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657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657A
KR20180050657A KR1020187006392A KR20187006392A KR20180050657A KR 20180050657 A KR20180050657 A KR 20180050657A KR 1020187006392 A KR1020187006392 A KR 1020187006392A KR 20187006392 A KR20187006392 A KR 20187006392A KR 20180050657 A KR20180050657 A KR 20180050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portions
absorbent article
absorbent polymer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2805B1 (ko
Inventor
히로키 고다
마사시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0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specific fibre orientation or wea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2013/4908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onform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with a tissue-wrapped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being a tissue-wrapped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 A61F2013/5376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the wicking layer not contacting the absorbent core
    • A61F2013/5377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the wicking layer not contacting the absorbent core with a deformable spacin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specific fibre orientation or weave
    • A61F2013/538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specific fibre orientation or weave by the fibre orientation in the z plane or vertical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변형 유도할 수 있으면서도 딱딱함을 느끼기 어렵고, 장착감이 좋은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을,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며, 적어도 흡수성 섬유(8a)를 포함하는 흡수체(4)를 구비하고, 흡수체(4)가,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된 변형 유도부(11, 12)와, 그 변형 유도부(11, 12)의 양측에 배치된 기초부(13)를 가지며, 변형 유도부(11, 12)가,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흡수체(4)를 두께 방향으로 압밀화한 압착 영역(14, 15)과, 그 압착 영역(14, 15)의 양측에 있어서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기초부(13)로부터 피부면측으로 돌출된 볼록형부(16∼19)를 구비하고, 볼록형부(16∼19)의 섬유 밀도가 기초부(13)의 섬유 밀도보다 낮은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개시는, 흡수성 물품, 특히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에서는, 뇨 등의 배설물의 누설을 방지하면서 양호한 착용감을 실현하기 위해, 여러가지 개량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가 접합된 접합부가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상기 흡수체를 구성하는 흡수재가 소정의 평량인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보다 상기 흡수재의 평량이 적은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끼워지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액투과성층과, 액불투과성층과, 상기 액투과성층 및 상기 액불투과성층 사이에 설치된 흡수 코어와, 상기 액투과성층 및 상기 흡수 코어를 접합하는 접합부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 코어가, 흡수성 재료로서, 친수성 섬유 및 흡수성 폴리머를 함유하고, 상기 흡수 코어가, 소정의 흡수성 재료 평량을 갖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보다 낮은 흡수성 재료 평량을 갖는 제2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2 영역에서의 흡수성 재료 평량에 대한 흡수성 폴리머 평량의 비율이 10/100∼47/100이고, 상기 접합부가 상기 제2 영역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33839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36126호 공보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모두, 흡수체(흡수 코어)가, 흡수체를 구성하는 친수성 섬유 등의 섬유가 소정의 평량인 고섬유 밀도 영역과, 고섬유 밀도 영역보다 섬유의 평량이 적은 저섬유 밀도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저섬유 밀도 영역이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 고섬유 밀도 영역에 끼워져 있으며, 저섬유 밀도 영역에는, 적어도 흡수체를 엠보스 가공 등에 의해 형성한 압착(壓搾)부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흡수성 물품을 장착했을 때에는, 압착부와 그 이외의 부분의 경계가, 그 강성차에 의해 흡수체의 절곡 기점이 되어 변형을 유도하는 부분이 되기 때문에, 흡수체가 사용자의 체형이나 움직임에 맞춰 변형되어, 배설물을 효율적으로 흡수,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것의 경우, 압착부는, 압착부 자체가 압착에 의해 딱딱해졌을 뿐만 아니라, 섬유 밀도가 높아 비교적 딱딱해진 고섬유 밀도 영역에 인접하여 끼워져 있기 때문에, 피부가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 닿았을 때에는, 압착부와 고섬유 밀도 영역의 딱딱함을 느끼기 쉽다. 그 때문에, 촉감을 저하시켜, 흡수성 물품의 장착감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변형 유도할 수 있으면서도 딱딱함을 느끼기 어렵고, 장착감이 좋은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며, 적어도 흡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가,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된 변형 유도부와, 그 변형 유도부의 양측에 배치된 기초부를 가지며, 상기 변형 유도부가,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흡수체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밀화한 압착 영역과, 그 압착 영역의 양측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초부로부터 피부면측으로 돌출된 볼록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형부의 섬유 밀도가 상기 기초부의 섬유 밀도보다 낮은 것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변형 유도부의 압착 영역과 볼록형부의 경계가 그 강성차에 의해 절곡 기점이 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흡수체, 나아가 흡수성 물품의 변형을 유도하여 적절한 형상으로 안정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변형 유도부의 압착 영역이 연장되는 방향의 양측에, 기초부보다 섬유 밀도가 낮고 비교적 부드러운 볼록형부가, 피부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부면이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 닿으면, 상기 볼록형부와 접촉할 기회가 많아, 사용자가 볼록형부의 부드러움을 느끼기 쉽다. 또한, 흡수성 물품이 비피부면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변형되면, 상기 볼록형부끼리 근접하는 것에 의해, 압착에 의해 딱딱함이 증가한 압착 영역을 덮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부면이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 닿았다 하더라도 상기 압착 영역과 접촉하기 어려워, 사용자가 압착 영역의 딱딱함을 느끼기 어렵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 전체적으로 우수한 장착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일회용 기저귀의 제1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전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회용 기저귀가 변형 유도부에 있어서 변형 유도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회용 기저귀에 이용하는 흡수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선에서의 모식적인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단, 샘방지벽은 생략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이용하는 제조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a) 도 5의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석션 드럼의 외주면에 설치된 형부재 내에 흡수성 재료가 공급되어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b) 상기 형부재 내에 적층된 제1 적층체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중에 있어서 형성되는 (a) 제2 적층체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b) 제3 공정에 있어서 압축된 직후의 상태의 제3 적층체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c) 제4 공정에 있어서 압착되기 전의 제3 적층체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일회용 기저귀의 제2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전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선에서의 모식적인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이용하는 제조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부형 장치에서의 한쌍의 부형 롤의 외주면이 대향하고 있는 부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중에 있어서 형성되는 (a) 제2 적층체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b) 제3 공정에 있어서 부형된 후의 제3 적층체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에 관한 것이다.
[양태 1]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며, 적어도 흡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가,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된 변형 유도부와, 그 변형 유도부의 양측에 배치된 기초부를 가지며, 상기 변형 유도부가,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흡수체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밀화한 압착 영역과, 그 압착 영역의 양측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초부로부터 피부면측으로 돌출된 볼록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형부의 섬유 밀도가 상기 기초부의 섬유 밀도보다 낮은 상기 흡수성 물품.
양태 1에 의하면, 변형 유도부의 압착 영역과 볼록형부의 경계가 절곡 기점이 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흡수체, 나아가 흡수성 물품의 변형을 유도하여, 적절한 형상으로 안정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변형 유도부의 압착 영역이 연장되는 방향의 양측에, 기초부보다 섬유 밀도가 낮고 비교적 부드러운 볼록형부가 피부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부면이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 닿으면, 상기 볼록형부와 접촉할 기회가 많아, 사용자가 볼록형부의 부드러움을 느끼기 쉽다. 또한, 흡수성 물품이 비피부면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변형되면, 상기 볼록형부끼리 근접하는 것에 의해, 압착에 의해 딱딱함이 증가한 압착 영역을 덮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부면이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 닿았다 하더라도 상기 압착 영역과 접촉하기 어려워, 사용자가 압착 영역의 딱딱함을 느끼기 어렵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 전체적으로 우수한 장착감을 얻을 수 있다.
[양태 2] 상기 소정의 방향이 상기 길이 방향이며, 상기 흡수체가, 상기 흡수체의 폭 방향 중앙 축선을 사이에 두고, 또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변형 유도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양태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양태 2에 의하면, 변형 유도부를 따라서 흡수체를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측으로 개구된 상자형의 입체 공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배설물을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받아낼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피부에 배설물이 접촉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장착감이 증가한다.
[양태 3] 상기 흡수체가,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며 또한 적어도 상기 흡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의 외주면을 덮는 코어랩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 코어가,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 중앙 축선을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 한쌍의 절결부의, 상기 폭 방향 중앙 축선에 가장 가까운 부분끼리를 연결하는 절곡 유도선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변형 유도부가, 적어도 복수개의 상기 절곡 유도선 중의 상기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가장 가까운 절곡 유도선으로부터, 복수개의 상기 절곡 유도선 중의 상기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의 타단에 가장 가까운 절곡 유도선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양태 3에 의하면, 상기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절곡 유도선에 의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절곡되기 쉽게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흡수 코어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된 한쌍의 절결부에 의해, 상기 흡수체가 상기 변형 유도부 및 상기 절곡 유도선을 따라서 변형하여 입체화할 때에 상기 흡수체의 단부끼리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흡수체가, 상기 상자형의 입체 공간이 생기도록 보다 정밀하게 변형되기 쉬워, 상기 배설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양태 3의 흡수성 물품은, 사용자의 피부에 배설물이 보다 접촉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사용감이 한층 더 증가한다.
[양태 4] 상기 압착 영역의 폭이 상기 변형 유도부의 폭의 1/2 이하인, 양태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양태 4에 의하면, 압착 영역의 폭이 변형 유도부의 폭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소정의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비피부면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변형되면, 상기 볼록형부끼리 근접하는 것에 의해, 압착에 의해 딱딱함이 증가한 압착 영역이 보다 덮이기 쉬워, 사용자의 피부면이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 닿았을 때에 압착 영역의 딱딱함을 느끼기 어렵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의 촉감이 더욱 향상된다.
[양태 5] 상기 압착 영역이,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간헐적이고 직렬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압착부와, 인접하는 상기 압착부 사이의 비압착부를 구비하는, 양태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양태 5에 의하면, 압착 영역은, 압착부가 간헐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착 영역에 있어서, 압착에 의해 딱딱함이 증가한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압착부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적고, 압착에 의해 딱딱해진 부분에 피부가 접촉할 기회도 적어지기 때문에, 그 딱딱해진 부분을 사용자가 보다 느끼기 어렵다. 또한, 압착 영역은, 인접하는 압착부 사이에, 압착되지 않고, 압착부보다 부드러운 상태인 비압착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변형 유도부를 톱시트를 통해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닿았을 때의 감촉이 양호하다. 이에 따라, 한층 더 부드러운 촉감을 얻을 수 있다.
