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640A - 승강기 캐리지 조작 장치와 그 승강기 캐리지 - Google Patents
승강기 캐리지 조작 장치와 그 승강기 캐리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6640A KR20180056640A KR1020187004103A KR20187004103A KR20180056640A KR 20180056640 A KR20180056640 A KR 20180056640A KR 1020187004103 A KR1020187004103 A KR 1020187004103A KR 20187004103 A KR20187004103 A KR 20187004103A KR 20180056640 A KR20180056640 A KR 201800566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iage
- track
- operating
- robot
-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paternoster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1—Guideways; Guides with a particular position in th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승강기 시스템(42)에서 캐리지(12)들을 조작하는 장치(10)로,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12)와; 승강기 시스템(42)의 작동 경로(20)에 인접하여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12)를 저장. 정비점검 및/또는 유지보수하기 위한 저장 영역(14)과; 그리고 캐리지(12)를 작동 경로(20)를 따르는 작동 위치(24)와 저장 영역(14)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위치(26) 간에 이송시키는 이송 기구(1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승강기 캐리지를 조작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승강기 시스템의 캐리지를 조작하는 장치와 이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승객 및/또는 화물을 수직으로 운송하는 다양한 방식의 승강기 시스템(elevator system)들이 알려져 있다. 일부 승강기 시스템은 복수의 캐리지(carriage)들을 동일한 경로를 따라, 예를 들어 단일한 구동 케이블(driving cable)로 구동한다.
Articulated Funiculator(R; 등록상표명)는 WO 2013159800 A1에 기재된 수직 이송의 새로운 개념이다. 이 개념에 의하면, 복수의 캐리지의 대열(train)(열차; train car)들이 예를 들어 100m의 큰 거리로 분리된 스테이션(station)들 간을 주행한다.
복수의 캐리지들이 공통의 경로를 주행하는 승강기 시스템에서, 전체 승강기 시스템은 캐리지의 유지관리(maintenance)와 정비점검(service)를 위해 종종 정지될 필요가 있다. 다수의 캐리지들이 시스템에 존재하는 경우, 이 정지는 더욱 빈번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한 목적은 효율적인 저장, 정비점검 및/또는 유지관리를 위해 캐리지를 작동 경로(operational path)로부터 신속하고 용이하게 추가 및/또는 제거할 수 있는, 승강기 시스템의 캐리지를 조작하는 간단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국면에 따르면, 승강기 시스템의 캐리지들을 조작하는 장치가 제공되는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와;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경로에 인접하며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의 저장, 정비점검 및/또는 유지관리를 위한 저장 영역(storage area)과; 그리고 캐리지를 작동 경로를 따른 작동 위치와 저장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위치 간을 이송시키는 이송 기구(transfer mechanism)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작동 경로에 대한 캐리지들의 간단하고 신속한 추가 및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캐리지는 승객 캐리지 및/또는 화물 캐리지가 될 수 있다. 캐리지는 대체적으로 포드(pod), 캐빈(cabin), 또는 카(car)로도 지칭될 수 있다. 승강기 시스템에는 복수의 캐리지들이 사용된다. 캐리지는 작동 경로 상에서 개별적으로 운행(routed)되거나 둘 이상의 캐리지들이 집합적으로 열차(train)로서 운행될 수 있다. 캐리지들이 집합적으로 열차로서 운행되는 경우, 캐리지들은 개별적으로 구동되거나 예를 들어 케이블들로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어떤 특정한 방식의 구동 장치(propulsion system)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승강기 시스템의 모든 캐리지들이 하나의 케이블 또는 케이블들의 세트로 구동되거나 각 캐리지가 개별적인 구동 장치로 구동될 수 있다. 둘 이상의 다른 방식의 구동 장치들이 승강기 시스템 내에 조합될 수도 있다.
저장 영역은 바닥(floor) 상에 구비되거나 바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 영역은 둘 이상의 수직으로 분리된 층들 또는 평면들을 가지는 저장부(storage)를 구비할 수 있는데, 각 평면은 하나 이상의 저장 위치들을 구비한다. 이와는 달리, 저장 영역이 화차(truck)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저장 영역은 작동 경로에 인접하지만 이와 분리된다.
작동 경로는 승강기 시스템 내의 트랙(track)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트랙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레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적절한 트랙은 한 쌍의 레일들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각 캐리지는 트랙을 따른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 트랙의 레일 부에 맞물림하는 적어도 하나의 휠 조립체(wheel assembly)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각 캐리지가 예를 들어 선형 전기 모터 등으로 작동 경로를 따라 구동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레일들은 생략될 수 있다.
