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5537A -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 Google Patents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5537A
KR20230065537A KR1020210151206A KR20210151206A KR20230065537A KR 20230065537 A KR20230065537 A KR 20230065537A KR 1020210151206 A KR1020210151206 A KR 1020210151206A KR 20210151206 A KR20210151206 A KR 20210151206A KR 20230065537 A KR20230065537 A KR 20230065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oil pattern
sheet
coi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국
김희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to KR1020210151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5537A/ko
Priority to PCT/KR2022/016963 priority patent/WO2023080607A1/ko
Publication of KR20230065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01F2017/002Details of via holes for interconnecting the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코일 패턴들 사이에 접지 패턴을 개재하여 추가적인 정전 용량을 형성하도록 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를 제시한다. 제시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는 제1 코일 패턴, 제2 코일 패턴 및 제3 코일 패턴이 형성된 적층체로 구성된 상부 전극층, 상부 전극층의 하부에 배치되고, 접지 패턴이 형성된 접지층 및 제4 코일 패턴, 제5 코일 패턴 및 제6 코일 패턴이 형성된 적층체로 구성되어 접지층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전극층을 포함하고, 접지 패턴은 상부 전극층의 코일 패턴 및 하부 전극층의 코일 패턴과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정전 용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MULTILAYER COMMON MODE FILTER}
본 발명은 고속 신호 라인이 적용된 전자 기기에서 차동 모드(Differential Mode)의 신호 전류를 통과시키고, 공통 모드(Common mode)의 노이즈 전류를 제거하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은 디지털 데이터 전송 규격으로서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D-PHY 규격이 채용하고 있다. MIPI D-PHY 규격은 휴대 단말의 메인 회로와 디스플레이 또는 카메라를 연결하는 디지털 데이터 전송 규격으로, 2개의 전송 라인을 이용한 차동 신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휴대 단말 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급속히 커짐에 따라, 휴대 단말은 MIPI D-PHY보다 고속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송 방식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최근 휴대 단말 업계에서는 MIPI C-PHY 규격을 휴대 단말에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MIPI C-PHY 규격은 3개의 전송 라인을 이용하여, 송신측으로부터 각 전송 라인에 상이한 전압을 보내고, 수신측에서 각 라인간의 차분을 취함으로써 차동 출력하는 방식이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공개된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44812호(명칭: 적층 공통 모드 필터)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코일 패턴들 사이에 접지 패턴을 개재하여 추가적인 정전 용량을 형성하도록 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는 제1 코일 패턴, 제2 코일 패턴 및 제3 코일 패턴이 형성된 적층체로 구성된 상부 전극층, 상부 전극층의 하부에 배치되고, 접지 패턴이 형성된 접지층 및 제4 코일 패턴, 제5 코일 패턴 및 제6 코일 패턴이 형성된 적층체로 구성되어 접지층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전극층을 포함하고, 접지 패턴은 상부 전극층의 코일 패턴 및 하부 전극층의 코일 패턴과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정전 용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제1 코일 패턴은 제2 코일 패턴 및 제3 코일 패턴과 다른 층에 배치되고, 제2 코일 패턴 및 제3 코일 패턴은 상부 전극층의 수직 절단면을 기준으로 동일층에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4 코일 패턴은 제5 코일 패턴 및 제6 코일 패턴과 다른 층에 배치되고, 제5 코일 패턴 및 제6 코일 패턴은 하부 전극층의 수직 절단면을 기준으로 동일층에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 패턴 및 제4 코일 패턴은 비아 홀을 통해 연결되어 제1 코일을 구성하고, 접지 패턴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제2 코일 패턴 및 제5 코일 패턴은 비아 홀을 통해 연결되어 제2 코일을 구성하고, 접지 패턴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제3 코일 패턴 및 제6 코일 패턴은 비아 홀을 통해 연결되어 제3 코일을 구성하고, 접지 패턴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제1 코일 패턴 내지 제6 코일 패턴은 접지 패턴과 중첩되어 추가 정전 용량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전극층, 접지층 및 하부 전극층이 적층되어 적층체를 구성하고, 적층체의 제1 측면에는 제1 코일 패턴, 제2 코일 패턴 및 제3 코일 패턴의 단부가 노출되고, 적층체의 제1 측면에 대향되는 적층체의 제2 측면에는 제4 코일 패턴, 제5 코일 패턴 및 제6 코일 패턴의 단부가 노출되고, 적층체의 제3 측면에는 접지 패턴의 제1 단부가 노출되고, 적층체의 제3 측면에 대향되는 적층체의 제4 측면에는 접지 패턴의 제2 단부가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는 적층체의 측면에 배치되어, 적층체의 측면으로 노출된 제1 코일 패턴 내지 제6 코일 패턴 및 접지 패턴의 중에서 하나의 패턴과 일대일로 연결된 복수의 외부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는 제1 시트, 제1 시트의 