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249A -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249A
KR20180055249A KR1020160152865A KR20160152865A KR20180055249A KR 20180055249 A KR20180055249 A KR 20180055249A KR 1020160152865 A KR1020160152865 A KR 1020160152865A KR 20160152865 A KR20160152865 A KR 20160152865A KR 20180055249 A KR20180055249 A KR 20180055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einforcing
unit
side se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6336B1 (ko
Inventor
정승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2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336B1/ko
Priority to US15/607,585 priority patent/US10293861B2/en
Priority to CN201710447059.9A priority patent/CN108068885B/zh
Publication of KR20180055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은 센터 플로어 패널의 양측 하부에 사이드 실 인너 패널과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로 구성된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 인너 패널과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 사이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개재되는 보강관재; 및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과 파이프 너트를 포함하여 상기 보강관재를 사이드 실 인너 패널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REINFORCEMENT UNIT OF SIDE SILL FOR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 충돌 성능을 향상시키는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는 배터리에서 에너지를 공급받은 전기모터에 의해 추진되어 구동된다.
상기 전기자동차는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BEV(Battery Electric Vehicle), FCEV(Fuel Cell Electric Vehicle)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차체에 배터리 모듈의 집합체인 고전압 배터리 팩(이하, 간단히 배터리 팩이라 함)을 탑재하고 있으며,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구동모터를 동력원으로 하여 주행이 가능하다.
상기 배터리 팩은 부피와 중량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이를 차체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차체에 적절한 탑재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배터리 팩은 차체에 있어 언더 바디의 사이드 실 사이에 구성되는 센터 플로어 패널의 하부에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 팩은 사이드 실에 브라켓 등과 같은 각종 마운팅 유닛을 통해 센터 플로어 패널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언더 바디는 배터리 케이스를 배터리 크로스 멤버를 통해 상기 사이드 실과 함께 센터 플로어 패널의 하부에 장착하기 위해서 별도의 마운팅 유닛이 필요하므로, 상기 마운팅 유닛을 조립하기 위한 부품수 및 조립공정이 증가하게 되며, 차체의 중량을 가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용 언더 바디는 상기 배터리 팩을 장착하기 위한 마운팅 유닛 등의 부품을 적용하기 위한 구간이 필요로 하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와 센터 플로어 패널간의 소음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간극 등의 적용하기 위한 구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 팩의 배치 자유도에 불리하며, 상기 배터리 팩의 용량을 증대시키는데도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언더 바디는 배터리 팩이 마운팅 유닛을 통해 배터리 크로스 멤버와 함께, 상기 사이드 실을 통해 센터 플로어 패널 하부에 단순 지지되기 때문에, 측면 충돌 시, 충돌 하중에 대한 안전성 및 내구성 확보가 부족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배터리 팩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이드 실 인너 패널과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 사이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개재되는 보강관재를 적용함으로써, 측면 충돌 시, 충돌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배터리 팩의 장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센터 플로어 패널의 양측 하부에 사이드 실 인너 패널과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로 구성된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 인너 패널과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 사이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개재되는 보강관재; 및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과 파이프 너트를 포함하여 상기 보강관재를 사이드 실 인너 패널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관재는 압출관재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 수직격벽을 기준으로 외측에 충격하중 흡수부를 형성하고, 내측에 충격하중 분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하중 흡수부는 상기 보강관재의 외측면과 상기 중앙 수직격벽 사이에 하나의 수평격벽과 2개의 대각격벽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하중 분산부는 상기 보강관재의 내측면과 상기 중앙 수직격벽 사이에 하나의 수직격벽과 2개의 수평격벽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보강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개소에 배치되고, 상기 보강관재의 내측면에 볼트 체결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통하여 차체와 상기 사이드 실 인너 패널에 접합되는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보강관재의 충격하중 분산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파이프 너트; 및 상기 보강관재의 충격하부 분산부에 상기 고정 브라켓을 상하로 체결하는 복수의 체결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는 상기 보강관재의 중앙 수직격벽 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 중, 상기 보강관재의 전단부에 위치한 하나의 고정 브라켓은 플랜지를 통하여 A필러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너트는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크로스 멤버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보강관재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보강관재의 내측면에 볼트 체결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통하여 차체에 접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보강관재의 충격하중 