저장 영역은 넷 이상의 저장 위치 등 복수의 저장 위치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 영역에 복수의 저장 위치들이 존재하는 경우, 이송 기구는 잔여 저장 위치가 얼마나 점유되었는가와 무관하게 작동 위치와 각 사용 가능한(즉 캐리지가 존재하지 않는) 저장 위치 간에 캐리지를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저장 영역은 저장 위치들을 원형 배치(circular layout)로 포함할 수 있다.
캐리지가 단지 저장만을 위해 저장 영역으로 이동되는 경우, 캐리지는 서로 바로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정비점검 및/또는 유지보수가 캐리지 상에 수행될 것을 의도한 경우, 캐리지 둘레에 충분한 간격(spacing)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 영역 내의 저장 위치들의 배치는 저장에 부가하여 정비점검 및/또는 유지보수가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변경될 수 있다.
이송기구는 캐리지를 저장 위치에 대해(to and from) 이동시키는 로봇(robot)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로봇은 캐리지의 부하를 취급할 수 있는 크기의 일반적인 산업용 로봇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로봇은 6 자유도(degrees of freedom)를 가질 수 있다. 저장 위치에 대해 캐리지를 이동시키는 데 둘 이상의 로봇들이 제공될 수 있다. 로봇은 고정 기부(stationary base)를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로봇이 하나 이상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저장 영역은 로봇 기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그리고 그 반대측에 두 하부영역(subarea)들을 구비할 수 있다.
로봇은 캐리지를 작동 위치와 저장 위치 간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 기구가 전체적으로 로봇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로봇은 작동 위치에 있는 캐리지에 도달하여, 캐리지를 작동 경로로부터 들어 올려 저장 위치로 이동(역도 마찬가지)시킬 수 있는 위치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송 기구는 캐리지를 작동 위치와 저장 위치 간에 안내하는 트랙부(track section)를 구비할 수 있다. 트랙부는 한 쌍의 레일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캐리지는 각 레일에 맞물림하는 적어도 하나의 휠 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캐리지는 (예를 들어 선형 모터 등) 그 자체의 구동 장치로 트랙부를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단순한 수평 이동만을 위한 크기의) 정비점검(service) 구동 장치가 캐리지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캐리지는 또한 트랙부를 따라 수동으로 밀 수도 있다.
트랙부는 턴테이블(turntable)을 구비할 수 있다. 턴테이블은 캐리지가 턴테이블에 굴러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한 쌍의 레일들을 구비할 수 있다. 턴테이블이 둘 이상의 수직으로 분리된 층들을 가지는 저장 영역과 조합되어 구비되는 경우, 턴테이블은 층들 간에 수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압 리프트(hydraulic lift) 등 턴테이블을 높이고 낮추는 적절한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트랙부의 적어도 일부는 캐리지를 저장 위치로 유도하는 전환 상태(switching state)와 트랙부가 작동 경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작동 상태(operational state) 간에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크랙 부분의 가동부(movable part)는 캐리지를 저장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고정(stationary) 트랙부으로 캐리지가 안내될 수 있는 전환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전체 트랙부가 전환 상태와 작동 상태 간을 이동할 수도 있다.
이송 기구는 로봇이 캐리지를 저장 위치에 대해 이동시킬 수 있는 중간 위치(intermediate position)까지 캐리지를 안내하는 트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로봇은 작동 위치에 도달할 수 있는 크기 및/또는 위치를 가지지 않는다.
트랙부의 적어도 일부는 중간 위치를 구성하거나 캐리지를 중간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전환 상태와 트랙부가 작동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작동 상태 간을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랙부의 일부가 중간 위치를 구성하는 전환 상태로 이동 가능한 경우, 트랙부의 가동부는 예를 들어 한 캐리지만을 지지하기에만 충분할 정도로 비교적 짧게 구성될 수 있다. 트랙부의 일부가 캐리지를 중간 위치로 안내하는 전환 상태로 이동 가능한 경우, 트랙부의 가동부가 먼저 이동된 다음, 캐리지가 가동부를 떠나 거기서부터 중간 위치로 안내될 수 있는 트랙부의 고정부(stationary part)로 이동될 수 있다.
캐리지는 개방 상태에서 로봇에 의해 트랙에서 들어 올려질 수 있고 폐쇄 상태에서 캐리지를 트랙 상에 상대 이동을 위해 상기 트랙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가능한 휠 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지는 네 개방 가능한 휠 조립체를 구비하는데, 두 쌍들은 다른 레일들에 맞물리도록 맞춰진다. 적어도 하나의 개방 가능한 휠 조립체의 개방과 폐쇄는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개방과 폐쇄가 기계적으로 제어되고 예를 들어 로봇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승강기 시스템은 건물 내의 승강기 수갱(elevator shaft) 내 및/또는 건물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승강기 시스템은 또한 하나 이상의 지하 스테이션 또는 깊은 광산 등에 사용되는 지하 수갱(underground shaft)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장치는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경로를 따라 상층 또는 하층이나 어떤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캐리지가 개방 상태에서 로봇에 의해 트랙에서 들어 올려질 수 있고 폐쇄 상태에서 캐리지를 트랙 상에 상대 이동을 위해 상기 트랙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가능한 휠 조립체를 구비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캐리지가 제공된다.
