓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점 박판 부품은 단면이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촉 핀은, 접점 박판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플러그 결합 방향(plugging direction)으로 접점 박판 부품의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이 접촉 소켓의 내벽과 접촉 핀의 외벽 모두에 기계적 예압 하에서 전기적 접촉을 형성할 때까지 진입되도록 접촉 소켓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은,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그 제1 횡방향 모서리들이 접촉 소켓의 내벽과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도록 기능하고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는 그 제2 횡방향 모서리들이 접촉 핀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접점 박판 부품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으로 돌출하도록, 각각의 박판 축 둘레로 비틀리거나 경사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는데,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점 박판 부품의 제1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 박판 부품의 제2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 박판 부품의 제3 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정면도,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박판 부품을 접촉 핀 형태의 접촉 부재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접촉 소켓 내에 수용된 접점 박판 부품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보이는 측면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종래의 접점 박판 부품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점 박판 부품(contact lamella part; 100)의 제1 실시예를 개략 평면도로 도시한다. 접점 박판 부품(100)은 지지 스트립(support strip)의 형태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사이에 접점 박판(120, 121)이 서로 평행하게 종방향(L)로 연장되는 두 연결 몸체(connecting body; 250, 251)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 몸체(250, 251)는 각각 박판 평면으로 연장되며 지지 스트립의 형태로 설계되었다.
제1 연결 몸체(250)로부터 시작하여, 접점 박판(120, 121)은 각각 제2 연결 몸체(251)까지 연장되며, 예를 들어 금속 등으로 스탬핑된(stamped) 부품 등 두 연결 몸체들과 단일한 몸체(single piece)로 형성된다. 인접 접점 박판(120, 121)들은 횡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로 서로 이격된다.
접점 박판 부품(100)은 제1 접촉 부재(contact element)와 제2 접촉 부재(도시 안 됨) 간의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의 전송을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각 접점 박판은 박판 평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접촉 영역(contact zone; 130, 131)을 구비하는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와 예압(preload) 하에서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촉 영역(130, 131)들은 접점 박판의 볼록부(bulge) 또는 절곡부(bend)로 구성되는데, 탄성을 가져 접점 박판 부품이 두 (평탄한) 접촉 부재들 사이에 수용되면 박판 평면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1 접점 박판(120)의 접촉 영역(130)은 제1 접점 박판(120)에 인접한 접점 박판인 제2 접점 박판(121)의 접촉 영역(131)에 대해 종방향(L)로 편심(offset)되어 배치된다. 제1 접촉 영역(130) 또는 박판 평면에서 가장 먼 제1 접촉 영역 상의 점은 종축에 직교하여 연장되는 제1 접촉 평면(E1)과 교차하고, 제2 접촉 영역(131) 또는 박판 평면에서 가장 먼 제2 접촉 영역 상의 점은 종축에 직교하여 연장되며 제2 접촉 평면(E1)으로부터 종방향(L)을 따라 규정된 거리(A1)만큼 이격된 제2 접촉 평면(E2)과 교차한다. 거리(A1)는 접점 박판의 전체 길이의 10%보다 크고, 특히 접점 박판의 전체 길이의 40%보다 클 수 있다.
두 인접 접점 박판(120, 121)의 접촉 영역(130, 131)들은 각각 다른 접촉 평면(E1, E2)들에 배치되어 접촉 영역들의 교번 구조(alternating arrangement)가 횡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 스트립의 형태로 설계된 두 연결 몸체(250, 251)들은 접점 박판의 종축(L)에 직교하여 연장된다. 도 1에 도시된 지지 스트립들을 말아 올림(roll up)으로써 직선의(straight) 박판 케이지(lamellar cage)가 형성되는데, 그 사이에 연장되는 접점 박판은 링(ring)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도시 안 됨)에서는 접점 박판의 종축(L)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지지 스트립들에 대해 각각 어떤 각도(예를 들어 45° 내지 90°의 각)로 연장된다. 이 경우, 두 지지 스트립들이 링을 형성하도록 말아 올림으로써 경사진(slanting) 박판 케이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 박판 부품(200)의 개략 평면을 도시한다.
접점 박판 부품(200) 역시, 지지 스트립 형태의 제1 연결 몸체(250)와 지지 스트립 형태의 제2 연결 몸체(251) 사이를 각각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접점 박판(220, 221)을 가진다.
