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996A -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996A
KR20180059996A KR1020160158943A KR20160158943A KR20180059996A KR 20180059996 A KR20180059996 A KR 20180059996A KR 1020160158943 A KR1020160158943 A KR 1020160158943A KR 20160158943 A KR20160158943 A KR 20160158943A KR 20180059996 A KR20180059996 A KR 20180059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material
management server
food
sales
material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0329B1 (ko
Inventor
공경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테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테일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테일영
Priority to KR1020160158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3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매출에 따른 식자재 재고 예측을 통해 식자재 관리의 편의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매출관리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매출이 발생된 상품의 매출데이터를 식자재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매출데이터를 기반으로 식자재 재고량을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및 시스템{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food material}
본 발명은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매출에 따른 식자재 재고 예측을 통해 식자재 관리의 편의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식문화가 발달과 함에 있어 크고 작은 요식/외식업체가 나타나고 있으며, 대부분의 요식/외식업체에서는 매출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자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요식/외식업체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사용되는 식자재의 재고 파악을 하기 위해 육안으로 식자재를 일일이 검토하고 있는바,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종종 실수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재고 파악을 자주 실시할 수 없는 업체의 경우 상품에 대한 수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자재가 부족하여 판매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이와 반대로 지나치게 많은 식자재의 주문으로 인해 유통기한이 도래하여 식자재를 폐기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3016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는 프랜차이징 음식점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고자, 가맹 음식점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가맹 음식점의 식자재 사용 현황, 판매 매출/매입 현황, 판매 음식의 종류, 각 음식별 식자재, 당일 소요된 식자재, 식자재 재고 현황 정보를 수신받아 관리하는 방법이 게재되어 있다.
인용발명은 프랜차이징 음식점 관리업체가 각 가맹 음식점으로부터 식자재의 재고 정보를 받아 파악을 할 수 있어 관리업체에서는 식자재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각 가맹 음식점에서는 식자재의 재고 정보를 관리업체에 제공하기 위하여 식자재를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식자재를 요식/외식업체에 공급하는 농수산물 중도매상들은 아직까지 오프라인 활동을 통해 거래처를 확보하고 있는바, 새로운 거래처를 찾는데 한계가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3016호 "프랜차이징 음식점 관리 서비스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출에 따른 식자재 재고 예측을 통해 식자재 관리의 편의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식자재에 대한 상거래를 활성화할 수 있는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은 매출관리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매출이 발생된 상품의 매출데이터를 식자재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매출데이터를 기반으로 식자재 재고량을 차감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단계 이전에, 사용자 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업체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명칭과, 해당 상품에 사용되는 식자재의 종류와 수량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식자재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식자재관리서버 상의 식자재 재고량과, 업체가 실제 보유한 식자재 재고량의 차이에 따른 오차정보를 식자재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제 2 단계는,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오차정보를 고려하여 식자재 재고량을 차감한다.
또한, 공급자 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판매가능한 식자재의 종류, 수량 및 가격을 포함하는 식자재정보를 식자재관리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식자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식자재관리서버를 통해 공급자 단말로 식자재 주문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재고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사용자 단말로 식자재 주문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공급자 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판매가능한 식자재의 종류, 수량 및 가격을 포함하는 식자재정보를 식자재관리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재고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공급자 단말로 식자재 주문을 자동으로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소정의 기간 동안 전송받은 매출데이터를 통해 기간별 매출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매출분석정보를 통해 상기 설정값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자재관리서버에 동일한 종류의 식자재가 다수 등록된 경우,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동일한 종류의 식자재에 대하여 최저가격을 등록한 공급자 단말로 주문을 요청한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시스템은 판매하는 상품의 매출데이터를 관리하는 매출관리서버; 