일부 예시적 실시예들이 이하에 항목(item)들로 제시된다:
1. 승강기 시스템의 캐리지를 조작하는 장치로,
-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와;
-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경로와 인접하여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를 저장, 정비점검 및/또는 유지보수하기 위한 저장 영역과; 그리고
- 캐리지를 작동 경로를 따르는 작동 위치와 저장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위치 간을 이송시키는 이송 기구를
구비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캐리지 조작 장치.
2. 항목 1에서,
이송 기구가 저장 위치에 대해 캐리지를 이동시키는 로봇을 구비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캐리지 조작 장치.
3. 항목 2에서,
로봇이 캐리지를 작동 위치와 저장 위치 간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승강기 시스템의 캐리지 조작 장치.
4. 항목 1에서,
이송 기구가 캐리지를 작동 위치와 저장 위치 간에 안내하는 트랙부를 구비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캐리지 조작 장치.
5. 항목 4에서,
트랙부가 턴테이블을 구비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캐리지 조작 장치.
6. 항목 4 또는 5에서,
트랙부의 적어도 일부가 캐리지를 저장 위치로 안내하는 전환 상태와 트랙부가 작동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작동 상태 간을 이동 가능한 승강기 시스템의 캐리지 조작 장치.
7. 항목 2에서,
이송 기구가 캐리지를, 이로부터 로봇이 캐리지를 저장 위치에 대해 이동시킬 수 있는 중간 위치로 안내하는 트랙부를 구비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캐리지 조작 장치.
8. 항목 7에서,
트랙부의 적어도 일부가 중간 위치를 구성하거나 캐리지를 중간 위치로 안내하는 전환 상태와 트랙부가 작동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작동 상태 간을 이동 가능한 승강기 시스템의 캐리지 조작 장치.
9. 선행하는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에서,
캐리지가, 개방 상태에서 캐리지가 로봇에 의해 트랙에서 들어 올려질 수 있고 폐쇄 상태에서 캐리지가 트랙 상에 상대 이동 못 하게 잠기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가능한 휠 조립체를 구비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캐리지 조작 장치.
10. 선행하는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기 시스템.
본 발명의 다른 상세, 이점 및 국면들은 도면을 참조한 다음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인데, 도면에서:
도 1은 저장 영역과 로봇을 구비하는 캐리지 조작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저장 영역과 로봇과, 그리고 가동 트랙부를 구비하는 캐리지 조작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저장 영역과 로봇과, 그리고 고정 트랙부를 구비하는 캐리지 조작 장치의 개략도;
도 4는 저장 영역과 고정 트랙부를 구비하는 캐리지 조작 장치의 개략도;
도 5는 저장 영역과 가동 트랙부를 구비하는 캐리지 조작 장치의 개략도;
도 6은 저장 영역과, 턴테이블을 가지는 트랙부를 구비하는 캐리지 조작 장치의 개략도;
도 7은 도 1의 방식의 캐리지 조작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개략 부분 사시도.
도 1은 저장 영역과 로봇을 구비하는 캐리지 조작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저장 영역과 로봇과, 그리고 가동 트랙부를 구비하는 캐리지 조작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저장 영역과 로봇과, 그리고 고정 트랙부를 구비하는 캐리지 조작 장치의 개략도;
도 4는 저장 영역과 고정 트랙부를 구비하는 캐리지 조작 장치의 개략도;
도 5는 저장 영역과 가동 트랙부를 구비하는 캐리지 조작 장치의 개략도;
도 6은 저장 영역과, 턴테이블을 가지는 트랙부를 구비하는 캐리지 조작 장치의 개략도;
도 7은 도 1의 방식의 캐리지 조작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기 시스템의 개략 부분 사시도.
이하에서 승강기 시스템(elevator system)의 캐리지(carriage)들을 조작(handling)하는 장치(arrangement)와 이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기 시스템이 설명될 것이다. 동일한 참조번호들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적 특징들을 지시하는 데 사용될 것이다.
도 1은 승강기 시스템에서 캐리지(12)들을 조작하는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장치(10)는 저장 영역(storage area; 14)과 로봇(robot; 18) 형태의 이송 기구(transfer mechanism; 16)를 구비한다.
