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812A - 적층 공통 모드 필터 - Google Patents

적층 공통 모드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812A
KR20180044812A KR1020170136330A KR20170136330A KR20180044812A KR 20180044812 A KR20180044812 A KR 20180044812A KR 1020170136330 A KR1020170136330 A KR 1020170136330A KR 20170136330 A KR20170136330 A KR 20170136330A KR 20180044812 A KR20180044812 A KR 20180044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il conductor
conductor
turns
comm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5903B1 (ko
Inventor
타쿠오 아베
마코토 요시노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4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6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with special arrangement or spacing of turns of the winding(s), e.g. to produce desired self-reson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9Filters comprising mutual inducta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42Networks for transforming balanced signals into unbalanced signals and vice versa, e.g. baluns
    • H03H7/425Balance-balance networks
    • H03H7/427Common-mo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73Printed inductances with a special conductive pattern, e.g. flat spi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2017/0093Common mode choke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09Printed windings on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21Constructional details
    • H03H2001/0078Constructional details comprising spiral inductor on a substrat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21Constructional details
    • H03H2001/0085Multilayer, e.g. LTCC, HTCC, green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적층 공통 모드 필터는, 소체와, 소체 내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자기 결합하는 제 1 코일, 제 2 코일, 및 제 3 코일을 구비하고 있다. 소체는, 제 1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주면을 갖고 있다. 제 1 코일은, 나선형의 제 1 코일 도체 및 제 2 코일 도체를 갖고, 제 1 코일 도체와 제 2 코일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 2 코일은, 나선형의 제 3 코일 도체 및 제 4 코일 도체를 갖고, 제 3 코일 도체와 제 4 코일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 3 코일은, 나선형의 제 5 코일 도체 및 제 6 코일 도체를 갖고, 제 5 코일 도체와 제 6 코일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6 코일 도체는, 제 1 방향에서, 제 1 코일 도체, 제 3 코일 도체, 제 5 코일 도체, 제 2 코일 도체, 제 4 코일 도체, 제 6 코일 도체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적층 공통 모드 필터{MULTILAYER COMMON MODE FILTER}
본 발명은, 적층 공통 모드 필터에 관한 것이다.
소체, 제 1 코일, 제 2 코일, 및 제 3 코일을 구비하고 있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제3767437호 참조). 소체는, 제 1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주면을 갖고 있다. 제 1 코일, 제 2 코일, 및 제 3 코일은, 소체 내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자기 결합한다.
일본 특허공보 제3767437호에 기재된 적층 공통 모드 필터에서는, 제 1 내지 제 3 코일이, 제 1 방향에서, 제 1 코일, 제 2 코일, 제 3 코일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코일과 제 3 코일 간의 간격이, 제 1 코일과 제 2 코일 간의 간격보다 크고, 또한, 제 2 코일과 제 3 코일 간의 간격보다 크다. 즉, 간격이 각 코일 간에 따라 다르다.
간격이 각 코일 간에 따라 다르면, 누설 인덕턴스 값(이하, 「누설 L값」이라고 칭함)이 각 코일 간에 따라 다르다. 상기 적층 공통 모드 필터에서는, 제 1 코일과 제 3 코일 간에서의 누설 L값이, 제 1 코일과 제 2 코일 간에서의 누설 L값, 및 제 2 코일과 제 3 코일 간에서의 누설 L값과 다르다. 정전 용량값도 각 코일 간에 따라 다르다. 상기 적층 공통 모드 필터에서는, 제 1 코일과 제 3 코일 간에서의 정전 용량값은, 제 1 코일과 제 2 코일 간에서의 정전 용량값과 다른 동시에, 제 2 코일과 제 3 코일 간에서의 정전 용량값과 다르다.
제 1 코일과 제 2 코일 간에서의 누설 L값, 제 2 코일과 제 3 코일 간에서의 누설 L값, 및 제 1 코일과 제 3 코일 간에서의 누설 L값의 차(이하, 단순히 「누설 L값 차」라고 칭함)와, 제 1 코일과 제 2 코일 사이에서의 정전 용량값, 제 2 코일과 제 3 코일 간에서의 정전 용량값, 및 제 1 코일과 제 3 코일 간에서의 정전 용량값의 차(이하, 단순히 「정전 용량값 차」라고 칭함)란, 각 코일 간의 간격의 불균형에 기인하고 있다. 제 1 코일과 제 2 코일 간의 간격, 제 2 코일과 제 3 코일 간의 간격, 및 제 1 코일과 제 3 코일 간의 간격의 불균형이 크면, 제 1 코일 및 제 2 코일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와, 제 2 코일 및 제 3 코일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와, 제 1 코일 및 제 3 코일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차(이하, 단순히 「특성 임피던스 차」라고 칭함)가 크다. 특성 임피던스 차가 크면, 예를 들면, 신호 품질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제 1 코일 및 제 2 코일에서의 특성 임피던스는, (제 1 코일과 제 2 코일 간에서의 누설 L값/제 1 코일과 제 2 코일 간에서의 정전 용량값)1/2로 표시된다. 제 2 코일 및 제 3 코일에서의 특성 임피던스는, (제 2 코일과 제 3 코일 간에서의 누설 L값/제 2 코일과 제 3 코일 간에서의 정전 용량값)1/2로 표시된다. 제 1 코일 및 제 3 코일에서의 특성 임피던스는, (제 1 코일과 제 3 코일 간에서의 누설 L값/제 1 코일과 제 3 코일 간에서의 정전 용량값)1/2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의 목적은, 특성 임피던스 차가 작은 적층 공통 모드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따른 적층 공통 모드 필터는, 소체, 제 1 코일, 제 2 코일, 및 제 3 코일을 구비하고 있다. 소체는, 제 1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주면을 갖고 있다. 제 1 코일, 제 2 코일, 및 제 3 코일은, 소체 내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자기 결합한다. 제 1 코일은, 나선형의 제 1 코일 도체 및 제 2 코일 도체를 갖고 있다. 제 1 코일은, 제 1 코일 도체와 제 2 코일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 2 코일은, 나선형의 제 3 코일 도체 및 제 4 코일 도체를 갖고 있다. 제 2 코일은, 제 3 코일 도체와 제 4 코일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 3 코일은, 나선형의 제 5 코일 도체 및 제 6 코일 도체를 갖고 있다. 제 3 코일은, 제 5 코일 도체와 제 6 코일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6 코일 도체는, 제 1 방향에서, 제 1 코일 도체, 제 3 코일 도체, 제 5 코일 도체, 제 2 코일 도체, 제 4 코일 도체, 제 6 코일 도체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나의 형태에 따른 적층 공통 모드 필터에서는, 제 1 코일과 제 2 코일 간의 간격, 제 2 코일과 제 3 코일 간의 간격, 및 제 1 코일과 제 3 코일 간의 간격의 불균형이 작으므로, 특성 임피던스 차가 작다.
상기 하나의 형태에서는, 제 1 코일 도체의 권수와 제 6 코일 도체의 권수는, 제 5 코일 도체의 권수보다 작고, 또한, 제 2 코일 도체의 권수보다 작아도 좋다. 이 경우, 특성 임피던스 차가 더욱 작다.
