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742A - 캡슐화된 안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캡슐화된 안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742A
KR20180036742A KR1020187005663A KR20187005663A KR20180036742A KR 20180036742 A KR20180036742 A KR 20180036742A KR 1020187005663 A KR1020187005663 A KR 1020187005663A KR 20187005663 A KR20187005663 A KR 20187005663A KR 20180036742 A KR20180036742 A KR 20180036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resin masterbatch
stabilizer
masterbatch composition
out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1063B1 (ko
Inventor
디난드 테이하우스
에르윈 테이하우스
조셉 코자키에비츠
제리 몬 헤이 엥
램 비. 굽타
데이비드 반진
쉐일리시 메지무다
Original Assignee
사이텍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텍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사이텍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36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6Polymer particles coated by polymer, e.g. core shell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08K5/3435Piperid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 C08K5/4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with oxygen or nitrogen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0Encapsul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08L33/2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mide or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5/00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6Auxiliary treatment of granules
    • B29B2009/166Deforming granules to give a special form, e.g. spheroidizing, rou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29B9/14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fibre-reinforc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4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4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4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4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4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J24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0/00Masterbatches

Abstract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코어와, 이 코어를 캡슐화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외부 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외부 층은 두께가 0.001 ㎜ 내지 1 ㎝인,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이 말단 폐쇄형 펠릿으로서 제공된다. 안정화 조성물은 안정화되는 유기 재료와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다.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중합체를 포함하는 외부 층에 의해 캡슐화된,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코어 재료를 튜브형으로 공압출하여, 충전된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충전된 튜브를 다수의 불연속 분절 밀봉체들로 절단함과 동시에 각각의 불연속 분절의 각 말단을 밀봉하는 밀봉 장치에, 상기 충전된 튜브를 통과시켜 말단 폐쇄형 펠릿을 제조하는 단계; 및 말단 폐쇄형 펠릿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캡슐화된 안정제 조성물
본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공기(산소), 잔여 촉매, 기계적 스트레스, 열, 및 광선으로 인한 유해 환경으로부터 유기 중합체(플라스틱)를 보호하기 위한 안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중합체 첨가제(안정제) 농축물에 관한 것으로, 이는 끈적이는, 유연한, 및/또는 점성이 있는 특성이 있고, 합성 열가소성 중합체 매트릭스 내에 캡슐화되고, 그리고 선적, 취급, 보관 및 가공에서 개선된 특징을 제공한다.
공기(산소), 잔여 촉매, 기계적 스트레스, 열, 및 광선으로부터의 해로운 영향 때문에 유기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 및 중합체 물품이 분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중합체 안정화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많은 기술이 개발되어왔고, 여기서 이들 첨가제는 유기 재료와 혼합된다. 안정제는 몇 가지 상이한 화합물 군들, 예컨대 항산화제, 오존분해방지제, 온도 또는 열 안정제, 자외(UV) 광선 안정제, UV 흡수제, 계면활성제, 고밀도화 보조제, 분산제, 안료, 금속 산화물, 황화에스테르, 니켈 화합물, 유리 라디칼 억제제, 정전기 방지제, 흐림 방지제 및 부식 방지제를 포함한다. 다수의 경우, 최적의 보호 효과를 얻기 위해서 각각이 임의의 유형의 분해에 대하여 최대의 보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특별히 선택되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이 종종 사용된다.
비록 이러한 임의의 안정제들이 중합 과정 중에 첨가될 수 있지만, 이 접근법은 다른 첨가제의 혼입을 위해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판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 과정의 효율은 중합 촉매와 안정제(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불리하게 영향받을 수 있고, 미지의 중합체 안정제는 중합 과정에 사용된 기타 첨가제와 비혼화성을 보일 수 있고, 및/또는 중합체의 후속 처리는 이러한 초기 단계에 혼입된 안정제의 존재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미리 제조된 안정제 배합물이 포함되어 있는 추가의 "시스템" 중에 사용될 수 있는 안정제들을 혼입하는 한 가지 방법은, 이것들을, 후처리 반응기 압출 작업 동안 안정화될 중합체와 혼합하는 것이다. 배합 작업을 가속화하기 위해, 그래뉼 형태의 안정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다수의 안정제가 공급 호퍼(feed hopper)에 케이크(cake)를 형성하거나 랫트 홀(rat-hole)들을 생성할 수 있고, 및/또는 계량 장비를 통해 고르지 못하게 공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종종 중합체 제조에 사용되는 임의의 안정제는 취급 및 배합 작업 동안 유해한 공기 운반 분진을 생성할 수 있다. 분말형 첨가제는 플라스틱 산업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스템 내에서 운반하기가 어렵고, 운반하는 동안 다량의 분말이 손실된다. 분말형 첨가제는 또한 분진이며, 이는 분진 폭발(dust explosion) 가능성 및 이 분진을 흡입하거나 피부가 분진과 접촉하게 되는 작업자들에 대한 건강 손상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분말은 정확하게 계량하기 어렵다. 따라서 개별 첨가제 성분들을 100% 채우는 것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는데, 예컨대 분진, 다수의 첨가제를 위한 다수의 호퍼/공급장치, 첨가제를 녹이는 고온 장비로 인한 끈적임, 불균질성을 야기하는 개별적인 몇 가지 성분들의 첨가, 중합체 내의 첨가제 응집/불량한 분산, 보관 시 응집 및 선적 시 응집이다. 다른 한편, 미리 제조한 첨가제 배합물을 채워넣는 것은 분산을 개선하고, 필요 공급 시스템을 더 적게 할 수 있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문제점이 몇 가지 있는데, 예컨대 회전 시 분진, 높은 장비(호퍼) 온도로부터의 끈적임, 미리 제조한 첨가제로부터 첨가제의 유출, 보관 시 응집 및 선적 시 응집이다.