접점 박판(220, 221)은 종방향(L)으로 각각 웹 형(web-like) 방식으로 연장되는 한편, 거기에 단일 부품으로 형성된 연결 몸체(250, 251)들은 횡방향으로 대략 직교하게 연장된다. 횡방향과 종방향은 도면의 평면에 대응하는 박판 평면을 형성(span)한다. 도 2에 도시된 지지 스트립들을 말아 올리면 직선 박판 케이지가 형성되는데, 그 사이에 연장되는 접점 박판들은 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시 안 됨)에서는, 접점 박판들의 종축(L)들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지지 스트립들에 대해 각각 어떤 각도(예를 들어 45° 내지 90°의 각)로 연장된다. 이 경우, 두 지지 스트립들이 링을 형성하도록 말아 올림으로써 경사진 박판 케이지가 형성된다.
각 접점 박판(220, 221)들은 각각 두 접촉 부재들과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접촉 영역(230, 231)들을 가진다.
접점 박판 부품(200)은 접촉 부재들 간에 전류를 전송하기 위해 두 접촉 부재들 간에 배치되기 위한 것이다. 한 접촉 부재는 박판 평면의 일측으로부터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과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고 다른 접촉 부재는 박판 평면의 타측으로부터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과 전기적 접촉을 형성한다.
접점 박판(220, 221)은 이를 위해, 적어도 그 접촉 영역(230, 231)의 영역(region)에서 그 종축(A) 둘레에 어떤 각도로 경사지도록(tilted or inclined)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에 따라 접촉 영역의 제1 횡방향 모서리(lateral edge)는 박판 평면의 일측(도면 평면의 위쪽)에 위치하여 탄성 예압 하에서 제1 접촉 부재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도록 기능하고, 접촉 영역의 제2 횡방향 모서리는 박판 평면의 타측(도면 평면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탄성 예압 하에서 제2 접촉 부재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도록 기능한다. 이는 접점 박판을 통해 종방향(L)에 대해 대략 직교하여 연장되는 특히 짧은 전류 경로를 제공한다.
두 인접 접점 박판들의 접촉 영역(230, 231)들은 서로에 대해 종방향으로 편심(offset)되어 배치된다. 그러면 전체적으로 연결 몸체(250, 251)들의 연장 방향으로 접촉 영역들의 교번 구조가 이뤄진다.
달리 말해, 제1 접점 박판(220)의 접촉 영역(230)(또는 박판 평면에서 가장 먼 접촉 영역 상의 점)은 제1 접촉 평면(E1)과 교차되고, 제2 접점 박판(221)의 접촉 영역(231)(또는 박판 평면에서 가장 먼 접촉 영역 상의 점)은 제1 접촉 평면(E1)과 어떤 거리로 이격된 제2 접촉 평면(E1)과 교차되는데, 거리(A1)는 접점 박판의 전체 길이의 25%보다 크고, 특히 접점 박판의 전체 길이의 50%보다 크다.
접점 박판(220, 221)은 각각, 한편에서 횡방향으로 제1 폭(B1)을 가지며 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비틀림 웹(torsion web; 225)을 가지며, 다른 편에서 횡방향으로 제2 폭(B2)의 더 얇은 연결 바(connecting bar; 226)를 가진다. 비틀림 웹(225)은 연결 몸체(250, 251)들 중의 하나에서 시작하여 다른 연결 몸체(251, 250)의 방향으로 이것이 경사지게 되는 접촉 영역까지 연장된다. 접촉 영역에 이어서, 각 비틀림 웹(225)은 비틀림 웹을 다른 연결 몸체에 연결하는 연결 바(226)로 천이됨으로써 비틀림 웹을 안정시키고 박판 평면을 향해 횡방향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에 따라, 두 인접 접점 박판은 역순(inverse)의 폭 수열(width progression)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1 접점 박판(220)의 비틀림 웹이 제1 연결 몸체(250)에 연결되고 제1 접점 박판(220)의 연결 바가 제2 연결 몸체(251)에 연결된다. 역으로, 제2 접점 박판(221)의 연결 바가 제1 연결 몸체(250)에 연결되고 제2 접점 박판(221)의 비틀림 웹이 제2 연결 몸체(2510에 연결된다. 이는 접점 박판의 교번하는 폭 수열로 결과되는데, 얇아서 큰 갭을 형성하는 연결 바들이 서로 편심되어 배치되므로 접점 박판에 특히 우수한 쉴드 효과(shielding effect)를 가져온다.
