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601A - 차량용 전조등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601A
KR20180041601A KR1020170133202A KR20170133202A KR20180041601A KR 20180041601 A KR20180041601 A KR 20180041601A KR 1020170133202 A KR1020170133202 A KR 1020170133202A KR 20170133202 A KR20170133202 A KR 20170133202A KR 20180041601 A KR20180041601 A KR 20180041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headlamp
excitation light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우치다
노리코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80041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 F21S41/67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by moving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60Q1/0683Adjustable by rotation of a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2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mitted light
    • F21S41/125Coloured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6Lase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76Light sources where the light is generated by photoluminescent material spaced from a primary light genera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55Lenses with a front view of circular or truncated circular out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5Composite lenses; Lenses with a patch-lik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5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1/24 - F21S41/280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21S41/295Attachment thereof specially adapted to 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1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being a surface of revolution or a planar surface, e.g. trunc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7Array of lenses or refra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for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광 패턴 형성용의 주사(走査) 기구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면서 주사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여기 광원과, 여기 광원에 의해 여기되는 형광체(10)와, 투영 렌즈(11)와, 여기 광원 어레이(8)의 광을 반사경(13)의 반사면(13a)에서 받아 형광체(10)를 향해 주사하는 주사 기구(12)를 갖는 차량용 전조등(1)에 있어서, 여기 광원은, 복수의 광출사부(8a∼8c)를 갖는 여기 광원 어레이(8)로서 형성되고, 여기 광원 어레이(8)와 주사 기구(12) 사이에는, 각 광출사부(8a∼8c)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각 광출사부(8a∼8c)의 출사광을 각각 반사면(13a) 상에 집광하며, 반사광의 각 광상(光像)을 형광체(10) 상에 배열시키는 복수의 집광부(9a∼9c)를 갖는 렌즈 어레이(9)를 설치하였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조등{VEHICULAR HEADLAMP}
배광 패턴 형성용의 주사(走査) 기구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면서 주사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LED광이나 레이저광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고체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MEMS 미러(주사 기구)에 의해 형광체를 향해 반사시키면서 주사하고, 형광체로부터 광학계(투영 렌즈)에 투광시킴으로써 차량의 전방에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전조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4-65499호
특허문헌 1의 차량용 전조등의 MEMS 미러는,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한 광을 이차원적으로 경도(傾倒)하는 미러로 주사함으로써 전방에 면 형상의 배광 패턴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차원적으로 경도 가능한 MEMS 미러는, 미러를 이축 주위로 각각 요동시키기 때문에 구조와 제어가 복잡해지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LED 광원이나 레이저 광원 등의 복수의 고체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광을 일차원적으로 경도 가능한 MEMS 미러에 배열 조사하고, 배열되면서 반사된 복수의 광을 광원마다 소정의 위치에서 점소등시키면서 일차원적으로 주사하여, 광원마다 일차원 방향으로 묘화되는 선상(線像)을 적층하는 것에 의해 배광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MEMS 미러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구성과 제어를 용이하게 하고자 생각하였다.
그러나, 복수의 고체 광원으로부터 하나의 MEMS 미러에 광을 배열 조사하는 것은, 수광(受光) 범위를 확보하는 데 있어서 미러를 크게 형성할 필요를 발생시키고, 미러의 신속한 동작에 큰 구동력을 필요로 하게 함으로써 주사성을 저하시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본원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배광 패턴 형성용의 주사 기구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면서, 주사 기구의 주사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전조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 광원과, 여기 광원에 의해 여기되는 형광체와, 투영 렌즈와, 여기 광원에 의해 발생한 광을 반사경의 반사면에서 받아 투영 렌즈를 향해 주사하는 주사 기구를 갖는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상기 여기 광원은, 복수의 광출사부를 갖는 여기 광원 어레이로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여기 광원과 주사 기구 사이에는, 각 광출사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각 광출사부로부터 출사한 광을 각각 반사경의 반사면 상에 집광하며, 반사광의 각 광상(光像)을 형광체 상에 배열시키는 복수의 집광부를 갖는 렌즈 어레이가 설치되도록 하였다.
