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077A - 응력 분산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 Google Patents

응력 분산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077A
KR20180038077A KR1020187009833A KR20187009833A KR20180038077A KR 20180038077 A KR20180038077 A KR 20180038077A KR 1020187009833 A KR1020187009833 A KR 1020187009833A KR 20187009833 A KR20187009833 A KR 20187009833A KR 20180038077 A KR20180038077 A KR 20180038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eight
meth
s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8341B1 (ko
Inventor
쇼고 사사키
소야 조
고지 시타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5Vinyl resins, e.g. polyvinyl chloride [PV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presence of a co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2423/04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3/00Presence of epoxy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7/00Presence of polyamide
    • C09J2477/006Presence of polyamid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9/00Presence of polyamine or polyimide
    • C09J2479/08Presence of polyamine or polyimide polyimide
    • C09J2479/086Presence of polyamine or polyimide polyimide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우수한 응력 분산성을 갖는 응력 분산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그러한 응력 분산 필름을 구비한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응력 분산 필름은, 플라스틱 필름과 점착제층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응력 분산 필름이며, 해당 적층체의 플라스틱 필름측으로부터 해당 적층체와 수직 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압입 에너지가 260μJ 이상이다.

Description

응력 분산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STRESS DISTRIBUTING FILM, OPTICAL MEMBER, AND ELECTRONIC MEMBER}
본 발명은 응력 분산 필름, 해당 응력 분산 필름을 구비한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에 관한 것이다.
LCD를 사용한 터치 패널, 카메라의 렌즈부, 전자 기기 등의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에는, 강성이나 내충격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노출면측에 점착성 필름이 접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러한 점착성 필름은, 통상 기재층과 점착제층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에는, 조립시, 가공시, 수송시, 사용시 등의 각종 상황에서, 압입력에 의한 부하가 걸리는 경우가 있어, 이러한 부하에 의해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가 파손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234460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우수한 응력 분산성을 갖는 응력 분산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그러한 응력 분산 필름을 구비한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응력 분산 필름은,
플라스틱 필름과 점착제층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응력 분산 필름이며,
해당 적층체의 플라스틱 필름측으로부터 해당 적층체와 수직 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압입 에너지가 260μJ 이상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가 4㎛ 내지 500㎛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1㎛ 내지 300㎛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점착제층이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해당 점착제 조성물이,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알킬에스테르 부분으로서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유래의 단량체 단위(I)와 분자 내에 OH기 및/또는 COOH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래의 단량체 단위(II)를 갖는 중합체(A)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 중의 NCO기의 몰 함유 비율을 [NCO]로 하고, 해당 점착제 조성물 중의 에폭시기의 몰 함유 비율을 [에폭시]로 하고, 해당 점착제 조성물 중의 OH기의 몰 함유 비율을 [OH]로 하고, 해당 점착제 조성물 중의 COOH기의 몰 함유 비율을 [COOH]로 했을 때, ([NCO]+[에폭시])/([OH]+[COOH])<0.05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2관능 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또는 에폭시계 가교제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지환식 구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래의 단량체 단위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 30000 미만인 중합체(B)를 포함한다.
CH2=C(R1)COOR2 … (1)
(화학식 (1)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지환식 구조를 갖는 탄화수소기임)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점착제층의, -40℃ 내지 150℃의 전체 온도 영역에서의 손실 정접 tanδ가 0.10 이상이다.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상기 응력 분산 필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전자 부재는 상기 응력 분산 필름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응력 분산성을 갖는 응력 분산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응력 분산 필름을 구비한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응력 분산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응력 분산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중에서 「(메트)아크릴」이라는 표현이 있을 경우에는,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하고, 「(메트)아크릴레이트」라는 표현이 있을 경우에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서 「중량」이라는 표현이 있을 경우에는, 무게를 나타내는 SI계 단위로서 관용되고 있는 「질량」으로 대체해도 된다.
본 명세서 중에서 「(a)유래의 단량체 단위(A)」라는 표현이 있을 경우에는, 단량체 단위(A)는 단량체(a)가 갖는 불포화 이중 결합이 중합에 의해 개열해서 형성되는 구조 단위이다. 또한, 불포화 이중 결합이 중합에 의해 개열해서 형성되는 구조 단위란, 「RpRqC=CRrRs」의 구조(Rp, Rq, Rr, Rs는, 탄소 원자와 단결합으로 결합하는 임의의 적절한 기)의 불포화 이중 결합 「C=C」가 중합에 의해 개열해서 형성되는 「-RpRqC-CRrRs-」의 구조 단위이다.
본 명세서 중에서, 중합체 중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예를 들어 해당 중합체의 각종 구조 해석(예를 들어, NMR 등)에 의해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각종 구조 해석을 행하지 않아도, 중합체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각종 단량체의 사용량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해당 각종 단량체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중합체 중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로 해도 된다. 즉, 중합체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 중의, 어떤 단량체(m)의 함유 비율을, 해당 중합체 중의 단량체(m)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로서 취급해도 된다.