및 상기 매출관리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매출이 발생된 상품의 매출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매출데이터를 기반으로 식자재 재고량을 차감하는 재고량예측모듈을 포함하는 식자재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자재관리서버는 공급자 단말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판매가능한 식자재의 종류, 수량 및 가격을 포함하는 식자재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하는 공급관리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자재관리서버는 재고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동일한 종류의 식자재에 대하여 최저가격을 등록한 공급자 단말로 주문을 자동으로 요청하는 주문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식/외식업체로부터 전송받은 상품의 매출정보를 통해 해당 상품에 사용된 식자재 재고량을 자동 차감하므로 식자재가 얼마나 남아 있는지, 얼마나 부족하여 식자재를 주문하여야 하는지 손쉽게 예측할 수 있는바, 일일이 식자재 재고를 파악하여야 하는 불편이 해소되며, 식자재 재고를 예측함에 있어 매출이 발생된 상품정보를 이용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에서는 매출에 따른 식자재 재고 예측을 통해 식자재 관리의 편의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식자재에 대한 상거래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매출관리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매출이 발생된 상품의 매출데이터를 식자재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매출데이터를 기반으로 식자재 재고량을 차감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판매하는 상품의 매출데이터를 관리하는 매출관리서버; 및 상기 매출관리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매출이 발생된 상품의 매출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매출데이터를 기반으로 식자재 재고량을 차감하는 재고량예측모듈을 포함하는 식자재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 또는 '제공'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서버'란 사용자가 접속하여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하며,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적은 경우 하나의 서버에 다수의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더욱이,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수가 많은 경우 서버의 기능에 따라 하나의 시스템 운영을 위한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서버'에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하는 DB가 포함될 수 있으며,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시스템은 요식/외식업체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매출데이터를 관리하는 매출관리서버(200)와, 상기 매출데이터를 매출관리서버(20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아 재고량을 예측하는 식자재관리서버(1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통신망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망인 통신망,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으며, 블루투스(Buletooth), Wi-Fi(Wireless Fidelity), 비콘(Beacon) 등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망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무선 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요식/외식업체 관계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300)과, 농수산물 판매자가 사용하는 공급자 단말(400)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300)과 공급자 단말(400)은 단일의 단말일 수 있음은 물론, 복수의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300) 및 공급자 단말(400)은 유선단말 및 무선단말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단말을 의미하며, 노트형 퍼스컴(Notebook-sized 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이 포함된다.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고량예측모듈(110)을 포함하며, 공급관리모듈(120)과 주문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고량예측모듈(110)은 매출관리서버(200)로부터 매출이 발생된 상품의 매출데이터, 즉 상품의 종류(가격, 등급 등 포함), 상품의 가격, 상품의 판매일자, 식자재 상태(신선도 등 포함), 날씨(온도 등 포함) 등을 전송받아 이를 토대로 식자재의 재고량을 차감하며, 이는 상기 재고량예측모듈(110)에 식자재관리서버(10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소지자인 요식/외식업체 관계자의 입력을 통해 해당 요식/외식업체가 초기에 보유한 식자재의 재고량이 입력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또한, 매출데이터를 통한 식자재 재고량 자동 차감을 위해 요식/외식업체에서 상품정보(판매되는 상품의 명칭과, 해당 상품에 사용되는 식자재의 종류와 수량이 포함)가 재고량예측모듈(110)에 등록되어 있어야 하며, 상기 상품정보는 요식/외식업체의 보편적인 특성에 따라 식자재관리서버(100)의 관리자에 의해 등록될 수 있다.
다만, 요식/외식업체의 경우 각 업체마다 상품에 사용하는 식자재의 종류와 수량이 상이한 경우가 많으므로, 해당 요식/외식업체의 관계자가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업체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명칭과, 해당 상품에 상요되는 식자재의 종류와 수량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재고량예측모듈(110)에 사전 등록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재고량예측모듈(110)은 각 요식/외식업체마다 그에 적합하도록 매출에 따른 식자재 재고량 차감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재고량예측모듈(110)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식자재 상태(신선도 등 포함), 날씨(온도 등 포함) 등을 전송받아 이를 토대로 식자재의 재고량을 차감할 수 있는바, 날씨 즉 계절에 따라, 그리고 보유한 식자재의 신선도, 즉 보유한 식자재의 보관상태, 보유한 식자재에 대한 주문시 신선도 등급 등을 고려하여 해당 식자재가 소정의 기간동안 재고가 있는 것으로 예측하여 식자재의 재고량을 차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고량예측모듈(110)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전송받은 오차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오차정보는 소정의 기간 동안 식자재관리서버(100) 상의 식자재 재고량과, 업체가 실제 보유한 식자재 재고량의 차이를 의미한다.