제1 면에 배치된 제1 코일 패턴, 제1 시트의 하면에 배치된 제2 시트, 제2 시트의 제1 면에 배치되어 제1 시트 및 제2 시트 사이에 개재된 제2 코일 패턴, 제2 시트의 제1 면에 배치되어 제1 시트 및 제2 시트 사이에 개재되고, 제2 코일 패턴과 이격된 제3 코일 패턴, 제2 시트의 하면에 배치된 제3 시트, 제3 시트의 제1 면에 배치되어 제2 시트 및 제3 시트 사이에 개재되고, 제1 코일 패턴, 제2 코일 패턴 및 제3 코일 패턴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접지 패턴, 제3 시트의 하면에 배치된 제4 시트, 제4 시트의 제1 면에 배치되어 제3 시트 및 제4 시트 사이에 개재되고, 제1 코일 패턴과 비아 홀을 통해 연결되어 제1 코일을 구성하고, 제1 코일 패턴 및 접지 패턴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4 코일 패턴, 제4 시트의 하면에 배치된 제5 시트, 제5 시트의 제1 면에 배치되어 제4 시트 및 제5 시트 사이에 개재되고, 제2 코일 패턴과 비아 홀을 통해 연결되어 제2 코일을 구성하고, 제2 코일 패턴 및 접지 패턴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5 코일 패턴 및 제5 시트의 제1 면에서 제5 코일 패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제4 시트 및 제5 시트 사이에 개재되고, 제3 코일 패턴과 비아 홀을 통해 연결되어 제3 코일을 구성하고, 제3 코일 패턴 및 접지 패턴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6 코일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일 패턴 및 제2 코일 패턴은 제2 시트의 수직 절단면을 기준으로 교대로 배치되고, 제5 코일 패턴 및 제6 코일 패턴은 제5 시트의 수직 절단면을 기준으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접지 패턴은 제1 코일 패턴 내지 제6 코일 패턴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추가 정전 용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1 접지 패턴 및 제1 접지 패턴과 이격되고, 제1 코일 패턴 내지 제6 코일 패턴의 다른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추가 정전 용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2 접지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트 내지 제5 시트가 적층된 적층체의 제1 측면에는 제1 코일 패턴, 제2 코일 패턴 및 제3 코일 패턴의 단부가 노출되고, 적층체의 제1 측면에 대향되는 적층체의 제2 측면에는 제4 코일 패턴, 제5 코일 패턴 및 제6 코일 패턴의 단부가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는 적층체의 제1 측면에 배치되어 제1 코일 패턴과 연결된 제1 외부 전극, 적층체의 제1 측면에 배치되어 제2 코일 패턴과 연결된 제2 외부 전극, 적층체의 제1 측면에 배치되어 제3 코일 패턴과 연결된 제3 외부 전극, 적층체의 제2 측면에 배치되어 제4 코일 패턴과 연결된 제4 외부 전극, 적층체의 제2 측면에 배치되어 제5 코일 패턴과 연결된 제5 외부 전극 및 적층체의 제2 측면에 배치되어 제6 코일 패턴과 연결된 제6 외부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층체의 제3 측면에는 접지층의 접지 패턴의 제1 단부가 노출되고, 적층체의 제3 측면에 대향되는 적층체의 제4 측면에는 접지 패턴의 제2 단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는 적층체의 제3 측면에 배치되어 접지 패턴의 제1 단부와 연결된 제7 외부 전극 및 적층체의 제4 측면에 배치되어 접지 패턴의 제2 단부와 연결된 제8 외부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는 코일 패턴들 사이에 접지 패턴을 개재함으로써, 각 코일과 접지 패턴 사이에 추가적인 정전 용량(C3~C8)이 형성되고, 코일 패턴이 형성된 시트층으로 구성된 전극층을 추가하지 않고 정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는 코일과 접지 패턴 사이에서 추가적인 정전 용량이 형성됨에 따라, 공통 모드 감쇄(Common mode Attenuation) 특성에 추가적인 노치(Notch)를 형성하여 감쇄(Attenuation) 대역을 확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부 전극층의 제1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상부 전극층의 제2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2의 접지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2의 하부 전극층의 제4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2의 하부 전극층의 제5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의 코일 패턴들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수직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의 코일 패턴들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의 등가 회로를 표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도면에 의해서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도면에서 상대적인 두께, 길이나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는 필터 적층체(100), 제1 외부 전극(210), 제2 외부 전극(220), 제3 외부 전극(230), 제4 외부 전극(240), 제5 외부 전극(250), 제6 외부 전극(260), 제7 외부 전극(270) 및 제8 외부 전극(2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필터 적층체(100)는 상부 보호층(110), 상부 전극층(120), 접지층(130), 하부 전극층(140) 및 하부 보호층(150)이 적층된 적층체이다.
상부 보호층(110)은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의 최상부에 배치된다. 즉, 상부 보호층(110)은 상부 전극층(1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의 최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부 보호층(110)은 하나 이상의 유전체 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부 전극층(120)은 복수의 코일 패턴이 형성된 적층체로 구성되며, 상부 보호층(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부 전극층(120)은 코일 패턴이 형성된 복수의 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된다. 이때, 시트에 적층된 코일 패턴들은 복수의 채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코일을 형성한다.
