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247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247A
KR20230101247A KR1020210191200A KR20210191200A KR20230101247A KR 20230101247 A KR20230101247 A KR 20230101247A KR 1020210191200 A KR1020210191200 A KR 1020210191200A KR 20210191200 A KR20210191200 A KR 20210191200A KR 20230101247 A KR20230101247 A KR 20230101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eam pattern
optical unit
hou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동진
서재곤
신진섭
백창우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1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1247A/ko
Priority to US17/993,159 priority patent/US11774059B2/en
Priority to CN202211492422.6A priority patent/CN116357914A/zh
Priority to DE102022134852.0A priority patent/DE102022134852A1/de
Publication of KR20230101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 F21S41/67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by moving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55Lenses with a front view of circular or truncated circular out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5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1/24 - F21S41/280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50Waterproof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4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20Illuminance distribution within the emitted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35Brake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마이크로 미러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을 조사하여 가변 빔 패턴을 형성하는 가변 빔 형성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가변 빔 형성부는, 광을 조사하는 제1 광학부와, 상기 가변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제1 광학부의 광을 반사시키는 빔 패턴 형성부, 및 상기 빔 패턴 형성부에서 출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제2 광학부를 포함하되, 상기 빔 패턴 형성부는,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를 포함하는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의 재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미러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전방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전조등,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점등되는 브레이크등,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 사용되는 방향 지시등과 같이 램프를 이용하여 직접 발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차량용 램프가 차량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는 자기 차량이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방식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반사기 등이 차량에 구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전조등은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주변 밝기가 낮은 터널 등을 주행하는 경우 차량의 주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야간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필수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야간에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는 전방을 주시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야간에 전방을 주시하는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0433호 (2014.02.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이크로 미러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을 조사하여 가변 빔 패턴을 형성하는 가변 빔 형성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가변 빔 형성부는, 광을 조사하는 제1 광학부와, 상기 가변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제1 광학부의 광을 반사시키는 빔 패턴 형성부, 및 상기 빔 패턴 형성부에서 출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제2 광학부를 포함하되, 상기 빔 패턴 형성부는,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를 포함하는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의 재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 방지부는 입사된 광을 흡수하거나 확산시킨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광학부를 지지하고,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 중 상기 제2 광학부로 입사되지 않은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 방지부는 상기 보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1 광 확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광 확산부는 반구 형상의 볼록면 및 오목면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조 하우징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반사부와 상기 제2 광학부의 사이에 배치된 광 투과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 플레이트는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광 투과홀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 방지부는 상기 제2 광학부를 대향하는 상기 광 투과 플레이트의 표면에 형성되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2 광 확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광 확산부는 세로 방향으로 긴 반원 기둥 형상의 볼록면 및 오목면을 포함한다.
상기 광 투과 플레이트의 표면 중 상기 광 투과홀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제2 광 확산부의 형성이 제거된다.
상기 보조 하우징은 상기 제2 광학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광학부로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광 투과홀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방지부는 상기 광 투과홀에 인접한 상기 보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3 광 확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3 광 확산부는 세로 방향으로 긴 반원 기둥 형상의 볼록면 및 오목면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마이크로 미러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차량용 램프가 구비된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로우 빔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로우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평행한 컷 오프 라인을 포함하는 로우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하이 빔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하이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암영대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하이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가변 빔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가변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로우 빔 패턴, 하이 빔 패턴에 가변 빔 패턴이 중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가변 빔 형성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가변 빔 형성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빔 패턴 형성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반사부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반사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반사부의 반사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가변 빔 형성부에 의해 광이 조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1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보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제1 광 확산부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제1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2 광 확산부의 확대도이다.