상기 재고량예측모듈(110)은 오차정보를 고려하여 식자재 재고량을 차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신뢰성 높은 식자재 재고량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본 발명을 통해 한 달간 사용한 후, 식자재관리서버(100) 상의 식자재 재고량과 요식/외식업체가 실제 보유한 식자재 재고량의 차이가 "10"인 경우, 상기 재고량예측모듈(110)은 매출에 따른 재고량을 "30" 차감하여야 할 것을 "20"으로 차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고량예측모듈(110)은 일정 기간 동안의 오차정보를 여러 개 비교하여, 평균적인 오차정보를 산출하여 소정의 기간 이후에는 일정 기간 이후 주기적으로 평균적인 오차정보를 고려하여 식자재 재고량을 차감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재고량예측모듈(110)에는 식자재관리서버(100)의 관리자 또는 요식/외식업체의 관계자가 식자재에 대한 주문이 필요한 시점을 파악하기 위해 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재고량예측모듈(110)은 소정의 기간 동안 전송받은 매출데이터를 통해 기간별 매출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매출분석정보를 이용하여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재고량예측모듈(110)은 매출분석정보를 요일별 또는 월별로 생성할 수 있으며, 특정 요일이나 특정 월에 어떠한 상품에 대한 판매가 많이 이루어지거나 적게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재고량예측모듈(110)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식자재 주문이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하는 설정값을 높이거나 낮추게 되므로, 식자재 재고가 남거나 부족한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는 공급자 단말(400)로부터 식자재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하는 공급관리모듈(12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식자재정보는 판매가능한 식자재의 종류, 수량 및 가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는 공급자 단말(400)로 주문을 요청하는 주문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문모듈(130)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식자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관리모듈(120) 또는/및 주문모듈(130)을 통해 식자재를 공급하는 농수산물 중도매상들은 자신이 판매하고 있는 식자재정보를 업로드하여 요식/외식업체 관계자가 식자재를 주문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요식/외식업체 관계자들은 다수의 농수산물 중도매상들이 공급자 단말(400)을 통해 업로드한 식자재정보를 비교하여 자신의 업체에 적합한 식자재를 주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식자재 주문은 사용자가 직접 업로드된 식자재정보를 확인한 후 주문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에서 자동적으로 업로드된 식자재정보를 파악하여 주문을 할 수도 있다.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식자재정보를 직접 확인하여 주문을 하는 경우, 상기 재고량예측모듈(110)에 설정값이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재고량예측모듈(110)은 재고량이 설정값 이하인지 판단하고, 재고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주문모듈(130)은 사용자 단말(300)로 식자재 주문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매번 재고관리서버(100)에 접속하여 식자재 재고량을 확인할 수 없는바, 재고량 부족을 알려 주문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식자재정보를 직접 주문하는 경우, 사용자는 식자재 주문 이미지를 식자재관리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식자재 주문 이미지는 사용자가 수기로 상품명을 포함한 식자재 주문 문구 이미지 또는 해당 식자재에 대하여 사용자가 구입하기를 원하는 상품을 직접 촬영한 이미지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식자재 주문 이미지를 식자재관리서버(100)로 전송시, 이미지를 주문 웹페이지를 통해 시스템에 업로드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식자재 주문 이미지를 메일 또는 MMS 등을 이용하여 식자재관리서버(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식자재관리서버(100)로 전송된 식자재 주문 이미지를 관리자가 확인하여 해당 식자재 상품에 대하여 주문을 요청할 수도 있으나, 운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는 전송받은 식자재 주문 이미지 내에 포함된 글자를 인식하도록 영상처리하여, 사용자가 구입하고자 하는 식자재의 상품명, 용량, 종류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인식된 식자재의 상품명, 용량, 종류 등과 일치하는 상품이 이전 구매 데이터에 존재하는 경우 이를 주문 상품으로 추출하고, 이전 구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다른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다른 사용자가 구매하였던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장 유사한 상품을 주문 상품으로 추출하여, 공급자 단말(400)로 식자재 주문내역을 전송한다.