일례로, 상부 전극층(120)은 제1 시트(121) 및 제2 시트(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시트(121) 및 제2 시트(123)에는 코일 패턴이 형성되며, 제1 시트(121)는 제2 시트(123)의 상부에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시트(121)는 상부 보호층(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 시트(121)의 상면에는 제1 채널을 구성하는 제1 코일 패턴(122)이 배치된다.
제1 코일 패턴(122)의 제1 단부(122a)는 제1 시트(121)의 중심점(C1)에 배치된다. 제1 코일 패턴(122)은 제1 시트(121)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1 시트(121)의 중심점(C1)을 복수회 권회하여 제1 루프를 형성한다. 제1 코일 패턴(122)의 제2 단부(122b)는 제1 시트(121)의 제1 변과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시트(123)는 제1 시트(121)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2 시트(123)의 상면에는 제2 채널을 구성하는 제2 코일 패턴(124)과 제3 채널을 구성하는 제3 코일 패턴(125)이 형성된다. 이때, 제2 시트(123)의 중심점(C2)에는 제1 코일 패턴(122)과 연결된 제1 비아 홀(V1)이 형성된다.
제2 코일 패턴(124)은 제2 시트(123)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2 시트(123)의 중심점(C2)을 복수회 권회하여 제2 루프를 형성한다.
제2 코일 패턴(124)의 제1 단부(124a)는 제2 시트(123)의 중심점(C2)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2 코일 패턴(124)의 제2 단부(124b)는 제2 시트(123)의 제1 변과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이때, 제2 코일 패턴(124)의 제2 단부(124b)는 제2 시트(123)의 제1 변과 직교하는 제2 변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제3 코일 패턴(125)은 제2 시트(123)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2 시트(123)의 중심점(C2)을 복수회 권회하여 제3 루프를 형성한다.
제3 코일 패턴(125)의 제1 단부(125a)는 제2 시트(123)의 중심점(C2)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3 코일 패턴(125)의 제1 단부(125a)는 제2 시트(123)의 중심점(C2)을 사이에 두고 제2 코일 패턴(124)의 제1 단부(124a)와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제3 코일 패턴(125)의 제2 단부(125b)는 제2 시트(123)의 제1 변과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이때, 제3 코일 패턴(125)의 제2 단부(125b)는 제2 시트(123)의 제1 변과 직교하고 제2 시트(123)의 제2 변과 대향되는 제3 변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제3 코일 패턴(125)은 제2 코일 패턴(124)이 형성된 제2 루프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A'를 기준으로 제2 시트(123)를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에서 제2 코일 패턴(124)과 제3 코일 패턴(125)은 교대로 배치된다.
접지층(130)은 상부 전극층(120)과 하부 전극층(140) 사이에 개재된다. 여기서,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하나의 시트로 구성된 접지층(13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둘 이상의 시트가 적층된 적층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지층(130)은 제3 시트(13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3 시트(131)에는 제2 비아 홀(V2), 제3 비아 홀(V3), 제4 비아 홀(V4), 제1 접지 패턴(132a), 제2 접지 패턴(132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비아 홀(V2)은 제3 시트(131)의 중심점(C3)에 배치되고, 제1 비아 홀(V1) 및 제1 시트(121)의 제1 코일 패턴(122)과 연결된다. 제2 비아 홀(V2)은 후술할 하부 전극층(140)에 형성된 코일 패턴들 중에서 제1 코일 패턴(122)과 함께 제1 채널을 형성하는 코일 패턴과 연결된다.
제3 비아 홀(V3)은 제3 시트(131)의 중심점(C3)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3 비아 홀(V3)은 제2 시트(123)의 제2 코일 패턴(124)과 연결된다. 제3 비아 홀(V3)은 후술할 하부 전극층(140)에 형성된 코일 패턴들 중에서 제2 코일 패턴(124)과 함께 제2 채널을 형성하는 코일 패턴과 연결된다.
제4 비아 홀(V4)은 제3 시트(131)의 중심점(C3)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4 비아 홀(V4)은 제3 시트(131)의 중심점(C3)을 사이에 두고 제3 비아 홀(V3)과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제4 비아 홀(V4)은 제2 시트(123)의 제3 코일 패턴(125)과 연결된다. 제4 비아 홀(V4)은 후술할 하부 전극층(140)에 형성된 코일 패턴들 중에서 제3 코일 패턴(125)과 함께 제3 채널을 형성하는 코일 패턴과 연결된다.
제1 접지 패턴(132a)은 제3 시트(131)의 제2 변에서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1 접지 패턴(132a)은 제1 패턴, 제2 패턴, 제1 연장 패턴 및 제2 연장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패턴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제3 시트(131)의 상면에 배치된다. 제1 패턴의 제1 단부는 제3 시트(131)의 제2 변과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제2 패턴의 제2 단부는 제2 패턴과 연결된다.
