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420B1 -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420B1
KR101816420B1 KR1020160082181A KR20160082181A KR101816420B1 KR 101816420 B1 KR101816420 B1 KR 101816420B1 KR 1020160082181 A KR1020160082181 A KR 1020160082181A KR 20160082181 A KR20160082181 A KR 20160082181A KR 101816420 B1 KR101816420 B1 KR 101816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art
solar cell
guide member
guide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영
송미연
어문정
박성근
김상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2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를 차량의 고정 파트에 전기 접속하기 위한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 패널에 전선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고정 파트의 고정부에 상기 전선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 시 상기 태양전지 패널과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전선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Power connecting system of roof panel having solar cell}
본 발명은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시 전원 연결 구조를 가지는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내연기관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 Hybrid Electric Vehicle), 전기자동차(EV : Electric Vehicle), 연료전지 자동차(FCEV : Fuel Cell Electric Vehicle)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에서 차체 루프 패널의 상면이나 선루프 또는 파노라마 루프의 강화유리에 태양전지 패널을 장착하여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차량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하절기에 주차 중 실내 온도 상승 시 태양전지로 발전한 전력을 이용하여 팬(FAN)을 구동함으로써 차량 내부 온도를 낮추어 승객에게 쾌적감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에어컨 사용량을 줄여 연비 향상의 효과를 제공하는 등 태양전지가 차량에서도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는, 태양전지 이용에 대한 간단한 예를 든 것으로, 차량에서 태양전지의 발전전력을 차량 내 배터리를 포함한 다양한 장치에 공급할 수 있고, 이에 태양전지는 차량에 탑재되고 있는 기존의 전력원(배터리나 연료전지 등)에 더하여 보조적인 전력원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에서 태양전지를 장착할 수 있는 위치 중에 태양광을 가장 안정적으로 넓은 면적에서 받을 수 있는 곳이 바로 선루프 또는 파노라마 루프이며, 그에 따라 선루프와 파노라마 루프의 루프 글라스에 태양전지를 적용하는 것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차체에서 개폐 작동을 위해 이동하는 선루프 또는 파노라마 루프에 태양전지를 적용할 경우 루프의 개폐에 따라 루프 글라스에 접합되어 있는 태양전지도 함께 움직이게 되며, 그에 따라 태양전지로부터 상시 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빙 파트(무빙 글라스, 즉 이동하여 루프의 개폐하는 부분)에 접합된 태양전지와 제어기, 배터리 등의 고정된 차량부품을 전선으로 연결해야 하고,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와 고정 파트의 태양전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배선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종래에는 루프의 무빙 파트에 배선이 포함된 태양전지가 적용된 바가 없기 때문에 새로운 배선 구조가 요구되고 있으며, 무빙 파트에 태양전지가 적용될 경우 루프가 열림에 따라 무빙 파트(태양전지 포함)와 함께 태양전지의 (+), (-)측 전선이 함께 움직이게 되어 태양전지의 전기적 연결이 지속되기 어렵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4836호(2015.07.02.)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픈형 선루프에 태양전지가 설치된 경우, 정지 위치에서 뿐만 아니라 이동 중에도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전선의 꼬임 발생 없이 상시적으로 전원이 연결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출력을 상시적으로 뽑아낼 수 있어 태양전지의 발전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은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를 차량의 고정 파트에 전기 접속하기 위한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 패널에 전선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고정 파트의 고정부에 상기 전선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 시 상기 태양전지 패널과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전선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은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 시 상기 태양전지 패널에 설치된 가이드 홀을 따라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전선의 연결 궤적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선의 만곡부와 접촉되며,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홀 내부에서 이동하는 제1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단부에서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 경로 상에 고정 설치되는 제2가이드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 시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상기 가이드 홀의 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의 연결 영역이 폴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선의 만곡부와 접촉되며,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홀 내부에서 이동하는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단부에 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 경로 상에 고정 설치되는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상부와 이격 형성되며, 고정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슬라이더 및 상기 태양전지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 슬라이더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 시 상기 회전 슬라이더를 회전시켜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제2가이드부재의 연결 영역을 폴딩시키는 폴딩 프레임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태양전지 패널은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 방향을 따르며 단차 