[양태 6] 상기 흡수체가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변형 유도부에 포함되는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이, 상기 기초부에 포함되는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보다 낮은, 양태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양태 6에 의하면, 변형 유도부에 포함되는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이 기초부보다 낮은 만큼, 흡수체가 액상의 배설물을 흡수했을 때에는, 변형 유도부는, 흡수성 폴리머의 팽윤에 따르는 팽창이 기초부에 비교해서 작다. 이에 따라, 변형 유도부, 특히 압착 영역과 볼록형부의 경계를 절곡 기점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변형이 저해되기 어렵기 때문에, 흡수체가 액상의 배설물을 흡수한 후에도 흡수성 물품의 변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양태 7] 상기 기초부가, 상기 볼록형부에 인접하고 또한 그 볼록형부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설치되며, 비피부면측으로 움푹 팬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양태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양태 7에 의하면, 기초부의 오목부가 볼록형부에 인접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에 의해, 볼록형부와 기초부의 두께의 차가 보다 커지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착용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압착 영역이나 기초부에 비교해서 부드러운 볼록형부를 보다 느끼기 쉽고, 부드러운 촉감이 한층 더 향상된다. 또한, 오목부 자체가 흡수성 물품의 절곡 기점이 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을 보다 안정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양태 8] 상기 흡수체가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기초부에서의 오목부의 비피부면측에 상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에 포함되는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 함유율이, 상기 기초부에서의 상기 오목부의 비피부면측에 상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 이외의 부분에 포함되는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 함유율보다 높은, 양태 7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양태 8에 의하면, 기초부에서의 오목부의 비피부면측에 상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은, 오목부가 비피부면측으로 움푹 패인만큼 흡수성 폴리머가 팽윤하더라도 볼록형부를 느끼기 쉬운 한편, 볼록형부의 근방에서의 흡수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흡수성 물품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전개한 상태로 수평면 상에 놓은 대상물(예컨대, 흡수성 물품, 흡수체 등)을, 수직 방향의 상방측으로부터 대상물의 두께 방향으로 보는 것」을, 단순히 「평면시」라고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폭 방향(W)」은, 「평면시에서의 대상물의 폭 방향(짧은 방향)」을 가리키고, 「길이 방향(L)」은, 「평면시에서의 대상물의 길이 방향」을 가리키고, 「두께 방향(T)」은, 「전개한 상태로 수평면 상에 놓은 대상물의 두께 방향」을 가리키고, 이들 폭 방향(W), 길이 방향(L) 및 두께 방향(T)은, 각각 서로 직교하는 관계에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세로로 긴 대상물(예컨대, 흡수성 물품, 흡수체 등)의 폭 방향(W)에 있어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앙 축선(CL)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쪽」을 「폭 방향에서의 내방측」이라고 하고, 「상기 세로로 긴 대상물의 폭 방향(W)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 중앙 축선(CL)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쪽」을 「폭 방향에서의 외방측」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 세로로 긴 대상물의 길이 방향(L)에 있어서,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중앙 축선을 길이 방향 중앙 축선(CW)이라고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면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쪽」을 「피부면측」이라고 하고,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면에 상대적으로 먼 쪽」을 「비피부면측」이라고 한다.
도 1∼도 4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이 일회용 기저귀인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즉, 일회용 기저귀(1)는,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갖고 있고, 액투과성의 톱시트(2)와, 액불투과성의 백시트(3)와, 이들 톱시트(2) 및 백시트(3)와의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한쌍의 샘방지벽(5a, 5a)을 형성하며, 소수성이나 발수성을 갖는 사이드시트(5, 5)를 갖고 있다. 또, 도 1에 있어서는, 도 1의 하방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L)의 일단측을 사용자의 배를 덮는 배쪽, 상방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L)의 타단측을 사용자의 등(둔부)을 덮는 등쪽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는, 착용시에 테이프 패스너(6)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장착하는 소위 테이프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상기 테이프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에 한정되지 않고, 착용전부터 팬츠형의 형상을 갖는 소위 팬츠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이어도 좋다.
톱시트(2)는, 사용자로부터의 뇨 등의 액상의 배설물을 재빠르게 흡수 혹은 투과시켜 흡수체(4)를 향해 이행시키는 것이며, 흡수체(4)에서의 사용자의 피부와 대향하는 면측(도 4 중, 흡수체(4)의 상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톱시트(2)는, 일회용 기저귀(1)의 길이 방향(L)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톱시트(2)는, 예컨대 부직포, 직포, 액투과 구멍이 형성된 합성 수지 필름, 메쉬를 갖는 네트형 시트 등에 의해 형성되지만, 그 중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백시트(3)는, 일회용 기저귀(1)의 외방측(도 4 중의 흡수체(4)의 하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배출된 배설물의 투과를 방지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백시트(3)는, 톱시트(2)와 흡수체(4)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서로 접합되어 있다. 접합 수단으로는 예컨대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한 접착, 히트 엠보스 처리에 의한 접합, 초음파 엠보스 처리에 의한 접합 등 임의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백시트로서, 예컨대 방수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 필름, 부직포와 합성 수지 필름의 복합 시트(예컨대 스펀 본드, 스펀 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의 합성 수지 필름이 접합된 복합 필름), 내수성이 높은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강도가 강한 스펀 본드 부직포 사이에 끼운 SMS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흡수체(4)는, 평면시에서,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이며,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액상의 배설물을 흡수, 유지하며 적어도 흡수성 섬유(8a)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8)와, 이 흡수 코어(8)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코어랩(9)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흡수체(4)는, 전체적으로, 일회용 기저귀(1)의 등쪽보다 배쪽에 치우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 흡수 코어를 형성하는 흡수성 섬유로는, 예컨대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계 흡수성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코어랩은, 액투과성 및 흡수체 유지성을 갖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티슈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체(4)에서의 흡수 코어(8)에는, 흡수성 섬유에 더해 흡수성 폴리머(8b)가 포함되어 있다. 이 흡수성 폴리머로는, 예컨대 전분계, 셀룰로오스계, 합성 폴리머계의 고흡수성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흡수체(4)는, 이 흡수체(4), 나아가서는 일회용 기저귀(1)의 변형을 미리 정한 형상으로 유도하며, 소정의 방향(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일회용 기저귀(1)의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변형 유도부(11, 12)와, 이들 변형 유도부(11, 12)의 양측에 배치된 기초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변형 유도부(11(12))는, 흡수체(4)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한 부분을 가지며, 상기 소정의 방향, 즉 변형 유도부(11(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압착 영역(14(15))과, 그 압착 영역(14(15))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 즉 변형 유도부(11(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기초부(13)로부터 피부면측으로 돌출된 볼록형부(16, 17(18, 19))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수체가 압착되어 있다는 것은, 흡수체가, 두께 방향으로 압밀화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함과 함께, 톱시트측 및 백시트측에 존재하는 코어랩끼리 상기 압밀화된 부분을 통해 접합되어 있고, 상기 압밀화된 부분의 두께가 상기 압밀화되지 않은 부분보다 얇고, 또한, 상기 압밀화된 부분에서의 흡수 코어의 섬유 밀도가 상기 압밀화되지 않은 부분에서의 흡수 코어의 섬유 밀도보다 높은 것을 말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체(4)에서의 한쌍의 변형 유도부(11, 12) 및 기초부(13)는, 흡수 코어(8) 및 코어랩(9)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흡수체에서의 기초부의 평량(흡수성 섬유(8a)와 흡수성 폴리머(8b)를 합한 평량)은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바람직하게는 100∼1000 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900 g/㎡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800 g/㎡이다. 흡수체에서의 기초부의 평량을 100 g/㎡ 이상으로 하면, 흡수체에 있어서 주로 액상의 배설물의 흡수, 유지를 행하는 기초부의 흡수 능력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고, 1000 g/㎡ 이하로 하면, 기초부의 부피가 지나치게 커지지 않아, 쾌적한 장착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흡수체에서의 변형 유도부의 평량은, 기초부의 평량의 30∼80 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 유도부의 평량을 기초부의 평량의 30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변형 유도부로부터 흡수체의 형붕괴가 생길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고, 80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변형 유도부의 부피가 지나치게 커지지 않아, 쾌적한 장착감을 얻을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부(13)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부면측의 표면이 거의 평탄형의 면으로 형성된 평탄부(21)와, 비피부면측에 움푹 패어 피부면측으로 개구된 오목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또, 흡수체(4)는, 변형 유도부(11, 12) 이외의 부분은 기본적으로 기초부(13)가 된다. 또한, 평탄부(21)는 전체적으로 거의 일정한 두께로 되어 있다.
오목부(2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면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 것이며, 평탄부(21)보다 두께가 작고, 또한 톱시트(2)가 이 오목부(22)에서의 움푹 팬 표면을 따라서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오목부(22)는, 변형 유도부(11, 12) 중의 어느 볼록형부(16∼19)에 인접하고 또한 그 인접해 있는 볼록형부(16∼19)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볼록형부(16∼19)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초부(13)의 오목부(22)가 볼록형부(16∼19)에 인접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에 의해, 볼록형부(16∼19)와 기초부(13)의 두께의 차가 보다 커진다. 이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1)의 장착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부드러운 볼록형부(16∼19)와 접촉할 기회가 더욱 증가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압착 영역(14, 15)이나 기초부(13)에 비교해서 부드러운 볼록형부(16∼19)를 보다 느끼기 쉬워, 부드러운 촉감이 한층 더 향상된다. 또한, 오목부(22) 자체가 흡수성 물품의 절곡 기점이 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를 안정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한편, 한쌍의 변형 유도부(11, 12)는, 흡수체(4)의 길이 방향(L)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또한 서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쌍의 변형 유도부(11, 12)는, 흡수체(4)를 평면시한 경우에,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앙 축선(CL)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변형 유도부(11, 12)는 전체적으로, 흡수체(4)의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앙 축선(CL)에 대하여 볼록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흡수체(4)의 배쪽의 단부 근처의 위치에서의 흡수체(4)의 폭 방향(W)의 가장 가까운 단부를 시점(26a, 27a)으로 하여, 폭 방향에서의 내방측이자 흡수체(4)의 등쪽 단부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흡수체의 폭 방향(W)의 단부와 상기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앙 축선(CL)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기점(26b, 27b)에, 흡수체(4)의 폭 방향에서의 내방측으로 볼록해지도록 완만하게 만곡된 상태로 도달해 있는 제1 부분(28a, 29a)을 갖고 있다. 또한, 제1 기점(26b, 27b)으로부터, 흡수체(4)의 폭 방향에서의 외방측으로 볼록해지도록 완만하게 만곡되면서, 제1 기점(26b, 27b)보다 흡수체(4)의 등쪽에 위치하는 제2 기점(26c, 27c)에 도달하는 제2 부분(28b, 29b)과, 제2 기점으로부터, 흡수체의 폭 방향에서의 외방측으로 볼록해지도록 완만하게 만곡되면서, 제2 기점(26c, 27c)보다 흡수체(4)의 등쪽에 위치하는 제3 기점(26d, 27d)에 도달하는 제3 부분(28c, 29c)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3 기점(26d, 27d)으로부터, 그 제3 기점(26d, 27d)보다 등쪽이자 흡수체(4)의 폭 방향(W)의 가장 가까운 단부에 위치하는 종점(26e, 27e)을 향해, 흡수체(4)의 폭 방향에서의 외방측으로 볼록해지도록 완만하게 만곡된 상태로 도달해 있는 제4 부분(28d, 29d)을 갖고 있다.
