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575A - 터치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575A
KR20180049575A KR1020160145648A KR20160145648A KR20180049575A KR 20180049575 A KR20180049575 A KR 20180049575A KR 1020160145648 A KR1020160145648 A KR 1020160145648A KR 20160145648 A KR20160145648 A KR 20160145648A KR 20180049575 A KR20180049575 A KR 20180049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upport body
guide
butt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6432B1 (ko
Inventor
사성진
오광명
박성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5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432B1/ko
Priority to US15/795,446 priority patent/US10437400B2/en
Publication of KR20180049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3Accessories for touch pads or touch screens, e.g. mechanical guides added to touch screens for drawing straight lines, hard keys overlaying touch screens or touch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17/955Proximity switches using a capacitive dete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4Key guide hol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3/00Lamps having an incandescent body which is substantially non-conductive until heated, e.g. Nernst lamp
    • H01K13/02Heating arrangements
    • H01K1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dischar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17/9622Capacitive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5Touch switches using a force resistance transduc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54Double function: touch detection combined with detection of a movabl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장치는, 하나 이상의 구획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2 이상의 입력부를 가진 터치센싱부재; 상기 터치센싱부재의 저면에 설치된 복수의 포스센서; 및 상기 터치센싱부재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터치센싱부재에 수직방향으로 반력을 제공하고, 상기 구획라인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를 가질 수 있다. 2 이상의 입력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에서는 시어포스에 의한 모멘트가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입력장치{TOUCH INPUT DEVICE}
본 발명은 터치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센싱부재의 표면에 물리적 조작부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블라인드 컨트롤(blind control) 및 그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입력장치(예컨대,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는 포인팅 오브젝트(사용자의 손가락, 스타일러스 팁 등)의 터치를 센싱하고, 그 터치의 특성(힘의 세기, 터치 위치, 이동방향 등)을 결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터치입력장치는 저항 기반 터치입력장치(resistive-based touch input device), 정전용량 기반 터치입력장치(capacitance-based touch input device), 포스 기반 터치입력장치(force-based touch input device), 적외선 기반 터치입력장치(infrared-based touch input device), 초음파 기반 터치입력장치(surface acoustic wave-based touch input device)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터치입력장치는 컴퓨터 디스플레이장치, 입출금자동화기기, 이동 단말기, 노트북의 터치패드, 차량용 터치입력부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차량용 터치입력부 등에 적용되는 종래의 터치입력장치는 정전용량형 터치패드가 주로 이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정전용량형 터치패드는 터치영역의 물리적 구분이 없으므로 오조작의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블라인드 컨트롤이 불가능하고, 물리적 조작감이 없으므로 피드백이 부족하며, 조작 직관성(Intuitive Manipulation) 내지 행위 유도성 등이 부족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 터치센싱부재에 물리적 조작감을 부여할 수 있는 기계적 조작유닛을 분리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블라인드 컨트롤(blind control)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장치는,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센싱부재; 및
상기 터치센싱부재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기계적 조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기계적 조작유닛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터치 버튼 및 상기 터치 버튼을 지지하는 지지바디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센싱부재에 물리적 조작감을 부여할 수 있는 기계적 조작유닛을 분리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블라인드 컨트롤(blind control) 및 그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버튼이 가이드유닛에 의해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시어포스 등과 같은 의도하지 않은 힘의 입력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의 기계적 조작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의 기계적 조작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의 기계적 조작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의 기계적 조작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의 기계적 조작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의 기계적 조작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의 기계적 조작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의 기계적 조작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의 기계적 조작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의 기계적 조작유닛이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의 기계적 조작유닛이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의 기계적 조작유닛이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의 기계적 조작유닛이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장치는,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센싱부재(10, touch sensing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싱부재(10)는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상면에 터치면(10a)을 가질 수 있다. 터치면(10a)은 수평방향을 따라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거나 수평면 상에서 부분적인 굴곡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터치센싱부재(10)의 가장자리가 케이스(15)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고, 이에 터치센싱부재(10)는 케이스(15)에 대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터치센싱부재(10)의 저면에는 복수의 포스센서(5)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포스센서(5)에 의해 터치센싱부재(10)는 포스기반의 터치입력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포스센서(5)는 터치센싱부재(10)에 결합될 수 있고, 특히 포스센서(5)들은 터치면(10a)의 반대면에 해당하는 터치센싱부재(10)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포스센서(5)는 스트레인게이지 또는 정전식 포스센서 등일 수 있다.