도 21은 보조 하우징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제1 광학부가 빔 패턴 형성부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보조 하우징에 제2 광학부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보조 하우징에 대한 제2 광학부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보조 하우징에 접착제가 도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접착제가 이용되어 보조 하우징에 제2 광학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제2 광학부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8은 제2 밀폐부에 의해 반사부가 밀폐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제2 밀폐부와 제1 하우징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차량용 램프가 구비된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차량용 램프(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0)는 차량(1)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어 차량(1)이 야간이나 터널 등과 같은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차량용 램프(10)가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는 헤드 램프에 한정되지 않고 포그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지션 램프, 주간 주행 램프 등과 같이 차량(1)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차량용 램프(10)는 차량(1) 전방의 근거리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차량(1) 전방의 원거리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하이 빔 패턴(HP)(도 5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하이 빔 패턴(HP)을 형성함에 있어서, 차량용 램프(10)는 대향 차량이나 선행 차량과 같은 상대 차량이 존재할 때 상대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거나 조사되는 광의 광량을 감소시켜 암영대(Shadow area)를 형성할 수 있다. 암영대가 형성됨에 따라 상대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는 차량(1)의 전방 좌측에 구비된 제1 차량용 램프(10) 및 차량(1)의 전방 우측에 구비된 제2 차량용 램프(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차량용 램프(10)는 좌측 헤드 램프로 이해될 수 있고, 제2 차량용 램프(10)는 우측 헤드 램프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0)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가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의 수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의 용도에 따라 광 조사부의 개수, 설치 위치, 설치 방향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램프(10)는 로우 빔 형성부(11), 하이 빔 형성부(12) 및 가변 빔 형성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로우 빔 형성부(11)는 광을 조사하여 로우 빔 패턴(LP)(도 3 참조)을 형성하고, 하이 빔 형성부(12)는 광을 조사하여 하이 빔 패턴(HP)을 형성할 수 있다. 로우 빔 패턴(LP) 및 하이 빔 패턴(HP)을 형성하기 위하여 로우 빔 형성부(11) 및 하이 빔 형성부(12)는 광원(미도시), 리플렉터(미도시) 및 렌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가변 빔 형성부(13)는 광을 조사하여 가변 빔 패턴(VP1, VP2)(도 7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변 빔 패턴(VP1, VP2)은 그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빔 패턴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빔 패턴의 형성면 중 일부로는 광이 조사되고 다른 일부로는 광이 조사되지 않을 수 있는 것으로서, 광이 조사되는 영역과 광이 조사되지 않는 영역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다. 가변 빔 패턴(VP1, VP2)을 이용하는 경우 문자, 숫자 또는 기호와 같은 정보 이미지가 빔 패턴의 형성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로우 빔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로우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평행한 컷 오프 라인을 포함하는 로우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하이 빔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하이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암영대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하이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가변 빔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가변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로우 빔 패턴, 하이 빔 패턴에 가변 빔 패턴이 중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로우 빔 패턴(LP)은 컷 오프 라인(CL)을 포함할 수 있다.
컷 오프 라인(CL)은 빔 패턴 형성면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경사진 라인일 수 있다. 컷 오프 라인(CL)을 기준으로 로우 빔 패턴(LP)의 좌측 및 우측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로우 빔 패턴(LP)은 차량(1)의 근거리 전방에 형성되어 근거리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 빔 패턴(LP)은 상측이 평행한 컷 오프 라인(CL)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로우 빔 패턴(LP)의 좌측 및 우측이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하, 경사진 라인의 컷 오프 라인(CL)이 포함된 로우 빔 패턴(LP)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이 빔 패턴(HP)은 선택적으로 암영대(SD)를 포함할 수 있다.
암영대(SD)는 광이 조사되지 않는 영역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전방에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이 빔 패턴(HP)은 암영대(SD)를 포함할 수 있다. 암영대(SD)의 위치는 하이 빔 패턴(HP)의 전체 영역에서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그 개수가 변경될 수도 있다.
하이 빔 패턴(HP)의 전체 영역 중 암영대의 배치는 별도의 제어 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주변 환경에 따른 광이 조사되도록 하이 빔 형성부(12)를 제어하고, 하이 빔 형성부(12)는 제어 장치의 제어 명령에 따른 하이 빔 패턴(HP)을 형성할 수 있다.
하이 빔 패턴(HP)은 차량(1)의 원거리 전방에 형성되어 원거리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 빔 패턴(HP)은 로우 빔 패턴(LP)에 비하여 차량(1)의 원거리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 빔 패턴(HP)은 암영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하이 빔 패턴(HP)의 전역에 걸쳐 항상 균일한 광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가변 빔 패턴(VP1, VP2)은 제1 가변 빔 패턴(VP1) 및 제2 가변 빔 패턴(V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변 빔 패턴(VP1)은 빔 패턴 형성면의 중심을 포함하는 일정 크기의 영역일 수 있다. 제1 가변 빔 패턴(VP1)의 중심은 빔 패턴 형성면의 중심에 일치할 수 있고, 빔 패턴 형성면의 중심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도 있다.
제1 가변 빔 패턴(VP1)과 마찬가지로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빔 패턴 형성면의 특정 지점에 형성된 일정 크기의 영역일 수 있다.
제1 가변 빔 패턴(VP1) 및 제2 가변 빔 패턴(VP2)이 각각 차지하는 영역은 예를 들어, 사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가변 빔 패턴(VP1)의 영역 및 제2 가변 빔 패턴(VP2)의 영역의 형상이 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타원 또는 기하학적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 사각형의 영역을 차지한 제1 가변 빔 패턴(VP1) 및 제2 가변 빔 패턴(VP2)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가변 빔 패턴(VP2)의 면적은 제1 가변 빔 패턴(VP1)의 면적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가변 빔 패턴(VP2)의 가로 길이(H2)는 제1 가변 빔 패턴(VP1)의 가로 길이(H1)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변 빔 패턴(VP1)은 제2 가변 빔 패턴(VP2)에 비하여 차량(1)의 원거리로 조사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갖고 조사되더라도 확산되면서 넓은 면적의 근거리 또는 원거리 전방 시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제1 가변 빔 패턴(VP1)에 비하여 차량(1)의 근거리로 조사될 수 있다.