또, 한쪽의 변형 유도부(11)와 다른쪽의 변형 유도부(12)의 제1 기점(26b, 27b)끼리의 사이의 거리보다, 제2 기점(26c, 27c)끼리의 사이의 거리는 작고, 또한 제2 기점(26c, 27c)끼리의 사이의 거리보다 제3 기점(26d, 27d)끼리의 사이의 거리는 작아지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일회용 기저귀(1)를 착용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한쌍의 변형 유도부(11, 12)의 제1∼제4 부분(28a∼28d, 29a∼29d)을 따라서 흡수체(4), 나아가 일회용 기저귀(1)를 톱시트(2)가 내측이 되도록 접어, 흡수체(4)가 사용자의 피부면측으로 개구된 상자형의 입체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의 배설물을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받아내고, 또한 사용자의 피부에 배설물이 접촉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의 장착감이 증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체(4)를 구성하는 흡수 코어(8)는,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갖고 있고, 상기 폭 방향(W)의 양단부에서의 상기 제1 기점∼제3 기점(26b∼26d, 27b∼27d)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흡수 코어(8)의 단부 가장자리의 일부가 절결되어 이루어진 절결부(30(30a∼30c), 31(31a∼31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절결부(30, 31)는 각각, 폭 방향 중앙 축선(CL)에 대하여 볼록해지는 끝이 뾰족한 형상을 갖고 있고, 절결부(30, 31)가 이러한 형상을 갖고 있는 것에 의해, 흡수 코어(8)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강성차가 생겨, 절곡 유도선의 방향을 정하기 쉽다. 그 결과, 흡수체(4)가 변형되어 입체화할때에, 흡수체(4)의 단부끼리 간섭하지 않는 절곡 범위를 넓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흡수체(4)가 소정 형상으로 한층 더 변형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4)를 구성하는 코어랩(9)에는 절결부(30, 31)가 설치되지 않는다. 코어랩에 절결부가 설치되지 않는 것에 의해, 흡수 코어(8)의 외주면을 확실하게 피복하여, 흡수 코어(8) 내의 흡수성 폴리머(8b)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흡수체에 있어서는, 절결부는, 흡수체의 단부끼리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 다각형, 원호형 등 임의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를 구성하는 코어랩에 절결부를 설치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흡수 코어(8)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폭 방향(W)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 중앙 축선(CAL)을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 한쌍의 절결부(30, 31)의 상기 폭 방향 중앙 축선(CAL)에 가장 가까운 부분끼리를 연결하는 절곡 유도선(BLa∼BLc)이 상기 길이 방향(L)으로 3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변형 유도부(11, 12)는 적어도, 상기 흡수 코어(8)의 길이 방향(L)의 일단(흡수체(4)의 배쪽 단부에 해당)에 가장 가까운 절곡 유도선(BLa)으로부터, 상기 흡수 코어(8)의 길이 방향(L)의 타단(흡수체(4)의 배쪽 단부에 해당)에 가장 가까운 절곡 유도선(BLc)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흡수 코어(8)는, 상기 길이 방향(L)으로 나란히 설치된 3개의 상기 절곡 유도선(BLa∼BLc)에 의해, 상기 길이 방향(L)으로 절곡되기 쉽게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흡수 코어(8)의 폭 방향(W)의 양단부에 설치된 한쌍의 절결부(30, 31)에 의해, 상기 흡수체(4)가 상기 변형 유도부(11, 12) 및 상기 절곡 유도선(BLa∼BLc)을 따라서 변형되어 입체화할 때에 상기 흡수체(4)의 단부끼리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흡수 코어(8)에 의해 구성된 흡수체(4)는, 상기 상자형의 입체 공간이 생기도록, 보다 정밀하게 변형되기 쉽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절곡 유도선(BLa∼BLc)은, 상기 흡수 코어(8)의 길이 방향(L)으로 3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절곡 유도선의 갯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절곡 유도선은,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2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4개 이상 나란히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단, 절곡 유도선이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3개 이상 나란히 설치되어 있으면, 보다 면수가 많은 다면체형의 배설물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배설물을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받아낼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피부에 배설물이 보다 접촉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장착감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의 하방측에 위치하는 흡수 코어(8)의 길이 방향(L)의 일단이 착용자의 복부를 덮는 배쪽의 단부, 도 1의 상방에 위치하는 흡수 코어(8)의 길이 방향(L)의 타단이 착용자의 등(둔부)을 덮는 등쪽의 단부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흡수성 물품의 종류 등에 따라서는, 상기 일단이 상기 배쪽의 단부, 상기 타단이 상기 등쪽의 단부이어도 좋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 유도부(11, 12)가, 톱시트(2)가 내측이 되도록 접힌 상태가 되기 쉽게 하기 위해, 이 일회용 기저귀(1)에서의 흡수체(4)의 폭 방향(W)의 양단부 가장자리 근방에는, 흡수체(4)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탄성 부재(32)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변형 유도부(11(12))의 압착 영역(14(15))은, 흡수체(4), 즉 흡수 코어(8) 및 코어랩(9)의 일부를, 엠보스 가공 등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며, 2개의 볼록형부(16, 17(18, 19)) 사이에 하나의 압착 영역(14(15))이 배치되어 있고, 그 하나의 압착 영역(14(15))에 2개의 볼록형부(16, 17(18, 19))가 따르도록 형성된 양태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형태의 압착 영역(14, 15)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소정의 방향, 즉 변형 유도부(11, 12)의 길이 방향으로 간헐적이고 직렬적으로 설치되며 압착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압착부(36, 37)와, 인접하는 압착부(36, 36, 37, 37)의 사이에 위치하며 압착되지 않은 복수의 비압착부(38, 39)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압착부(36, 37)는, 압착에 의해 흡수체(4) 중에서 가장 두께가 작고 또한 섬유 밀도가 가장 낮게 되어 있어, 가장 딱딱한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 섬유 밀도의 고저에 관한 상대 평가 및 측정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 실시형태의 압착부(36, 37)는, 흡수 코어(8)와 코어랩(9)을 흡수체(4)의 톱시트(2)측(피부면측)으로부터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톱시트(2)에는, 압착되어 있는, 즉 압밀화된 부분이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의 톱시트(2)측의 면은, 압착부(36, 37)에 의해 비피부면측, 즉 백시트(3)측으로 움푹 팬 부분이 톱시트(2)에 의해 덮힌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부(36, 37)는 비피부면측에 있어서 백시트(3)와 접하지 않는다. 이것은, 흡수체(4)를 압착할 때에 흡수체(4)의 피부면측으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볼록형부의 꼭대기부와 압착부를 연결하고 있는 부분의 코어랩은 압착부측으로 인장되지만, 상기 압력이 제거하면, 인장되어 있던 코어랩이 볼록형부의 꼭대기부측으로 복원하려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압착부가 피부면측으로 인장되고, 흡수체(4)에서의 압착 영역(14, 15)의 비피부면측이 피부면측으로 치우친다. 이에 따라, 백시트(3)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기 때문인 것 등이 이유이다.
압착부(36, 37)가, 비피부면측에 있어서 백시트(3)와 접하지 않는 것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가 변형 유도부(11, 12)를 따라서 변형되었을 때에, 백시트(3)가, 일회용 기저귀(1)의 피부면측과 비피부면측에서 이러한 텐션의 차이를 흡수하는 버퍼가 되어, 일회용 기저귀(1)가 보다 변형되기 쉽다.
또한, 비압착부(38, 39)는, 압착부(36, 37)보다 피부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편, 볼록형부(16∼19)보다 돌출 높이가 작게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압착되지 않았기 때문에, 압착부(36, 37)에 비교해서 섬유 밀도가 낮고, 압착 영역(14, 15) 내에서는 가장 부드러운 부분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변형 유도부(11, 12)의 부분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닿았을 때, 부드러운 비압착부(38, 39)의 감촉을 톱시트(2)를 통해 압착부(36, 37)보다 먼저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감촉이 양호하다. 또한, 인접하는 압착부(36, 36, 37, 37)의 간격이나 각 압착부(36, 37)의 길이에 따라서도 달라지지만, 비압착부(38, 39)가 톱시트(2)를 통해 피부에 접촉할 기회가 증가하는 한편, 압착부(36, 37)에 접촉할 기회가 억제되기 때문에, 압착부(36, 37)의 딱딱한 감촉을 느끼는 것이 억지된다. 이에 따라, 한층 더 부드러운 촉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착 영역(14, 15)은, 변형 유도부(11, 12)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고, 이 압착 영역(14, 15)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볼록형부(16, 17, 18, 19)가 각각 대략 균일한 폭으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압착 영역은, 그 폭이 변형 유도부의 폭의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이하로 하는 것이다. 압착 영역의 폭을 변형 유도부의 폭의 1/2 이하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일회용 기저귀(1)의 변형 유도부(11, 12)에 톱시트(2)를 통해 닿았다 하더라도, 볼록형부(16, 17, 18, 19)에 접촉할 기회가, 딱딱함을 느끼기 쉬운 압착 영역에 접촉할 기회보다 상대적으로 많아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볼록형부의 부드러움을 느끼기 쉽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가 비피부면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변형되면, 볼록형부(16, 17)끼리 그리고 볼록형부(18, 19)끼리 각각 근접하는 것에 의해, 압착에 의해 딱딱함이 증가한 압착 영역(14, 15)을 각각 덮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부면이 일회용 기저귀(1)의 표면에 닿았을 때에, 톱시트(2)를 통해 압착 영역(14, 15)의 딱딱함을 느끼기 어렵다. 또한, 변형 유도부의 폭에 대한 압착 영역의 폭의 비율의 하한에 관해서는, 제조상의 관점에서 1/50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착 영역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볼록형부가 균일하지 않은 폭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변형 유도부의 폭에 관해서는, 예컨대 5∼45 mm이며, 바람직하게는 10∼40 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0 mm이다. 변형 유도부의 폭을 5 mm 이상으로 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시에, 변형 유도부에 대한 압착 영역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할 가능성을 억제하여, 볼록형부의 형성을 저해하기 어려워진다. 반대로, 변형 유도부의 폭을 45 mm 이하로 함으로써, 변형 유도부의 폭이 지나치게 커져, 톱시트(2)를 통한 촉감이 저하되어, 장착감이 손상될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착 영역의 폭에 관해서는, 변형 유도부의 폭이나 형상에 따라서도 달라지지만, 바람직하게는 0.3∼8 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4∼6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4 mm로 하는 것이다. 압착 영역의 폭을 0.3 mm 이상으로 함으로써, 압착에 의한 접합 강도가 저하되어, 접합된 흡수 코어와 코어랩이 박리될 가능성을 억제하고, 또한 압착 영역과 볼록형부의 경계를 절곡 기점으로 하는 변형 유도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8 mm 이하로 함으로써, 압착한 부분의 폭이 지나치게 커져, 압착한 부분의 딱딱한 감촉을 톱시트 상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톱시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느끼기 쉬워지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의 촉감을 손상시킬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압착부의 길이(압착 영역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크기)에 관해서는, 변형 유도부의 길이나 형상에 따라서도 달라지지만, 바람직하게는 1∼2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1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2.5∼10 mm로 하는 것이다. 압착부의 길이를 1 mm 이상으로 함으로써, 압착에 의한 접합 강도가 저하되어, 접합된 흡수 코어와 코어랩이 박리될 가능성을 억제하고, 또한 압착 영역과 볼록형부의 경계를 절곡 기점으로 하는 변형 유도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20 mm 이하로 함으로써, 압착에 의해 딱딱해진 부분을 사용자가 보다 느끼기 어렵다. 또한, 압착 영역은, 인접하는 압착부 사이에, 압착되지 않고 압착부보다 부드러운 상태인 비압착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변형 유도부를 톱시트를 통해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닿았을 때의 감촉이 양호하다.