다음으로, 식자재관리서버(100)에서 자동적으로 식자재정보를 파악하여 주문을 하는 경우, 상기 재고량예측모듈(110)에 설정값이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재고량예측모듈(110)은 재고량이 설정값 이하인지 판단하고, 재고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주문모듈(130)은 공급자 단말(400)로 식자재 주문을 자동으로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문모듈(130)은 주문이 필요한 식자재정보를 공급관리모듈(110)로부터 전송받는데, 동일한 종류의 식자재에 대한 정보가 다수 등록되어 이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주문모듈(130)은 동일한 종류의 식자재에 대한 공급가격을 비교하여 최저가격으로 등록한 공급자 단말(400)로 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식자재 주문 작업 없이 부족한 식자재를 제때 공급받을 수 있음은 물론, 동일한 종류의 식자재 중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식자재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식자재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식/외식업체에서 상품을 판매하여 매출이 발생되는 경우, 매출관리서버(200)가 매출 발생을 인지한 경우(S30), 상기 매출관리서버(200)는 통신망을 통해 매출이 발생된 상품의 매출데이터를 식자재관리서버(100)로 전송하고(S31), 상기 매출데이터를 기반으로 식자재 재고량을 차감한다(S32). 따라서, 매출과 연동하여 식자재의 재고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렇게 파악된 식자재 재고량은 일정 수준 이상의 신뢰도를 가진다.
또한, S32 단계 이후,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는 식자재 재고량 차감을 통해 상품 판매 후 남아있는 식자재의 재고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파악된 식자재 재고량을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S30 단계 이전에, 사용자 단말(300)이 통신망을 통해 상품정보를 식자재관리서버(100)로 전송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S10), 이때 상품정보는 요식/외식업체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명칭과, 해당 상품에 사용되는 식자재의 종류와 수량을 포함한다.
또한, S30 단계 이전에, 사용자 단말(300)이 통신망을 통해 오차정보를 식자재관리서버(100)로 전송하여 상기 오차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S20), 이때 오차정보는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 상의 식자재 재고량과, 요식/외식업체가 실제 보유한 식자재 재고량의 차이로부터 발생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 경우 S32 단계에서,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는 오차정보를 고려하여 식자재 재고량을 차감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식자재 재고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출 발생(S50, S70, S90) 전, 식자재를 공급하는 농수산물 중도매인이 소지하는 공급자 단말(400)은 통신망을 통해 식자재정보를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로 전송하여 식자재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S40, S60, S80), 이때 식자재정보는 공급자가 판매가능한 식자재의 종류, 수량 및 가격을 포함한다.
공급자 단말(400)을 통해 식자재관리서버(100)에 등록된 식자재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식자재를 주문하는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식자재정보를 제공하고(S54, S74),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식자재 주문 요청을 받은 후(S55, S76), 식자재 주문내역을 공급자 단말(400)로 전송하여 식자재 주문을 요청한다(S56, S78).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식자재 주문 요청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자재 주문 이미지를 전송받는 것(S76)으로 대신할 수 있으며, 이때, 식자재 주문 이미지는 사용자가 수기로 상품명을 포함한 식자재 주문 문구 이미지 또는 해당 식자재에 대하여 사용자가 구입하기를 원하는 상품을 직접 촬영한 이미지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는 전송받은 식자재 주문 이미지 내에 포함된 글자를 인식하도록 영상처리하여, 사용자가 구입하고자 하는 식자재의 상품명, 용량, 종류 등을 인식한다(S76).
이때,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인식된 식자재의 상품명, 용량, 종류 등과 일치하는 상품이 이전 구매 데이터에 존재하는 경우 이를 주문 상품으로 추출하고, 이전 구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다른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다른 사용자가 구매하였던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장 유사한 상품을 주문 상품으로 추출하여(S77), 공급자 단말(400)로 식자재 주문내역을 전송한다(S78)
한편,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에 식자재에 대한 주문이 필요한 시점을 파악하기 위해 설정값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는 매출데이터를 토대로 식자재 재고량을 차감한 후(S52, S72), 재고량이 설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파악하여(S53, S73), 해당 조건을 만족하면 식자재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또는 이에 앞서 사용자 단말(300)로 식자재 주문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S54, S74).
