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497B1 -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497B1
KR102234497B1 KR1020200082908A KR20200082908A KR102234497B1 KR 102234497 B1 KR102234497 B1 KR 102234497B1 KR 1020200082908 A KR1020200082908 A KR 1020200082908A KR 20200082908 A KR20200082908 A KR 20200082908A KR 102234497 B1 KR102234497 B1 KR 102234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ales
information
price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현
김지훈
이창현
김영진
안석민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2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497B1/ko
Priority to PCT/KR2020/010330 priority patent/WO2022010023A1/ko
Priority to CN202080003345.6A priority patent/CN114080621A/zh
Priority to AU2020281182A priority patent/AU2020281182A1/en
Priority to JP2020140743A priority patent/JP6914578B1/ja
Priority to US17/010,728 priority patent/US11392972B2/en
Priority to PH12020552107A priority patent/PH12020552107A1/en
Priority to TW109144881A priority patent/TW202203116A/zh
Priority to KR1020210001889A priority patent/KR102377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497B1/ko
Priority to KR1020220034034A priority patent/KR102623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2During e-commerce, i.e. online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9Onlin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네트워크를 통해 판매되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상기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 상기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PRODUCT SALE MANAGIN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전자상거래가 확대되고 있다. 전자상거래는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온라인으로 제공됨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해 거래가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고객은 온라인에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함에 기초하여 상품을 주문하고, 상품의 판매자는 주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에 기초하여 상품을 고객에게 배송한다.
이와 같은 전자상거래는 고객이 상품을 주문하는 시점과 판매자가 주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시점에 간격이 생기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루 중 특정 시점에 판매자는 그 전까지 수행된 상품에 대한 주문을 확인하여 고객에게 상품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온라인 상의 상품에 대한 정보에 오류가 생기게 되어 잘못된 주문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판매자는 이를 추후에 확인하기 때문에 잘못된 주문으로 인한 손실이 발생하거나 상품을 고객에게 제공하지 못하게 되어 불편이 야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초로 상품 판매와 관련된 상황을 확인하여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품의 판매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판매되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상기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 상기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판매되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상기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 상기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에 따라,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전자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시적 기록매체로서, 상기 정보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판매되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상기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 상기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은,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초로 상품의 판매 상황을 파악하여 상황에 따라 상품 판매 관리 정보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상품의 판매 관리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은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초로 상품 판매와 관련된 이상 상황을 감지하여 상품 판매 관리 정보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이상 상황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품 판매 관리 정보 제공 여부의 결정을 위한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 중 상품의 판매 가격과 관련된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 중 상품의 판매 가격과 관련된 정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 중 관리자와 관련된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품의 판매를 관리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제1 부분(110)은 상품의 판매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제2 부분(120)은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초로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석하는 과정, 제3 부분(130)은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과 관련된다.
제1 부분(110)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획득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상품의 주문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특정 시간 간격(예: 5분)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부분(110)의 B와 같이 특정 시간 동안(예: Time#1. Time#2)의 상품 주문에 대한 정보(예: VI#1, VI#2, VI#3)가 쌓여 그룹핑된 후 전자 장치로 특정 시간 단위로 전송됨으로써 전자 장치에 의해 상품의 판매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상품의 판매 정보는 주문이 이루어진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의 판매 정보는 상품의 판매 가격, 상품의 판매 수량, 상품의 할인율 및 상품의 마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상품의 식별자, 상품의 할인 금액, 상품의 카테고리, 상품의 판매 시간 및 상품의 배송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품의 판매 정보는 예를 들면 하기의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품이 판매된 시간, 상품의 카테고리, 상품의 식별자 및 판매 가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 시간 상품 카테고리 상품 식별자 판매 가격
2020. 05. 09 15:00 Toy A 10,000
2020. 05. 09 15:02 Toy A 15,000
2020. 05. 09 15:04 Toy A 20,000
특정 시간 단위로 상품의 판매 정보는 종합(aggregate)되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통합되는 데이터는 하기의 표 2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판매 가격은 특정 시간 동안(예: 5분) 판매된 상품의 판매 가격의 평균일 수 있다.
판매 시간 상품 카테고리 상품 식별자 판매 가격 판매 수량
2020. 05. 09 15:05 Toy A 15,000 3
다만 이는 예시일 뿐 이러한 예에 본 실시예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제1 부분(110)의 'rs_product_storage'에 대응하는 단계에서 상품과 관련하여 기지정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정보는 후술하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 여부 판단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품과 관련하여 기지정된 정보는 예를 들면 상품의 원가, 기지정된 기간 동안 상품의 평균 마진(판매가격과 원가의 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평균 마진 등의 요소는 판매자가 고려하는 상품 판매와 구매에 사용된 비용을 기반으로 고려되는 이익과 관련된 수치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제1 부분(110)의 ' ES_aggregator'에 대응하는 단계에서 상품의 판매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후술하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 여부 판단을 위해 이용되는 분포(예: 판매 가격에 대한 분포, 마진 분포)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분포는 후에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 여부 판단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2 부분(12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획득된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상품의 판매 정보가 기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품 판매 관리 정보 제공의 필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기지정된 조건은 예를 들면 상품 판매에 따른 수익이 특정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 상품의 판매 가격이 기지정된 가격 분포 상의 특정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 및 상기 상품에 대한 마진이 기지정된 마진 분포 내의 특정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겠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상술한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 여부 판단은 제2 부분(120)의 'Anomaly Detection Framework'에 대응하는 단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제2 부분(120)의 'detection module#1, detection module#2, detection module#3'각각은 상품 판매 관리 정보 제공의 필요 여부 판단을 위한 서로 다른 조건에 대응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실시 예에 따라 상술한 서로 다른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품 판매 관리 정보 제공의 필요 여부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상품 판매 관리 정보 제공의 필요 여부 판단을 위한 서로 다른 조건은 기지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겠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제2 부분(120)의 'Analysis Trigger'에 대응하는 단계에서 상품의 판매 정보를 특정 시간 간격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분된 판매 정보는 상술한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 여부 판단에 이용될 수 있다.
