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330A -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330A
KR20180039330A KR1020160130487A KR20160130487A KR20180039330A KR 20180039330 A KR20180039330 A KR 20180039330A KR 1020160130487 A KR1020160130487 A KR 1020160130487A KR 20160130487 A KR20160130487 A KR 20160130487A KR 20180039330 A KR20180039330 A KR 20180039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vehicle
moving part
guide rail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6067B1 (ko
Inventor
박후상
최수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0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067B1/ko
Priority to DE102016225614.9A priority patent/DE102016225614A1/de
Priority to US15/391,414 priority patent/US9972983B2/en
Priority to CN201621492528.6U priority patent/CN206336108U/zh
Publication of KR20180039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60J7/0573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power driven arrangements, e.g. electr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75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formed by a succession of articulated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21External power supplies
    • B60Y2400/216External power supplies by sola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5Electric wiring; Electric conn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용 선루프의 무빙 파트의 이동 간에도 무빙 파트와 고정 파트 및 차량 사이의 상시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배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량의 루프 개폐를 위해 이동하는 무빙 파트, 상기 무빙 파트와 차체를 연결하는 고정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파트는, 상기 무빙 파트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차량의 전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는 무빙 스레드, 상기 무빙 파트와 상기 무빙 스레드를 연결하는 레버 및 상기 무빙 파트와 차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무빙 파트 이동시 상기 전극부가 상기 차체와 상기 무빙 파트를 상시 전기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극부는 상기 무빙 스레드의 움직임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Wiring System for Sunroof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선루프 무빙 파트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상시 전기 접속이 유지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선루프 가이드 레일에 길이 방향으로 압축 인장되는 전극부를 구성하여 무빙 파트가 차량의 전후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차체와 전기 연결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내연기관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HEV:Hybrid Electric Vehicle), 전기자동차(EV:Electric Vehicle), 연료전지 자동차(FCEV:Fuel Cell Electric Vehicle)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에서 차체 루프 패널의 상면이나 선루프 또는 파노라마 루프의 강화유리에 태양전지 패널을 장착하여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차량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하절기에 주차 중 실내 온도 상승시 태양전지로 발전한 전력을 이용하여 팬(FAN)을 구동함으로써 차량 내부 온도를 낮추어 승객에게 쾌적감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에어컨 사용량을 줄여 연비 향상의 효과를 제공하는 등 태양전지가 차량에서도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또한, 비단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된 루프 패널뿐 아니라, 차체와 루프 패널의 상시 전기 접속을 유지하여 선루프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즉, 선루프 또는 파노라마 루프와 차체 간의 상시 전기 접속 연결을 수행하는 전선 또는 전극의 구성을 통해서 태양전지 패널을 포함하고 있는 차량의 선루프를 통해 축적되는 에너지를 차량의 운행에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선루프의 무빙 파트가 이동 중에도 통전을 유지하여 상기 축적되는 에너지의 사용 효율을 증진 시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8215호(2014.8.1)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차체에서 개폐 작동을 위해 이동하는 선루프 또는 파노라마 루프에 태양전지를 적용할 경우 루프의 개폐에 따라 루프 글라스에 접합되어 있는 태양전지도 함께 움직이게 되는바, 무빙 파트의 움직임에 따라 전기 접속이 단절되어 이동간에 발생하는 에너지의 확보가 어려움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무빙(moving) 파트(무빙 글라스, 즉 이동하여 루프의 개폐하는 부분)와 고정 파트(고정 글라스)에 사이를 전선으로 연결해야 하고, 무빙 파트의 이동시에도 선루프 구성과 차체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할 수 있는 전극부의 배선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선루프를 포함하는 차량의 무빙 파트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차체와 무빙 파트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할 수 있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선루프 가이드 레일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이 가능한 전극부를 통해 무빙 파트의 이동간에 전극부가 상기 무빙 파트와 함께 이동이 가능한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차량의 루프 개폐를 위해 이동하는 무빙 파트; 상기 무빙 파트와 차체를 연결하는 고정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파트는, 상기 무빙 파트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차량의 전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는 무빙 스레드; 상기 무빙 파트와 상기 무빙 스레드를 연결하는 레버; 및 상기 무빙 파트와 차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빙 파트 이동시 상기 전극부가 상기 차체와 상기 무빙 파트를 상시 전기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극부는 상기 무빙 스레드의 움직임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무빙 파트는 태양전지 모듈이 접합된 파노라마 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극부는, 상기 무빙 파트와 상기 무빙 스레드를 전기 접속되도록 레버 내부에 위치하는 전도체 인서트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레일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선부는 코일 형태로 구성되는바, 가이드 레일 상에 압축 또는 인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코일 