제2 패턴은 제1 패턴과 직교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제3 시트(131)의 상면에 배치된다. 제2 패턴의 제1 단부는 제3 시트(131)의 제1 변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제2 패턴의 제2 단부는 제3 시트(131)의 제1 변과 대향되는 제3 시트(131)의 제4 변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제1 연장 패턴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제2 패턴의 제1 단부에서 제3 시트(131)의 제3 변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이때, 제1 연장 패턴은 장변 및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성으로 형성되고, 단변이 제3 시트(131)의 제1 변과 인접하고, 제3 시트(131)의 제1 변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제1 연장 패턴의 제1 단부는 제2 패턴의 제1 단부와 연결된다. 제1 연장 패턴의 제2 단부는 제2 접지 패턴(132b)과 마주보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2 연장 패턴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제2 패턴의 제2 단부에서 제3 시트(131)의 제3 변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이때, 제2 연장 패턴은 장변 및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성으로 형성되고, 단변이 제3 시트(131)의 제4 변과 인접하고, 제3 시트(131)의 제4 변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제2 연장 패턴의 제1 단부는 제2 패턴의 제2 단부와 연결된다. 제2 연장 패턴의 제2 단부는 제2 접지 패턴(132b)과 마주보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2 접지 패턴(132b)은 제3 시트(131)의 제3 변에서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2 접지 패턴(132b)은 제3 패턴, 제4 패턴, 제3 연장 패턴 및 제4 연장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 패턴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제3 시트(131)의 상면에 배치된다. 제3 패턴의 제1 단부는 제3 시트(131)의 제3 변과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제3 패턴의 제2 단부는 제4 패턴과 연결된다.
제4 패턴은 제3 패턴과 직교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제3 시트(131)의 상면에 배치된다. 제4 패턴의 제1 단부는 제3 시트(131)의 제1 변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제4 패턴의 제2 단부는 제3 시트(131)의 제1 변과 대향되는 제3 시트(131)의 제4 변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제3 연장 패턴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제4 패턴의 제1 단부에서 제3 시트(131)의 제2 변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이때, 제3 연장 패턴은 장변 및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성으로 형성되고, 단변이 제3 시트(131)의 제1 변과 인접하고, 제3 시트(131)의 제1 변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제3 연장 패턴의 제1 단부는 제4 패턴의 제1 단부와 연결된다. 제3 연장 패턴의 제2 단부는 제1 접지 패턴(132a)의 제1 연장 패턴과 마주보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4 연장 패턴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제4 패턴의 제2 단부에서 제3 시트(131)의 제2 변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이때, 제4 연장 패턴은 장변 및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성으로 형성되고, 단변이 제3 시트(131)의 제4 변과 인접하고, 제3 시트(131)의 제4 변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제4 연장 패턴의 제1 단부는 제4 패턴의 제2 단부와 연결된다. 제4 연장 패턴의 제2 단부는 제1 접지 패턴(132a)의 제2 연장 패턴과 마주보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접지 패턴(132a) 및 제2 접지 패턴(132b)은 서로 이격되지 않고, 연결된 쇼트(Short)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접지 패턴(132a)의 제1 연장 패턴과 제2 접지 패턴(132b)의 제3 연장 패턴이 연결되어 하나의 연장 패턴을 구성하고, 제1 접지 패턴(132a)의 제2 연장 패턴과 제2 접지 패턴(132b)의 제4 연장 패턴이 연결되어 다른 하나의 연장 패턴을 구성한다. 그에 따라, 접지층(130)에는 제1 패턴 내지 제4 패턴과 제1 연장 패턴 내지 제4 연장 패턴이 모두 연결된 하나의 접지 패턴(132)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전극층(140)은 복수의 코일이 형성된 적층체이다. 하부 전극층(140)은 코일 패턴이 형성된 복수의 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된다. 이때, 시트에 적층된 코일 패턴들은 복수의 채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코일을 형성한다.
일례로, 하부 전극층(140)은 제4 시트(141) 및 제5 시트(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4 시트(141)는 접지층(13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4 시트(141)에는 제4 코일 패턴(142), 제5 비아 홀(V5) 및 제6 비아 홀(V6)이 형성된다.
제4 코일 패턴(142)은 제4 시트(141)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부 전극층(120)의 제1 코일 패턴(122)과 함께 제1 채널을 구성한다. 제4 코일 패턴(142)의 제1 단부(142a)는 제4 시트(141)의 중심점(C4)에 배치된다. 제4 코일 패턴(142)은 제4 시트(141)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4 시트(141)의 중심점(C4)을 복수회 권회하여 제4 루프를 형성한다. 제4 코일 패턴(142)의 제2 단부(142b)는 제4 시트(141)의 제4 변과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제4 코일 패턴(142)의 제1 단부(142a)는 제1 비아 홀(V1) 및 제2 비아 홀(V2)을 통해 제1 시트(121)의 제1 코일 패턴(122)과 연결된다. 이에, 제4 코일 패턴(142)은 제1 코일 패턴(122)과 함께 제1 채널을 형성한다.
제5 비아 홀(V5)은 제4 시트(141)의 중심점(C4)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5 비아 홀(V5)은 접지층(130)의 제3 비아 홀(V3)을 통해 제2 시트(123)의 제2 코일 패턴(124)과 연결된다.