도 1에는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경로(operational path; 20)의 상부 루프(upper loop)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작동 경로(20)는 캐리지(12) 상의 휠 조립체(wheel assembly)(도시 안 됨)들이 맞물려 그 위에서 상대 이동하는 두 레일(22)을 가지는 트랙(track)을 구비한다. 장치(10)는 건물(도시 안 됨)의 상층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도 1에서, 한 캐리지(12)가 작동 경로(20)를 따르는 작동 위치(24)에 위치하고 한 캐리지(12)가 저장 영역(14) 내의 저장 위치(26)에 위치한다. 캐리지(12)들은 승객 캐리지들이다. 작동 위치는 승객들을 운송할 때 승강기 시스템 내의 정상적 작동 동안 캐리지(12)가 통과하는 위치이다.
저장 영역(14)은 로봇(18)의 기부(base) 둘레에 원형 배치(circular layout)된 복수의(도 1에는 7개)의 저장 위치(16)들로 구현된다. 이 저장 영역(14)은 작동 경로(2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도 1에서, 저장 영역(14)은 작동 경로(20)의 도시된 수평 부분과 대략 동일한 평면에 제공된다.
저장 영역(14)의 원형 배치 덕분에, 각 두 저장 위치(26) 간에 간격(spacing)이 확보되고, 결과적으로 그 위에 위치한 캐리지(12)들 간에도 간격이 확보된다. 이에 따라, 저장에 추가하여 캐리지(12) 둘레에 유지보수(maintenance) 및/또는 수리에 필요한 공간이 제공된다.
여기서 로봇(18)은 일반적인 산업용 로봇이다. 로봇(18)은 각 저장 위치(26)에 대해(to and from) 캐리지(12)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로봇(18)은 작동 위치(24)에 있는 캐리지(12)를 들어올려(lift) 빈(vacant) 저장 위치(26)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로봇(18)은 또한 역의 공정, 즉 저장 위치(26)들 중의 어느 것에 있는 캐리지(12)의 작동 위치(26)로의 이송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도 1에서는 전체 이송 기구(16)가 로봇(18)으로 구성된다.
로봇(18)은 작은 반경방향 크기(extension)로 회전할 수 있도록 신축성 아암(telescoping arm)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위치(26)들은 로봇(18)에 비교적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로봇(18)이 저장 위치(26)들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략 수직인 축 둘레로 회전할 때 로봇(18)의 파지 단부(gripping end)가 저장 영역(14) 내의 캐리지(12) 위에 있도록 상승 상태(raised state)를 취할 수도 있다.
어느 저장 위치(26)가 차있는지 비어있는지 감시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로봇(18) 또는 승강기 시스템의 전체적 제어 시스템에 “기억(remember)"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센서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봇(18)을 수동 제어하는 등의 수동 조작을 채택하는 방법 역시 고려될 수 있다.
캐리지(12)가 레일(22)들에 대해 맞물림 및 해제되도록 개방 가능한(openable) 휠 조립체들이 캐리지(12) 상에 사용될 수 있다. 이 휠 조립체들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작동 위치는 하나 이상의 캐리지(12)가 정지하여 승객들이 캐리지(12)를 출입하는 스테이션(station)에 위치할 수 있다. 캐리지(12)는 스테이션에서의 한 정지 사이클 동안 작동 경로(20)로부터 들어 올려져 반출되거나 이에 추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기 시스템 내에 복수의 캐리지(12)들을 가지는 열차의 흐름은 영향 받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작동 위치(24)는 승강기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두 스테이션 사이 등 작동 경로(20)를 따른 임의의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는 승강기 시스템의 캐리지(12)를 조작하는 다른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대한 차이점들을 주로 설명할 것이다.
도 2의 장치(10)는 저장 영역(14)과 로봇(18) 형태의 이송기구와 가동(movable) 트랙부(track section)(28)를 구비한다.
가동 트랙부(28)는 작동 경로(20)의 레일(22)들에 대응하는 한 쌍의 레일(22)들을 가진다. 도 2에서, 트랙부(28)는 캐리지(12)의 크기보다 약간 더 긴 트랙 길이를 가진다.
트랙부(28)는 중간 위치(intermediate position; 32)를 구성하는 전환 상태(switching state; 30)와 트랙부(28)가 작동 경로(20)의 일부를 구성하는 작동 상태(operational state; 34) 간을 이동 가능하다. 트랙부(28)를 작동 상태(34)와 전환 상태(30) 간에 이동시키는 데는 임의 방식의 구동부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이것이 중간 위치(32)를 구성하는 전환 상태(30)에 있는 트랙부(28)를 도시하고 있다.