제1 가변 빔 패턴(VP1) 및 제2 가변 빔 패턴(VP2) 간에는 일정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가변 빔 패턴(VP1) 및 제2 가변 빔 패턴(VP2)이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1 가변 빔 패턴(VP1) 및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변 빔 패턴(VP1)이 형성된 경우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형성되지 않고, 제2 가변 빔 패턴(VP2)이 형성된 경우 제1 가변 빔 패턴(VP1)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가변 빔 패턴(VP1, VP2)은 로우 빔 패턴(LP) 및 하이 빔 패턴(HP)에 중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가변 빔 패턴(VP1)은 빔 패턴 형성면의 중심에 형성되거나 중심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변 빔 패턴(VP1)은 제2 가변 빔 패턴(VP2)의 상측에 형성되고, 로우 빔 패턴(LP) 및 하이 빔 패턴(HP)의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제1 가변 빔 패턴(VP1)은 제2 가변 빔 패턴(VP2)에 비하여 원거리에 형성되고, 로우 빔 패턴(LP)을 보조하거나 하이 빔 패턴(HP)을 보조하여 해당 부분의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가변 빔 패턴(VP1)에 의해 근거리 전방 시야 또는 원거리 전방 시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변 빔 패턴(VP1)은 운전자에게 운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노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변 빔 패턴(VP1)은 주행 방향, 주행 속도 또는 교통 정보 등의 운행 정보가 문자, 숫자 또는 기호와 같은 이미지의 형태로 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변 빔 패턴(VP1)과 유사하게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운전자에게 운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노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주행 방향, 주행 속도 또는 교통 정보 등의 운행 정보가 문자, 숫자 또는 기호와 같은 이미지의 형태로 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환영(welcome) 또는 환송(goodbye)을 의미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노면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차량(1)에 근접하거나 차량(1)에서 멀어지는 경우 운전자를 환영하거나 환송을 의미하는 광 패턴, 이미지 또는 문자를 포함하는 제2 가변 빔 패턴(VP2)이 노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로우 빔 패턴(LP)에 비하여 차량(1)의 근거리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차량(1)의 전방 3미터~10미터 이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제1 가변 빔 패턴(VP1)과는 상이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노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변 빔 패턴(VP1)이 차량의 운행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2 가변 빔 패턴(VP2)은 차량의 운행 정보와는 무관한 상이한 정보이거나 차량의 운행 정보와는 관련되면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가변 빔 형성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가변 빔 형성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가변 빔 형성부(13)는 제1 광학부(100), 제2 광학부(200) 및 빔 패턴 형성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광학부(100)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광학부(100)는 제1 광학 그룹(181)(도 15 참조) 및 제2 광학 그룹(182)(도 15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 그룹(181)은 제1 가변 빔 패턴(VP1)의 형성을 위한 광을 조사하고, 제2 광학 그룹(182)은 제2 가변 빔 패턴(VP2)의 형성을 위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광학 그룹(181)의 광 및 제2 광학 그룹(182)의 광은 차량(1)의 전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빔 패턴 형성부(300)는 가변 빔 패턴(VP1, VP2)의 형성을 위하여 제1 광학부(100)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제1 광학부(100)에서 조사된 광은 빔 패턴 형성부(300)에 의해 반사되어 가변 빔 패턴(VP1, VP2)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빔 패턴 형성부(300)는 입사된 광 중 일부는 제2 광학부(200)를 향해 반사시키고, 다른 일부는 제2 광학부(200)를 향하지 않도록 반사하여 일정 형상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빔 패턴 형성부(3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1 내지 도 14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2 광학부(200)는 빔 패턴 형성부(300)에서 출사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2 광학부(200)는 입사된 광을 집광시켜 조사할 수 있다. 이에, 전술한 형상의 제1 가변 빔 패턴(VP1) 및 제2 가변 빔 패턴(VP2)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광의 집광을 위하여 제2 광학부(200)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학부(200)로 입사된 광이 복수의 렌즈를 투과함으로써 집광되어 출사될 수 있다.
도 11은 빔 패턴 형성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반사부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반사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4는 반사부의 반사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빔 패턴 형성부(300)는 하우징(310, 320), 반사부(330) 및 기판(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310, 320)은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은 결합하여 반사부(330) 및 기판(340)의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하우징(310)은 제1 광학부(100) 및 제2 광학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반사부(330), 기판(340), 제1 광학부(100) 및 제2 광학부(200)가 하우징(310, 320)에 수용되거나 결합됨으로써 차량용 램프(10)가 일체형으로 운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반사부(330)는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M)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미러(M)는 제1 광학부(100)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M)는 개별적으로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미러(M)의 자세에 의하여 반사 광의 조사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반사부(330)로 입사된 광은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M)에 의하여 반사되는데, 마이크로 미러(M)의 자세에 의하여 해당 마이크로 미러(M)에 의하여 반사된 부분 광의 조사 각도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마이크로 미러(M1, M2)는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부(330)를 구성하는 각 마이크로 미러(M1, M2)는 개별적으로 자세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 미러(M1, M2)는 2개의 자세를 가질 수 있다. 도 13은 제1 자세를 갖는 마이크로 미러(M1)와 제2 자세를 갖는 마이크로 미러(M2)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자세를 갖는 경우 마이크로 미러(M1)는 입사된 광(L)을 반사시켜 제1 방향(L1)으로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제2 자세를 갖는 경우 마이크로 미러(M2)는 입사된 광(L)을 반사시켜 제1 방향(L1)과는 상이한 제2 방향(L2)으로 조사할 수 있다.