여기서 비틀림 웹(250)은 접점 박판의 전체 길이의 절반보다 크고, 특히 75%보다 크며 바람직하기로 일전한 웹 폭을 가진다.
직선 박판 케이지 형태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 3a 및 3b에 도시되어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 박판 부품(200)을 사시도로 보이고, 도 3b는 접점 박판 부품(200)을 정면도로 보인다.
접점 박판 부품(200)은 원주 방향(peripheral direction; U)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에(circumferentially) 연장되는 박판 케이지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에 따라 각각 종방향(L)로 연장되는 복수의 접점 박판(220, 221)들이 원주 방향(U)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각 접점 박판(220, 221)들은 부분적 링(ring) 또는 링 분할체(segment) 형태의 제1 연결 몸체(250)로부터 시작하여 부분적 링 또는 링 분할체 형태의 제2 연결 몸체(251)까지 연장된다.
도 3a에 도시된 접점 박판 부품은 도 2에 도시된 평탄한 접점 박판 부품을 절곡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어서, 접점 박판(220, 221)의 배치와 구조에 대해서는 위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특히, 각 접점 박판들은 적어도 접촉 영역(230, 231)의 영역에서 그 자체의 축 둘레로 비틀리거나 경사된다. 각 접점 박판은 접점 박판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접점 박판에 대한 경사가 점차 증가하는 비틀림 웹(225)을 가지는데, 최대 경사의 영역이 각 접점 박판의 접촉 영역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박판 평면은 비틀림 웹의 경사 없는 반경방향 외면에 대한 접평면(tangential plane)으로 형성(define)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두 인접 접점 박판들의 접촉 영역들은 종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편심되도록 배치되어, 원주 방향에서 접촉 영역의 교번 구조가 이뤄진다. 도시된 접촉 영역들의 교번 구조 대신, 원주방향에서 접촉 영역들의 다른 시퀀스(sequence)가 제공될 수 있다.
접점 박판 부품(200)은 접촉 소켓 등의 제1 접촉 부재와 접촉 핀 등의 제2 접촉 부재 간에 전류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접촉 영역(230, 231)의 제1 횡방향 모서리(240)는 기계적 예압 하에서 접촉 소켓의 내벽과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반경방향 내측으로 박판 케이지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하는 접촉 영역(230, 231)의 제2 횡방향 모서리(241)는 기계적 예압 하에서 접촉 핀의 외벽과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도 3b에 특히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도 3b에서는 접점 박판의 비틀림 웹들이 각 박판 평면에 대해 각 종축(A) 둘레의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볼 수 있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박판 부품(200)의 실시예를 접촉 핀(contact pin; 520) 형태의 접촉 부재와 함께 도시한다. 결합의 목적을 위해, 접촉 핀(520)은 플러그 결합 방향(plugging direction; S)으로 부분적인 고리형(annular)의 접점 박판 부품(200)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된다.
결합 과정의 경로 중에, 제1 접점 박판(220)의 원주 방향(U)에 대해 경사진 접촉 영역(230)이 접촉 핀(520)의 외벽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강제되어 먼저 탄성 변형함으로써 부분적으로 반대로 비틀린다. 그 다음에야 역시 제1 접점 박판(220)의 원주 방향(U)에 대해 경사지며 제1 접점 박판(220)의 접촉 영역(230)에 대해 플러그 결합 방향(S)에 대응하는 종방향(L)으로 거리(A1)만큼 편심된 제2 접점 박판(221)의 접촉 영역(231)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이는 결합 과정을 촉진한다.
도 5a는 접촉 소켓(contact socket; 510) 내에 수용된 접점 박판 부품(200)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500)를 보인다. 접점 박판 부품(200)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노즈(nose; 512) 등의 돌출부(projection)들을 가지는데, 이에 의해 접점 박판 부품(200)이 접촉 소켓(51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500)를 사시도로 보인다.
접촉 소켓(510)은 대략 중공(hollow0 원통 형태이며, 플러그 결합 방향(S)으로 상보적 형태의(complementary-formed) 접촉 핀(520)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접점 박판 부품(200)은 원주 방향(U)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플러그 결합 방향(S)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접점 박판(220, 221)들을 가지는데, 그 접촉 영역들은 그 제1 횡방향 모서리(240)가 접점 박판 부품을 둘러싸는 접촉 소켓(510)의 내벽과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고 그 제2 횡방향 모서리(241)가 접촉 핀(520)을 수용하기 위해 접점 박판 부재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550)으로 돌출하도록, 각 박판 축 둘레로 경사진다.
