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787B1 -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787B1
KR102394787B1 KR1020170103248A KR20170103248A KR102394787B1 KR 102394787 B1 KR102394787 B1 KR 102394787B1 KR 1020170103248 A KR1020170103248 A KR 1020170103248A KR 20170103248 A KR20170103248 A KR 20170103248A KR 102394787 B1 KR102394787 B1 KR 102394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olar cell
moving
wir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364A (ko
Inventor
어문정
김상학
이은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3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78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8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K2016/003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solar power driv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루프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파트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이 차량 루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에 전기적으로 상시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루프 개폐를 위한 무빙 파트의 이동에 상관없이 차량 전장부품이 태양전지로부터 발생하는 전력을 상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 {Electric interconnection structure for solar cell of vehicle roof}
본 발명은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루프에서 루프 개폐를 위해 이동하는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를 차량 루프의 고정 파트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에 상시 접속시킬 수 있는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체 루프 패널이나 선루프 또는 파노라마 루프의 유리에 태양전지를 장착하여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차량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등록특허 제10-1428215호(2014.8.1), 등록특허 제10-1417524호(2014.7.1) 등이 있다.
그러나, 차체 루프에 개폐 작동을 위해 이동하는 선루프 또는 파노라마 루프를 적용할 경우 루프의 개폐에 따라 루프 글라스에 구비되어 있는 태양전지도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루프 개폐에 상관없이 차량 전장부품이 태양전지와 전기 접속 상태를 상시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1. 루프 개폐를 위해 이동하게 되는 무빙 파트에 구비된 태양전지와 차량 루프에 고정된 고정 파트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 사이를 전선으로 연결할 때 기본적으로 상기 전선이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아야 한다.
2.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에 연결된 전선의 길이가 길게 구성됨에 따라 발생하는 전선 꼬임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3. 전선이 눈비 등의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야 하고 내환경 특성을 가져야 한다.
즉, 차량 루프의 개폐 작동을 위해 이동하게 되는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와 고정되어 있는 차량 전장부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상시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조건들을 충족하는 배선 기술이 요구된다.
공개특허 제10-2016-005216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 루프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파트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이 차량 루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에 전기적으로 상시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루프 개폐를 위한 무빙 파트의 이동에 상관없이 차량 전장부품이 태양전지로부터 발생하는 전력을 상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태양전지를 구비하고 차량의 루프 개폐를 위해 이동하는 무빙 파트를 가지는 차량 루프에서 상기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를 차량 루프의 고정 파트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에 전기 접속하기 위한 태양전지 배선 구조로서,
상기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에 연결되는 플렉서블 전선의 한쪽 단부는 무빙 파트에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전선의 다른 한쪽 단부는 고정 파트에 고정되며, 상기 무빙 파트가 설치된 루프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플렉서블 전선의 이동 안내를 위한 이동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고, 무빙 파트의 이동 시 플렉서블 전선의 한쪽 단부가 상기 이동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면서 플렉서블 전선이 접히거나 펴지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 가이드 부재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선형 구조물이거나 또는 표면에 절연 재질이 코팅된 선형 구조물인 것으로서 상기 플렉서블 전선을 일정 간격마다 위아래로 번갈아 관통하면서 무빙 파트의 이동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전선에는 이동 가이드 부재의 관통을 위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플렉서블 전선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렉서블 전선은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와 