또 다른 방법은 우선 안정제 농축물, 안정제와 열가소성 중합체의 예비 배합물을 제조하는 것으로, 이는 안정제를 높은 수준으로 함유하여, 그럼으로써 마스터배치(masterbatch) 또는 농축물(concentrate)로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상이나 페이스트상의 첨가제와 함께, 마스터배치 또는 농축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기술인데, 이러한 물리적 형태를 갖는 첨가제의 순수한 사용은 빈번히 주입 문제들을 야기하고, 종종 특수 계량 펌프나 기타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첨가제 농도가 마스터배치 중에 약 15 중량%를 초과하는 중합체 첨가제 농축물을 수득하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마스터배치 기술은, 특히 첨가제가 용융점이 낮거나, 페이스트상 또는 왁스질일 때, 첨가제들의 유출/누출 및 높은 장비 온도로부터의 끈적임 문제를 여전히 갖는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마스터배치의 사용은, 호퍼 내 브리징(bridging)으로 인해 낮은 처리량을 초래하고, 이는 궁극적으로 가공 시간을 증가시킨다.
마스터배치 중 낮은 첨가제 농도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유럽특허출원공보 제259,960 A2호는, 액상, 페이스트상 또는 왁스질의 저 용융점 고체 첨가제에 대한 흡수제로서, 미립자형 고체, 바람직하게는 실리카를 사용하여, 이러한 농축물 중 중합체 첨가제의 백분율을 대폭 증가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때 로딩(loading)된 흡수제는 이러한 첨가제를 15 중량% 내지 80 중량% 함유하는 초고도 농축물이 제조되는 그러한 조건 하에서 적합한 중합체와 배합된다. 그러나 EP 259,960의 중합체 첨가제 농축물은 액상, 페이스트상 또는 왁스질 첨가제의 로딩량이 대폭 증가한 마스터배치를 제공할 것이지만, 이러한 농축물과 관련해서 몇 가지 단점들이 있다. 특히 이러한 농축물이, 투명한 필름 내로 압출되는 중합체 내로 다운로드되면, 실리카(또는 기타 미립자형 충전제)는 완성된 필름의 투명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보다 최근에는, SKIN TECHNOLOGYTM(Addcomp Holland B.V.사)는 마스터 배합 접근법의 문제들 중 몇 가지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 추가 층과 외부 보호층을 특징으로 하는 2층 접근법을 사용한다. SKIN TECHNOLOGYTM에 의해 안정제를 충전하는 것은 어느 정도 마스터배치 배합물들의 유출 문제를 해결하고, 펠릿 응집의 제거를 주장한다. 그러나, 보관, 운송 또는 사용 동안 누출은 감소하였지만, 개방형/절단형 말단으로 인해 누출은 여전히 큰 부분을 차지한다. SKIN TECHNOLOGYTM를 사용하여 제조된 통상의 제품을 도시하는 도 1이 참고된다. 이는 액상, 페이스트상 또는 왁스질의 성질을 갖고, 또는 고체일 경우 용융점이 낮은 첨가제의 경우 특히 사실이다. 또한, 통상적인 안정제의 농도는 약 25%이다.