트랙부(28)가 작동 상태(34)에 있어 작동 경로(20)의 일부를 구성할 때, 캐리지(12)가 트랙부(28)에 정지할 수 있다. 캐리지(12)가 트랙부(28) 상에 정지했을 때, 트랙부(28)는 작동 상태(34)로부터 전환 상태(30)로 이동될 수 있다.
트랙부(28)의 전환 상태(30)에서, 캐리지(12)는 이로부터 로봇(18)이 캐리지(12)를 저장 영역(14)의 저장 위치(26)로 이동시킬 수 있는 중간 위치(32)에 위치한다. 로봇(18)은 캐리지(12)를 중간 위치(32)로부터 저장 영역(14) 내의 각 사용 가능한 저장 위치(26)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저장 영역(14)의 저장 위치(26)들 중의 어느 하나에 있는 캐리지(12)를 작동 경로(20)에 추가할 때는 역의 과정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캐리지(12)가 로봇(18)에 의해 저장 위치(26)로부터 중간 위치(32)로 이동된 다음, 트랙부(28)가 전환 상태(30)로부터 트랙부(28)가 작동 경로(20)의 일부를 구성하는 작동 상태(34)로 구동된다.
가동 트랙부(28)에 캐리지(12)가 없을 때, 트랙부(28)는 캐리지(12)가 작동 경로(20)를 따라 장치(10)를 통과(bypass)하도록 작동 상태(34)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승강기 시스템의 캐리지(12)를 조작하는 다른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앞의 도면들과의 차이들에 대해 주로 설명될 것이다.
도 3의 장치(10)는 저장 영역(14)과, 로봇(18) 형태의 이송 기구와, 그리고 고정(stationary) 트랙부(28)를 구비한다. 장치(10)는 작동 경로(20) 상의 캐리지(12)를 트랙부(28)를 통과(비활성 상태; passive state)할 것인가 트랙부(28)로 진입(활성 상태; active state)할 것인가의 어느 하나로 안내하는 전환 기구(switching mechanism; 36)를 구비한다. 전환 기구(36)는 이를 위해 다양한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환 기구(36)는 전철기(railroad switch)가 될 수 있다.
(캐리지(12)가 작동 경로(20)를 따르는 작동 위치(24)로부터 트랙부(28)로 이동하도록) 전환 기구(36)가 활성 상태에 위치할 때, 캐리지(12)는 작동 위치(24)로부터 트랙부(28) 상의 중간 위치(32)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이동은 예를 들어 캐리지(12)의 보조 구동부를 사용하거나 캐리지(12)를 수동으로 밀거나 끎으로써 캐리지(12)의 통상적 구동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캐리지(12)가 트랙부(28)에 진입하면, 전환 기구(36)는 다른 캐리지(12)들이 작동 경로(20)를 따라 장치(10)를 통과하도록 비활성 상태에 위치된다.
중간 위치(32)에서, 로봇(18)은 캐리지(12)를 파지(grab)하여 캐리지(12)를 저장 영역(14)의 어떤 빈 저장 위치(26)로 이동시킬 수 있다. 캐리지(12)를 저장 위치(26)로부터 작동 경로(20) 상의 작동 위치(24)로 이동시키는 데는 역의 과정이 수행된다. 그다음 캐리지(12)가 작동 경로(20)를 따라 이동을 계속하도록 전환 기구(36)는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다.
도 4는 승강기 시스템의 캐리지(12)를 조작하는 다른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앞의 도면들과의 차이들에 대해 주로 설명될 것이다.
도 4의 장치(10)는 저장 영역(14)과, 각각 저장 위치(26)에서 종단되는 복수의(도 4에서는 3개) 지선(branch; 38)을 가지는 트랙부(28) 형태의 이송 기구(16)를 구비한다. 한 전환기구(36)가 구비되어 작업 경로(20) 상의 캐리지(12)를 트랙부(28)를 통과시킬 것인가 트랙부(28)로 진입시킬 것인가를 안내한다. 두 추가적인 전환 기구(36)들이 세 지선(38)들에 더 구비된다. 전환 기구(36)는 도 3에서와 동일한 방식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환 기구(36)들을 상태들의 특정한 조합에 위치시킴으로써, 캐리지(12)가 작동 위치(24)로부터 트랙부(28)를 따라 어떤 사용 가능한 저장 위치(26)로(또는 역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도 5는 승강기 시스템의 캐리지(12)를 조작하는 다른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앞의 도면들과의 차이들에 대해 주로 설명될 것이다.
도 5의 장치(10)는 두 하부영역(subarea)들을 가지는 저장 영역(14)과, 가동부(movable part)와 두 고정부(stationary part)들을 가지는 트랙부(28) 형태의 이송 기구(16)를 구비한다. 고정부들은 각각 저장 위치(26)에서 종단하는 복수의 지선(38)들을 가진다.