인접 접촉 박판들의 접촉 영역들은 각각 플러그 결합 방향에서 서로에 대해 편심되어 배치된다. 뿐만 아니라, 인접 접촉 박판의 폭 수열은 서로에 대해 대략 역순이다. 이는 일면으로 더 간단한 결합 과정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면으로, 짧은 전류 경로에 따라 낮은 접촉 저항(contact resistance)이 가능해져, 본 발명에 따른 접점 박판 부품은 고전류의 전송에 적합하다. 뿐만 아니라, 우수한 쉴드 효과가 제공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접점 박판 부품은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거나 하나 이상의 도선(conductor)들의 쉴드에 사용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인접 접점 박판(220, 221)의 접촉 영역들의 두 접촉 평면에서의 단일한 교번 구조 대신에, 다른 시퀀스들 역시 제공될 수 있다. 접촉 영역들이 제1 접촉 평면(E1)에 위치하는 접점 박판을 X로 표기하고 접촉 영역들이 제2 접촉 평면(E2)에 위치하는 접점 박판을 Y로 표기하면, 도면들에 도시된 단일하게 교번하는 시퀀스 XYXYXY 대신에 이중으로 교번하는 시퀀스 XXYYXXYY 또는 복수의 덩어리로(multiply) 교번하는 시퀸스 XXXXYYYYXXXXYYYY 등이 에를 들어 지지 스트립(U)의 연장 방향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대칭으로 교번하는 시퀀스 XYYXYY, XXYXXY, XYYYXYYY, XXXYXXXY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대체안으로, 접점 박판 X와 접점 박판 Y의 시퀀스가 예를 들어 XYYXXYYY 등으로 교번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대체안으로, 그 접촉 영역이 제1 점점 박판 X의 접촉 영역들뿐 아니라 제2 접점 박판 Y의 접촉 영역들과도 종방향(L)으로 편심된 제3 그룹의 접점 박판 Z가 제공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접촉 소켓 등의 제1 접촉 부재와 이에 결합될 수 있는 접촉 핀 등의 제1 접촉 부재 간에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접점 박판 부품(100; 200)으로, 종방향(L)으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접점 박판(120, 121; 220, 221)을 가지며, 각 접점 박판이 제1 접촉 부재 및/또는 제2 접촉 부재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접촉 영역(130, 131; 230, 231)을 가지는 접점 박판 부품에서,
    제1 접점 박판(120; 220)의 접촉 영역(130; 230)이 제2 접점 박판(121; 221)의 접촉 영역(131; 231)에 대해 종방향(L)으로 편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박판 부품.
  2. 청구항 1에서,
    접점 박판(220, 221)이 적어도 그 접촉 영역(230, 231)의 영역에서 각각 그 자체의 종축(A) 둘레로 비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박판 부품.
  3. 청구항 1 또는 2에서,
    제1 접점 박판(220)이 제2 접점 박판(221)에 인접한 접점 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박판 부품.
  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인접 접점 박판(220, 221)의 접촉 영역(230, 231)들이, 서로 이격되고 종방향에 직교하도록 연장되는 두 접촉 평면(E1, E2)에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박판 부품.
  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접촉 박판(230)의 제1 부분 변량이 그 종축(A)을 따라 제1 규정된 폭 수열을 나타내고, 접촉 박판(231)의 제2 부분 변량이 그 종축을 따라 제1 폭 수열과 다르며, 바람직하기로 제1 폭 수열의 대략 역순인 제2 규정된 폭 수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박판 부품.
  6. 청구항 5에서,
    제1 부분 변량의 접점 박판(220)과 제2 부분 변량의 접점 박판(221)이 교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박판 부품.
  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접점 박판(220, 221)들이 각각 제1 박판 단부에서 시작하여 적어도 접촉 영역에서 박판 평면으로부터 점차 경사가 증가하는 비틀림 웹(225)을 가지며, 박판 평면이 비틀림 웹(225)의 비틀리지 않은 표면에 대한 접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박판 부품.
  8. 청구항 7에서,
    적어도 두 인접 접점 박판(220, 221), 특히 모든 접점 박판이 그 박판 평면에 대해 각 종축(A) 둘레의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박판 부품.
  9. 청구항 7 또는 8에서,
    비틀림 웹(225)이 적어도 접촉 영역(230, 231)의 영역에서 제1 폭(B1)을 가지며, 박판의 타단의 방향을 향해 제1 폭(B1)보다 작은, 특히 폭이 절반보다 작은 제2 폭(B2)을 가지는 연결 바(226)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박판 부품.
