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524A -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524A
KR20180045524A KR1020160139972A KR20160139972A KR20180045524A KR 20180045524 A KR20180045524 A KR 20180045524A KR 1020160139972 A KR1020160139972 A KR 1020160139972A KR 20160139972 A KR20160139972 A KR 20160139972A KR 20180045524 A KR20180045524 A KR 20180045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eg plate
cushion
cushion panel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7820B1 (ko
Inventor
배석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60139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8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95Lower-leg-rests, e.g. calf-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52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with relations between different adjustments, e.g. height of headrest following longitudinal position of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시트쿠션의 밑면에 결합되는 쿠션판넬과, 쿠션판넬의 전단부에 힌지 결합되되, 수직상태로 결합되며 탑승자가 다리를 올리기 위한 레그 플레이트와, 쿠션판넬과 레그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레그 플레이트의 사용시 레그 플레이트를 수평상태로 작동시키면서 쿠션판넬의 전방부를 상승시키기 위한 작동링크와, 작동링크에 연결되며 작동링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함으로써, 레그 레스트의 사용시 작동링크의 작동으로 레그 플레이트가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펼쳐지면서 시트쿠션의 전단부도 상승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탑승자의 허벅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탑승자의 피로감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 {Leg Rest Of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다리를 지지하기 지지하기 위한 다리 지지부재가 시트쿠션의 전단부에서 펼쳐질 때, 시트쿠션의 전단부도 함께 상승되도록 하여 시트쿠션과 허벅지 사이의 갭을 없애 탑승자의 허벅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에는 탑승자가 보다 편안하게 착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여러 가지 편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편의장치 중에서 레그 레스트는 시트쿠션의 하단부가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시트쿠션에 설치되어 시트쿠션에 착석한 승객의 다리가 편안한 자세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레그 레스트의 일예가 한국공개특허 2012-0045648(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으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시트를 기준으로 레그 플레이트가 상하로 회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특허문헌1에 개시된 레그 레스트는, 탑승자가 다리를 올리기 위한 레그 플레이트의 상단부가 시트쿠션의 전방에 힌지 고정되어 있고, 미사용시 수직 상태에서 회전되어 수평상태로 되도록 구성된다.
레그 플레이트는 다수의 링크에 의해 시트쿠션의 전단부에 힌지 결합되되, 수직 상태로 세워져 구비된다. 이 레그 플레이트의 배면에는 레그 플레이트가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고, 이 동력을 레그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작동부와 구동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특허문헌1에 개시된 레그 레스트는 구동부에 의해 발생된 동력이 작동부로 전달된 후에 작동부에 의해 시트쿠션의 전단부에 수직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레그 플레이트가 회동하여 수평상태가 된다.
이렇게 레그 플레이트가 수평 상태가 되면, 레그 플레이트에 다리의 종아리 부분이 올려져 지지된다.
그러면, 도 1과 같이, 탑승자 다리에서 종아리 중간 부분의 밑면이 레그 플레이트(1)의 전방부에 지지되고, 허벅지의 중간부분의 밑면이 시트쿠션(2)의 윗면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즉, 탑승자가 다리가 완전히 일자 형태로 펼쳐지지 않고 무릎을 중심으로 종아리와 허벅지 부분이 일정각도를 가진 상태로 펼쳐지기 때문에, 시트쿠션(2)의 전단부와 허벅지의 전방부 밑면 사이에 일정거리만큼 갭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레그 레스트(1)의 다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감이 부족하게 되며, 탑승자에게 피로감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2012-004564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리의 올려놓기 위한 레그 플레이트의 사용시 시트쿠션의 전단부를 상승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탑승자의 허벅지 지지감을 증대시켜 피로도를 덜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쿠션의 밑면에 결합되는 쿠션판넬과, 쿠션판넬의 전단부에 힌지 결합되되, 수직상태로 결합되며 