형태로 구성되는 전선부는 가이드 레일 상에 위치하는 로드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레버는 상기 무빙 파트가 이동하기 위해 상승할 경우, 틸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가이드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바, 상기 전선부가 상기 가이드 튜브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무빙 파트 및 상기 무빙 스레드와 상기 전극부가 접합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선부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도성 재료가 부착, 코팅 또는 매립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극부는, 전도성 재료로서 철(Fe), 금(Au),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주석(Sn) 및 백금(Pt)의 금속,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e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및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PSS(polystyrene sulfonate)의 전도성 고분자, 탄소나노튜브(CNT), 그라핀(graphene) 및 카본 블랙(carbon black)의 카본계 전도성 재료, 그리고 ITO, FTO, ZnO 및 AZO의 옥사이드계 화합물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여 테이프, 필름, 전선, 페이스트로 제작한 후 고정 파트 부분을 따라 부착, 코팅 또는 매립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무빙 파트의 이동간에도 차체, 무빙 파트 및 고정 파트의 지속적인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더욱이, 본 발명은 태양전지 패널을 포함하는 무빙 파트 및 고정 파트와 상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부 구성을 통해서, 무빙 파트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태양전지 패널로부터 축적되는 에너지를 차량에서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 향상의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에 태양전지를 차량 루프의 고정 파트뿐만 아니라 무빙 파트에도 적용 가능하고, 결국 차량에서 태양전지 적용 부위를 확대할 수 있는바, 차량에서의 태양전지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태양전지의 전력을 차량에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연비 향상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의 결합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의 정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의 측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의 무빙 스레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의 정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의 무빙 스레드의 정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의 레버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의 전선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의 무빙 스레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선루프(100) 배선 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서, 선루프(100)의 고정 파트(120)와 무빙 파트(110)의 결합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태양전지 패널을 포함하는 선루프(100) 구성으로서 고정 파트(120)와 무빙 파트(1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 태양전지 패널은 선루프(100)의 고정 파트(120) 및 무빙 파트(1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열선을 포함하는 선루프(100) 구성을 개시하고 있는바, 차량에 위치하는 배터리와 상기 열선을 포함하는 선루프(100)간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스마트 글래스를 채용한 선루프(100) 구성과 차량에 위치하는 배터리와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선루프(100)를 이루는 구성과 무관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차량과 상기 선루프(1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요구되는 모든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선루프(100)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경우, 고정 파트(120)와 무빙 파트(110)는 레버(12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 되는바, 상기 레버(123)는 무빙 파트(110)에 결합되어 무빙 파트(110)가 이동을 위해 상승하도록 틸팅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일정한 각도만큼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무빙 파트(110)는 고정 파트(120)의 가이드 레일(121) 구성에 의해 차량의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움직임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바, 무빙 파트(110)가 상기 고정 파트(120) 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121)은 차량 좌우 양측단에 위치한 루프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 파트(120)의 좌우 양측단에서 차체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무빙 파트(110)의 이동시에 레버(123)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더 바람직하게, 레버(123)과 결합되는 무빙 스레드(122)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무빙 파트(11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무빙 파트(110)가 상기 고정 파트(120) 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선행하여 레버(123)가 상기 무빙 파트(110)를 틸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무빙 파트(110)가 고정 파트(120)와 간섭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무빙 파트(110) 개방 상태에서 외부의 수분이나 물이 가이드 레일(121)에 유입될 경우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전기도선 위로 목질계, 플라스틱계, 시멘트계, SiO2계, 합성섬유, 목화섬유, 고무, 우레탄계 등의 부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레일 커버를 부착할 수 있다.(미도시)
본 발명의 고정 파트(120)는 가이드 레일(121) 상에서 차량의 전후방으로 움직이는 무빙 스레드(122) 구성을 포함하는바, 무빙 파트(110)는 레버(123)를 통해 상기 무빙 스레드(122)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무빙 스레드(122)가 가이드 레일(121)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무빙 스레드(122)는 상기 무빙 파트(11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무빙 파트(110), 고정 파트(120) 및 차체(차량에 구성되는 전기적 구성 및 배터리 등)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전극부(140)를 포함하는바, 전극부(140)는 레버(123)에 삽입되는 고정 파트(120)와 무빙 파트(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서트 플레이트(141)를 포함하고, 고정 파트(120)의 가이드 레일(121)을 따라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무빙 스레드(122) 내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전선부(142)를 포함한다.
