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297A - 리모트 기기 및 리모트 기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리모트 기기 및 리모트 기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297A
KR20180050297A KR1020187004067A KR20187004067A KR20180050297A KR 20180050297 A KR20180050297 A KR 20180050297A KR 1020187004067 A KR1020187004067 A KR 1020187004067A KR 20187004067 A KR20187004067 A KR 20187004067A KR 20180050297 A KR20180050297 A KR 20180050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receiving
remote device
remot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마사 가네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50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6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through light guides, e.g. optical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0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for infrared and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2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 G02B6/1228Tapered waveguides, e.g. integrated spot-size transform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60Receivers
    • H04B10/66Non-coherent receivers, e.g. using direct detection
    • H04B10/67Optical arrangements in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Lens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리모트 기기는, 광을 투과하는 복수의 구멍부를 가지며, 구멍부의 주위는 광을 차단하는 구조로 된 외장과, 외장의 내부에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광학식 리모컨의 신호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수광부와 외장의 표면 사이에 설치되고, 외장에 있어서의 2개 이상의 구멍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에 입사된 신호광을 수광부로 유도하는 도광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리모트 기기 및 리모트 기기 시스템
본 개시는, 광학식의 리모컨(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조작되는 리모트 기기 및 리모트 기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을 사용한 광학식의 리모트 기기 시스템은, 광학식의 리모컨과, 그것에 의해 조작되는 장치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리모컨에는, 신호광으로서 적외선을 투광하는 발광체가 설치된다. 장치 본체에는, 신호광을 수광하는 수광부가 설치된다. 수광부는, 장치 본체에 있어서의 외장이나 그 밖의 구조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외장의 내측에 수광부를 설치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는, 펀칭 구멍이 뚫린 스피커 그릴의 내측에 수광부를 설치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2030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87424호 공보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외장 또는 스피커 그릴에 있어서의 하나의 개구부로부터만 신호광을 수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근년, 신호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리모컨에 대응하는 리모트 기기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수광하는 구조의 경우, 복수의 신호 주파수 대역의 각각에 대해, 신호 검출 가능한 거리나 각도 범위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외장 내부에 수광부를 배치하면서, 광학식 리모컨의 수광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리모트 기기 및 리모트 기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기기는, 광을 투과하는 복수의 구멍부를 가지며, 구멍부의 주위는 광을 차단하는 구조로 된 외장과, 외장 내부에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광학식 리모컨의 신호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수광부와 외장의 표면 사이에 설치되고, 외장에 있어서의 2개 이상의 구멍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에 입사된 신호광을 수광부로 유도하는 도광부를 구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기기 시스템은, 제1 광학식 리모컨에 의해 조작되는 제1 리모트 기기와, 제1 리모트 기기를 통해, 제1 광학식 리모컨과는 신호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제2 광학식 리모컨에 의해 조작되는 제2 리모트 기기를 포함하고, 제1 리모트 기기가, 광을 투과하는 복수의 구멍부를 가지며, 구멍부의 주위는 광을 차단하는 구조로 된 외장과, 외장 내부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광학식 리모컨의 신호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수광부와 외장의 표면 사이에 설치되며, 외장에 있어서의 2개 이상의 구멍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에 입사된 신호광을 수광부로 유도하는 도광부를 구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기기 또는 리모트 기기 시스템에서는, 외장에 있어서의 2개 이상의 구멍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에 입사된 신호광이, 수광부와 외장의 표면 사이에 설치된 도광부에 의해 수광부로 유도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기기 또는 리모트 기기 시스템에 의하면, 외장에 있어서의 2개 이상의 구멍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에 입사된 신호광을, 수광부와 외장의 표면 사이에 설치된 도광부에 의해 수광부로 유도되도록 했으므로, 외장의 내부에 수광부를 배치하면서, 광학식 리모컨의 수광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효과여도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기기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제1 리모트 기기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리모트 기기의 외장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리모트 기기의 외장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리모트 기기에 있어서의 도광부 및 수광부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원추면 및 곡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2차 곡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포물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외장의 구멍부의 크기 및 수광 센서의 크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신호광의 입사 각도가 0°인 경우의 수광 센서의 수광 광량 및 검출 가능 거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신호광의 입사 각도가 30°인 경우의 수광 센서의 수광 광량 및 검출 가능 거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신호광의 입사 각도가 60°인 경우의 수광 센서의 수광 광량 및 검출 가능 거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메쉬 형상의 외장이 없는 상태에서, 입사 각도 0°의 광이 입사된 경우의 수광부에 있어서의 광의 입사 상태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메쉬 형상의 외장이 있고, 또한 반사 확산 구조체가 없는 상태에서 입사 각도 0°의 광이 입사된 경우의 수광부에 있어서의 광의 입사 상태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메쉬 형상의 외장이 있고, 또한 반사 확산 구조체가 있는 상태에서, 입사 각도 0°의 광이 입사된 경우의 수광부에 있어서의 광의 입사 상태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광의 입사 상태를 간략화해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7은 메쉬 형상의 외장에 비스듬히 광이 입사된 경우에 입사 광량이 감소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외장의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입사광량의 감소를 경감시킨 구조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외장의 구멍부의 개구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입사광량의 감소를 경감시킨 구조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리모컨 조작 가능 거리의 각도 의존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21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리모트 기기에 있어서의 도광부 및 수광부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도광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축상용 집광 렌즈를 통해 입사 각도 0°의 광이 입사된 경우의 수광부에 있어서의 광의 입사 상태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축상용 집광 렌즈를 통해 비스듬한 방향으로부터 광이 입사된 경우의 수광부에 있어서의 광의 입사 상태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5는 광각용 집광 렌즈를 통해 비스듬한 방향으로부터 광이 입사된 경우의 수광부에 있어서의 광의 입사 상태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광의 입사 상태를 간략화해서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제1 실시 형태(도광부로서 반사 구조체를 포함하는 리모트 기기)(도 1 내지 도 20)
1.1 리모트 기기 시스템의 개요
1.2 리모트 기기의 외장 및 내부 구성예
1.3 효과
2. 제2 실시 형태(도광부로서 축상용의 광학 부재와 광각용의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리모트 기기)(도 21 내지 도 26)
3. 그 밖의 실시 형태
<1. 제1 실시 형태>
[1.1 리모트 기기 시스템의 개요]
광학식의 리모트 기기 시스템은, 광학식 리모컨과, 그것에 의해서 조작되는 장치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광학식 리모컨에는, 신호광으로서 적외선을 투광하는 발광체가 설치된다. 장치 본체에는, 신호광을 수광하는 수광 센서를 갖는 수광부가 설치된다.