  10. 청구항 9에서,
    두 인접 접점 박판(220, 221)의 두 연결 바(226)들이 서로 편심되어 배치되고, 특히 양 연결 바(226)들을 모두 교차하는 단면 평면이 없도록 박판의 두 반대쪽 단부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박판 부품.
  11. 청구항 7 내지 10에서,
    비틀림 웹(225)이 바람직하기로 접점 박판의 전체 길이의 절반보다 크게, 특히 75%보다 크게 거의 일정한 폭(B1)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박판 부품.
  12. 선행하는 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접점 박판(220, 221)의 접촉 영역(230, 231)들이 각각, 탄성 예압 하에서 제1 접촉 부재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제1 횡방향 모서리(240) 및/또는 탄성 예압 하에서 제2 접촉 부재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각 접점 박판의 종축의 반대측 상의 제2 횡방향 모서리(24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박판 부품.
  13. 청구항 12에서,
    제1 횡방향 모서리(240)와 제2 횡방향 모서리(241) 간을 기하학적으로 연결하는 선이 종방향(L)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박판 부품.
  14. 선행하는 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접점 박판(220, 221)이 제1 지지 스트립 또는 지지 링 등의 제1 연결 몸체(250)와 이로부터 종방향(L)으로 이격된 제2 지지 스트립 또는 지지 링 등의 제2 연결 몸체(251) 간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박판 부품.
  15. 선행하는 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서,
    박판 케이지 또는 박판 케이지들을 형성하기 위해, 접점 박판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 방향(U)으로 연장, 특히 부분적 고리형 또는 고리형 배치로 연장되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박판 부품.
  16. 접점 박판의 종방향(L)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플러그 결합 방향(S)으로 접촉 핀(520)과 결합되는 접촉 소켓(510)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로, 선행하는 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촉 박판 부품(200)이 접촉 소켓(510) 내에 지지되는 플러그 커넥터.
  17. 청구항 16에서,
    접점 박판들의 접촉 영역들이, 그 제1 횡방향 모서리(240)가 접점 박판 부품을 둘러싸는 접촉 소켓(510)의 내벽과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고 그 제2 횡방향 모서리(241)가 접촉 핀(520)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접점 박판 부품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 공간(550)으로 돌출하도록, 각 박판 축(A) 둘레로 비틀림 및/또는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KR1020187005925A 2015-09-29 2016-08-23 접점 박판 부품과 접점 박판 부품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 KR201800611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5006807.3 2015-09-29
DE202015006807.3U DE202015006807U1 (de) 2015-09-29 2015-09-29 Kontaktlamellenteil sowie Steckverbinder mit Kontaktlamellenteil
PCT/EP2016/001423 WO2017054896A1 (de) 2015-09-29 2016-08-23 Kontaktlamellenteil sowie steckverbinder mit kontaktlamellente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148A true KR20180061148A (ko) 2018-06-07

Family

ID=54481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925A KR20180061148A (ko) 2015-09-29 2016-08-23 접점 박판 부품과 접점 박판 부품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135167B2 (ko)
EP (1) EP3357127B1 (ko)
JP (1) JP2018530139A (ko)
KR (1) KR20180061148A (ko)
CN (1) CN108140960B (ko)
CA (1) CA2993705A1 (ko)
DE (1) DE202015006807U1 (ko)
TW (1) TWM535887U (ko)
WO (1) WO20170548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22303B3 (de) * 2015-12-15 2017-04-20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buchse
EP3579348B1 (de) 2016-02-26 2021-08-04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Kontakthülse für einen elektrischen steckverbinder
EP3232456B1 (en) * 2016-04-11 2019-07-10 ABB Schweiz AG Contact assembly for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ing a first terminal of a first apparatus to a second terminal of a second apparatus
DE202016106978U1 (de) * 2016-08-12 2017-02-01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Hochstromkontaktbuchse
CN108365371B (zh) * 2017-11-07 2020-10-02 得意精密电子(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器的制造方法
CN108390235B (zh) * 2018-04-18 2019-09-06 深圳尼索科连接技术有限公司 接触件及其制造方法
DE102018005244B4 (de) * 2018-06-30 2024-04-11 Kostal Kontakt Systeme Gmbh Lamellenkontaktelement
KR102615842B1 (ko) * 2018-10-16 2023-12-20 엘에스이브이코리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커넥터용 접촉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커넥터