(작용) 복수의 여기 광원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을 하나의 반사경에 입사시켰다고 해도, 렌즈 어레이의 각 집광부는, 각각 대응하는 광출사부로부터의 광을 주사 기구의 반사경의 반사면 상에 집광시킴으로써 반사광의 각 광상을 배열하도록 형광체 상에 반사하기 때문에, 반사면 상에 있어서의 각 광출사부로부터의 광의 입사 범위를 좁게 하여 반사경의 반사면을 최소한의 면적으로 할 수 있고, 또한 형광체 상의 각 광상에 의한 간극이 없는 주사를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각 광출사부로부터 출사하여 각 집광부에서 집광한 광을 반사면 상에서 배열 또한 인접시키도록 상기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였다.
(작용) 렌즈 어레이에 의해 반사면 상에 집광된 복수의 광이 반사면 상에서 배열 또한 인접함으로써, 각 광출사부로부터 반사면으로의 복수의 광의 입사 범위가 더욱 좁아져, 반사경의 반사면을 최소한의 면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집광 배율을 갖도록 상기 렌즈 어레이의 각 집광부를 형성하였다.
(작용) 렌즈 어레이의 집광부마다 통과하는 광의 집광 배율이 상이하기 때문에, 복수의 여기 광원마다 집광 배율에 기초한 크기의 광이 반사경의 반사면에 입사되고, 주사 기구에 의해 주사된다.
또한, 복수의 상기 광출사부를 광출사부마다 밝기 조절 가능하게 형성하였다.
(작용) 배광 패턴이 여기 광원마다 밝기가 상이한 광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다.
차량용 전조등에 의하면, 복수의 광출사부로부터 출사하는 광을 하나의 반사경을 갖는 주사 기구로 주사해도, 반사면 상에 있어서의 각 광출사부로부터의 광의 입사 범위가 좁아짐으로써 주사 기구의 반사경을 작게 형성할 수 있고, 반사경을 일축 주위로 요동시키면서 주사함으로써 주사 기구의 제어를 간소화하여 용이하게 하는 것에 더하여, 반사경을 작은 구동력으로 신속히 동작시킴으로써 주사성도 향상시켜 색 얼룩이 없는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차량용 전조등에 의하면, 반사면 상에 배열 조사되는 복수의 광의 입사 범위가 더욱 좁아짐으로써 반사경을 더욱 작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반사경을 더욱 작은 구동력으로 신속히 동작시켜 주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차량용 전조등에 의하면, 반사경의 반사면에 입사하는 광의 입사 범위가 여기 광원 어레이의 광출사부마다 조절되기 때문에, 복수의 광의 입사 범위를 더욱 좁게 하여 반사경을 더욱 작게 형성할 수 있고, 다채로운 배광 패턴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차량용 전조등에 의하면, 복수의 광출사부마다 밝기가 상이한 광을 주사하여 조합함으로써, 다채로운 배광 패턴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전조등의 정면도.
도 2의 (a)는 집광 배율이 동일한 복수의 집광부를 갖는 렌즈 어레이를 구비한 제1 실시예의 차량용 전조등의 I-I 종단면도, 도 2의 (b)는 제1 실시예의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의 광로를 좌측 방향에서 본 설명도.
도 3은 제1 실시예의 주사 기구를 반사경의 전방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예의 차량용 전조등에 의해 형성되는 광로 및 광상(光像)의 설명도.
도 5의 (a)는 집광 배율이 상이한 복수의 집광부를 갖는 렌즈 어레이를 구비한 제2 실시예의 차량용 전조등의 종단면도, 도 5의 (b)는 제2 실시예의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의 광로를 좌측 방향에서 본 설명도.
도 6은 제2 실시예의 주사 기구를 반사경의 전방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
도 7은 제2 실시예의 차량용 전조등에 의해 형성되는 광로 및 광상의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는, 차량용 전조등의 각 부분이나 차량용 전조등의 탑재 차량의 드라이버로부터 본 도로의 방향을 (상방:하방:좌방:우방:전방:후방=Up:Lo:Le:Ri:Fr:Re)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의해 제1 실시예의 차량용 전조등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차량용 전조등(1)은, 복수의 여기 광원을 형성하는 광출사부(8a∼8c)를 구비한 여기 광원 어레이(8)와, 집광 배율이 상이한 복수의 집광부(9a∼9c)를 갖는 렌즈 어레이(9)를 갖는 우측 전조등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도 1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전조등(1)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a)는 도 1을 I-I의 위치에서 절단한 제1 실시예의 차량용 전조등(1)의 종단면도이며, 도 2의 (b)는 차량용 전조등(1)에 의한 광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의 (a)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차량용 전조등(1)은, 램프 보디(2)와, 전면(前面) 커버(3)와, 전조등 유닛(4)을 구비한다. 램프 보디(2)는, 차량의 전방측에 개구부를 갖고, 전면 커버(3)는, 투광성을 갖는 수지나 유리 등으로 형성되며, 램프 보디(2)의 개구부에 부착됨으로써 내측에 등실(燈室; S)을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전조등 유닛(4)은, 하이빔용 전조등 유닛(5) 및 로우빔용 전조등 유닛(6)을 금속제의 지지 부재(7)로 일체화함으로써 구성되고, 등실(S)의 내측에 배치된다.