≪≪A. 응력 분산 필름≫≫
본 발명의 응력 분산 필름은, 플라스틱 필름과 점착제층의 적층체를 포함한다. 플라스틱 필름은 1층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이어도 된다. 점착제층은 1층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이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응력 분산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응력 분산 필름(100)은, 플라스틱 필름(10)과 점착제층(20)의 적층체로 이루어진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점착제층(20)의 표면에는, 임의의 적절한 강 접착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응력 분산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응력 분산 필름(100)은, 점착제층(20)과 플라스틱 필름(10)과 점착제층(20)으로 이루어지고, 점착제층(20)과 플라스틱 필름(10)과 점착제층(20)을 이 순서대로 갖는다. 즉, 도 2에서, 본 발명의 응력 분산 필름(100)은, 점착제층(20)과, 플라스틱 필름(10)과 점착제층(20)의 적층체로 이루어진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편측 또는 양측의 점착제층(20)의 표면에는, 임의의 적절한 강 접착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점착제층이 최외층으로서 노출되는 형태의 경우에는, 해당 노출면측에 임의의 적절한 세퍼레이터(박리 시트)를 설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응력 분산 필름은, 플라스틱 필름과 점착제층의 적층체의 플라스틱 필름측으로부터 해당 적층체와 수직 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압입 에너지가 260μJ 이상이다. 상기 압입 에너지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압입 에너지는, 바람직하게는 260μJ 내지 10000μJ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70μJ 내지 9000μJ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80μJ 내지 8000μJ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90μJ 내지 7000μJ이다. 상기 압입 에너지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우수한 응력 분산성을 갖는 응력 분산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이다.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보다 우수한 응력 분산성을 갖는 응력 분산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5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0㎛이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보다 우수한 응력 분산성을 갖는 응력 분산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플라스틱 필름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은, 예를 들어 그의 ASTM D695에서의 압축 강도가, 바람직하게는 100Kg/cm2 내지 3000Kg/cm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Kg/cm2 내지 2900Kg/cm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Kg/cm2 내지 2800Kg/cm2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Kg/cm2 내지 2700Kg/cm2이다.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올레핀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호모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성분을 공중합 성분으로 하는 블록계, 랜덤계, 그래프트계 등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리액터 TPO; 저밀도, 고밀도, 리니어 저밀도, 초저밀도 등의 에틸렌계 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부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은, 필요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에 함유될 수 있는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충전제,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에 함유될 수 있는 첨가제의 종류, 수, 양은,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점착제층으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층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로 형성되는 점착제층, 고무계 점착제로 형성되는 점착제층, 실리콘계 점착제로 형성되는 점착제층, 우레탄계 점착제로 형성되는 점착제층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은, 바람직하게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다.
점착제층은, 예를 들어 점착제 조성물을 임의의 적절한 기재 상에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하여, 기재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그 후, 기재를 박리하면, 점착제층이 얻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점착제 조성물을 임의의 적절한 플라스틱 필름 상에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하여, 플라스틱 필름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플라스틱 필름을 그대로 남김으로써, 점착제층과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응력 분산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점착제 조성물을 임의의 적절한 기재 상에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하여, 기재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기재를 박리해서 얻어지는 점착제층을 플라스틱 필름에 적재함으로써, 점착제층과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응력 분산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점착제 조성물을 임의의 적절한 기재 상에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하여, 기재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기재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플라스틱 필름에 전사함으로써 점착제층과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응력 분산 필름이 얻어진다.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롤 코트, 그라비아 코트, 리버스 코트, 롤 브러시, 스프레이 코트, 에어 나이프 코팅법, 다이 코터 등에 의한 압출 코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알킬에스테르 부분으로서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유래의 단량체 단위(I)와 분자 내에 OH기 및/또는 COOH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래의 단량체 단위(II)를 갖는 중합체(A)를 포함한다.
점착제 조성물 중의 상기 중합체(A)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8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2.5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5중량% 내지 100중량%이다. 점착제 조성물 중의 상기 중합체(A)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보다 우수한 응력 분산성을 갖는 응력 분산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중합체(A)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알킬에스테르 부분으로서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유래의 단량체 단위(I)를 갖는다. 중합체(A) 중의,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알킬에스테르 부분으로서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유래의 단량체 단위(I)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중합체(A) 중의,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알킬에스테르 부분으로서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유래의 단량체 단위(I)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90중량% 내지 99.5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1중량% 내지 99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2중량% 내지 98.5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3중량% 내지 98.2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4중량% 내지 98중량%이다. 중합체(A) 중의,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알킬에스테르 부분으로서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유래의 단량체 단위(I)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보다 우수한 응력 분산성을 갖는 응력 분산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알킬에스테르 부분으로서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체(A)는, 분자 내에 OH기 및/또는 COOH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래의 단량체 단위(II)를 갖는다. 중합체(A) 중의, 분자 내에 OH기 및/또는 COOH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래의 단량체 단위(II)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중합체(A)가 분자 내에 OH기 및/또는 COOH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래의 단량체 단위(II)를 가짐으로써, 보다 우수한 응력 분산성을 갖는 응력 분산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중합체(A) 중의, 분자 내에 OH기 및/또는 COOH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래의 단량체 단위(II)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내지 1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9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중량% 내지 8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8중량% 내지 7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중량% 내지 6중량%이다. 중합체(A) 중의, 분자 내에 OH기 및/또는 COOH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래의 단량체 단위(II)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보다 우수한 응력 분산성을 갖는 응력 분산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분자 내에 OH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10-히드록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12-히드록시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2-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분자 내에 COOH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체(A)는, 그 밖의 단량체 유래의 단량체 단위(III)를 갖고 있어도 된다. 중합체(A) 중의, 그 밖의 단량체 유래의 단량체 단위(III)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그 밖의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 비닐에스테르 단량체, 방향족 비닐 단량체,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비닐에테르 단량체, N-아크릴로일모르폴린, 술포기 함유 단량체, 인산기 함유 단량체, 산 무수물 기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해당 점착제 조성물 중의 NCO기의 몰 함유 비율을 [NCO]로 하고, 해당 점착제 조성물 중의 에폭시기의 몰 함유 비율을 [에폭시]로 하고, 해당 점착제 조성물 중의 OH기의 몰 함유 비율을 [OH]로 하고, 해당 점착제 조성물 중의 COOH기의 몰 함유 비율을 [COOH]로 했을 때, ([NCO]+[에폭시])/([OH]+[COOH])<0.05이다. ([NCO]+[에폭시])/([OH]+[COOH])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보다 우수한 응력 분산성을 갖는 응력 분산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중에 NCO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NCO]=0이며, 점착제 조성물 중에 에폭시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에폭시]=0이다. 즉, ([NCO]+[에폭시])/([OH]+[COOH])의 하한값은 0이다.