광학식 리모컨에서는, 투광하는 캐리어 광에 변조를 걸어서 리모컨 신호를 할당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각사 제품마다 캐리어 주파수가 상이하다.
A사: 38㎑
B사: 40㎑
C사: 36㎑
D사: 30㎑
통상의 제품에서는, 제품에 전용의 광학식 리모컨과, 제품에 전용의 수광 센서가 사용되고, 수광 센서와 광학식 리모컨이, 1:1의 구성을 취한다. 이로 인해, 수광부에, 캐리어 주파수 ±10% 이하의 주파수대만을 수신할 수 있도록 특화된 노치 필터가 내장된다. 그리고, 수광 증폭기의 게인을 높은 상태에서 사용하고, 신호광을 감도 높게 수신, 수광할 수 있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S/N이 좋아지고, 적은 신호광에 대해서도 검출할 수 있고(리모컨 조작할 수 있고), 검출할 수 있는 거리도 충분히 확보된 제품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근년, 복수의 제품에 대응한 광학식 리모컨이나, 복수의 광학식 리모컨에 대응해서 동작하는 제품이 있다. 복수의 광학식 리모컨에 대응해서 동작하는 제품의 경우, 수광 센서와 광학식 리모컨이, 일대 다(多)의 구성이 되기 때문에, 수광부가 넓은 신호 주파수 대역으로 수신할 수 있는 구성을 취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수광부가 이하와 같은 신호 주파수 대역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범용 A사: 33㎑ 내지 40kHz
범용 B사: 20㎑ 내지 40kHz
이와 같은 구성의 수광부는, 복수의 변조 주파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수광부에 있어서의 필터의 통과 대역을 폭 넓게 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반대로 노이즈 대역도 넓어지고, 수광 증폭기의 게인을 높이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수광부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증폭할 수 없게 되고, 신호가 노이즈에 묻히고, 신호의 검출 가능 거리가 짧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래도 통상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는, 신호의 검출 가능 거리, 및 신호의 검출 가능 각도를 크게 확보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제품이 있다. 예를 들어, 수광 센서를 장치 본체의 외장면에 설치하는 구성이나, 외장의 내측에 수광 센서를 배치하고, 또한 신호광이 입사하는 부위의 전체면을 신호광이 투과할 수 있는 유리나 플라스틱 등으로 덮는 구성이다.
그러나, 외장이 투명체가 아니고, 메쉬 구조나 펀칭 메탈 구조 등과 같이 부분적으로만 광이 투과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 광이 일부밖에 장치 내부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외장의 내측에 수광 센서를 배치한 경우에는 신호 강도가 저하된다. 외장이 메쉬 구조 등으로 되어 있는 경우, 비스듬한 방향으로부터의 신호광을 수신하는 경우는, 내부에 도달하는 광량이 입사각 θ의 코사인(cosθ)에 의존해서 저하되어 간다. 이로 인해, 일반에게 제공되고 있는, 1:다용의 수광 센서를 사용한 경우는, 메쉬 구조 등의 외장에 추구하는 바를 갖는 디자인과의 공존이 곤란하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메쉬 구조 등의 외장의 내측에 수광 센서가 배치되고, 또한, 수광 센서와 광학식 리모컨이, 일대 다의 구성으로 되는 구성이어도, 광학식 리모컨의 수광 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기기 시스템(1)의 개요를 나타내고 있다.
리모트 기기 시스템(1)은, 중계기(2)와, 제1 리모트 기기(11)와, 제2 리모트 기기(12)와, 제3 리모트 기기(13)와, IR블라스터(31)와, IR블라스터(3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리모트 기기 시스템(1)은, 제1 광학식 리모컨(21)과, 제2 광학식 리모컨(22)과, 제3 광학식 리모컨(23)을 구비하고 있다.
제1 광학식 리모컨(21)은, 제1 리모트 기기(11)를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제2 광학식 리모컨(22)은, 제2 리모트 기기(12)를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제3 광학식 리모컨(23)은, 제3 리모트 기기(13)를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리모트 기기 및 광학식 리모컨의 수가 각각, 3개인 경우를 예로 하지만, 리모트 기기 및 광학식 리모컨의 수가 각각 4개 이상 또는 2개 이하여도 된다.
제1 내지 제3의 광학식 리모컨(21 내지 23)은 각각 적외선에 의한 신호광을 발하는 것이며, 신호 주파수 대역은 서로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광학식 리모컨(21)과 제1 리모트 기기(11)가, 상술한 신호 주파수 대역이 38kHz인 A사 제품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광학식 리모컨(22)과 제2 리모트 기기(12)가, 상술한 신호 주파수 대역이 40kHz인 B사 제품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3 광학식 리모컨(23)과 제3 리모트 기기(13)가, 상술한 신호 주파수 대역이 36kHz인 C사 제품이어도 된다.
제1 리모트 기기(11)는, 수광부(50)를 갖고 있다. 수광부(50)는, 후술하는 외장(40)의 내부에 배치되고, 수광부(50)는, 각각 신호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제1 내지 제3 광학식 리모컨(21 내지 23)으로부터의 신호광을 수광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리모트 기기(12)는, 제2 광학식 리모컨(22)에 대응한 신호 주파수 대역의 신호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갖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3 리모트 기기(13)는, 제3 광학식 리모컨(23)에 대응한 신호 주파수 대역의 신호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갖고 있다.