한편, 변형 유도부(11(12))의 볼록형부(16, 17(18, 19))는, 흡수체(4) 중에서 가장 피부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며, 각 변형 유도부(11(12))의 볼록형부(16, 17(18, 19))는, 모두 거의 동일한 돌출 높이로 되어 있다. 이들 볼록형부(16∼19)는, 피부가 톱시트(2)를 통해 압착 영역(14, 15), 특히 딱딱하여 촉감이 떨어지는 압착부(36, 37)에 접촉하기 전에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가 가능한 한 압착 영역(14, 15)의 딱딱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볼록형부(16, 17(18, 19))는, 압착 영역(14(15))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부가 어떤 방향으로부터 접촉하더라도, 기본적으로는 어느 볼록형부(16, 17(18, 19)), 혹은 양쪽의 볼록형부(16, 17(18, 19))를 느끼고, 또한, 일회용 기저귀(1)가 비피부면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변형되면, 볼록형부(16, 17)끼리 그리고 볼록형부(18, 19)끼리 각각 근접하는 것에 의해, 압착에 의해 딱딱함이 증가한 압착 영역(14, 15)을 각각 덮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톱시트(2)를 통해 변형 유도부(11(12))에 접촉할 기회가 줄어, 압착 영역(14(15))의 딱딱함을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볼록형부(16∼19)는, 돌출측의 선단측 부분이 단면이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피부에 부드럽게 또한 가능한 한 작은 접촉 면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톱시트(2)가 볼록형부(16∼19)의 가장 피부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외력에 의해 볼록형부가 변형되면, 톱시트(2)가 압착 영역(14, 15)측으로 휘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볼록형부(16∼19)는, 톱시트(2)의 두께만큼 돌출 높이가 높아짐과 함께, 톱시트(2)가 압착 영역(14, 15)을 피복하고 있고, 피부가 톱시트(2)를 통해 압착 영역(14, 15), 특히 압착부(36, 37)에 접촉할 기회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볼록형부(16∼19)는, 섬유 밀도가 기초부(13)의 섬유 밀도보다 낮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볼록형부(16∼19)는, 압착 영역(14, 15)은 물론, 기초부(13)보다 유연하다는 점에서, 이 볼록형부(16∼19)에 톱시트(2)를 통해 피부가 닿았을 때에는 부드러운 촉감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톱시트(2)를 통해 일회용 기저귀(1)의 변형 유도부(11, 12)에 닿았다 하더라도, 볼록형부(16∼19)의 부드러움을 느끼기 쉽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가 비피부면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변형되면, 볼록형부(16, 17)끼리 그리고 볼록형부(18, 19)끼리 각각 근접하는 것에 의해, 압착에 의해 딱딱함이 증가한 압착 영역(14, 15)을 각각 덮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부면이 일회용 기저귀(1)의 표면에 닿았을 때에, 톱시트(2)를 통해 압착 영역(14, 15)의 딱딱함을 느끼기 어렵다. 결과적으로, 일회용 기저귀(1) 전체적으로 우수한 장착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볼록형부의 섬유 밀도는 기초부의 섬유 밀도보다 작으면 좋지만, 볼록형부의 섬유 밀도에 관해서는, 기초부의 섬유 밀도의 0.20배∼0.80배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배∼0.75배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0.30배∼0.70배의 범위 내이다.
볼록형부의 섬유 밀도는, 제조상의 관점에서, 기초부의 섬유 밀도의 0.20배 이상이다. 반대로 0.80 이하이면, 사용자가 기초부에 대한 볼록형부의 상대적인 부드러움을 확실하게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볼록형부의 높이(볼록부에 있어서 가장 피부면측에 위치하는 부분(꼭대기부)으로부터 흡수체의 비피부면측까지의 거리(두께))는, 기초부의 두께(단 오목부를 제외한 부분)의 1.2∼3배 정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2.5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배로 하는 것이다. 볼록형부의 높이가 기초부의 두께의 1.2배 이상이면, 흡수성 물품이 비피부면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변형되었을 때에, 볼록형부끼리 근접하는 것에 의해, 볼록형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압착 영역을 보다 확실하게 덮을 수 있기 때문에, 톱시트형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톱시트를 통해 상기 압착 영역의 딱딱함을 사용자가 느끼기 어려워진다. 반대로 3배 이하이면, 흡수성 물품이 변형되었을 때에, 볼록형부끼리 서로 간섭하는 것에 의해 절곡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변형 유도부의 변형 유도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제품으로서의 일회용 기저귀(1)를 접기 쉬워, 패키지에 수납하기 쉽다.
또,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부위의 두께의 측정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섬유 밀도의 측정 방법의 기재에서 설명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흡수체(4)에는 흡수성 폴리머(8b)가 포함되어 있지만, 변형 유도부(11, 12)에 포함되는 흡수성 폴리머(8b)의 평량은, 기초부(13)에 포함되는 흡수성 폴리머(8b)의 평량보다 낮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변형 유도부(11, 12)에 포함되는 흡수성 폴리머(8b)의 평량이 기초부(13)보다 낮은 만큼, 흡수체(4)가 액상의 배설물을 흡수했을 때에는, 변형 유도부(11, 12)는, 흡수성 폴리머(8b)의 팽윤에 따르는 팽창이 기초부(13)에 비교해서 작다. 따라서, 변형 유도부(11, 12), 특히 압착 영역(14, 15)과 볼록형부(16∼19)의 경계를 절곡 기점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1)의 변형이 저해되기 어렵기 때문에, 흡수체(4)가 액상의 배설물을 흡수한 후에도, 일회용 기저귀(1)의 변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장착감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압착 영역(14, 15)의 압착부(36, 37) 등, 압착되는 위치나 그 근방에 흡수성 폴리머(8b)가 많이 존재하면, 압착했을 때에, 그 흡수성 폴리머(8b)가 피부면측에 나타나기 쉬워지므로, 흡수체(4)의 촉감이 저하될 우려가 있지만, 변형 유도부(11, 12)에 포함되는 흡수성 폴리머(8b)의 평량을 기초부보다 낮게 한 것에 의해, 이러한 문제가 생기기 어렵고, 촉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변형 유도부에 포함되는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은, 기초부에 포함되는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의 80 질량% 미만이다. 변형 유도부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을 기초부에 포함되는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의 80 질량% 이상으로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압착했을 때에 흡수성 폴리머가 피부면측에 나타나기 쉬워지므로, 촉감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하한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변형 유도부에 흡수성 폴리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변형 유도부에서의 흡수 능력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기초부에 포함되는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의 25 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변형 유도부에는 흡수성 폴리머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기초부(13)에서의 오목부(22)의 비피부면측에 상기 두께 방향(T)으로 연장된 부분에 포함되는 상기 흡수성 폴리머(8b)의 흡수체(4)에 대한 질량 함유율이, 기초부(13)에서의 오목부(22)의 비피부면측에 상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 이외의 부분(즉, 평탄부(21))에 포함되는 흡수성 폴리머의 흡수체에 대한 질량 함유율보다 높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초부(13)에서의 오목부(22)의 비피부면측에 상기 두께 방향(T)으로 연장된 부분은, 오목부(22)가 비피부면측으로 움푹 패인만큼 팽창될 여지가 있기 때문에, 오목부(22)의 비피부면측에 상기 두께 방향(T)으로 연장된 부분의 흡수성 폴리머(8b)가 팽윤하더라도, 사용자가 볼록형부(16∼19)의 부드러움을 느끼는 것을 저해하기 어렵다. 또한, 기초부(13)에 비교해서 포함되어 있는 흡수성 폴리머(8b)의 질량 함유율이 작은 볼록형부(16∼19)의 근방에서의 흡수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 함유율(%)」은, 흡수체에 포함되는 흡수성 섬유 및 흡수성 폴리머의 합계 질량에 대한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의 비율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 함유율(%)은 이하와 같이 측정한다.
1. 흡수성 섬유 및 흡수성 폴리머의 보수(保水)율 산출
(1) 흡수체의 측정 대상 부위를 잘라낸다.
(2) 잘라낸 시료를 톨루엔 용액에 침지하고, 코어랩 시트를 제거하여, 흡수성 섬유와 흡수성 폴리머만 포함하는 샘플 A를 취득한다.
(3) 샘플 A를 80℃의 오븐에서 12시간 이상 건조시켜 절대 건조 상태가 된 샘플 A를, 흡수성 섬유 및 흡수성 폴리머의 탈락이 없을 정도의 크기의 메쉬에 수납한다.
(4) 메쉬가 포함된 샘플 A의 질량을 측정하고, 미리 측정해 둔 건조 상태의 메쉬 자체의 질량(메쉬의 건조 질량)을 감산하여, 샘플 A의 건조 질량 Wd(g)을 취득한다.
(5) 메쉬가 포함된 샘플 A를 이온 교환수 중에 60분 침지하고, 원심 탈수기에 의한 탈수를 150 G의 원심력으로 2분간 행한다.
(6) 탈수 후의 샘플 A 및 메쉬의 합계 질량을 측정하고, 상기 합계 질량으로부터 메쉬의 건조 질량을 감산하여, 샘플 A와 메쉬의 합계 보수량 Ws(g)으로 한다.
(7) 메쉬에 관해서만 1. (5)∼(6)의 침지, 탈수, 질량 측정의 각 공정을 행하여, 메쉬 자체의 보수량 Wm(g)를 산출한다.
(8) 하기 계산식에 의해 샘플 A(흡수성 섬유 및 흡수성 폴리머)만의 보수율 Hall을 산출한다.
Figure pct00001
2. 흡수성 섬유만의 보수율 산출
(1) 동일한 흡수체의 측정 대상 부위를 잘라내고, 잘라낸 시료로부터 흡수성 섬유만을 취출하여 샘플 B로 한다.
(2) 샘플 B에 관해, 상기 1. (3)∼(8)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흡수성 섬유의 보수율 Hp를 산출한다.
3. 흡수성 폴리머만의 보수율 산출
(1) 동일한 흡수체의 측정 대상 부위를 잘라내고, 잘라낸 시료로부터 흡수성 폴리머만을 취출하여 샘플 C로 한다.