점착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2관능 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또는 에폭시계 가교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2관능 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또는 에폭시계 가교제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점착제 조성물 중의, 상기 2관능 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에폭시계 가교제의 합계 함유 비율은, 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부 내지 0.4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25중량부 내지 0.3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중량부 내지 0.2중량부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75중량부 내지 0.15중량부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내지 0.1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 중의 상기 2관능 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에폭시계 가교제의 합계 함유 비율이 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보다 우수한 응력 분산성을 갖는 응력 분산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2관능 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시클로펜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류;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류;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부가물(예를 들어, 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 제조, 상품명 「코로네이트 L」),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부가물(예를 들어, 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 제조, 상품명 「코로네이트 HL」),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예를 들어, 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 제조, 상품명 「코로네이트 HX」)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에피클로로히드린형의 에폭시계 수지, 에틸렌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아민글리시딜아민,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예를 들어, 미쓰비시 가스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TETRAD-X」),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예를 들어, 미쓰비시 가스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TETRAD-C」)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지환식 구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래의 단량체 단위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 30000 미만인 중합체(B)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CH2=C(R1)COOR2 … (1)
(화학식 (1)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지환식 구조를 갖는 탄화수소기임)
중합체(B)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중합체(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30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0 내지 250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2000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750 내지 1500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10000이다. 중합체(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가교제의 양을 증가시켜도, 보다 우수한 응력 분산성을 갖는 응력 분산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중의 중합체(B)의 함유 비율은, 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중량부 내지 50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부 내지 45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중량부 내지 40중량부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 내지 35중량부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4중량부 내지 30중량부이다. 점착제 조성물 중의 중합체(B)의 함유 비율이 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가교제의 양을 증가시켜도, 보다 우수한 응력 분산성을 갖는 응력 분산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중합체(B) 중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지환식 구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40중량% 내지 99.5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2.5중량% 내지 99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중량% 내지 98.5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7.5중량% 내지 98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0중량% 내지 97.5중량%이다. 중합체(B) 중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지환식 구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가교제의 양을 증가시켜도, 보다 우수한 응력 분산성을 갖는 응력 분산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지환식 구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펜타닐메타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1-아다만틸메타크릴레이트, 1-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메타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체(B)는, 그 밖의 단량체 유래의 단량체 단위(IV)를 갖고 있어도 된다. 중합체(B) 중의, 그 밖의 단량체 유래의 단량체 단위(IV)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중합체(B)에 포함될 수 있는 그 밖의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체(A), 중합체(B)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액 중합, 유화 중합, 괴상 중합, 현탁 중합, 광 중합(활성 에너지선 중합)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 중에서도, 비용이나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용액 중합이다. 얻어지는 중합체(A)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교호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 어느 것이어도 된다. 얻어지는 중합체(B)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교호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 어느 것이어도 된다.
용액 중합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단량체 성분이나 중합 개시제 등을 용제에 용해하고, 가열해서 중합하여, 중합체 용액을 얻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용액 중합에서의, 가열해서 중합할 때의 가열 온도로서는, 예를 들어 50℃ 내지 90℃를 들 수 있다. 용액 중합에서의 가열 시간으로서는, 예를 들어 1시간 내지 24시간을 들 수 있다.
용액 중합에 사용되는 용제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톨루엔, 벤젠,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의 유기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용제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중합체(A), 중합체(B)의 제조에서는,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 개시제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이러한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이황산염,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 2,2'-아조비스[N-(2-카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하이드레이트(와코준야쿠사 제조, VA-057) 등의 아조계 개시제;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과황산염;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sec-부틸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헥실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디라우로일퍼옥시드, 디-n-옥타노일퍼옥시드,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디(4-메틸벤조일)퍼옥시드, 디벤조일퍼옥시드, t-부틸퍼옥시이소부티레이트, 1,1-디(t-헥실퍼옥시)시클로헥산, t-부틸히드로퍼옥시드, 과산화수소 등의 과산화물계 개시제; 과황산염과 아황산수소나트륨의 조합, 과산화물과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의 조합 등의, 과산화물과 환원제를 조합한 레독스계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사용량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량으로서는, 예를 들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이다.
중합체(A), 중합체(B)의 제조에서는, 연쇄 이동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쇄 이동제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이러한 연쇄 이동제로서는, 예를 들어 라우릴머캅탄, 글리시딜머캅탄, 머캅토아세트산, 2-머캅토에탄올,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메틸, 티오글리콜산2-에틸헥실, 2,3-디머캅토-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사용량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량으로서는, 예를 들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이다.
중합체(A), 중합체(B)의 제조에서는, 일반적으로 중합 반응에 사용할 수 있는 그 밖의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 촉매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가교 촉매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가교 촉매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교 촉매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n-부틸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나셈 제2철, 부틸주석옥시드,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등의 금속계 가교 촉매(특히 주석계 가교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가교 촉매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가교 촉매의 사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사용량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량으로서는, 예를 들어 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부 내지 0.05중량부이다.
점착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그 밖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그 밖의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실란 커플링제, 가교 지연제, 유화제, 착색제, 안료 등의 분체, 염료, 계면 활성제, 가소제, 점착성 부여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연화제,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금지제, 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금속분, 입자상, 박상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그 밖의 첨가제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점착제층은, -40℃ 내지 150℃의 전체 온도 영역에서의 손실 정접 tanδ가, 바람직하게는 0.10 이상이다. 점착제층의 -40℃ 내지 150℃의 전체 온도 영역에서의 상기 손실 정접 tanδ가 0.10 이상임으로써, 보다 우수한 응력 분산성을 갖는 응력 분산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실 정접 tanδ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점착제층의 -40℃ 내지 150℃의 전체 온도 영역에서의 상기 손실 정접 tanδ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4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80 이하이다. 상기 손실 정접 tanδ의 상한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보다 우수한 응력 분산성을 갖는 응력 분산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40℃ 내지 150℃의 전체 온도 영역에서의 상기 손실 정접 tanδ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12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4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6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8 이상이다. 상기 손실 정접 tanδ의 하한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보다 우수한 응력 분산성을 갖는 응력 분산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C. 광학 부재, 전자 부재≫≫
본 발명의 응력 분산 필름은, 우수한 응력 분산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를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지키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는 보호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본 발명의 응력 분산 필름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부재는, 본 발명의 응력 분산 필름을 구비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등에서의 시험 및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또한, 「부」라고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기 사항이 없는 한 「중량부」를 의미하고,「%」라고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기 사항이 없는 한 「중량%」를 의미한다.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GPC 장치(HLC-8220GPC)를 사용하여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폴리스티렌 환산값으로 구하였다.