하이빔용 전조등 유닛(5)과 로우빔용 전조등 유닛(6)은, 도 2의 (a)에 도시된 여기 광원 어레이(8), 렌즈 어레이(9), 형광체(10), 투영 렌즈(11), 주사 기구(12)를 각각 갖고, 이들은 모두 지지 부재(7)에 부착된다.
도 2의 (a)의 지지 부재(7)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바닥판부(7a)와, 바닥판부(7a)의 선단에 용착 등으로 일체화된 계단 형상의 렌즈 지지부(7b)와, 바닥판부(7a)의 기단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기초판부(7c)와, 직사각형 구멍(7g)을 가지며 바닥판부(7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설치된 프레임(7d)을 갖는다. 기초판부(7c)는, 스크류 고정부(7e)와 스크류 고정부(7e)보다 전후의 깊이가 두꺼운 유지부(7f)에 의해 구성된다.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 광원 어레이(8)는, 청색 또는 자색(紫色)의 LED 광원 또는 레이저 광원으로 이루어지는 여기 광원인 복수의 광출사부를 구비하고, 전후로 배열된 제1 광출사부(8a), 제2 광출사부(8b) 및 제3 광출사부(8c)를 가지며, 금속제의 지지 부재(7)의 바닥판부(7a)에 고정된다. 제1 내지 제3 광출사부(8a∼8c)는, 모두 동일 형상을 가지며, 상방을 향해 광을 출사한다. 또한, 제1 내지 제3 광출사부(8a∼8c)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제어 기구에 의해 독립적으로 점소등되고, 또한 독립적으로 밝기가 조절됨으로써 다채로운 배광 패턴의 형성을 실현한다. 점등 중에 여기 광원 어레이(8)에 발생한 열은, 금속제의 지지 부재(7)의 바닥판부(7a)를 통해 등실(S) 내로 방출된다.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어레이(9)는, 두께가 동일한 평볼록 렌즈 형상을 구비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제1 집광부(9a), 제2 집광부(9b) 및 제3 집광부(9c)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속시킨 형상을 갖는다. 제1 집광부(9a) 및 제3 집광부(9c)는, 투과시키는 각각의 광을 제2 집광부(9b)의 광에 인접시키도록 모두 제2 집광부(9b)를 향해 약간 기울어져 형성된다. 렌즈 어레이(9)는, 제1 내지 제3 집광부(9a∼9c)를 대응하는 제1 광출사부 내지 제3 광출사부(8a∼8c)에 각각 대향시킨 상태로 지지 부재(7)의 바닥판부(7a) 또는 기초판부(7c)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여기 광원 어레이(8)의 제1 내지 제3 광출사부(8a∼8c)로부터 출사한 광(B11, B12, B13)은, 제1 내지 제3 집광부(9a∼9c)를 투과함으로써 각각 후술하는 반사경(13)의 반사면(13a) 상에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고 또한 인접하도록 조사된다.
도 1과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체(10)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투영 렌즈(11)의 후방 초점 근방에 위치하도록 지지 부재(7)의 프레임(7d)의 직사각형 구멍(7g)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형광체(10)는, 투과광을 백색화하기 위해서, 여기 광원 어레이(8)가 청색광을 발생시키는 경우에 황색 형광체로서 형성되고, 자색광을 발생시키는 경우에 황색 또한 청색 형광체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적색 또한 녹색 또한 청색(RGB)의 적어도 3색을 갖는 형광체로서 형성된다.