(2) 샘플 C에 관해, 상기 1. (3)∼(8)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흡수성 폴리머의 보수율 Hsap를 산출한다.
4.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흡수성 섬유+흡수성 폴리머의 질량)의 비율 산출
(1) 이하의 요령으로, 횡축을 보수율, 종축을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 함유율로 하는 검량선을 작성한다.
(2) 상기 2.에서 산출한 값에 관해, 흡수성 폴리머 비율 0%의 경우로 하여, 그래프 상에 (Hp, 0)을 플롯한다.
(3) 상기 3.에서 산출한 값에 관해, 흡수성 폴리머 비율 100%의 경우로 하여, 그래프 상에 (Hsap, 100)을 플롯한다.
(4) 상기 4. (2)∼(3)에서 플롯한 2점 사이를 연결하고, 일차 함수로 나타낸 검량선(Y=aX+b)을 작성한다.
(5) 상기 1. (8)에서 산출한 Hall을 검량선의 X에 대입하여, 측정 대상 부위 중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 함유율 Y(%)를 산출한다.
기초부에서의 오목부의 비피부면측에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에 포함되는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 함유율은, 기초부에서의 오목부의 비피부면측에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 이외의 부분에 포함되는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 함유율의 105%∼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초부에서의 오목부의 비피부면측에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에 포함되는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 함유율이, 기초부에서의 오목부의 비피부면측에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 이외의 부분에 포함되는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 함유율에 대하여, 105% 이상이면, 흡수체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에 의한 흡수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면서, 후술하는 흡수체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오목부(22)를 형성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오목부 자체가 흡수성 물품의 절곡 기점이 되어, 흡수성 물품을 보다 안정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한편, 기초부에서의 오목부의 비피부면측에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에 포함되는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 함유율이, 기초부에서의 오목부의 비피부면측에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 이외의 부분에 포함되는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 함유율에 대하여, 150% 이하이면, 흡수성 폴리머끼리 고착하기 어렵고, 흡수체의 흡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흡수성 폴리머가 피부면측에 나타나기 어려워, 부드러운 촉감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섬유 밀도의 고저에 관한 평가 및 섬유 밀도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또, 측정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샘플의 두께의 측정 방법에 관해서도, 섬유 밀도의 측정 방법의 공정 중에 있어서 설명한다.
1. 샘플의 X선 CT 화상의 취득
(1)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측정 대상 부위를 포함하는 샘플 D를 준비한다. 상기 샘플 D는, 흡수성 물품의 탄성 부재, 톱시트 및 백시트 등을 제거한, 흡수 코어와 코어랩을 포함하는 흡수체이며, 평면시에서 20×20 mm의 크기로 잘라낸 X선 CT 관측용 시험편이다.
또, 흡수성 물품이, 흡수체와 톱시트와 백시트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로서, 흡수체의 형상을 파괴하지 않고 톱시트와 백시트를 제거할 수 없는 경우는, 샘플 D는, 흡수성 물품의 탄성 부재를 제거한, 흡수 코어와 코어랩을 포함하는 흡수체와, 톱시트와, 백시트를 가지며, 평면시에서 20×20 mm의 크기로 잘라낸 X선 CT 관측용 시험편으로 한다.
(2) 하기 X선 CT 장치 및 화상 처리 소프트를 사용하여 상기 샘플 D를 단층 촬영함으로써, 그 두께 방향을 포함하는 내부 단면 사진을 BMP 형식으로 얻는다.
측정, 촬영 기기
삼차원 계측 X선 CT 장치 : TDM-1000-IS/SP(야마토 과학(주) 제조)
삼차원 볼륨 렌더링 소프트(화상 처리 소프트) : VG-Studio MAX(일본 비주얼 사이언스(주) 제조)
측정, 촬영 조건 : 관전압 30 kv, 관전류 30 ㎄, 화소수 1024 픽셀×1024 픽셀
또한, 시야 사이즈는 관측용 시험편의 외주가 들어가는 범위에서의 최대 배율로 한다.
2. 섬유 밀도의 고저의 평가
흡수체에서의 상이한 부위(예컨대, 오목부를 제외한 기초부와 볼록형부)의 섬유 밀도의 고저를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에는, 상기 부위를 포함하는 BMP 형식의 내부 단면 사진(XY 단면, YZ 단면, ZX 단면)을 상기 1. (1)의 방법에 따라서 취득하여, 육안으로 섬유 밀도의 상대 비교를 판정한다.
3. 샘플에서의 측정 대상 부위의 두께의 측정 방법
상기 1. (1)에서 얻은 BMP 형식의 내부 단면 사진 중, YZ 단면 또는 ZX 단면에 관해, 스칼라(주) 제조 화상 해석 소프트 USB 디지털 스케일을 사용하여 해석하여, 샘플에서의 측정 대상 부위의 두께(Z 방향의 길이)를 산출한다. 또, 샘플에서의 측정 대상 부위의 두께를 산출할 때에는, 상기 부위를 포함하는 상이한 5개소 이상에 관해 샘플을 잘라내고, BMP 형식의 내부 단면 사진을 취득하고, 동일한 순서로 각 샘플에서의 상기 부위의 두께를 산출하여, 그 평균치를 측정 대상 부위의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섬유 밀도의 산출
(1) X선 CT 촬영에 이용한 샘플 D로부터, 측정 대상 부위만이 포함되도록 샘플 E를 잘라낸다.
(2) 샘플 E에 관해서도 1. (1)과 동일한 요령으로 BMP 형식의 내부 단면 사진을 취득하고, 그 XY 단면에 관해, 스칼라(주) 제조 화상 해석 소프트 USB 디지털 스케일을 사용하여 해석하고, 샘플 E에서의 측정 대상 부위의 X 방향의 길이 및 Y 방향의 길이를 취득하여 이들의 길이의 곱을 계산함으로써, 샘플 E의 평면시에서의 단면적을 산출한다.
(3) 잘라낸 샘플 E의 전체 질량을 전자 천평(A&D사 제조 GR-300, 정밀도 : 소수점 이하 4자리)을 이용하여 그 질량을 측정한 후, 샘플 E 중에 포함되는 흡수 코어 이외의 부재(톱시트, 코어랩 등)를 제거하고 그 질량 We를 산출한다.
(4) 전술한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흡수성 섬유+흡수성 폴리머의 질량)의 비율의 산출 방법에 따라서, 흡수성 폴리머의 비율 Y(%)로부터 흡수성 섬유의 비율(100-Y)(%)을 산출하고, 질량 We에 곱하여 흡수성 섬유의 질량을 산출한다.
(5) 구한 흡수성 섬유의 질량을, 3.에서 얻은 두께와 4. (2)에서 얻은 단면적의 곱의 값으로 나눠 섬유 밀도를 산출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1)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재료 또는 제품의 반송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MD 방향」, 「MD 방향과 수평면 상에서 직교하는 방향」(즉, 제조 라인의 폭 방향)을 「CD 방향」, 「이들 MD 방향과 CD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즉, 제조 라인의 수직 방향)을 「TD 방향」이라고 각각 한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조 장치(50)는, 개섬된 흡수성 섬유(8a)나 흡수성 폴리머(8b)를 포함하는 흡수성 재료를 반송하는 반송관(51)과, 반송관(51) 내의 흡수성 재료를 흡인하여, 이들 흡수성 재료를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오목형의 형부재(53) 내에 적층시킴으로써, 후속 공정에 있어서 흡수체(4)의 흡수 코어(8)가 되는 제1 적층체(61)를 형성하는 회전 가능한 석션 드럼(5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조 장치(50)는, 석션 드럼(52)의 외주면에 있는 제1 적층체(61)를 재치하고, 이 제1 적층체(61)를 피복하는 길이가 긴 코어랩 연속체(62)를 풀어내어, 제1 적층체(61)를 코어랩 연속체(62)로 피복함으로써 제2 적층체(63)를 형성하는 코어랩 연속체용의 권출 롤(54)을 갖고 있다.
또한, 제조 장치(50)는, 제2 적층체(63)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여 압축시키는 상하(TD 방향) 한쌍의 프레스 롤(55a, 55b)을 구비한 프레스 장치(55)와, 이 프레스 장치(55)의 반송 방향(MD)의 하류에 위치하여, 프레스 장치(55)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형성된 제3 적층체(64(64a, 64b))의 소정의 위치를 압착하여 엠보스 가공을 하는 압착 장치(56)를 구비하고 있다.
압착 장치(56)는, 변형 유도부(11, 12)의 압착 영역(14, 15)을 형성하는 것이며, 상하(TD 방향) 한쌍의 롤(56a, 56b)을 갖고 있고, 한쪽의 롤(56a)(이 경우 상측의 롤)이, 압착 영역(14, 15)의 압착부(36, 37)의 형상이나 위치에 맞춰 배치된 복수의 엠보스 핀을 외주면에 구비하며 제3 적층체(64)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하는 엠보스 롤로 되어 있다. 또, 다른쪽의 롤(56b)(이 경우 하측의 롤)은, 외주면이 평탄한 앤빌 롤로 되어 있다.
또한, 제조 장치(50)는, 압착 장치(56)보다 반송 방향(MD)의 하류에는, 엠보스 가공을 한 후의 제4 적층체(65)의 일면(도 5의 경우 상면)에 대하여, 톱시트(2)가 되는 길이가 긴 톱시트 연속체(66)를 풀어내어 적층시키는 톱시트 연속체용의 권출 롤(57)을 갖고 있다.
또한, 제조 장치(50)는, 제4 적층체(65)에 톱시트 연속체(66)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제5 적층체(67)에서의 톱시트 연속체(66)와는 반대측의 면(도 5의 경우 하면)에 대하여, 백시트(3)가 되는 길이가 긴 백시트 연속체(68)를 풀어내어 접합시켜, 제6 적층체(69)를 형성하는 백시트 연속체용의 권출 롤(58)을 갖고 있다.
또, 백시트 연속체용의 권출 롤(58)보다 반송 방향(MD)의 하류에는, 적층체(69)를 제품으로서의 일회용 기저귀(1)의 형상으로 절단하여 단체의 일회용 기저귀(1)로 하는 절단 장치(도시하지 않음)나, 제6 적층체(69)에 사이드시트(5, 5)나 테이프 패스너(6)를 압착(壓着)하는 각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지만, 이들은 당업계에서 알려져 있는 통상의 장치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제조 장치(50)를 이용하여 일회용 기저귀(1)를 제조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제1 적층체(61)를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코어랩 연속체(62)에 의해 제1 적층체(61)를 피복하여 제2 적층체(63)로 하는 제2 공정과, 제2 적층체(63)를 프레스 장치(55)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제3 적층체(64)로 하는 제3 공정과, 제3 적층체(64)의 소정의 위치를 압착 장치(56)에 의해 압착하여 엠보스 가공을 하여 제4 적층체(65)로 하는 제4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또한, 제4 적층체(65)에 톱시트 연속체(66)를 적층하여 제5 적층체(67)로 하는 제5 공정과, 제5 적층체(67)에 백시트 연속체(68)를 접합하여 제6 적층체(69)로 하는 제6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우선, 최종적으로 흡수체(4)의 흡수 코어(8)를 구성하게 되는 제1 적층체(61)를 형성하는 상기 제1 공정을 실시한다.