제6 비아 홀(V6)은 제4 시트(141)의 중심점(C4)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6 비아 홀(V6)은 제4 시트(141)의 중심점(C3)을 사이에 두고 제5 비아 홀(V5)과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제6 비아 홀(V6)은 제4 비아 홀(V4)을 통해 제2 시트(123)의 제3 코일 패턴(125)과 연결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5 시트(143)는 제4 시트(141)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5 시트(143)의 상면에는 제2 채널을 구성하는 제5 코일 패턴(144)과 제3 채널을 구성하는 제6 코일 패턴(145)이 형성된다.
제5 코일 패턴(144)은 제5 시트(143)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5 시트(143)의 중심점(C5)을 복수회 권회하여 제5 루프를 형성한다.
제5 코일 패턴(144)의 제1 단부(144a)는 제5 시트(143)의 중심점(C5)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5 코일 패턴(144)의 제1 단부(144a)는 제3 비아 홀(V3) 및 제5 비아 홀(V5)을 통해 제2 시트(123)의 제2 코일 패턴(124)과 연결된다. 이에, 제5 코일 패턴(144)은 제2 코일 패턴(124)과 함께 제2 채널을 형성한다.
제5 코일 패턴(144)의 제2 단부(144b)는 제5 시트(143)의 제4 변과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이때, 제5 코일 패턴(144)의 제2 단부(144b)는 제5 시트(143)의 제4 변과 직교하는 제2 변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제6 코일 패턴(145)은 제5 시트(143)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5 시트(143)의 중심점(C5)을 복수회 권회하여 제6 루프를 형성한다.
제6 코일 패턴(145)의 제1 단부(145a)는 제5 시트(143)의 중심점(C5)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6 코일 패턴(145)의 제1 단부(145a)는 제5 시트(143)의 중심점(C5)을 사이에 두고 제5 코일 패턴(144)의 제1 단부(144a)와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제6 코일 패턴(145)의 제2 단부(145b)는 제5 시트(143)의 제1 변과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이때, 제6 코일 패턴(145)의 제2 단부(145b)는 제5 시트(143)의 제1 변과 직교하고 제5 시트(143)의 제2 변과 대향되는 제3 변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제6 코일 패턴(145)은 제5 코일 패턴(144)이 형성된 제2 루프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제5 시트(143)를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에서 제5 코일 패턴(144)과 제6 코일 패턴(145)은 교대로 배치된다.
제6 코일 패턴(145)의 제1 단부(145a)는 제4 비아 홀(V4) 및 제6 비아 홀(V6)을 통해 제2 시트(123)의 제3 코일 패턴(125)과 연결된다. 이에, 제6 코일 패턴(145)은 제3 코일 패턴(125)과 함께 제3 채널을 형성한다.
한편, 상술한 상부 전극층(120), 접지층(130) 및 하부 전극층(140)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적층체를 구성한다.
상부 전극층(120), 접지층(130) 및 하부 전극층(140)이 적층됨에 따라, 적층체는 상면, 하면, 제1 측면,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갖는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적층체의 제1 측면에는 제1 코일 패턴(122) 내지 제3 코일 패턴(125)의 제2 단부(122b, 124b, 125b)들이 노출된다. 적층체의 제2 측면에는 제1 접지 패턴(132a)의 제1 패턴의 제1 단부가 노출된다. 적층체의 제3 측면에는 제2 접지 패턴(132b)의 제3 패턴의 제1 단부가 노출된다. 적층체의 제4 측면에는 제4 코일 패턴(142) 내지 제6 코일 패턴(145)의 제2 단부(142b, 144b, 145b)들이 노출된다.
하부 보호층(150)은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의 최하부에 배치된다. 즉, 하부 보호층(150)은 하부 전극층(14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의 최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하부 보호층(150)은 하나 이상의 유전체 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된다.