제1 리모트 기기(11)와 중계기(2)는, 예를 들어 무선 접속되어 있다. 제2 리모트 기기(12) 및 제3 리모트 기기(13)는 각각 중계기(2)에, 예를 들어 유선 접속되어 있다. IR블라스터(31) 및 IR블라스터(32)는 각각, 중계기(2)에, 예를 들어 유선 접속되어 있다.
제1 리모트 기기(11)는, 예를 들어 프로젝터 등이어도 된다. 제2 리모트 기기(12) 및 제3 리모트 기기(13)는 각각, 녹화 재생 기능을 갖는 레코더나 TV(텔레비전) 등이어도 된다. 제2 리모트 기기(12) 및 제3 리모트 기기(13)는, 제1 리모트 기기(11)와는 별도의 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리모트 기기(11)가 침실 등에 배치되고, 제2 리모트 기기(12) 및 제3 리모트 기기(13)가 거실 등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리모트 기기(11)는, 수광부(50)에 의해 제1 광학식 리모컨(21)으로부터의 신호광을 수광함으로써, 제1 광학식 리모컨(21)에 의해 직접적으로 조작된다.
또한, 제1 리모트 기기(11)의 수광부(50)는, 제2 광학식 리모컨(22)으로부터의 신호광을 수광한다. 제1 리모트 기기(11)로 수신된 제2 광학식 리모컨(22)으로부터의 신호는, 중계기(2)를 통해 IR블라스터(31)에 송신된다. IR블라스터(31)는, 중계기(2)를 통해 수신된 제2 광학식 리모컨(22)으로부터의 신호를, 제2 리모트 기기(12)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제1 리모트 기기(11), 중계기(2I), 및 IR블라스터(31)를 경유하여, 제2 광학식 리모컨(22)에 의해 제2 리모트 기기(12)가 조작된다.
또한, 제1 리모트 기기(11)의 수광부(50)는, 제3 광학식 리모컨(23)으로부터의 신호광을 수광한다. 제1 리모트 기기(11)로 수신된 제3 광학식 리모컨(23)으로부터의 신호는, 중계기(2)를 통해 IR블라스터(32)에 송신된다. IR블라스터(32)는, 중계기(2)를 통해 수신된 제3 광학식 리모컨(23)으로부터의 신호를, 제3 리모트 기기(13)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제1 리모트 기기(11), 중계기(2I), 및 IR블라스터(32)를 경유하여, 제3 광학식 리모컨(23)에 의해 제3 리모트 기기(13)가 조작된다.
이와 같이, 리모트 기기 시스템(1)에서는, 별도의 방에 있는 제1 리모트 기기(11)를 통해, 제2 리모트 기기(12) 및 제3 리모트 기기(13)를 원격 조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별도의 방에 있는 제2 리모트 기기(12) 및 제3 리모트 기기(13)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제1 리모트 기기(11)에 있어서 재생하는 원격 조작이 가능해진다.
[1.2 리모트 기기의 외장 및 내부 구성예]
도 2는, 제1 리모트 기기(11)의 외관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외장(40)의 평면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외장(40)의 단면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제1 리모트 기기(11)에 있어서의 도광부(61) 및 수광부(50)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외장(40)의 개요)
제1 리모트 기기(11)는, 펀칭 메탈의 도트 구조와 같은 일부분만 광이 내부에 도달하고, 일부분은 차단되어 광이 침입하지 않는 구조의 외장(40)을 갖고 있다. 외장(40)은, 광을 투과하는 복수의 구멍부(41)를 갖고, 구멍부(41)의 주위는 광을 차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외장(40)의 표면(43)과 이면(44) 사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t1)를 갖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리모트 기기(11)는, 예를 들어 프로젝터이다. 프로젝터는 밝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빛에너지의 일부가 투사에 사용되고, 나머지는 열로 변환된다. 이로 인해, 배열할 필요가 있다. 팬을 사용하여 공랭 방식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디자인성과 양립시키기 위하여, 외장(40)을 메쉬 구조로 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다. 이 메쉬 구조를 부분적으로도 무너뜨리지 않고 외장 전체면을 메쉬체로 하는 경우에, 외장(40)과 수광부(50) 사이를,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조로 할 필요성이 생긴다.
(외장(40)의 내부 구성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부(50)와 외장(40)의 표면(43) 사이에, 도광부(61)가 설치되어 있다. 도광부(61)는, 외장(40)에 있어서의 2개 이상의 구멍부(41)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W) 내에 입사된 신호광(L1)을 수광부(50)로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구멍부(41)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W) 내에 입사된 신호광(L1)을 수광부(50)로 유도하는 구조가 좋다. 도광부(61)는, 반사 구조체(60)를 갖고 있다. 반사 구조체(60)는, 반사 확산 구조체여도 된다. 또한, 도광부(61)는, 소정의 영역(W)에 대응하는 외장(40)의 이면(44)에 설치된 이면 반사면(44A)을 갖고 있다.