측정 조건은 하기와 같다.
샘플 농도: 0.2중량%(THF 용액)
샘플 주입량: 10㎕ 용리액
THF 유속: 0.6ml/min
측정 온도: 40℃
샘플 칼럼: TSKguardcolumn SuperHZ-H(1개)+TSKgel SuperHZM-H(2개)
레퍼런스 칼럼: TSKgel SuperH-RC(1개)
검출기: 시차 굴절계(RI)
<점착 시트(A)의 제작>
(실시예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6, 비교예 1, 3, 5, 7)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루미러 S10」(두께 50㎛, 도레이사 제조)에 파운틴 롤로 건조 후의 두께가 10um로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 온도 130℃, 건조 시간 30초의 조건에서 큐어해서 건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 상에 점착제층을 제작하였다. 계속해서, 점착제층의 표면에, 한쪽 면에 실리콘 처리를 실시한 두께 25㎛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의 실리콘 처리면을 접합하여, 점착 시트(A)를 얻었다.
(실시예 2, 4, 6, 8, 10, 12, 14, 16, 18, 20, 22, 24, 비교예 2, 4, 6, 8)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루미러 S10」(두께 38um, 도레이사 제조)에 파운틴 롤로 건조 후의 두께가 22㎛로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 온도 130℃, 건조 시간 30초의 조건에서 큐어해서 건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 상에 점착제층을 제작하였다. 계속해서, 점착제층의 표면에, 한쪽 면에 실리콘 처리를 실시한 두께 25㎛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의 실리콘 처리면을 접합하여, 점착 시트(A)를 얻었다.
<압입 에너지의 측정>
다이플라 윈테스사 제조의 「SAICAS DN-20형」을 사용하여, 측정 온도: 25℃, 압입 속도: 5㎛/sec로, 하기 수순에 따라 압입 에너지를 산출하였다.
(수순 1)
얻어진 점착 시트(A)의 점착제층측을 플랫 압자(하중 검출측)에 부착하고, 상기 플랫 압자에 부착한 점착 시트(A)의 기재측을 구형 압자에 압입하여, 20N의 하중이 검출되었을 때의 압입 깊이(㎛)를 산출하였다.
(수순 2)
얻어진 점착 시트(A)의 점착제층측을 슬라이드 글래스에 부착하고, 상기 슬라이드 글래스에 부착한 점착 시트(A)의 기재측(하중 검출측)으로부터 구형 압자로 압입하여, 수순 1에서 구한 압입 깊이까지 압입하였다.
구형 압자에 걸리는 수직 하중 y=f(x)(x: 압입 깊이)로 했을 때, 점착 시트(A)의 점착제층측에 20N이 가해질 때까지의 압입 에너지(W)(μJ)를 하기식에 의해 산출했다(r은 점착 시트(A)의 점착제층측에 20N의 하중이 가해질 때의 압입 깊이).
Figure pat00001
<점착 시트(B)의 제작>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편면을 실리콘으로 박리 처리한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MRF, 미쯔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박리 처리면에 파운틴 롤로 건조 후의 두께가 50㎛로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 온도 130℃, 건조 시간 3분의 조건에서 큐어해서 건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 상에 점착제층을 제작하였다. 계속해서, 점착제층의 표면에, 편면을 실리콘으로 박리 처리한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MRF, 미쯔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당해 필름의 박리 처리면이 점착제층측이 되도록 해서 피복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점착 시트(B)를 제작하였다.
<유리 전이 온도(Tg), 저장 탄성률, 손실 탄성률, tanδ(손실 정접)의 측정>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레오메트릭스사 제조, ARES)를 사용하여, 하기의 방법에 의해 구하였다.
얻어진 점착 시트(B)로부터 점착제층만을 취출하고, 적층해서 약 2mm의 두께로 해서, 이것을 φ7.9mm로 펀칭하여, 원기둥 형상의 펠릿을 제작해서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상기 측정 샘플을 φ7.9mm 패러렐 플레이트의 지그에 고정하고, 상기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에 의해, 저장 탄성률(G'), 손실 탄성률(G")의 온도 의존성을 측정하여, tanδ=G"/G'로서, tnaδ를 산출하였다. 또한, 얻어진 tanδ 커브가 극대가 되는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Tg)(℃)로 하였다.
측정 조건은 하기와 같다.