반사부(330)에 포함된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M1, M2)는 특정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자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M1, M2)는 화살표의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자세를 가질 수 있다. 화살표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마이크로 미러(M2)가 제2 자세를 갖고, 나머지 마이크로 미러(M1)가 제1 자세를 갖는 경우 화살표의 주행 정보 이미지를 포함하는 가변 빔 패턴(VP1, VP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미러(M)는 출원 번호 10-2017-0163204의 특허 문헌에서 기재하고 있는 마이크로 미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반사부(330)는 제1 반사 영역(R1) 및 제2 반사 영역(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 영역(R1)은 제1 가변 빔 패턴(VP1)을 형성하고, 제2 반사 영역(R2)은 제2 가변 빔 패턴(VP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반사 영역(R1)에 포함된 마이크로 미러(M) 중 선택된 적어도 일부가 광을 반사시킴으로써 제1 가변 빔 패턴(VP1)이 형성되고, 제2 반사 영역(R2)에 포함된 마이크로 미러(M) 중 선택된 적어도 일부가 광을 반사시킴으로써 제2 가변 빔 패턴(VP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사 영역(R1)은 제1 가변 빔 패턴(VP1)에 유사한 형상을 갖고, 제2 반사 영역(R2)은 제2 가변 빔 패턴(VP2)에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반사 영역(R2)의 면적은 제1 반사 영역(R1)의 면적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고, 제2 반사 영역(R2)의 가로 길이는 제1 반사 영역(R1)의 가로 길이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반사 영역(R2)은 제1 반사 영역(R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반사 영역(R1)에 반사된 광과 제2 반사 영역(R2)에 반사된 광은 교차하여 제2 광학부(200)로 조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반사 영역(R1)에 반사된 광은 제2 반사 영역(R2)에 반사된 광에 비하여 상측 방향으로 조사되고, 제2 반사 영역(R2)에 반사된 광은 제1 반사 영역(R1)에 반사된 광에 비하여 하측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제1 반사 영역(R1)에 반사된 광은 제2 반사 영역(R2)에 반사된 광에 비하여 제2 광학부(200)의 상측에 입사되고, 제2 반사 영역(R2)에 반사된 광은 제1 반사 영역(R1)에 반사된 광에 비하여 제2 광학부(200)의 하측에 입사될 수 있다.
제1 반사 영역(R1)에 반사된 광은 제2 반사 영역(R2)에 반사된 광에 비하여 원거리로 조사되어 제1 가변 빔 패턴(VP1)을 형성하고, 제2 반사 영역(R2)에 반사된 광은 제1 반사 영역(R1)에 반사된 광에 비하여 근거리로 조사되어 제2 가변 빔 패턴(VP2)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설명하면, 기판(340)은 반사부(33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부(330)는 기판(340)에 구비된 슬롯에 결합될 수 있다.
기판(340)은 하우징(310, 3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하우징(310, 320)의 내부에서 기판(340)과 함께 반사부(33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기판(340)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이를 반사부(330)에 전달할 수 있다. 반사부(330)는 기판(340)에서 전달된 전력으로 동작하여 입사된 광을 특정 패턴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도 15는 가변 빔 형성부에 의해 광이 조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광학부(100)에서 조사된 광은 반사부(330)에 의해 반사된 이후에 제2 광학부(200)를 통해 투과될 수 있다.
제1 광학부(100)는 제1 광학 그룹(181) 및 제2 광학 그룹(1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 그룹(181)은 제1 가변 빔 패턴(VP1)의 형성을 위한 광(La)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광학 그룹(181)은 제1 광원(130a) 및 제1 렌즈 세트(121a, 122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광원(130a)은 제1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렌즈 세트(121a, 122a)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렌즈로 구성되고, 제1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2 광학 그룹(182)은 제2 가변 빔 패턴(VP2)의 형성을 위한 광(Lb)을 조사할 수 있다. 제2 광학 그룹(182)은 제2 광원(130b) 및 제2 렌즈 세트(121b, 12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광원(130b)은 제2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2 렌즈 세트(121b, 122b)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렌즈로 구성되고, 제2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1 광학 그룹(181)에서 조사된 광은 반사부(330)에 의해 반사된 이후에 제2 광학부(200)를 투과하여 제1 가변 빔 패턴(VP1)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광학 그룹(182)에서 조사된 광은 반사부(330)에 의해 반사된 이후에 제2 광학부(200)를 투과하여 제2 가변 빔 패턴(VP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310)은 보조 하우징(35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하우징(350)은 제1 광학부(100)에서 조사된 광 및 반사부(330)에 의해 조사된 광의 이동을 위한 광 이동 공간(SP)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학부(100)에서 조사된 광 또는 반사부(330)에 의해 반사된 광 중 일부는 보조 하우징(350)의 내측면으로 조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부(330)에 포함된 마이크로 미러(M) 중 제1 자세를 갖는 마이크로 미러(M)는 보조 하우징(350)의 바닥면으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보조 하우징(350)의 내측면으로 조사된 광은 해당 내측면에서 반사될 수 있다. 보조 하우징(350)의 내측면에서 반사된 광이 제2 광학부(200)로 유입되는 경우 글레어(glare)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우징(310, 320)은 반사부(330)에 의해 반사된 광의 재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방지부는 보조 하우징(35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입사된 광을 흡수하거나 확산시킬 수 있다. 반사 방지부에 의해 광이 흡수되거나 확산됨으로써 글레어의 발생이 감소되거나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도 14 내지 도 21을 통하여 광을 확산시키는 반사 방지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제1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310)은 제1 광 투과홀(311), 제2 광 투과홀(312) 및 제3 광 투과홀(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 투과홀(311)은 제1 광학부(100)에서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1 광학부(100)는 제1 광 투과홀(311)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광학부(100)에서 조사된 광은 제1 광 투과홀(311)을 투과하여 반사부(330)에 전달될 수 있다.