따라서, 다수의 중합체 안정화 첨가제의 균질성을, 선행 기술에 의해 제공되는 농도 수준보다 높은 농도 수준에서 달성(하여, 따라서 중합체 재료 중 개선된 분산성 및 가공성을 제공)하고, 페이스트상이거나, 왁스질이거나 또는 용융점이 낮은 첨가제의 유출로 인한 보관 및 선적 시의 응집이 경감된 마스터배치 전달 시스템은 당업계에서 유용한 기술상의 진보가 될 것이고, 중합체 산업에서의 신속한 수용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다수의 안정제의 균질성을, 선행 기술의 시스템 또는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더 높은 농도 수준에서 달성하고, (따라서, 중합체 재료 중 개선된 분산성 및 가공 시간을 제공하고,) 페이스트상이거나, 왁스질이거나 또는 용융점이 낮은 첨가제의 유출로 인한 끈적거림에서 기인한 보관 및 선적 시의 응집이 경감된 마스터배치 전달 시스템이 현재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유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마스터배치 전달 시스템의 첨가제들이 캡슐화되어, 유출되지 않게 되거나, 마스터배치를 끈적이도록 만들지 않고, 따라서 가공 장비, 예컨대 호퍼 및 압출기가 막히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처리량, 특히 페이스트상이나 왁스질의 첨가제, 또는 용융점이 낮은 첨가제의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분진을 발생시키지 않고, 누출이 일어나지 않으며, 취급,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한 캡슐화 개별 안정화 첨가제 또는 순수 첨가제 안정제 조성물들의 배합물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캡슐화된 안정제들은 압출기 또는 기타 장치에 용이하게 공급되고, 여기에서 용융된 중합체 흐름에 혼입된다. 이 단계에서, 캡슐화된 안정제는 제조되는 중합체 수지에 적당한 안정제 기능성을 부여하거나 이 중합체 수지를 안정화하는 데 있어서 궁극의 최종 용도 수준으로 희석된다. 이와 같은 캡슐화된 안정제 배합물들은 또한 이것들이 고체 중합체에 직접 공급되어 기본 중합체와 물리적으로 배합된 후 최종적으로 용융, 혼합 및 펠릿화될 때, 또는 제조되는 중합체 수지용인 궁극의 용융, 혼합 및 펠릿화 장치에 동시에 공급될 때 유용할 수 있다. 캡슐화제 재료는 이것이 수지에 혼입된 후 중합체 수지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되거나, 비활성 및 비 유출성이 되므로, 본 발명의 캡슐화된 안정제는 궁극의 최종 용도나 제조물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코어와 이 코어를 캡슐화하는 중합체를 갖는 외부 층을 갖는 말단 폐쇄형 펠릿(Closed End Pellet; CEP)으로서 제공되는, 캡슐화된 마스터배치 안정제 조성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코어는 적어도 1종의 안정제를 함유한다. 코어를 캡슐화하는 외부 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주로 중합체를 포함하고, 코어를 구성하는 재료는 주로 안정화 첨가제를 포함할 때, 임의의 구현예에서 외부 층은 또한 안정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코어는 중합체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이 고려된다. 임의의 구현예에서, 코어 중 안정화 첨가제는 외부 층 중 안정화 첨가제와 동일할 수 있다. 중합체 재료에 대해서도 동일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코어 중 중합체 재료는 외부 층 중 중합체 재료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오로지 농도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중합체 외부 층과 코어 마스터배치 안정제 조성물을 공압출하여 튜브를 형성하여, 말단 폐쇄형 펠릿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코어는 외부 층에 의해 캡슐화되고, 튜브를 다수의 불연속적 분절들로 동시에 밀봉 및 절단하는 수단에 충전된 튜브를 통과시키고, 이 분절들을 냉각하고, 그럼으로써 안정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다수의 캡슐화된 펠릿을 제조하며, 여기서 펠릿은 이 펠릿이 만들어진 튜브의 각 말단(폐쇄형 말단)에서 밀봉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즉, 말단 폐쇄형 펠릿)을 고려한다.
임의의 구현예에서, 말단 폐쇄형 펠릿 조성물의 직경과 튜브의 벽 두께는 상이한 압출 다이 치수를 이용할 때 바뀔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중합체 물품으로의 성형(moulding)/컴파운딩(compounding); 수계 코팅 또는 용제계 코팅; 태양광 패널 제조; 그리고 잉크에 사용되기 위한, 말단 폐쇄형 펠릿 안정제 조성물의 다양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목적, 특징 및 이점과,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와 연계하여 하기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 SKIN TECHNOLOGYTM가 사용되어 제조된 원통형 펠릿.
도 2 - 본 발명에 따른 말단 폐쇄형 펠릿(CEP).
도 2a - 페노티아진의 상이한 형태들, 분말(좌측), 프릴(폴리스티렌 중 컴파운딩, 중앙), 및 말단 폐쇄형 펠릿(폴리스티렌 캡슐화제 사용, 우측).
도 2b - 상이한 크기의 폴리스티렌-캡슐화된 페노티아진(CEP).