이 제1 공정은, 흡수성 섬유(8a)나 흡수성 폴리머(8b)를 포함하는 흡수성 재료를, 반송관(51)을 통하여 석션 드럼(52)에 의해 흡인하여, 그 석션 드럼(52)의 외주면의 형부재(53) 내에 적층시켜 제1 적층체(61)를 형성한다.
이 때,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재료는 상방으로부터 형부재(53) 내에 공급되지만, 형부재(53)는, 그 바닥부에 석션 드럼(52)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이 사각형인 한쌍의 돌기부(53a, 53b)를 구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돌기부(53a, 53b)는 각각 단면이, 상저(흡수성 재료(8a, 8b)가 공급되는 쪽)가 짧고 하저가 긴, 즉, 선단으로 갈수록 끝이 가늘어지는 사다리꼴을 갖고 있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를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53a, 53b)의 각각의 측면은, 비교적 급한 구배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들 한쌍의 돌기부(53a, 53b)는, 흡수체(4)의 한쌍의 변형 유도부(11, 12)의 위치에 적응하는 위치에, 한쌍의 변형 유도부(11, 12)의 길이 방향의 형상 및 폭에 적응하는 길이 방향의 형상 및 폭을 가진 양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형부재(53)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TD 방향의 도 5에서의 상방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CD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CD 방향의 중앙부측으로 연장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석션 드럼(52)의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3쌍)의 절결부 형성용의 돌기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흡수성 재료가 형부재(53) 내에 공급되면, 흡수성 섬유(8a)는 경량이며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한쌍의 돌기부(53a, 53b)에 충돌하더라도 반동하기 어려워, 형부재(53) 내에 거의 균등하게 퇴적된다.
한편, 흡수성 폴리머(8b)는, 흡수성 재료가 형부재(53) 내에 공급되기 시작한 단계에서는, 돌기부(53a, 53b)의 선단면에 충돌하고 반동하여 그 충돌한 위치에 머무르지 않고 이동하고, 최종적으로는 돌기부(53a, 53b) 이외의 부분의 바닥부(53c)에 도달하여 퇴적되게 된다. 이것은, 흡수성 폴리머(8b)가, 통상 입상(粒狀)일 뿐만 아니라, 흡수성 폴리머 1개당의 질량이 비교적 크고, 또한 석션 드럼(52)의 흡인에도 기인하여, 흡수성 폴리머(8b) 자체의 운동 에너지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돌기부(53a, 53b)의 선단면에 충돌했을 때에는 반동하기 쉬워, 충돌한 위치에 머무르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 흡수성 재료가 형부재(53) 내에 공급되기 시작하여 어느 정도 경과하면, 흡수성 섬유(8a)가 돌기부(53a, 53b) 상에도 퇴적되어, 흡수성 폴리머(8b)가 충돌하더라도 흡수성 섬유(8a)의 유연성에 의해 그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흡수성 폴리머(8b)가 반동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는, 흡수성 재료가 형부재(53) 내에 거의 평균적으로 퇴적되게 된다.
그 때문에,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적층체(61)에는, 폭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8b)의 흡수체(4)에 대한 질량 함유율(%)이 상이한 부분이 복수 존재하게 된다.
즉, 형부재(53) 내에 있어서 한쌍의 돌기부(53a, 53b)의 바로 위에 해당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돌기부(53a, 53b)에 충돌하여 흡수성 폴리머(8b)가 이동한 분만큼 흡수성 폴리머의 함유율이 가장 낮아, 저함유율의 영역(71, 72)이 된다. 반대로 한쌍의 돌기부(53a, 53b)의 측벽 부분을 따르는 부분이나 그 근방의 부분에 관해서는, 이동해 온 흡수성 폴리머(8b)가 존재하는 분만큼, 흡수성 폴리머의 함유율이 가장 높아, 고함유율의 영역(73∼76)이 된다. 또한, 형부재(53) 내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8b)가 한쌍의 돌기부(53a, 53b)의 영향을 받지 않는 부분에 관해서는, 흡수성 폴리머(8b)는 균등하게 퇴적되기 때문에 함유율은 통상의 높이, 즉, 함유율이 고함유율인 영역(73∼76b)보다 낮고 또한 저함유율인 영역(71, 72)보다 높은 중함유율의 영역(77∼79)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형부재(53) 내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도 6의 (b)에서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흡수성 폴리머의 중함유율의 영역(77), 고함유율의 영역(73), 저함유율의 영역(71), 고함유율의 영역(74), 중함유율의 영역(78), 고함유율의 영역(75), 저함유율의 영역(72), 고함유율의 영역(76), 중함유율의 영역(79)이 순서대로 나열된 상태가 된다. 특히, 흡수성 폴리머의 저함유율의 영역(71(72))은, 2개의 고함유율의 영역(73, 74(75, 76))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제1 적층체(61)는, 전술한 절결부 형성용의 돌기부에 의해 형성되며 폭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단부 가장자리의 일부가 절결되어 이루어진 3쌍의 절결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공정 후, 형부재(53) 내의 제1 적층체(61)를, 석션 드럼(52)의 회전에 의해,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통한 상태로 코어랩 연속체(62) 상에 놓고, 이 코어랩 연속체(62)에 의해 제1 적층체(61)의 외주면을 피복하여 제2 적층체(63)로 하는 상기 제2 공정을 행한다.
이 제2 공정은 우선, 회전한 석션 드럼(52)이 형부재(53) 내의 제1 적층체(61)를, 코어랩 연속체용의 권출 롤(54)로부터 풀어내어 반송 방향(MD)으로 이동하고 있는 코어랩 연속체(62) 상에 전사하여 놓는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절곡 수단에 의해 코어랩 연속체(62)를 제1 적층체(61)의 외주면을 따라서, 반송 방향(MD)과 직교하는 폭 방향(CD)으로 절곡하고, 코어랩 연속체(62)를 제1 적층체(61)에 감는 것에 의해 피복하여, 길이가 긴 제2 적층체(63)로 한다.
상기 제2 공정의 종료 후, 제2 적층체(63)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제3 적층체(64)로 하는 상기 제3 공정을 실시한다.
이 제3 공정에 있어서는, 프레스 장치(55)의 한쌍의 프레스 롤(55a, 55b) 사이에 제2 적층체(63)를 통과시킴으로써, 도 7의 (a)에 나타낸 제2 적층체(63)를 두께 방향(TD)으로 압축한다. 이 때,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적층체(61)에 있어서, 폭 방향에 대하여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 함유율이 상이한 부분도 그대로 두께 방향(TD)으로 압축되고, 제1 적층체(61)의 폭 방향으로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 함유율이 상이한 상태가 유지된 제3 적층체(64a)가 형성된다.
제3 적층체(64a)에서는, 흡수성 폴리머(8b)는, 압축시에 흡수성 폴리머(8b)가 주위의 흡수성 섬유(8a) 사이의 간극에 들어가기 때문에, 제2 적층체(63)(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적층체(61))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8b)가 존재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프레스 장치(55)에 의한 가압에 의해 눌려서 딱딱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제2 적층체(63)가 프레스 장치(55)를 통과한 직후의 제3 적층체(64a)가, 어느 정도 두께가 회복된 상태가 제3 적층체(64b)가 된다.
즉, 제2 적층체(63)는, 흡수성 섬유(8a)의 유연성에 의해서도, 프레스 장치(55)를 통과 후에 어느 정도 두께가 회복되지만,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폴리머가 고함유율인 영역(73∼76)에 관해서는, 흡수성 섬유(8a) 사이의 간극에 들어가는 흡수성 폴리머(8b)의 양이 많기 때문에, 가압에 의해 눌려서 딱딱해져 두께를 회복하기 어렵다. 또한, 흡수성 폴리머가 중함유율인 영역(77∼79)에 관해서는, 흡수성 섬유(8a) 사이의 간극에 들어가는 흡수성 폴리머(8b)의 양이 고함유율인 영역(73∼76)보다 적기 때문에, 고함유율인 영역(73∼76)에 비교해서 두께가 회복된다. 또한, 흡수성 폴리머가 저함유율인 영역(71, 72)에 관해서는, 흡수성 섬유(8a) 사이의 간극은 들어가는 흡수성 폴리머(8b)의 양이 매우 적고, 반대로 유연한 흡수성 섬유(8a)가 많기 때문에, 가압하더라도 그다지 딱딱해지지 않아, 중함유율인 영역(77∼79)과 비교하더라도 두께가 크게 회복된다.
그 결과,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폴리머가 고함유율인 영역(73∼76)에 관해서는 두께가 회복되지 않고, 흡수체(4)의 기초부(13)의 오목부(22)에 해당하는 부분(83∼86)을 형성한다. 이 흡수성 폴리머의 고함유율의 영역은 4개소 있기 때문에, 오목부(22)에 해당하는 부분도 4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이 흡수성 폴리머의 고함유율의 영역(73∼76)에 인접하는 저함유율의 영역(71, 72)에 관해서는, 백시트측에 비교해서 유연성이 높고 변형되기 쉬운 톱시트측의 방향, 즉 상면측으로 두께가 회복되어, 상면측으로 완만하게 돌출된 돌출부(81, 82)를 형성한다. 이들 돌출부(81, 82)는, 전체적으로 변형 유도부(11, 12)에 해당하는 부분이 된다. 또, 이 흡수성 폴리머의 저함유율의 영역은 2개소 있기 때문에, 돌출부도 2개 형성되게 된다. 또한, 흡수성 폴리머가 중함유율인 영역(77∼79)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두께가 회복되어, 흡수체(4)의 기초부(13)에서의 오목부(22) 이외의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87∼89)이 된다. 이 흡수성 폴리머의 중함유율의 영역은 3개소 있기 때문에, 기초부(13)에서의 오목부 이외의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은 3개 형성되게 된다.
최종적으로, 흡수체의 기초부의 오목부에 해당하는 부분(83∼86), 돌출부(81, 82), 기초부에서의 오목부 이외의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87∼89)이 형성된 상태가 제3 적층체(64b)가 된다.
상기 제3 공정의 종료 후, 압착 장치(56)에 의해 제3 적층체(64b)의 소정의 위치,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 적층체(64b)의 돌출부(81, 82)를 압착하여 엠보스 가공을 하여 제4 적층체(65)로 하는 상기 제4 공정을 실시한다.