고정 파트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 사이에 전기 접속되는 전선부재와 상기 전선부재를 피복하는 일정 너비의 마감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홀이 전선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경우 관통홀의 표면에 절연부가 구비되어 전선부재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렉서블 전선과 무빙 파트 사이에는 플렉서블 전선의 한쪽 단부를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에 전기 접속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무빙 커넥터가 설치되고, 플렉서블 전선과 고정 파트 사이에는 플렉서블 전선의 다른 한쪽 단부를 고정 파트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의 전선에 전기 접속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고정 커넥터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 커넥터는 플렉서블 전선의 한쪽 단부와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 전선 사이에 전기 접속을 위한 무빙 전기전도부, 및 일측이 상기 무빙 전기전도부를 패키징한 상태로 무빙 파트에 고정되는 동시에 다른 일측이 이동 가이드 부재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무빙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커넥터는 플렉서블 전선의 다른 한쪽 단부와 고정 파트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의 전선 사이에 전기 접속을 위한 고정 전기전도부, 및 상기 고정 전기전도부를 패키징한 상태로 고정 파트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에 의하면, 차량 루프에서 이동하게 되는 무빙 파트에 장착된 태양전지에 대해 차량 루프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파트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이 상시 전기 접속가능한 배선 구조가 구현되며, 이에 차량 루프의 개폐에 상관없이 무빙 파트에 장착된 태양전지의 전력을 차량 전장부품에 상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파노라마 루프를 나타낸 개략도
도 1b는 본 발명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가 적용된 파노라마 루프의 무빙 파트가 이동된 루프 개방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는 위치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전선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이드 부재가 루프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커넥터와 고정 커넥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파노라마 루프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차량 루프에서 개폐 작동을 위해 이동하는 무빙 파트(10)와 차량 루프에 고정된 고정 파트(2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기 무빙 파트(10)의 루프 글라스(즉, 무빙 글라스)와 고정 파트(20)의 루프 글라스(즉, 고정 글라스)에는 태양전지가 장착되고, 상기 무빙 파트(10)와 고정 파트(20)는 차량 루프와 루프 글라스 간에 결합을 위한 구성이 포함된다.
이때 차량 외관상 태양전지의 배선 구조가 차량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무빙 글라스와 고정 글라스의 내측면에 태양전지가 접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파트(20)는 넓은 의미로 루프 글라스에 태양전지가 접합된 구성의 루프 부분을 포함하여 루프 프레임(24) 등과 같이 차량 루프측에 고정되는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차량 루프의 개폐 시에 이동하는 파노라마 루프 부분, 즉 이동하는 루프 글라스(무빙 글라스)에 태양전지가 구비된 구성을 무빙 파트(10)라고 하고, 차량 루프의 개폐 시에 고정되어 있는 파노라마 루프 부분, 즉 고정된 루프 글라스(고정 글라스)에 태양전지가 구비된 구성을 고정 파트(20)라고 한다.
도 1b에 보듯이, 차량 루프의 열림 시에는 무빙 파트(10)가 고정 파트(20)측으로 이동하여 중첩되고, 이러한 무빙 파트(10)의 이동 시에 무빙 파트(10)에 연결 고정된 플렉서블 전선(30)의 한쪽 단부가 무빙 파트(10)와 함께 차량 후방의 고정 파트(20)측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안내됨으로써 무빙 파트(10)의 태양전지가 상기 플렉서블 전선(30)을 통해 고정 파트(20)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의 전선(도 5a의 22 참조)에 상시 전기 접속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는 무빙 파트(10)로부터 고정 파트(20)측으로 길게 배치되는 플렉서블 전선(30)의 한쪽 단부(즉, 가동 단부)는 무빙 파트(10)측에 고정하고 상기 플렉서블 전선(30)의 다른 한쪽 단부(즉, 고정 단부)는 고정 파트(20)측에 고정하되, 상기 무빙 파트(10)에 고정된 가동 단부(30a)가 루프 프레임(24)의 내측 공간에 설치된 이동 가이드 부재(26)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 루프의 개폐를 위해 이동하는 무빙 파트(10)의 태양전지를 차량 루프의 개폐 상태에 상관없이 차량 루프의 고정 파트(20)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의 전선(22)에 상시 전기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루프 프레임(24)은 차량 루프의 좌우 양측단에 위치되는 차량 루프의 프레임으로서, 차량 루프의 개폐를 위해 이동하는 무빙 파트(10)가 루프 프레임(24)상에 차량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설명하면, 상기 무빙 파트(10)의 하측면에는 무빙 파트(10)를 루프 프레임(24)상에 이동가능하게 고정해주는 지그(14)가 설치되고, 이때 루프 프레임(24)의 상측 공간부에 상기 지그(14)가 루프 프레임(24)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루프 프레임(24)의 하측 공간부에 이동 가이드 부재(2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전선(30)은 무빙 파트(10)의 이동 시 유연하게 접히거나 펴지면서 변형될 수 있는 얇은 두께의 필름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가동 단부)가 무빙 파트(10)의 태양전지와 접속 가능하게 무빙 파트(10)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의 다른 한쪽 단부(고정 단부)가 고정 파트(20)에 고정된다.