분산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파이프 너트; 및 상기 보강관재의 내측면에 접합되고, 상기 사이드 실 인너 패널에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상태로, 상기 사이드 실 인너 패널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복수의 테핑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는 상기 보강관재의 중앙 수직격벽 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관재의 전단부에 위치한 고정 브라켓은 A필러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너트는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크로스 멤버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핑너트는 이중 플랜지를 가지며, 일측 플랜지가 상기 사이드 실 인너 패널에 접합되고, 타측 플랜지가 상기 보강관재에 용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이드 실 인너 패널과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 사이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개재되는 보강관재를 적용함으로써, 측면 충돌 시, 충돌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배터리 팩을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복수개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보강관재를 체결함과 동시에, 하부의 배터리 크로스 멤버와 체결됨으로써, 강도를 향상시키면서도 배터리 팩의 마운팅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이 적용된 차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이 적용된 차체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이 적용된 차체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실의 보강유닛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시 예들 중에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이 적용된 차체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이 적용된 차체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의 투영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10, 이하, 간단히 보강 유닛이라 함)은 전기자동차용 언더 바디에 적용된다.
즉, 상기 보강 유닛(10)은 전기자동차의 센터 플로어 패널(1)의 양측 하부에 사이드 실 인너 패널(3)과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미도시)로 구성된 사이드 실에 적용된다.
또한, 상기 보강 유닛(10)은 상기 전기자동차의 센터 플로어 패널(1)의 하부에 배터리(미도시)의 수납 공간을 확보하면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1)의 상면에는 차폭 방향으로 2개의 시트 크로스 멤버(5)가 배치된다.
상기 시트 크로스 멤버(5)는 센터 플로어 패널(1)의 하부에 구성되는 고전압 배터리 팩(미도시)을 지지하는 배터리 크로스 멤버(미도시)와, 이하에서 설명할 파이프 너트(50)를 통해 환형 구조로 연결되어 측면 충돌 시, 충돌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유닛(10)은 보강관재(20) 및 고정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보강관재(20)는 상기 사이드 실 인너 패널(3)과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 사이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개재된다.
또한, 상기 보강관재(20)는 압출관재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보강관재(20)는 사각의 압출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관재(20)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 수직격벽(21)을 기준으로 외측에 충격하중 흡수부(23)를 형성하고, 내측에 충격하중 분산부(25)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충격하중 흡수부(23)는 보강관재(20)의 외측면과 상기 중앙 수직격벽(21) 사이에 하나의 수평격벽(23a)과 2개의 대각격벽(23b)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나의 수평격벽(23a)은 상기 충격하중 흡수부(23)의 중앙에 구성되며, 상기 2개의 대각격벽(23b)은 상기 수평격벽(23a)의 중심을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하중 흡수부(23)는 외측으로 갈수록 상하 방향의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하면이 상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충격하중 흡수부(23)는 측면 충돌 시, 완전히 붕괴되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충격하중 분산부(25)는 상기 충격하중 흡수부(23)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관재(20)의 내측면과 상기 중앙 수직격벽(21) 사이에 하나의 수직격벽(25a)과 2개의 수평격벽(25b)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직격벽(25a)은 2개의 수평격벽(25b)의 중심을 각각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하중 분산부(25)는 상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충격하중 분산부(25)는 상기 보강관재(20)가 굽힘 변형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격벽이 적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상기 충격하중 흡수부(23)는 하나의 수평격벽(23a)과 2개의 대각격벽(23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격하중 분산부(25)는 하나의 수직격벽(23a)과 2개의 수평격벽(23b)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충격하중 흡수부(23)와 충격하중 분산부(25)의 격벽들의 형상은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30)은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40), 파이프 너트(50) 및 체결볼트(60)를 포함하여 상기 보강관재(20)를 사이드 실 인너 패널(3) 및 A필러(7)에 고정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보강 유닛(10)에 적용되는 기계적 체결 방법은 FDS, 리브텍 및 볼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40)은 보강관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개소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40)은 길이방향을 따라 7개소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그 개수는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40)은 보강관재(20)의 내측면에 볼트(B) 체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4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41)를 통하여 사이드 실 인너 패널(3)과 A필러(7)에 접합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41)는 상기 보강관재(20)의 중앙 수직격벽(21) 선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40) 중, 상기 보강관재(20)의 전단부에 위치한 하나의 고정 브라켓(40)은 플랜지(41)를 통하여 차체의 A필러(7)에 접합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40) 중, 상기 보강관재(20)의 전,후단부에 위치한 고정 브라켓(40)은 차체에 각각 접합된다.