제1 외부 전극(210)은 필터 적층체(100)의 제1 측면에 배치된다. 제1 외부 전극(210)은 제1 코일 패턴(122)의 제2 단부(122b)와 연결된다. 제1 외부 전극(210)의 양단부는 필터 적층체(100)의 상면 및 하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외부 전극(220)은 필터 적층체(100)의 제1 측면에 배치된다. 제2 외부 전극(220)은 필터 적층체(100)의 제2 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제2 코일 패턴(124)의 제2 단부(124b)와 연결된다. 제2 외부 전극(220)의 양단부는 필터 적층체(100)의 상면 및 하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외부 전극(230)은 필터 적층체(100)의 제1 측면에 배치된다. 제3 외부 전극(230)은 필터 적층체(100)의 제3 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제3 코일 패턴(125)의 제2 단부(125b)와 연결된다. 제3 외부 전극(230)의 양단부는 필터 적층체(100)의 상면 및 하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4 외부 전극(240)은 필터 적층체(100)의 제4 측면에 배치된다. 제4 외부 전극(240)은 제4 코일 패턴(142)의 제2 단부(142b)와 연결된다. 제4 외부 전극(240)의 양단부는 필터 적층체(100)의 상면 및 하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5 외부 전극(250)은 필터 적층체(100)의 제4 측면에 배치된다. 제5 외부 전극(250)은 필터 적층체(100)의 제2 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제5 코일 패턴(144)의 제2 단부(144b)와 연결된다. 제5 외부 전극(250)의 양단부는 필터 적층체(100)의 상면 및 하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6 외부 전극(260)은 필터 적층체(100)의 제4 측면에 배치된다. 제6 외부 전극(260)은 필터 적층체(100)의 제3 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제6 코일 패턴(145)의 제2 단부(145b)와 연결된다. 제6 외부 전극(260)의 양단부는 필터 적층체(100)의 상면 및 하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7 외부 전극(270)은 필터 적층체(100)의 제2 측면에 배치된다. 제7 외부 전극(270)은 제1 접지 패턴(132a)의 제1 패턴의 제1 단부와 연결된다. 제7 외부 전극(270)의 양단부는 필터 적층체(100)의 상면 및 하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8 외부 전극(280)은 필터 적층체(100)의 제3 측면에 배치된다. 제8 외부 전극(280)은 제2 접지 패턴(132b)의 제3 패턴의 제1 단부와 연결된다. 제8 외부 전극(280)의 양단부는 필터 적층체(100)의 상면 및 하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부 전극(210) 및 제4 외부 전극(240)은 제1 코일 패턴(122) 및 제4 코일 패턴(142)이 구성하는 제1 채널의 입력 및 출력으로 동작한다. 제2 외부 전극(220) 및 제5 외부 전극(250)은 제2 코일 패턴(124) 및 제5 코일 패턴(144)이 구성하는 제2 채널의 입력 및 출력으로 동작한다. 제3 외부 전극(230) 및 제6 외부 전극(260)은 제3 코일 패턴(125) 및 제6 코일 패턴(145)이 구성하는 제3 채널의 입력 및 출력으로 동작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코일 패턴(122)과 제4 코일 패턴(142)은 제1 비아 홀(V1) 및 제2 비아 홀(V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채널에 해당하는 제1 코일을 형성한다. 제2 코일 패턴(124)과 제5 코일 패턴(144)은 제3 비아 홀(V3) 및 제5 비아 홀(V5)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채널에 해당하는 제2 코일을 형성한다. 제3 코일 패턴(125)과 제6 코일 패턴(145)은 제4 비아 홀(V4) 및 제6 비아 홀(V6)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3 채널에 해당하는 제3 코일을 형성한다.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의 단면을 기준으로, 제1 코일 패턴(122)은 제2 코일 패턴(124) 및 제3 코일 패턴(125)과 수평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도록 배치되고, 제4 코일 패턴(142)은 제5 코일 패턴(144) 및 제6 코일 패턴(145)과 수평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의 단면을 기준으로, 제1 코일 패턴(122) 및 제4 코일 패턴(142)은 접지 패턴(132)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제2 코일 패턴(124) 및 제5 코일 패턴(144)은 접지 패턴(132)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제3 코일 패턴(125) 및 제6 코일 패턴(145)은 접지 패턴(132)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그에 따라,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의 단면을 기준으로, 제1 코일 패턴(122)과 제4 코일 패턴(142)의 직선 거리인 D1, 제2 코일 패턴(124)과 제5 코일 패턴(144)의 직선 거리인 D2 및 제3 코일 패턴(125)과 제6 코일 패턴(145)의 직선 거리인 D3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의 단면을 기준으로, 제1 코일 패턴(122)과 제2 코일 패턴(124)의 직선 거리인 D4, 제1 코일 패턴(122)과 제3 코일 패턴(125)의 직선 거리인 D5 및 제2 코일 패턴(124)과 제3 코일 패턴(125)의 직선 거리인 D6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4 코일 패턴(142)과 제5 코일 패턴(144)의 직선 거리 인 D7, 제4 코일 패턴(142)과 제6 코일 패턴(145)의 직선 거리인 D8 및 제5 코일 패턴(144)과 제6 코일 패턴(145)의 직선 거리인 D9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에, 직선 거리 D4 내지 D6는 직선 거리 D7 내지 D9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직선 거리 D1 내지 D9는 두 코일 패턴의 중심점들 연결한 직선의 거리로, 두 코일 패턴의 중심점들 사이의 최단 거리인 것을 일례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는 제1 코일 내지 제3 코일 간의 자기 결합(즉, 전자기적 커플링)을 향상시키고, 차동 신호의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는 제1 코일과 제2 코일 사이에 정전 용량 C1이 형성되고, 제2 코일과 제3 코일 사이에 정전 용량 C2가 형성된다.