도 3의 A 내지 I - 압출기의 공급-스로트 브리징에 대한 말단 폐쇄형 펠릿(CEP)의 효과. 도 3의 A 내지 C: CYASORB® UV-3853S 플레이크 마스터배치로서, (A) 개시 시; (B) 90℉ 내지 100℉에서 1 시간 경과 시; (C) 압출기 스크루 회전 후. 도 3의 D 내지 F: CYASORB® UV-3853 PP5 원통형 펠릿 마스터배치로서, (D) 개시 시; (E) 90℉ 내지 100℉에서 1 시간 경과 시; (F) 압출기 스크루 회전 후; 도 3의 G 내지 I: CYASORB® UV-3853 70% CEP 마스터배치로서, (G) 개시 시; (H) 90℉ 내지 100℉에서 1 시간 경과 시; (I) 압출기 스크루 회전 후.
도 4a 내지 도 4b - 첨가제들의 응집에 관한 비교 연구. 도 4a의 1 내지 3: PP를 포함하는 CYASORB® UV-3853 CEP로서, (1) 50% CYASORB® UV-3853; (2) 60% CYASORB® UV-3853; 및 (3) 70% CYASORB® UV-3853; 도 4b의 1 내지 3: (1) CYASORB® UV-3853S 플레이크 마스터배치; (2) CYASORB® UV-3853PP5 둥근형의 펠릿; 및 (3) CYASORB® UV-3853PP5 원통형 펠릿.
도 5의 A 내지 I - 운송 중 이쇄성에 관한 평가(진탕기 시험). 도 5의 A: PP를 포함하는 50% CYASORB® UV-3853 CEP; 도 5의 B: PP를 포함하는 60% CYASORB® UV-3853 CEP; 도 5의 C: PP를 포함하는 70% CYASORB® UV-3853 CEP; 도 5의 D: PE를 포함하는 50% CYASORB® UV-3853 CEP; 도 5의 E: PE를 포함하는 70% CYASORB® 3853 CEP; 도 5의 F: SAN을 포함하는 60% CYASORB® UV-3853 CEP; 도 5의 G: CYASORB® UV-3853S 플레이크 마스터배치(LDPE 중 50% 활성); 도 5의 H: CYASORB® UV-3853PP5 둥근형의 펠릿(PP 중 50% 활성); 도 5의 I: CYASORB® 3853 PP5 원통형 펠릿(PP 중 50% 활성).
도 6 - 압출 헤드 및 본 발명에 따른 말단 폐쇄형 펠릿 제조의 개략적 도해.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캡슐화된 첨가제들의 신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캡슐화된 첨가제들은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코어 재료와, 코어 재료를 완전히 캡슐화하는 중합체 재료를 갖는 외부 층을 포함한다. 본 캡슐화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케톤, 폴리아미드, 천연 및 합성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삼량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삼량체,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셀룰로스 중합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케톤, 지방족 폴리케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이다. 코어 재료를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HALS), 자외선 흡수제, 페놀계 항산화제, 힌더드 벤조에이트, 3-아릴벤조푸라논, 크로만 기반 화합물,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하이드록실아민, 아민 옥사이드, 계면활성제, 고밀도화 보조제, 분산제, 유기포스파이트, 안료, 금속 산화물, 유기포스포나이트, 황화에스테르, 니켈 화합물, 유리 라디칼 억제제, 정전기 방지제, 부식 방지제, 촉매, 금속 추출 용제, 광 개시제, 가교제; 및 이들 중 임의의 2종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1종의 안정제를 포함하는 코어 재료, 및 이 코어 재료를 완전히 캡슐화하는 중합체 재료를 갖는 외부 층을 포함하는, 캡슐화된 안정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동시에 압출기의 한 부분 내에 외부 층용 중합체를 공급하고, 동일 압출기의 다른 부분 내에 코어 재료를 공급하여 이 외부 층과 코어를 공압출하는 것에 의해, 중합체 재료로 구성되고 적어도 1종의 안정화 첨가제를 갖는 코어 재료로 충전된 튜브를 공동 성형함으로써, 코어 재료로 충전된 중합체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충전된 튜브는 이후 밀폐 장치(예컨대 톱니바퀴)를 통과하여 밀봉되고, 여기에서 톱니바퀴는 코어 재료로 충전된 중합체 튜브를 밀봉/용접함과 동시에 다수의 불연속 분절로 절단한다. 그 다음, 이 분절들은 냉각되고, 그 결과 안정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다수의 캡슐화된 펠릿이 제조되는데, 이 경우 펠릿은, 이 펠릿의 기원이 되는 튜브의 각 말단(폐쇄형 말단)에서 밀봉된다. 이후 건조된 펠릿은 세퍼레이터를 통과하면서 포장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캡슐화된 안정제를 중합체에 혼입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캡슐화된 안정제는, 예컨대 캘린더, 혼합기, 니더(kneader), 압출기 등과 같은 장치가 사용되어 중합체와 혼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안정화될 중합체와 혼합된, 캡슐화된 안정제의 신규 조성물을 제공한다.