제3 부분(130)을 참조하면,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확인된 경우 사용자에게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품 판매 관리 정보는 예를 들면 상품의 판매 가격 변경 정보, 상품의 판매 상태 정보, 상품의 물류 정보, 상품의 판매자 정보, 상품의 판매 제어 정보, 상품의 판매 가격, 상품의 판매 상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페이지 링크 정보 및 상품의 관리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의 판매 가격 변경 정보는 상품 가격의 변경 추이에 대한 정보, 상품 가격의 변경 원인 정보 및 변경 전후의 가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변경 추이에 대한 정보는 시간에 따른 가격 변경에 대한 정보로 그래프, 표,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예는 도 5 또는 6을 참조할 수 있다. 상품 가격의 변경 원인 정보는 상품 가격의 변경이 어떠한 객체(예: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이루어진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의 판매 상태 정보는, 상품의 현재 판매 가격 및 상품의 판매를 위한 웹페이지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정보 및 상품이 현재 품절된 상태인지 판매가 지속 중인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의 물류 정보는 예를 들면 상품의 카테고리, 상품의 종류, 상품이 판매된 수량 및 상품의 명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의 판매자 정보는 예를 들면 상품의 판매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품의 판매 제어 정보는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 또는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의 판매 상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페이지 링크 정보는 예를 들면 상품의 판매 상태(예: 품절, 판매 중)의 변경을 위해 별도의 웹페이지가 요구되는 경우, 웹페이지에 접근하는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확인됨에 대응하여 제3 부분(130)의 'Alert Trigger' 단계를 통해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을 트리거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트리거를 기반으로 'Alerts' 단계를 통해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품 판매 관리 정보는 제3 부분(130)의 'Sending Email' 단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메일(Email)의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문자 또는 알림 메시지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화살표 순서는 과정의 선후 관계를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본 실시 예가 제한되지 않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선후 관계가 도시된 바와 무관하게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는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메모리(210) 및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각 요소(element)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도 2의 전자 장치(200)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0)의 구현 방식에 의해 본 명세서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메모리(210)는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10)는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에 저장된 명령어를 기반으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에 저장된 명령어를 기초로 전자 장치(200)의 요소를 제어함으로써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네트워크를 통해 판매되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품은 전자상거래를 기반으로 판매가 이루어지며, 프로세서(220)는 상품에 대한 판매를 기초로 상품의 판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20)는 특정 시간(예: 5분) 간격으로 특정 시간 동안 판매가 완료된 상품에 대한 판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프로세서(220)는 5분 단위로 5분간 판매가 완료된 상품의 판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220)는 상품에 대한 판매가 완료됨에 대응하여 상품의 판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품의 판매 정보는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로, 예를 들면 상품의 판매 가격, 상품의 판매 수량, 상품의 할인율 및 상품의 마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예에 본 실시 예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상품이 판매된 시간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20)는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서버로부터 상품의 판매를 기초로 판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20)는 상품의 판매를 위한 웹사이트의 구동을 위한 서버와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연결을 기초로 상품의 판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전자 장치(200)가 상기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현되는 경우 프로세서(220)는 상품에 대한 판매가 수행됨에 기초하여 상품의 판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20)는 상품의 판매 정보의 확인을 기초로 상품의 판매가 기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상품의 판매가 기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지정된 조건은 예를 들면 상품의 판매 가격, 이익율, 예상 판매량, 마진, 수익 및 판매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미리 지정된 조건일 수 있다. 여기서, 마진은 상품의 판매 가격과 원가의 차를 나타내고, 수익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품들 각각에 대한 마진의 합 또는 상품의 판매로 인해 획득되는 판매 이익을 나타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프로세서(220)는 상품의 판매가 기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이상 징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상 징후는 일반 적인 경우와는 징후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면 상품의 판매가 일반적인 경우와 달리 급감하거나 급등하는 상황 또는 상품 판매에 대한 마진(또는 수익, 이익율)이 급락하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20)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초로 상품의 판매 가격, 상품의 판매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준 시간 동안 판매된 상품의 수량을 기초로 상품의 예상 판매량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20)는 기지정된 통계 결과에 따라 기준 시간 동안 판매된 상품의 수량을 분석하여 하루 동안의 예상 판매량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초로 14시 00분부터 14시 05분 동안 판매된 수량이 10개이고, 기지정된 통계 결과에 따른 하루 예상 판매량이 14시 00분부터 14시 05분 동안 판매된 수량의 100배인 경우 하루 동안의 예상 판매량을 1000개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이러한 예에 본 실시 예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예상 판매량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상품 판매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기준 시간은 판매 물건의 종류, 물건 판매 시간 및 물건 판매와 관련된 가격을 기반으로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라 적용되는 알고리즘에 따라 각기 다른 기준 시간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20)는 특정 기간(예: 1주일) 동안 상품의 판매 이력을 기초로 생성된 상품의 판매 가격에 대한 분포(또는 분포 그래프, 정규분포 그래프, 분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의 가격이 상기 분포 상의 특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상품의 가격이 상기 특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품의 예상 판매량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주일간 상품의 평균 판매 가격에 따른 분포는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프로세서(220)는 판매 가격이 확인되면 확인된 판매 가격의 상기 분포 