상기 가동 단부(30a)는 무빙 파트(10)의 이동 시 이동 가이드 부재(26)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무빙 파트(10)에 연결 고정되고, 플렉서블 전선(30)은 무빙 파트(10)의 이동 시 상기 가동 단부(30a)가 이동 가이드 부재(26)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휘어지면서 접히거나 펴지게 된다.
이러한 플렉서블 전선(30)은 가동 단부(30a)가 무빙 파트(10)와 함께 이동할 때 구불구불한 모양으로 접히거나 펴지면서 이동 가이드 부재(26)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얇은 두께와 일정 너비 및 길이를 가지는 필름형으로 마련되며, 이동에 따른 변형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무빙 파트(10)와 고정 파트(20) 사이에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전선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플렉서블 전선(30)은 무빙 파트(10)의 태양전지와 고정 파트(20)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 사이에 연결 배치되는 전선부재(32)와 상기 전선부재(32)를 여유있게 피복하는 일정 너비의 마감필름(34)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도 3에 보듯이 마감필름(34)이 전선부재(32)의 너비보다 큰 너비를 가지고 전선부재(32)를 패키징하게 됨으로써 전선부재(32)를 감싸서 외부 환경(눈비 등)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전선부재(32)의 너비방향으로 여분의 폭을 가지고 피복하게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선부재(32)는 일정 너비와 얇은 두께를 가지는 박막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선형으로 마련되며,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선형 전선부재(32a)의 경우, 플렉서블 전선(30)의 너비방향으로 2개 이상 배치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플렉서블 전선(30)은 주름지게 접히거나 펴질 때 전선부재(32)의 전기전도성 및 마감필름(34)의 내구성 등의 감소를 최소화하고 전선으로서의 전도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예를 들어 전선부재(32)는 전기 전달이 가능한 구리 등의 금속 재질이 적용되고 마감필름(34)은 폴리이미드 또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고분자 절연 재질이 적용되며, 이에 따라 접히고 펴지는 폴딩/언폴딩의 플렉서블한 가변 구조를 구현하면서 전기 전도를 위한 전선 기능을 유지하게 된다.
이동 가이드 부재(26)는 상기 플렉서블 전선(30)의 이동 안내를 위해 루프 프레임(24)의 내측에 설치 구성되는 것으로서, 무빙 파트(10)의 이동 시 플렉서블 전선(30)이 일정 간격으로 구불거리게 접히면서 플렉서블 전선(30)의 가동 단부(30a)가 (고정 파트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단부(30b)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루트 및 궤적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 가이드 부재(26)는 플렉서블 전선(30)을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위아래로 번갈아 관통하면서 무빙 파트(1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주행 중에 이동 가이드 부재(26)가 흔들리거나 루프 프레임(24)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가이드 부재(26)를 루프 프레임(24)의 내측 공간의 중앙(상하 높이방향의 중앙)에 고정지그(28)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도 4는 플렉서블 전선(30)을 생략하고 루프 프레임(24)에 설치된 이동 가이드 부재(26)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상기 고정지그(28)는 플렉서블 전선(30)의 폴딩 및 언폴딩을 방해하지 않도록 루프 프레임(24)에 설치되며, 이동 가이드 부재(26)의 양측 단부를 루프 프레임(24) 내측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해준다.
아울러, 플렉서블 전선(30)은 그 접힘 상태의 최대 높이가 상기 루프 프레임(24)의 내측 공간(하측 공간부)의 높이 이하가 되며, 이에 루프 프레임(24)은 플렉서블 전선(30)의 접힘 상태의 최대 높이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렉서블 전선(30)은 이동 가이드 부재(26)의 관통을 위한 복수의 관통홀(3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36)이 이동 가이드 부재(26)에 의해 위아래로 순차적으로 관통되면서 이동 가이드 부재(26)에 길이방향으로 폴딩 및 언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도 1a 및 도 1b 참조).