제2 광 투과홀(312)은 제1 광학부(100)에서 조사된 광 및 반사부(330)에 의해 반사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1 광학부(100)에서 조사된 광은 제2 광 투과홀(312)을 투과하여 반사부(330)로 전달될 수 있다. 반사부(330)에 의해 반사된 광은 제2 광 투과홀(312)을 투과하여 제2 광학부(2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3 광 투과홀(313)은 제2 광학부(200)로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2 광학부(200)는 제3 광 투과홀(313)에 배치되어 반사부(330)에 의해 반사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1 하우징(310)은 보조 하우징(35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하우징(350)은 제2 광학부(200)를 지지하고, 반사부(330)에 의해 반사된 광 중 제2 광학부(200)로 입사되지 않은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보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제1 광 확산부의 확대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보조 하우징(350)의 내측 바닥면에는 반사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반사 방지부는 보조 하우징(350)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1 광 확산부(36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광 확산부(361)는 반구 형상의 볼록면 및 오목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반구 형상의 볼록면 및 오목면은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 확산부(361)로 입사된 광은 4개 이상의 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다.
제1 광 확산부(361)로 입사된 광 중 일부가 제2 광학부(200)로 전달될 수 있으나, 확산되어 감쇄된 광이 제2 광학부(200)로 전달되기 때문에 글레어의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9는 제1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제2 광 확산부의 확대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310)은 광 투과 플레이트(314)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투과 플레이트(314)는 보조 하우징(350)에 의해 밀폐되고, 반사부(330)와 제2 광학부(2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 투과 플레이트(314)는 반사부(330)에 의해 반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제2 광 투과홀(312)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방지부는 제2 광학부(200)를 대향하는 광 투과 플레이트(314)의 표면에 형성되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2 광 확산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하우징(350)의 내측면에서 반사된 광은 광 투과 플레이트(314)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광 확산부(362)는 보조 하우징(350)의 내측면에서 반사되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 광 확산부(362)는 세로 방향으로 긴 반원 기둥 형상의 볼록면 및 오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세로 방향으로 긴 반원 기둥 형상의 볼록면 및 오목면을 포함하여 제2 광 확산부(362)가 구성됨에 따라, 제2 광 확산부(362)로 입사된 광은 대체로 가로 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다.
제2 광 확산부(362)에서 세로 방향으로 광이 확산되는 경우 확산된 광이 제1 광학부(100)로 유입되어 제1 광학부(100)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제2 광 확산부(362)가 가로 방향으로 광을 확산시킴에 따라 확산된 광이 제1 광학부(10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도 19를 설명하면, 광 투과 플레이트(314)의 표면 중 제2 광 투과홀(312)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2 광 확산부(362)의 형성이 제거될 수 있다. 특히, 제2 광 투과홀(312)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제2 광 확산부(362)의 형성이 제거될 수 있다.
제2 광 확산부(362)에서 확산된 광은 제2 광 투과홀(312)을 통하여 반사부(330)로 유입될 수 있다. 반사부(330)로 유입된 광이 재반사되는 경우 글레어가 형성되거나 의도하지 않은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반사부(330)의 제1 반사 영역(R1)은 반사부(33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사 영역(R1)은 반사부(330)의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제2 광 확산부(362)에서 확산된 광이 반사부(330)로 유입되는 경우 제2 가변 빔 패턴(VP2)의 형태가 왜곡될 수 있다. 제2 광 투과홀(312)의 가장자리에서 제2 광 확산부(362)의 형성이 제거됨에 따라 제2 가변 빔 패턴(VP2)의 형태 왜곡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1은 보조 하우징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보조 하우징(350)은 제2 광학부(200)가 설치되고, 제2 광학부(200)로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제3 광 투과홀(313)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방지부는 광 투과홀에 인접한 보조 하우징(35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3 광 확산부(363)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하우징(350)의 내측면에서 반사된 광은 제3 광 투과홀(313)에 인접한 보조 하우징(350)의 내측면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3 광 확산부(363)는 보조 하우징(350)의 내측면에서 반사되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제2 광 확산부(362)와 마찬가지로, 제3 광 확산부(363)는 세로 방향으로 긴 반원 기둥 형상의 볼록면 및 오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세로 방향으로 긴 반원 기둥 형상의 볼록면 및 오목면을 포함하여 제3 광 확산부(363)가 구성됨에 따라, 제3 광 확산부(363)로 입사된 광은 대체로 가로 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다.