캡슐화된 CEP 중 기본 안정제(들)의 양은 약 20 중량% 내지 약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30 중량% 내지 약 90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캡슐화된 안정제는 중합체 수지 제조 방법, 특히 중합 후에, 용융된 중합체 흐름에 캡슐화된 안정제를 도입하기 위해 중합체가 용융되는 압출기 또는 기타 장치에 중합체가 공급되는 중합체의 제조에 유용하다. 이러한 안정제는 중합체의 특성들을 유지 및 개선하는 데, 그리고 상기 중합체에 기능 또는 기타 성능상 특징들을 부가하는 데 필수적이다.
말단 폐쇄형 펠릿(CEP)에 대한 본 발명은 펠릿의 이쇄성 또는 마손 특성을 제거한다. 이쇄성과 마손성이란 일반적으로 동일 현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여기서 펠릿은 펠릿의 운송 동안 그것의 용기 내부에 미세 분말을 생성할 수 있다. 매우 작은 미세 분말들이 생성되므로, 이쇄성 또는 마손성에 대한 내성은 매우 요망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들과 기타 양태들은 본원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하기 용어 및 정의들이 독자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용어, 개념 및 기타 과학 용어는 화학 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과 본원에 첨부된 청구항들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형은 내용이 달리 명확하게 지정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 대상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및 본원에 첨부된 청구항들에 사용된 바와 같이, 임의의 양 또는 농도 범위에 대한 개시내용은 주어진 범위 내의 임의의 양 또는 값에 대한 개시내용을 포함한다.
약어 "MB"는 첨가제와 중합체의 농축 배합물인 "마스터배치"를 지칭하고; "원통형 펠릿", 또는 "스킨"은 부분 캡슐화된 안정제, 즉 열가소성 중합체의 원통형 외피로 캡슐화되지만, 개방형 말단을 가지는 것으로서, SKIN TECHNOLOGYTM(Addcomp Holland B.V.사)로 공지된 안정제를 지칭하며; "CEP"는 "말단 폐쇄형 펠릿", 또는 각각의 튜브 양 말단이 밀봉된, 중합체로 캡슐화된 안정제를 지칭하고; "PP"는 폴리프로필렌을 지칭하며; "PPC"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지칭하고, "PE"는 폴리에틸렌을 지칭하며, "LDPE"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지칭하고; 그리고 "SAN"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지칭한다. 모든 %는 내용 중 달리 지정되지 않는 한 중량/중량 %(wt.%)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용어들 및 치환기들은 자체의 정의를 갖는다. 유기 화학자들(즉 당업자)에 의해 사용되는 약어의 포괄적 목록은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각 권의 첫 호에 기재되어 있다. 통상 "약어 표준 목록"이라는 제목의 표에 제시된 목록은 본원에 참고로서 첨부되어 있다.
"하리드로카르빌"이라는 용어는, 모두 탄소인 골격을 가지고, 탄소 및 수소 원자들로 구성된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기들을 포함하는 일반 용어이다.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이 탄소 골격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들은 특정 원자 또는 원자군, 예컨대 하나 이상의 N, O 및/또는 S의 이종 원자에 의해 치환될 수 있거나 중단될 수 있다. 하이드로카르빌기의 예들은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케닐, 카르보사이클릭 아릴, 알케닐, 알키닐, 알킬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사이클로알케닐알킬, 및 카르보사이클릭 아랄킬, 알카릴, 아랄케닐 및 아랄키닐 기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이드로카르빌기들은 또한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치환기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발명의 설명과 청구범위에 언급된 화학 기 또는 부(moiety)는 치환 또는 비 치환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기술된 실시예 및 선호도는 또한 내용 중 달리 지정되지 않는 한 본원에 기술된 화학식을 가지는 화합물에 대한 치환기의 다양한 정의에서 언급된 하이드로카르빌 치환기 또는 하이드로카르빌 함유 치환기 각각에 적용된다.
바람직한 비 방향족 하이드로카르빌기는 포화된 기, 예컨대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 기이다. 일반적으로, 그리고 예시적인 방법에 의해, 하이드로카르빌기는, 내용 중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50 개까지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다. 탄소 원자를 1 개 내지 30 개 갖는 하이드로카르빌기가 바람직하다. 탄소 원자를 1 개 내지 30 개 가지는 하이드로카르빌기의 하위 세트 가운데, 구체 예들은 C1 -20 하이드로카르빌기, 예컨대 C1-12 하이드로카르빌기(예컨대 C1 -6 하이드로카르빌기 또는 C1 -4 하이드로카르빌기)이고, 구체 예들은 C1 내지 C30 하이드로카르빌기들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개별 항목 또는 항목들의 조합이다.