영역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 패널은 상기 무빙 파트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전선의 만곡부가 상기 슬라이딩 홀 내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 시 상기 슬라이딩 홀의 단부가 상기 전선의 만곡부를 가압하여 함께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오픈형 선루프에 태양전지가 설치된 경우, 정지 위치에서 뿐만 아니라 이동 중에도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전선의 꼬임 발생 없이 상시적으로 전원이 연결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출력을 상시적으로 뽑아낼 수 있어 태양전지의 발전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무빙 파트의 이동 시 전선이 텐션과 궤적을 유지하며 함께 이동하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의 무빙 파트 클로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의 무빙 파트 풀오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의 무빙 파트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의 무빙 파트 클로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의 무빙 파트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의 무빙 파트 풀오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의 무빙 파트 클로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의 무빙 파트 풀오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의 무빙 파트 클로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의 무빙 파트 풀오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의 무빙 파트 클로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의 무빙 파트 풀오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의 무빙 파트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를 차량의 고정 파트에 전기 접속하기 위한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무빙 파트(1)의 태양전지 패널(10)에 밸트 타입의 전선(10)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고정 파트(2)의 고정부(200)에 전선(10)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무빙 파트(1)의 이동 시 태양전지 패널(100)과 고정부(200)에 대한 전선(10)의 접촉 상태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무빙 파트(1)의 이동 시 태양전지 패널(100)에 설치된 가이드 홀(100a)을 따라 함께 이동하여 전선(10)의 꼬임 없이 전선(10)의 연결 궤적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가이드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30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레일(미도시)에 고정 설치되고, 제1가이드부재(310) 및 제2가이드부재(320)를 구비한다.
제1가이드부재(310)는 무빙 파트(1)의 이동시 전선(10)의 만곡부와 접촉되며, 가이드 홀(100a)의 내부에 삽입되어 별도의 동력원에 의한 무빙 파트(1)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 홀(100a) 내부에서 함께 이동한다.
제2가이드부(320)는 제1가이드부재(310)의 단부에서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무빙 파트(1)의 이동 경로 상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제2가이드부(320)는 무빙 파트(1)의 이동 시 제1가이드부(310)가 가이드 홀(100a)의 단부와 접촉되어 제1가이드부재(310)와의 연결 영역을 밀어줌으로써,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제2가이드부(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 파트(1)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풀 오픈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이동에 의해 가이드 홀(100a) 내부에 삽입된 제1가이드부(310)를 가이드 홀(100a)의 단부가 밀게 되고, 그에 따라 힌지 결합된 연결 영역에 대한 폴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무빙 파트(1)의 개방 및 오픈에 관계없이 전선(10)의 형태가 꼬임 없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가이드부(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 파트(1)의 이동 시 연결 영역에 대한 폴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가이드 홀(100a)의 하부면과 제1가이드부(320)의 마찰에 의해 점진적으로 폴딩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연결 영역에 대한 폴딩 시 전선(10)의 텐션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무빙 패널(1)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해 무빙 파트(1)의 이동 시 전선(10)이 텐션과 궤적을 유지하며 함께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연결 시스템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제1가이드부(310)가 전선(10)의 만곡부를 계속적으로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무빙 파트(1)의 이동 시 벨트 타입의 전선(10)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전선(10)의 꼬임 방지 및 형태 유지를 통해 상시적으로 전원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출력을 상시적으로 뽑아낼 수 있고, 결국 태양전지의 내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의 무빙 파트 클로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의 무빙 파트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의 무빙 파트 풀오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빙 파트(1)의 이동 시 태양전지 패널(100)에 설치된 가이드 홀(100a)을 따라 함께 이동하여 전선(10)의 연결 궤적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가이드부(3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이드부(300)는 제1가이드부(310), 제2가이드부(320), 회전 슬라이더(330) 및 폴딩 프레임(340)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가이드부(310) 및 제2가이드부(320)는 전술된 제1실시예에서의 제1가이드부(310) 및 제2가이드부(320)와 구조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전 슬라이더(330)는 제2가이드부재(320)의 상부와 이격 형성되며, 고정 축(330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회전 슬라이더(330)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폴딩 프레임(340)과 접하는 상면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폴딩 프레임(340)은 태양전지 패널(100)에 결합되고, 회전 슬라이더(330)와 마주하는 일면이 회전 슬라이더(330)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된다.