터치센싱부재(10)에 물리적 조작감을 부여할 수 있는 기계적 조작유닛(20)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기계적 조작유닛(20)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터치 버튼(21, touch button) 및 터치 버튼(21)을 지지하는 지지바디(22, support body)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버튼(21)은 다양한 물리적 조작감을 부여하도록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터치 버튼(21)은 서로 간의 간섭을 방지함과 더불어 터치의 입력이 중첩되게 인식함을 방지하도록 충분히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터치 버튼(21)의 하단에는 터치팁(23)이 터치면(10a)을 향해 돌출하고, 터치팁(23)의 단면은 터치의 입력에 적합한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버튼(21)은 지지바디(22)의 개구(24)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터치 버튼(21)을 누르지 않은 경우, 즉 터치 미입력 시에는 터치팁(23)이 터치면(10a)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터치 버튼(21)이 지지바디(2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치 버튼(21)은 탄성부재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터치 버튼(21)을 누를 경우에만 그 터치에 따른 힘이 터치면(10a)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센서(5)는 터치에 의한 힘을 센싱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터치 버튼(21)을 누르지 않은 경우 즉, 터치 미입력 시에 터치팁(23)이 터치면(10a)에 접촉한 상태로 터치 버튼(21)이 지지바디(2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터치 버튼(21)을 누르지 않은 경우에도 터치 버튼(21) 및 지지바디(22)의 하중이 터치면(10a)에 미세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이에, 터치 버튼(21)을 누를 경우에 즉, 터치 입력시에는 복수의 센서(5)가 터치 버튼(21) 및 지지바디(22)로부터 미세하게 전달되는 하중을 차감하여 터치에 의한 힘을 센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바디(22)는 하나 이상의 개구(24)를 가지고, 개구(24)에는 터치 버튼(21)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바디(22)는 터치센싱부재(10)의 터치면(10a) 또는 케이스(15)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에 기계적 조작유닛(20)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을 경우에는 기계적 조작유닛(20)을 분리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터치 버튼(21)은 가이드유닛(3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버튼(21)의 수직방향 이동이 가이드유닛(30)에 의해 가이드됨으로써 시어포스 등과 같은 의도하지 않은 힘의 입력을 제한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유닛(30)은 터치 버튼(21)의 측면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31) 및 지지바디(22)의 개구(24)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어 가이드부(3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3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31)가 가이드홈(32)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됨에 따라 터치 버튼(21)은 지지바디(2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부(31)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가이드부(31)는 연결부(33)를 통해 터치 버튼(21)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부(33)는 터치 버튼(21)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바디(22)의 개구(24) 측면에는 연결부(33)를 가이드하는 보조가이드홈(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33)가 보조가이드홈(34)을 따라 가이드됨에 따라 가이드부(31)가 가이드홈(32)을 따라 가이드될 때 간섭 내지 방해를 받지 않을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33)의 길이가 가이드부(31)의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되며, 보조가이드홈(34)의 길이가 가이드홈(3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3)의 길이 및 보조가이드홈(34)의 길이는 가이드부(31)가 가이드홈(32)을 따라 가이드될 때 간섭 내지 방해 받지 않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연결부(33)가 터치 버튼(21)의 양측면 중간부에서 각각 연장되고, 한 쌍의 연결부(33)에 대응하여 한 쌍의 보조가이드홈(34)이 개구(24)의 양측 중간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부(31)는 한 쌍의 연결부(33)를 통해 터치 버튼(21)의 양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부(31) 및 한 쌍의 연결부(33)이 터치 버튼(21)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됨으로써 터치 버튼(21)의 수직방향 이동이 보다 정밀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연결부(33)가 터치 버튼(21)의 상단 양측에서 연장되고, 한 쌍의 연결부(33)에 대응하여 한 쌍의 보조가이드홈(34)이 개구(24)의 상단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부(31)는 한 쌍의 연결부(33)를 통해 터치 버튼(21)의 양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부(31) 및 한 쌍의 연결부(33)이 터치 버튼(21)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됨으로써 터치 버튼(21)의 수직방향 이동이 보다 정밀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부(31)의 하단에는 스토퍼부(31a)가 형성되고, 스토퍼부(31a)는 가이드부(3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부(31a)에 대응하여 가이드홈(32)의 하단에는 스토퍼홈(3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부(31a) 