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935A - 전기자동차 공조제어기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공조제어기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935A
KR20180049935A KR1020160146469A KR20160146469A KR20180049935A KR 20180049935 A KR20180049935 A KR 20180049935A KR 1020160146469 A KR1020160146469 A KR 1020160146469A KR 20160146469 A KR20160146469 A KR 20160146469A KR 20180049935 A KR20180049935 A KR 20180049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information
user terminal
electric vehicl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8810B1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6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81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9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60H1/00392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for electric vehicles having only electric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60H1/00657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60H1/0077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the input being a vehicle position or surrounding, e.g. GPS-based position or tu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7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including features for locking or memorising of control modes
    • B60L11/186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H04M1/72533
    • B60L2230/3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방법은, 텔레매틱스 모듈로부터 우선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공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 또는 센싱모듈로부터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제1사용자 단말의 제1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으로의 제1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예상 도착 시간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공조 설정 온도를 고려하여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공조제어기 및 제어 방법{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공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의 공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용 무선통신 기술인 텔레매틱스(telematics)가 탑재된 차량이 확대되고 있다. 텔레매틱스는 무선통신 기술과 차량에 탑재된 센서를 활용한 자율주행, 안전 등의 기능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텔레매틱스는 주로 차량 보안이나 상태 등에 대한 경고, 외부 신호등 시스템, 장애물과의 거리 및 충돌을 경고하는 등 차량 경고음을 알리는 장치에 적용된다. 또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차량 추적 등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차량 상태를 제어하는 기술도 포함한다.
한편, 차량을 소유하거나 운전하는 운전자(사용자)의 대부분은 휴대용 무선통신 기기(예를 들면, 모바일폰 등)를 보유하고 있다. 운전자(사용자)는 자신의 휴대용 무선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텔레매틱스가 적용된 기능/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조작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 휴대용 무선통신 기기를 이용하는 텔레매틱스 기술을 통해 운전자는 원격으로 공조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공유 경제가 점차 확산되어 가는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카셰어링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렌탈 서비스 또는 카셰어링 서비스에 의해 여러 운전자가 한 대의 자동차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한대에 여러 운전자가 사용 권한을 가질 수 있는 환경에서, 텔레매틱스도 여러 운전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종래 원격 제어는 단일 운전자에 의한 텔레매틱스에 의한 원격 제어만을 다루고 있으며, 다중의 사용자가 원격 제어를 하는 경우는 고려되지 않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텔레매틱스 중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원격 공조 제어와 관련하여, 사용 권한이 있는 여러 운전자에 의해 공조 시스템이 제어되는 구체적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 권한이 있는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텔레매틱스가 장착되는 전기자동차의 공조 시스템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방법은, 텔레매틱스 모듈로부터 우선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공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 또는 센싱모듈로부터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제1사용자 단말의 제1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으로의 제1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예상 도착 시간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공조 설정 온도를 고려하여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배터리관리시스템으로부터 충전 상태를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배터리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충전 상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임계충전량 이상인 경우 상기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공조 설정 정보는 헤드유닛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거나,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어 텔레매틱스 서버를 통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GPS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센싱모듈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를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공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공조 설정 정보 중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공조 설정 정보를 입력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 리스트를 우선 사용자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예상 도착 시간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상기 출발 시각에 대한 확인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어 변경된 공조 설정 정보를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 이동 속도, 이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제1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의 변경이 없는 경우 상기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의 변경이 없는 경우 상기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제2사용자 단말의 제2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제2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예상 도착 시간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공조 설정 온도를 고려하여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어 텔레매틱스 서버를 통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로 전달되어 상기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변경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공조제어기는, 텔레매틱스 모듈로부터 우선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공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 또는 센싱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제1사용자 단말의 제1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으로의 제1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예상 도착 시간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공조 설정 온도를 고려하여 공조기를 활성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관리시스템으로부터 충전중임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공조기를 활성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충전 상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임계충전량 이상인 경우 상기 공조기를 활성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공조 설정 정보는 헤드유닛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거나,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어 텔레매틱스 서버를 통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GPS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센싱모듈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를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가 상기 공조 설정 정보 중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조 설정 정보를 입력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 리스트를 우선 사용자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예상 도착 시간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상기 출발 시각에 대한 확인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어 변경된 공조 설정 정보를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 이동 속도, 이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제1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의 변경이 없는 경우 상기 공조기를 활성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는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제2사용자 단말의 제2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제2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하하고, 상기 제2예상 도착 시간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공조 설정 온도를 고려하여 공조기를 활성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어 텔레매틱스 서버를 통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로 전달되어 상기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변경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혹한기 또는 혹서기 시 운전자의 차량 탑승 전 공조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어 차량의 실내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운전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다수의 운전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공조 시스템의 동작 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를 이용하는 원격 공조 제어를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를 통한 공조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를 통한 원격 공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또는 헤드유닛이 공조 설정 정보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조제어기는 전기자동차로의 예상 도착 시간이 처음 입력 받은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제어기가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제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전(앞) 또는 후(뒤)"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원격 공조 시스템은 휴대용 무선통신 기기를 이용하는 텔레매틱스 기술과 연동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1에서 텔레매틱스에 의한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조를 설명하고, 도 2에서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각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에서는 원격 공조 제어 방법을 설명하고, 도 4 내지 도 7에서는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원격 공조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설명한다. 이후 도 8에서 구체적인 공조 제어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를 이용하는 원격 공조 제어를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차량에 탑재된 텔레매틱스 모듈(110)는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텔레매틱스 서버(130)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통신 기술 또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120)와 연결될 수 있다.