상기 하나의 형태에서는, 제 1 코일 도체의 권수와 제 2 코일 도체의 권수의 합계값은, 제 3 코일 도체의 권수와 제 4 코일 도체의 권수의 합계값보다 작아도 좋고, 제 5 코일 도체의 권수와 제 6 코일 도체의 권수의 합계값은, 제 3 코일 도체의 권수와 제 4 코일 도체의 권수의 합계값보다 작아도 좋다. 이 경우, 제 1 코일 및 제 3 코일의 각 인덕턴스 값이 제 2 코일에 비해 작다. 따라서, 제 1 코일과 제 3 코일 간에서의 누설 L값이 작고, 특성 임피던스 차가 더욱 작다.
상기 하나의 형태에서는 제 3 코일 도체 및 제 4 코일 도체의 각 외경은, 제 1 코일 도체, 제 2 코일 도체, 제 5 코일 도체, 및 제 6 코일 도체의 각 외경보다도 작아도 좋다. 본 형태에서는, 제 3 코일 도체 및 제 4 코일 도체의 각 외경이, 제 1 코일 도체, 제 2 코일 도체, 제 5 코일 도체, 및 제 6 코일 도체의 각 외경과 동등한 구성에 비해, 제 3 코일 도체 및 제 4 코일 도체의 각 내경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코일 및 제 3 코일의 각 인덕턴스 값과 제 2 코일의 인덕턴스 값과의 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예시로서 제공되어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 이하에 제공된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더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다른 범위는 이하에 제공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들 및 변경들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들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특정한 예들은 단지 예시로서 제공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공통 모드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소체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소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a는 제 1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b는 제 2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a는 제 3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b는 제 4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a는 제 5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b는 제 6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적층 공통 모드 필터가 구비하는 소체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a는 제 1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b는 제 2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a는 제 5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b는 제 6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적층 공통 모드 필터가 구비하는 소체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a는 제 1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b는 제 2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a는 제 5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b는 제 6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따른 적층 공통 모드 필터가 구비하는 소체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a는 제 1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b는 제 2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a는 제 5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5b는 제 6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본 실시형태의 제 4 변형예에 따른 적층 공통 모드 필터가 구비하는 소체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a는 제 3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7b는 제 4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동일한 요소들 또는 동일한 기능들을 갖는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기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공통 모드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소체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소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체(1), 제 1 단자 전극(11), 제 2 단자 전극(12), 제 3 단자 전극(13), 제 4 단자 전극(14), 제 5 단자 전극(15), 및 제 6 단자 전극(16)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단자 전극(11), 제 2 단자 전극(12), 제 3 단자 전극(13), 제 4 단자 전극(14), 제 5 단자 전극(15), 및 제 6 단자 전극(16)은, 소체(1)의 외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는, 제 1 단자 전극(11), 제 2 단자 전극(12), 제 3 단자 전극(13), 제 4 단자 전극(14), 제 5 단자 전극(15), 및 제 6 단자 전극(16)이 각각 신호 라인에 접속되도록, 전자 기기(예를 들면, 회로 기판 또는 전자 부품)에 실장된다.
소체(1)는 직육면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소체(1)는 제 1 주면(1a), 제 2 주면(1b), 제 1 측면(1c), 제 2 측면(1d), 제 3 측면(1e), 제 4 측면(1f)을 갖고 있다. 제 1 주면(1a) 및 제 2 주면(1b)은 서로 대향하고 있는 동시에,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측면(1c) 및 제 2 측면(1d)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제 3 측면(1e) 및 제 4 측면(1f)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소체(1)의 길이 방향은 제 3 측면(1e)과 제 4 측면(1f)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이다. 소체(1)의 폭 방향은 제 1 측면(1c)과 제 2 측면(1d)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이다. 소체(1)의 높이 방향은 제 1 주면(1a)과 제 2 주면(1b)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이다. 제 1 주면(1a)과 제 2 주면(1b)은 소체(1)의 높이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직육면체 형상은, 각부 및 능선부가 모따기되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상, 및 각부 및 능선부가 둥글게 되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측면(1c, 1d)은 제 1 주면(1a)과 제 2 주면(1b)을 연결하도록 소체(1)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측면(1c, 1d)은 소체(1)의 길이 방향(제 1 및 제 2 주면(1a, 1b)의 장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3 및 제 4 측면(1e, 1f)은 제 1 주면(1a)과 제 2 주면(1b)을 연결하도록 소체(1)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3 및 제 4 측면(1e, 1f)은 소체(1)의 폭 방향(제 1 및 제 2 주면(1a, 1b)의 단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소체(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자성체부(non-magnetic portion)(3)와, 한 쌍의 자성체부(magnetic portion)(5)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자성체부(5)는 소체(1)의 높이 방향에서 비자성체부(3)를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소체(1)는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절연체층(insulator layer)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비자성체부(3)에서는, 절연체층으로서, 복수의 비자성체층(non-magnetic layer)(4)이 적층되어 있다. 비자성체부(3)는 적층된 복수의 비자성체층(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자성체부(5)에서는, 절연체층으로서, 복수의 자성체층(magnetic layer)(6)이 적층되어 있다. 자성체부(5)는 적층된 복수의 자성체층(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절연체층은 복수의 비자성체층(4)과 복수의 자성체층(6)을 포함하고 있다.
각 비자성체층(4)은, 예를 들면 비자성 재료(Cu-Zn계 페라이트 재료, 유전체 재료, 또는 유리 세라믹 재료 등)를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 시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각 자성체층(6)은, 예를 들면 자성 재료(Ni-Cu-Zn계 페라이트 재료, Ni-Cu-Zn-Mg계 페라이트 재료, 또는 Ni-Cu계 페라이트 재료 등)를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 시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실제의 소체(1)에서는, 각 비자성체층(4) 및 각 자성체층(6)은, 층간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소체(1)의 높이 방향(제 1 주면(1a)과 제 2 주면(1b)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은, 복수의 절연체층(복수의 비자성체층(4) 및 복수의 자성체층(6))이 적층되어 있는 방향과 일치한다. 이하, 복수의 절연체층이 적층되어 있는 방향을, 단순히 「적층 방향」이라고 칭한다.