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확인된 판매 가격에 대응하는 위치가 분포 상의 특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특정 범위는 예를 들면 판매 가격에 대한 분포가 정규 분포 그래프에 대응하는 경우, 정규분포 그래프의 -7σ이하 +7σ이상에 대응하는 범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정규분포 그래프와 관련된 구체적인 예는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프로세서(220)는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의 가격의 표준편차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확인된 표준편차를 기초로 상품의 가격에 대한 상기 평균 판매 가격에 따른 분포 상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확인된 위치가 기지정된 위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품의 예상 판매량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확인된 예상 판매량에 따라 상기 상품의 판매에 따른 수익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상품의 판매 가격을 기초로 확인된 예상 판매량에 따른 수익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상품의 판매 가격과 상품의 원가의 차에 예상 판매량을 곱하여 수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상품의 원가 정보는 메모리(210)에 미리 지정된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시 예에 따라 상품의 판매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20)는 확인된 수익의 값이 특정 범위(예: 10만원 이상)를 벗어나는 경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확인된 수익의 값이 특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는 상술한 기지정된 조건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범위가 10만원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220)는 확인된 수익의 값이 100만원 미만인 경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20)는 상품에 대한 판매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판매 이벤트에 대한 마진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20)는 상품에 대한 판매 이벤트가 확인되면 판매 이벤트에 대응하는 마진을 확인할 수 있다. 판매 이벤트는 예를 들면 상품에 대한 주문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진은 예를 들면 상품의 판매 가격과 원가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확인된 마진이 기지정된 마진 분포 내의 특정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진 분포는 예를 들면 특정 기간 동안 판매된 상품에 대한 판매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마진에 대한 정규분포를 포함할 수 있다. 정규분포에 대한 예는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확인된 마진이 특정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프로세서(220)는 확인된 마진에 대한 표준편차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확인된 표준편차를 기초로 확인된 마진에 대한 기지정된 마진 분포 상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확인된 마진의 위치가 특정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20)는 상품의 판매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특정 기간(예: 5분) 동안 판매된 상품의 판매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확인된 판매수량이 기지정된 판매수량 분포 상의 특정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확인된 판매수량이 특정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정된 판매수량 분포는 예를 들면 특정 기간(예: 5분) 단위로 판매된 상품의 판매 수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정규분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정된 판매수량 분포는 상기 특정 기간 단위의 판매수량에 대한 정규분포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특정 기간 단위의 판매수량은 유닛솔드(unit sold)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용어에 실시예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20)는 상품의 판매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판매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익율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확인된 이익율이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품 판매 이벤트의 이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익율은 상품의 판매 효율에 대한 값으로, 예를 들면 상품의 판매가격과 원가의 차이를 원가로 나눈 값 또는 상기 값에 100을 곱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익율은 상품 별로 산정될 수 있다.
이익율과 관련된 상기 특정 조건은 예를 들면 특정 기간 동안 확인되는 이익율을 기초로 지정된 값보다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의 이익율이 더 적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특정 조건은 복수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조건은 한달 동안의 판매된 상품의 최소 이익율 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최근 10분 동안 판매된 상품의 평균 이익율의 75% 미만인 값을 가지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품 판매 관리 정보는, 예를 들면 상품의 판매 가격 변경 정보, 상품의 판매 상태 정보, 상품의 물류 정보, 상품의 판매자 정보, 상품의 판매 제어 정보, 상품의 판매 가격, 상품의 판매 상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페이지 링크 정보 및 상품의 관리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 가격 변경 정보는 예를 들면 가격 변경의 원인(예: 관리자에 의한 변경, 시스템에 의한 자동 변경) 및 가격 변경 이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 상태 정보는 상품의 현재 판매 가격 및 상품의 판매를 위한 웹페이지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정보 및 상품이 현재 품절된 상태인지 판매가 지속 중인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의 물류 정보는 예를 들면 상품의 카테고리, 상품의 종류, 상품이 판매된 수량 및 상품의 명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의 판매자 정보는 예를 들면 상품의 판매자를 나타내는 정보, 상품의 판매 제어 정보는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 또는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의 판매 상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페이지 링크 정보는 예를 들면 상품의 판매 상태(예: 품절, 판매 중)의 변경을 위해 별도의 웹페이지가 요구되는 경우, 웹페이지에 접근하는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품의 판매자는 상품을 공급하여 고객에게 판매하는 주체를 포함하고, 상품의 관리자는 상품의 판매자와의 계약을 기초로 상품의 판매를 관리하는 주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관리자는 상품의 판매를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관리자는 판매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예에 의해 본 실시 예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20)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 상품에 대응하는 수신 장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수신 장치 정보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요구되는 기지정된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확인된 수신 장치로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상품에 대응하는 수신 장치는 제1 장치 및 제2 장치를 포함하고 제2 상품에 대응하는 수신 장치는 제1 장치 및 제3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220)는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이 제1 상품이고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함에 대응하여, 제1 장치 및 제2 장치로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수신 장치는 장치 사용자를 기반으로 구분되는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 장치는 사용자의 직무, 직위 또는 사용자의 유형에 대한 카테고리 별로 미리 구분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치는 상품의 