외장(40)과 수광부(50) 사이에는, 가시광 차단 필터(70)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가시광 차단 필터(70)는, 외장(40)의 이면(44)과 반사 구조체(또는 반사 확산 구조체)(60)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수광부(50)는, 수광 센서(51)가 적재된 기판(54)과, 도광부(61)를 통해 입사된 신호광(L1)을 수광 센서(51)에 집광하는 집광 렌즈(52)와, 집광 렌즈(52)를 기판에 지지하는 지지체(53)를 구비하고 있다. 수광 센서(51)는, 복수,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광범위한 신호광(L1)을 효율적으로 수광하기 위하여, 수평 방향으로부터의 신호광을 수광하는 수평 방향용의 수광 센서와, 수직 방향으로부터의 신호광을 수광하는 수직 방향용의 수광 센서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광부(61)는, 수광부(50)와 외장(40)의 이면(44)의 사이에 설치된, 적어도 광 반사 작용을 갖는 소정의 면을 포함하고 있다. 소정의 면은, 광 확산 작용을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이 소정의 면으로서, 반사 구조체(또는 반사 확산 구조체)(60)의 내주면에, 반사면(또는 반사 확산면)(62)이 형성되어 있다. 반사 구조체(또는 반사 확산 구조체)(60)는, 상측(외장(40)측)에 소정의 영역(W)에 대응한 개구를 갖고 있다. 또한, 반사 구조체(또는 반사 확산 구조체)(60)는, 하측(외장(40)측)에 수광부(50)의 크기에 대응한 개구를 갖고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소정의 면으로서의 반사면(또는 반사 확산면)(62)의 형상 예를 나타낸다.
반사면(또는 반사 확산면)(62)은, 수광부(50)를 향함에 따라 표면적이 작아지는 추면의 일부여도 된다. 예를 들어, 도 6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면(63)의 일부여도 된다. 수광부(50)의 수광 센서(51)가 하나만인 경우, 반사 구조체(또는 반사 확산 구조체)(60)는 원추면(63)을 갖는 원추체 형상이어도 된다. 수광 센서(51)는, 원추체 형상의 대략 정점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수광 센서(51)가, 예를 들어 수평 방향용의 제1 수광 센서(51A)와 수직 방향용의 제2 수광 센서(51B)가 병렬 배치된 구조인 경우, 반사면(또는 반사 확산면)(62)은, 예를 들어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면(63A)이어도 된다. 곡면(63A)은, 예를 들어 반사 구조체(또는 반사 확산 구조체)(60)로서, 원추체 형상을 수광 센서의 배치 방향으로 잡아 늘린 것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형성되는 면이어도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또는 반사 확산면)(62)은, 수광부(50)를 향함에 따라 표면적이 작아지는 2차 곡면(64)의 일부여도 된다. 반사 구조체(또는 반사 확산 구조체)(60)는 2차 곡면(64)을 갖는 2차 곡면체 형상이어도 된다. 수광 센서(51)는, 2차 곡면체 형상의 대략 정점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또는 반사 확산면)(62)은, 수광부(50)를 향함에 따라 표면적이 작아지는 포물면(65)의 일부여도 된다. 반사 구조체(또는 반사 확산 구조체)(60)는 포물면(65)을 갖는 포물면체 형상이어도 된다. 수광 센서(51)는, 포물면(65)의 초점(65f)에 대략 일치하는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광부(61)의 작용)
도광부(61)의 작용으로서, 주로, 반사 확산 구조체(60)를 설치한 것에 의한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외장(40)의 구멍부(41)의 크기 및 수광 센서(51)의 크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수광 효율은, 메쉬의 구조, 구체적으로는 구멍부(41)의 크기와 밀도에 의존하지만, 일례로서, 도 9에 나타낸 메쉬 구조를 전제로 한다. 즉, 구멍 직경이 Φ1.2mm, 인접하는 구멍부(41) 사이의 가로 방향의 중심간 간격이 1.7mm, 세로 방향의 중심간 간격도 1.7mm의 메쉬에 대해, 수광 센서(51)의 검출면의 직경이 Φ2.3mm인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입사 각도마다의 수광 효율의 비교를 기재한다. 메쉬의 외장(40)이 있고, 반사 확산 구조체(60)를 설치한 구조 외에도, 비교예로서, 메쉬의 외장(40)이 없고, 신호광(L1)이 직접적으로 수광부(50)에 입사하는 경우와, 메쉬의 외장(40)이 있지만, 반사 확산 구조체(60)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특성을 나타낸다.
도 10은, 신호광(L1)의 입사 각도가 0°인 경우의 수광 센서(51)의 수광 광량 및 검출 가능 거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신호광(L1)의 입사 각도가 30°인 경우의 수광 센서(51)의 수광 광량 및 검출 가능 거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신호광(L1)의 입사 각도가 60°인 경우의 수광 센서(51)의 수광 광량 및 검출 가능 거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에, 수광부(50)에의 광 입사 상태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은, 메쉬 형상의 외장(40)이 없는 상태에서, 입사 각도 0°의 광이 입사된 경우의 수광부(50)에 있어서의 광의 입사 상태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메쉬 형상의 외장(40)이 있고, 또한 반사 확산 구조체(60)가 없는 상태에서, 입사 각도 0°의 광이 입사된 경우의 수광부(50)에 있어서의 광의 입사 상태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메쉬 형상의 외장(40)이 있고, 또한 반사 확산 구조체(60)가 있는 상태에서, 입사 각도 0°의 광이 입사된 경우의 수광부(50)에 있어서의 광의 입사 상태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광의 입사 상태를 간략화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6에서는, 수광부(50)가, 수광 센서(51)로서 제1 수광 센서(51A)와 제2 수광 센서(51B)를 갖는 경우를 예로 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 형상의 외장(40)이 없고, 신호광(L1)의 입사 각도가 0°인 경우에 있어서의 수광 광량을 1로 한다. 또한, 수광 센서(51)의 레퍼런스 검출 가능 거리는 11m로 한다. 이에 반해, 메쉬 형상의 외장(40)이 있는 경우, 반사 확산 구조체(60)를 설치하지 않으면, 수광 센서(51)로 수광할 수 있는 광이 1/3 이하로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광학식 리모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광(L1)은 충분히 먼 곳에서 발사되었다고 보고, 메쉬 형상으로 평행광으로 비래했다고 가정하고 있다. 메쉬의 개구율은 단순한 면적비로는 40% 정도가 되지만, 반사 확산 구조체(60)를 설치하지 않으면, 실제는 수광 센서(51)의 배치 위치의 관계에 의해, 27% 정도가 메쉬를 통과해 센서에 도달하게 된다. 반사 확산 구조체(60)를 설치하지 않으면, 검출 가능 거리는 대략 반감하고, 5.7m가 된다.