제 1 단자 전극(11), 제 3 단자 전극(13), 및 제 5 단자 전극(15)은 소체(1)의 제 1 측면(1c)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단자 전극(11), 제 3 단자 전극(13), 및 제 5 단자 전극(15)은, 제 1 측면(1c)의 일부를 소체(1)의 높이 방향을 따라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 1 주면(1a)의 일부와 제 2 주면(1b)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 전극(11)은 제 3 측면(1e) 근처에 위치하고, 제 5 단자 전극(15)은 제 4 측면(1f)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제 3 단자 전극(13)은 제 1 단자 전극(11)과 제 5 단자 전극(15)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단자 전극(12), 제 4 단자 전극(14), 및 제 6 단자 전극(16)은 소체(1)의 제 2 측면(1d)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단자 전극(12), 제 4 단자 전극(14), 및 제 6 단자 전극(16)은, 제 2 측면(1d)의 일부를 소체(1)의 높이 방향을 따라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 1 주면(1a)의 일부와 제 2 주면(1b)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자 전극(12)은 제 3 측면(1e) 근처에 위치하고, 제 6 단자 전극(16)은 제 4 측면(1f)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제 4 단자 전극(14)은 제 2 단자 전극(12)과 제 6 단자 전극(16)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6 단자 전극(11, 12, 13, 14, 15, 16)은 도전재(예를 들면, Ag 또는 Pd)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6 단자 전극(11, 12, 13, 14, 15, 16)은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Ag 분말 또는 Pd 분말)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6 단자 전극(11, 12, 13, 14, 15, 16)의 표면에는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다. 도금층은, 예를 들면 전기 도금에 의해 형성된다. 도금층은, 예를 들면, Cu 도금층, Ni 도금층, 및 Sn 도금층으로 이루어진 층 구조, 또는 Ni 도금층 및 Sn 도금층으로 이루어진 층 구조를 갖는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코일 도체(21), 제 2 코일 도체(22), 제 3 코일 도체(23), 제 4 코일 도체(24), 제 5 코일 도체(25), 및 제 6 코일 도체(26)를 비자성체부(3)에 구비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6 코일 도체(21, 22, 23, 24, 25, 26)는, 도전재(예를 들면, Ag 또는 Pd)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6 코일 도체(21, 22, 23, 24, 25, 26)는,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Ag 분말 또는 Pd 분말)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된다.
제 1 코일 도체(21)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선형을 나타내고 있고, 적층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비자성체층(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코일 도체(21)의 일단부(외측 단부)(21a)는, 제 1 측면(1c)에 노출되어 있다. 제 1 코일 도체(21)는 제 1 측면(1c)에 노출되어 있는 단부에서 제 1 단자 전극(11)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코일 도체(21)의 일단부(21a)는, 제 1 단자 전극(11)과의 접속 도체로서 기능한다. 제 1 코일 도체(21)의 타단부(내측 단부)(21b)는, 제 1 코일 도체(21)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패드 도체(41)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코일 도체(21)와 패드 도체(41)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코일 도체(22)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선형을 나타내고 있고, 적층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비자성체층(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코일 도체(22)의 일단부(외측 단부)(22a)는, 제 2 측면(1d)에 노출되어 있다. 제 2 코일 도체(22)는, 제 2 측면(1d)에 노출되어 있는 단부에서 제 2 단자 전극(12)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코일 도체(22)의 일단부(22a)는, 제 2 단자 전극(12)과의 접속 도체로서 기능한다. 제 2 코일 도체(22)의 타단부(내측 단부)(22b)는, 제 2 코일 도체(22)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패드 도체(42)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코일 도체(22)와 패드 도체(42)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코일 도체(23)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선형을 나타내고 있고, 적층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비자성체층(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코일 도체(23)의 일단부(외측 단부)(23a)는 제 1 측면(1c)에 노출되어 있다. 제 3 코일 도체(23)는, 제 1 측면(1c)에 노출되어 있는 단부에서 제 3 단자 전극(13)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코일 도체(23)의 일단부(23a)는, 제 3 단자 전극(13)과의 접속 도체로서 기능한다. 제 3 코일 도체(23)의 타단부(내측 단부)(23b)는, 제 3 코일 도체(23)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패드 도체(43)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코일 도체(23)와 패드 도체(43)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4 코일 도체(24)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선형을 나타내고 있고, 적층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비자성체층(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4 코일 도체(24)의 일단부(외측 단부)(24a)는, 제 2 측면(1d)에 노출되어 있다. 제 4 코일 도체(24)는, 제 2 측면(1d)에 노출되어 있는 단부에서 제 4 단자 전극(14)에 접속되어 있다. 제 4 코일 도체(24)의 일단부(24a)는, 제 4 단자 전극(14)과의 접속 도체로서 기능한다. 제 4 코일 도체(24)의 타단부(내측 단부)(24b)는, 제 4 코일 도체(24)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패드 도체(44)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4 코일 도체(24)와 패드 도체(44)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5 코일 도체(25)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선형을 나타내고 있고, 적층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비자성체층(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5 코일 도체(25)의 일단부(외측 단부)(25a)는, 제 1 측면(1c)에 노출되어 있다. 제 5 코일 도체(25)는, 제 1 측면(1c)에 노출되어 있는 단부에서 제 5 단자 전극(15)에 접속되어 있다. 제 5 코일 도체(25)의 일단부(25a)는, 제 5 단자 전극(15)과의 접속 도체로서 기능한다. 제 5 코일 도체(25)의 타단부(내측 단부)(25b)는, 제 5 코일 도체(25)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패드 도체(45)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5 코일 도체(25)와 패드 도체(45)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6 코일 도체(26)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선형을 나타내고 있고, 적층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비자성체층(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6 코일 도체(26)의 일단부(외측 단부)(26a)는, 제 2 측면(1d)에 노출되어 있다. 제 6 코일 도체(26)는, 제 2 측면(1d)에 노출되어 있는 단부에서 제 6 단자 전극(16)에 접속되어 있다. 제 6 코일 도체(26)의 일단부(26a)는, 제 6 단자 전극(16)과의 접속 도체로서 기능한다. 제 6 코일 도체(26)의 타단부(내측 단부)(26b)는, 제 6 코일 도체(26)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패드 도체(46)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6 코일 도체(26)와 패드 도체(46)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6 코일 도체(21, 22, 23, 24, 25, 26)는, 소체(1)의 높이 방향에서, 제 1 코일 도체(21), 제 3 코일 도체(23), 제 5 코일 도체(25), 제 2 코일 도체(22), 제 4 코일 도체(24), 제 6 코일 도체(26)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6 코일 도체(21, 22, 23, 24, 25, 26)는 적층 방향에서 보아, 동일한 방향으로 권회되어 있는 동시에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하고 있다.
제 1 코일 도체(21)와 제 3 코일 도체(23)가 적층 방향에서 비자성체층(4)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고 있다. 제 3 코일 도체(23)와 제 5 코일 도체(25)가 적층 방향에서 비자성체층(4)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고 있다. 제 5 코일 도체(25)와 제 2 코일 도체(22)가 적층 방향에서 비자성체층(4)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고 있다. 제 2 코일 도체(22)와 제 4 코일 도체(24)가 적층 방향에서 비자성체층(4)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고 있다. 제 4 코일 도체(24)와 제 6 코일 도체(26)가 적층 방향에서 비자성체층(4)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고 있다.
제 3 코일 도체(23)는 적층 방향에서 제 1 코일 도체(21)와 제 5 코일 도체(25)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5 코일 도체(25)는, 적층 방향에서 제 3 코일 도체(23)와 제 2 코일 도체(2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코일 도체(22)는, 적층 방향에서 제 5 코일 도체(25)와 제 4 코일 도체(24)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4 코일 도체(24)는, 적층 방향에서 제 2 코일 도체(22)와 제 6 코일 도체(26)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패드 도체(41)와 패드 도체(42)는, 적층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하고 있다. 패드 도체(41)와 패드 도체(42) 간에는, 두 개의 패드 도체(51, 52)가, 적층 방향에서 보아, 패드 도체(41, 42)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패드 도체(51)는, 제 3 코일 도체(23)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있다. 패드 도체(52)는, 제 5 코일 도체(25)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있다. 패드 도체(41)와 패드 도체(51)가 적층 방향에서 비자성체층(4)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고 있다. 패드 도체(51)와 패드 도체(52)가 적층 방향에서 비자성체층(4)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고 있다. 패드 도체(52)와 패드 도체(42)가, 적층 방향에서 비자성체층(4)을 통해 서로 이웃하고 있다.