판매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와 관련된 장치를 포함하고 제2 장치는 상품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와 관련된 장치를 포함하며, 제3 장치는 상품의 배송을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와 관련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이러한 예에 본 실시 예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20)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유형 별로 대응하는 수신 장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1 유형에 대응하는 수신 장치 정보와 제2 유형에 대응하는 수신 장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각 유형 별 대응하는 수신 장치로 상품 판매 관리 정보 중 대응하는 유형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제1 유형(예: 상품 판매의 이상에 대한 단순 알림)의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장치(예: 등록된 모든 장치)에게 상품 판매 관리 정보 중 제1 유형의 정보를 제공하고, 제2 유형(예: 상품 판매의 관리)의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장치(예: 상품의 판매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와 관련된 장치)에게 상품 판매 관리 정보 중 제2 유형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유형은 기지정된 보안 등급 및 관리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 따라 상품 별로 대응하는 장치 또는 제공되는 판매 정보 별로 대응하는 장치는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장치의 지정과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예는 도 8을 참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20)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에 대응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상품의 판매를 중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프로세서(220)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확인됨에 대응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상품의 판매를 중지할 수 있다. 상품의 판매 중지를 위해 프로세서(220)는 상품의 판매를 위해 표시되는 웹페이지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상품이 품절되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상기 웹페이지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20)는 상품의 판매 정보가 기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판매 정보가 기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품 판매 이벤트의 이상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20)는 기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품 판매에 오류(또는 이상 징후)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이상(또는 이상 징후)의 확인에 대응하여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제공된 상품 판매 관리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220)는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기지정된 조건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피드백 정보는 긍정 또는 부정으로 구분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업데이트되는 조건은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 여부 판단을 위한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임계값은 예를 들면 가격 분포 또는 마진 분포 상의 특정 영역을 지정하는 기준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특정 영역에 상품과 관련된 가격 또는 마진의 위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 여부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임계값은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정보가 제1 정보(예: 긍정)를 포함하는 경우 임계값은 현재의 값을 유지하고 제2 정보(예: 부정)을 포함하는 경우 더 엄격한 기준을 위해 임계값이 보다 적은 케이스를 포함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보다 적은 케이스를 포함하도록 조정되는 방안은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값을 제1 값만큼 상승시키는 방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20)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기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220)는 피드백 정보를 기계학습 알고리즘의 학습을 위한 응답값(또는 정답값)으로 이용하여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미리 획득된 상품의 판매 정보와 관련된 다량의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 필요 여부를 기반으로 미리 학습된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지의 다양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제어 방법의 각 단계는 경우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그 순서를 달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도 1 및 도 2에서 서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이 생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전자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판매되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품의 판매 정보는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상품의 판매 가격, 상품의 판매 수량, 상품의 할인율 및 상품의 마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온라인에서 상품의 판매가 완료됨에 기초하여 상품의 판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품의 판매에 대응하여 판매가 완료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상품 별 판매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고, 특정 시간 간격으로 판매가 완료된 상품에 대한 판매 정보가 수집되어 상기 특정 시간 간격으로 판매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단계 320에서, 전자 장치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의 판매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기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기지정된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기지정된 조건이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지정된 조건은 상품의 판매 가격과 예상 판매량에 따른 수익에 기초한 제1 조건, 상품의 마진에 기초한 제2 조건, 상품의 이익율에 기초한 제3 조건 또는 상품의 판매 수량에 따른 제4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조건은 상품의 판매 가격의 기지정된 판매 분포 상 위치가 기지정된 판매 분포의 특정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초로 상품의 예상 판매량에 따른 수익을 확인하고, 확인된 수익이 특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품의 판매 가격의 기지정된 판매 분포 상 위치가 기지정된 판매 분포의 특정 영역에 포함되거나, 확인된 수익의 값이 특정 범위 내에 포함되면 제1 조건이 만족되지 못한 것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조건은 상품에 대한 판매 이벤트에 대한 마진을 확인하고, 확인된 마진의 기지정된 마진 분포 상의 위치가 특정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확인된 마진의 마진 분포 상 위치가 특정 범위에 포함되면 제1 조건이 만족되지 못한 것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조건은 상품에 대한 판매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익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이익율의 값이 특정 값 보다 적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확인된 이익율의 값이 특정 값 이상인 경우 제3 조건이 만족되지 못한 것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4 조건은 상품에 대한 판매 이벤트에 대한 판매수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판매수량의 기지정된 판매수량 분포 상의 위치가 특정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확인된 판매수량의 판매수량 분포 상 위치가 특정 범위에 포함되면 제4 조건이 만족되지 못한 것일 수 있다.