탑승자가 다리를 올리기 위한 레그 플레이트와, 쿠션판넬과 레그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레그 플레이트의 사용시 레그 플레이트를 수평상태로 작동시키면서 쿠션판넬의 전방부를 상승시키기 위한 작동링크와, 작동링크에 연결되며 작동링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동링크는, 쿠션판넬의 전단부 밑면에 일측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타측단부가 지면을 향하여 경사져서 배치되되 타측단이 일측단보다 시트의 전방쪽에 위치하는 제1링크와, 레그 플레이트의 상단에 일측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타측단부가 지면을 향하여 경사져서 배치되되, 타측단이 일측단보다 시트의 후방에 위치하여 제1링크와 크로스되어 배치되는 제2링크와, 제1링크의 타측단부와 제2링크의 타측단부를 연결하면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링크의 타측단부는 제2링크의 타측단부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제1링크의 길이가 제2링크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링크는, 제1링크의 타측단부에 연결되는 수평부와, 제2링크의 타측단부에 연결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되, 수평부와 수직부가 만나는 부분이 구동모터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되는 힌지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그 플레이트는, 쿠션판넬에 결합되는 부분이 제2링크가 결합되는 부분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쿠션판넬에는 전단부에서 절곡 형성되되, 쿠션판넬의 전단부보다 하측에서 레그 플레이트가 힌지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그 레스트의 사용시 작동링크의 작동으로 레그 플레이트가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펼쳐지면서 시트쿠션의 전단부도 상승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탑승자의 허벅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탑승자의 피로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시트 레그레스트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레그 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레그 레스트의 사용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레그 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레그 레스트의 사용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시트는 시트쿠션과 시트백으로 크게 구성되며, 시트쿠션은 쿠션판넬에 결합되고, 시트백은 시트백 프레임(미도시)에 결합된다.
한편, 시트는 시트백의 상부에 구비되어 머리를 기대기 위한 헤드레스트와, 시트쿠션의 전방의 단부에 힌지 고정되어 다리를 올릴 수 있도록 한 레그 레스트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100)는 레그 레스트의 사용시 즉, 탑승자가 다리를 올리기 위하여 레그 플레이트(120)를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작동시킬 때 시트쿠션의 쿠션판넬(110)의 전단부를 상승시키기 위한 것으로, 쿠션판넬(110), 레그 플레이트(120), 작동링크(130), 구동모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쿠션판넬(110)은 시트쿠션의 밑면에 결합되어 시트쿠션에 착석하는 탑승자의 앉은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탑승자의 엉덩이와 허벅지가 올려지도록 평평한 판부재로 구성된다. 이 쿠션판넬(110)은 탑승자의 엉덩이와 허벅지가 지지될 때, 엉덩이를 지지하는 부분이 허벅지를 지지하는 부분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레그 플레이트(120)는 그 일단부(미사용시 상단부)가 쿠션판넬(110)의 전단부에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레그 플레이트(120)는 탑승자의 다리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쿠션부재를 포함한다. 즉, 레그 플레이트(120)는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판부재와, 판부재 윗면에 결합되어 다리를 올렸을 때 탄력을 느낄 수 있도록 스펀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쿠션부재로 구성되는 것이다.
레그 플레이트(120)는 그 일단부가 쿠션판넬(110)의 전단부에 힌지 결합될 때, 그 일단부 끝에서 하측으로 이격된 부분이 쿠션판넬(110)의 전단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쿠션판넬(110)의 전단부에는 레그 플레이트(120)의 상부 끝에서 이격된 부분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하는 결합부(121)가 절곡 형성된다. 이 결합부(121)는 쿠션판넬(110)의 전단부에 절곡되어 쿠션판넬(110)의 전단부 보다 낮은 위치로 형성된다.
작동링크(130)는 쿠션판넬(110)과 레그 레스트(100)를 연결하여 레그 플레이트(120)의 사용시 후술하는 구동모터(140)의 회전력으로 레그 플레이트(120)를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작동시킴과 동시에 쿠션판넬(110)의 앞쪽(전단부)을 상승시킨다.
작동링크(130)는 쿠션판넬(110)의 전단부 밑면에 일측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지면을 향하여 경사져서 배치되는 제1링크(131)와, 일측단부가 쿠션판넬(110)의 일측부에 힌지 결합되되 제1링크(131)와 가로질러(엑스자 형태) 배치되는 제2링크(132)와, 제1링크(131)의 타측단부와 제2링크(132)의 타측단부를 연결하면서 구동모터(14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연결링크(133)를 포함한다.
