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673A - 유리문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리문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0673A
KR20090050673A KR1020070117249A KR20070117249A KR20090050673A KR 20090050673 A KR20090050673 A KR 20090050673A KR 1020070117249 A KR1020070117249 A KR 1020070117249A KR 20070117249 A KR20070117249 A KR 20070117249A KR 20090050673 A KR20090050673 A KR 20090050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wood
glass door
hand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영
Original Assignee
정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영 filed Critical 정창영
Priority to KR1020070117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0673A/ko
Publication of KR20090050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04Lock assembling 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20)를 기반으로 하는 유리문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목재(20)를 원하는 형태로 재단하고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제1단계; 상기 목재(20) 상에 하도와 상도의 순서로 적어도 2회에 걸쳐 제1코팅층(30)을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건조된 제1코팅층(30)의 일부에 금속질감의 제2코팅층(40)을 도포하고 건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코팅층(30)은 우레탄 계열의 도료를 사용하고 제2코팅층(40)은 금속성 도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하도를 도포한지 24시간 경과한 후에 상도를 도포하고 열풍으로 24시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목재의 질감이 드러나도록 하면서 부분적으로 금속질감이 표출되도록 하되 관련부품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아 조립성과 내구성 측면으로 유리한 효과를 보인다.
유리문, 손잡이, 목재, 금속, 메탈, 코팅