패드 도체(41)와 패드 도체(51)와 패드 도체(52)와 패드 도체(42)는, 각각 스루 홀 도체(61)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스루 홀 도체(61)는, 패드 도체(41)와 패드 도체(51) 사이에 위치하는 비자성체층(4)과, 패드 도체(51)와 패드 도체(52) 사이에 위치하는 비자성체층(4)과, 패드 도체(52)와 패드 도체(42) 사이에 위치하는 비자성체층(4)을 관통하고 있다.
패드 도체(43)와 패드 도체(44)는, 적층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하고 있다. 패드 도체(43)와 패드 도체(44) 간에는, 두 개의 패드 도체(53, 54)가 적층 방향에서 보아, 패드 도체(43, 44)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패드 도체(53)는, 제 5 코일 도체(25)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있다. 패드 도체(54)는, 제 2 코일 도체(22)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있다. 패드 도체(43)와 패드 도체(53)가 적층 방향에서 비자성체층(4)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고 있다. 패드 도체(53)와 패드 도체(54)가 적층 방향에서 비자성체층(4)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고 있다. 패드 도체(54)와 패드 도체(44)가 적층 방향에서 비자성체층(4)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고 있다.
패드 도체(43)와 패드 도체(53)와 패드 도체(54)와 패드 도체(44)는, 각각 스루 홀 도체(62)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스루 홀 도체(62)는, 패드 도체(43)와 패드 도체(53) 사이에 위치하는 비자성체층(4)과, 패드 도체(53)와 패드 도체(54) 사이에 위치하는 비자성체층(4)과, 패드 도체(54)와 패드 도체(44) 사이에 위치하는 비자성체층(4)을 관통하고 있다.
패드 도체(45)와 패드 도체(46)는, 적층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도록 위치하고 있다. 패드 도체(45)와 패드 도체(46) 간에는, 두 개의 패드 도체(55, 56)가, 적층 방향에서 보아, 패드 도체(45, 46)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패드 도체(55)는 제 2 코일 도체(22)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있다. 패드 도체(56)는, 제 4 코일 도체(24)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있다. 패드 도체(45)와 패드 도체(55)가 적층 방향에서 비자성체층(40)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고 있다. 패드 도체(55)와 패드 도체(56)가 적층 방향에서 비자성체층(4)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고 있다. 패드 도체(56)와 패드 도체(46)가 적층 방향에서 비자성체층(4)을 개재하여 서로 이웃하고 있다.
패드 도체(45)와 패드 도체(55)와 패드 도체(56)와 패드 도체(46)는, 각각 스루 홀 도체(63)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스루 홀 도체(63)는 패드 도체(45)와 패드 도체(55) 사이에 위치하는 비자성체층(4)과, 패드 도체(55)와 패드 도체(56) 사이에 위치하는 비자성체층(4)과, 패드 도체(56)와 패드 도체(46) 사이에 위치하는 비자성체층(4)을 관통하고 있다.
제 1 코일 도체(21)와 제 2 코일 도체(22)는, 패드 도체(41), 패드 도체(51), 패드 도체(52), 패드 도체(42), 및 스루 홀 도체(61)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코일 도체(21)와 제 2 코일 도체(22)는, 제 1 코일(C1)을 구성하고 있다.
제 3 코일 도체(23)와 제 4 코일 도체(24)는, 패드 도체(43), 패드 도체(53), 패드 도체(54), 패드 도체(44), 및 스루 홀 도체(62)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3 코일 도체(23)와 제 4 코일 도체(24)는, 제 2 코일(C2)을 구성하고 있다.
제 5 코일 도체(25)와 제 6 코일 도체(26)는, 패드 도체(45), 패드 도체(55), 패드 도체(56), 패드 도체(46), 및 스루 홀 도체(63)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5 코일 도체(25)와 제 6 코일 도체(26)는, 제 3 코일(C3)을 구성하고 있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는, 소체(1)(비자성체부(3)) 내에, 제 1 코일(C1)과 제 2 코일(C2)과 제 3 코일(C3)을 구비한다. 제 1 코일(C1)과 제 2 코일(C2)과 제 3 코일(C3)은 서로 자기 결합한다.
패드 도체(51, 52, 53, 54, 55, 56) 및 스루 홀 도체(61, 62, 63)는, 도전재(예를 들면, Ag 또는 Pd)를 포함하고 있다. 패드 도체(51, 52, 53, 54, 55, 56) 및 스루 홀 도체(61, 62, 63)는,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Ag 분말 또는 Pd 분말)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된다. 스루 홀 도체(61, 62, 63)는, 대응하는 비자성체층(4)을 형성하기 위한 세라믹 그린 시트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충전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소결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코일 도체(21)의 권수와 제 2 코일 도체(22)의 권수는 3.75이다. 제 1 코일(C1)의 권수(제 1 코일 도체(21)의 권수와 제 2 코일 도체(22)의 권수의 합계 값)는 7.5이다. 제 3 코일 도체(23)의 권수와 제 4 코일 도체(24)의 권수는 3.75이다. 제 2 코일(C2)의 권수(제 3 코일 도체(23)의 권수와 제 4 코일 도체(24)의 권수의 합계 값)는 7.5이다. 제 5 코일 도체(25)의 권수와 제 6 코일 도체(26)의 권수는 3.75이다. 제 3 코일(C3)의 권수(제 5 코일 도체(25)의 권수와 제 6 코일 도체(26)의 권수의 합계 값)는 7.5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코일 도체(21), 제 2 코일 도체(22), 제 3 코일 도체(23), 제 4 코일 도체(24), 제 5 코일 도체(25), 및 제 6 코일 도체(26)의 각 외경은 동등하다. 제 1 코일 도체(21), 제 2 코일 도체(22), 제 3 코일 도체(23), 제 4 코일 도체(24), 제 5 코일 도체(25), 및 제 6 코일 도체(26)의 각 내경도 동등하다. 본 명세서에서, 동등은 반드시 값이 일치하고 있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미리 설정한 범위에서의 미세 차이, 또는 제조 오차 등이 값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값이 동등하다고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복수의 값이, 상기 복수의 값의 평균값의 ±5%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값은 동등하다고 규정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내지 제 6 코일 도체(21, 22, 23, 24, 25, 26)가, 소체(1)의 높이 방향에서, 제 1 코일 도체(21), 제 3 코일 도체(23), 제 5 코일 도체(25), 제 2 코일 도체(22), 제 4 코일 도체(24), 제 6 코일 도체(26)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에서는, 제 1 내지 제 3 코일이, 적층 방향에서 제 1 코일, 제 2 코일, 제 3 코일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에 비해, 제 1 코일(C1)과 제 2 코일(C2) 간의 간격, 제 2 코일(C2)과 제 3 코일(C3) 간의 간격, 및 제 1 코일(C1)과 제 3 코일(C3) 간의 간격의 불균형이 작다. 이 결과,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에서는,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와, 제 2 코일(C2)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와, 제 1 코일(C1)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차가 작다.
