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931A - 브러쉬용 손잡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브러쉬용 손잡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931A
KR20180041931A KR1020160134333A KR20160134333A KR20180041931A KR 20180041931 A KR20180041931 A KR 20180041931A KR 1020160134333 A KR1020160134333 A KR 1020160134333A KR 20160134333 A KR20160134333 A KR 20160134333A KR 20180041931 A KR20180041931 A KR 20180041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layer
primer layer
coating
r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4283B1 (ko
Inventor
황재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34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283B1/ko
Priority to EP17192047.3A priority patent/EP3315265B1/en
Publication of KR20180041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A46D3/005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by moulding or casting a body aroun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87Brushes with decoration on or i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7/00After-treatment, e.g. reducing swelling or shrinkage, surfacing; Protecting the edges of boards against access of humidity
    • B27N7/005Coating boards, e.g. with a finishing or decorat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 B29C65/52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by CVD or by PVD, i.e.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or by physical vapour de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20Brushes for applying products to surfaces in general
    • A46B2200/202Applicator paint brush
    • A46B2200/205Artist paint brush, e.g. paint brushes that as a rule come to a point for fin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기재 상에 금속을 증착시켜 저비용으로 금속 표면 재질을 갖는 브러쉬용 손잡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브러쉬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목재 상에 금속을 증착시키는 경우 고온 증착 공정에 의해 목재가 타버리거나 증착이 고르게 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목재가 그을리거나 타버리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목재의 표면에 금속 증착층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금형 제작이 필요하거나 재료 자체가 고가인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목재를 기재로 하여 금속 표면 광택을 갖는 브러쉬용 손잡이를 제조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고급스러운 외형의 브러쉬용 손잡이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러쉬용 손잡이 및 이의 제조방법{Brush Hand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브러쉬용 손잡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 기재 상에 금속을 증착시켜 저비용으로 금속 표면 재질을 갖는 브러쉬용 손잡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브러쉬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러쉬는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용도에서부터 여성들이 화장이나 네일 아트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도까지 다양하게 사용되며, 그 용도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는 물론 붓 털의 종류와 길이 형태가 다양하게 결정된다.
이와 같은 브러쉬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손잡이 역시 편리한 파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지며, 기능적인 관점 뿐만 아니라 미적으로도 심미성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색감 및 질감으로 제작되고 있다.
특히, 화장품용 브러쉬의 경우 사용하는 사람이 대부분 여성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유행에 민감하고 감수성이 예민한 여성의 눈높이에 잘 어울리는 시각적인 형상과 모양을 갖도록 외관을 화려하게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브러쉬용 손잡이의 외관을 화려하게 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은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손잡이 재료에 증착함으로써 손잡이가 금속 광택을 갖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금속을 증착하기 위해서는 기재가 플라스틱이나 유리와 같이 별도로 금형을 따로 제작해야 해서 공정비용이 비효율적이거나, 재료 자체가 고가인 재료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목재의 경우 따로 금형을 제작할 필요가 없고 가볍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대량의 손잡이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내부에 수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금속 증착을 하는 경우 고온의 증착 공정을 견디지 못하고 타버리거나 그을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브러쉬용 손잡이의 재료로서 목재를 사용하면서도 금속 광택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안정적으로 목재의 표면에 금속을 증착시키는 기술에 대한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금속 증착이 어려웠던 목재에 안정적으로 금속을 증착시킴으로써 목재 상에 금속이 증착된 브러쉬용 손잡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 기재 상에 금속 증착층을 포함하는 브러쉬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목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가공된 목재 상에 제1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라이머층 상에 금속을 증착하여 금속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증착층 상에 제2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목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가공된 목재에 제1 도료를 코팅하는 단계; 상기 제1 도료 상에 제1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라이머층 상에 제1 UV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UV 코팅층 상에 금속을 증착하여 금속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 증착층 상에 제2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프라이머층 상에 제2 도료를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도료 상에 제2 UV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공된 목재는 3 내지 5cm의 여유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은 상기 UV 코팅층 형성 단계 이후에, 상기 여유 길이를 절삭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도료를 코팅하는 단계는 딥핑(dipping)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도료를 코팅하는 단계 이후에, 제1 도료가 코팅된 목재를 세척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라이머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금, 은, 구리, 크롬 및 알루미늄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상기 금속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진공 증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도료를 코팅하는 단계는 분무(splay)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분무는 16 내지 24개의 스프레이건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목재; 상기 목재 상에 형성된 제1 프라이머층; 상기 제1 프라이머층 상에 형성된 금속 증착층; 및 상기 금속 증착층 상에 형성된 제2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브러쉬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목재; 상기 목재 상에 형성된 제1 도료층; 상기 제1 도료층 상에 형성된 제1 프라이머층; 상기 제1 프라이머층 상에 형성된 제1 UV 코팅층; 상기 제1 UV 코티층 상에 형성된 금속 증착층; 상기 금속 증착층 상에 형성된 제2 프라이머층; 상기 제2 프라이머층 상에 형성된 제2 도료층; 