도 2의 (a)에 도시된 투영 렌즈(11)는, 전방으로 볼록해지는 평볼록 렌즈이고, 후면(11a)을 형광체(10)에 대향시킨 상태로 렌즈 지지부(7b)의 선단의 유지부(7h)에 고정된다. 전조등 유닛(4)은, 램프 보디(2)에 회동 가능하게 유지된 3개의 에이밍 스크류(14)를 지지 부재(7)의 기초판부(7c)의 스크류 고정부(7e)에 나사식으로 부착함으로써, 램프 보디(2)에 대해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2의 (a)에 도시된 주사 기구(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중심 축선(L0)을 중심으로 해서 1축 방향으로 틸팅 가능한 판형의 반사경(13)을 갖는 스캔 디바이스이며, 지지 부재(7)의 유지부(7f)의 전면에 고정된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경(13)은, 은 증착이나 도금 등으로 형성된 반사면(13a)을 전면에 구비하고, 반사면(13a)은, 렌즈 어레이(9)의 제1 내지 제3 집광부(9a∼9c)와, 형광체(10)의 양방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주사 기구(12)에는, MEMS 미러 외에, 갈바노 미러 등의 다채로운 주사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주사 기구(12)는, 반사경(13), 베이스(15), 한 쌍의 토션 바(16), 한 쌍의 영구 자석(17) 및 단자부(18)를 갖는다. 반사경(13)은, 한 쌍의 토션 바(16)에 의해 회동 중심 축선(L0)을 중심으로 해서 좌우로 틸팅 가능한 상태로 베이스(15)에 지지된다. 한 쌍의 영구 자석(17)은, 베이스(15)에 있어서 회동 중심 축선(L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반사경(13)에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제어 기구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며 단자부(18)를 통해 통전(通電)되어 자계를 발생시키는 코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된다. 반사경(13)은, 코일(도시하지 않음)에의 통전의 온 또는 오프의 제어에 기초하여 토션 바(16)의 회동 중심 축선(L0)을 중심으로 해서 좌우로 왕복 틸팅하여, 반사면(13a)에 의한 반사광(B11∼B13)을 좌우로 주사한다.
한편, 렌즈 어레이(9)의 제1 내지 제3 집광부(9a∼9c)의 각 집광 배율 및 각 초점 거리는, 각 집광부를 동일 두께 또한 대략 동일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동일하다. 한편, 반사경(13)은, 렌즈 어레이(9)와 형광체(10)의 양방에 대향하도록 전방이 후방보다 높아지도록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집광부(9a∼9c)로부터 반사면(13a)의 입사 위치까지의 거리를 각각 (SN1, SN2, SN3)으로 한 경우, 상기 각 거리는, SN1>SN2>SN3이 되어, 전방에 배치된 집광부일수록 반사면(13a)까지의 광의 도달 거리가 길어진다.
각 집광부로부터 각 입사 위치까지의 거리(SN1, SN2, SN3)가 모두 제1 내지 제3 집광부(9a∼9c)의 각 초점 거리 이하인 경우, 제1 내지 제3 집광부(9a∼9c)를 투과하여 반사면(13a)에 입사하는 각 광(B11, B12, B13)의 입사 범위(E11, E12, E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집광부로부터 반사면(13a)의 입사 위치까지의 거리가 길수록 작아진다. 한편, 각 집광부로부터 각 입사 위치까지의 거리(SN1, SN2, SN3)가 모두 제1 내지 제3 집광부(9a∼9c)의 각 초점 거리 이상인 경우, 입사 범위(E11, E12, E13)는, 각 집광부로부터 반사면(13a)의 입사 위치까지의 거리가 길수록 넓어진다(도시하지 않음).
한편, 제1 내지 제3 집광부(9a∼9c)에 의해 집광된 상태로 반사면(13a)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B11, B12, B13)의 각각의 확산성은, 반사면(13a) 상에 있어서의 광의 입사 범위(E11, E12, E13)의 크기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도 2의 (b) 및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차량용 전조등(1)에 있어서는, 반사광(B11, B12, B13) 중 가장 작은 입사 범위(E11)가 되는 반사광(B11)의 확산성이 가장 크고 가장 큰 입사 범위(E13)가 되는 반사광(B13)의 확산성이 가장 작아진다.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도시된 제1 집광부(9a) 및 제3 집광부(9c)는, 모두 제2 집광부(9b)를 향해 약간 기울어져 형성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한 각각의 광(B11, B13)의 입사 범위(E11, E13)를 제2 집광부(9b)의 투과광(B12)의 광상 입사 범위(E12)에 각각 인접시킨다. 제1 집광부(9a), 제2 집광부(9b), 제3 집광부(9c)를 각각 출사한 광(B11, B12, B13)은, 가장 작은 입사 범위(E11)가 되는 광(B11)부터 상방을 향해 순서대로 반사면(13a) 상에 세로 일렬로 배열되고, 또한 인접한 상태로 입사된다.