도 22는 제1 광학부가 빔 패턴 형성부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1 광학부(100)는 빔 패턴 형성부(3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광학부(100)는 빔 패턴 형성부(300)의 제1 하우징(3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광학부(100)는 볼트가 이용되어 보조 하우징(350)에 결합될 수 있다.
보조 하우징(350)은 제1 광학부(100)의 광을 입사받는 제1 광 투과홀(3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부(100)와 보조 하우징(350)이 충분히 밀착하지 않는 경우 제1 광학부(100)와 보조 하우징(350)의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학부(100)와 보조 하우징(350)의 사이에 틈이 형성된 경우 해당 틈을 통해 보조 하우징(35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밀폐부(4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밀폐부(410)는 제1 광학부(100)와 빔 패턴 형성부(300)의 사이에 배치되어 빔 패턴 형성부(300)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밀폐부(410)는 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광학부(100)와 보조 하우징(350)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제1 밀폐부(410)가 밀폐시킴에 따라 외부 물질이 빔 패턴 형성부(30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3은 보조 하우징에 제2 광학부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4는 보조 하우징에 대한 제2 광학부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5는 보조 하우징에 접착제가 도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6은 접착제가 이용되어 보조 하우징에 제2 광학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7은 제2 광학부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2 광학부(200)는 보조 하우징(350)에 결합될 수 있다.
보조 하우징(350)은 제3 광 투과홀(313)을 구비하고, 제3 광 투과홀(313)에 삽입된 제2 광학부(200)를 지지할 수 있다. 보조 하우징(350)에 형성된 제3 광 투과홀(313)에 삽입되어 제2 광학부(200)가 보조 하우징(35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광학부(200)는 보조 하우징(350)의 외측 표면(351)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광학부(200)와 보조 하우징(350)의 사이에 틈이 형성 수 있다. 제2 광학부(200)와 보조 하우징(350)의 사이에 틈이 형성된 경우 해당 틈을 통해 보조 하우징(35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제가 이용되어 제2 광학부(200)와 보조 하우징(350)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광학부(200)는 보조 하우징(350)의 외측 표면(351)에 도포된 접착제가 이용되어 보조 하우징(3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24 내지 도 27을 통하여 제2 광학부(200)가 보조 하우징(350)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2 광학부(200)는 보조 하우징(350)의 표면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가변 빔 형성부(13)를 제조함에 있어서, 설계 오차 및 조립 오차로 인해 반사부(330)와 보조 하우징(350)의 외측 표면(351) 간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 광학부(200)를 보조 하우징(350)의 외측 표면(351)에 밀착시켜 결합시키는 경우 올바른 가변 빔 패턴(VP1, VP2)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제2 광학부(200)는 사전에 설정된 깊이로 제3 광 투과홀(313)에 삽입되어 보조 하우징(350)에 결합될 수 있다. 반사부(330)와 제2 광학부(200)의 말단 간에 사전에 설정된 간격이 유지되도록 제2 광학부(200)가 보조 하우징(35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 제2 광학부(200)와 보조 하우징(350)의 외측 표면(351) 간에 일정 거리(G)만큼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제2 광학부(200)를 보조 하우징(350)에 결합하기 이전에 보조 하우징(350)에 대한 제2 광학부(2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광학부(200)와 보조 하우징(350)의 외측 표면(351) 간의 거리가 측정될 수 있다. 이하, 반사부(330)에 대하여 제2 광학부(200)가 배치되어야 하는 위치를 목표 위치라 한다.