및 상기 제2 도료층 상에 형성된 제2 UV 코팅층을 포함하는 브러쉬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목재 상에 금속을 증착시키는 경우 고온 증착 공정에 의해 목재가 타버리거나 증착이 고르게 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목재가 그을리거나 타버리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목재의 표면에 금속 증착층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금형 제작이 필요하거나 재료 자체가 고가인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목재를 기재로 하여 금속 표면 광택을 갖는 브러쉬용 손잡이를 제조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고급스러운 외형의 손잡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브러쉬용 손잡이가 장착된 브러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금속이 증착된 브러쉬용 목재 손잡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목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가공된 목재 상에 제1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라이머층 상에 금속을 증착하여 금속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증착층 상에 제2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은, 목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가공된 목재에 제1 도료를 코팅하는 단계; 상기 제1 도료 상에 제1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라이머층 상에 제1 UV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UV 코팅층 상에 금속을 증착하여 금속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 증착층 상에 제2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프라이머층 상에 제2 도료를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도료 상에 제2 UV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제조 방법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목재 가공 단계
본 발명의 브러쉬용 손잡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는 목재를 구비하여, 이를 제조하고자 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외형으로 가공하는 단계가 수반된다. 상기 목재는 가공 전에 충분한 시간동안 건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재는 최종적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손잡이의 형태로 가공되는 한편, 추가로 소정의 여유 길이를 갖도록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목재의 형상은 최종적으로 완성하고자 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형상으로 가공되며, 본 명세서에서 "여유 길이"는 최종 손잡이 부분 외에 추가된 길이 부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목재가 여유 길이를 갖도록 가공함으로써, 상기 목재를 지그(jig)에 고정할 때 쉽고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추후의 공정에서 목재의 고정이 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목재는 충분히 건조된 목재를 사용하더라도 여전히 내부에 수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추후 금속을 증착하는 공정에서 고온에 의해 목재 내부의 수분이 배출되면서 목재가 까맣게 그을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여유 길이 부분이 아래 방향으로 향하도록 지그에 고정하여 진공 증착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이와 같은 그을음이 여유 길이 부분까지만 형성되고 실제로 손잡이로 사용할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조정함으로써, 목재 상에 금속을 안정적으로 증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여유 길이는 1 내지 6cm로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cm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2. 제1 도료 코팅 단계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가공이 완료된 목재는 제1 도료를 코팅하여 피막을 형성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료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나무의 숨구멍을 막아주어 추후 프라이머층이나 금속 증착층을 형성할 때 코팅이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료는 최종 완성될 손잡이의 색상 계통에 따라 흰색 또는 검정색에서 선택할 수 있는데, 최종 완성될 손잡이의 색상이 밝은 계열인 경우 제1 도료를 흰색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최종 완성될 손잡이의 색상이 어두운 계열인 경우 제1 도료를 검정색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도료를 코팅하면, 추후 제2 도료를 코팅하는 공정에서 사용될 도료의 양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도료의 코팅은 가공된 목재를 도료가 담긴 조(bath)에 담갔다가 빼는 딥핑(dipping)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도료의 코팅은 여유 부분을 제외하고 실제로 손잡이로 사용될 부분에만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도료의 피막을 형성한 다음에는, 세척 작업을 진행하여 표면의 기름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 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 추후 프라이머층이나 금속 증착층이 제대로 안착되지 않아 표면이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세척 작업이 완료된 목재를 건조하는 공정을 거칠 수 있다. 목재를 건조하여 내부의 수분을 충분히 제거해야만, 금속 증착 공정에서 고온에 의해 목재가 타버리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3. 제1 프라이머층 형성 단계
앞서 설명한 단계에 따라 세척 작업이 완료된 목재는 이후 수지 재료를 도포하여 제1 도료 상에 제1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목재 상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함으로써 이후 금속을 증착시키는 공정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증착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프라이머층에 사용되는 수지 재료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공정성과 품질관리의 측면에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프라이머층은 공지의 방법으로 수지 재료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프레이건을 이용한 분무(splay)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라이머층은 30 내지 10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4. 제1 UV 코팅층 형성 단계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손잡이는 제1 프라이머층 상에 UV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UV 코팅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UV 코팅층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40 내지 55 중량%, 자외선 경화개시제 5 내지 10 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35 내지 40 중량% 및 첨가제 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UV 코팅액을 스프레이건을 이용한 분무 방식으로 코팅할 수 있다. 상기 UV 코팅층을 분무 방식으로 코팅하는 경우, 16 내지 24개의 스프레이건을 이용하여 분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UV 코팅층은 1 내지 10㎛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UV 코팅층의 두께를 설정함으로써, 제품 표면의 내광성, 내약품성, 고광택성, 내스크레치성, 내마모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제1 UV 코팅층을 형성한 손잡이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다음 단계인 금속의 증착 단계에서 목재가 고온에서 타버리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목재 내부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5. 금속 증착층 형성 단계
제1 프라이머층(또는 그 위의 제1 UV 코팅층)이 형성된 손잡이는 이후 표면에 금속을 증착시킴으로써 금속성 광택을 갖는 표면을 형성시킬 수 있다. 금속 증착은 일반적으로 고온의 증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내부에 수분을 함유하는 목재의 표면에는 금속을 증착시키기가 기술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최초 목재 가공 단계에서 가공된 목재의 길이를 완성된 손잡이의 길이보다 더 길게 조정함으로써, 수분이 목재를 그을리는 부분이 여유 길이 부분에 한정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목재 위에 금속을 증착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 증착 이전 단계로서 목재의 표면에 고분자 수지를 코팅함으로써 플라스틱의 표면에 금속을 증착시키는 것과 유사한 조건에서 금속을 안정적으로 증착시킬 수 있다.