단계 330에서, 전자 장치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판매 관리 정보는 상품의 판매 정보의 적어도 일부(예: 상품의 판매 가격)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품의 판매 관리를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품의 판매 관리를 위한 정보는 예를 들면 상품의 판매 제어 정보, 상품의 판매 상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페이지 링크 정보, 상품의 관리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품 판매 관리 정보는 상품의 판매 가격 변경 정보, 상기 상품의 판매 상태 정보, 상기 상품의 물류 정보, 상기 상품의 판매자 정보, 상기 상품의 판매 제어 정보, 상기 상품의 판매 가격, 상기 상품의 판매 상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페이지 링크 정보 및 상기 상품의 관리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됨에 대응하여,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기지정된 수신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수신 장치는 예를 들어,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별로 미리 지정된 장치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수신 장치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다양한 장치 별로 구분되어 미리 지정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품 판매 관리 정보 제공 여부의 결정을 위한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도 2 또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용되는 분포(예: 판매 가격 분포 또는 마진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분포는 중심축(예: 가로축의 값이 0에 대응하는 축)을 중심으로 데이터가 산재된 모양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분포가 정규분포 그래프와 유사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이용되는 데이터에 따라 분포는 다른 모양 또는 다른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분포의 중심축은 분포 생성에 이용되는 데이터 전체의 평균값일 수 있으며,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0'으로 나타내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 예에서, 상품의 판매 가격이 기지정된 가격 분포 상의 특정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격 분포 상의 특정 영역은 예를 들면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4σ이하 또는 +4σ이상에 대응하는 분포의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품의 판매 가격에 대응하는 분포 상의 위치가 -4σ이하 또는 +4σ이상에 대응하는 분포의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품에 대한 마진이 기지정된 마진 분포 내의 특정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마진 분포 상의 특정 영역은 예를 들면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4σ이하 또는 +4σ이상에 대응하는 분포의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품에 대한 마진에 대응하는 분포 상의 위치가 -4σ이하 또는 +4σ이상에 대응하는 분포의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의 실시 예는 도 4와 관련하여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이러한 예에 본 명세서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4의 x축과 y축 및 그래프의 생성을 비롯한 부분에 대해서는 정규분포에 대응하여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품 판매 관리 정보는 상품의 물류 정보, 상품의 판매 상태 정보, 상품의 판매 가격 변경 정보, 상품의 판매 제어 정보, 상품의 판매 가격, 상품의 관리자 정보, 상품의 판매 상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페이지 링크 정보, 상품의 피드백 판단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품의 물류 정보는 '디지털'로 나타나는 상품 카테고리 항목, '123456789'로 나타나는 상품 식별번호 항목, 'KK 태블릿'으로 나타나는 상품 정보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의 판매 상태 정보는 '이익율 582% 하락'으로 나타나는 상품 상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의 가격 변경 정보는 이익율, 판매가격, 예상 판매개수(또는 판매수량), 예상 손실액에 대한 내용이 표시되는 원인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의 판매 제어 정보는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정보로 링크 정보 항목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링크 정보 항목에 포함된 밑줄 텍스트는 링크 자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입력에 대응하여 판매 제어를 위한 화면(또는 정보, 웹사이트)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정보 항목의 '판매 상태'는 상품의 판매를 위해 제공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판매 상태'는 상품이 판매되는 웹사이트에 대한 화면을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판매 상태'에 대한 입력에 대응하여 상품이 판매되는 웹사이트에 대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링크 정보 항목의 '가격 변경'은 상품의 가격이 변동된 정보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정보와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격 변경'에 대한 입력에 대응하여 가격 변경 이력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링크로 인해 표시되는 정보에 대한 예는 도 6 또는 도 7을 참조할 수 있다.
링크 정보 항목의 '물류 정보'는 상품의 물류와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정보와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류 정보는 상품의 잔여 수량, 상품의 종류, 상품의 크기 및 상품의 명칭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도 5에 표시되는 물류 정보(예: 상품 카테고리 항목)가 포함될 수 있다.
링크 정보 항목의 '판매 관리'는 상품의 판매 상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페이지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판매 관리'에 대한 입력에 대응하여 상품의 판매 상태 정보의 수정이 가능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판매 상태 정보의 수정이 가능한 화면에 대한 예는 도 9를 참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관리자 정보는 상품의 관리를 위해 기지정된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상품의 관리를 위해 다양한 팀에 소속된 사람이 연관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관리자 정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팀에 대한 정보(예: A 팀, B 팀)가 표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기지정된 관리자는 직급 별로 구분되어 상품에 배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관리자 정보에는 직급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의 피드백 항목은 제공된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확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요구되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판매 관리 정보가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이상 상황을 적절하게 감지됨에 기초하여 제공된 피드백 항목 중 'GOOD'에 대응하여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만약 상품 판매 관리 정보가 제공되었지만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이상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피드백 항목 중 'BAD'에 대응하여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백 항목에 대응하는 입력은 전자 장치에 의해 수집되어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 여부 판단의 조건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서, 도 4의 상품 판매 관리 정보는 전자 장치로부터 다른 전자 장치(예: 수신 장치)로 전송됨에 기초하여 다른 전자 장치에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 자체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관련된 수신 장치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판매 관리 정보 중 카테고리 항목 및 상태 항목의 경우 제1 관리자(예: JENNY)에 대응하는 수신 장치와 관련되고, 링크 정보의 경우 제2 관리자(예: RINDA)와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는 제1 관리자에 대응하는 수신 장치로 상품 판매 관리 정보 중 카테고리 항목 및 상태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2 관리자에 대응하는 수신 장치로는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받을 수신 장치와 관련하여서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화될 수 있으며, 이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수신 장치의 설정과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 중 상품의 판매 가격과 관련된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의하면 시간에 따른 상품의 판매 가격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대응하는 정보는 도 5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링크 항목의 '가격 변동'에 대한 입력이 수신됨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입력에 대응하는 상품의 특정 기간 동안의 가격 변동을 나타낸다. 