및 스토퍼홈(32a)을 통해 터치 버튼(21)이 지지바디(22)의 개구(24)로부터 완전히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제1연결부(33)가 터치 버튼(21)의 상단 양측에서 연장되고, 한 쌍의 제2연결부(35)가 터치 버튼(21)의 하단 양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제1연결부(33)에 대응하여 한 쌍의 제1보조가이드홈(34)이 개구(24)의 상단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연결부(35)에 대응하여 한 쌍의 제2보조가이드홈(36)이 개구(24)의 하단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제1가이드부(31)는 한 쌍의 제1연결부(33)를 통해 터치 버튼(21)의 상단 양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가이드부(37)는 한 쌍의 제2연결부(35)를 통해 터치 버튼(21)의 하단 양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바디(22)에는 한 쌍의 제1가이드부(31) 및 한 쌍의 제2가이드부(37)이 각각 가이드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홈(32) 및 한 쌍의 제2가이드홈(3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바디(22)에는 한 쌍의 제1연결부(33) 및 한 쌍의 제2연결부(35)이 각각 가이드되는 한 쌍의 제1보조가이드홈(34) 및 한 쌍의 제2보조가이드홈(3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 쌍의 가이드부(31, 37) 및 2 쌍의 연결부(33, 35)이 터치 버튼(21)에 대칭적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버튼(21)의 수직방향 이동이 보다 정밀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유닛(30)은 지지바디(22)의 개구(24)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롤러(39)를 포함하고, 터치 버튼(21)의 양측면이 한 쌍의 가이드롤러(39)와 구름접촉하면서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터치 버튼(21)의 상부 및 하부에는 스토퍼부(25, 27)가 돌출하고, 이러한 스토퍼부(25, 27)에 의해 터치 버튼(21)이 지지바디(22)의 개구(24)로부터 완전히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터치 버튼(21)은 탄성부재(41, 42, 43, 44, 45)에 의해 지지바디(22)에 대해 탄성적으로 복원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41, 42, 43, 44, 45)는 터치 버튼(21)을 상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설치되고, 이에 따라 터치 버튼(21)을 누르지 않으면 터치 버튼(21)의 터치팁(23)은 탄성부재(41, 42, 43, 44, 45)의 탄성력에 의해 터치센싱부재(10)의 터치면(10a)과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포인팅 오브젝트(사용자의 손가락, 스타일러스 팁 등)이 터치 버튼(21)을 누르면, 터치 버튼(21)을 누르는 힘이 탄성부재(41, 42, 43, 44, 45)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이에 터치 버튼(21)의 터치팁(23)이 터치센싱부재(10)의 터치면(10a)을 터치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41)는 일정곡률로 곡면진 판스프링(leaf sprin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41)의 일단이 터치 버튼(21)의 측면에 고정되고, 탄성부재(41)의 타단이 지지바디(22)의 개구(24) 내측면에 고정됨으로써 탄성부재(41)는 터치 버튼(21)의 측면과 지지바디(22)의 개구(24)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한 쌍의 탄성부재(41)가 터치 버튼(21)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42)는 대직경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42)의 일단이 터치 버튼(21)의 측면에 고정되고, 탄성부재(42)의 타단이 지지바디(22)의 개구(24) 내측면에 고정됨으로써 탄성부재(42)는 터치 버튼(21)의 측면과 지지바디(22)의 개구(24)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한 쌍의 탄성부재(42)가 터치 버튼(21)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43)는 소직경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바디(22)의 개구(24)의 하단에는 리테이너(26)가 내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탄성부재(43)의 하단은 리테이너(26)에 지지되고, 탄성부재(43)의 상단은 터치 버튼(21)의 저면에 지지됨으로써 탄성부재(43)의 축선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한 쌍의 탄성부재(43)가 터치 버튼(21)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44)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탄성부재(44)는 터치 버튼(21)의 터치팁(23)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45)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탄성부재(45)의 축선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45)의 상단은 터치 버튼(21)의 저면에 지지되고, 탄성부재(45)의 하단은 터치면(10a)에 지지되며, 탄성부재(45)의 코일부는 터치팁(23)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미입력시(터치 버튼(21)을 누르지 않은 상ㅌ)에도 탄성부재(44, 45)의 하단이 터치면(10a)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터치 미입력 시에도 탄성부재(44, 45), 터치 버튼(21), 및 지지바디(22) 등의 하중이 터치면(10a)에 미세하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센서(5)는 탄성부재(44, 45), 터치 버튼(21), 및 지지바디(22) 등의 하중을 차감하고 터치에 따른 힘을 센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지지바디(22)의 가장자리가 케이스(15)의 가장자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에 기계적 조작유닛(20)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을 경우에는 기계적 조작유닛(20)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터치센싱부재(10)의 터치면(10a)을 직접적으로 터치할 수도 있다.