이어서, 도 7, 도 8a, 도 8b, 도 9a, 도 9b,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은, 제 1 변형예에 따른 적층 공통 모드 필터가 구비하는 소체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제 1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b는 제 2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a는 제 5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b는 제 6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는, 상술한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와 동일하게, 소체(1), 제 1 단자 전극(11), 제 2 단자 전극(12), 제 3 단자 전극(13), 제 4 단자 전극(14), 제 5 단자 전극(15), 및 제 6 단자 전극(16)을 구비하고 있다(도 1 참조).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는, 도 7,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코일 도체(21), 제 2 코일 도체(22), 제 3 코일 도체(23), 제 4 코일 도체(24), 제 5 코일 도체(25), 및 제 6 코일 도체(26)를, 비자성체부(3)에 구비하고 있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에서는, 제 1 코일 도체(21), 제 2 코일 도체(22), 제 5 코일 도체(25), 및 제 6 코일 도체(26)의 형상(권수)이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와 상이하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에서는, 제 3 코일 도체(23)는, 도 5a에 나타나 있는 제 3 코일 도체(23)와 동일하고, 제 4 코일 도체(24)는, 도 5b에 나타나 있는 제 4 코일 도체(24)와 동일하다.
제 1 변형예에서는, 제 1 코일 도체(21)의 권수는 2.75이다. 제 2 코일 도체(22)의 권수는 4.75이다. 제 1 코일(C1)의 권수(제 1 코일 도체(21)의 권수와 제 2 코일 도체(22)의 권수의 합계 값)는 7.5이다. 제 3 코일 도체(23)의 권수와 제 4 코일 도체(24)의 권수는 3.75이다(도 5 참조). 제 2 코일(C2)의 권수(제 3 코일 도체(23)의 권수와 제 4 코일 도체(24)의 권수의 합계 값)는 7.5이다. 제 5 코일 도체(25)의 권수는 4.75이다. 제 6 코일 도체(26)의 권수는 2.75이다. 제 3 코일(C3)의 권수(제 5 코일 도체(25)의 권수와 제 6 코일 도체(26)의 권수의 합계 값)는 7.5이다.
제 1 변형예에서는, 제 1 코일 도체(21), 제 2 코일 도체(22), 제 3 코일 도체(23), 제 4 코일 도체(24), 제 5 코일 도체(25), 및 제 6 코일 도체(26)의 각 외경은 동등하다. 제 1 코일 도체(21)의 내경과 제 6 코일 도체(26)의 내경은 동등하다. 제 2 코일 도체(22)의 내경과 제 5 코일 도체(25)의 내경은 동등하다. 제 3 코일 도체(23)의 내경과 제 4 코일 도체(24)의 내경은 동등하다. 제 1 코일 도체(21) 및 제 6 코일 도체(26)의 각 내경은, 제 3 코일 도체(23) 및 제 4 코일 도체(24)의 각 내경보다 크다. 제 2 코일 도체(22) 및 제 5 코일 도체(25)의 각 내경은, 제 3 코일 도체(23) 및 제 4 코일 도체(24)의 각 내경보다 작다.
제 1 변형예에서는, 제 3 코일 도체(23)의 권수와 제 4 코일 도체(24)의 권수는, 제 5 코일 도체(25)의 권수와 제 2 코일 도체(22)의 권수보다 작고, 또한, 제 1 코일 도체(21)의 권수와 제 6 코일 도체(26)의 권수보다 크다. 제 1 코일 도체(21)의 권수와 제 6 코일 도체(26)의 권수는, 제 5 코일 도체(25)의 권수보다 작고, 또한, 제 2 코일 도체(22)의 권수보다 작다.
제 1 코일(C1)과 제 3 코일(C3)에 관하여, 제 1 코일 도체(21)와 제 5 코일 도체(25) 간의 간격, 및 제 2 코일 도체(22)와 제 6 코일 도체(26) 간의 간격은, 제 5 코일 도체(25)와 제 2 코일 도체(22) 간의 간격보다 크다. 제 1 코일(C1)와 제 2 코일(C2)에 관하여, 제 3 코일 도체(23)와 제 2 코일 도체(22) 간의 간격은, 제 1 코일 도체(21)와 제 3 코일 도체(23) 간의 간격, 및 제 2 코일 도체(22)와 제 4 코일 도체(24) 간의 간격보다 크다. 제 2 코일(C2)와 제 3 코일(C3)에 관하여, 제 5 코일 도체(25)와 제 4 코일 도체(24) 간의 간격은, 제 3 코일 도체(23)와 제 5 코일 도체(25) 간의 간격, 및 제 4 코일 도체(24)와 제 6 코일 도체(26) 간의 간격보다 크다.
제 1 내지 제 6 코일 도체(21, 22, 23, 24, 25, 26)의 권수가 동일한 경우, 제 1 코일(C1)과 제 3 코일(C3) 간에서의 누설 L값은, 제 1 코일(C1)과 제 2 코일(C2) 간에서의 누설 L값보다 크고, 또한, 제 2 코일(C2)과 제 3 코일(C3) 간에서의 누설 L값보다 크다. 또한, 제 1 코일(C1)과 제 3 코일(C3) 간의 정전 용량값은, 제 1 코일(C1)과 제 2 코일(C2) 간의 정전 용량값보다 작고, 또한, 제 2 코일(C2)과 제 3 코일(C3) 간의 정전 용량값보다 작다. 이러한 결과, 제 1 코일(C1)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가,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에서의 특성 임피던스, 및 제 2 코일(C2)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보다 클 우려가 있다.
제 1 코일 도체(21)와 제 6 코일 도체(26)는, 소체(1)의 높이 방향(적층 방향)에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자기 결합하기 어렵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에 비해, 서로 자기 결합하기 어려운 제 1 코일 도체(21) 및 제 6 코일 도체(26)의 각 권수가 작다. 따라서,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에 비해, 제 1 코일(C1)과 제 3 코일(C3) 간에서의 누설 L값이 작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에 비해, 제 1 코일 도체(21)의 권수와 제 6 코일 도체(26)의 권수가 작다. 따라서,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에 비해, 제 1 코일(C1)과 제 2 코일(C2) 간에서의 정전 용량값과 제 2 코일(C2)과 제 3 코일(C3) 간에서의 정전 용량값이 작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에 비해, 제 2 코일 도체(22)의 권수와 제 5 코일 도체(25)의 권수가 크다. 따라서,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에 비해, 제 1 코일(C1)과 제 3 코일(C3) 간에서의 정전 용량값이 크다.
상술한 누설 L값 및 정전 용량값에 관한 사항에서,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에 비해, 제 1 코일(C1)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가 작고,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에서의 특성 임피던스, 및 제 2 코일(C2)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가 크다.
이상으로부터,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에 비해,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와, 제 2 코일(C2)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와, 제 1 코일(C1)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편차가 억제되어 있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에서는,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와, 제 2 코일(C2)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와, 제 1 코일(C1)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와의 차가 더욱 작다.