측정: 전단 모드,
온도 범위: -70℃ 내지 150℃
승온 속도: 5℃/min
주파수: 1Hz
〔제조예 1〕: (메트)아크릴계 중합체(1)
교반 블레이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닛폰 쇼쿠바이사 제조): 100중량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도아 고세사 제조): 4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와코 쥰야꾸 고교사 제조): 0.2중량부, 아세트산에틸: 156중량부를 투입하고, 완만하게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플라스크 내의 액온을 65℃ 부근으로 유지해서 6시간 중합 반응을 행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 55만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1)의 용액(40중량%)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메트)아크릴계 중합체(2)
교반 블레이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닛폰 쇼쿠바이사 제조): 100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오사까 유끼 가가꾸 고교사 제조): 10중량부, 아크릴산(도아 고세사 제조): 0.02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와코 쥰야꾸 고교사 제조): 0.2중량부, 아세트산에틸: 156중량부를 투입하고, 완만하게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플라스크 내의 액온을 65℃ 부근으로 유지해서 6시간 중합 반응을 행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 54만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2)의 용액(40중량%)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메트)아크릴계 중합체(3)
교반 블레이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부틸아크릴레이트(닛폰 쇼쿠바이사 제조): 99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오사까 유끼 가가꾸 고교사 제조): 1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와코 쥰야꾸 고교사 제조): 1중량부, 아세트산에틸: 156중량부를 투입하고, 완만하게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플라스크 내의 액온을 60℃ 부근으로 유지해서 7시간 중합 반응을 행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 160만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3)의 용액(39중량%)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메트)아크릴계 중합체(4)
교반 블레이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부틸아크릴레이트(닛폰 쇼쿠바이사 제조): 92중량부, N-아크릴로일모르폴린(고우진사 제조): 5중량부, 아크릴산(도아 고세사 제조): 2.9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와코 쥰야꾸 고교사 제조): 0.1중량부, 아세트산에틸: 200중량부를 투입하고, 완만하게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플라스크 내의 액온을 55℃ 부근으로 유지해서 8시간 중합 반응을 행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 180만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4)의 용액(33중량%)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메트)아크릴계 중합체(5)
교반 블레이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부틸아크릴레이트(닛폰 쇼쿠바이사 제조): 95중량부, 아크릴산(도아 고세사 제조): 5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와코 쥰야꾸 고교사 제조): 0.2중량부, 아세트산에틸: 156중량부를 투입하고, 완만하게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플라스크 내의 액온을 63℃ 부근으로 유지해서 10시간 중합 반응을 행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 70만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5)의 용액(40중량%)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지환식 구조 함유 (메트)아크릴계 중합체(6)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단독 중합체(폴리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의 유리 전이 온도: 66℃]: 95중량부, 아크릴산: 5중량부, 연쇄 이동제로서 2-머캅토에탄올: 3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 103.2중량부를,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중합계 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70℃로 승온하여, 3시간 반응시키고, 또한 75℃에서 2시간 반응시켜, 중량 평균 분자량 4000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6)의 용액(50중량%)을 얻었다.
〔제조예 6〕: 지환식 구조 함유 (메트)아크릴계 중합체(7)
교반 블레이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기, 적하 깔때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톨루엔: 100중량부, 디시클로펜타닐메타크릴레이트(DCPMA)(상품명: FA-513M, 히타치 가세이 고교사 제조): 60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40중량부 및 연쇄 이동제로서 티오글리콜산메틸: 3.5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리고, 70℃에서 질소 분위기 하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중량부를 투입하여, 70℃에서 2시간 반응시키고, 계속해서 80℃에서 4시간 반응시킨 후에, 90℃에서 1시간 반응시켜, 중량 평균 분자량 4000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7)의 용액(51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1, 2〕
(메트)아크릴계 중합체(1)의 용액에, (메트)아크릴계 중합체(1)의 용액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전체의 고형분이 25중량%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디스퍼로 교반하여,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1)을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3, 4〕
(메트)아크릴계 중합체(1)의 용액에, (메트)아크릴계 중합체(1)의 용액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코로네이트 L(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01중량부, 가교 촉매로서 나셈 제2철(니혼 가가쿠 산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005중량부를 첨가해서, 전체의 고형분이 25중량%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디스퍼로 교반하여,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2)을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5, 6〕
(메트)아크릴계 중합체(1)의 용액에, (메트)아크릴계 중합체(1)의 용액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코로네이트 L(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1중량부, 가교 촉매로서 나셈 제2철(니혼 가가쿠 산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005중량부를 첨가해서, 전체의 고형분이 25중량%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디스퍼로 교반하여,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3)을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7, 8〕
(메트)아크릴계 중합체(1)의 용액에, (메트)아크릴계 중합체(1)의 용액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코로네이트 L(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05중량부, 가교 촉매로서 나셈 제2철(니혼 가가쿠 산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005중량부, (메트)아크릴계 중합체(6)의 용액을 고형분 환산으로 5중량부를 첨가해서, 전체의 고형분이 25중량%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디스퍼로 교반하여,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4)을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9, 10〕
(메트)아크릴계 중합체(1)의 용액에, (메트)아크릴계 중합체(1)의 용액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코로네이트 L(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1중량부, 가교 촉매로서 나셈 제2철(니혼 가가쿠 산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005중량부, (메트)아크릴계 중합체(6)의 용액을 고형분 환산으로 5중량부를 첨가해서, 전체의 고형분이 25중량%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디스퍼로 교반하여,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5)을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11, 12〕
(메트)아크릴계 중합체(1)의 용액에, (메트)아크릴계 중합체(1)의 용액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코로네이트 L(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3중량부, 가교 촉매로서 나셈 제2철(니혼 가가쿠 산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005중량부, (메트)아크릴계 중합체(6)의 용액을 고형분 환산으로 5중량부를 첨가해서, 전체의 고형분이 25중량%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디스퍼로 교반하여,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6)을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13, 14〕
(메트)아크릴계 중합체(1)의 용액에, (메트)아크릴계 중합체(1)의 용액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코로네이트 L(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1중량부, 가교 촉매로서 나셈 제2철(니혼 가가쿠 산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005중량부, (메트)아크릴계 중합체(7)의 용액을 고형분 환산으로 5중량부를 첨가해서, 전체의 고형분이 25중량%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디스퍼로 교반하여,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7)을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15, 16〕