텔레매틱스 서버(130)는 차량에 탑재된 텔레매틱스(telematics)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되는 네트워크 장치로서, 차량의 고유 정보, 차량의 운행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서버(130)는 차량의 주행 중 또는 주행 전/후에 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과 연동할 수 있다. 또한, 텔레매틱스 서버(130)는 운전자(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고, 차량 주행 및 안전과 관련된 장치/기능의 조작을 도울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120)은 텔레매틱스 서버(130)를 통해 차량의 시동을 켜고, 공조 시스템이 동작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운전자(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 단말(120)를 이용하여 차량의 공조 시스템을 끄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운전자(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무선 통신 기술 및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해 차량 또는 텔레매틱스 서버(130)와 연동할 수 있으며, 차량의 고유 정보 또는 운전자의 개인 정보 등을 저장하거나 취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를 통한 공조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자동차(200)는 텔레매틱스 서버(25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텔레매틱스 모듈(201), 헤드유닛(202), 배터리관리시스템(BMS, 203), 완속충전기(OBC, 204), CGW(Central GateWay, 205), 공조제어기(206), 공조기(207) 및 센싱모듈(20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텔레매틱스를 통한 공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텔레매틱스 서버(25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90, 291)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90)은 전기자동차(200)의 사용 권한이 있는 운전자가 휴대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200)에 사용 권한이 있는 운전자가 다수이면, 각각의 운전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290) 역시 복수일 수 있다.
복수개인 사용자 단말(290) 각각은 텔레매틱스 서버(250)를 통해 전기자동차(20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90)은 텔레매틱스 모듈(201)을 통해 공조제어기(206)에 관한 제어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공조제어기(206)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90, 291)에 대한 정보는 공조제어기(206)의 메모리 또는 헤드유닛(202)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차량에 사용 권한이 있는 운전자는 사용자 단말(290) 또는 헤드유닛(202)의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모듈(201)은 텔레매틱스 서버(25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공조 제어와 관련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헤드유닛(Head Unit, H/U, 202)은 AVN 시스템(Audio Video Navigation system)을 포함할 수 있고, 운전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가 포함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유닛(202)는 공조 제어와 관련된 설정 및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운전자에게 상기 처리 결과 또는 차량의 내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display)장치 또는 음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관리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203)은 배터리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는 과충전, 과열, 외부충격으로 폭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배터리관리시스템(203)은 다양한 정보들에 의해 나타나는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배터리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배터리 전압, 온도,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배터리 건강 상태(State Of Health), 공기 흐름, 전류의 입출력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관리시스템(203)은 위의 정보들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전력 공급에 필요한 계산도 수행하며,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각종 정보를 주고 받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관리시스템(203)은 완속충전기(On Boarder Charger, OBC, 204)로부터 전기자동차의 충전 시작 또는 배터리가 충전 중 인 상태에 있음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배터리관리시스템(203)은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헤드유닛(202)를 통해 공조제어기(206)으로 충전 상태(또는 충전 시작)를 지시하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의 특성상 공조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많은 전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공조제어기(206)은 상기 충전 상태(또는 충전 시작)를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한하여 공조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CGW(Central GateWay, 205)는 전기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전장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차량 통신(예를 들어, CAN통신, LIN 통신)을 통해 헤드유닛(202)로 전달할 수 있다. 헤드유닛(202)는 전장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전기자동차 자신의 상태(예를 들어, 주차상태, 주행상태 등)를 판단할 수 있다.