또한, 상기 전,후단부에 위치한 고정 브라켓(40) 사이에 배치된 다수개의 고정 브라켓(40)은 사이드 실 인너 패널(3)을 개재한 상태로, 차체에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너트(50)는 고정 브라켓(40)과 보강관재(20)의 충격하중 분산부(25)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복수개가 설치된다.
즉, 상기 파이프 너트(50)는 상기 고정 브라켓(40)과 각각 대응하여, 상기 고정 브라켓(40)과 동일한 개수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너트(50)는 상기 보강관재(20)의 내측면에 체결되는 볼트(B)의 간섭을 피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파이프 너트(50)는 센터 플로어 패널(1)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크로스 멤버와 체결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 너트(50)는 양측 선단의 둘레가 상기 고정 브라켓(40)의 상하면에 용접(W) 접합된다.
상기 파이프 너트(50)를 용접(W) 접합하는 것은 센터 플로어 패널(1)의 하부에 구성되는 배터리 팩의 마운팅 내구성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너트(50)는 5개가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그 개수는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볼트(60)는 보강관재(20)의 충격하부 분산부(25)에 대응하는 각 고정 브라켓(40)을 상하로 체결한다.
이때, 상기 체결볼트(60)는 상기 고정 브라켓(40)의 상하면에 대응하는 각 둘레가 상기 고정 브라켓(40)에 대하여 용접(W) 접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 유닛(10)은 상기 고정 브라켓(40)의 내측면의 4개소에서 상기 보강관재(20)와 고정 브라켓(40)을 체결하고, 이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4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파이프 너트(50)를 체결하여 용접(W) 접합한 상태로, 상기 고정 브라켓(40)의 상,하면에서 체결볼트(60)를 통해 체결한 후, 마지막으로 고정 브라켓(40)의 플랜지(41)를 통해 사이드 실 인너 패널(3)과 A필러(7)에 각각 접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이 적용된 차체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실의 보강유닛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강 유닛(10)은 일 실시 예에 적용되는 보강관재(20)의 형상을 기본으로 하면서, 고정수단(30)이 고정 브라켓(40), 파이프 너트(50) 및 테핑너트(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40)은 보강관재(2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40)은 보강관재(20)의 내측면에 볼트(B) 체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4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41)를 통하여 차체에 접합된다.
이러한 고정 브라켓의 플랜지(41)는 상기 보강관재(20)의 중앙 수직격벽(21) 선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너트(50)는 보강관재(20)의 충격하중 분산부(25)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파이프 너트(50)는 센터 플로어 패널(1)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크로스 멤버와 체결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 너트(50)는 상기 보강관재(20)의 내측면에 체결되는 볼트(B)의 간섭을 피하여 설치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 너트(50)는 양측 선단의 둘레가 상기 고정 브라켓(40)의 상하면에 용접(W) 접합된다.
이러한 파이프 너트(50)는 보강관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너트(40)는 5개가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그 개수는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핑 너트(70)는 보강관재(20)의 내측면에 접합된다.
또한, 상기 테핑 너트(70)는 사이드 실 인너 패널(3)에 접착제(73)를 통하여 접합된다.