AT522822B1 (de) * 2019-08-07 2021-12-15 Neutrik A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CN111092320A (zh) * 2019-12-02 2020-05-01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器及其插孔接触件
DE102020202609A1 (de) * 2020-02-28 2021-09-02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usförmige Kontaktfederhülse sowie elektrische Steckverbinder und Steckverbindungen mit solchen Kontaktfederhülsen
TWM598550U (zh) * 2020-03-05 2020-07-11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冠簧之電源連接器
TWI787929B (zh) * 2021-07-30 2022-12-21 太康精密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的彈性接觸件
DE102022107332A1 (de) 2022-03-29 2023-10-05 Kromberg & Schubert Automotive Gmbh & Co. Kg Kontaktelement mit austauschbarer kontaktzon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49739A1 (de) 1970-10-09 1972-04-13 Dunkel Otto Gmbh Steckerstift
US4299431A (en) * 1980-03-03 1981-11-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Underwater-mateable electrical connector
US5261840A (en) * 1991-06-27 1993-11-16 Sotax Ag Contact element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contact element
US5588884A (en) * 1995-09-08 1996-12-31 Packard Hughes Interconnect Company Stamped and formed contacts for a power connector
US6062919A (en) * 1997-08-29 2000-05-16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high current-carrying capability and low insertion force
JP3675134B2 (ja) * 1997-10-21 2005-07-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US20030060090A1 (en) * 2001-09-21 2003-03-27 Allgood Christopher L. High current automotive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EP2966731B1 (de) * 2007-01-31 2017-05-10 Multi-Holding AG Kontaktelement sowie anwendung eines solchen kontaktelements in einer steckverbindung
DE202010003649U1 (de) * 2010-03-16 2010-07-15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Hochstromsteckverbinder
JP5447971B2 (ja) * 2010-04-08 2014-03-19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の接続構造
US8784143B2 (en) * 2011-04-20 2014-07-22 Cardiac Pacemakers, Inc. Cantilevered spring contact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JP5083847B1 (ja) * 2011-06-07 2012-11-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エレメント及びコネクタ
JP5763984B2 (ja) * 2011-06-21 2015-08-12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接点構造及びこの端子接点構造を備えた端子
CN203423290U (zh) * 2013-04-15 2014-02-05 菲尼克斯电气公司 接触弹簧、接触套筒装置和接触系统
DE102013217256B3 (de) * 2013-08-29 2015-03-05 Robert Bosch Gmbh Buchse sowie Hochstromsteckverbindung, die eine solche Buchse aufwei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35167B2 (en) 2018-11-20
TWM535887U (zh) 2017-01-21
WO2017054896A1 (de) 2017-04-06
DE202015006807U1 (de) 2015-10-27
CN108140960B (zh) 2019-11-15
EP3357127A1 (de) 2018-08-08
EP3357127B1 (de) 2019-10-09
JP2018530139A (ja) 2018-10-11
CN108140960A (zh) 2018-06-08
CA2993705A1 (en) 2017-04-06
US20180248290A1 (en)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1148A (ko) 접점 박판 부품과 접점 박판 부품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
KR102094628B1 (ko) 전기 플러그 커넥터용 접촉 슬리브
US9257769B2 (en) Contact element and connector
US8590867B2 (en) Variable canted coil spring cross section
JP2018537826A (ja) プラグコネクタソケット
US8579666B2 (en) Contact element with an electronically conductive spring element, plug connector and spring element
TW201445839A (zh) 金屬彈片
US9004953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5846203B (zh) 接触铜弹片和电连接器及电连接器的制造方法
US10644424B2 (en) Connector terminal, connector including the connector termin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connector terminal
KR101146496B1 (ko) 다접점 터미널
CN105811142B (zh) 接触铜弹片和电连接器及电连接器的制造方法
US3377607A (en) Electric circuit selectors
JP5862700B2 (ja) プレスフィット用コネクタ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3228439B (zh) 电气连接器的可调对准元件
JP5858565B2 (ja) コンタクトエレメント及びコネクタ
US20140087595A1 (en) Electrical connector
JPH03684Y2 (ko)
JP2017507463A (ja) 逆極性保護
KR20120004622U (ko) 다접점 터미널
US9620878B2 (en) Receptacle assembly of NEMA plugs
JP2015050131A (ja) メス端子
JP2016039071A (ja) 連鎖状端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