알킬은 선형, 분지형 또는 사이클릭 탄화수소 구조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저급 알킬이란, 탄소 원자 1 개 내지 6 개로 이루어진 알킬기를 지칭한다. 저급 알킬기의 예들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 및 t-부틸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알킬기는 C30 이하의 것들이다.
알콕시 또는 알콕시알킬은, 산소 원자를 통하여 모 구조에 결합하고 있는, 직쇄, 분지쇄, 사이클릭 입체구조 및 이들의 조합의 탄소 원자 1 개 내지 20 개로 이루어진 기를 지칭한다. 예들은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사이클로프로필옥시, 사이클로헥실옥시 등을 포함한다.
아실은, 포르밀과, 카르보닐 작용기를 통하여 모 구조에 결합하고 있는, 선형, 분지형, 사이클릭 입체구조, 포화, 불포화 및 방향족, 그리고 이들의 조합의 탄소 원자 1, 2, 3, 4, 5, 6, 7, 8, 9, 10, 11 및 12 개로 이루어진 기를 지칭한다. 예들은 아세틸, 벤조일, 프로피오닐, 이소부티릴, tert-부톡시카르보닐, 벤질옥시카르보닐 등을 포함한다. 저급 아실은 탄소를 1 개 내지 6 개 함유하는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카르보사이클릭" 또는 "사이클로알킬" 기란 용어는, 내용 중 달리 지정되지 않는 한, 방향족 고리 계 및 비 방향족 고리 계 둘 다를 포함할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용어는 그 범위 내에 방향족, 비 방향족, 불포화, 부분 포화 및 완전 포화 카르보사이클릭 고리 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는 모노사이클릭 또는 비사이클릭일 수 있으며, 예컨대 3 개 내지 12 개의 고리 원, 더욱 일반적으로는 5 개 내지 10 개의 고리 원을 함유할 수 있다. 모노사이클릭 기의 예들은 3, 4, 5, 6, 7 및 8 개의 고리 원, 보다 일반적으로는 3 개 내지 7 개의 고리 원, 바람직하게는 5 개 또는 6 개 고리 원을 함유하는 기이다. 비사이클릭기의 예들은 8, 9, 10, 11 및 12 개의 고리 원, 보다 일반적으로는 9 개 또는 10 개의 고리 원을 함유하는 것들이다. 비 방향족 카르보사이클/사이클로알킬 기의 예들은 c-프로필, c-부틸, c-펜틸 및 c-헥실 등을 포함한다. C7 내지 C10 폴리사이클릭 탄화수소의 예들은 고리 계, 예컨대 노르보닐 및 아다만틸을 포함한다.
아릴(카르보사이클릭 아릴)은, 비사이클릭 9-원 또는 10-원 방향족 고리 계; 또는 트리사이클릭 13-원 또는 14-원 방향족 고리 계;를 함유하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카르보사이클 고리를 지칭한다. 방향족 6-원 내지 14-원 카르보사이클릭 고리는, 예컨대 치환 또는 비 치환 페닐기, 벤젠, 나프탈렌, 인단, 테트랄린, 및 플루오렌을 포함한다.
치환된 하이드로카르빌, 알킬, 아릴, 사이클로알킬, 알콕시 등이란, 각각의 잔기 중 3 개까지의 H 원자가 알킬, 할로겐, 할로알킬, 하이드록시, 알콕시, 카르복시, 카르보알콕시(알콕시카르보닐이라고도 지칭됨), 카르복사미도(알킬아미노카르보닐이라고도 지칭됨), 시아노, 카르보닐, 니트로, 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머캅토, 알킬티오, 설폭사이드, 설폰, 아실아미노, 아미디노, 페닐, 벤질, 할로벤질, 헤테로아릴, 페녹시, 벤질옥시, 헤테로아릴옥시, 벤조일, 할로벤조일, 또는 저급 알킬하이드록시로 치환되는 특정의 치환기를 지칭한다.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의 약칭이다.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은, 코어와 이 코어를 캡슐화하는 외부 층을 포함하는 말단 폐쇄형 펠릿으로서 제공되며, 여기서 코어는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외부 층은 중합체를 포함하며, 외부 층의 두께가 0.001 ㎜ 내지 1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어를 캡슐화하는 데 사용되는 외부 층은 중합체이다. 중합체는 열가소성 중합체, 열 경화성 중합체,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 생체 분해성 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합체는 열가소성 중합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케톤, 폴리아미드, 천연 및 합성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삼량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삼량체,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셀룰로스 중합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이다.