상기 관통홀(36)은 이동 가이드 부재(26)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예를 들어 이동 가이드 부재(26)의 직경의 1.2배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6)이 전선부재(3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홀(36)이 박막형 전선부재(32b)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경우, 상기 관통홀(36)에 의해 전선부재(32)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홀(36)의 표면에 관통홀(36)의 반경방향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는 절연부(38)가 구비된다.
상기 절연부(38)는 전기절연 특성을 갖는 고분자 재질의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며, 관통홀(36) 직경의 15% ~ 20% 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절연부(38)가 관통홀(36) 직경의 15%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 쇼트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0% 를 초과하는 두께를 가지는 경우 전기저항 증가에 따른 출력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8)는 마감필름(34)으로 전선부재(32)를 피복한 이후에 관통홀(36)을 형성하는 경우 마감필름(34)과 별도로 관통홀(36)의 표면에 고분자 재질을 코팅하는 표면처리 방식 등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하며, 또한 마감필름(34)으로 전선부재(32)를 피복하기 이전에 전선부재(32)에 관통홀(36)을 형성하는 경우, 즉 전선부재(32)에 관통홀(36)을 형성한 다음에 마감필름(34)으로 전선부재(32)를 피복하는 경우, 관통홀(36)에 절연부(38)를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 상기 관통홀(36)의 위치에 상응하는 마감필름(34)의 위치의 중앙에 관통홀(36)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홀을 타공함으로써 관통홀(36)의 표면에 절연부(38)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관통홀(36)의 표면에 절연부(38)가 마련되기는 하나, 관통홀(36)을 관통하여 플렉서블 전선(30)과 결합되는 이동 가이드 부재(26)를 고무 등의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선형 구조물 또는 표면에 테플론 등의 절연 재질이 코팅된 선형 구조물로서 적용함으로써 플렉서블 전선(30)에 흐르는 전기가 이동 가이드 부재(26)에 통전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플렉서블 전선(30)은 가동 단부(30a)와 고정 단부(30b)가 무빙 파트(10)와 고정 파트(20)에 설치 고정될 때 전선부재(32)의 전기전도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설치되며, 이를 위하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접속을 위한 전기전도부(42,52)와 상기 전기전도부(42,52)를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절연성 하우징(44,54)으로 이루어진 커넥터(40,50)를 사용한다.
플렉서블 전선(30)의 가동 단부(30a)를 무빙 파트(10)측에 연결 고정시키는 커넥터(즉, 무빙 커넥터)(40)는 상기 가동 단부(30a)를 무빙 파트(10)의 태양전지에 전기 접속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가동 단부(30a)와 무빙 파트(10) 사이에 설치되고, 플렉서블 전선(30)의 고정 단부(30b)를 고정 파트(20)측에 연결 고정시키는 커넥터(즉, 고정 커넥터)(50)는 상기 고정 단부(30b)를 고정 파트(20)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의 전선(22)에 전기 접속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 단부(30b)와 고정 파트(2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무빙 커넥터(40)는 플렉서블 전선(30)의 가동 단부(30a)와 무빙 파트(10)의 태양전지 전선(12) 사이에 전기 접속을 위한 무빙 전기전도부(42), 및 상기 무빙 전기전도부(42)를 패키징한 상태로 일측(하우징부)이 무빙 파트(10)에 고정되는 동시에 다른 일측(가동 체결부)이 이동 가이드 부재(26)에 이동 가이드 부재(26)의 길이방향(즉, 무빙 파트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무빙 하우징(4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무빙 하우징(44)은 무빙 전기전도부(42)를 감싸서 포장할 수 있게 형성된 하우징부(44a), 및 상기 하우징부(44a)와 일체로 형성되고 이동 가이드 부재(26)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링 모양의 가동 체결부(44b)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부(44a)는 차량 루프의 좌우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플렉서블 전선(30)의 가동 단부(30a)와 차량 루프의 중앙에 배치된 무빙 파트(10)의 태양전지 전선(12) 간에 접속을 위해 직각의 절곡된 모양(즉, ㄱ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무빙 하우징(44)은 무빙 파트(10)의 이동 시 플렉서블 전선(30)의 가동 단부(30a)와 함께 이동 가이드 부재(26)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무빙 전기전도부(42)는 납땜을 통해 플렉서블 전선(30)의 전선부재(32)와 무빙 파트(10)의 태양전지 전선(12) 사이에 통전가능하게 접합되거나 또는 나사못 체결을 통해 상기 전선부재(32)와 태양전지의 전선(12) 사이에 통전가능하게 물리적으로 접합될 수 있고, 상기 무빙 하우징(44)은 무빙 전기전도부(42)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어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외부 환경(눈비 등)으로부터 보호하며 또한 무빙 전기전도부(42)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전선간 연결을 견고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커넥터(50)는 플렉서블 전선(30)의 