도 11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바디(22)의 가장자리에는 제1자석(51)이 매립되도록 설치되고, 케이스(15)의 가장자리에는 제2자석(52)이 매립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제1자석(51)과 제2자석(52)의 자력에 의해 지지바디(22)는 케이스(15)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지지바디(22)의 가장자리가 케이스(15)의 가장자리에 스냅결합됨으로써 지지바디(22)는 케이스(15)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2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바디(22)의 가장자리에는 케이스(15)의 가장자리 측면을 덮는 연장부(53)가 형성될 수 있고, 연장부(53)의 내면에는 결합돌기(54)가 돌출하며, 케이스(15)의 가장자리 측면에는 결합홈(55)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54)는 하나 이상의 경사면(54a, 54b)을 가질 수 있고, 2개의 경사면(54a, 54b)이 상하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결합홈(55)은 결합돌기(54)의 경사면(54a, 54b)에 부합되는 하나 이상의 경사면(55a, 55b)을 가질 수 있고, 2개의 경사면(55a, 55b)은 상하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결합돌기(54)의 경사면(54a, 54b)이 결합홈(55)의 경사면(54a, 54b)에 부합되도록 결합돌기(54)가 결합홈(55)에 스냅결합되면 지지바디(22)는 케이스(15)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돌기(54)의 경사면(54a, 54b) 및 결합홈(55)의 경사면(55a, 55b)을 통해 지지바디(22)는 케이스(15)에 매우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도 13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바디(22)의 가장자리 저면에는 결합돌기(57)가 돌출하고, 케이스(15)의 가장자리 상면에는 결합홈(58)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57)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단면(diamond shape cross section)을 가질 수 있고, 결합홈(58)은 결합돌기(57)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이아몬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결합돌기(57)가 결합홈(58)에 스냅결합되면 지지바디(22)는 케이스(15)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돌기(57) 및 결합홈(58)이 다이아몬드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지바디(22)는 케이스(15)에 매우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도 14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바디(22)의 저면에는 흡착컵(61)이 설치되고, 흡착컵(61)이 진공흡착방식으로 터치센싱부재(10)의 터치면(10a)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포스센서(5)는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기계적 조작유닛(20)의 터치 버튼(21)의 터치팁(23)이 터치센싱부재(10)의 터치면(10a)을 터치하면, 터치센싱부재(10)를 통해 복수의 포스센서(5)로 그 힘이 전달될 수 있고, 각 포스센서(5)의 위치에 가해지는 상대적인 힘의 세기를 측정하며, 제어부(미도시)는 각 포스센서(5)에 의해 측정된 상대적인 힘의 세기들을 힘의 방정식 및 모멘트 방적식 등에 대입하여 터치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터치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버튼(21)의 터치팁(23)에 의해 터치센싱부재(10)의 설정된 터치영역을 터치하면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터치센싱부재
20: 기계적 조작유닛
21: 터치 버튼
22: 지지바디
31: 가이드부
32: 가이드홈
41, 42, 43, 44, 45: 탄성부재

Claims (10)

  1.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센싱부재; 및
    상기 터치센싱부재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기계적 조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기계적 조작유닛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터치 버튼 및 상기 터치 버튼을 지지하는 지지바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가지고, 상기 개구에는 상기 터치 버튼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터치입력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버튼은 가이드유닛에 의해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되는 터치입력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터치 버튼의 측면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터치입력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지지바디의 개구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롤러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버튼의 양측면이 한 쌍의 가이드롤러와 구름접촉하면서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되는 터치입력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버튼은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바디에 대해 탄성적으로 복원가능하게 설치되는 터치입력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싱부재의 가장자리가 케이스에 설치되는 터치입력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의 가장자리는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에 분리가능하게 스냅결합되는 터치입력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의 가장자리는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에 자력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터치입력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싱부재의 저면에는 복수의 포스센서가 설치되는 터치입력장치.