공조제어기(206)는 공조기(207)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여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공조기(207)는 난방(Heating), 환기(Ventilation), 냉방(Air Conditioning system)등을 통해 전기자동차의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해 주는 공기 조절 시스템을 통칭하여 지칭되는 전장품이다. 좁은 의미에서 공조기(207)은 차량 내부 공기를 데우거나 차게 하는 장치인데, 넓은 의미에서는 그 기능이 다양해져 차량 내부 공기 온도 조절뿐만 아니라, 차량 전체의 온도 조절을 폭 넓게 관여하는 전장품이다.
공조기(207)은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공기압축기, 난방에 사용되는 히터코어, 증발기, 쿨링모듈, 라디에이터, 블로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공조제어기(206)는 전자동 온도 조절 장치(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FATC)일 수 있다. 공조제어기(206)는 운전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바람세기, 에어컨 작동여부, 바람 방향 등을 제어할 수도 있고, 운전자가 원하는 설정 온도만 입력하면 공조기(207)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설정 온도로 동작 및 유지시켜줄 수 있다.
센싱모듈(208)은 사용자 단말(29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한 위치 정보를 공조제어기(206)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센싱모듈(208)은 사용자 단말(290)의 GPS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GPS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90)과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블루투스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90)과 무선 LAN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WiFi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를 통한 원격 공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자동차의 사용 권한이 있는 운전자는 텔레매틱스를 통한 원격 공조 제어에 권한이 있다.
원격 공조 제어에 권한을 갖는 운전자는 자신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 또는 전기자동차에 설치되는 헤드유닛을 통해 공조 설정 정보(우선 사용자 정보, 출발 시각, 공조 설정 온도) 입력할 수 있다(S310).
사용자 단말 또는 헤드유닛은 원격 공조 제어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공조제어기는 우선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제1사용자 단말의 제1위치 정보 수신할 수 있다(S320).
공조 설정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 입력되는 경우, 공조 설정 정보는 텔레매틱스 서버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텔레매틱스 모듈로 전달될 수 있다. 텔레매틱스 모듈은 차량 내부 통신을 통해 공조 제어기로 상기 공조 설정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공조제어기는 우선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제1사용자 단말의 제1위치 정보를 센싱(sensing) 모듈 또는 텔레매틱스 모듈로부터 전달 받을 수 있다.
센싱모듈은 GPS 안테나, 블루투스 안테나, WiFi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GPS 안테나, 블루투스 안테나, WiFi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1사용자 단말을 탐색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센싱모듈은 자신이 생성한 위치 정보를 차량 통신을 통해 공조제어기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공조제어기는 텔레매틱스 모듈을 통해 제1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공조제어기는 제1사용자 단말의 제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로의 제1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330).
일 실시예로, 공조제어기 자신이 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고, AVN 시스템으로 제1사용자 단말의 제1위치 정보와 전기자동차의 위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예상 도착 시간을 요청할 수 있다.
공조제어기는 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할 때, 제1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 이동 속도, 이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산출할 수 있다.
공조제어기는 우선 사용자 정보의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40).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한대에 대하여 사용 권한이 있는 다수의 운전자가 있는 경우, 다수의 운전자에 대한 원격 공조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조제어기는 제1사용자 단말 또는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공조제어기는 우선 사용자 정보의 변경이 없는 경우(S340의 "아니오"경로), 제1예상 도착 시간이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이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보다 일찍 전지자동차에 도착하면, 공조 설정 온도에 이르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사용자 단말이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보다 늦게 도착하면, 필요이상의 전력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제1예상 도착 시간이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S360의 "예"경로), 공조제어기는 공조 설정 정보를 고려하여 공조기의 활성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예상 도착 시간이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S360의 "아니오"경로), 공조제어기는 제1사용자 단말로 예상 도착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조제어기는 텔레매틱스 모듈을 통해 제1사용자 단말로 예상 도착 시간을 확인하는 메시지 및 새로운 출발 시각을 설정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텔레매틱스 모듈로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제1사용자 단말은 새로운 공조 설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310).
공조제어기가 제1사용자 단말 또는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S340의 "예" 경로), 공조제어기는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제2사용자 단말의 제2위치 정보를 센싱모듈 또는 텔레매틱스 모듈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351).
공조제어기는 제2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로의 제2예상 도착 시간을 S330에서 제1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산출할 수 있다(S352).
공조제어기는 제2예상 도착 시간이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판단하는 경우(S353의 "예" 경로), 처음 입력된 공조 설정 정보대로 공조기를 활성화할 수 있다.