제1링크(131)는 일측단부(도면에서 상단부)가 쿠션판넬(110)의 전방 끝에서 후방으로 이격된 부분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단부가 지면을 향하여 경사져서 배치되되, 타측단이 일측단보다 시트의 전방 쪽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제2링크(132)는 일측단부(도면에서 상단부)가 레그 플레이트(120)의 일측단부(도 에서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단부가 지면을 향하여 경사져서 배치되되, 타측단이 일측단보다 시트의 후방 쪽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2링크(132)의 일측단부는 제1링크(131)의 일측단부보다 시트의 전방 쪽에 위치되고, 제2링크(132)의 타측단부는 제1링크(131)의 타측단부보다 시트의 후방 쪽에 위치되어 제1링크(131)와 제2링크(132)는 서로 크로스되어 엑스자 형태로 배치된다.
제1링크(131)의 타측단부(하단부)는 제2링크(132)의 타측단부(하단부)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제1링크(131)의 길이가 제2링크(132)이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연결링크(133)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4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동되도록 구성되되, 일측단부가 제1링크(131)의 타측단부에 연결되고, 타측단부가 제2링크(132)의 타측단부에 연결된다.
즉, 연결링크(133)는 서로 높이가 다른 제1링크(131)의 타측단부와 제2링크(132)의 타측단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링크(133)는 제2링크(132)의 타측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제1링크(131)의 타측단부에 연결되는 수평부와, 제1링크(131)의 타측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제2링크(132)의 타측단부에 연결되는 수직부로 구성된다.
연결링크(133)는 수직부와 수평부가 만나는 부분이 후술하는 구동모터(14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중심을 이룬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에 대한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와 같이, 레그 레스트(100)에서 레그 플레이트(120)가 수직 상태로 있는 것을 초기 상태라며, 탑승자가 시트쿠션에 착석한 후에 레그 레스트(100)를 작동시킨다.
구동모터(140)가 작동하여 회전력을 발생하게 되고, 이때, 구동모터(140)에 연결된 연결링크(133)가 회전하게 된다. 즉, 연결링크(133)가 도 4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연결링크(13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연결링크(133)의 수직부에 연결된 제2링크(132)는 지면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지면을 향해 당겨진다. 이때, 제2링크(132)에 연결되고 수직상태에 있던 레그 플레이트(120)는 도 5와 같이 회전하면서 일정경사를 이룬 후에 도 6과 같이 거의 수평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레그 플레이트(120)가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되는 동안 쿠션판넬(110)에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131)는 연결링크(133)의 수평부에 의해 위쪽으로 가압되고, 이때 쿠션판넬(110)의 전단부는 일정 높이로 상승하면서 탑승자의 허벅지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레그 레스트
110 : 쿠션판넬
120 : 레그 플레이트
121 : 결합부
130 : 작동링크
131 : 제1링크 132 : 제2링크
133 : 연결링크
140 : 구동모터

Claims (5)

  1. 시트쿠션의 밑면에 결합되는 쿠션판넬;
    쿠션판넬의 전단부에 힌지 결합되되, 수직상태로 결합되며 탑승자가 다리를 올리기 위한 레그 플레이트;
    쿠션판넬과 레그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레그 플레이트의 사용시 레그 플레이트를 수평상태로 작동시키면서 쿠션판넬의 전방부를 상승시키기 위한 작동링크;
    작동링크에 연결되며 작동링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작동링크는,
    쿠션판넬의 전단부 밑면에 일측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타측단부가 지면을 향하여 경사져서 배치되되 타측단이 일측단보다 시트의 전방쪽에 위치하는 제1링크와,
    레그 플레이트의 상단에 일측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타측단부가 지면을 향하여 경사져서 배치되되, 타측단이 일측단보다 시트의 후방에 위치하여 제1링크와 크로스되어 배치되는 제2링크와,
    제1링크의 타측단부와 제2링크의 타측단부를 연결하면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연결링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
  3. 제2항에 있어서,
    제1링크의 타측단부는 제2링크의 타측단부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제1링크의 길이가 제2링크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
  4. 제3항에 있어서,
    연결링크는,
    제1링크의 타측단부에 연결되는 수평부와,
    제2링크의 타측단부에 연결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되,