(메트)아크릴계 중합체(1)의 용액에, (메트)아크릴계 중합체(1)의 용액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코로네이트 L(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3중량부, 가교 촉매로서 나셈 제2철(니혼 가가쿠 산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005중량부, (메트)아크릴계 중합체(7)의 용액을 고형분 환산으로 5중량부를 첨가해서, 전체의 고형분이 25중량%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디스퍼로 교반하여,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8)을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17, 18〕
(메트)아크릴계 중합체(2)의 용액에, (메트)아크릴계 중합체(2)의 용액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전체의 고형분이 25중량%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디스퍼로 교반하여,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9)을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19, 20〕
(메트)아크릴계 중합체(2)의 용액에, (메트)아크릴계 중합체(2)의 용액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코로네이트 L(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1중량부, TETRAD-C(미쓰비시 가스 가가꾸사 제조)를 고형분 환산으로 0.05중량부, 가교 촉매로서 나셈 제2철(니혼 가가쿠 산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005중량부를 첨가해서, 전체의 고형분이 25중량%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디스퍼로 교반하여,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10)을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21, 22〕
(메트)아크릴계 중합체(3)의 용액에, (메트)아크릴계 중합체(3)의 용액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코로네이트 L(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02중량부, 가교 촉매로서 나셈 제2철(니혼 가가쿠 산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005중량부를 첨가해서, 전체의 고형분이 25중량%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디스퍼로 교반하여,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11)을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23, 24〕
(메트)아크릴계 중합체(5)의 용액에, (메트)아크릴계 중합체(5)의 용액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TETRAD-C(미쓰비시 가스 가가꾸사 제조)를 고형분 환산으로 0.075중량부, 가교 촉매로서 나셈 제2철(니혼 가가쿠 산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005중량부를 첨가해서, 전체의 고형분이 25중량%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디스퍼로 교반하여,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12)을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25〕
하이브라 5125(쿠라레 제조) 100중량부에 대하여, 전체의 고형분이 25중량%가 되도록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고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13)을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26〕
하이브라 5127(쿠라레 제조) 100중량부에 대하여, 전체의 고형분이 25중량%가 되도록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고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14)을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비교예 1, 2〕
(메트)아크릴계 중합체(1)의 용액에, (메트)아크릴계 중합체(1)의 용액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코로네이트 L(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5중량부, 가교 촉매로서 나셈 제2철(니혼 가가쿠 산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005중량부를 첨가해서, 전체의 고형분이 25중량%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디스퍼로 교반하여,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C1)을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비교예 3, 4〕
(메트)아크릴계 중합체(2)의 용액에, (메트)아크릴계 중합체(2)의 용액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코로네이트 L(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45중량부, TETRAD-C(미쓰비시 가스 가가꾸사 제조)를 고형분 환산으로 0.3중량부, 가교 촉매로서 나셈 제2철(니혼 가가쿠 산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005중량부를 첨가해서, 전체의 고형분이 25중량%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디스퍼로 교반하여,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C2)을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비교예 5, 6〕
(메트)아크릴계 중합체(4)의 용액에, (메트)아크릴계 중합체(4)의 용액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코로네이트 L(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3중량부, 가교 촉매로서 나셈 제2철(니혼 가가쿠 산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005중량부를 첨가해서, 전체의 고형분이 25중량%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디스퍼로 교반하여,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C3)을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비교예 7, 8〕
(메트)아크릴계 중합체(5)의 용액에, (메트)아크릴계 중합체(5)의 용액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TETRAD-C(미쓰비시 가스 가가꾸사 제조)를 고형분 환산으로 0.075중량부, 가교 촉매로서 나셈 제2철(니혼 가가쿠 산교사 제조)을 고형분 환산으로 0.005중량부, (메트)아크릴계 중합체(6)의 용액을 고형분 환산으로 20중량부를 첨가해서, 전체의 고형분이 25중량%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디스퍼로 교반하여,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C4)을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실시예 27〕
실시예 1, 2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1)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A) 및 점착 시트(B) 각각에 대해서, 한쪽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고, 광학 부재인 편광판(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TEG1465DUHC」)에 접착하여, 점착 시트가 접착된 광학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28〕
실시예 3, 4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2)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A) 및 점착 시트(B) 각각에 대해서, 한쪽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고, 광학 부재인 편광판(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TEG1465DUHC」)에 접착하여, 점착 시트가 접착된 광학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29〕
실시예 7, 8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4)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A) 및 점착 시트(B) 각각에 대해서, 한쪽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고, 광학 부재인 편광판(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TEG1465DUHC」)에 접착하여, 점착 시트가 접착된 광학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30〕
실시예 13, 14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7)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A) 및 점착 시트(B) 각각에 대해서, 한쪽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고, 광학 부재인 편광판(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TEG1465DUHC」)에 접착하여, 점착 시트가 접착된 광학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31〕
실시예 17, 18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9)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A) 및 점착 시트(B) 각각에 대해서, 한쪽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고, 광학 부재인 편광판(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TEG1465DUHC」)에 접착하여, 점착 시트가 접착된 광학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32〕
실시예 19, 20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10)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A) 및 점착 시트(B) 각각에 대해서, 한쪽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고, 광학 부재인 편광판(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TEG1465DUHC」)에 접착하여, 점착 시트가 접착된 광학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33〕
실시예 21, 22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11)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A) 및 점착 시트(B) 각각에 대해서, 한쪽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고, 광학 부재인 편광판(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TEG1465DUHC」)에 접착하여, 점착 시트가 접착된 광학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34〕