도 2의 (b),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렌즈 어레이(9)에 의하면, 여기 광원 어레이(8)를 출사한 복수의 광(B11∼B13)이 각각 렌즈 어레이(9)의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집광부(9a∼9c)를 통과함으로써 반사경(13)의 반사면(13a)에 있어서 소정의 범위 내에 세로 일렬로 배열됨으로써 반사면(13a) 상의 입사 범위를 상하로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반사면(13a)을 좁게 하여 반사경(13)을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렌즈 어레이(9)에 의하면, 반사면(13a) 상에 있어서의 각 광(B11, B12, B13)의 입사 범위(E11, E12, E13)가 배열되고 또한 인접함으로써 더욱 반사면(13a)을 좁게 하여 반사경(13)을 작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주사 기구(12)에 의한 주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2의 (b), 도 3, 도 4에 의해, 제1 실시예의 차량용 전조등(1)에 의한 백색의 하이빔용 배광 패턴의 형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 광원 어레이(8)의 제1 광출사부(8a), 제2 광출사부(8b), 제3 광출사부(8c)로부터 출사한 광(B11, B12, B13)은, 렌즈 어레이(9)의 대응하는 제1 집광부(9a), 제2 집광부(9b), 제3 집광부(9c)에 의해 집광되고, 반사경(13)의 반사면(13a)에 세로 일렬로 배열되며, 또한 인접하도록 입사된다.
반사면(13a)에 의한 반사광(B11, B12, B13)은, 도 2의 (b),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투영 렌즈(11)의 후방 초점 근방에 집광하도록 형광체(10) 상에 세로 일렬로 배열되고, 또한 인접하는 광상(M11, M12, M13)을 각각 표시한다. 광상(M11, M12, M13)의 높이는, 반사광(B11, B12, B13)의 확산성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고, 반사면(13a) 상에 있어서의 입사 범위(E11, E12, E13)의 크기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광상(M1)의 높이가 가장 높고, 광상(M13)의 높이가 가장 낮아진다.
도 2의 (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상(M11, M12, M13)을 표시하는 광(B11, B12, B13)은, 형광체(10)를 투과함으로써 각각 백색광(W11, W12, W13)이 된다. 백색광(W11, W12, W13)은, 투영 렌즈(11)를 투과함으로써, 백색광(W12)을 중심으로 해서 백색광(W11, W13)의 조사 위치를 상하로 반전시킨 상태, 즉 백색광(W11)이 백색광(W12)의 하방을 향하고 백색광(W13)이 백색광(W12)의 상방을 향하면서 익스텐션 리플렉터(19)의 전단 개구부(19a)를 통과하고, 각각 전면 커버(3)를 투과함으로써 차량(도시하지 않음)의 전방에 세로 일렬로 배열되고 또한 인접하는 광상(Pt1, Pt2, Pt3)을 표시한다. 광상(Pt1, Pt2, Pt3)은, 광상(M11, M12, M13)에 대해 상사(相似) 형태를 갖고, 또한 광상(M12)을 중심으로 해서 광상(M11, M13)을 상하로 반전시킨 위치 관계를 갖는다. 즉, 광상(Pt1, Pt2, Pt3)의 각각의 높이를 (hd1, hd2, hd3)으로 하고, 각각의 폭을 (Wd1, Wd2, Wd3)으로 한 경우, 각 광상의 높이와 폭은, hd1<hd2<hd3, Wd1<Wd2<Wd3이 된다.