즉, 무빙 파트(110), 고정 파트(120) 및 차체는 무빙 파트(110)의 이동과 무관하게 상시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차체와 연결되는 상기 전극부(140)는 차량에 위치하는 배터리(미도시)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선부(142)는 가이드 레일(121) 상에 절연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바, 가이드 레일(121)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전기 절연성 가이드 튜브(160)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부(142)는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141)와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무빙 스레드(122) 내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전극부(140)는 가이드 레일(121)을 따라 전도성 재료가 부착, 코팅 또는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전도성 재료로서 철(Fe), 금(Au),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주석(Sn) 및 백금(Pt)의 금속,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e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및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PSS(polystyrene sulfonate)의 전도성 고분자, 탄소나노튜브(CNT), 그라핀(graphene) 및 카본 블랙(carbon black)의 카본계 전도성 재료, 그리고 ITO, FTO, ZnO 및 AZO의 옥사이드계 화합물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여 테이프, 필름, 전선, 페이스트로 제작한 후 고정 파트(120) 부분을 따라 부착, 코팅 또는 매립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차량 선루프(100) 배선 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서, 정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무빙 파트(110)와 고정 파트(120)가 레버(123)로 연결되는바, 무빙 파트(110)와 레버(123)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는 결합부(1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11)는 인서트 플레이트(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141)의 체결력을 강화하기 위해 인서트 플레이트(141)와 결합부(111)가 만나는 위치에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 선루프(100) 배선 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서, 무빙 스레드(122) 구성의 C-C축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되 바와 같이, 무빙 스레드(122)는 고정 파트(120)의 가이드 레일(121)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전극부(14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레일(121)상에 위치하는 전극부(140)는 가이드 레일(121)을 따라 압축 또는 인장 되도록 구성되는바, 더 바람직하게 탄성력을 포함하는 스프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무빙 스레드(122)의 경우, 내부에 위치하는 전극부(140)를 포함하는바, 전극부(140)의 전선부(142)가 가이드 레일(121)을 따라 위치하고, 상기 무빙 스레드(122)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무빙 스레드(122)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전선부(142)는 인서트 플레이트(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바, 선루프(100)의 무빙 파트(110)와 고정 파트(120)는 무빙 스레드(122)를 통해 통전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무빙 스레드(122)의 B-B축 정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 스레드(122)는 레버(123)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바, 스프링 형태를 취하는 전선부(142)와 레버(123) 내부에 삽입되어 구성되는 인서트 플레이트(141)간의 접속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무빙 스레드(122)와 레버(123)를 고정하기 위한 핀을 포함하는바, 상기 레버(123)와 무빙 스레드(122)는 상기 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무빙 스레드(122)와 레버(123)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사용되는 모든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가이드 레일(121)의 E-E축 단면도 및 F-F축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파트(120)에 위치하고,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구성되는 가이드 레일(121)은 무빙 스레드(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바, 가이드 레일(121)을 따라 권취되어 나선 스프링 형태로 구성되는 전선부(142)가 로드(150)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드(150)는 스프링 형태의 전선부(142)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무빙 