상기 증착에 사용되는 금속은 금, 은, 구리, 크롬, 알루미늄 등으로부터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은을 증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형성된 금속 증착층은 10 내지 100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착 단계는 진공 증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재는 고온에서 쉽게 그을리거나 타버리기 때문에 완전한 진공 조건에서 증착을 진행함으로써 목재가 타버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금속 증착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6. 제2 프라이머층 형성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 증착층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금속 증착층 상에 제2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2 프라이머층은 앞서 제1 프라이머층과 동일한 재료와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7. 제2 도료 코팅 단계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제2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다음에는, 상기 제2 프라이머층 상에 제2 도료를 코팅함으로써 완성된 손잡이가 다양한 색상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료를 UV 코팅액과 혼합하여 작업하는 경우 색상의 편차가 심해지고, 색상 뭉침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UV 코팅 공정과 분리하여 도료를 코팅하는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도료는 스프레이건을 이용한 분무 방식으로 제2 프라이머층 상에 코팅할 수 있으며, 이때 스프레이건을 16 내지 24개 사용하여 분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 제2 UV 코팅층 형성 단계
제2 프라이머층(또는 그 위의 제2 도료)까지 코팅된 손잡이는 최종적으로 표면을 보호해 줄 수 있도록 제2 UV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UV 코팅층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 UV 코팅층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2 UV 코팅층이 형성된 손잡이는 추가적인 건조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에 의해 제조된 브러쉬용 손잡이는 최종적으로 여유 길이 부분을 레이저 가공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크기로 잘라내어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일 구현예에 있어서, 목재; 상기 목재 상에 형성된 제1 프라이머층; 상기 제1 프라이머층 상에 형성된 금속 증착층; 및 상기 금속 증착층 상에 형성된 제2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브러쉬용 손잡이를 구성하는 각 층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공정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용 손잡이는 목재; 상기 목재 상에 형성된 제1 도료층; 상기 제1 도료층 상에 형성된 제1 프라이머층; 상기 제1 프라이머층 상에 형성된 제1 UV 코팅층; 상기 제1 UV 코팅층 상에 형성된 금속 증착층; 상기 금속 증착층 상에 형성된 제2 프라이머층; 상기 제2 프라이머층 상에 형성된 제2 도료층; 및 상기 제2 도료층 상에 형성된 제2 UV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용 손잡이를 구성하는 각 층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공정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부 구현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현 형태에 대해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1)

  1. 목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가공된 목재 상에 제1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라이머층 상에 금속을 증착하여 금속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증착층 상에 제2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된 목재가 1 내지 6cm의 여유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라이머층 형성 단계 이후에, 상기 여유 길이를 절삭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가공 단계 이후에, 가공된 목재에 제1 도료를 코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프라이머층 상에 제2 도료를 코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료를 코팅하는 단계가 딥핑(dipping)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료를 코팅하는 단계 이후에, 제1 도료가 코팅된 목재를 세척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료를 코팅하는 단계 이후에, 제1 도료가 코팅된 목재를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라이머층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라이머층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라이머층 형성 단계 다음에, 제1 UV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V 코팅층 형성 단계 이후에, 건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 금, 은, 구리, 크롬 및 알루미늄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 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진공 증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료를 코팅하는 단계가 분무(splay)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가 16 내지 24개의 스프레이건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제2 프라이머층 상에 제2 UV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브러쉬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18. 목재;
    상기 목재 상에 형성된 제1 프라이머층;
    상기 제1 프라이머층 상에 형성된 금속 증착층; 및
    상기 금속 증착층 상에 형성된 제2 프라이머층
    을 포함하는 브러쉬용 손잡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와 제1 프라이머층 사이에 제1 도료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라이머층 상에 제2 도료층을 포함하는 브러쉬용 손잡이.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라이머층 상에 형성된 제1 UV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브러쉬용 손잡이.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라이머층 상에 형성된 제2 UV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브러쉬용 손잡이.