실시예 23, 24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12)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A) 및 점착 시트(B) 각각에 대해서, 한쪽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고, 광학 부재인 편광판(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TEG1465DUHC」)에 접착하여, 점착 시트가 접착된 광학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35〕
실시예 25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13)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A) 및 점착 시트(B) 각각에 대해서, 한쪽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고, 광학 부재인 편광판(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TEG1465DUHC」)에 접착하여, 점착 시트가 접착된 광학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36〕
실시예 26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14)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A) 및 점착 시트(B) 각각에 대해서, 한쪽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고, 광학 부재인 편광판(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TEG1465DUHC」)에 접착하여, 점착 시트가 접착된 광학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37〕
실시예 1, 2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1)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A) 및 점착 시트(B) 각각에 대해서, 한쪽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고, 전자 부재인 도전성 필름(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엘레크리스타 V270L-TFMP」)에 접착하여, 점착 시트가 접착된 전자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38〕
실시예 3, 4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2)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A) 및 점착 시트(B) 각각에 대해서, 한쪽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고, 전자 부재인 도전성 필름(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엘레크리스타 V270L-TFMP」)에 접착하여, 점착 시트가 접착된 전자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39〕
실시예 7, 8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4)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A) 및 점착 시트(B) 각각에 대해서, 한쪽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고, 전자 부재인 도전성 필름(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엘레크리스타 V270L-TFMP」)에 접착하여, 점착 시트가 접착된 전자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40〕
실시예 13, 14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7)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A) 및 점착 시트(B) 각각에 대해서, 한쪽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고, 전자 부재인 도전성 필름(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엘레크리스타 V270L-TFMP」)에 접착하여, 점착 시트가 접착된 전자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41〕
실시예 17, 18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9)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A) 및 점착 시트(B) 각각에 대해서, 한쪽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고, 전자 부재인 도전성 필름(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엘레크리스타 V270L-TFMP」)에 접착하여, 점착 시트가 접착된 전자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42〕
실시예 19, 20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10)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A) 및 점착 시트(B) 각각에 대해서, 한쪽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고, 전자 부재인 도전성 필름(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엘레크리스타 V270L-TFMP」)에 접착하여, 점착 시트가 접착된 전자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43〕
실시예 21, 22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11)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A) 및 점착 시트(B) 각각에 대해서, 한쪽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고, 전자 부재인 도전성 필름(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엘레크리스타 V270L-TFMP」)에 접착하여, 점착 시트가 접착된 전자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44〕
실시예 23, 24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12)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A) 및 점착 시트(B) 각각에 대해서, 한쪽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고, 전자 부재인 도전성 필름(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엘레크리스타 V270L-TFMP」)에 접착하여, 점착 시트가 접착된 전자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45〕
실시예 25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13)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A) 및 점착 시트(B) 각각에 대해서, 한쪽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고, 전자 부재인 도전성 필름(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엘레크리스타 V270L-TFMP」)에 접착하여, 점착 시트가 접착된 전자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46〕
실시예 26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14)로부터 얻어진 점착 시트(A) 및 점착 시트(B) 각각에 대해서, 한쪽 면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박리하고, 전자 부재인 도전성 필름(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엘레크리스타 V270L-TFMP」)에 접착하여, 점착 시트가 접착된 전자 부재를 얻었다.
본 발명의 응력 분산 필름은, 예를 들어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를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지키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는 보호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 : 플라스틱 필름
20 : 점착제층
100 : 응력 분산 필름

Claims (8)

  1. 플라스틱 필름과 점착제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응력 분산 필름이며,
    해당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가 15㎛ 내지 500㎛이고,
    해당 점착제층이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해당 점착제 조성물이,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알킬에스테르 부분으로서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유래의 단량체 단위(I)와 분자 내에 OH기 및/또는 COOH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래의 단량체 단위(II)를 갖는 중합체(A)를 포함하고,
    해당 점착제 조성물이,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지환식 구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래의 단량체 단위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 30000 미만인 중합체(B)를 포함하고,
    해당 적층체의 플라스틱 필름측으로부터 해당 적층체와 수직 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의 압입 에너지가 260μJ 이상인, 응력 분산 필름.
    CH2=C(R1)COOR2 … (1)
    (화학식 (1)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지환식 구조를 갖는 탄화수소기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가 20㎛ 내지 300㎛인, 응력 분산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1㎛ 내지 300㎛인, 응력 분산 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 중의 NCO기의 몰 함유 비율을 [NCO]로 하고, 해당 점착제 조성물 중의 에폭시기의 몰 함유 비율을 [에폭시]로 하고, 해당 점착제 조성물 중의 OH기의 몰 함유 비율을 [OH]로 하고, 해당 점착제 조성물 중의 COOH기의 몰 함유 비율을 [COOH]로 했을 때, ([NCO]+[에폭시])/([OH]+[COOH])<0.05인, 응력 분산 필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2관능 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또는 에폭시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응력 분산 필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40℃ 내지 150℃의 전체 온도 영역에서의 손실 정접 tanδ가 0.10 이상인, 응력 분산 필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응력 분산 필름을 구비하는 광학 부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응력 분산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 부재.