또한, 상기 테핑 너트(70)는 사이드 실 인너 패널(3)을 관통하는 볼트(B)에 의해 최종적으로 체결된다.
이러한 테핑 너트(70)는 이중 플랜지(71)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테핑 너트(70)는 일측 플랜지(71)가 사이드 실 인너 패널에 접합되고, 타측 플랜지(71)가 보강관재(20)에 용접(W) 접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강 유닛(10)은 상기 고정 브라켓(40)의 내측면의 4개소에서 보강관재(20)와 고정 브라켓(40)을 체결하고, 이어서, 상기 보강관재(2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파이프 너트(50)를 체결하여 용접(W) 접합한 상태로, 상기 보강관재(20)의 내측면에 테핑 너트(70)를 통해 상기 사이드 실 인너 패널(3)과 체결 및 접합한 후, 마지막으로 고정 브라켓(40)의 상하 양단부의 플랜지(41)를 통해 차체에 접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보강 유닛(10)은 사이드 실 인너 패널(3)과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 사이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개재되는 보강관재(20)를 적용함으로써, 측면 충돌 시, 충돌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배터리 팩을 장착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 유닛(10)은 보강관재(20)가 압출관재로 이루어져 중앙 수직격벽(21)에 의해 충격하중 흡수부(23)와 충격하중 분산부(25)로 구획됨으로써, 측면 충돌 시, 충격하중 흡수부(23)가 완전히 붕괴되며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고, 충격하중 분산부(25)가 충격 에너지를 분산시킴으로써, 충돌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보강 유닛(10)은 파이프 너트(50)를 통해 센터 플로어 패널(1)의 상면에 구성되는 시트 크로스 멤버(5)와, 센터 플로어 패널(1)의 하부에 구성되는 배터리 팩을 지지하는 배터리 크로스 멤버가 환형구조를 이루며 연결됨으로써, 측면 충돌 시, 충격 에너지를 시트 크로스 멤버(5)와 배터리 크로스 멤버 측으로 각각 분산시켜 충돌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유닛(10)은 복수개의 고정수단(30)을 이용하여 보강관재(20)를 체결함과 동시에, 하부의 배터리 크로스 멤버와 체결됨으로써, 강도를 향상시키면서도 배터리 팩의 마운팅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센터 플로어 패널 3 사이드 실 인너 패널
5 시트 크로스 멤버 7 A필러
10 보강 유닛 20 보강관재
21 중앙 수직격벽 23 충격하중 흡수부
25 충격하중 분산부 30 고정수단
40 고정 브라켓 41 고정 브라켓의 플랜지
50 파이프 너트 60 체결볼트
70 테핑너트 71 테핑 너트의 플랜지
73 접착제 B 볼트
W 용접

Claims (13)

  1. 센터 플로어 패널의 양측 하부에 사이드 실 인너 패널과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로 구성된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 인너 패널과 사이드 실 아웃터 패널 사이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개재되는 보강관재; 및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과 파이프 너트를 포함하여 상기 보강관재를 사이드 실 인너 패널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관재는
    압출관재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 수직격벽을 기준으로 외측에 충격하중 흡수부를 형성하고, 내측에 충격하중 분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하중 흡수부는
    상기 보강관재의 외측면과 상기 중앙 수직격벽 사이에 하나의 수평격벽과 2개의 대각격벽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하중 분산부는
    상기 보강관재의 내측면과 상기 중앙 수직격벽 사이에 하나의 수직격벽과 2개의 수평격벽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보강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개소에 배치되고, 상기 보강관재의 내측면에 볼트 체결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통하여 차체와 상기 사이드 실 인너 패널에 접합되는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보강관재의 충격하중 분산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파이프 너트; 및
    상기 보강관재의 충격하부 분산부에 상기 고정 브라켓을 상하로 체결하는 복수의 체결볼트;
    로 구성되는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는 상기 보강관재의 중앙 수직격벽 선상에 형성되는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 중, 상기 보강관재의 전단부에 위치한 하나의 고정 브라켓은 플랜지를 통하여 A필러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너트는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크로스 멤버와 체결되는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보강관재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보강관재의 내측면에 볼트 체결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통하여 차체에 접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보강관재의 충격하중 분산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파이프 너트; 및
    상기 보강관재의 내측면에 접합되고, 상기 사이드 실 인너 패널에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상태로, 상기 사이드 실 인너 패널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복수의 테핑너트;
    로 구성되는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는 상기 보강관재의 중앙 수직격벽 선상에 형성되는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관재의 전단부에 위치한 고정 브라켓은 A필러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너트는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크로스 멤버와 체결되는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테핑너트는