고정 단부(30b)와 고정 파트(20)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의 전선(22) 사이에 전기 접속을 위한 고정 전기전도부(52), 및 상기 고정 전기전도부(52)를 패키징한 상태로 고정 파트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5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전기전도부(52) 역시 납땜을 통해 플렉서블 전선(30)의 전선부재(32)와 고정 파트(20)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의 전선(22) 사이에 통전가능하게 접합되거나 또는 나사못 체결을 통해 상기 전선부재(32)와 차량 전장부품의 전선(22) 사이에 통전가능하게 물리적으로 접합될 수 있고, 상기 고정 하우징(54)은 고정 전기전도부(52)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어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며, 또한 고정 전기전도부(52)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전선간 연결을 견고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무빙 전기전도부(42)와 고정 전기전도부(52)는 전기 전도를 위한 구조물로서 스틸, 구리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빙 하우징(44)과 고정 하우징(54)은 무빙 전기전도부(42)와 고정 전기전도부(52)를 각각 무빙 파트(10)와 고정 파트(20)에 고정시켜주는 구조물로서 전기 절연이 가능한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차량 전장부품은 태양전지를 기준으로 전력을 소모하는 차량의 각종 전장품과 배터리 등의 전기 소모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량 루프의 개폐를 위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무빙 파트(10)의 태양전지와 전기접속가능하게 연결된 플렉서블 전선(30)의 한쪽 단부(고정 단부)가 고정 파트(2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무빙 파트(10)의 이동 시 플렉서블 전선(30)의 다른 한쪽 단부(가동 단부)가 이동 가이드 부재(26)를 따라 무빙 파트(1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태양전지 배선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루프 개폐에 상관 없이 무빙 파트(10)의 태양전지와 고정 파트(20)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 간에 전기 접속 상태를 상시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태양전지로부터 상시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배선 구조에 의하면, 차량 루프에서 이동하게 되는 무빙 파트(10)에 장착된 태양전지에 대해 차량 루프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파트(20)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이 상시 전기 접속가능한 배선 구조가 구현되며, 이에 무빙 파트(10)의 태양전지의 출력을 차량 전장부품(제어기, 배터리 등)에 상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태양전지에서 출력되는 전기의 저장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무빙 파트 12 : 태양전지 전선
14 : 지그 20 : 고정 파트
22 : 차량 전장부품의 전선 24 : 루프 프레임
26 : 이동 가이드 부재 28 : 고정지그
30 : 플렉서블 전선 30a : 가동 단부
30b : 고정 단부 32 : 전선부재
32a : 선형 전선부재 32b : 박막형 전선부재
34 : 마감필름 36 : 관통홀
38 : 절연부 40 : 무빙 커넥터
42 : 무빙 전기전도부 44 : 무빙 하우징
44a : 하우징부 44b : 가동 체결부
50 : 고정 커넥터 52 : 고정 전기전도부
54 : 고정 하우징

Claims (8)

  1. 태양전지를 구비하고 차량의 루프 개폐를 위해 이동하는 무빙 파트를 가지는 차량 루프에서 상기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를 차량 루프의 고정 파트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에 전기 접속하기 위한 태양전지 배선 구조로서,
    상기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에 연결되는 플렉서블 전선의 한쪽 단부는 무빙 파트에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전선의 다른 한쪽 단부는 고정 파트에 고정되며, 상기 무빙 파트가 설치된 루프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플렉서블 전선의 이동 안내를 위한 이동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고, 무빙 파트의 이동 시 플렉서블 전선의 한쪽 단부가 상기 이동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면서 플렉서블 전선이 접히거나 펴지게 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 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전선을 일정 간격마다 위아래로 번갈아 관통하면서 상기 무빙 파트의 이동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전선은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와 고정 파트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 사이에 전기 접속되는 전선부재와 상기 전선부재를 피복하는 일정 너비의 마감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전선에는 이동 가이드 부재의 관통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이 전선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경우 관통홀의 표면에 절연부가 구비되어 전선부재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이드 부재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선형 구조물이거나 또는 표면에 절연 재질이 코팅된 선형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전선과 무빙 파트 사이에는 플렉서블 전선의 한쪽 