스레드(122) 아랫쪽 관통홀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바, 무빙 스레드(122)가 가이드 레일(121) 위를 이동하는 경우,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전선부(142) 및 무빙 스레드(122)는 가이드 레일(121) 상에 위치하는 가이드 튜브(160)에 삽입되어 위치되는바, 전기적 절연을 수행하는 가이드 튜브(160)에 기인하여 가이드 레일(121)과 전극부(140) 간의 절연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21)상에 위치하는 가이드 튜브(160) 내측으로 로드(150)를 포함하는바, 상기 로드(150)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전선부(142)는 가이드 레일(121)의 길이방향에 따라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선부(142)는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압축 또는 인장 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구성으로서, 무빙 파트(110)의 움직임에 따라 가변 되도록 구성된다. 즉, 무빙 파트(110)가 개방되는 경우, 레버(123)는 무빙 파트를 틸팅하고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되는바, 무빙 스레드(122)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상기 전선부(142)는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반대로, 무빙 파트(110)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되도록 이동하는 경우, 무빙 스레드(122)가 차량의 전방으로 이동하고, 레버(123)로 연결된 무빙 파트(110)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바, 무빙 스레드(122)와 연결되는 전선부(142)가 인장 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레일(121)을 따라 위치되는 로드(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바, 상기 전선부(142)는 가이드 레일(121)상에 위치하는 로드(150)에 권취되도록 구성되고, 무빙 스레드(122)가 가이드 레일(121)을 따라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 로드(150)에 권취되어 구성되는 전선부(142)는 압축 또는 인장 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무빙 파트(110)와 고정 파트(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레버(123)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무빙 파트(110)와 고정 파트(120)를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무빙 파트(110)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는 레버(123)는 전도체 금속으로 구성되는 인서트 플레이트(141)를 포함하여 형성되는바,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141)는 고정 파트(120)의 전선부(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더 바람직하게, 무빙 스레드(122) 내부에 위치하는 전선부(142)와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141)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바, 레버(123)의 움직임에 상관없이 고정 파트(120)와 무빙 파트(110) 및 차체가 상시 전기적 연결되는 구성이다.
더욱이, 무빙 스레드(122)가 가이드 레일(121)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레버(123)에 위치하는 인서트 플레이트(141)를 포함하는바, 무빙 파트(110)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141)는 무빙 스레드(122) 내측에 위치하는 전선부(142)와 상시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선루프(100) 무빙 파트(110)의 이동시에도 레버(123)에 위치하는 인서트 플레이트(141)와 무빙 스레드(122) 내측에 위치하는 전선부(142)는 통전되도록 구성되는바, 무빙 파트(110)의 이동 여부에 상관없이 무빙 파트(110)와 고정 파트(120) 및 차체는 상시 전기적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전선부(142) 및 무빙 스레드(122)를 도시하고 있는바, 가이드 레일(121)을 따라 위치하고, 무빙 스레드(122) 내로 유입되는 전선부(142)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전선부(142)를 도시하고 있는바, 상기 전선부(142)는 전도체 금속으로 구성되며, 전도성 재료가 부착, 코팅 또는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가이드 레일(121)상에 위치하는 전선부(142)는 로드(150)에 권취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121)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가이드 튜브(160) 내에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도 10은 무빙 스레드(122)를 도시하고 있는바, 상기 전선부(142)가 무빙 스레드(122) 내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더 바람직하게, 무빙 스레드(122)의 내부에 권취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무빙 스레드(122) 내부에 권취되어 위치하는 전선부(142)는 인서트 플레이트(141)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바, 무빙 파트(110)와 고정 파트(120)의 전기적 접속을 수행한다.