    이중 플랜지를 가지며, 일측 플랜지가 상기 사이드 실 인너 패널에 접합되고, 타측 플랜지가 상기 보강관재에 용접되는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KR1020160152865A 2016-11-16 2016-11-16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KR101896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865A KR101896336B1 (ko) 2016-11-16 2016-11-16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US15/607,585 US10293861B2 (en) 2016-11-16 2017-05-29 Reinforcement unit of side sill for electric vehicles
CN201710447059.9A CN108068885B (zh) 2016-11-16 2017-06-14 用于电动车辆的纵梁的加强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865A KR101896336B1 (ko) 2016-11-16 2016-11-16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249A true KR20180055249A (ko) 2018-05-25
KR101896336B1 KR101896336B1 (ko) 2018-09-07

Family

ID=6210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865A KR101896336B1 (ko) 2016-11-16 2016-11-16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93861B2 (ko)
KR (1) KR101896336B1 (ko)
CN (1) CN10806888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1841B2 (en) 2017-12-15 2020-05-26 Hyundai Motor Company Side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US10710640B2 (en) 2017-12-27 2020-07-14 Hyundai Motor Company Side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KR102459018B1 (ko) 2021-06-11 2022-10-26 주식회사 엘리트산업 차량의 사이드실 보강프레임 고정브라켓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8290B1 (en) 2016-09-20 2019-06-04 Apple Inc. Vehicle floor and subassemblies thereof
JP6555235B2 (ja) * 2016-11-30 2019-08-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JP6489152B2 (ja) * 2017-05-16 2019-03-2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フレーム部材
JP6662953B2 (ja) * 2018-05-25 2020-03-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DE102018210121A1 (de) * 2018-06-21 2019-12-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gehäuse sowie Kraftfahrzeug mit einem solchen Batteriegehäuse
KR102579298B1 (ko) 2018-10-01 2023-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실의 보강유닛
KR102579358B1 (ko) 2018-10-12 2023-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강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측부 보강구조
US10730560B2 (en) 2018-11-09 2020-08-04 Honda Motor Co., Ltd. Suspended side sill reinforcement
CN110001783B (zh) * 2018-11-29 2021-08-17 蔚来(安徽)控股有限公司 汽车前纵梁加强组件
JP7052715B2 (ja) * 2018-12-28 2022-04-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US10720620B1 (en) * 2019-01-15 2020-07-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gh voltage battery pack mounting systems for providing load path management during impact loading events
KR102610755B1 (ko) * 2019-01-22 2023-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플로어 구조
KR102645055B1 (ko) 2019-04-10 2024-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센터플로어 구조
KR20220018590A (ko) * 2019-06-07 2022-02-15 제피로스, 인크. 차량의 프레임을 보강하는 캐리어와 그 제조 방법
JP7099797B2 (ja) * 2019-06-19 2022-07-12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構造
JP7290903B2 (ja) * 2019-06-19 2023-06-14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構造
KR20210076735A (ko) 2019-12-16 2021-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실구조
KR20210155261A (ko) * 2020-06-15 2021-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플로어구조
KR20220048138A (ko) * 2020-10-12 2022-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스크럼 타입 사이드 실 구조
KR20220048785A (ko) * 2020-10-13 2022-04-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차체
KR102383455B1 (ko) 2020-10-22 2022-04-07 동연스틸주식회사 이중강관을 이용한 차량용 사이드 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차량용 사이드 실
US11511808B2 (en) * 2020-11-05 2022-11-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body apparatus and system including a rocker insert