특정 기간은 미리 지정된 기간으로 예를 들어 1주일 또는 1개월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특정 기간 중 A 시점으로부터 B 시점 사이의 기간에 상품의 판매 가격이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특정 기간 중 C 시점으로부터 D 시점 사이의 기간에 상품의 판매 가격이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수신된 입력에 대응하는 판매 정보는 도 6의 시점(A, B, C, D)가 나열되는 가로축을 기준으로 가장 처음 또는 가장 끝에 위치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이러한 예에 본 실시 예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경우에 따라 도 6과 같은 가격 변경 정보의 형태는 이익율의 변경, 예상 손실액의 변경을 나타내기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대응하는 판매 가격 변경 정보와 함께 유사한 스타일로 특정 기간 동안의 이익율 변경 정보 및 예상 손실액의 변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가격 변경 정보를 간단한 그래프의 형태로 나타내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변경된 가격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 중 상품의 판매 가격과 관련된 정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도 6에 표시된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기간 중 일부에 대한 정보를 다른 형태로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품의 판매 가격과 관련된 정보는 표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도 7에 의하면 상품의 판매 가격과 더불어 판매수량, 특정 시점(예: 20/06/08 13:00:00)을 기준으로 변경 예정인 가격에 대한 정보, 시세에 대한 정보, 상품의 배송비에 대한 정보, 할인가격에 대한 정보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변경 예정인 가격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면 가격의 변경이 결정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시세는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의 시세에 대한 정보로 미리 지정된 값일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가격 변동의 원인이 되는 주체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격 변경이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변경된 경우 '시스템'이라는 정보가 표시되며 가격 변경이 특정 관리자에 의해 변경된 경우 특정 관리자를 나타내는 정보(예: 'A')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2개의 시점(예: 20/06/08 13:00:00, 20/06/08 12:50:00)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 도 6이 특정 기간에 대응하는 보다 많은 시점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 중 관리자와 관련된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품 별로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받을 관리자는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JENNY 의 경우 Kitchen과 Kitchen Appliance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받도록 설정될 수 있다. JAKE의 경우 Kitchen과 Kitchen Disposable과 관련된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받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도 8의 유닛(예: 유닛 1과 유닛 2)는 상품 자체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닛은 상품이 포함되는 카테고리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유닛 1 또는 유닛 2는 서로 다른 유닛을 구분하기 위한 용어로 이러한 용어에 본 실시 예가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에 의하면 상품 별 관련된 관리자(예: JENNY, JAKE)를 설정한 사람에 대한 정보(예: MAYA)가 생성자 항목에 표시될 수 있다. 상품 별 관련된 관리자에 대한 변경은 '삭제' 버튼에 대한 입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품 별 관리자의 검색을 위해 유닛 1, 유닛 2, 사용자 타입 및 사용자 ID와 관련된 선택 박스 항목(예: 유닛 1, 유닛 2, 사용자 타입 및 사용자 ID에 병렬적으로 표시되는 박스)에 대해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입력을 기초로 상품 별 관리자가 검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닛 1에 대한 선택 박스 항목에 Kitchen이 입력되면 유닛 1이 Kitchen으로 설정된 다양한 관리자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JENNY와 JAKE도 유닛 1이 Kitchen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품의 판매를 관리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상품 판매 관리를 위해 제공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실시 예에서, 도 9는 도 5의 링크 항목의 '판매 관리'에 대한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9를 통해 관리 가능한 상품은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품의 판매를 관리하기 위해 상품에 대한 정보 및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상품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면 상품을 나타내기 위해 지정된 명칭(예: VenderItem 항목의 명칭, SKU 항목의 명칭), 현재의 판매 상태, 상품에 대응하는 식별 번호(예: Product/Item 항목의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의 변경은 '판매 정보'부분 이하에 나타나는 영역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판매가 항목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숫자의 변경을 통해 상품의 판매가격이 변경될 수 있다. 판매기간 항목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날짜 또는 기간의 변경을 통해 상품 판매가 유지되는 기간이 변경될 수 있다. 만약 이에 대응하는 기간이 지나거나 기간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품의 판매를 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판매상태 항목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선택을 통해 상품의 판매 상태를 유지할지 판매를 중지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중(Valid)' 항목이 선택되면 상품의 판매가 유지되고 '판매중지(Invalid)' 항목이 선택되면 상품의 판매가 중지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가 상품 판매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도 9에 대응하는 페이지에 접속하여 입력을 가하여 상품 판매와 관련된 정보가 수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대응하는 페이지와 관련된 입력을 통해 상품 판매가 중지되거나 판매가격이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은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초로 상품의 판매와 관련하여 이상 징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품 판매와 관련하여 발생 가능한 이상 상황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은 상품의 판매량이 일반적인 상황에 비하여 비정상적으로 변동되거나 마진 또는 수익이 비정상적으로 하락하는 상황을 감지되면 상품 판매 관리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여 상품 판매에 대한 상황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은 일 예시일 뿐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4)

  1. 전자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판매되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상기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 상기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품의 판매 가격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상품의 기준 시간 동안 판매된 수량을 기초로 상기 상품의 예상 판매량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예상 판매량에 따라 상기 상품의 판매에 따른 수익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수익의 값이 특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의 판매 가격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의 판매 가격이 기지정된 가격 분포 상의 특정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익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의 판매 가격이 기지정된 가격 분포 상의 특정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확인된 상품의 판매 가격을 기초로 상기 상품의 예상 판매량에 따른 수익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판매 정보는 상기 상품의 판매 가격, 상기 상품의 판매 수량, 상기 상품의 할인율 및 상기 상품의 마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정된 가격 분포는 특정 기간 동안 상기 상품의 판매 이력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상품의 판매 가격에 대한 분포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에 대한 판매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판매 이벤트에 대한 마진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마진이 기지정된 마진 분포 내의 특정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마진이 상기 특정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의 판매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특정 기간 동안 판매된 상기 상품의 판매수량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판매수량이 기지정된 판매수량 분포 상의 특정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판매수량이 상기 특정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의 판매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판매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익율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이익율이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상품 판매 이벤트의 이상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는,
    상기 상품의 판매 가격 변경 정보, 상기 상품의 판매 상태 정보, 상기 상품의 물류 정보, 상기 상품의 판매자 정보, 상기 상품의 판매 제어 정보, 상기 상품의 판매 가격, 상기 상품의 판매 상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페이지 링크 정보 및 상기 상품의 관리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의 판매 가격 변경 정보는 상기 상품의 판매 가격의 변경 원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에 대응하는 수신 장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수신 장치에게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상품의 판매를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의 판매 정보가 기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이상 징후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정된 조건은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업데이트되는, 정보 제공 방법.