또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중합체는 i)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트-1-엔, 폴리-4-메틸펜트-1-엔으로부터 선택된 모노올레핀들의 중합체; ii)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부타디엔으로부터 선택된 디올레핀; iii) 사이클로펜텐 및 노르보넨으로부터 선택된 사이클로올레핀들의 중합체; iv) 선택적으로 가교된 폴리에틸렌, 고 밀도 폴리에틸렌(HDPE), 고 밀도 및 고 분자량 폴리에틸렌(HDPE-HMW), 고 밀도 및 극 고 분자량 폴리에틸렌(HDPE-UHMW), 중 밀도 폴리에틸렌(MDPE), 저 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 밀도 폴리에틸렌(LLDPE), 초 저 밀도 폴리에틸렌(VLDPE) 및 극 저 밀도 폴리에틸렌(ULDPE)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에틸렌; v) 이들의 공중합체; 및 vi)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원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중합체는 생체 분해성 중합체일 수 있다. 생체 분해성 중합체의 예들은 폴리락트산,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헥사노에이트,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테르, 폴리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렌 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합체는 수용성 중합체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이다. 수용성 중합체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의 예들은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구아,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카프로락탐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하이드록시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이미다졸,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하이드록시에티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합체는 적어도 1종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PC)이다.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일 수 있고,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또는 내 충격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스티렌이다.
중합체를 포함하는 캡슐화 외부 층은 튜브 형태를 가진다. 외부 층의 두께는 0.001 ㎜ 내지 1 ㎝, 바람직하게는 0.001 ㎜ 내지 1 ㎜이다. 말단 폐쇄형 펠릿의 치수는 길이 0.1 ㎝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0.2 ㎝ 내지 5 ㎝이다. 코어 재료는 실온에서 고체, 반고체, 왁스질 또는 액체일 수 있고, 여기서 실온은 25℃로 정의된다.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코어 재료는 말단 폐쇄형 펠릿의 총 중량의 10 중량% 내지 95 중량%, 20 중량% 내지 95 중량%, 또는 30 중량% 내지 90 중량%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코어 재료는 말단 폐쇄형 펠릿의 총 중량의 40 중량% 내지 80 중량% 존재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코어 재료는 캡슐화된 조성물의 총 중량의 50 중량% 내지 70 중량% 존재한다.
코어 재료 조성물은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포함한다. 첨가제의 예들은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HALS), 자외선 흡수제, 페놀계 항산화제, 힌더드 벤조에이트, 3-아릴벤조푸라논, 크로만,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하이드록실아민, 아민 옥사이드, 계면활성제, 고밀도화 보조제, 분산제, 유기 포스파이트, 안료, 금속 산화물, 유기 포스포나이트, 황화에스테르, 니켈 화합물, 유리-라디칼 중합 억제제, 정전기 방지제, 부식 방지제, 촉매, 금속 추출 용제, 광 개시제, 가교제; 그리고 이들 중 임의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1종의 첨가제는 안정제를 포함한다. 안정제는 적어도 1종의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HALS), 유기 포스파이트 또는 포스포나이트, 힌더드 페놀, 크로만, 자외선(UV) 흡수제, 힌더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실아민, 3차 아민 옥사이드, 및 유리 라디칼 중합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HALS)"는 하기 화학식 I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식 중,
R62는 수소; OH; C1-C20 하이드로카르빌; -CH2CN; C1-C12 아실; 및 C1-C18 알콕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원으로부터 선택되고;
R65는 수소; 및 C1-C8 하이드로카르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원으로부터 선택되며; 및
R60, R61, R63, 및 R6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20 하이드로카르빌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60 및 R61 및/또는 R63 및 R64는 이것들이 결합하고 있는 탄소와 함께 취하여져, C5-C10 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함);
또는
하기 화학식 II
[화학식 II]
Figure pct00002
(상기 식 중,
m은 1 내지 2의 정수이고;
R39는 수소; OH; C1-C20 하이드로카르빌; -CH2CN; C1-C12 아실; 및 C1-C18 알콕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원으로부터 선택되며;
G1 내지 G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20 하이드로카르빌로부터 선택됨)
의한 분자 단편을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는, 바람직하게는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 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 숙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딘-4-일) 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 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딘-4-일) n-부틸 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2-하이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 및 숙신산의 축합물;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 스테아레이트;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 도데카네이트; 1,2,2,6,6-펜타메틸피페리딘-4-일 스테아레이트; 1,2,2,6,6-펜타메틸피페리딘-4-일 도데카네이트;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헥사메틸렌디아민 및 4-tert-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물; 트리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4-벤조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2-n-부틸-2-(2-하이드록시-3,5-디-tert-부틸벤질)말로네이트; 3-n-옥틸-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 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 숙시네이트;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헥사메틸렌디아민 및 4-모폴리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물(CYASORB® UV-3346); 2-클로로-4,6-비스(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 및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물; 2-클로로-4,6-비스(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 및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물;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피롤리딘-2,5-디온; 