다음에 사입사의 경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확산 구조체(60)를 설치하지 않으면, 메쉬 있음의 경우는 광량이 20%에서 10%로 매우 적은 것이 된다. 이것은 바스듬히 들어오는 광이 메쉬의 차단 현상으로 광량이 줄어드는 것에 기인한다. 도 17에, 메쉬 형상의 외장(40)에 비스듬히 광이 입사된 경우에 입사광량이 감소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사입사의 경우, 반사 확산 구조체(60)를 설치하지 않으면, 검출 가능 거리는 3 내지 4m 정도밖에 확보할 수 없다. 광학식 리모컨으로 조작하는 것이 이격된 위치에서 가능하지 않게 되어, 실사용 상으로는 충분한 성능이라고는 할 수 없다. 반사 확산 구조체(60)가 있는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 센서(51)(제1 수광 센서(51A), 제2 수광 센서(51B))의 바로 위의 구멍부(41)로부터 뿐만 아니라, 주변의 복수의 구멍부(41)로부터의 광도 반사 확산 구조체(60)에 도달하여, 반사 확산된다. 확산된 광의 일부는 수광 센서(51)에 도달한다. 또한, 반사 확산 구조체(60)에서 반사되고, 외장(40)측으로 복귀되는 광의 일부는 외장(40)의 이면(44)에 설치된 이면 반사면(44A)에 의해 반사되고, 수광 센서(51)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도광부(61)를 설치함으로써, 반사 확산 구조체(60)에서 반사 확산시키고, 또한 외장(40)의 이면 반사면(44A)에서 다시 반사 확산된 광을 수광 센서(51)로 유도하는 광 패스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반사 확산 구조체(60)가 있는 경우, 0° 입사의 광에 대해서는 메쉬의 외장(40)이 있다고 해도, 메쉬의 외장(40)이 없는 경우와 비교해 70% 정도의 광이 수광 센서(51)에 도달한다. 사입사의 경우, 30°에 있어서는 수광 광량은 55%이고, 8.2m의 검출 가능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반사 확산 구조체(60)를, 단순 반사가 아니라, 블라스트 가공 등을 실시하고 확산성을 갖게 한 구조로 함으로써, 비스듬히 입사한 광에 대해서도 다양한 각도로 광을 유도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 확산 구조체(60)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수광 센서(51)에 입사하는 광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을 간단히 모으는 것 뿐이라면, 광학 렌즈가 효율적이지만, 0°의 광에 대해서는 효과가 강하지만, 비스듬히 들어오는 광은 반드시 결상 위치가 어긋나고, 수광 센서(51)의 수광면으로부터 벗어난다. 이로 인해, 수광 센서(51)의 수광면에서 벗어난 순간에 검출 가능 거리가 극단적으로 짧아진다. 따라서, 반사 확산 구조체(60)와 같이, 광을 모으는 개구를 확장하면서, 광을 확산시키는 작용을 갖는 구조체가 적합하다.
도 18은, 외장(40)의 두께(t1)를 작게 함으로써, 입사광량의 감소를 경감시킨 구조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 나타낸 외장(40A)과 같이, 소정의 영역(W)에 있어서의 외장(40)의 두께(t2)가, 소정의 영역(W)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의 외장(40)의 두께(t1)에 비해 작게 되어 있어도 된다. 반사 구조체(또는 반사 확산 구조체)(60)에 가능한 한 많은 광을 유도하기 위하여, 도 18에 나타내는 외장(40A)과 같이, 외장(40A)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한다. 이에 따라, 사입사의 광이 외장(40A)의 단면에서 튕겨지는 광속을 저감시키고, 수광부(50) 또는 반사 구조체(또는 반사 확산 구조체)(60)로 유도하는 광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9는, 외장(40)의 구멍부(41)의 개구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입사광량의 감소를 경감시킨 구조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에 나타낸 외장(40B)과 같이, 소정의 영역(W)에 있어서, 구멍부(41)가, 외장(40)의 이면(44)을 향함에 따라 커지는 개구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소정의 영역(W)에 있어서, 외장(40)의 표면(43)에 있어서의 구멍부(41)의 개구 크기(La)에 비해, 이면(44)에 있어서의 구멍부(41)의 개구 크기(Lb)가 작게 되어 있어도 된다(Lb <La). 이와 같이, 외장(40)의 내측을 향해 구멍부(41)에 테이퍼를 부착함으로써, 상기와 마찬가지로, 사입사의 광선에 대해 효율적으로 광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장(40)의 전체면을, 도 18 및 도 19와 같은 구조로 하면, 외장(40)으로서의 강도가 저하되거나, 비용이 상승하거나 하므로, 신호광(L1)이 입사하는 소정의 영역(W) 내만의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은, 리모컨 조작 가능 거리의 각도 의존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에 있어서, 횡축은 외장(40)의 표면(43)에의 신호광(L1)의 입사 각도, 종축은 신호광(L1)이 수광부(50)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한 거리(리모컨 조작 가능 거리)를 나타낸다. 도 20에는, 메쉬가 있고, 반사 확산 구조체(60)를 설치한 구조 외에도, 비교예로서, 외장(40)으로서 메쉬가 있지만, 반사 확산 구조체(60)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특성을 나타낸다. 반사 확산 구조체(60)를 설치함으로써, 입사되는 신호광(L1)이 증가하고, 리모컨 조작 가능 거리가 대폭 개선되었다.