Description

유리문용 손잡이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Door Handle}
본 발명은 유리문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적으로 목재의 질감이 드러나도록 하면서 부분적으로 금속질감이 표출되도록 하되 관련부품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아 조립성과 내구성 측면으로 유리한 유리문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기술의 발달에 따라 근래 건축물에서 유리재질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며 소형의 창문은 물론 대형의 출입구 도어에 이르기까지 관심과 역할이 점차 커지고 있다. 특히 강화유리는 미관 뿐 아니라 강도와 단열성에 있어서도 기존의 도어에 크게 뒤지지 않아 선호도가 증대되고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068433호에 의하면 『통상의 유리도어(1) 내외측에 설치되는 가로, 세로 손잡이(2)(3)에 매설된 금속재의 내심(4) 양측을 절곡 성형하여 단부는 나사못(5)이 되게 하며, (중략) 너트(13)의 외주면 즉 돌조(14) 사이로는 스크류홀(16)이 천공되어 중앙의 나공(15)에 관통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유리도어의 손잡이』가 개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금속재로 유리도어의 손잡이를 형성하면 강도는 향상되지 만 미감과 촉감에 있어 차가운 느낌을 주기 때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목재 또는 합성수지를 병용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197960호에 의하면 『출입문손잡이를 구성함에 있어 목재부(1)와 합성수지부(2)가 결합할 때 완벽한 부착과 돌림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부(2) 내면의 삽입 결합홈(2a)에 3개의 조임용 밀착 돌출부(2b)를 형성하는 것과 합성수지부(2)를 내면 3개소에 밀착용 6각 돌기부(3b)로 형성된 금속제 넛트(3)를 삽입 사출 방법으로 가공하여 금속제 넛트(3)가 합성수지부(2)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외에 부착용 금속제 와셔(4)를 출입문손잡이와 결합하는 기능을 함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이와 같이 합성수지 외에 다수의 금속제가 병용되면 양자의 재질이 주는 미감을 조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완제품으로 조립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장시간 사용에 따라 조립부분이 이완되어 소음과 파손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068433호 “건물용 유리도어의 손잡이”
[문헌2]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197960호 “건물용 출입문 손잡이”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목재의 질감이 드러나도록 하면서 부분적으로 금속질감이 표출되도록 하되 관련부품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아 조립성과 내구성 측면으로 유리한 유리문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목재를 기반으로 하는 유리문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목재를 원하는 형태로 재단하고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제1단계; 상기 목재 상에 하도와 상도의 순서로 적어도 2회에 걸쳐 제1코팅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건조된 제1코팅층의 일부에 금속질감의 제2코팅층을 도포하고 건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코팅층은 우레탄 계열의 도료를 사용하고 제2코팅층은 금속성 도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단계는 하도를 도포한지 24시간 경과한 후에 상도를 도포하고 열풍으로 24시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 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목재의 질감이 드러나도록 하면서 부분적으로 금속질감이 표출되도록 하되 관련부품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아 조립성과 내구성 측면으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목재(20)를 기반으로 하는 유리문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에 관련된다. 유리문(10)은 강화유리로 성형되어 건물의 출입구 역할을 하는 대형 도어를 의미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리문의 내측과 외측에 고정되는 손잡이는 금속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목재(20)를 주재료로 하는 경우에 적절하게 적용된다. 목재(20)는 금속제에 비하여 열전도도가 낮으므로 동절기에도 출입자에 주는 불쾌 감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단계에서 상기 목재(20)를 원하는 형태로 재단하고 표면을 매끄럽게 한다. 이는 다른 도장 방법에서와 마찬가지로 전처리하는 단계로서 도장의 물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완성품의 사용 용도에 따라 간단한 방법에서부터 여러 단계의 복잡한 방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이 있으나 표면의 조도가 경면상태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수지계열의 코팅층이 긴밀하게 안착될 수 있을 정도로 매끄러우면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문 손잡이의 재단에 있어서 도 1처럼 단면이 균일한 환봉 형태가 무난하지만, 도 2처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경이 변화하는 파형봉 형태로 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단계에서 상기 목재(20) 상에 하도와 상도의 순서로 적어도 2회에 걸쳐 제1코팅층(30)을 형성한다. 하도(1차 칠)와 상도(2차 칠)로 이루어지는 제1코팅층(30)은 수지 도료이다. 통상 목공용 도료에 적용되는 수지 종류는 크게 보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공기 경화 또는 왁스형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Unsaturated Polyester), 우레탄 바니쉬(Urethane Varnish), 알키드(Alkyd), 엔씨 락커(N.C Lacquer), 그리고 옻이나 카슈와 같은 천연 수지 등이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1코팅층(30)은 우레탄 계열의 도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1차 칠 부분인 하도는 나무결과 유사한 색상을 칠하는 것으로 목재용 우레탄계 페인트를 사용한다. 우레탄 계열의 페인트는 목재의 나무결을 살려주는 동시에 양호한 내마모성을 유지하므로 손잡이용 목재(20)에 대한 피막처리로서 상 대적인 우위를 지닌다. 만일 락커칠을 하는 경우 피막도가 약화되기 때문에 미관을 해치고 다시 도장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제1코팅층(30)의 하도를 도포한 후에 24시간을 경과한 다음 다시 사포질하고 2차 칠(상도)을 수행한다. 상도의 경우에도 우레탄 계열의 도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도의 도포가 완료된 후 50∼90℃의 열풍 조건으로 20∼24시간 정도 건조한다.
또, 본 발명의 제3단계에서 상기 건조된 제1코팅층(30)의 일부에 금속질감의 제2코팅층(40)을 도포하고 건조한다. 도장의 마지막 단계에서 특정 부위에 금속계열의 페인트인 제2코팅층(40)을 칠한다. 특정 부위는 임의로 설정되는 것이기는 하지만 도시처럼 오목한 부분이면 더욱 좋다. 작업전에 특정부 주변에 비닐을 감은 뒤 집중적으로 금속계열의 페인트를 자동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체도장하고 이후 대략 24시간의 건조과정을 거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2코팅층(40)은 금속성 도료, 특히 우레탄 계열의 상도와 친화력이 강한 금속제 계열의 페인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예로 메탈릭에나멜(metallic enamel)을 사용할 수 있는데,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분말을 소량 배합하여 도막(塗膜)에 금속광택을 준다. 다른 예로서 이보다 금속의 질감을 높이기 위해 은분 페인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코팅층(40)은 내후성, 내습성, 내열성, 부착성 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은분 페인트는 석유계 수지와 리핑 타입 알루미늄 안료를 배합ㆍ제조한 1액형이지만 제1코팅층(30)의 우레탄 계열과 친화력을 높이기 위해 바인더 성분을 더 함유하는 것이 좋다.
도 3에서,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목재(20′)의 일부가 파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고, 금속질감을 표현하려는 부분이 제2코팅층(40) 외에 제3코팅층(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3코팅층(50)은 제2코팅층(40)과 동일한 도료를 사용할 수도 있고 상이하게 선정할 수도 있다.
한편, 제2코팅층(40) 또는 제3코팅층(50)의 도포를 위한 분체도장은 사용이 편리하고 용제의 낭비가 없으며(100% 고형분), 후막 도장이 가능하고(25∼200 ㎛) 작업성이 좋아 높은 숙련도를 요하지 않는다. 반면 얇은 도막을 얻기 어렵고 색상교체가 용이하며 도장속도가 낮은 단점이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 다른 도포 방식을 택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코팅층(30)에 대한 도금 종류로서 플라스틱 전기도금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플라스틱 장식을 위한 도금 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도금으로 다소 고비용이지만 밀착성을 향상하는 목적으로 유리하다. 도금의 밀착력은 200∼600g/cm 로 설정하면 무난하다.
이외에 손잡이의 특정 부위에 흰색 조색 프라이머, 반투명 실버 메탈릭 도료, 특수 UV경화 도료를 순차적으로 도장하는 방식을 선정할 수도 있다.
도 4처럼, 본 발명의 손잡이가 결착구(15)를 이용하여 유리문(10)에 장착되는 과정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리문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은 전체적으로 목재의 질감이 드러나도록 하면서 부분적으로 금속질감이 표출되도록 하되 관련부품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아 조립성과 내구성 측면으로 유리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유리문 15: 결착구
20: 목재 30: 제1코팅층
40: 제2코팅층 50: 제3코팅층