KR1020160145648A 2016-11-03 2016-11-03 터치입력장치 KR101956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648A KR101956432B1 (ko) 2016-11-03 2016-11-03 터치입력장치
US15/795,446 US10437400B2 (en) 2016-11-03 2017-10-27 Touch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648A KR101956432B1 (ko) 2016-11-03 2016-11-03 터치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575A true KR20180049575A (ko) 2018-05-11
KR101956432B1 KR101956432B1 (ko) 2019-03-08

Family

ID=62066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648A KR101956432B1 (ko) 2016-11-03 2016-11-03 터치입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37400B2 (ko)
KR (1) KR1019564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9007A1 (en) * 2015-09-15 2017-03-23 Interlink Electronics, Inc. Multi-modal vehicle door handle
US10394342B2 (en) * 2017-09-27 2019-08-27 Facebook Technologies, Ll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representing user interactions with real-world input devices in a virtual space
CN108268179B (zh) * 2018-03-28 2021-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触控板模组及电子设备
CN208608095U (zh) * 2018-07-17 2019-03-15 纬联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按键、开关模块及具有开关模块的计算机壳体
CN112429071A (zh) * 2020-11-30 2021-03-02 奇瑞商用车(安徽)有限公司 方向盘集成控制面板及车辆
TWI763340B (zh) * 2021-02-26 2022-05-01 宏碁股份有限公司 觸控板機構
CN113098476A (zh) * 2021-04-19 2021-07-09 烟台正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拆卸式触摸按键装置
US11755125B1 (en) * 2023-05-08 2023-09-12 Norbauer & Co. Llc Stabilizer mechanism for a keyboard and a keyboard having the stabilizer mechanis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995673U (zh) * 2012-11-30 2013-06-12 深圳市深越光电技术有限公司 触摸屏盲操辅助装置
JP2016507119A (ja) * 2013-02-08 2016-03-07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容量感知に基づく力判定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8142A (en) 1989-03-14 1991-08-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uch sensing display screen apparatus
JPH0455611U (ko) * 1990-09-12 1992-05-13
DE20001024U1 (de) * 2000-01-21 2000-06-08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Membranschalter
US20020149571A1 (en) * 2001-04-13 2002-10-17 Roberts Jerry B. Method and apparatus for force-based touch input
US20040125086A1 (en) * 2002-12-30 2004-07-01 Hagermoser Edward S. Touch input device having removable overlay
US20060181517A1 (en) * 2005-02-11 2006-08-17 Apple Computer, Inc. Display actuator
US7508377B2 (en) * 2004-03-05 2009-03-24 Nokia Corporation Control and a control arrangement
US7772512B2 (en) * 2004-04-07 2010-08-10 T.K.M. Unlimited, Inc. Push plate assembly
FR2875024B1 (fr) * 2004-09-09 2007-06-08 Itt Mfg Enterprises Inc Dalle tactile comportant des moyens pour produire une impulsion mecanique en reponse a une action de commande, et agencement pour le montage de cette dalle
ITVR20040040U1 (it) * 2004-12-10 2005-03-10 Vemer Siber Group S P A Interruttore
US7351928B2 (en) * 2005-06-10 2008-04-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ey input device
DE102006047893A1 (de) * 2005-12-01 2007-06-06 Volkswagen Ag Eingabe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JP2007326491A (ja) * 2006-06-08 2007-12-20 Toyota Motor Corp 車両用入力装置
JP2008177094A (ja) * 2007-01-19 2008-07-31 Yazaki Corp スイッチ
US9329719B2 (en) 2007-03-15 2016-05-03 Apple Inc. Hybrid force sensitive touch devices
JP4882842B2 (ja) * 2007-04-10 2012-0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US7630200B1 (en) * 2008-05-29 2009-12-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tactile touch screen display