이어서, 도 10, 도 11a, 도 11b, 도 12a, 도 12b,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3)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0은 제 2 변형예에 따른 적층 공통 모드 필터가 구비하는 소체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제 1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b는 제 2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a는 제 5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b는 제 6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3)는, 상술한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 CF2)와 동일하게, 소체(1), 제 1 단자 전극(11), 제 2 단자 전극(12), 제 3 단자 전극(13), 제 4 단자 전극(14), 제 5 단자 전극(15), 및 제 6 단자 전극(16)을 구비하고 있다(도 1 참조).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3)는, 도 10, 도 11a, 도 11b,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코일 도체(21), 제 2 코일 도체(22), 제 3 코일 도체(23), 제 4 코일 도체(24), 제 5 코일 도체(25), 및 제 6 코일 도체(26)를, 비자성체부(3)에 구비하고 있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3)에서는, 제 1 코일 도체(21), 제 2 코일 도체(22), 제 5 코일 도체(25), 및 제 6 코일 도체(26)의 형상(권수)이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 CF2)와 상이하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3)에서는, 제 3 코일 도체(23)는, 도 5a에 나타나 있는 제 3 코일 도체(23)와 동일하고, 제 4 코일 도체(24)는, 도 5b에 나타나 있는 제 4 코일 도체(24)와 동일하다.
제 2 변형예에서는, 제 1 코일 도체(21)의 권수는 1.75이다. 제 2 코일 도체(22)의 권수는 5.75이다. 제 1 코일(C1)의 권수(제 1 코일 도체(21)의 권수와 제 2 코일 도체(22)의 권수의 합계 값)는 7.5이다. 제 3 코일 도체(23)의 권수와 제 4 코일 도체(24)의 권수는 3.75이다(도 5 참조). 제 2 코일(C2)의 권수(제 3 코일 도체(23)의 권수와 제 4 코일 도체(24) 권수의 합계 값)는 7.5이다. 제 5 코일 도체(25)의 권수는 5.75이다. 제 6 코일 도체(26)의 권수는 1.75이다. 제 3 코일(C3)의 권수(제 5 코일 도체(25)의 권수와 제 6 코일 도체(26)의 권수의 합계 값)는 7.5이다.
제 2 변형예에서도, 제 1 변형예와 동일하게, 제 1 코일 도체(21), 제 2 코일 도체(22), 제 3 코일 도체(23), 제 4 코일 도체(24), 제 5 코일 도체(25), 및 제 6 코일 도체(26)의 각 외경은 동등하다. 제 1 코일 도체(21)의 내경과 제 6 코일 도체(26)의 내경은 동등하다. 제 2 코일 도체(22)의 내경과 제 5 코일 도체(25)의 내경은 동등하다. 제 3 코일 도체(23)의 내경과 제 4 코일 도체(24)의 내경은 동등하다. 제 1 코일 도체(21) 및 제 6 코일 도체(26)의 각 내경은, 제 3 코일 도체(23) 및 제 4 코일 도체(24)의 각 내경보다 크다. 제 2 코일 도체(22) 및 제 5 코일 도체(25)의 각 내경은, 제 3 코일 도체(23) 및 제 4 코일 도체(24)의 각 내경보다 작다.
제 2 변형예에서도, 제 3 코일 도체(23)의 권수와 제 4 코일 도체(24)의 권수는, 제 5 코일 도체(25)의 권수와 제 2 코일 도체(22)의 권수보다 작고, 또한, 제 1 코일 도체(21)의 권수와 제 6 코일 도체(26)의 권수보다 크다. 제 1 코일 도체(21)의 권수와 제 6 코일 도체(26)의 권수는, 제 5 코일 도체(25)의 권수보다 작고, 또한, 제 2 코일 도체(22)의 권수보다 작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3)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에 비해, 서로 자기 결합하기 어려운 제 1 코일 도체(21) 및 제 6 코일 도체(26)의 각 권수가 작다. 따라서,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3)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에 비해, 제 1 코일(C1)과 제 3 코일(C3) 간에서의 누설 L값이 작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3)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에 비해, 제 1 코일 도체(21)의 권수와 제 6 코일 도체(26)의 권수가 작다. 따라서,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3)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에 비해, 제 1 코일(C1)과 제 2 코일(C2) 간에서의 정전 용량값과 제 2 코일(C2)과 제 3 코일(C3) 간에서의 정전 용량값이 작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3)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에 비해, 제 2 코일 도체(22)의 권수와 제 5 코일 도체(25)의 권수가 크다. 따라서,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3)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에 비해, 제 1 코일(C1)과 제 3 코일(C3) 간에서의 정전 용량값이 크다.
상술한 누설 L값 및 정전 용량값에 관한 사항으로부터,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3)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에 비해, 제 1 코일(C1)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가 작고,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에서의 특성 임피던스, 및 제 2 코일(C2)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가 크다.
이상으로부터,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3)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2)에 비해,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와, 제 2 코일(C2)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와, 제 1 코일(C1)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편차가 억제되어 있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3)에서는,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와, 제 2 코일(C2)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와, 제 1 코일(C1)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차가 더욱 작다.
이어서, 도 13, 도 14a, 도 14b, 도 15a, 도 15b,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따른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4)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3은, 제 3 변형예에 따른 적층 공통 모드 필터가 구비하는 소체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는 제 1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b는 제 2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a는 제 5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5b는 제 6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4)는, 상술한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와 동일하게, 소체(1), 제 1 단자 전극(11), 제 2 단자 전극(12), 제 3 단자 전극(13), 제 4 단자 전극(14), 제 5 단자 전극(15), 및 제 6 단자 전극(16)을 구비하고 있다(도 1 참조).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4)는, 도 13, 도 14a, 도 14b,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코일 도체(21), 제 2 코일 도체(22), 제 3 코일 도체(23), 제 4 코일 도체(24), 제 5 코일 도체(25), 및 제 6 코일 도체(26)를, 비자성체부(3)에 구비하고 있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4)에서는, 제 1 코일 도체(21), 제 2 코일 도체(22), 제 5 코일 도체(25), 및 제 6 코일 도체(26)의 형상(권수)이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와 상이하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4)에서는, 제 3 코일 도체(23)는, 도 5a에 나타나 있는 제 3 코일 도체(23)와 동일하고, 제 4 코일 도체(24)는, 도 5b에 나타나 있는 제 4 코일 도체(24)와 동일하다.
제 3 변형예에서는, 제 1 코일 도체(21)의 권수는 1.75이다. 제 2 코일 도체(22)의 권수는 4.75이다. 제 1 코일(C1)의 권수(제 1 코일 도체(21)의 권수와 제 2 코일 도체(22)의 권수의 합계 값)는 6.5이다. 제 3 코일 도체(23)의 권수와 제 4 코일 도체(24)의 권수는 3.75이다(도 5 참조). 제 2 코일(C2)의 권수(제 3 코일 도체(23)의 권수와 제 4 코일 도체(24)의 권수의 합계 값)는 7.5이다. 제 5 코일 도체(25)의 권수는 4.75이다. 제 6 코일 도체(26)의 권수는 1.75이다. 제 3 코일(C3)의 권수(제 5 코일 도체(25)의 권수와 제 6 코일 도체(26)의 권수의 합계 값)는 6.5이다.