Claims (3)

  1. 목재(20)를 기반으로 하는 유리문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목재(20)를 원하는 형태로 재단하고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제1단계;
    상기 목재(20) 상에 하도와 상도의 순서로 적어도 2회에 걸쳐 제1코팅층(30)을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건조된 제1코팅층(30)의 일부에 금속질감의 제2코팅층(40)을 도포하고 건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층(30)은 우레탄 계열의 도료를 사용하고, 제2코팅층(40)은 금속성 도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하도를 도포한지 24시간 경과한 후에 상도를 도포하고 열풍으로 24시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KR1020070117249A 2007-11-16 2007-11-16 유리문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KR20090050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249A KR20090050673A (ko) 2007-11-16 2007-11-16 유리문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249A KR20090050673A (ko) 2007-11-16 2007-11-16 유리문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673A true KR20090050673A (ko) 2009-05-20

Family

ID=4085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249A KR20090050673A (ko) 2007-11-16 2007-11-16 유리문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06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931A (ko) * 2016-10-17 2018-04-25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브러쉬용 손잡이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931A (ko) * 2016-10-17 2018-04-25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브러쉬용 손잡이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0698A (en) Acrylic or polycarbonate sheet-lacquer laminates and articles of furniture made therefrom
KR20090050673A (ko) 유리문용 손잡이의 제조방법
CN108468414A (zh) 一种仿石板材及其制作工艺
CN100383360C (zh) 内外不同颜色的双色铝合金门窗及其生产方法
JP2000167478A (ja) 多色化粧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172009A (ja) 壁装工法
CN215176386U (zh) 一种冰箱用门饰条
CN102092231A (zh) 一种有色uv涂饰板及其制备方法
CN205153395U (zh) 一种装配式复合装饰板
KR100498766B1 (ko) 변온 칼라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395148B1 (ko) 환경친화적 착색 크리어 도장강판
KR100332974B1 (ko) 원목 무늬 도장방법
CN207032746U (zh) 一种户外装饰板涂层结构
JPH0931411A (ja) 塗料及び塗装方法
CN205046767U (zh) 仿石隔热涂料保温装饰一体化涂层结构
CN209637534U (zh) 一种门体的装饰环套
CN104029551B (zh) 钢琴外壳涂层树脂色浆手工绘画生产工艺
CN206571077U (zh) 一种超强耐候涂层
JPH0151547B2 (ko)
CN209942163U (zh) 一种新型实木组装踢脚线
CN219509067U (zh) 一种高耐光色牢度金属涂饰地板
CN220160464U (zh) 一种艺术漆涂层结构
CN201087657Y (zh) 具有包覆材料的木门窗型材
CN2929114Y (zh) 贴纸喷漆门
CN212376169U (zh) 一种建筑外墙用水性无机砂壁状涂料的饰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