차량 전방의 직사각형의 주사 영역(부호 Sc1) 내에 있어서, 여기 광원 어레이(8)는, 점등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기초하여, 배광 패턴을 표시하는 소정의 위치에서만 제1 내지 제3 광출사부(8a, 8b, 8c)를 독립적으로 점등시키고, 주사 기구(12)는, 반사경(13)을 회동 중심 축선(L0) 주위로 고속으로 왕복 틸팅시킴으로써, 제1 내지 제3 광출사부(8a, 8b, 8c)에 의한 각 광상(Pt1, Pt2, Pt3)을 주사 영역(Sc1)의 좌단 위치(P1)로부터 우단 위치(P2)까지의 사이를 좌우로 고속으로 주사한다. 주사 기구(12)는, 소정의 위치에서 점소등을 하는 높이가 상이한 광상(Pt1, Pt2, Pt3)을 고속으로 주사함으로써 좌우에 묘화되는 굵기가 상이한 백선상(白線像; white line image)을 상하로 적층함으로써 다채로운 형상의 하이빔용 배광 패턴을 차량 전방에 표시한다. 로우빔용 전조등 유닛(6)도 또한, 동일한 주사를 행함으로써 로우빔용 배광 패턴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에 의해 제2 실시예의 차량용 전조등(1')을 설명한다. 제2 실시예의 차량용 전조등(1')은, 렌즈 어레이(21)가 제1 실시예의 렌즈 어레이(9)와 상이한 것 외에, 제1 실시예의 차량용 전조등(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5의 (a)는 도 1을 I-I의 위치에서 절단했다고 가정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2 실시예의 차량용 전조등(1')의 종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차량용 전조등(1')에 의한 광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하이빔용 전조등 유닛(5')과 로우빔용 전조등 유닛(도시하지 않음)은, 여기 광원인 여기 광원 어레이(8), 렌즈 어레이(21), 형광체(10), 투영 렌즈(11), 주사 기구(12)를 각각 갖고, 이들은 모두 지지 부재(7)에 부착된다.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어레이(21)는, 두께가 상이한 평볼록 렌즈 형상을 구비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제1 집광부(21a), 제2 집광부(21b) 및 제3 집광부(21c)를 두께가 얇은 순으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속시킨 형상을 갖는다. 제1 내지 제3 집광부(21a∼21c)의 각각의 곡률을 Q1, Q2, Q3으로 하고, 각각의 집광 배율을 Sb1, Sb2, Sb3으로 한 경우, 렌즈 어레이(21)는, 제1 내지 제3 집광부(21a∼21c)의 곡률을 Q1<Q2<Q3이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Sb1<Sb2<Sb3이 되는 집광 배율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도시된 제1 집광부(21a) 및 제3 집광부(21c)는, 각각의 광을 제2 집광부(21b)의 광에 인접시키도록 모두 제2 집광부(21b)를 향해 약간 기울어져 형성된다. 렌즈 어레이(21)는, 제1 내지 제3 집광부(21a∼21c)를 대응하는 제1 광출사부 내지 제3 광출사부(8a∼8c)에 각각 대향시킨 상태로 지지 부재(7)의 바닥판부(7a) 또는 기초판부(7c)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여기 광원 어레이(8)의 제1 내지 제3 광출사부(8a∼8c)로부터 출사한 광(B11', B12', B13')은, 제1 내지 제3 집광부(21a∼21c)를 투과함으로써 각각 후술하는 반사경(13)의 반사면(13a) 상에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고 또한 인접하도록 조사된다.
또한,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경(13)은, 전방이 후방보다 높아지도록 비스듬히 배치되고, 렌즈 어레이(21)의 제1 내지 제3 집광부(21a∼21c)의 각 집광 배율은, Sb1<Sb2<Sb3이기 때문에, 제1 내지 제3 집광부(21a∼21c)의 각 초점 거리를 각각 (SS1, SS2, SS3)으로 한 경우, 각 초점 거리는, SS1>SS2>SS3이 된다. 또한 반사경(13)은, 전방이 후방보다 높아지도록 비스듬히 배치됨으로써, 제1 내지 제3 집광부(21a∼21c)를 각각 투과한 광에 있어서는, 집광부의 초점 거리가 길수록, 집광부로부터 반사면(13a) 상의 광의 입사 위치까지의 거리도 멀어진다.