이 제4 공정은, 압착 장치(56)의 상하 한쌍의 롤(56a, 56b) 사이에 제3 적층체(64b)를 통과시킴으로써, 이 제3 적층체(64b)의 돌출부(81, 82)를 두께 방향(TD)으로 압착한다. 이 때, 압착 장치(56)의 상측의 롤(56a)인 엠보스 롤의 엠보스 핀이 제3 적층체(64b)의 돌출부(81, 82)를 두께 방향(TD)으로 순차적으로 압착한다. 이 돌출부(81, 82)의 압착 부분이, 흡수체(4)의 압착 영역(14, 15), 더욱 구체적으로는 압착부(36, 37)에 해당하는 부분이 된다. 또한, 돌출부(81, 82)에 있어서 압착 부분의 길이 방향의 양측 부분은 압착되지 않고, 흡수체(4)의 볼록형부(16∼19)에 해당하는 부분이 된다.
이에 따라, 제4 적층체(65)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4 공정 종료 후, 제4 적층체(65)의 상면에,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통해, 톱시트 연속체용의 권출 롤(57)로부터 풀어낸 톱시트 연속체(66)를 적층하여 길이가 긴 제5 적층체(67)로 하는 상기 제5 공정을 행한다.
또한, 상기 제5 공정의 종료 후, 제5 적층체(67)의 하면에,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통해, 백시트 연속체용의 권출 롤(58)로부터 풀어낸 백시트 연속체(68)를 접합하여, 길이가 긴 제6 적층체(69)로 하는 상기 제6 공정을 행한다. 또, 이 제6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제6 적층체(69)의 단면(단부면) 형상은, 도 4에 나타내는 양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6 공정 종료 후, 절단 장치에 의해 제6 적층체(69)를 일회용 기저귀(1)의 형상으로 절단한다.
그 결과, 흡수체(4)가, 변형 유도부(11, 12)와 그 변형 유도부(11, 12)의 양측에 배치된 기초부(13)를 가지며, 변형 유도부(11, 12)가 압착 영역(14, 15)과, 그 압착 영역(14, 15)의 양측의 볼록형부(16, 17, 18, 19)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1)가 완성되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1)는, 변형 유도부(11, 12)의 압착 영역(14, 15)과 볼록형부(16∼19)의 각각의 경계 부분이 흡수체의 강성차에 의해 절곡 기점이 되기 때문에, 흡수체(4), 나아가 일회용 기저귀(1) 전체를 사용자의 몸의 입체 형상에 맞춰 안정적으로 변형 유도시킬 수 있다. 또한, 변형 유도부(11, 12)의 압착 영역(14, 15)이 연장되는 방향의 양측에, 기초부(13)보다 섬유 밀도가 낮고 비교적 부드러운 볼록형부(16, 17, 18, 19)가 피부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톱시트(2)를 통해 변형 유도부(11, 12)에 닿았다 하더라도, 볼록형부(16, 17, 18, 19)의 부드러움을 느끼기 쉽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가 비피부면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변형되면, 볼록형부(16, 17)끼리 그리고 볼록형부(18, 19)끼리 각각 근접하는 것에 의해, 압착에 의해 딱딱함이 증가한 압착 영역(14, 15)을 각각 덮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부면이 일회용 기저귀(1)의 표면에 닿았을 때에, 톱시트(2)를 통해 압착 영역(14, 15)의 딱딱함을 느끼기 어렵다. 그 결과, 일회용 기저귀(1)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촉감을 확보할 수 있어, 우수한 장착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체(4)의 기초부(13)에 오목부(22)를 구비했지만,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의 흡수체에는 오목부에 해당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일회용 기저귀(101)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일회용 기저귀(101)의 흡수체(102)는, 전체적으로 일회용 기저귀(10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변형 유도부(103, 104)와, 그 변형 유도부(103, 104)의 양측에 배치된 기초부(105)를 갖고 있다. 또한, 변형 유도부(103, 104)는, 변형 유도부(103, 104)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흡수체(102)가 두께 방향으로 압착된 부분, 즉 압밀화된 압착 영역(106, 107)과, 그 압착 영역(106, 107)의 양측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압착 영역(106, 107)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기초부(105)로부터 피부면측으로 돌출된 볼록형부(108∼111)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제2 실시형태에서의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일회용 기저귀(101)는, 흡수체(102)의 구조 외에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흡수체(102)에서의 변형 유도부(103, 10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수성 폴리머가 거의 포함되지 않은 점 외에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 유도부(11, 12)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며,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이 변형 유도부(103, 104)를 구성하는 압착 영역(106, 107)(제1 실시형태의 압착 영역(14, 15)에 해당), 볼록형부(108∼111)(제1 실시형태의 볼록형부(16∼19)에 해당)를 포함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초부(105)는, 피부면측의 표면 전체가 거의 평탄형의 면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거의 일정한 두께로 되어 있다. 따라서, 기초부(105)에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오목부(22)에 해당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기초부(105)는, 피부면측의 표면 전체가 평탄형이므로, 이 기초부(105)가 톱시트(2)를 통해 피부에 닿았을 때의 요철감이 거의 없어, 피부에 피트되기 쉽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흡수체(102)는, 흡수 코어(102a)와 이 흡수 코어(102a)를 피복하는 코어랩(102b)을 갖고 있다. 흡수 코어(102a)에는 흡수성 폴리머를 거의 포함하지 않고, 기본적으로 펄프 등의 흡수성 섬유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성 폴리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비교하여, 흡수성 폴리머보다 부드러운 흡수성 섬유(8a)가 많이 포함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기초부(105) 전체의 부드러움이 향상되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101)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한다.
즉,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1)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조 장치(120)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의 제조에 이용한 제조 장치(50)가, 프레스 장치의 부분이 상이하여, 그 프레스 장치 대신에, 대상물을 소정의 형상으로 부형하는 부형 장치(121)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부형 장치(121)보다 반송 방향(MD)의 상류에는, 부형하는 대상물인 후술하는 제2 적층체(132)에 대하여 물 등의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 장치(122)가 설치되어 있다.
부형 장치(121)는, 상하 한쌍의 롤(123, 124)을 구비하고 있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측의 롤(123)은 부형 롤이며, 그 외주면에, 압착 영역(106, 107)을 형성하기 전의 변형 유도부(103, 104)에 해당하는 부분인 한쌍의 돌출부(137, 138)(제1 실시형태의 돌출부(81, 82)에 해당)를 부형하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홈부(123a, 123b)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한쌍의 홈부(123a, 123b)는, 변형 유도부(103, 104)의 위치에 적합한 위치에, 이들 변형 유도부(103, 104)에 적합한 길이 방향의 형상 및 폭을 가진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하방측의 롤(124)은, 외주면이 평탄한 앤빌 롤이다. 그리고, 이들 한쌍의 롤(123, 124) 사이에 대상물인 제2 적층체(132)를 통과시킴으로써, 제2 적층체(132)의 한쪽 면(이 경우 상면)에 한쌍의 돌출부(137, 138)를 각각 부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부형 장치(121)는, 롤(123, 124)을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제2 적층체(132)를 가열하면서 부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체(102)에 흡수성 폴리머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관(51)을 통하여 석션 드럼(52)에 공급되는 흡수성 재료는, 기본적으로 개섬된 흡수성 섬유(8a)뿐이다. 또한, 석션 드럼(52)의 형부재(125)에는, 제1 실시형태의 형부재(53)의 돌기부(53a, 53b)에 해당하는 것이 없고, 형부재(125)는 평탄한 바닥부를 가진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형부재(125) 내에 적층되는 후술하는 제1 적층체(131)는 대략 직방체형으로 형성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장치(120)의 석션 드럼의 형부재(125), 및 부형 장치(121)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장치(50)와 동일하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제조 장치(120)를 이용하여 일회용 기저귀(101)를 제조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제1 적층체(131)를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코어랩 연속체(62)에 의해 제1 적층체(131)를 피복하여 제2 적층체(132)를 형성하는 제2 공정과, 제2 적층체(132)를 부형 장치(121)에 의해 부형하여 제3 적층체(133)로 하는 제3 공정과, 제3 적층체(133)의 소정의 위치를 압착 장치(56)에 의해 압착하여 엠보스 가공을 하여 제4 적층체(134)로 하는 제4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또한, 제4 적층체(134)에 톱시트 연속체(66)를 적층하여 제5 적층체(135)로 하는 제5 공정과, 제5 적층체(135)에 백시트 연속체(68)를 접합하여 제6 적층체(136)로 하는 제6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제1 공정에 관해서는, 반송관(51)을 통하여 석션 드럼(52)에 공급되는 흡수성 재료가 개섬된 흡수성 섬유(8a)이기 때문에, 이 제1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적층체(131)는, 전체적으로 거의 균일한 평량의 흡수성 섬유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그 밖의 점에 관해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 공정에 관해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3 공정은, 상기 제2 공정에 의해 형성된,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2 적층체(132), 즉 흡수성 섬유(8a)에 의해 형성된 제1 적층체(131)와, 제1 적층체(131)를 피복한 코어랩 연속체(62)로 구성된 것을 부형하여, 제3 적층체(133)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수분 공급 장치(122)에 의해 제2 적층체(132)에 물 등을 분사하여 흡수성 섬유(8a)를 적신 후, 그 적신 제2 적층체(132)를 부형 장치(121)에 있어서 가열한 한쌍의 롤(123, 124) 사이에 통과시켜 한쌍의 돌출부(137, 138)를 형성한다. 즉, 적신 제2 적층체(132)를 가열한 한쌍의 롤 사이에 통과시킴으로써, 제1 적층체(131)를 형성하고 있는 흡수성 섬유(8a) 중 인접하는 것끼리 수소 결합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상방측에 위치하는 롤(123)의 한쌍의 홈부(123a, 123b)의 형상에 맞춰, 상방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137, 138)가 형성된 상태로 부형되게 된다. 또, 한쌍의 홈부(123a, 123b) 이외의 부분에 의해 부형된 부분은, 흡수체(102)의 기초부(105)에 해당하는 부분이 된다.
그 결과,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체(102)의 기초부(105)에 해당하는 부분, 및 돌출부(137, 138)가 부형된 상태의 제3 적층체(133)가 형성되게 된다.