[1.3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외장(40)에 있어서의 2개 이상의 구멍부(41)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W) 내에 입사된 신호광(L1)을, 수광부(50)와 외장(40)의 표면(43) 사이에 설치된 도광부(61)에 의해 수광부(50)로 유도하도록 했으므로, 외장(40)의 내부에 수광부(50)를 배치하면서, 광학식 리모컨의 수광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프로젝터와 같은 배열을 중시하고, 또한 상품의 외장에 가치를 부여하는 장치에 있어서, 광학식 리모컨의 주파수 대역을 넓게 취하려고 하면, 외장으로 광이 차단됨으로써, 리모컨 수신 감도가 충분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그러한 장치에 있어서도, 광학식 리모컨의 수광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이후의 다른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2.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리모트 기기(11)에 있어서의 도광부(91) 및 수광부(80)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낸 도광부(91)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낸 도광부(91) 대신에 도광부(91A)를 구비하고 있다.
수광부(80)는, 제1 수광 센서로서의 축상용 수광 센서(81A)와, 제2 수광 센서로서의 광각용 수광 센서(81B)를 포함하고 있다.
도광부(91)는, 적어도 소정의 영역(W)에 있어서의 제1 영역(W1) 내에 입사된 신호광(L1)을 축상용 수광 센서(81A)로 유도하는 제1 광학 부재로서의 축상용 집광 렌즈(92A)를 포함하고 있다.
도광부(91)는, 적어도 소정의 영역(W)에 있어서의 제2 영역(W2) 내에 입사된 신호광(L1)을 제2 수광 센서로 유도하는 제2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제2 광학 부재는, 광 반사 작용을 갖는 타원면을 갖고, 타원면의 제1 초점 위치(f1)에 제2 영역(W2) 내에 하나의 구멍부(41)가 배치되고, 타원면의 제2 초점 위치(f2)에 광각용 수광 센서(81B)가 배치되어 있다.
도 21의 구성예에서는, 제2 광학 부재로서, 내면이 광각용 타원 반사면(93)으로 된 타원 내면 반사체를 구비하고 있다. 도 22의 구성예에서는, 제2 광학 부재로서, 측면이 타원면(94)으로 된 제2 집광 렌즈로서의 광각용 집광 렌즈(92B)를 구비하고 있다. 타원면(94)은, 광각용 집광 렌즈(92B)와 그 외측의 굴절률 차에 의해 광을 반사하는 내부 전반사면으로 되어 있다. 광각용 집광 렌즈(92B)는, 예를 들어 수지나 유리 등의 재료로 구성된 타원 내면 반사체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리모컨 수광부에서는, 센서 모듈에 2개의 검출 부위를 설치한 구성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수평 방향용과 수직 방향용의 2개의 검출 부위인 구성이나, 축상용과 광각용의 2개의 검출 부위인 구성인 경우 등, 목적은 다양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상용 수광 센서(81A)와 광각용 수광 센서(81B)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축상용 수광 센서(81A)와 광각용 수광 센서(81B)와 각각에 대해, 신호광(L1)을 유도하기 위한 제1 광학 부재와 제2 광학 부재를 배치하고 있다.
제1 광학 부재로서의 축상용 집광 렌즈(92A)는, 파워 성분을 갖고, 광의 굴절을 이용해 축상용 수광 센서(81A)에 광을 넓게 유도하는 것이다. 축상용 집광 렌즈(92A)는, 복수의 구멍부(41)로부터 광을 모으기 때문에, 집광 광량이 많다. 단, 사입사에 대해서는 렌즈 집광점이 각도에 따라 어긋나고, 집광 위치가 수광면을 벗어난다. 그로 인해, 검출광이 거의 없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것을 보충하기 위하여, 제2 광학 부재를 다른 쪽에 배치하고 있다.
도 21,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광학 부재(광각용 타원 반사면(93) 또는 광각용 집광 렌즈(92B))에 의해, 비스듬한 광에 대해서도 수광부(80)에 집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타원은 한쪽 초점을 통과한 광선은 반사 후, 다른 쪽 초점을 통과하는 특성을 갖는다. 광각용 타원 반사면(93) 또는 광각용 집광 렌즈(92B)의 타원면(94)은, 그 특성을 이용하여, 광을 광각용 수광 센서(81B)로 유도한다.
도 22의 구성예에서는, 광각용 집광 렌즈(92B)의 입사측(외장(40)측)은, 광의 렌즈에의 입사 시에 발생되는 굴절각을 억제하기 위하여, 원추 형상의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광각용 집광 렌즈(92B)의 출사측(광각용 수광 센서(81B)측)은, 내면으로부터의 전반사를 억제할 목적으로, 곡률을 갖게 한 오목 형상으로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입사, 출사 모두 광의 손실을 억제하여 광각용 수광 센서(81B)로 광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3은, 축상용 집광 렌즈(92A)를 통해 입사 각도 0°의 광이 입사된 경우의 수광부(80)(축상용 수광 센서(81A))에 있어서의 광의 입사 상태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는, 축상용 집광 렌즈(92A)를 통해 비스듬히 45°방향으로부터 광이 입사된 경우의 수광부(80)(축상용 수광 센서(81A))에 있어서의 광의 입사 상태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는, 광각용 집광 렌즈(92B)를 통해 비스듬히 45° 방향으로부터 광이 입사된 경우의 수광부(80)(축상용 수광 센서(81A))에 있어서의 광의 입사 상태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6은, 도 25에 나타낸 광의 입사 상태를 간략화해서 도시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23 내지 도 26에서는, 광의 입사 상태를 비교하기 위하여, 축상용 집광 렌즈(92A)와 광각용 집광 렌즈(92B)를 편의상, 대략 동일한 위치에 배치해서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것들은 서로 각각의 위치에 배치된다. 광각용 집광 렌즈(92B)는, 실제로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각용 수광 센서(81B)에 대해 배치된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상용 집광 렌즈(92A)에서는, 입사 각도 0°의 광에 대해서는 축상용 수광 센서(81A)에 광을 유도할 수 있지만, 비스듬한 방향으로부터의 광은 충분히 광을 유도할 수 없다. 이에 비해,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각용 집광 렌즈(92B)에서는, 타원면(94)에 의한 반사 작용에 의해, 비스듬한 방향으로부터의 광을 센서로 유도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기기(11) 및 리모트 기기 시스템(1)과 대략 동일해도 된다.