가동 트랙부(28)는 도 2에서와 동일한 방식의 것이다. 이에 따라, 가동 트랙부((28)은 가동 트랙부(28)가 작동 경로(20)의 일부를 형성하는 작동 상태(34)와 전환 상태(30) 간을 이동 가능하다. 전환 상태(30)에서, 가동 트랙부(28)는 이로부터 캐리지(12)가 두 고정 트랙부(28)들 중의 어떤 것으로 이동될 수 있는 중간 위치(32)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가동 트랙부(28)가 작동 상태(34)에 위치할 때는, 캐리지(12)가 가동 트랙부(28) 상의 작동 위치(24)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캐리지(12)가 그 위에 위치한 트랙부(28)가 작동 상태(34)로부터 캐리지(12)가 중간 위치(32)에 위치하는 전환 상태(30)로 이동될 수 있다. 전환 기구(36)들을 저장 영역(14) 내의 적절한 하부 영역에 해당하는 상태들로 위치시킴으로써 캐리지(12)가 중간 위치(32)로부터 어떤 사용 가능한 저장 위치(26)로 이동될 수 있다.
캐리지(12)를 저장 위치(26)들 중의 어느 것으로부터 작동 위치(24)로 이동시키는 데는 역의 과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승강기 시스템의 캐리지(12)를 조작하는 다른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앞의 도면들과의 차이들에 대해 주로 설명될 것이다.
도 6의 장치(10)는 저장 영역(14)과, 턴테이블(turntable; 40)을 가지는 트랙부(28) 형태의 이송 기구(16)를 구비한다. 트랙부(28)는 고정부와, 캐리지(12)가 작동 경로(20)를 따른 작동 위치(24)로부터 트랙부(28)의 고정부로 진입할 수 있게 하고, 캐리지(12)가 작동 경로(20)를 따라 장치(10)를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전환 기구(36)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턴테이블(40)을 특정한 회전 방향에 위치시킴으로써 트랙부(28)의 고정부 상의 캐리지(12)가 턴테이블(40) 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턴테이블(40)은 또한 고정 트랙부(28) 상의 레일(22)들과 유사한 한 쌍의 레일(22)들을 구비할 수 있다. 캐리지(12)가 턴테이블(40) 상에 위치되면, 캐리지(12)가 턴테이블(40)을 떠나 저장 위치(26)에 이동되도록 턴테이블(40)이 복수의 회전 위치들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floor)의 일부인 각 저장 위치(26) 역시 고정 트랙부(28) 상의 레일(22)들과 유사한 한 쌍의 레일(22)들을 구비할 수 있다.
턴테이블(40)은 또한 도 6에 도시된 것들과 유사한 저장 위치(26)들의 추가적 세트에 근접하도록 상승 및/또는 하강할 수 있다. 캐리지(12)를 저장 위치(26)들 중의 어느 것으로부터 작동 위치(24)로 이동시키는 데는 역의 과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방식의 장치(10)를 구비하는 건물 내의 승강기 시스템(4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장치(10)는 두 저장 위치(26)(하나는 점유됨)들을 가지는 저장 영역(14)과, 로봇(18) 형태의 이송 기구(16)를 구비한다. 도 7에서 작동 경로(20)를 따르는 상부 스테이션(44)을 볼 수 있다.
로봇(18)은 스테이션(44)의 두 수직벽들 사이로 아암(arm)이 진입하여 작동 위치(24)에 있는 캐리지(12)를 파지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신축성 아암(telescoping arm)을 구비한다. 캐리지(12)가 작동 위치(24)에서 파지되면, 캐리지(12)는 (예를 들어 개방 가능한 휠 조립체들에 의해) 레일(22)들로부터 분리되고, 캐리지(12)를 파지한 아암은 로봇(18)의 기부를 향해 축퇴(縮退; retract)된다. 그러면 로봇(18)이 회전(아암 역시 연신(延伸; extend)될 수 있다)하여 어떤 빈 저장 위치(26)에 캐리지(12)를 위치시킨다. 저장 영역(14) 내의 어떤 캐리지(12)를 작동 경로(20) 상의 작동 위치(24)에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역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영역(14)이 스테이션(44)의 층(floor level) 밑의 층에 구비되므로 장치(10)는 건물의 두 층을 부분적으로 점유한다. 그러나 (저장 영역의) 층은 스테이션(44)의 층과 같은 높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 설명한 사항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부품들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변화될 것임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여기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Claims (10)
- 승강기 시스템의 캐리지들(12)을 조작하는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는:
-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12);
- 상기 승강기 시스템의 작동 경로(20)와 인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12)를 저장, 정비점검 및/또는 유지보수하기 위한 저장 영역(14); 및
- 상기 캐리지(12)를 상기 작동 경로(20)를 따르는 작동 위치(24)와 상기 저장 영역(14)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저장 위치(26) 사이에서 이송시키는 이송 기구(16)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12)는, 개방 상태에서 상기 캐리지(12)를 로봇(18)에 의해 트랙으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게 하고, 폐쇄 상태에서 상기 캐리지(12)를 트랙 상에서 상대 이동을 위해 상기 트랙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가능한 휠 조립체를 포함하는, 상기 캐리지 조작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기구(16)는 상기 저장 위치(26)에 대해 상기 캐리지(12)를 이동시키는 로봇(18)을 포함하는, 상기 캐리지 조작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18)은 상기 캐리지(12)를 상기 작동 위치(24)와 상기 저장 위치(26)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캐리지 조작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기구(16)는 상기 캐리지(12)를 상기 작동 위치(24)와 상기 저장 위치(26) 사이에서 안내하는 트랙부(28)를 포함하는, 상기 캐리지 조작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부(28)는 턴테이블(40)을 포함하는, 상기 캐리지 조작 장치.