다만, 제2예상 도착 시간이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S353의 "아니오" 경로), 제2사용자 단말로 제2예상 도착 시간이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메시지와 새로운 출발 시각을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제2사용자 단말은 새로운 출발 시각 또는 공조 설정 온도를 입력할 수 있다(S354).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또는 헤드유닛이 공조 설정 정보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또는 헤드유닛은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원격 공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원격 공조 제어 앱"이라 칭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가 중전 상태에 있거나 충전이 시작되면, 전기자동차에 대한 사용 권한을 가지는 복수의 사용자는 원격 공조 제어 앱을 통하여 원격 공조 제어 기능을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공조 제어 앱을 통해 공조 설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공조 설정 정보는 출발 시각, 공조 설정 온도, 우선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원격 공조 제어 앱을 통해 공조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무선 통신이 가능한 텔레매틱스 서버를 통해 공조제어기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는 헤드유닛을 통해 공조 설정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우선 사용자 정보는 미리 설정 및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리스트에서 선택(지정)될 수 있다. 현재 원격 공조 제어 앱을 사용하는 설정자는 설정자 본인 이외 다른 사용자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리스트는 원격 공조 제어 앱을 통해 이전에 미리 등록 및 삭제될 수 있다.
공조제어기가 공조 설정 정보 중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현재 공조 설정 정보를 입력하고 있는 설정자의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 리스트가 우선 사용자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설정자가 우선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현재 설정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리스트가 디폴트 값으로 우선 사용자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설정자가 공조 설정 정보의 입력을 완료하면, 공조제어기는 우선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이후, 공조제어기는 식별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센싱모듈 또는 텔레매틱스 모듈로부터 일정 주기로 지속적으로 전달 받을 수 있다. 공조제어기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로의 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공조제어기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이 전기자동차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이 어떠한 이동 경로로 접근하는지, 어떠한 이동 수단을 통해 접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영역은 사용자가 원격 공조 제어 앱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조제어기는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도보로 이동하는지 다른 이동 수단(예를 들어, 차량 또는 대중교통)을 통해 이동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상 도착 시간이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조제어기는 전기자동차로의 예상 도착 시간이 처음 입력 받은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공조제어기는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전에 사용자 단말이 도착할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도착 예상 시간보다 먼저 도착하시나요 확인을 누르시면 설정하신 차량 온도를 지금부터 미리 준비해 놓겠습니다. 거절을 누르시면 기존 도착 예상 시간에 맞춰 차량 온도가 설정 됩니다."라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공고제어기는 상기 메시지를 텔레매틱스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제어기가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최초 입력된 우선 사용자 정보는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이후,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는 제1사용자 단말 또는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도 6은 최초 우선 사용자 정보를 설정한 제1사용자 단말에 다시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다시 말해서, 최초 우선 사용자 정보를 설정한 제1사용자 단말이 스스로 제2사용자 단말로 원격 공조 제어 의 권한을 넘기는 경우이다.
반면, 도 7은 최초 우선 사용자 정보를 설정한 제1사용자 단말이 아닌 제2사용자 단말에서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를 입력되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다시 말해서, 최초 우선 사용자를 설정한 제1사용자 단말로 제2상요자 단말이 원격 공조 제어의 권한을 요청하는 경우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사용자 단말에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를 입력(재지정)하면, 텔레매틱스 서버는 새로 지정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제2사용자 단말로 우선 사용자 정보의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텔레매틱스 서버는 "공조 사용자가 변경되었습니다. 현재 설정을 유지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제2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은 최초 입력된 공조 설정 정보를 유지할 수 있고, 출발 시간 또는 공조 설정 온도를 변경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사용자 단말이 원격 공조 제어 앱을 통해 우선 사용자 정보를 변경하면, "현재 공조 사용자는 사용자 1입니다. 사용자 1에게 권한을 요청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이후, 텔레매틱스 서버는 제1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2에게 권한을 양도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이 상기 양도 요청의 메시지에 대해 양도 허락의 "YES"를 입력하는 경우, 텔레매틱스 서버는 제2사용자 단말로 양도 허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제1사용자 단말이 상기 양도 요청의 메시지에 대해 양도 불허의 "NO"를 입력하는 경우, 텔레매틱스 서버는 제2사용자 단말로 양도 불허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제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공조제어기(800)는 통신부(810), 제어부(820) 및 메모리(8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공조제어기(800)가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810)는 차량 통신을 통해 차량의 다양한 전장품 제어기들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원격 공조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제어부(820)는 공조제어기(800)를 제어하기 위해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820)는 차량의 각 전장품의 상태 정보와 공조 설정 정보에 따라 공조기를 활성화시킬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공조제어기(8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공간 및/또는 저장 영역의 총칭으로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M(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등의 형태로 제공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31)