KR1020160134333A 2016-10-17 2016-10-17 브러쉬용 손잡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4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333A KR101864283B1 (ko) 2016-10-17 2016-10-17 브러쉬용 손잡이 및 이의 제조방법
EP17192047.3A EP3315265B1 (en) 2016-10-17 2017-09-20 Brush hand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333A KR101864283B1 (ko) 2016-10-17 2016-10-17 브러쉬용 손잡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931A true KR20180041931A (ko) 2018-04-25
KR101864283B1 KR101864283B1 (ko) 2018-06-05

Family

ID=59974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333A KR101864283B1 (ko) 2016-10-17 2016-10-17 브러쉬용 손잡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315265B1 (ko)
KR (1) KR1018642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29392B (zh) * 2021-08-30 2022-08-23 扬州市佳美制刷机械有限公司 一种制刷用的植毛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0750A (ja) * 2003-03-26 2004-10-21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金属光沢を有する木質材料加工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95894B1 (ko) * 2006-11-16 2008-01-21 이은기 목무늬결을 갖는 브러쉬 손잡이의 제조방법
KR20090050673A (ko) * 2007-11-16 2009-05-20 정창영 유리문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KR101463541B1 (ko) * 2013-06-10 2014-11-19 주식회사 화진 복수 개의 금속층을 구비한 장식 부재 및 장식 부재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5236B2 (ja) * 2002-03-26 2008-12-10 日本ウェーブロック株式会社 金属調成形物成形用金属調加飾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金属調成形物成形用金属調加飾シート中間材
KR20120025156A (ko) * 2010-09-07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출물의 외관 표면 처리 방법
DE202016002447U1 (de) * 2016-04-15 2016-09-01 Rosemarie Schneider Kosmetikpins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0750A (ja) * 2003-03-26 2004-10-21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金属光沢を有する木質材料加工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95894B1 (ko) * 2006-11-16 2008-01-21 이은기 목무늬결을 갖는 브러쉬 손잡이의 제조방법
KR20090050673A (ko) * 2007-11-16 2009-05-20 정창영 유리문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KR101463541B1 (ko) * 2013-06-10 2014-11-19 주식회사 화진 복수 개의 금속층을 구비한 장식 부재 및 장식 부재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283B1 (ko) 2018-06-05
EP3315265A1 (en) 2018-05-02
EP3315265B1 (en)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634147A1 (fr) Procede de production de revetement conferant a un article un aspect metallique, et article ainsi revetu
SE528890C2 (sv) Metallsubstrat, artikel och förfarande
US20140030488A1 (en) Panel with anti-fingerprint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10501848A (ja) 放射線硬化アイランドコーティング系
JP6446435B2 (ja) メタリック仕上げ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基板の光沢度調節
KR101864283B1 (ko) 브러쉬용 손잡이 및 이의 제조방법
JP6799849B2 (ja) 濃淡重なり模様付成形品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濃淡重なり模様付成形品
KR20120026936A (ko) Pvd 진공 코팅 방법을 이용한 유리 가공품의 메탈릭 코팅층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유리 가공품
KR20160081453A (ko) 휴대 단말기용 금속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40091629A1 (en) Coated substrate with metallic surface impression, method for adhesively coating substrates with corrosive optical layers and use of said coated substrate and products obtained from a method for adhesively coating with corrosive optical layers
CN102137761A (zh) 漆图案制造方法及使用其形成的漆图案、漆图案的展示方法
JP2004508115A (ja) 化粧品容器又はパッケージ部品に半透明の金属性外観を与える工程、及びその工程により得られる部品
EP3121308A1 (en) Method and machine for treating small objects
KR102075027B1 (ko) 다크티탄 색상 도금방법
JP2002045785A (ja) ヘアライン模様を有する樹脂成形品の塗装方法
KR102104941B1 (ko) 물품의 코팅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물품
US3066045A (en) Method of providing decorative coatings on wood products by tumbling
JPS591790B2 (ja) 金属メツキ被覆体の製造方法
RU2411134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художественных изделий с жостовским орнаментом
KR100462004B1 (ko) 금속코팅된 플라스틱 사출지퍼의 제조방법
US20170370008A1 (en) Method for treating parts
JP2001106816A (ja) 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表面処理
KR20110121104A (ko) 모바일 장치의 헤어라인 형성 방법
US1908061A (en) Process of applying color to metalized articles
JP5015842B2 (ja) 加飾表面を備えた加工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