도 5의 (a) 및 도 5의 (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집광부(21a), 제2 집광부(21b), 제3 집광부(21c)를 각각 투과하여 반사면(13a)에 입사하는 광(B11', B12', B13')의 입사 범위(E11', E12', E13')는, 제1 내지 제3 집광부(21a∼21c)의 각 초점 거리에 비례하여 반사면(13a) 상에 있어서의 각 투과광의 반사 위치가 멀어지도록 반사경(13)을 배치함으로써 동일해지고, 입사 범위(E11', E12', E13')는, 반사면(13a) 상에 있어서 세로 일렬로 배열되고 또한 인접한다. 또한, 반사면(13a)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B11', B12', B13')은, 각각 대략 균일하게 확산된다.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렌즈 어레이(21)에 의하면, 여기 광원 어레이(8)의 복수의 출사광(B11'∼B13')이, 렌즈 어레이(21)의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집광부(21a∼21c)를 각각 투과함으로써, 반사면(13a) 상에 세로 일렬로 배열되고 또한 인접하도록 입사하는 광의 입사 범위(E11', E12', E13')가 균일하고 또한 최소화되어 상하로 좁아진다. 그 결과, 렌즈 어레이(21)에 의하면, 반사경(13)을 제1 실시예보다 더욱 작게 형성하여 주사 기구(12)의 주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5의 (b), 도 6, 도 7에 의해, 제2 실시예의 차량용 전조등(1')에 의한 백색의 하이빔용 배광 패턴의 형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 광원 어레이(8)의 제1 광출사부(8a), 제2 광출사부(8b), 제3 광출사부(8c)로부터 출사한 광(B11', B12', B13')은, 렌즈 어레이(21)의 대응하는 제1 집광부(21a), 제2 집광부(21b), 제3 집광부(21c)에 의해 집광되고, 반사경(13)의 반사면(13a)에 세로 일렬로 배열되며, 또한 인접하도록 입사된다.
반사면(13a)에 의한 반사광(B11', B12', B13')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하게 확산되고, 형광체(10) 상에 세로 일렬로 배열되며, 또한 인접한 균일한 형태의 광상(M11', M12', M13')을 각각 표시한다. 광상(M11', M12', M13')을 표시하는 광(B11', B12', B13')은, 형광체(10)를 투과함으로써 각각 백색광(W11', W12', W13')이 된다. 백색광(W11', W12', W13')은, 투영 렌즈(11)를 투과함으로써, 백색광(W12')을 중심으로 해서 백색광(W11', W13')의 조사 위치를 상하로 반전시킨 상태로 익스텐션 리플렉터(19)의 전단 개구부(19a)를 통과하고, 각각 전면 커버(3)를 투과함으로써 차량(도시하지 않음)의 전방에 인접하는 광상(Pt1', Pt2', Pt3')을 표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상(Pt1', Pt2', Pt3')은, 광상(M11', M12', M13')에 대해 상사(相似)가 되는 대략 균등한 형태로 표시되며, 균일한 높이(hd4) 및 폭(Wd4)을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차량 전방의 직사각형의 주사 영역(부호 Sc1') 내에 있어서,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도시된 여기 광원 어레이(8)는, 점등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기초하여, 배광 패턴을 표시하는 소정의 위치에서만 제1 내지 제3 광출사부(8a, 8b, 8c)를 독립적으로 점등시키고, 주사 기구(12)는, 반사경(13)을 회동 중심 축선(L0) 주위로 고속으로 왕복 틸팅시킴으로써, 제1 내지 제3 광출사부(8a, 8b, 8c)에 의한 각 광상(Pt1', Pt2', Pt3')을 주사 영역(Sc1')의 좌단 위치(P1')로부터 우단 위치(P2')까지의 사이를 좌우로 고속으로 주사한다. 주사 기구(12)는, 소정의 위치에서 점소등을 하는 높이가 대략 동일한 광상(Pt1', Pt2', Pt3')을 고속으로 주사함으로써 좌우에 묘화되는 굵기가 상이한 백선상을 상하로 적층함으로써 다채로운 형상의 하이빔용 배광 패턴을 차량 전방에 표시한다. 로우빔용 전조등 유닛(6)도 또한, 동일한 주사를 행함으로써 로우빔용 배광 패턴을 표시한다.