<3. 그 밖의 실시 형태>
본 개시에 의한 기술은, 상기 각 실시 형태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광을 투과하는 복수의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구멍부의 주위는 광을 차단하는 구조로 된 외장과,
상기 외장의 내부에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광학식 리모컨의 신호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와 상기 외장의 표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외장에 있어서의 2개 이상의 상기 구멍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에 입사된 상기 신호광을 상기 수광부로 유도하는 도광부
를 구비하는 리모트 기기.
(2)
상기 도광부는, 상기 수광부와 상기 외장의 이면 사이에 설치된, 적어도 광 반사 작용을 갖는 소정의 면을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리모트 기기.
(3)
상기 소정의 면은, 광 확산 작용을 추가로 갖는,
상기 (2)에 기재된 리모트 기기.
(4)
상기 소정의 면은, 곡면 형상인,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리모트 기기.
(5)
상기 소정의 면은, 상기 수광부를 향함에 따라 표면적이 작아지는 추면인,
상기 (4)에 기재된 리모트 기기.
(6)
상기 소정의 면은, 상기 수광부를 향함에 따라 표면적이 작아지는 포물면인,
상기 (4)에 기재된 리모트 기기.
(7)
상기 소정의 면은, 타원면인,
상기 (4)에 기재된 리모트 기기.
(8)
상기 수광부는, 제1 수광 센서와, 제2 수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부는, 적어도 상기 소정의 영역에서의 제1 영역 내에 입사된 상기 신호광을 상기 제1 수광 센서로 유도하는 제1 광학 부재와, 상기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의 제2 영역 내에 입사된 상기 신호광을 상기 제2 수광 센서로 유도하는 제2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리모트 기기.
(9)
상기 제1 광학 부재는, 제1 집광 렌즈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광학 부재는, 광 반사 작용을 갖는 타원면을 갖고, 상기 타원면의 제1 초점 위치에 상기 제2 영역 내의 하나의 상기 구멍부가 배치되고, 상기 타원면의 제2 초점 위치에 상기 제2 수광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상기 (8)에 기재된 리모트 기기.
(10)
상기 제2 광학 부재는, 측면이 상기 타원면으로 된 제2 집광 렌즈로 구성되는,
상기 (9)에 기재된 리모트 기기.
(11)
상기 도광부는, 3개 이상의 상기 구멍부를 통해 입사된 신호광을 상기 수광부로 유도하는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모트 기기.
(12)
상기 도광부는, 상기 소정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외장의 이면에 설치된 반사면을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모트 기기.
(13)
상기 소정의 영역에서의 상기 외장의 두께가, 상기 소정의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상기 외장의 두께에 비해 작은,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모트 기기.
(14)
상기 소정의 영역에서, 상기 구멍부는, 상기 외장의 이면을 향함에 따라 커지는 개구 형상을 갖는,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모트 기기.
(15)
상기 외장과 상기 수광부 사이에 설치된 가시광 차단 필터를 더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모트 기기.
(16)
상기 수광부는, 각각 신호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상기 광학식 리모컨으로부터의 신호광을 수광하는,
상기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모트 기기.
(17)
제1 광학식 리모컨에 의해 조작되는 제1 리모트 기기와,
상기 제1 리모트 기기를 통해, 상기 제1 광학식 리모컨과는 신호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제2 광학식 리모컨에 의해 조작되는 제2 리모트 기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모트 기기는,
광을 투과하는 복수의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구멍부의 주위는 광을 차단하는 구조로 된 외장과,
상기 외장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광학식 리모컨의 신호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와 상기 외장의 표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외장에 있어서의 2개 이상의 상기 구멍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에 입사된 상기 신호광을 상기 수광부로 유도하는 도광부
를 구비하는 리모트 기기 시스템.
본 출원은, 일본 특허청에 있어서 2015년 9월 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15-172265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한다.
당업자라면 설계상의 요건이나 다른 요인에 따라, 다양한 수정, 콤비네이션, 서브 콤비네이션 및 변경을 상도할 수 있지만, 그것들은 첨부된 청구범위나 그 균등물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이 이해된다.

Claims (17)

  1. 광을 투과하는 복수의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구멍부의 주위는 광을 차단하는 구조로 된 외장과,
    상기 외장의 내부에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광학식 리모컨의 신호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와 상기 외장의 표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외장에 있어서의 2개 이상의 상기 구멍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에 입사된 상기 신호광을 상기 수광부로 유도하는 도광부
    를 구비하는 리모트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수광부와 상기 외장의 이면 사이에 설치된, 적어도 광 반사 작용을 갖는 소정의 면을 포함하는, 리모트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면은, 광 확산 작용을 추가로 갖는, 리모트 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면은, 곡면 형상인, 리모트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면은, 상기 수광부를 향함에 따라 표면적이 작아지는 추면인, 리모트 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면은, 상기 수광부를 향함에 따라 표면적이 작아지는 포물면인, 리모트 기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면은, 타원면인, 리모트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제1 수광 센서와, 제2 수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부는, 적어도 상기 소정의 영역에서의 제1 영역 내에 입사된 상기 신호광을 상기 제1 수광 센서로 유도하는 제1 광학 부재와, 상기 소정의 영역에 있어서의 제2 영역 내에 입사된 상기 신호광을 상기 제2 수광 센서로 유도하는 제2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리모트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부재는, 제1 집광 렌즈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광학 부재는, 광 반사 작용을 갖는 타원면을 갖고, 상기 타원면의 제1 초점 위치에 상기 제2 영역 내의 하나의 상기 구멍부가 배치되고, 상기 타원면의 제2 초점 위치에 상기 제2 수광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리모트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부재는, 측면이 상기 타원면으로 된 제2 집광 렌즈로 구성되는, 리모트 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3개 이상의 상기 구멍부를 통해 입사된 신호광을 상기 수광부로 유도하는, 리모트 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소정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외장의 이면에 설치된 반사면을 포함하는, 리모트 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에서의 상기 외장의 두께가, 상기 소정의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상기 외장의 두께에 비해 작은, 리모트 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에서, 상기 구멍부는, 상기 외장의 이면을 향함에 따라 커지는 개구 형상을 갖는, 리모트 기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과 상기 수광부 사이에 설치된 가시광 차단 필터를 더 구비하는, 리모트 기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각각 신호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상기 광학식 리모컨으로부터의 신호광을 수광하는, 리모트 기기.