  13. 제1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
  14. 전자 장치에 있어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판매되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상기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 상기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품의 판매 가격을 확인하고, 상기 상품의 기준 시간 동안 판매된 수량을 기초로 상기 상품의 예상 판매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예상 판매량에 따라 상기 상품의 판매에 따른 수익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수익의 값이 특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상품 판매 관리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하며,
    상기 상품의 판매 가격이 기지정된 가격 분포 상의 특정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상품의 판매 가격이 기지정된 가격 분포 상의 특정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확인된 상품의 판매 가격을 기초로 상기 상품의 예상 판매량에 따른 수익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
KR1020200082908A 2020-07-06 2020-07-06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234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908A KR102234497B1 (ko) 2020-07-06 2020-07-06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N202080003345.6A CN114080621A (zh) 2020-07-06 2020-08-05 用于提供物品销售管理信息的电子装置及其方法
AU2020281182A AU2020281182A1 (en) 2020-07-06 2020-08-05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item sale managin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PCT/KR2020/010330 WO2022010023A1 (ko) 2020-07-06 2020-08-05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JP2020140743A JP6914578B1 (ja) 2020-07-06 2020-08-24 商品販売管理情報を提供する電子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17/010,728 US11392972B2 (en) 2020-07-06 2020-09-02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product sale managin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PH12020552107A PH12020552107A1 (en) 2020-07-06 2020-12-09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item sale managin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TW109144881A TW202203116A (zh) 2020-07-06 2020-12-18 用於提供產品銷售管理資訊之電子裝置及其方法
KR1020210001889A KR102377873B1 (ko) 2020-07-06 2021-01-07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034034A KR102623912B1 (ko) 2020-07-06 2022-03-18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908A KR102234497B1 (ko) 2020-07-06 2020-07-06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889A Division KR102377873B1 (ko) 2020-07-06 2021-01-07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497B1 true KR102234497B1 (ko) 2021-04-01

Family

ID=7544168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908A KR102234497B1 (ko) 2020-07-06 2020-07-06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10001889A KR102377873B1 (ko) 2020-07-06 2021-01-07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034034A KR102623912B1 (ko) 2020-07-06 2022-03-18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889A KR102377873B1 (ko) 2020-07-06 2021-01-07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034034A KR102623912B1 (ko) 2020-07-06 2022-03-18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92972B2 (ko)
JP (1) JP6914578B1 (ko)
KR (3) KR102234497B1 (ko)
TW (1) TW202203116A (ko)
WO (1) WO202201002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198B1 (ko) * 2014-01-27 2015-02-23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선불화폐를 위한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60073364A (ko) * 2016-06-13 2016-06-24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할인쿠폰 자동 적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96869A (ko) * 2019-02-19 2019-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매장 내 수익 데이터를 분석하는 서버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2748A (ja) * 1998-10-26 2000-05-12 Toshiba Tec Corp 商品販売継続・中止判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並びにこの装置を備えた商品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2001297105A (ja) * 2000-04-13 2001-10-26 Nec Corp 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とその特異データ検出方法、及び特異データ検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312620A (ja) * 2000-04-27 2001-11-09 Stanley Electric Co Ltd 販売管理システム
US7685076B2 (en) * 2005-01-13 2010-03-23 First Service Networks, Inc. Online reduction in repair and maintenance costs
KR20060098134A (ko) 2005-03-09 2006-09-18 서경한 옥션 등 인터넷 경매 및 오픈마켓 플레이스 판매자의 매출향상을 위한 갤러리 및 판매데이터의 실시간 정보수집 과수집된 데이터의 분류/가공을 통한 통계 및 분석 프로그램
US8762193B2 (en) * 2005-11-11 2014-06-24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Identifying target customers for campaigns to increase average revenue per user
JP5277996B2 (ja) * 2009-01-29 2013-08-28 富士通株式会社 解析装置、解析方法及び解析方法のプログラム
KR20100130664A (ko) * 2009-06-04 2010-12-14 김광수 스크랩핑과 오픈api을 이용하여 오픈마켓 상품의 가격변동과 매출현황의 정보를 제공하는 워치프라이스 시스템
KR20130119580A (ko) 2012-04-24 2013-11-01 주식회사 디알에프앤 단말기를 이용한 글로벌 금융정보 알람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290012B2 (en) * 2012-11-28 2019-05-14 Home Depot Product Authority, Llc System and method for price testing and optimization
US20140258016A1 (en) * 2013-03-08 2014-09-11 Ebay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recommendations
JP6161992B2 (ja) * 2013-08-20 2017-07-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販売予測システム及び販売予測方法