보조 하우징(350)에 대한 제2 광학부(200)의 위치가 결정된 이후에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하우징(350)의 외측 표면(351)에 접착제(GL)가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GL)는 보조 하우징(350)의 외측 표면(351)의 형상인 링의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보조 하우징(350)의 외측 표면(351)에는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접착제(GL)가 도포되는 면적이 증가하고, 보다 강한 접착력으로 제2 광학부(200)와 보조 하우징(350) 간의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보조 하우징(350)의 외측 표면(351)에 접착제(GL)가 도포된 이후에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학부(200)가 제3 광 투과홀(313)에 삽입되어 보조 하우징(3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2 광학부(200)는 사전에 결정된 목표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3 광 투과홀(313)의 삽입 깊이가 결정될 수 있다. 적절한 깊이로 제3 광 투과 홀에 삽입됨에 따라 제2 광학부(200)는 목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2 광학부(200)와 보조 하우징(350)의 결합에 이용되는 접착제(GL)는 자외선에 노출되어 경화되는 자외선 접착제(ultraviolet adhesive)일 수 있다. 이에, 보조 하우징(350)의 외측 표면(351)에 접착제(GL)가 도포되고, 제2 광학부(200)가 목표 위치에 배치된 이후에 접착제(GL)에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제2 광학부(200)와 보조 하우징(350)의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2 광학부(200)는 접착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홈(210)은 보조 하우징(350)의 외측 표면(351)에 밀착하는 제2 광학부(20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착홈(210)은 링의 형태로 제공되거나 직선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접착홈(210)은 접착제(GL)가 삽입될 정도의 형태 및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광학부(200)에 접착홈(210)이 형성됨에 따라 접착제(GL)가 도포되는 면적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보다 강한 접착력으로 제2 광학부(200)와 보조 하우징(350) 간의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제2 광학부(200)가 보조 하우징(350)에 결합됨에 따라 제2 광학부(200)가 목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광학부(200)와 보조 하우징(350)의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GL)는 제2 광학부(200)와 보조 하우징(350)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밀폐시켜 제3 광 투과홀(313)을 통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8은 제2 밀폐부에 의해 반사부가 밀폐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9는 제2 밀폐부와 제1 하우징(310)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반사부(330)는 제2 밀폐부(42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제2 밀폐부(420)는 반사부(330)의 표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하우징(310, 320)의 내측 표면에 밀착하여 반사부(330)의 표면을 밀폐시킬 수 있다.
반사부(330)는 제어 모듈(331) 및 미러 모듈(3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 모듈(331)은 기판(340)에 결합되어 제어 신호 및 전력을 공급받고, 이를 이용하여 미러 모듈(332)을 제어할 수 있다. 미러 모듈(332)은 전술한 마이크로 미러(M)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 모듈(331)에 의해 미러 모듈(332)에 포함된 마이크로 미러(M)가 자세를 전환하여 입사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미러 모듈(332)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경우 가변 빔 패턴(VP1, VP2)의 형태가 왜곡될 수 있다. 또한, 지나치게 많은 이물질이 미러 모듈(332)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 미러 모듈(332)이 파손될 수도 있다.
미러 모듈(332)은 제어 모듈(331)에 의해 둘러싸여 그 표면만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밀폐부(420)는 미러 모듈(332)의 가장자리인 제어 모듈(331)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밀폐부(420)는 링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밀폐부(420)는 제1 하우징(310)의 내측 표면에 밀착할 수 있다. 제2 밀폐부(420)가 미러 모듈(332)의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제1 하우징(310)의 내측 표면에 밀착함에 따라 제2 광 투과홀(312)을 제외한 다른 경로를 통해 미러 모듈(332)로 이물질이 접근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밀폐부(420)는 하우징(310, 320)에서 반사부(330)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밀폐부(420)는 제1 하우징(310)에서 반사부(330)의 미러 모듈(332)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하우징(320)은 방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하우징(320)에 결합되어 있는 제1 하우징(310)은 제2 하우징(32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반사부(330)가 제1 하우징(310)의 내측면에 직접 밀착한 경우 제1 하우징(310)의 열이 반사부(330)로 전달되어 반사부(330)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제2 밀폐부(420)는 제1 하우징(310) 및 반사부(3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하우징(310)의 열이 반사부(3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밀폐부(420)는 상대적으로 낮은 열 전도율을 갖고, 열에 강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0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하우징(310, 320)은 상호 결합되어 반사부(330)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이 충분히 밀착하지 않는 경우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의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의 사이에 틈이 형성된 경우 해당 틈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의 사이에는 하우징(310, 32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3 밀폐부(4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밀폐부(430)는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의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밀폐부(430)는 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제3 밀폐부(430)가 밀폐시킴에 따라 외부 물질이 하우징(310, 320)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하우징(310, 제2 하우징(320) 및 제3 밀폐부(430)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하우징(310, 320)의 내부로 전자파가 유입되는 경우 반사부(330)가 오동작하여 가변 빔 패턴(VP1, VP2)이 형성되지 않거나 왜곡된 가변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310, 제2 하우징(320) 및 제3 밀폐부(4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전자파의 유입이 방지됨에 따라 정상적인 가변 빔 패턴(VP1, VP2)의 형성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차량 10: 차량용 램프
11: 로우 빔 형성부 12: 하이 빔 형성부
13: 가변 빔 형성부 100: 제1 광학부
130: 광원부 181: 제1 광학 그룹
182: 제2 광학 그룹 200: 제2 광학부
300: 빔 패턴 형성부 310: 제1 하우징
311: 제1 광 투과홀 312: 제2 광 투과홀
313: 제3 광 투과홀 320: 제2 하우징
330: 반사부 340: 기판
350: 보조 하우징 361: 제1 광 확산부
362: 제2 광 확산부 363: 제3 광 확산부
410: 제1 밀폐부 420: 제2 밀폐부
430: 제3 밀폐부