  1. 텔레매틱스 모듈로부터 우선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공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 또는 센싱모듈로부터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제1사용자 단말의 제1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으로의 제1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예상 도착 시간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공조 설정 온도를 고려하여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배터리관리시스템으로부터 충전 상태를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배터리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충전 상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임계충전량 이상인 경우 상기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설정 정보는 헤드유닛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거나,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어 텔레매틱스 서버를 통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로 전달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GPS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센싱모듈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를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리스트에 포함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공조 설정 정보 중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공조 설정 정보를 입력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 리스트를 우선 사용자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예상 도착 시간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상기 출발 시각에 대한 확인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어 변경된 공조 설정 정보를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 이동 속도, 이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제1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의 변경이 없는 경우 상기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의 변경이 없는 경우 상기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제2사용자 단말의 제2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제2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예상 도착 시간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공조 설정 온도를 고려하여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어 텔레매틱스 서버를 통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로 전달되어 상기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변경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의 제어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7. 텔레매틱스 모듈로부터 우선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공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 또는 센싱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제1사용자 단말의 제1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으로의 제1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예상 도착 시간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공조 설정 온도를 고려하여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관리시스템으로부터 충전중임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충전 상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임계충전량 이상인 경우 상기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설정 정보는 헤드유닛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거나,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어 텔레매틱스 서버를 통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로 전달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GPS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센싱모듈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를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리스트에 포함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공조 설정 정보 중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조 설정 정보를 입력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 리스트를 우선 사용자 정보로 설정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예상 도착 시간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상기 출발 시각에 대한 확인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시키는,
    전기차 공조제어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어 변경된 공조 설정 정보를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 이동 속도, 이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제1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우선 사용자 정보의 변경이 없는 경우 상기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제2사용자 단말의 제2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으로의 제2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하하고,
    상기 제2예상 도착 시간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출발 시각의 오차 시간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공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공조 설정 온도를 고려하여 공조기를 활성화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어 텔레매틱스 서버를 통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로 전달되어 상기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변경된 우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변경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전기차 공조제어기.
KR1020160146469A 2016-11-04 2016-11-04 전기자동차 공조제어기 및 제어 방법 KR102648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469A KR102648810B1 (ko) 2016-11-04 2016-11-04 전기자동차 공조제어기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469A KR102648810B1 (ko) 2016-11-04 2016-11-04 전기자동차 공조제어기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935A true KR20180049935A (ko) 2018-05-14
KR102648810B1 KR102648810B1 (ko) 2024-03-19

Family

ID=6218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469A KR102648810B1 (ko) 2016-11-04 2016-11-04 전기자동차 공조제어기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8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4039A (ja) * 1999-03-12 2000-09-26 Honda Motor Co Ltd 共用車両の空調制御装置
JP2003072352A (ja) * 2001-08-31 2003-03-12 Toshihiko Furukawa 車両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4039A (ja) * 1999-03-12 2000-09-26 Honda Motor Co Ltd 共用車両の空調制御装置
JP2003072352A (ja) * 2001-08-31 2003-03-12 Toshihiko Furukawa 車両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810B1 (ko) 202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4459B2 (en) Method for a motor vehicle
CN110667332B (zh) 远程管理车队的气候控制系统的系统和方法
US10875420B2 (en) Full-service charging station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4344503B (zh) 用于对车辆进行持续空气调节的方法和装置
US8825354B2 (en) System for supporting a user of a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JP5578279B2 (ja) 車両の空調遠隔操作システム、サーバー、および、携帯端末
CN110618675A (zh) 自动驾驶控制装置、具有该自动驾驶控制装置的车辆以及控制该车辆的方法
KR102526968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093393A1 (en) Charging control apparatus
CN108202608A (zh) 对电池充电的电动车辆及其系统和电动车辆电池充电方法
US20200300648A1 (en) Generating a Current Operating Strategy Proposal for a Vehicle
JP2024510864A (ja) 車両通信及び監視
CN104834275A (zh) 车辆的远程监控系统和方法
JP2006347295A (ja) 車両電気負荷の制御装置
JP7289623B2 (ja) 電動車両の動作方法、電動車両及び非一過性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CN106059627A (zh) 在无线载波之间的加速移交
EP3670247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vehicle for a journey
JP2019079181A (ja) 送迎システム
KR20200143882A (ko) 차량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68477A (ko)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원격 제어 방법
JP2023027348A (ja) 連携制御システム、連携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WO2019077998A1 (ja) 車両空調管理装置、車両空調管理システムおよび車両空調管理方法
US201700677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power-saving vehicular utilization changes
JP2019064357A (ja) 空調制御システム
KR102648810B1 (ko) 전기자동차 공조제어기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