US8279029B2 (en) * 2008-07-10 2012-10-02 Flextronics Automotive, Inc. Weatherproof switch for indoor and outdoor information clusters and function switches
DE102008040755B4 (de) * 2008-07-25 2011-10-0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Berührungsempfindliche Anzeigevorrichtung mit integriertem mechanischem Bedienelement für Kraftfahrzeuge
US8279183B2 (en) * 2008-10-30 2012-10-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CN104035720B (zh) * 2009-04-22 2017-04-12 三菱电机株式会社 位置输入装置
US20100300772A1 (en) * 2009-05-28 2010-12-02 Synaptics Incorporated Depressable touch sensor
CN101908874A (zh) * 2009-06-03 2010-12-08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具有机械触感的电容式数据输入装置
US8421761B2 (en) * 2009-08-26 2013-04-16 General Electric Company Imaging multi-modality touch pad interface systems, methods, articles of manufacture, and apparatus
US20110107958A1 (en) * 2009-11-12 2011-05-12 Apple Inc. Input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on
JP5526761B2 (ja) * 2009-12-22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センサ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JP5540797B2 (ja) * 2010-03-19 2014-07-02 ソニー株式会社 センサ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9310905B2 (en) * 2010-04-23 2016-04-12 Handscape Inc. Detachable back mounted touchpad for a handheld computerized device
US20170255285A1 (en) * 2010-04-23 2017-09-07 Handscape Inc., A Delaware Corporation Detachable back mounted touchpad for a handheld computerized device
US8188398B2 (en) * 2010-06-23 2012-05-29 Ching-Hsiung Chu Press switch
US9041665B2 (en) * 2011-01-03 2015-05-26 Ten One Design, LLC Devices and processes for data input
US8309870B2 (en) * 2011-01-04 2012-11-13 Cody George Peterson Leveled touchsurface with planar translational responsiveness to vertical travel
EP2474987B1 (de) * 2011-01-05 2013-05-29 EAO Holding AG Einbauschalter
ES1073942Y (es) * 2011-02-01 2011-06-06 Lorenzo Ind Sa Unidad de interruptor de pulsador con dispositivo visualizador
US9436281B2 (en) * 2011-04-26 2016-09-06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tactile feedback
EP2629422B1 (de) * 2012-02-15 2014-08-20 Flextronics International Kft. Kapazitiver Schalter
ITTO20120749A1 (it) * 2012-08-30 2014-03-01 Bitron Spa Dispositivo di comando per interruttori
EP2713380B1 (de) * 2012-09-26 2016-11-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Drucktaster-Kompaktbauteil
JP6020005B2 (ja) * 2012-09-27 2016-11-02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しボタン式スイッチ、セレクタスイッチ、それらの固定部品
US9081452B2 (en) * 2012-11-19 2015-07-1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enabling registration of user actuations
DE102013205577A1 (de) * 2013-03-28 2014-10-02 Zf Friedrichshafen Ag Tastenmodul für eine Taste einer Tastatu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Tastenmoduls für eine Taste einer Tastatur
DE102013210609A1 (de) * 2013-06-07 2014-12-11 Zf Friedrichshafen Ag Tastenstößel für ein Tastenmodul einer Taste für eine Tastatur, Tastenmodul einer Taste für eine Tastatu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selben
US9368300B2 (en) * 2013-08-29 2016-06-14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lighting spring loaded mechanical key switches
JP6234825B2 (ja) * 2014-01-14 2017-11-22 Nkkスイッチズ株式会社 額縁レス表示装置
US9261965B2 (en) * 2014-02-04 2016-02-16 The Boeing Company Touch surface overlay panel