Claims (10)

  1. 광을 조사하여 가변 빔 패턴을 형성하는 가변 빔 형성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가변 빔 형성부는,
    광을 조사하는 제1 광학부;
    상기 가변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제1 광학부의 광을 반사시키는 빔 패턴 형성부; 및
    상기 빔 패턴 형성부에서 출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제2 광학부를 포함하되,
    상기 빔 패턴 형성부는,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를 포함하는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의 재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부는 입사된 광을 흡수하거나 확산시키는 차량용 램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광학부를 지지하고,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 중 상기 제2 광학부로 입사되지 않은 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하우징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부는 상기 보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1 광 확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확산부는 반구 형상의 볼록면 및 오목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조 하우징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반사부와 상기 제2 광학부의 사이에 배치된 광 투과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 플레이트는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광 투과홀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 방지부는 상기 제2 광학부를 대향하는 상기 광 투과 플레이트의 표면에 형성되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2 광 확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확산부는 세로 방향으로 긴 반원 기둥 형상의 볼록면 및 오목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 플레이트의 표면 중 상기 광 투과홀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제2 광 확산부의 형성이 제거되는 차량용 램프.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하우징은 상기 제2 광학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광학부로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광 투과홀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방지부는 상기 광 투과홀에 인접한 상기 보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3 광 확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광 확산부는 세로 방향으로 긴 반원 기둥 형상의 볼록면 및 오목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210191200A 2021-12-29 2021-12-29 차량용 램프 KR20230101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200A KR20230101247A (ko) 2021-12-29 2021-12-29 차량용 램프
US17/993,159 US11774059B2 (en) 2021-12-29 2022-11-23 Lamp for vehicle
CN202211492422.6A CN116357914A (zh) 2021-12-29 2022-11-25 车辆用灯具
DE102022134852.0A DE102022134852A1 (de) 2021-12-29 2022-12-27 Leuchte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200A KR20230101247A (ko) 2021-12-29 2021-12-29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247A true KR20230101247A (ko) 2023-07-06

Family

ID=8669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200A KR20230101247A (ko) 2021-12-29 2021-12-29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74059B2 (ko)
KR (1) KR20230101247A (ko)
CN (1) CN116357914A (ko)
DE (1) DE10202213485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433B1 (ko) 2012-03-06 2014-02-11 에스엘 주식회사 로고 표시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퍼들램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59672B2 (ja) * 2014-01-24 2018-01-1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6274891B2 (ja) * 2014-02-03 2018-02-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6472983B2 (ja) * 2014-11-11 2019-02-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6639163B2 (ja) * 2015-09-07 2020-0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6416736B2 (ja) * 2015-11-12 2018-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JP6352892B2 (ja) * 2015-12-08 2018-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ヘッドランプ構造及び車両用ヘッドランプの制御方法
JP6386437B2 (ja) * 2015-12-08 2018-09-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ヘッドランプ
JP6538635B2 (ja) * 2016-10-07 2019-07-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照明装置
JP2018063901A (ja) * 2016-10-14 2018-04-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FR3072531B1 (fr) * 2017-10-13 2021-01-29 Valeo Vision Procede et systeme ajustant selectivement des pixels, dans un module optique, pour rattraper des defauts geometriques dus aux tolerances de fabrication
KR102409825B1 (ko) 2017-11-30 2022-06-1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JP7298069B2 (ja) * 2018-09-28 2023-06-2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EP3869092A4 (en) * 2018-10-19 2021-12-15 Koito Manufacturing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ROTATING REFLECTOR AND ROTATING REFL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433B1 (ko) 2012-03-06 2014-02-11 에스엘 주식회사 로고 표시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퍼들램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357914A (zh) 2023-06-30
US20230204179A1 (en) 2023-06-29
DE102022134852A1 (de) 2023-06-29
US11774059B2 (en) 202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81004B (zh) 车辆用灯具
KR100557719B1 (ko) 차량용 등기구
JP4047266B2 (ja) 灯具
WO2018043663A1 (ja) 車両用灯具
JP5304363B2 (ja) 車両用灯具
KR102155080B1 (ko) 차량 헤드램프
CN110094689B (zh) 智能头灯
KR102470446B1 (ko) 차량용 램프
JP5326821B2 (ja) 車両用照明灯具
JP5445049B2 (ja) 車両用灯具
CN115151755A (zh) 包括电致变色装置的机动车辆灯模块
JP5446757B2 (ja) 車両用灯具
KR20220089942A (ko) 차량용 램프
JP2011003515A (ja) すれ違いビーム用車両用前照灯
KR102409825B1 (ko) 차량용 램프
JP4898557B2 (ja) 車両用灯具
KR20230101247A (ko) 차량용 램프
KR20230101425A (ko) 차량용 램프
KR20190048547A (ko) 차량용 램프
JP2007317596A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US20230204178A1 (en) Lamp for vehicle
KR20230101399A (ko) 차량용 램프
KR101236860B1 (ko) 차량용 전조등
KR20230101359A (ko) 차량용 램프
KR20190048553A (ko) 차량용 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