이때, 상부 전극층(120)과 하부 전극층(140) 사이에 접지층(130)이 개재됨에 따라, 코일과 접지 패턴(132) 사이의 커플링 효과(Coupling effect)에 의해 코일과 접지 패턴(132) 사이에 정전 용량이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즉, 제1 코일과 접지 패턴(132) 사이에는 제1 코일과 접지 패턴(132) 사이의 커플링 효과에 의해 정전 용량 C3 및 정전 용량 C4가 형성된다. 제2 코일과 접지 패턴(132) 사이에는 제2 코일과 접지 패턴(132) 사이의 커플링 효과에 의해 정전 용량 C5 및 정전 용량 C6이 형성된다. 제3 코일과 접지 패턴(132) 사이에는 제3 코일과 접지 패턴(132) 사이의 커플링 효과에 의해 정전 용량 C7 및 정전 용량 C8이 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는 각 코일과 접지 패턴(132) 사이에 추가적인 정전 용량(C3~C8)이 형성되기 때문에, 코일 패턴이 형성된 시트층으로 구성된 전극층을 추가하지 않고 정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는 코일과 접지 패턴(132) 사이에서 추가적인 정전 용량이 형성됨에 따라, 공통 모드 감쇄(Common mode Attenuation) 특성에 추가적인 노치(Notch)를 형성하여 감쇄(Attenuation) 대역을 확장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필터 적층체 110: 상부 보호층
120: 상부 전극층 121: 제1 시트
122: 제1 코일 패턴 123: 제2 시트
124: 제2 코일 패턴 125: 제3 코일 패턴
130: 접지층 131: 제3 시트
132: 접지 패턴 132a: 제1 접지 패턴
132b: 제2 접지 패턴 140: 하부 전극층
141: 제4 시트 142: 제4 코일 패턴
143: 제5 시트 144: 제5 코일 패턴
145: 제6 코일 패턴 150: 하부 보호층
210: 제1 외부 전극 220: 제2 외부 전극
230: 제3 외부 전극 240: 제4 외부 전극
250: 제5 외부 전극 260: 제6 외부 전극
270: 제7 외부 전극 280: 제8 외부 전극

Claims (13)

  1. 제1 코일 패턴, 제2 코일 패턴 및 제3 코일 패턴이 형성된 적층체로 구성된 상부 전극층;
    상기 상부 전극층의 하부에 배치되고, 접지 패턴이 형성된 접지층; 및
    제4 코일 패턴, 제5 코일 패턴 및 제6 코일 패턴이 형성된 적층체로 구성되어 상기 접지층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 패턴은 상기 상부 전극층의 코일 패턴 및 상기 하부 전극층의 코일 패턴과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정전 용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패턴은 상기 제2 코일 패턴 및 상기 제3 코일 패턴과 다른 층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일 패턴 및 상기 제3 코일 패턴은 상기 상부 전극층의 수직 절단면을 기준으로 동일층에서 교대로 배치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코일 패턴은 상기 제5 코일 패턴 및 상기 제6 코일 패턴과 다른 층에 배치되고,
    상기 제5 코일 패턴 및 상기 제6 코일 패턴은 상기 하부 전극층의 수직 절단면을 기준으로 동일층에서 교대로 배치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패턴 및 상기 제4 코일 패턴은 비아 홀을 통해 연결되어 제1 코일을 구성하고, 상기 접지 패턴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일 패턴 및 상기 제5 코일 패턴은 비아 홀을 통해 연결되어 제2 코일을 구성하고, 상기 접지 패턴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코일 패턴 및 상기 제6 코일 패턴은 비아 홀을 통해 연결되어 제3 코일을 구성하고, 상기 접지 패턴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 패턴 내지 상기 제6 코일 패턴은 상기 접지 패턴과 중첩되어 추가 정전 용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층, 상기 접지층 및 상기 하부 전극층이 적층되어 적층체를 구성하고,
    상기 적층체의 제1 측면에는 상기 제1 코일 패턴, 상기 제2 코일 패턴 및 상기 제3 코일 패턴의 단부가 노출되고,
    상기 적층체의 제1 측면에 대향되는 상기 적층체의 제2 측면에는 상기 제4 코일 패턴, 상기 제5 코일 패턴 및 상기 제6 코일 패턴의 단부가 노출되고,
    상기 적층체의 제3 측면에는 상기 접지 패턴의 제1 단부가 노출되고,
    상기 적층체의 제3 측면에 대향되는 상기 적층체의 제4 측면에는 상기 접지 패턴의 제2 단부가 노출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적층체의 측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1 코일 패턴 내지 상기 제6 코일 패턴 및 상기 접지 패턴의 중에서 하나의 패턴과 일대일로 연결된 복수의 외부 전극을 더 포함하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7. 제1 시트;
    상기 제1 시트의 제1 면에 배치된 제1 코일 패턴;
    상기 제1 시트의 하면에 배치된 제2 시트;
    상기 제2 시트의 제1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 개재된 제2 코일 패턴;
    상기 제2 시트의 제1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코일 패턴과 이격된 제3 코일 패턴;
    상기 제2 시트의 하면에 배치된 제3 시트;
    상기 제3 시트의 제1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시트 및 상기 제3 시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코일 패턴, 상기 제2 코일 패턴 및 상기 제3 코일 패턴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접지 패턴;
    상기 제3 시트의 하면에 배치된 제4 시트;
    상기 제4 시트의 제1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시트 및 상기 제4 시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코일 패턴과 비아 홀을 통해 연결되어 제1 코일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코일 패턴 및 상기 접지 패턴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4 코일 패턴;
    상기 제4 시트의 하면에 배치된 제5 시트;
    상기 제5 시트의 제1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4 시트 및 상기 제5 시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코일 패턴과 비아 홀을 통해 연결되어 제2 코일을 구성하고, 상기 제2 코일 패턴 및 상기 접지 패턴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5 코일 패턴; 및
    상기 제5 시트의 제1 면에서 상기 제5 코일 패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4 시트 및 상기 제5 시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3 코일 패턴과 비아 홀을 통해 연결되어 제3 코일을 구성하고, 상기 제3 코일 패턴 및 상기 접지 패턴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6 코일 패턴을 포함하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 패턴 및 상기 제2 코일 패턴은 상기 제2 시트의 수직 절단면을 기준으로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5 코일 패턴 및 상기 제6 코일 패턴은 상기 제5 시트의 수직 절단면을 기준으로 교대로 배치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패턴은,