즉, 폴딩 프레임(340)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무빙 파트(1)의 이동 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슬라이더(330)를 회전시키고, 이러한 회전 이동에 의해 회전 슬라이더(330)가 제1가이드부재(310)와 제2가이드부재(323)의 연결 영역을 가압하여 점진적으로 폴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점진적으로 폴딩이 이루어진 후 무빙 파트(1)가 풀오픈 상태가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재(310)가 가이드 홀(100a)의 단부와 접한 상태가 되며, 그에 따라 연결 영역이 완전이 폴딩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만일 무빙 파트(1)가 상기와 같은 풀오픈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가 되면, 곡률에 의한 회전 슬라이더(330)와 폴딩 프레임(340)의 회전에 의해 회전 슬라이더(330)의 단부가 연결 영역에서 벗어나게 되고, 결국 연결 영역의 폴딩이 해제되어 초기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제1가이드부재(310)가 가이드 홀(100a)의 내부에서 초기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도 7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의 무빙 파트 클로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의 무빙 파트 풀오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100)은 프레임(110)을 구비한다.
프레임(110)은 무빙 파트(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전선(10)의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며, 무빙 파트(1)의 이동 방향을 따르며 단차 영역(A)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단차 영역(A)은 풀오픈을 위한 무빙 파트(1)의 총 이동 거리를 (a) 라고 가정했을 경우, 이러한 총 이동 거리의 절반이 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 파트(1)가 풀오픈을 위해 이동하는 경우, 전선(10)의 만곡부를 단차 영역(A)의 단부로 밀어 단차 영역(A)의 길이 만큼 이동시킴으로써, 무빙 파트(1)의 이동시 전선(10)의 궤적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줌과 동시에 전선(10)의 꼬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 9 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의 무빙 파트 클로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의 무빙 파트 풀오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100)은 프레임(110)을 구비한다.
여기서, 프레임(110)은 무빙 파트(1)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슬라이딩 홀(120a)이 형성되며, 전선(10)의 만곡부가 슬라이딩 홀(120a)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프레임(110)은 무빙 파트(1)의 이동 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홀(120a)의 단부가 전선(10)의 만곡부를 가압하여 함께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슬라이딩 홀(120a)의 길이는 풀오픈을 위한 무빙 파트(1)의 총 이동 거리를 (a) 라고 가정했을 경우, 이러한 총 이동 거리의 절반 이상이 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선(10)의 만곡부가 슬라이딩 홀(120a)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무빙 파트(1)의 이동 시 가압에 의해 함께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전선(10)이 텐션과 궤적을 유지하며 함께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픈형 선루프에 태양전지가 설치된 경우, 정지 위치에서 뿐만 아니라 이동 중에도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전선의 꼬임 발생 없이 상시적으로 전원이 연결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출력을 상시적으로 뽑아낼 수 있어 태양전지의 발전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무빙 파트의 이동 시 전선이 텐션과 궤적을 유지하며 함께 이동하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 : 무빙 파트 2 : 고정 파트
10 : 전선 100 : 태양전지 패널
100a : 가이드 홀 110 : 프레임
120a : 슬라이딩 홀 200 : 고정부
300 : 가이드부 310 : 제1가이드부재
320 : 제2가이드부재 330 : 회전 슬라이더
330a : 고정 축 340 : 폴딩 프레임
A : 단차 영역

Claims (8)

  1.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를 차량의 고정 파트에 전기 접속하기 위한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 패널에 전선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고정 파트의 고정부에 상기 전선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 시 상기 태양전지 패널과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전선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되,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 시 상기 태양전지 패널에 설치된 가이드 홀을 따라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전선의 연결 궤적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선의 만곡부와 접촉되며,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홀 내부에서 이동하는 제1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단부에서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 경로 상에 고정 설치되는 제2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 시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상기 가이드 홀의 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의 연결 영역이 폴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선의 만곡부와 접촉되며,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홀 내부에서 이동하는 제1가이드부재;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단부에 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 경로 상에 고정 설치되는 제2가이드부재;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상부와 이격 형성되며, 고정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슬라이더; 및