    수평부와 수직부가 만나는 부분이 구동모터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되는 힌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
  5. 제3항에 있어서,
    레그 플레이트는, 쿠션판넬에 결합되는 부분이 제2링크가 결합되는 부분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쿠션판넬에는 전단부에서 절곡 형성되되, 쿠션판넬의 전단부보다 하측에서 레그 플레이트가 힌지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


KR1020160139972A 2016-10-26 2016-10-26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 KR102577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972A KR102577820B1 (ko) 2016-10-26 2016-10-26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972A KR102577820B1 (ko) 2016-10-26 2016-10-26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524A true KR20180045524A (ko) 2018-05-04
KR102577820B1 KR102577820B1 (ko) 2023-09-14

Family

ID=62199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972A KR102577820B1 (ko) 2016-10-26 2016-10-26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8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867A (ko) 2021-09-10 2023-03-17 이영섭 차량용 기능성 시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6370A (ja) * 1995-03-31 1996-10-15 Tachi S Co Ltd スイングシートの連動式フットレスト
JP2002186540A (ja) * 2000-12-22 2002-07-02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電動オットマン装置
JP2009125412A (ja) * 2007-11-27 2009-06-11 Tachi S Co Ltd オットマンおよびオットマンの駆動機構
JP2010035970A (ja) * 2008-08-08 2010-02-18 Mazda Motor Corp オットマン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装置
KR20120045648A (ko) 2010-10-29 2012-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레그레스트
KR20130012003A (ko) * 2012-09-06 2013-01-30 강동윤 샴푸 전동 의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6370A (ja) * 1995-03-31 1996-10-15 Tachi S Co Ltd スイングシートの連動式フットレスト
JP2002186540A (ja) * 2000-12-22 2002-07-02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電動オットマン装置
JP2009125412A (ja) * 2007-11-27 2009-06-11 Tachi S Co Ltd オットマンおよびオットマンの駆動機構
JP2010035970A (ja) * 2008-08-08 2010-02-18 Mazda Motor Corp オットマン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装置
KR20120045648A (ko) 2010-10-29 2012-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레그레스트
KR20130012003A (ko) * 2012-09-06 2013-01-30 강동윤 샴푸 전동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867A (ko) 2021-09-10 2023-03-17 이영섭 차량용 기능성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820B1 (ko)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201606787A2 (tr) Konfor ve depolama amaçli kendi̇nden ayarli arka koltuk mi̇nderi̇
JP2003033243A (ja) 特に航空機のための座席
JP2019098152A (ja) 反転式フットレスト組付け品を有するシート
JP5733889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102458290B1 (ko) 리클라이닝 의자
KR20180045524A (ko) 차량용 시트의 레그 레스트
KR100457396B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KR200492441Y1 (ko) 중심 이동추를 갖는 흔들의자
JP2009514738A (ja) 乗物用シート
KR20220036002A (ko) 언더 서포트 기능을 구비하는 의자시트 구조
JP6218001B2 (ja) 運動補助装置
JP6927712B2 (ja) リクライニング椅子および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H0542771Y2 (ko)
KR101494573B1 (ko) 허리 밀착 의자
KR20150106101A (ko) 차량시트
CN216059872U (zh) 躺椅
KR102475356B1 (ko) 안마의자의 기립 보조장치
CN209202481U (zh) 可调整椅背倾斜角度的座椅
KR20230124795A (ko) 차량용 릴렉션 시트 프레임 시스템
CN107921309B (zh) 运动辅助装置
JPWO2018179294A1 (ja) 介助装置
JP2004016516A (ja) マッサージ椅子
KR101771505B1 (ko) 차량의 시트백 연동형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JP2004081355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9240689A (ja) マッサージ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