    상기 제1 코일 패턴 내지 상기 제6 코일 패턴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추가 정전 용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1 접지 패턴; 및
    상기 제1 접지 패턴과 이격되고, 상기 제1 코일 패턴 내지 상기 제6 코일 패턴의 다른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추가 정전 용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2 접지 패턴을 포함하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 내지 상기 제5 시트가 적층된 적층체의 제1 측면에는 상기 제1 코일 패턴, 상기 제2 코일 패턴 및 상기 제3 코일 패턴의 단부가 노출되고,
    상기 적층체의 제1 측면에 대향되는 상기 적층체의 제2 측면에는 상기 제4 코일 패턴, 상기 제5 코일 패턴 및 상기 제6 코일 패턴의 단부가 노출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1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제1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코일 패턴과 연결된 제1 외부 전극;
    상기 적층체의 제1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코일 패턴과 연결된 제2 외부 전극;
    상기 적층체의 제1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코일 패턴과 연결된 제3 외부 전극;
    상기 적층체의 제2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4 코일 패턴과 연결된 제4 외부 전극;
    상기 적층체의 제2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5 코일 패턴과 연결된 제5 외부 전극; 및
    상기 적층체의 제2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6 코일 패턴과 연결된 제6 외부 전극을 더 포함하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제3 측면에는 상기 접지층의 접지 패턴의 제1 단부가 노출되고,
    상기 적층체의 제3 측면에 대향되는 상기 적층체의 제4 측면에는 상기 접지 패턴의 제2 단부가 노출된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제3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접지 패턴의 제1 단부와 연결된 제7 외부 전극; 및
    상기 적층체의 제4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접지 패턴의 제2 단부와 연결된 제8 외부 전극을 더 포함하는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KR1020210151206A 2021-11-05 2021-11-05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KR20230065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206A KR20230065537A (ko) 2021-11-05 2021-11-05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PCT/KR2022/016963 WO2023080607A1 (ko) 2021-11-05 2022-11-02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206A KR20230065537A (ko) 2021-11-05 2021-11-05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537A true KR20230065537A (ko) 2023-05-12

Family

ID=86241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206A KR20230065537A (ko) 2021-11-05 2021-11-05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65537A (ko)
WO (1) WO202308060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812A (ko) 2016-10-24 2018-05-03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적층 공통 모드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965B1 (ko) * 2008-10-20 2011-02-08 주식회사 아모텍 복합소자
KR101197393B1 (ko) * 2009-11-04 2012-11-05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칩 소자
KR101825695B1 (ko) * 2016-05-16 2018-02-05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회로 보호 소자
CN215342186U (zh) * 2019-09-20 2021-12-2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线圈部件以及包括其的滤波器电路
KR102537426B1 (ko) * 2019-10-11 2023-05-26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812A (ko) 2016-10-24 2018-05-03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적층 공통 모드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0607A1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6561B2 (en) Common mode noise filter
EP1995822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946024B2 (ja) 方向性結合器
KR101924716B1 (ko) 커먼 모드 초크 코일
US69247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er bandwidth enhancement
US20120319797A1 (en) Directional coupler
US8638268B2 (en) Coil antenna and antenna structure
US20240087801A1 (en) Stacked common mode filter
KR102564591B1 (ko) 공통 모드 노이즈 필터
US20180041185A1 (en) Common mode noise filter
US7439842B2 (en) Laminated balun transformer
CN105914444A (zh) 定向耦合器及无线通信装置
KR20230065537A (ko)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JP2003087074A (ja) 積層型フィルタ
CN112640013A (zh) 共模噪声滤波器
US5638032A (en) Nonreciprocal circuit element
JP2016134779A (ja) 方向性結合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モジュール
JP7378015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2016178140A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WO2023149277A1 (ja) 電子部品
CN113285198B (zh) 层叠型平衡-不平衡转换器
JP2001176726A (ja) バラントランス
CN218513302U (zh) 变压器元件以及通信终端装置
KR20240043294A (ko)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KR20230067946A (ko) 적층형 공통 모드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