한편, 공급자 단말(400)을 통해 식자재관리서버(100)에 등록된 식자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가 자동으로 식자재를 주문하고,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에 식자재에 대한 주문이 필요한 시점을 파악하기 위해 설정값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는 매출데이터를 토대로 식자재 재고량을 차감한 후(S92), 재고량이 설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파악하여(S93), 해당 조건을 만족하면 공급자 단말(400)로 식자재 주문을 자동으로 요청할 수 있다(S95).
상기 공급자 단말(400)을 통해 식자재관리서버(100)에 등록된 식자재정보 중 동일한 종류의 식자재가 다수 등록된 경우,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는 S93 단계 이후, 동일한 종류의 식자재에 대하여 최저가격을 등록한 공급자를 파악하여(S94), 해당 공급자 단말(400)로 식자재 주문이 자동적으로 요청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자재관리서버(100)는 소정의 기간 동안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전송받은 매출데이터를 통해 기간별 매출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등록된 설정값을 상기 매출분석정보를 토대로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요식/외식업체로부터 전송받은 상품의 매출정보를 통해 해당 상품에 사용된 식자재 재고량을 자동 차감하므로 식자재가 얼마나 남아 있는지, 얼마나 부족하여 식자재를 주문하여야 하는지 손쉽게 예측할 수 있는바, 일일이 식자재 재고를 파악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식자재 재고를 예측함에 있어 매출이 발생된 상품정보를 이용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자재를 공급하는 자와, 식자재를 소비하는 자를 연결하여 공급자에게는 새로운 거래처 확보 기회를 제공하고, 소비자에게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식자재를 구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바, 식자재에 대한 상거래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100 : 식자재관리서버 110 : 재고량예측모듈
120 : 공급관리모듈 130 : 주문모듈
200 : 매출관리서버 300 : 사용자 단말
400 : 공급자 단말

Claims (11)

  1. 매출관리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매출이 발생된 상품의 매출데이터를 식자재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매출데이터를 기반으로 식자재 재고량을 차감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 1 단계 이전에,
    사용자 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업체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명칭과, 해당 상품에 사용되는 식자재의 종류와 수량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식자재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식자재관리서버 상의 식자재 재고량과, 업체가 실제 보유한 식자재 재고량의 차이에 따른 오차정보를 식자재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제 2 단계는,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오차정보를 고려하여 식자재 재고량을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공급자 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판매가능한 식자재의 종류, 수량 및 가격을 포함하는 식자재정보를 식자재관리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식자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식자재관리서버를 통해 공급자 단말로 식자재 주문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재고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사용자 단말로 식자재 주문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공급자 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판매가능한 식자재의 종류, 수량 및 가격을 포함하는 식자재정보를 식자재관리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재고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공급자 단말로 식자재 주문을 자동으로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소정의 기간 동안 전송받은 매출데이터를 통해 기간별 매출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매출분석정보를 통해 상기 설정값을 조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식자재관리서버에 동일한 종류의 식자재가 다수 등록된 경우,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동일한 종류의 식자재에 대하여 최저가격을 등록한 공급자 단말로 주문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식자재관리서버로 식자재 주문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전송받은 식자재 주문 이미지를 영상처리하여 식자재 주문 이미지 내에 포함된 글자를 인식하여 사용자가 주문한 식자재 상품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공급자 단말로 추출된 식자재 상품에 대하여 주문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식자재 상품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식자재관리서버가 식자재 주문 이미지 내에 포함된 상품명을 인식한 후, 해당 상품에 대하여 이전 구매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주문 요청한 식자재 상품으로 추출하고,
    이전 구매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다른 사용자 단말을 통한 이전 구매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상품과 가장 유사한 상품을 주문 요청한 식자재 상품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9. 판매하는 상품의 매출데이터를 관리하는 매출관리서버; 및
    상기 매출관리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매출이 발생된 상품의 매출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매출데이터를 기반으로 식자재 재고량을 차감하는 재고량예측모듈을 포함하는 식자재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자재관리서버는 공급자 단말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판매가능한 식자재의 종류, 수량 및 가격을 포함하는 식자재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하는 공급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자재관리서버는 재고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동일한 종류의 식자재에 대하여 최저가격을 등록한 공급자 단말로 주문을 자동으로 요청하는 주문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시스템.