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부(28)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캐리지(12)를 저장 위치(26)로 안내하는 전환 상태(30)와 상기 트랙부(28)가 상기 작동 경로(20)의 일부를 형성하는 작동 상태(34)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상기 캐리지 조작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기구(16)는 상기 캐리지(12)를 중간 위치(32)로 안내하는 트랙부(28)를 포함하고, 상기 로봇(18)은 상기 캐리지(12)를 상기 중간 위치(32)로부터 상기 저장 위치(26)에 대해 이동시킬 수 있는, 상기 캐리지 조작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부(28)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중간 위치(32)를 구성하거나 상기 캐리지(12)를 상기 중간 위치(32)로 안내하는 전환 상태(30)와 상기 트랙부(28)가 상기 작동 경로(20)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작동 상태(34)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상기 캐리지 조작 장치.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
- 승강기 시스템(42)의 캐리지(12)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12)는,
개방 상태에서 상기 캐리지(12)를 로봇(18)에 의해 트랙으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게 하고, 폐쇄 상태에서 상기 캐리지(12)를 트랙 상에서 상대 이동을 위해 상기 트랙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가능한 휠 조립체를 포함하는, 상기 캐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SE1551012A SE538943C2 (en) | 2015-07-10 | 2015-07-10 | Elevator carriage handling arrangement |
SE1551012-6 | 2015-07-10 | ||
PCT/SE2016/050641 WO2017010928A1 (en) | 2015-07-10 | 2016-06-28 | Elevator carriage handling arrangement and elevator carria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6640A true KR20180056640A (ko) | 2018-05-29 |
Family
ID=5775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4103A KR20180056640A (ko) | 2015-07-10 | 2016-06-28 | 승강기 캐리지 조작 장치와 그 승강기 캐리지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190077635A1 (ko) |
EP (1) | EP3319894A4 (ko) |
JP (1) | JP2018528136A (ko) |
KR (1) | KR20180056640A (ko) |
CN (1) | CN108367894A (ko) |
SE (1) | SE538943C2 (ko) |
WO (1) | WO201701092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106418B1 (en) * | 2015-06-17 | 2020-09-30 | KONE Corporation | Solution for displacing an elevator car |
DE102017202405A1 (de) | 2017-02-15 | 2018-08-16 | Thyssenkrupp Ag | Halteeinrichtung |
CN110382391B (zh) * | 2017-03-06 | 2022-06-24 | 蒂森克虏伯电梯创新与运营有限公司 | 具有可移动的轨道部段的驱动装置 |
CN110462657B (zh) | 2017-03-22 | 2024-01-16 | 伯克希尔格雷营业股份有限公司 | 包括自动径向处理站的用于处理物体的方法和系统 |
US20180363288A1 (en) | 2017-06-16 | 2018-12-20 | Fritz King | Structural frame for high-rise building and high-rise building |
US11603289B2 (en) | 2017-06-21 | 2023-03-14 |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 Supporting device for a rotary platform in an elevator system |
CN108979106B (zh) * | 2018-08-20 | 2021-02-19 |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 一种带有机械锁的建筑爬升装置 |
EP3978416A1 (en) * | 2020-10-02 | 2022-04-06 | KONE Corporation | Safety arrangement,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erailment of an elevator car at a turning station of an elevator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203864A1 (de) * | 1972-01-27 | 1973-08-02 | Adolf H Borst | Foerdereinrichtung mit haengebahnkabinen |
US4946006A (en) * | 1988-04-13 | 1990-08-07 | T. K. M. Engineering Kabushiki Kaisha | Elevator apparatus with a sectored vertical shaft and a turntable for transfering elevator cages between the individual sectors |
JPH07100586B2 (ja) * | 1991-10-17 | 1995-11-01 | 鹿島建設株式会社 | 垂直搬送装置の上昇ケージ退避機構 |