더욱이, 무빙 스레드(122) 내에 권취되는 전선부(142)에 일정한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무빙 스레드(122)와 전선부(142)가 접하는 위치에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무빙 스레드(122)는 가이드 레일(121) 상에 위치하는 로드(150)가 삽입되도록 관통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 무빙 스레드(122)가 가이드 레일(121) 상에서 이동을 수행하는 경우, 가이드 레일(121)과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길이방향의 다수의 돌기부를 포함하는바, 마찰력 감소 및 이동 시 부하가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스레드(122)의 길이방향 돌기부와 대응되도록 가이드 레일(121)의 내벽은 다수의 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무빙 스레드(122)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선루프: 100
무빙 파트: 110
결합부: 111
고정 파트: 120
가이드 레일: 121
무빙 스레드: 122
레버: 123
전극부: 140
인서트 플레이트: 141
전선부: 142
로드: 150
가이드 튜브: 160

Claims (10)

  1. 차량의 루프 개폐를 위해 이동하는 무빙 파트;
    상기 무빙 파트와 차체를 연결하는 고정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파트는,
    상기 무빙 파트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차량의 전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는 무빙 스레드;
    상기 무빙 파트와 상기 무빙 스레드를 연결하는 레버; 및
    상기 무빙 파트와 차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빙 파트 이동시 상기 전극부가 상기 차체와 상기 무빙 파트를 상시 전기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극부는 상기 무빙 스레드의 움직임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빙 파트는 태양전지 모듈이 접합된 파노라마 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무빙 파트와 상기 무빙 스레드를 전기 접속되도록 레버 내부에 위치하는 전도체 인서트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부는 코일 형태로 구성되는바, 가이드 레일 상에 압축 또는 인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형태로 구성되는 전선부는 가이드 레일 상에 위치하는 로드의 외측에 권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무빙 파트가 이동하기 위해 상승할 경우, 틸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전기 절연성 가이드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바, 상기 전선부가 상기 가이드 튜브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파트 및 상기 무빙 스레드와 상기 전극부가 접합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부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도성 재료가 부착, 코팅 또는 매립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전도성 재료로서 철(Fe), 금(Au),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주석(Sn) 및 백금(Pt)의 금속,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e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및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PSS(polystyrene sulfonate)의 전도성 고분자, 탄소나노튜브(CNT), 그라핀(graphene) 및 카본 블랙(carbon black)의 카본계 전도성 재료, 그리고 ITO, FTO, ZnO 및 AZO의 옥사이드계 화합물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여 테이프, 필름, 전선, 페이스트로 제작한 후 고정 파트 부분을 따라 부착, 코팅 또는 매립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
KR1020160130487A 2016-10-10 2016-10-10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 KR101876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487A KR101876067B1 (ko) 2016-10-10 2016-10-10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
DE102016225614.9A DE102016225614A1 (de) 2016-10-10 2016-12-20 Verdrahtungssystem eines Sonnendachs für ein Fahrzeug
US15/391,414 US9972983B2 (en) 2016-10-10 2016-12-27 Wiring system of sunroof for vehicle
CN201621492528.6U CN206336108U (zh) 2016-10-10 2016-12-30 用于车辆的天窗的布线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487A KR101876067B1 (ko) 2016-10-10 2016-10-10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330A true KR20180039330A (ko) 2018-04-18
KR101876067B1 KR101876067B1 (ko) 2018-07-06

Family

ID=5930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487A KR101876067B1 (ko) 2016-10-10 2016-10-10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72983B2 (ko)
KR (1) KR101876067B1 (ko)
CN (1) CN206336108U (ko)