1, 1': 차량용 전조등 8: 여기 광원 어레이
8a: 제1 광출사부 8b: 제2 광출사부
8c: 제3 광출사부 9: 렌즈 어레이
9a: 제1 집광부 9b: 제2 집광부
9c: 제3 집광부 10: 형광체
11: 투영 렌즈 12: 주사 기구
13: 반사경 13a: 반사면
21: 렌즈 어레이 21a: 제1 집광부
21b: 제2 집광부 21c: 제3 집광부
B11, B12, B13: 광 B11', B12', B13': 광
L0: 회동 중심 축선

Claims (4)

  1. 여기 광원과, 여기 광원에 의해 여기되는 형광체와, 투영 렌즈와, 여기 광원에 의해 발생한 광을 반사경의 반사면에서 받아 형광체를 향해 주사하는 주사(走査) 기구를 갖는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상기 여기 광원은, 복수의 광출사부를 갖는 여기 광원 어레이로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여기 광원과 주사 기구 사이에는, 각 광출사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각 광출사부로부터 출사한 광을 각각 반사경의 반사면 상에 집광하며, 반사광의 각 광상(光像)을 형광체 상에 배열시키는 복수의 집광부를 갖는 렌즈 어레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레이는, 각 광출사부로부터 출사하여 각 집광부에서 집광한 광을 반사면 상에서 배열 또한 인접시키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레이의 각 집광부가, 각각 상이한 집광 배율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광출사부는, 광출사부마다 밝기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KR1020170133202A 2016-10-14 2017-10-13 차량용 전조등 KR201800416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02426A JP2018063901A (ja) 2016-10-14 2016-10-14 車両用前照灯
JPJP-P-2016-202426 2016-10-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601A true KR20180041601A (ko) 2018-04-24

Family

ID=6190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202A KR20180041601A (ko) 2016-10-14 2017-10-13 차량용 전조등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30276B2 (ko)
JP (1) JP2018063901A (ko)
KR (1) KR201800416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750A (ko) * 2016-12-16 2018-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픽셀라이트 헤드램프
JP6695051B2 (ja) * 2017-03-29 2020-05-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US10132460B1 (en) * 2017-10-13 2018-11-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ing assembly and lighting method
WO2020051297A1 (en) 2018-09-05 2020-03-12 Flex-N-Gate Advanced Product Development, Llc Adaptive beam scanning headlamp
WO2020067213A1 (ja) * 2018-09-28 2020-04-02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KR102626254B1 (ko) * 2018-12-04 2024-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노면상으로 광을 투사하는 자동차 및 그 제어 방법
US10753565B1 (en) 2019-12-06 2020-08-25 True Parts Inc. Vehicular headlamp reflector
KR20230101247A (ko) * 2021-12-29 2023-07-0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029Y2 (ja) 1990-12-28 1995-10-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Ledモジュール
US7369320B2 (en) * 2005-12-30 2008-05-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jection system with beam homogenizer
JP2012108486A (ja) * 2010-10-21 2012-06-07 Panasonic Corp 光源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473966B2 (ja) * 2011-03-04 2014-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JP2014023630A (ja) * 2012-07-25 2014-02-06 Fujifilm Corp 光源ユニット及び電子内視鏡装置
AT514834B1 (de) * 2013-02-07 2017-11-15 Zkw Group Gmbh Scheinwerfer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Lichtverteilung
JP5486101B2 (ja) 2013-03-07 2014-05-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5662599B2 (ja) 2014-01-24 2015-02-04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JP6279937B2 (ja) * 2014-03-10 2018-02-14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照明装置
JP6654560B2 (ja) 2014-05-07 2020-02-2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光源モジュールおよび車両用灯具
JP6837776B2 (ja) * 2016-08-10 2021-03-0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63901A (ja) 2018-04-19
US20180106455A1 (en) 2018-04-19
US10330276B2 (en)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1601A (ko) 차량용 전조등
US10731819B2 (en) Vehicle headlamp
KR20180018312A (ko) 차량용 전조등
JP6782559B2 (ja) 車両用前照灯
JP4881255B2 (ja) 車両用前照灯
KR100965170B1 (ko) 차량용 등기구 유닛
US7670038B2 (en) LED collimator element with an asymmetrical collimator
JP4002207B2 (ja) 車両用前照灯
JP5577138B2 (ja) 車両用前照灯
JP5805327B2 (ja) 前照灯用光源および前照灯
JP5662599B2 (ja) 車両用前照灯
CN109973925B (zh) 车辆用前照灯
KR102122329B1 (ko) 자동차용 스캐닝 헤드라이트
JP5897094B2 (ja) 車両用前照灯
WO2020174983A1 (ja) 車両用灯具
JP2017130398A (ja) 車両用前照灯
WO2023074546A1 (ja) 車両用灯具
JP2018106928A (ja) 車両用前照灯
CN111911881A (zh) 车辆用灯具
JP2020155377A (ja) 車両用灯具
JP2017134907A (ja) 車両用灯具
JP2007074530A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