제 3 변형예에서도, 제 1 및 제 2 변형예와 동일하게, 제 1 코일 도체(21), 제 2 코일 도체(22), 제 3 코일 도체(23), 제 4 코일 도체(24), 제 5 코일 도체(25), 및 제 6 코일 도체(26)의 각 외경은 동등하다. 제 1 코일 도체(21)의 내경과 제 6 코일 도체(26)의 내경은 동등하다. 제 2 코일 도체(22)의 내경과 제 5 코일 도체(25)의 내경은 동등하다. 제 3 코일 도체(23)의 내경과 제 4 코일 도체(24)의 내경은 동등하다. 제 1 코일 도체(21) 및 제 6 코일 도체(26)의 각 내경은, 제 3 코일 도체(23) 및 제 4 코일 도체(24)의 각 내경보다 크다. 제 2 코일 도체(22) 및 제 5 코일 도체(25)의 각 내경은, 제 3 코일 도체(23) 및 제 4 코일 도체(24)의 각 내경보다 작다.
제 3 변형예에서도, 제 3 코일 도체(23)의 권수와 제 4 코일 도체(24)의 권수는, 제 5 코일 도체(25)의 권수와 제 2 코일 도체(22)의 권수보다 작고, 또한, 제 1 코일 도체(21)의 권수와 제 6 코일 도체(26)의 권수보다 크다. 제 1 코일 도체(21)의 권수와 제 6 코일 도체(26)의 권수는, 제 5 코일 도체(25)의 권수보다 작고, 또한, 제 2 코일 도체(22)의 권수보다 작다.
제 1 코일(C1)의 권수 및 제 3 코일(C3)의 권수가, 제 2 코일(C2)의 권수보다 작다. 따라서,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4)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에 비해, 제 1 코일(C1)의 인덕턴스 값과, 제 3 코일(C3)의 인덕턴스 값이 작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4)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에 비해, 서로 자기 결합하기 어려운 제 1 코일 도체(21) 및 제 6 코일 도체(26)의 각 권수가 작다. 따라서,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4)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에 비해, 제 1 코일(C1)과 제 3 코일(C3) 사이에서의 누설 L값이 작다.
코일의 권수가 작은 경우, 코일의 권수가 큰 경우에 비해, 상기 코일을 구성하는 코일 도체의 면적이 작고, 정전 용량값이 작다. 따라서, 코일의 권수가 작은 경우, 코일의 권수가 큰 경우에 비해, 특성 임피던스가 클 우려가 있다.
제 3 변형예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에 비해, 제 2 코일 도체(22)의 권수 및 제 5 코일 도체(25)의 권수가 크다. 따라서, 제 3 변형예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에 비해, 제 1 코일(C1)과 제 3 코일(C3) 간의 정전 용량값이 크다.
이상으로부터, 제 3 변형예에서는, 제 1 코일(C1)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가 커지는 것이 더욱 억제되어 있다. 이 결과,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와, 제 2 코일(C2)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와, 제 1 코일(C1)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편차가 더욱 억제되어 있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4)에서는,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와, 제 2 코일(C2)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와, 제 1 코일(C1)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와의 차가 매우 작다.
제 3 변형예에서는, 제 2 변형예에 비해, 제 2 코일 도체(22) 및 제 5 코일 도체(25)의 각 권수가 작다. 제 3 변형예와 제 2 변형예에서는, 제 2 코일 도체(22) 및 제 5 코일 도체(25) 각 외형은 동등하다. 따라서, 제 3 변형예에서는, 제 2 변형예에 비해, 제 2 코일 도체(22)의 내경이 큰, 즉, 제 2 코일 도체(22)의 내측의 면적이 크다. 이 결과, 제 2 코일 도체(22)의 내측에 위치하는 세 개의 패드 도체(42, 54, 55)의 형성이 용이하다. 동일하게, 제 3 변형예에서는, 제 2 변형예에 비해, 제 5 코일 도체(25)의 내경이 큰, 즉, 제 5 코일 도체(25)의 내측의 면적이 크다. 이 결과, 제 5 코일 도체(25)의 내측에 위치하는 세 개의 패드 도체(45, 52, 53)의 형성이 용이하다.
이어서, 도 16, 도 17a, 도 17b, 도 14a, 도 14b,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 4 변형예에 따른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5)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6은, 제 4 변형예에 따른 적층 공통 모드 필터가 구비하는 소체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는 제 3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7b는 제 4 코일 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5)는, 상술한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1)와 동일하게, 소체(1), 제 1 단자 전극(11), 제 2 단자 전극(12), 제 3 단자 전극(13), 제 4 단자 전극(14), 제 5 단자 전극(15), 및 제 6 단자 전극(16)을 구비하고 있다(도 1 참조).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5)는, 도 16,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코일 도체(21), 제 2 코일 도체(22), 제 3 코일 도체(23), 제 4 코일 도체(24), 제 5 코일 도체(25), 및 제 6 코일 도체(26)를, 비자성체부(3)에 구비하고 있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5)에서는, 제 1 코일 도체(21), 제 2 코일 도체(22), 제 5 코일 도체(25), 및 제 6 코일 도체(26)의 형상(권수)이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4)와 동일하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5)에서는, 제 1 코일 도체(21)는, 도 14a에 나타난 제 1 코일 도체(21)와 동일하고, 제 2 코일 도체(22)는, 도 14b에 나타난 제 2 코일 도체(22)와 동일하다. 제 5 코일 도체(25)는, 도 15a에 나타나 있는 제 5 코일 도체(25)와 동일하고, 제 6 코일 도체(26)는, 도 15b에 나타나 있는 제 6 코일 도체(26)와 동일하다.
제 4 변형예에서도, 제 1 코일 도체(21)의 권수는 1.75이고, 제 2 코일 도체(22)의 권수는 4.75이다(도 14 참조). 제 1 코일(C1)의 권수(제 1 코일 도체(21)의 권수와 제 2 코일 도체(22)의 권수의 합계 값)는 6.5이다. 제 3 코일 도체(23)의 권수와 제 4 코일 도체(24)의 권수는 3.75이다(도 17 참조). 제 2 코일(C2)의 권수(제 3 코일 도체(23)의 권수와 제 4 코일 도체(24) 권수의 합계 값)는 7.5이다. 제 5 코일 도체(25)의 권수는 4.75이고, 제 6 코일 도체(26)의 권수는 1.75이다(도 15 참조). 제 3 코일(C3)의 권수(제 5 코일 도체(25)의 권수와 제 6 코일 도체(26)의 권수의 합계 값)는 6.5이다.