또, 상기 제4∼6 공정에 관해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이 제6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제6 적층체(136)의 단면(단부면) 형상은, 도 9에 나타내는 양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6 공정 종료 후, 절단 장치에 의해 압착 후의 제6 적층체(136)를 일회용 기저귀(101)의 형상으로 절단한다. 이에 따라, 흡수체(102)가, 변형 유도부(103, 104)와 그 변형 유도부(103, 104)의 양측에 배치된 기초부(105)를 가지며, 변형 유도부(103, 104)가 압착 영역(106, 107)과, 그 압착 영역(106, 107)의 양측의 볼록형부(108∼111)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101)가 완성되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101)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단, 흡수체(102)가 흡수성 섬유(8a)만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폴리머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교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상의 감촉을 느끼기 어렵고, 또한 흡수성 섬유(8a)에 의해 유연한 촉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압착부(36, 37)가, 흡수 코어와 코어랩을 압착함으로써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착부는, 흡수 코어 및 코어랩과 함께 톱시트도, 톱시트측으로부터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톱시트측의 면은, 압착부에 의해 비피부면측, 즉 백시트측으로 움푹 팬 부분이 나타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톱시트가 볼록형부의 돌출 형상에 맞춰, 그 볼록형부의 피부면측의 외면을 따라서 밀착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외력에 의해 톱시트와 볼록형부가 거의 동시에 변형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볼록형부는, 톱시트의 두께만큼 돌출 높이가 높아지기 때문에, 피부가 압착 영역, 특히 압착부에 접촉할 기회를 보다 적게 할 수 있음과 함께, 흡수성 물품이 비피부면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변형되면, 상기 볼록형부끼리 근접하는 것에 의해, 압착에 의해 딱딱함이 증가한 압착 영역을 덮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부면이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 닿았을 때에, 톱시트(2) 상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닿았다 하더라도, 압착 영역의 딱딱함을 느끼기 어렵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흡수 코어(8)가 흡수성 섬유(8a)와 흡수성 폴리머(8b)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기초부가 오목부(22)를 포함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흡수 코어가 흡수성 섬유와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2 실시형태와 같이, 흡수 코어(102a)가 흡수성 섬유(8a)만으로 이루어진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초부가 오목부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기초부가 오목부를 갖지 않는 구성을 갖는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형부재의 돌기부의 측면이, 제1 실시형태에서의 형부재의 돌기부의 측면에 비교해서 완만한 구배를 갖고 있다. 이 경우, 형부재의 상저로부터 반동한 흡수성 폴리머가, 바닥부에 도달할 때까지, 형부재의 측변에 다시 충돌하여 반동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돌기부의 측변의 구배가 급한 경우와 비교하여, 흡수성 폴리머가, 형부재의 바닥부에 있어서 보다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압축 공정 후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두께의 회복과 오목부 이외의 기초부의 두께의 회복에 차이가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오목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형성되기 어렵다.
또한, 형부재의 측변의 구배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오목부의 비피부면측에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에 포함되는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 함유율이 원하는 값이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변형 유도부(11, 12, 103, 104)가, 흡수체(4, 102)의 길이 방향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또한 서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지만, 변형 유도부는 1개이어도 좋다.
또한, 변형 유도부(11, 12, 103, 104)는, 압착 영역(14, 15, 106, 107)이 변형 유도부(11, 12, 103, 104)의 폭 방향의 거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어 있지만, 볼록형부가 압착 영역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확실하게 형성되면, 압착 영역은 변형 유도부의 폭 방향의 중심 부분 이외의 부분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하나의 변형 유도부에 있어서는, 도면 상에서 상기 볼록형부는 거의 동일한 돌출 높이로 되어 있지만, 돌출부의 높이는 상이해도 좋다. 또 다른 변형 유도부의 볼록형부와도 상이한 돌출 높이이어도 좋다. 또한, 변형 유도부의 평면시 형상(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형상)도 도면 상의 형상과 상이한 형상이어도 좋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압착 영역(14, 15, 106, 107)이, 간헐적이고 직렬적으로 설치된 압착부와, 인접하는 압착부 사이의 피압착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압착 영역은 압착된 부분, 즉 압밀화된 부분이 압착 영역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일회용 기저귀의 예에 관해 설명했지만, 흡수성 물품으로는, 생리대, 요실금 패드(팬티라이너) 등의 각종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1, 101 : 일회용 기저귀(흡수성 물품)
2 : 톱시트
3 : 백시트
4, 102 : 흡수체
8a : 흡수성 섬유
8b : 흡수성 폴리머
11, 12, 103, 104 : 변형 유도부
13, 105 : 기초부
14, 15, 106, 107 : 압착 영역
16∼19, 108∼111 : 볼록형부
22 : 오목부
36, 37 : 압착부
38, 39 : 비압착부

Claims (8)

  1.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며, 적어도 흡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가,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된 변형 유도부와, 그 변형 유도부의 양측에 배치된 기초부를 가지며,
    상기 변형 유도부가,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흡수체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밀화한 압착 영역과, 그 압착 영역의 양측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초부로부터 피부면측으로 돌출된 볼록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형부의 섬유 밀도가 상기 기초부의 섬유 밀도보다 낮은 상기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이 상기 길이 방향이며, 상기 흡수체가, 상기 흡수체의 폭 방향 중앙 축선을 사이에 두고, 또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변형 유도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가,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며 또한 적어도 상기 흡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의 외주면을 덮는 코어랩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 코어가,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 중앙 축선을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 한쌍의 절결부의, 상기 폭 방향 중앙 축선에 가장 가까운 부분끼리를 연결하는 절곡 유도선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변형 유도부가,
    적어도, 복수개의 상기 절곡 유도선 중의 상기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가장 가까운 절곡 유도선으로부터, 복수개의 상기 절곡 유도선 중의 상기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의 타단에 가장 가까운 절곡 유도선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영역의 폭이 상기 변형 유도부의 폭의 1/2 이하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영역이,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간헐적이고 또한 직렬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압착부와, 인접하는 상기 압착부 사이의 비압착부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가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변형 유도부에 포함되는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이, 상기 기초부에 포함되는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보다 낮은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가, 상기 볼록형부에 인접하고 또한 그 볼록형부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설치된, 비피부면측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가 상기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기초부에서의 오목부의 비피부면측에 상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에 포함되는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 함유율이, 상기 기초부에서의 상기 오목부의 비피부면측에 상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 이외의 부분에 포함되는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 함유율보다 높은 흡수성 물품.
KR1020187006392A 2015-09-07 2016-07-01 흡수성 물품 KR102592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76177A JP6091569B1 (ja) 2015-09-07 2015-09-07 吸収性物品
JPJP-P-2015-176177 2015-09-07
PCT/JP2016/069714 WO2017043162A1 (ja) 2015-09-07 2016-07-01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657A true KR20180050657A (ko) 2018-05-15
KR102592805B1 KR102592805B1 (ko) 2023-10-20

Family

ID=5824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392A KR102592805B1 (ko) 2015-09-07 2016-07-01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32961B2 (ko)
EP (1) EP3329890B1 (ko)
JP (1) JP6091569B1 (ko)
KR (1) KR102592805B1 (ko)
CN (1) CN107949361B (ko)
WO (1) WO20170431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07193B2 (ja) * 2017-03-30 2019-04-2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IT201800002181A1 (it) * 2018-01-30 2019-07-30 Gdm Spa Apparato e metodo di formatura di una imbottitura assorbente
US20210077319A1 (en) * 2018-02-18 2021-03-18 Ontex Bvba Absorbent core, articles comprising said core, and methods of making
JP6605064B2 (ja) * 2018-03-23 2019-11-1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220354711A1 (en) * 2019-07-19 2022-11-10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WO2021015657A1 (en) * 2019-07-19 2021-01-28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core comprising alternating high density and low density areas of absorbent material
JP2021083543A (ja) * 2019-11-26 2021-06-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217186765U (zh) * 2021-01-26 2022-08-16 王子控股株式会社 吸收性物品的制造装置及吸收性物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3839A (ja) 2009-03-31 2010-10-21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KR20110021812A (ko) * 2008-05-15 2011-03-04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WO2011118842A1 (en) * 2010-03-23 2011-09-29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2014136126A (ja) 2013-01-18 2014-07-28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US20150065975A1 (en) * 2013-08-27 2015-03-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WO2015068718A1 (ja) * 2013-11-05 2015-05-1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2521A (en) * 1986-04-11 1988-08-09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garment with quilted and conformable absorbent pad
US5128193A (en) * 1990-01-16 1992-07-07 Chicopee Absorbent fibrous structure
US5817271A (en) * 1996-12-18 1998-10-06 Congleton; Stephen D. Altering the surfaces of functional absorbent materials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JP2000135239A (ja) * 1998-10-30 2000-05-16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JP3616728B2 (ja) * 1999-01-19 2005-02-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
US7686790B2 (en) * 2003-03-04 2010-03-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linear, undulating perimeter embossing in an absorbent article
US8211815B2 (en) * 2003-06-13 2012-07-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structure having three-dimensional topography on upper and lower surfaces
JP5132264B2 (ja) * 2007-11-07 2013-01-3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802917B2 (en) * 2008-05-28 2014-08-12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and sanitary napkin
JP5649313B2 (ja) 2010-02-26 2015-0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755856B2 (ja) * 2010-09-01 2015-07-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2120707A (ja) * 2010-12-08 2012-06-28 Kao Corp 吸収性物品
JP5651555B2 (ja) * 2011-08-02 2015-0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858859B2 (ja) * 2012-04-20 2016-02-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用の不織布および吸収性物品
JP6159121B2 (ja) * 2013-03-29 2017-07-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080263B2 (ja) * 2013-11-20 2017-02-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57297B2 (ja) * 2013-12-11 2018-01-1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082689B1 (en) * 2013-12-20 2020-05-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pads comprising zones of differential absorbent capacit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1812A (ko) * 2008-05-15 2011-03-04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JP2010233839A (ja) 2009-03-31 2010-10-21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WO2011118842A1 (en) * 2010-03-23 2011-09-29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2014136126A (ja) 2013-01-18 2014-07-28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US20150065975A1 (en) * 2013-08-27 2015-03-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WO2015068718A1 (ja) * 2013-11-05 2015-05-1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49361B (zh) 2020-12-04
JP2017051293A (ja) 2017-03-16
US10932961B2 (en) 2021-03-02
EP3329890B1 (en) 2019-01-09
EP3329890A1 (en) 2018-06-06
EP3329890A4 (en) 2018-06-06
WO2017043162A1 (ja) 2017-03-16
JP6091569B1 (ja) 2017-03-08
KR102592805B1 (ko) 2023-10-20
US20190038480A1 (en) 2019-02-07
CN107949361A (zh) 201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0657A (ko) 흡수성 물품
JP5329930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03105B1 (ko) 흡수성 물품
TWI491384B (zh) Absorbent articl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EP2589357A1 (en) Thin absorbent article
KR100699190B1 (ko) 사용시에 변형이 억제될 수 있는 얇은 생리대
JP6030930B2 (ja) 吸収性物品
TWI603722B (zh) Absorbent article
JPH11514054A (ja) 低粘度及び中間低粘度の糞便のための改善された使用時蓄積容量を有する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08149156A (ja)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33223B2 (ja) 吸収性物品
JP6755334B2 (ja) 吸収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収性物品
RU2568863C2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JP2012120584A (ja) 吸収性物品
JP6067349B2 (ja) 吸収性物品
CN113194900A (zh) 三维非织造材料及其制造方法
JP6819271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2006043155A (ja) 吸収性物品
JP2004202890A (ja) 立体シート材料
JP6646441B2 (ja) 吸収性物品
JP7126430B2 (ja) 吸収性物品
US20230381035A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flex bond channel regions
JP6760038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4518859B2 (ja) 吸収性物品
JP6591279B2 (ja) 吸収性物品、吸収性物品の包装構造体及び吸収性物品の包装構造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