KR101633172B1 (ko) 2014-03-24 2016-06-24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할인쿠폰 자동 적용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463638A (zh) 2014-12-25 2015-03-25 南京大学 一种趋势性、周期性商品的出库方法
JP6370757B2 (ja) * 2015-10-05 2018-08-08 三菱電機インフォメーショ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損益予測装置及び損益予測プログラム
KR102006900B1 (ko) 2015-12-24 2019-08-02 네이버 주식회사 온라인 쇼핑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통합 서버
WO2017135608A1 (ko) * 2016-02-06 2017-08-10 주식회사 에스브이 이벤트 성공에 따른 판매 수익 분배를 이용한 상품 판매 촉진 시스템 및 방법
US20210035142A1 (en) 2016-02-06 2021-02-04 Sv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product sales
US20190236545A1 (en) * 2016-09-05 2019-08-01 Nec Corporation Order quantity determination system, order quantity determination method, and order quantity determination program
CN106408341A (zh) * 2016-09-21 2017-02-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货品销量的预测方法及装置、电子设备
KR101872220B1 (ko) 2016-10-14 2018-06-28 주식회사 셀팅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KR101870329B1 (ko) 2016-11-28 2018-06-22 주식회사 리테일영 매출데이터 기반의 식자재 관리방법 및 시스템
CN106971318A (zh) 2017-03-17 2017-07-21 智慧全景(北京)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网络销售系统
JP2018181013A (ja) * 2017-04-14 2018-11-15 富士通株式会社 販売装置、制御装置、売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81051A (ja) * 2017-04-17 2018-11-15 株式会社スタディスト ユーザに作業指示を与えることに関連する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サーバ装置、そのサーバ装置において実行され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203904A (zh) 2017-05-19 2017-09-26 武汉弗赅科技有限公司 销售商品的动态定价方法及系统
CN108038251A (zh) 2017-12-29 2018-05-15 广州市海捷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及移动互联网技术的数据分析推送平台
JP7280463B2 (ja) * 2018-02-15 2023-05-24 株式会社ユーディー 販売促進システム
KR20190122458A (ko) 2018-04-20 2019-10-30 류창영 원가 판매 플랫폼의 출고원가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US10885537B2 (en) * 2018-07-31 2021-01-05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al-time optimal item pricing
US11430037B2 (en) * 2019-09-11 2022-08-30 Ebay Korea Co. Ltd. Real time item listing modific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198B1 (ko) * 2014-01-27 2015-02-23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선불화폐를 위한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60073364A (ko) * 2016-06-13 2016-06-24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할인쿠폰 자동 적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96869A (ko) * 2019-02-19 2019-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매장 내 수익 데이터를 분석하는 서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380A (ko) 2022-01-13
KR20220041800A (ko) 2022-04-01
KR102623912B1 (ko) 2024-01-11
US11392972B2 (en) 2022-07-19
JP6914578B1 (ja) 2021-08-04
KR102377873B1 (ko) 2022-03-24
TW202203116A (zh) 2022-01-16
US20220005061A1 (en) 2022-01-06
WO2022010023A1 (ko) 2022-01-13
JP2022014415A (ja)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7523B2 (en) Recalled product inventory notification, removal, and verification system
US201500325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les and inventory management
US20100094676A1 (en) Closed loop self corrective maintenance within a document processing environment
US2020033462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ata quality analysis of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s
US20140316940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participant ratings
TW201346812A (zh) 用於管理保固與其他產品資訊的雲端服務及產品管理系統
US11507914B2 (en) Cognitive procurement
US20220129803A1 (en) Detecting supply chain issues in connection with inventory management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KR102234497B1 (ko) 상품 판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0929844B1 (ko)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기반의 감사정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사정보 운영 방법,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030074270A1 (en) Computerize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regarding an order of goods
US20190180294A1 (en) Supplier consolidation based on acquisition metrics
US200802702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loss analysis and reporting
US10783533B2 (en) System for identification and resolution of opportunity triggers
CN114080621A (zh) 用于提供物品销售管理信息的电子装置及其方法
US11308545B2 (en) Automated order troubleshooting
US12003427B2 (en) Integrated environment monitor for distributed resources
KR102340339B1 (ko)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40007417A1 (en) Integrated environment monitor for distributed resources
KR102489489B1 (ko) 아이템 판매를 위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20230042861A1 (en) Publishing and Synchronization Techniques
US20220383337A1 (en) Cross-entity transaction and return data integration services
US20240070338A1 (en) Apparatuses, computer-implemente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odeling environment-related data from real-time data alerts
KR20220140407A (ko) 물류 시스템의 아이템에 대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전자 장치
CN115115324A (zh) 用于监视企业资源管理系统中的作业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