제 4 변형예에서는, 제 3 코일 도체(23) 및 제 4 코일 도체(24)의 각 외경은, 제 1 코일 도체(21), 제 2 코일 도체(22), 제 5 코일 도체(25), 및 제 6 코일 도체(26)의 각 외경보다도 작다. 제 1 코일 도체(21)의 내경과 제 6 코일 도체(26)의 내경은 동등하다. 제 2 코일 도체(22), 제 3 코일 도체(23), 제 4 코일 도체(24), 및 제 5 코일 도체(25)의 각 내경은 동등하다. 제 1 코일 도체(21) 및 제 6 코일 도체(26)의 각 내경은, 제 2 코일 도체(22), 제 3 코일 도체(23), 제 4 코일 도체(24), 및 제 5 코일 도체(25)의 각 내경보다 크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5)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4)와 동일하게, 제 1 코일(C1) 및 제 2 코일(C2)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와, 제 2 코일(C2)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와, 제 1 코일(C1) 및 제 3 코일(C3)에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차가 극히 작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5)에서도, 제 2 코일 도체(22)의 내측에 위치하는 세 개의 패드 도체(42, 54, 55)의 형성이 용이하고, 제 5 코일 도체(25)의 내측에 위치하는 세 개의 패드 도체(45, 52, 53)의 형성이 용이하다.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5)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코일 도체(23) 및 제 4 코일 도체(24)의 각 외경은, 제 1 코일 도체(21), 제 2 코일 도체(22), 제 5 코일 도체(25), 및 제 6 코일 도체(26)의 각 외경보다도 작다. 따라서,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5)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4)에 비해, 제 3 코일 도체 및 제 4 코일 도체의 각 내경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5)에서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CF4)에 비해, 제 1 코일(C1) 및 제 3 코일(C3)의 각 인덕턴스 값과 제 2 코일(C2)의 인덕턴스 값과의 차가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경들이 상기에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 및 변경들로 반드시 제한되지는 않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6 코일 도체(21, 22, 23, 24, 25, 26)의 권수는, 상술한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코일 도체(22), 제 3 코일 도체(23), 제 4 코일 도체(24), 제 5 코일 도체(25)의 권수가 동일하고, 또한, 제 1 코일 도체(21) 및 제 6 코일 도체(26)의 각 권수가, 제 2 코일 도체(22), 제 3 코일 도체(23), 제 4 코일 도체(24), 제 5 코일 도체(25)의 각 권수보다 작아도 좋다.

Claims (4)

  1. 적층 공통 모드 필터에 있어서,
    제 1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주면을 갖고 있는 소체와,
    상기 소체 내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자기 결합하는 제 1 코일, 제 2 코일, 및 제 3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코일은, 나선형의 제 1 코일 도체 및 제 2 코일 도체를 갖고, 상기 제 1 코일 도체와 상기 제 2 코일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제 2 코일은, 나선형의 제 3 코일 도체 및 제 4 코일 도체를 갖고, 상기 제 3 코일 도체와 상기 제 4 코일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제 3 코일은, 나선형의 제 5 코일 도체 및 제 6 코일 도체를 갖고, 상기 제 5 코일 도체와 상기 제 6 코일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6 코일 도체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제 1 코일 도체, 상기 제 3 코일 도체, 상기 제 5 코일 도체, 상기 제 2 코일 도체, 상기 제 4 코일 도체, 상기 제 6 코일 도체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는, 적층 공통 모드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 도체의 권수와 상기 제 6 코일 도체의 권수는, 상기 제 5 코일 도체의 권수보다 작고, 또한, 상기 제 2 코일 도체의 권수보다 작은, 적층 공통 모드 필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 도체의 권수와 상기 제 2 코일 도체의 권수의 합계값은, 상기 제 3 코일 도체의 권수와 상기 제 4 코일 도체의 권수의 합계보다 작고,
    상기 제 5 코일 도체의 권수와 상기 제 6 코일 도체의 권수의 합계값은, 상기 제 3 코일 도체의 권수와 상기 제 4 코일 도체의 권수의 합계보다 작은, 적층 공통 모드 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코일 도체 및 상기 제 4 코일 도체의 각 외경은, 상기 제 1 코일 도체, 상기 제 2 코일 도체, 상기 제 5 코일 도체, 및 상기 제 6 코일 도체의 각 외경보다도 작은, 적층 공통 모드 필터.
KR1020170136330A 2016-10-24 2017-10-20 적층 공통 모드 필터 KR101955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07646 2016-10-24
JP2016207646A JP6740854B2 (ja) 2016-10-24 2016-10-24 積層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812A true KR20180044812A (ko) 2018-05-03
KR101955903B1 KR101955903B1 (ko) 2019-03-11

Family

ID=61971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330A KR101955903B1 (ko) 2016-10-24 2017-10-20 적층 공통 모드 필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40070B2 (ko)
JP (1) JP6740854B2 (ko)
KR (1) KR101955903B1 (ko)
CN (1) CN107978419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382A (ko) 2019-10-11 2021-04-21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KR20230065537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KR20230067946A (ko) 2021-11-10 2023-05-17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KR20240030266A (ko) 2022-08-30 2024-03-07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KR20240030264A (ko) 2022-08-30 2024-03-07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KR20240043294A (ko) 2022-09-27 2024-04-03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KR20240043296A (ko) 2022-09-27 2024-04-03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KR20240062537A (ko) 2022-11-02 2024-05-09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232A1 (ja) 2017-07-11 2019-01-17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はす歯ベルトおよびベルト伝動装置
CN114551029B (zh) * 2020-11-26 2023-10-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共模滤波器及终端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4027A (ja) * 2001-10-19 2003-04-25 Murata Mfg Co Ltd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及び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のコモンモードインピーダンス調整方法
KR20160055684A (ko) * 2014-11-10 2016-05-18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공통 모드 초크코일
JP2016157917A (ja) * 2015-02-19 2016-09-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2965A (en) * 1996-09-13 1999-08-2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layer substrate
JP3767437B2 (ja) 2001-09-05 2006-04-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2016157897A (ja) * 2015-02-26 2016-09-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4027A (ja) * 2001-10-19 2003-04-25 Murata Mfg Co Ltd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及び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のコモンモードインピーダンス調整方法
KR20160055684A (ko) * 2014-11-10 2016-05-18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공통 모드 초크코일
JP2016157917A (ja) * 2015-02-19 2016-09-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382A (ko) 2019-10-11 2021-04-21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KR20230065537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KR20230067946A (ko) 2021-11-10 2023-05-17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KR20240030266A (ko) 2022-08-30 2024-03-07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KR20240030264A (ko) 2022-08-30 2024-03-07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KR20240043294A (ko) 2022-09-27 2024-04-03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KR20240043296A (ko) 2022-09-27 2024-04-03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KR20240062537A (ko) 2022-11-02 2024-05-09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40854B2 (ja) 2020-08-19
KR101955903B1 (ko) 2019-03-11
US10340070B2 (en) 2019-07-02
US20180114624A1 (en) 2018-04-26
CN107978419A (zh) 2018-05-01
JP2018073854A (ja) 2018-05-10
CN107978419B (zh)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903B1 (ko) 적층 공통 모드 필터
CN106935360B (zh) 电子元器件
TWI514758B (zh) filter
JP6780589B2 (ja) 電子部品
US10115515B2 (en) Multilayer common mode filter
JP2017188704A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US20160078997A1 (en) Inductor array chip and board having the same
KR101843283B1 (ko) 코일 전자 부품
US11189413B2 (en) Multilayer coil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110163832A1 (en) Laminated electronic component
WO2018051798A1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WO2015037374A1 (ja) インダクタおよび帯域除去フィルタ
KR101408505B1 (ko) 커먼 모드 필터 및 그 제조방법
JP6248461B2 (ja) 積層型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CN104637650A (zh) 多层型电感器
JP6753091B2 (ja) 積層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7182037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CN111145985A (zh) 一种叠层片式共模滤波器
TWI502802B (zh) Electronic Parts
JP2012182286A (ja) コイル部品
US20220013278A1 (en) Multilayer coil component
JP2016157897A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4216856B2 (ja) 積層型電子部品
WO2018070105A1 (ja) 積層型lcフィルタアレイ
JP2015035463A (ja) 積層型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