단부를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에 전기 접속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무빙 커넥터가 설치되고, 플렉서블 전선과 고정 파트 사이에는 플렉서블 전선의 다른 한쪽 단부를 고정 파트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의 전선에 전기 접속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고정 커넥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무빙 커넥터는 플렉서블 전선의 한쪽 단부와 무빙 파트의 태양전지 전선 사이에 전기 접속을 위한 무빙 전기전도부, 및 일측이 상기 무빙 전기전도부를 패키징한 상태로 무빙 파트에 고정되는 동시에 다른 일측이 이동 가이드 부재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무빙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 커넥터는 플렉서블 전선의 다른 한쪽 단부와 고정 파트측으로 배선된 차량 전장부품의 전선 사이에 전기 접속을 위한 고정 전기전도부, 및 상기 고정 전기전도부를 패키징한 상태로 고정 파트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
KR1020170103248A 2017-08-14 2017-08-14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 KR102394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248A KR102394787B1 (ko) 2017-08-14 2017-08-14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248A KR102394787B1 (ko) 2017-08-14 2017-08-14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364A KR20190018364A (ko) 2019-02-22
KR102394787B1 true KR102394787B1 (ko) 2022-05-04

Family

ID=65584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248A KR102394787B1 (ko) 2017-08-14 2017-08-14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7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379B1 (ko) 2015-05-18 2016-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원모터 전동 선세이드 선루프 구조
KR101816420B1 (ko) 2016-06-30 201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717B1 (ko) 2014-11-04 2016-07-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시스템
KR20160114878A (ko) * 2015-03-25 2016-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태양전지를 가진 선루프장치
KR102299489B1 (ko) * 2015-03-26 2021-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태양전지를 이용한 선루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379B1 (ko) 2015-05-18 2016-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원모터 전동 선세이드 선루프 구조
KR101816420B1 (ko) 2016-06-30 201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전원연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364A (ko) 2019-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5824B2 (en) Waterproofing structure, waterproofing method and wire harness
EP2172370B1 (en)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for slide door
KR20160107058A (ko) 플렉서블 이차 전지
US10277017B2 (en) Exterior member and wire harness
CN109638744B (zh) 高压电气接线盒
SE511649C2 (sv)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styrning av ledare
WO2014192859A1 (ja)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電源装置
CN105393417B (zh) 线束
JP5978106B2 (ja) コネクタ間の接続構造
EP2603955B1 (de) Gehäuse zur elektrischen leitungsverbindung zwischen einem folienleiter und einem leiter
US9241415B2 (en) Flexible electrical circuit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2022033999A (ja) 高圧相互接続システム
JP2016032388A (ja) ワイヤハーネス
US11027675B2 (en) Wire harness
KR102394787B1 (ko)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구조
JP6446173B2 (ja) 車両のスライド窓及び給電装置
JP2009087853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ハーネス及び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US20110175392A1 (en) Feeder apparatus for a slide panel
JP2007109485A (ja) フラットケーブル
EP3921926A1 (en) Connector assembly and a metho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inverter busbar to an electrical connector of a drive unit and such a drive unit
CN106464206B (zh) 用于光伏模块的接线盒
JP6211039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7006368B2 (ja) 異物検知センサ
JP5202917B2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ハーネス及び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JP5690477B2 (ja) 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