KR1020187009833A 2016-01-27 2016-08-16 응력 분산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KR101888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13092 2016-01-27
JP2016013092 2016-01-27
JPJP-P-2016-159419 2016-08-16
JP2016159419A JP6151416B1 (ja) 2016-01-27 2016-08-16 応力分散フィルム、光学部材、および電子部材
PCT/JP2016/073903 WO2017130444A1 (ja) 2016-01-27 2016-08-16 応力分散フィルム、光学部材、および電子部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184A Division KR101888811B1 (ko) 2016-01-27 2016-08-16 응력 분산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077A true KR20180038077A (ko) 2018-04-13
KR101888341B1 KR101888341B1 (ko) 2018-08-13

Family

ID=5908200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9833A KR101888341B1 (ko) 2016-01-27 2016-08-16 응력 분산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KR1020187003184A KR101888811B1 (ko) 2016-01-27 2016-08-16 응력 분산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KR1020187022747A KR102035955B1 (ko) 2016-01-27 2016-08-16 응력 분산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184A KR101888811B1 (ko) 2016-01-27 2016-08-16 응력 분산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KR1020187022747A KR102035955B1 (ko) 2016-01-27 2016-08-16 응력 분산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2) JP6151416B1 (ko)
KR (3) KR101888341B1 (ko)
CN (2) CN109181561B (ko)
SG (2) SG10201802306WA (ko)
TW (2) TWI679265B (ko)
WO (1) WO20171304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2701S1 (en) 2019-12-23 2021-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oe care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7186A (zh) 2017-09-28 2020-11-10 日东电工株式会社 增强薄膜
JP6467548B1 (ja) 2017-09-28 2019-02-13 日東電工株式会社 補強フィルム
JP6581694B1 (ja) 2018-06-27 2019-09-25 日東電工株式会社 補強フィルム
JP2020033400A (ja) 2018-08-27 2020-03-05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
JP7111558B2 (ja) 2018-08-27 2022-08-02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
JP6581704B1 (ja) 2018-08-27 2019-09-25 日東電工株式会社 補強フィルム
JP6995033B2 (ja) * 2018-09-27 2022-01-14 日東電工株式会社 補強フィルム
CN111325071A (zh) * 2018-12-17 2020-06-23 上海箩箕技术有限公司 光学粘合料及光学传感器模组
KR20210124207A (ko) 2019-02-01 2021-10-1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중간 적층체, 중간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제품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2020132659A (ja) 2019-02-12 2020-08-31 日東電工株式会社 補強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デバイスの製造方法、ならびに補強方法
TWI779211B (zh) 2019-02-12 2022-10-01 日商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補強膜、裝置之製造方法與補強方法
JP7348727B2 (ja) 2019-02-12 2023-09-21 日東電工株式会社 補強フィルム
KR20200098401A (ko) 2019-02-12 2020-08-2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보강 필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 보강 방법
JP7257165B2 (ja) 2019-02-12 2023-04-13 日東電工株式会社 補強フィルムを備える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補強方法
JP6916836B2 (ja) 2019-05-14 2021-08-11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
JP6803426B2 (ja) 2019-05-14 2020-12-23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196820A (ja) 2019-06-03 2020-12-1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粘着キットおよび積層体
KR102566606B1 (ko) 2021-11-19 2023-08-16 울산과학기술원 표면-계면 절단 분석시스템 기반 고분자 소재 분석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4460A (ja) 2013-06-03 2014-12-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
JP2015067315A (ja) * 2013-09-30 2015-04-13 大王製紙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ロール包装用フィルム及びトイレットロール包装体
JP2015212326A (ja) * 2014-05-02 2015-11-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固定用両面粘着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4834A (ja) * 2000-04-13 2001-10-23 Lintec Corp 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性光学部材
TW554025B (en) * 2000-04-13 2003-09-21 Lintec Corp Adhesive compositions and adhesive optical elements using thereof
US7208206B2 (en) * 2003-03-10 2007-04-24 Nitto Denko Corporation Glass crack prevention lamin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6036843A (ja) * 2004-07-23 2006-02-09 Diatex Co Ltd 耐熱湿粘着剤及び粘着シート
JP4869748B2 (ja) * 2006-03-14 2012-02-08 日東電工株式会社 ガラス保護用粘着シートおよび自動車ガラス用保護フィルム
JP5288733B2 (ja) * 2007-05-31 2013-09-11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5212688B2 (ja) * 2007-10-26 2013-06-19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JP5115218B2 (ja) * 2008-01-30 2013-01-09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JP2012067315A (ja) * 2011-11-02 2012-04-05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接着方法
JP5785489B2 (ja) * 2011-12-27 2015-09-30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ペリクル
JP5844201B2 (ja) * 2012-03-30 2016-01-1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6283355B2 (ja) * 2013-04-11 2018-02-21 綜研化学株式会社 積層体
JP6043240B2 (ja) * 2013-05-13 2016-12-1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電子機器用粘着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4460A (ja) 2013-06-03 2014-12-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
JP2015067315A (ja) * 2013-09-30 2015-04-13 大王製紙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ロール包装用フィルム及びトイレットロール包装体
JP2015212326A (ja) * 2014-05-02 2015-11-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固定用両面粘着テー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2701S1 (en) 2019-12-23 2021-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oe care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79265B (zh) 2019-12-11
CN108138004B (zh) 2021-11-23
KR20180022978A (ko) 2018-03-06
WO2017130444A1 (ja) 2017-08-03
JP6193525B1 (ja) 2017-09-06
CN108138004A (zh) 2018-06-08
TW201900804A (zh) 2019-01-01
SG10201802306WA (en) 2018-04-27
JP6151416B1 (ja) 2017-06-21
KR101888341B1 (ko) 2018-08-13
KR20180091962A (ko) 2018-08-16
CN109181561B (zh) 2019-09-27
JP2017132977A (ja) 2017-08-03
TWI638878B (zh) 2018-10-21
SG11201800572XA (en) 2018-02-27
TW201803955A (zh) 2018-02-01
KR102035955B1 (ko) 2019-10-23
CN109181561A (zh) 2019-01-11
KR101888811B1 (ko) 2018-08-14
JP2017160451A (ja) 201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341B1 (ko) 응력 분산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CN107011834B (zh) 粘合剂组合物、粘合构件、光学构件、及电子构件
JP2006274151A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粘着シート類
CN113831867B (zh) 粘合剂组合物、粘合构件、光学构件、及电子构件
KR20230135083A (ko) 폴더블 디바이스용 광학 점착 시트
WO2023105906A1 (ja) 補強フィルム
WO2022163165A1 (ja) アクリル系粘着剤、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及び、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
WO2022224643A1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アクリル系粘着剤、粘着フィルム、および、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
WO2022163166A1 (ja) アクリル系粘着剤シート、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及び、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
JP6984519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2023131575A (ja) 補強フィルム
KR20230136536A (ko) 광학 점착 시트
JP2023131574A (ja) 補強フィルム
KR20230144532A (ko) 광학 점착 시트
KR20230098044A (ko) 광학 점착 시트
KR20230136537A (ko) 광학 점착 시트
KR20230136539A (ko) 광학 점착 시트
KR20230098040A (ko) 광학 점착 시트
KR20230098039A (ko) 광학 점착 시트
KR20230137906A (ko) 폴더블 디바이스용 광학 점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