CN114228463A (zh) * 2021-12-08 2022-03-25 重庆金康动力新能源有限公司 支撑结构、支撑结构的装配方法、电池包及汽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696A (ko) * 2009-09-30 2011-04-0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의 사이드 실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40946C1 (ko) * 1990-12-20 1992-03-05 Audi Ag, 8070 Ingolstadt, De
JP2006168594A (ja) * 2004-12-17 2006-06-29 Nissan Motor Co Ltd 車体骨格フレームの補強構造
JP4483830B2 (ja) * 2006-05-29 2010-06-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EP2557021B1 (en) * 2010-04-09 2014-01-1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tructure for joint at side section of vehicle
BR112013011355A2 (pt) * 2010-11-10 2016-08-09 Honda Motor Co Ltd estrutura de piso automotivo
US20120161472A1 (en) * 2010-12-22 2012-06-28 Tesla Motors, Inc. System for Absorbing and Distributing Side Impact Energy Utilizing an Integrated Battery Pack
CN202686506U (zh) * 2012-07-20 2013-01-23 东风汽车公司 一种汽车门槛梁结构
FR3006280B1 (fr) * 2013-06-03 2016-02-1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de structure de caisse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entretoisement de choc lateral.
DE102013113164B4 (de) * 2013-11-28 2022-07-0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chwellerbaugruppe
DE102014206002A1 (de) * 2014-03-31 2015-10-0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Träger für einen Kraftwagen-Rohbau
US9505442B2 (en) * 2015-03-05 2016-11-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ergy absorbing rocker assembly
US9821854B2 (en) * 2015-11-24 2017-11-21 Honda Motor Co., Ltd. Side sill for a vehicle body
JP6555235B2 (ja) * 2016-11-30 2019-08-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JP6523355B2 (ja) * 2017-02-17 2019-05-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の下部構造
JP6977307B2 (ja) * 2017-04-28 2021-1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US10710638B2 (en) * 2017-04-28 2020-07-1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lower porti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696A (ko) * 2009-09-30 2011-04-0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의 사이드 실 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1841B2 (en) 2017-12-15 2020-05-26 Hyundai Motor Company Side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US10710640B2 (en) 2017-12-27 2020-07-14 Hyundai Motor Company Side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KR102459018B1 (ko) 2021-06-11 2022-10-26 주식회사 엘리트산업 차량의 사이드실 보강프레임 고정브라켓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93861B2 (en) 2019-05-21
KR101896336B1 (ko) 2018-09-07
CN108068885A (zh) 2018-05-25
CN108068885B (zh) 2021-10-29
US20180134320A1 (en)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336B1 (ko) 전기자동차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US10486515B2 (en) Vehicle lower section structure
US8833838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US9956861B2 (en) Framework structure of body-on-frame vehicle
US10589790B2 (en) Vehicle body front section structure
US9487236B2 (en) Vehicle body front section structure
KR102610755B1 (ko) 차량용 플로어 구조
US9505295B2 (en) Structure for front section of vehicle body
KR20180055485A (ko) 차체의 배터리 지지구조
CN110901362B (zh) 车辆下部结构
US20210070376A1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JP7231572B2 (ja) 車体下部構造
CN113135235B (zh) 车身下部构造
KR20200102767A (ko) 차량용 후방구조
KR20170068326A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조립 구조
JP2013220734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US20220363122A1 (en) Under body structure of automobile
KR20130106484A (ko) 배터리팩 마운팅 장치
CN113400939A (zh) 车身下部结构
KR102371247B1 (ko) 전기자동차용 언더바디
KR101973585B1 (ko) 차량용 사이드 실의 보강 유닛
KR102578559B1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용 마운팅 유닛
KR102586066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JP2021113007A (ja) 車両のフロア構造
KR20190079777A (ko) 측방 차체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