    상기 태양전지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 슬라이더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 시 상기 회전 슬라이더를 회전시켜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제2가이드부재의 연결 영역을 폴딩시키는 폴딩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패널은,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 방향을 따르며 단차 영역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패널은,
    상기 무빙 파트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전선의 만곡부가 상기 슬라이딩 홀 내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 시 상기 슬라이딩 홀의 단부가 상기 전선의 만곡부를 가압하여 함께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
KR1020160082181A 2016-06-30 2016-06-30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 KR101816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181A KR101816420B1 (ko) 2016-06-30 2016-06-30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181A KR101816420B1 (ko) 2016-06-30 2016-06-30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420B1 true KR101816420B1 (ko) 2018-01-08

Family

ID=6100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181A KR101816420B1 (ko) 2016-06-30 2016-06-30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4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364A (ko) * 2017-08-14 2019-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
KR20220001305A (ko) * 2020-06-29 2022-01-05 김상욱 차량에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1906A (ja) * 2010-01-20 2011-08-04 Yazaki Corp ワイヤハーネス及び該ワイヤハーネスを備えたスライド体用の給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1906A (ja) * 2010-01-20 2011-08-04 Yazaki Corp ワイヤハーネス及び該ワイヤハーネスを備えたスライド体用の給電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364A (ko) * 2017-08-14 2019-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
KR102394787B1 (ko) 2017-08-14 2022-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
KR20220001305A (ko) * 2020-06-29 2022-01-05 김상욱 차량에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102425015B1 (ko) 2020-06-29 2022-07-25 김상욱 차량에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6398B2 (ja) 車両ルーフの太陽電池配線システム
US6423894B1 (en) Motor vehicle roof with outside solar generator
US8348336B2 (en) Sunroof for a vehicle
US11279210B2 (en) Roof rack assembly and hood light-blocking fabric assembly that are capable of photovoltaic generation
KR101816420B1 (ko)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
US20190181796A1 (en) Roof rack assembly and hood light-blocking fabric assembly that are capable of photovoltaic generation
CN109667515A (zh) 太阳能发电型滑动窗组件
KR102336407B1 (ko) 공간 확장이 가능한 차량
KR101876067B1 (ko) 차량 선루프 배선 시스템
KR20220001305A (ko) 차량에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20160094041A (ko)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어닝
JP2002247712A (ja) 電動車両の電源装置
CN112824117A (zh) 一种太阳能遮阳装置及车辆前档遮阳方法
JP2001088556A (ja) 調節可能な閉鎖要素を備えた車両ルーフ
CN108661349A (zh) 一种新能源汽车公交站牌
CN208962838U (zh) 一种应用太阳能的汽车天窗辅助续航系统
KR102299489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선루프장치
CN205737360U (zh) 一种车窗和车用光伏组件装置
CN105952208A (zh) 一种太阳能汽车移动车库
KR20160114878A (ko) 태양전지를 가진 선루프장치
KR20140106192A (ko) 선루프용 개폐장치
KR101955554B1 (ko) 선 루프용 모터 제어부
CN109130808A (zh) 应用太阳能的汽车天窗辅助续航系统及其充电控制方法
KR200359550Y1 (ko) 풍력발전을 보조동력원으로 이용하는 전기자동차
CN206422278U (zh) 一种汽车天窗太阳能玻璃的连接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