US9632602B2 (en) * 2014-11-04 2017-04-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abric laminated touch input device
US9569024B2 (en) * 2014-11-12 2017-02-14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Display module with heat dissipation structure and handheld device thereof
KR102256049B1 (ko) * 2014-12-12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버튼 장치
JP2016154077A (ja) * 2015-02-20 2016-08-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CN204598490U (zh) * 2015-04-02 2015-08-26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电子设备、电子设备的开关装置及其开关组件
JP6579484B2 (ja) * 2015-06-02 2019-09-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および時計
CN105355496A (zh) * 2015-11-24 2016-02-24 东莞市高特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霍尔原理的led灯机械键盘开关
CA2913671A1 (en) * 2015-12-02 2017-06-02 Pat S. Hao Thin keyswitch, keyboard and keyboard overlay
KR101755938B1 (ko) * 2015-12-14 2017-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
US10026569B2 (en) * 2016-02-03 2018-07-17 Precision Circuits Inc. Modular switch panel assembly
JP6643717B2 (ja) * 2016-04-25 2020-02-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US10401962B2 (en) * 2016-06-21 2019-09-03 Immersion Corporation Haptically enabled overlay for a pressure sensitive surface
US9984837B2 (en) * 2016-07-28 2018-05-29 Safety Technology International, Inc. Multi configurable alarm station incorporating a push button assembly and assembly kit therefor
JP6798818B2 (ja) * 2016-08-10 2020-12-09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および前記スイッチ装置が取付けられた検知装置
JP6607573B2 (ja) * 2016-08-10 2019-11-20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6660856B2 (ja) * 2016-09-05 2020-03-11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TWI703600B (zh) * 2016-10-14 2020-09-01 美商伊利諾工具工程公司 用於閂鎖之裝置與方法以及包括此閂鎖裝置之切換系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995673U (zh) * 2012-11-30 2013-06-12 深圳市深越光电技术有限公司 触摸屏盲操辅助装置
JP2016507119A (ja) * 2013-02-08 2016-03-07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容量感知に基づく力判定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6-507119호(2016.03.07.) 1부. *
중국실용신안등록공보 202995673(2013.06.12.)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432B1 (ko) 2019-03-08
US10437400B2 (en) 2019-10-08
US20180129322A1 (en)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432B1 (ko) 터치입력장치
EP2145244B1 (en) Mouse
WO2019116490A1 (ja) 操作支援装置、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入力システム
CN105549752B (zh) 磁偏置缩回按键组合件和键盘
US20200348757A1 (en) Force sensors for haptic surfaces
US11782530B2 (en) Touch pad and computer
US2015027762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apacitive force sensing on keyboard keys using a compressible dielectric
US9941879B2 (en) Key including capacitive sensor
US20190107889A1 (en) Input device
KR20100083269A (ko) 고정형 마우스
JP2015064852A (ja) タッチパッド
KR20160031295A (ko) 터치 디바이스, 터치 펜 및 터치 패널
JP5147821B2 (ja) 入力装置
KR20100118858A (ko) 화면 스크롤 기능을 구비하는 스크롤 마우스
JP2012146267A (ja) 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15225076A (zh) 按压感测单元及应用其的电容式混合感测元件及输入装置
KR20170138194A (ko) 터치입력장치
KR20110092669A (ko) 정전용량식 하이브리드 기능버튼
US11928293B2 (en) Input device
KR102519018B1 (ko) 햅틱 반응형 전장 스위치
KR102154169B1 (ko) 3축 포스센서
WO2013129036A1 (ja) 入力部の構造、入力装置および入力方法
WO2023026018A1 (en) Button structure
JPS6146512A (ja) 入力装置用ペン
WO2018047791A1 (ja) 入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