DE (1) DE1020162256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3455B (zh) * 2017-11-08 2019-09-13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功能化车门玻璃的供电布线装置
KR102518182B1 (ko) * 2018-02-14 2023-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용 컨버터 제어장치 및 방법
WO2020257596A1 (en) * 2019-06-21 2020-12-24 Gentex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on method to movable window
CN115133463B (zh) * 2022-08-01 2024-02-09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汽车线束快速布线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6628A (en) * 1959-04-29 1962-10-02 Golde Hans Electric circuit making and breaking device for the sliding panel of a vehicle roof
JP2675331B2 (ja) * 1988-05-10 1997-1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ンルーフパネルの通電構造
JPH0589050U (ja) * 1992-05-14 1993-12-03 ダイキョー・ベバスト株式会社 車輌用サンルーフの配線装置
JP3508145B2 (ja) * 1992-09-04 2004-03-22 マツダ株式会社 スライドルーフ構造
JP2604239Y2 (ja) * 1992-12-01 2000-04-24 マツダ株式会社 サンルーフの配線装置
DE19650227C1 (de) * 1996-12-04 1997-11-27 Webasto Karosseriesysteme Fahrzeugdach mit Kabelverbindung
US6129413A (en) 1997-11-13 2000-10-10 Asc Incorporated Powered dual panel sunroof
DE19928116C1 (de) * 1999-06-19 2000-09-07 Webasto Vehicle Sys Int Gmbh Solardeckel für ein Fahrzeugdach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S6406090B1 (en) * 1999-09-20 2002-06-18 Meritor Light Vehicle Systems, Inc. Self-powered solar sunroof
ITTO20011100A1 (it) * 2001-11-23 2003-05-23 Framatome Connectors Italia Gruppo di connessione per il collegamento di un impianto elettrico diun autoveicolo a componenti elettrici di una portiera scorrevole dell'
JP4095940B2 (ja) * 2003-08-13 2008-06-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ライドシート用給電装置
JP4403091B2 (ja) * 2005-03-03 2010-01-20 矢崎総業株式会社 給電装置
KR101233770B1 (ko) 2012-06-21 2013-02-15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파노라마 선루프용 롤러 블라인드 장치
KR101372094B1 (ko) 2012-07-25 2014-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노라마 선루프의 파팅라인 조절 장치
KR101428215B1 (ko) 2012-11-21 2014-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염료감응 태양전지 루프패널
KR101637717B1 (ko) * 2014-11-04 2016-07-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시스템
KR20160114878A (ko) * 2015-03-25 2016-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태양전지를 가진 선루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336108U (zh) 2017-07-18
KR101876067B1 (ko) 2018-07-06
DE102016225614A1 (de) 2018-04-12
US20180102634A1 (en) 2018-04-12
US9972983B2 (en) 201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717B1 (ko)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시스템
KR101876067B1 (ko)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
US8042664B2 (en) Electrical cable retractor assembly for a movable window
CN106314097B (zh) 用于车辆天窗的电力传输装置
CN102218984A (zh) 用于车辆的天窗
US10570654B2 (en) Solar-power-generation-type sliding window assembly
JP2006240603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JP5822001B1 (ja) アクチュエータ用フラットケーブル
CN110130769A (zh) 一种汽车防夹条
KR101816420B1 (ko)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
KR20160114878A (ko) 태양전지를 가진 선루프장치
CN205178242U (zh) 内置铜质导体的滑线轨及烟用储柜使用的运动供电系统
CN208277803U (zh) 一种可开启调光玻璃汽车天窗
KR102252912B1 (ko) 차체 측 전극 및 이를 적용한 반투명 솔라루프 시스템
CN207960074U (zh) 间歇性充电装置及立体循环车位
CN214196068U (zh) 一种新型密封条结构
CN206422278U (zh) 一种汽车天窗太阳能玻璃的连接器结构
CN218558773U (zh) 一种无需破坏车身漆面进行搭铁的汽车门控开关
KR20110062265A (ko) 다수의 투명판으로 구성된 접이식 태양광전지 자동차용 지붕
CN217388079U (zh) 一种方便固定电动汽车内部的线束
CN211493669U (zh) 车载取流装置和具有其的车辆充电系统
CN205752868U (zh) 点烟器插头
CN201484333U (zh) 一种汽车电动滑移门持续供电系统
CN210517060U (zh) 以正极弹簧作导体的车载充电器正极组件及车载充电器
CN212098388U (zh) 一种方便导线管理且安装稳定的汽车防夹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