KR1020160158943A 2016-11-28 2016-11-28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101870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943A KR101870329B1 (ko) 2016-11-28 2016-11-28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943A KR101870329B1 (ko) 2016-11-28 2016-11-28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996A true KR20180059996A (ko) 2018-06-07
KR101870329B1 KR101870329B1 (ko) 2018-06-22

Family

ID=62768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943A KR101870329B1 (ko) 2016-11-28 2016-11-28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329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997B1 (ko) * 2019-04-11 2019-07-15 김영수 휴먼 에러 방지를 위한 식자재 주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73508B1 (ko) * 2019-01-02 2020-02-04 (주) 에이비씨푸드서비스 식품자재 배송 및 최저가정보 제공 시스템
KR102125526B1 (ko) * 2019-07-16 2020-06-22 (주)부엉이에프엔비 가맹점 운영 지원 서버 및 시스템
KR102160175B1 (ko) * 2020-02-03 2020-09-25 박종현 복수의 프랜차이즈를 관리하는 스마트 시스템
CN111754057A (zh) * 2019-03-28 2020-10-09 珠海市卓优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原料溯源生产及销售产品的系统及其方法
KR102170075B1 (ko) 2020-07-03 2020-10-26 주식회사 니즈 식자재 유통기한의 관리를 위한 스마트 시스템
KR20210031047A (ko) * 2019-09-11 2021-03-19 한병엽 포장용기 자동 주문발주 장치
KR102289885B1 (ko) * 2020-02-28 2021-08-17 (주)씨아이테크 정보 제공 기능이 구비된 무인 발주 키오스크 시스템
KR20210149550A (ko) * 2020-06-02 2021-12-09 (주)이암허브 기상정보를 활용한 외식기업의 매출 추정 시스템 및 매출 추정액의 산출 방법
KR20220013734A (ko) * 2020-07-27 2022-02-04 주식회사 딜리버리랩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72128A (ko) * 2020-11-24 2022-06-02 주식회사 올립스 요식업 빅데이터 기반 식/부자재 주문관리 시스템
KR20220146821A (ko) 2021-04-26 2022-11-02 김서찬 추세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한 식자재 관리시스템
WO2023287073A1 (ko) * 2021-07-13 2023-01-19 주식회사 식파마 매장 운영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18605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리드플래닛 가맹점의 식자재 발주수량 또는 사용중량에 기초한 품질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ai 학습 모델
KR20230050731A (ko) 2021-10-08 2023-04-17 조동영 판막 빨대
KR20230095641A (ko)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낭만상회 매장 맞춤형으로 식자재 재고를 관리하는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 및 서버
WO2023140477A1 (ko) * 2022-01-18 2023-07-27 주식회사 카이로스랩 상점 재료의 주문 수량 예측 디바이스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505B1 (ko) * 2019-09-25 2022-01-20 한병엽 인공지능 기반의 포장용기 재고 처리 장치
KR102234497B1 (ko) 2020-07-06 2021-04-01 쿠팡 주식회사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594089B1 (ko) * 2020-11-30 2023-10-26 푸드팡 주식회사 B2b 시장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식자재 자동 발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52935B1 (ko) * 2022-03-14 2022-10-12 홍준표 식자재 재고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4707A (ja) * 1999-11-08 2001-05-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消費財保管庫と消費財保管庫管理システムおよび消費財保管庫における消費財管理方法とその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110133016A (ko) 2011-11-21 2011-12-09 성경 프랜차이징 음식점 관리 서비스 방법
KR20130123285A (ko) * 2012-05-02 2013-11-12 윤택중 식자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16031608A (ja) * 2014-07-28 2016-03-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購買支援装置及び購買支援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4707A (ja) * 1999-11-08 2001-05-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消費財保管庫と消費財保管庫管理システムおよび消費財保管庫における消費財管理方法とその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110133016A (ko) 2011-11-21 2011-12-09 성경 프랜차이징 음식점 관리 서비스 방법