EP0542168B1 (en) * | 1991-11-15 | 1997-02-12 | Alce Garden S.r.l. | Self-propelled vehicle for climbing along pole-shaped elements, such as tree trunks, poles and the like |
ATE136000T1 (de) * | 1992-02-17 | 1996-04-15 | Inventio Ag | Personen-fördersystem |
DE19546694A1 (de) * | 1995-12-14 | 1997-06-19 | Hoerdum Martin | Automatische Schienenkabinenbahn Anlage |
US5715914A (en) * | 1996-02-02 | 1998-02-10 | Otis Elevator Company | Active magnetic guide apparatus for an elevator car |
JPH09315734A (ja) * | 1996-05-30 | 1997-12-09 | Shimizu Corp | つかみ替え式循環型エレベータ |
US5927440A (en) * | 1996-09-11 | 1999-07-27 | Freeman; Glen D. | Mobile hoist system and method |
JP2007131402A (ja) * | 2005-11-10 | 2007-05-31 | Toshiba Elevator Co Ltd |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 |
WO2008136692A2 (en) * | 2007-05-02 | 2008-11-13 | Maglevvision Corporation | Multi-car cyclic magnetic elevator with gravity linear electric generator/motor |
ATE543768T1 (de) * | 2008-09-01 | 2012-02-15 | Thyssenkrupp Elevator Ag | Tragvorrichtung zum umsetzen eines fahrkorbs eines aufzugs |
JP2014517796A (ja) * | 2011-05-11 | 2014-07-24 |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 循環式搬送装置 |
US20130206505A1 (en) * | 2012-02-07 | 2013-08-15 | Julien Tremblay | Tower rescue emergency module |
-
2015
- 2015-07-10 SE SE1551012A patent/SE538943C2/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6
- 2016-06-28 KR KR1020187004103A patent/KR20180056640A/ko unknown
- 2016-06-28 CN CN201680051472.7A patent/CN108367894A/zh active Pending
- 2016-06-28 WO PCT/SE2016/050641 patent/WO201701092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6-28 US US15/743,078 patent/US2019007763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6-06-28 JP JP2018521175A patent/JP2018528136A/ja active Pending
- 2016-06-28 EP EP16824786.4A patent/EP3319894A4/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90077635A1 (en) | 2019-03-14 |
EP3319894A1 (en) | 2018-05-16 |
CN108367894A (zh) | 2018-08-03 |
SE1551012A1 (en) | 2017-01-11 |
SE538943C2 (en) | 2017-02-28 |
WO2017010928A1 (en) | 2017-01-19 |
JP2018528136A (ja) | 2018-09-27 |
EP3319894A4 (en) | 2018-08-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56640A (ko) | 승강기 캐리지 조작 장치와 그 승강기 캐리지 | |
KR102655164B1 (ko) | 반송차 및 반송 설비 | |
JP5674041B2 (ja) | 物品搬送設備 | |
US7938612B2 (en) | Battery-changing vehicle with cantilevered boom | |
KR101922231B1 (ko) | 일시 보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반송 시스템, 및 일시 보관 방법 | |
US7686559B2 (en) | Article transport facility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facility | |
KR100743194B1 (ko) | 이송시스템 | |
JP4273423B2 (ja) | 搬送装置 | |
JP5545498B2 (ja) | 物品保管設備及び物品保管設備におけるメンテナンス方法 | |
KR20130014542A (ko) | 물품 반송 설비 | |
US7455492B2 (en) | Multi-trolley container crane with bi-level track switching capability | |
JP4301214B2 (ja) |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 |
TW201206796A (en) | Automated warehouse system and release braking means thereof | |
CN113348140B (zh) | 保管系统 | |
CN209157586U (zh) | 客车制动盘智能轮对退卸机 | |
JP5421172B2 (ja) | 溶接ライン | |
JP5475577B2 (ja) | X線検査用車両搬送装置 | |
US20200031574A1 (en) | Storage rack for stored goods and storage and retrieval device for the storage and retrieval of the stored goods | |
TW202144257A (zh) | 物品搬送設備 | |
CN109986261B (zh) | 一种空中随行夹具库 | |
KR100661098B1 (ko) | 스태커 크레인 및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 |
KR20150025070A (ko) | 선체 벽면 주행 장치 | |
JP7321646B2 (ja) | 台車載せ降ろし機構を備える鉄道車両用トラバーサ | |
CN116534523B (zh) | 移载式空车积放装置以及积放链输送系统 | |
JP7134475B2 (ja) | ゴンドラリフト停留場の可動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