  17. 제1 광학식 리모컨에 의해 조작되는 제1 리모트 기기와,
    상기 제1 리모트 기기를 통해, 상기 제1 광학식 리모컨과는 신호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제2 광학식 리모컨에 의해 조작되는 제2 리모트 기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모트 기기는,
    광을 투과하는 복수의 구멍부를 가지며, 상기 구멍부의 주위는 광을 차단하는 구조로 된 외장과,
    상기 외장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광학식 리모컨의 신호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와 상기 외장의 표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외장에 있어서의 2개 이상의 상기 구멍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에 입사된 상기 신호광을 상기 수광부로 유도하는 도광부
    를 구비하는, 리모트 기기 시스템.
KR1020187004067A 2015-09-01 2016-07-08 리모트 기기 및 리모트 기기 시스템 KR201800502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72265 2015-09-01
JP2015172265 2015-09-01
PCT/JP2016/070229 WO2017038253A1 (ja) 2015-09-01 2016-07-08 リモート機器およびリモート機器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297A true KR20180050297A (ko) 2018-05-14

Family

ID=58187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067A KR20180050297A (ko) 2015-09-01 2016-07-08 리모트 기기 및 리모트 기기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65093B2 (ko)
JP (1) JP6724920B2 (ko)
KR (1) KR20180050297A (ko)
CN (1) CN107950033B (ko)
WO (1) WO20170382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761A (ko) 2019-11-27 2021-06-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력 반도체 소자의 쇼트 서킷 검출 장치 및 전력 반도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2774A (ja) 1991-10-25 1993-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赤外線リモコン装置の受光部に於けるインバータ光による誤動作防止機構
JPH05347591A (ja) 1992-06-15 1993-12-27 Canon Inc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用の受光装置
JPH0613242U (ja) 1992-07-20 1994-02-1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ワイヤレスリモコン用受光装置
JPH06289260A (ja) 1993-04-02 1994-10-18 Sony Corp 導光部材及び電子機器
JPH0787424A (ja) 1993-09-10 1995-03-31 Sony Corp 映像機器
JP2004320304A (ja) 2003-04-15 2004-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コン受光電子機器の筐体構造
JP2005347858A (ja) 2004-05-31 2005-12-15 Toshiba Corp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
CN101078795B (zh) * 2006-05-24 2010-05-12 清华大学 导光板及背光模组
SG139568A1 (en) * 2006-07-13 2008-02-29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Remote control receiver device and ambient light photosensor device incoporated into a single composite assembly
JP2007294992A (ja) 2007-06-22 2007-11-08 Sanyo Electric Co Ltd 受光装置
CN101498859A (zh) * 2008-01-30 2009-08-05 昌兴科技股份有限公司 多功能光学薄板及其制造方法
JP5444629B2 (ja) * 2008-04-03 2014-03-19 富士通株式会社 照度センサ用光案内機構及び携帯電話機
CN101571645A (zh) * 2008-04-29 2009-11-04 开曼群岛商亚岗股份有限公司 经济型背光模组
CN102608679A (zh) * 2011-01-21 2012-07-25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成像光学元件、成像光学阵列及图像读取装置
JP2015108779A (ja) * 2013-12-05 2015-06-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761A (ko) 2019-11-27 2021-06-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력 반도체 소자의 쇼트 서킷 검출 장치 및 전력 반도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65093B2 (en) 2020-05-26
CN107950033B (zh) 2021-03-16
WO2017038253A1 (ja) 2017-03-09
US20180233031A1 (en) 2018-08-16
CN107950033A (zh) 2018-04-20
JPWO2017038253A1 (ja) 2018-07-19
JP6724920B2 (ja) 202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8524B2 (en) Optical device and optical module
JPH05175908A (ja) 全方向受光装置
JP2005309735A (ja) 煙感知器
JP2022186842A (ja) 煙感知器
KR20180050297A (ko) 리모트 기기 및 리모트 기기 시스템
EP2685310B1 (en) Dome camera for low light conditions
JP2006235509A (ja) 全方位撮像装置
US20120008960A1 (en) Remote control receiver and projection display device
CN114127595A (zh) 光接收装置
JPH10213672A (ja) 熱線式検知器
CN207020409U (zh) 一种光斑监控成像设备
US3229098A (en) Light-beam microphone and method
JP2835693B2 (ja) 投写型表示装置
WO2020217390A1 (ja) エネルギー変換装置及びエネルギー伝送システム
JP7322305B2 (ja) ディテクタで使用するレンズ
JP2010133869A (ja) サーモパイル型赤外線検出装置
JP2013134117A (ja) 赤外線検出器
JP6976557B2 (ja) 波動方向変換装置、波動方向変換方法
JP2006018485A (ja) 防犯検知装置
JP2018091665A (ja) 赤外線検出装置
JPS63127695A (ja) リモコン受信器
JP2024003844A (ja) 受信器、受信装置、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4157852B2 (ja) 赤外線発受光装置
TW202201051A (zh) 光學鏡頭、成像模組及電子裝置
CN113905566A (zh) 机壳组件和具有该机壳组件的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