KR20130123285A (ko) * 2012-05-02 2013-11-12 윤택중 식자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16031608A (ja) * 2014-07-28 2016-03-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購買支援装置及び購買支援方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508B1 (ko) * 2019-01-02 2020-02-04 (주) 에이비씨푸드서비스 식품자재 배송 및 최저가정보 제공 시스템
CN111754057A (zh) * 2019-03-28 2020-10-09 珠海市卓优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原料溯源生产及销售产品的系统及其方法
KR101999997B1 (ko) * 2019-04-11 2019-07-15 김영수 휴먼 에러 방지를 위한 식자재 주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25526B1 (ko) * 2019-07-16 2020-06-22 (주)부엉이에프엔비 가맹점 운영 지원 서버 및 시스템
KR20210031047A (ko) * 2019-09-11 2021-03-19 한병엽 포장용기 자동 주문발주 장치
KR102160175B1 (ko) * 2020-02-03 2020-09-25 박종현 복수의 프랜차이즈를 관리하는 스마트 시스템
KR102289885B1 (ko) * 2020-02-28 2021-08-17 (주)씨아이테크 정보 제공 기능이 구비된 무인 발주 키오스크 시스템
KR20210149550A (ko) * 2020-06-02 2021-12-09 (주)이암허브 기상정보를 활용한 외식기업의 매출 추정 시스템 및 매출 추정액의 산출 방법
KR102170075B1 (ko) 2020-07-03 2020-10-26 주식회사 니즈 식자재 유통기한의 관리를 위한 스마트 시스템
KR20220013734A (ko) * 2020-07-27 2022-02-04 주식회사 딜리버리랩 소비량 예측을 통한 주문 필요 식자재의 맞춤형 스마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72128A (ko) * 2020-11-24 2022-06-02 주식회사 올립스 요식업 빅데이터 기반 식/부자재 주문관리 시스템
KR20220146821A (ko) 2021-04-26 2022-11-02 김서찬 추세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한 식자재 관리시스템
WO2023287073A1 (ko) * 2021-07-13 2023-01-19 주식회사 식파마 매장 운영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18605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리드플래닛 가맹점의 식자재 발주수량 또는 사용중량에 기초한 품질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ai 학습 모델
KR20230050731A (ko) 2021-10-08 2023-04-17 조동영 판막 빨대
KR20230095641A (ko)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낭만상회 매장 맞춤형으로 식자재 재고를 관리하는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 및 서버
WO2023140477A1 (ko) * 2022-01-18 2023-07-27 주식회사 카이로스랩 상점 재료의 주문 수량 예측 디바이스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329B1 (ko)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329B1 (ko)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및 시스템
US103320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replenishment and management of inventory
US9891094B2 (en) Weighing scale system with weighing scale and portable computer device
US115012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and management of root cause for inventory problems
US20120036014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location aware marketing
CN109948829B (zh) 一种基于多个售货点的调货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853335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송관리시스템 및 배송관리방법
US201801079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shipping returns
US20140258050A1 (en) Store Feature Item Finder
CN109658010A (zh) 食材的管理方法及装置
KR20140079652A (ko) 창업 지원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
CN111126917A (zh) 单位转移数值调整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1938862B1 (ko) 슈퍼마켓 창고관리 효율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0490662A (zh) 一种通过线下开单进行线上店铺推广的系统和方法
KR20210044974A (ko) 종합유통물류 통합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Mateen Khan Models for Online Grocery Shopping-A Study of Pakistani Online Market
KR20210025414A (ko) 식자재 재고 예측 시스템
CN115357766A (zh) 数据匹配方法及相关装置
WO2018110240A1 (ja) 商品販売システム
CN108921482A (zh) 快消品投放方法及系统
KR20220161865A (ko) 런닝 셰프 레시피 위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1645609B2 (en) Tracking food safety in a supply chain
CN110599683B (zh) 商品派发管理方法及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6611365B (zh) 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JP2020154806A (ja) 配信システム、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