3-도데실-1-(1-에타노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피롤리딘-2,5-디온; 3-도데실-1-(1,2,2,6,6-펜타메틸피페리딘-4-일)피롤리딘-2,5-디온; 4-헥사데실옥시- 및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혼합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헥사메틸렌디아민 및 4-사이클로헥실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 및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축합물; 2-운데실-7,7,9,9-테트라메틸-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옥소-피페라지닐-트리아진; 7,7,9,9-테트라메틸-2-사이클로운데실-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반응 생성물;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부탄-1,2,3,4-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에스테르;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1,2,2,6,6-펜타메틸-4-피페르디닐 트리데실 에스테르;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트리데실 에스테르;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2,2,6,6-테트라메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3,9-디에탄올과의 중합체,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 에스테르;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2,2,6,6-테트라메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3,9-디에탄올과의 중합체, 2,2,6,6-테트라메틸-4-피페르디닐 에스테르; 비스(1-운데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카르보네이트; 1-(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르디놀; 1-(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폭시)-4-옥타데카노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4-옥타데카노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1-일옥시)-2-옥타데카노일옥시-2-메틸프로판; 1-(2-하이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르디놀; 1-(2-하이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르디놀 및 디메틸 숙시네이트의 반응 생성물; 2,2,4,4-테트라메틸-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헤네이코산-21-온; 고급 지방산, 예컨대 C12 -21-포화 및 C18-불포화 지방산과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의 에스테르(CYASORB® UV-3853);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1H-피롤-2,5-디온, 1-옥타데실-, (1-메틸에테닐)벤젠과 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1H-피롤-2,5-디온과의 중합체; 피페라지논, 1,1',1"-[1,3,5-트리아진-2,4,6-트리일트리스[(사이클로헥실이미노)-2,1-에탄디일]]트리스[3,3,5,5-테트라메틸-; 피페라지논, 1,1',1"-[1,3,5-트리아진-2,4,6-트리일트리스[(사이클로헥실이미노)-2,1-에탄디일]]트리스[3,3,4,5,5-펜타메틸-:; 7,7,9,9-테트라메틸-2-사이클로운데실-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반응 생성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헥사메틸렌디아민 및 4-사이클로헥실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 및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축합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헥사메틸렌디아민 및 4-모폴리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물; 2-클로로-4,6-비스(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 및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물; 2-클로로-4,6-비스(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 및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물; 2-[(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4,6-비스[N-(1-사이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 프로판디온산, [(4-메톡시페닐)-메틸렌]-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 에스테르;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벤젠프로판산, 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 1-[2-[3-[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페닐]-1-옥소프로폭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에스테르; N-(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N'-도데실옥살아미드; 트리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 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1,5-디옥사스피로{5,5}운데칸-3,3-디카르복실산,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1,5-디옥사스피로{5,5}운데칸-3,3-디카르복실산,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1-(2-하이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하이드록시피페리딘 및 숙신산의 축합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헥사메틸렌디아민 및 4-tert-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물;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 트리데실 에스테르;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트리데실 에스테르;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딘-4-일)-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2,2,4,4-테트라메틸-21-옥소-7-옥사-3.20-디아자스피로(5.1.11.2)-헤네이코산-20-프로판산-도데실 에스테르 및 2,2,4,4-테트라메틸-21-옥소-7-옥사-3.20-디아자스피로(5.1.11.2)-헤네이코산-20-프로판산-테트라데실 에스테르의 혼합물; 1H,4H,5H,8H-2,3a,4a,6,7a,8a-헥사아자사이클로펜타[def]플루오렌-4,8-디온, 헥사하이드로-2,6-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폴리메틸[프로필-3-옥시(2',2',6',6'-테트라메틸-4,4'-피페리디닐)]실록산; 폴리메틸[프로필-3-옥시(1',2',2',6',6'-펜타메틸-4,4'-피페리디닐)]실록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혼합형 C20 내지 C24 알파-올레핀 및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숙신이미드의 공중합체;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β,β,β',β'-테트라메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3,9-디에탄올과의 중합체,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 에스테르;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β,β,β',β'-테트라메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3,9-디에탄올과의 중합체,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에스테르 공중합체; 1,3-벤젠디카르복사미드,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1,1'-(1,10-디옥소-1,10-데칸디일)-비스(헥사하이드로-2,2,4,4,6-펜타메틸피리미딘; 에탄 디아미드, N-(1-아세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디닐)-N'-도데실; 포름아미드, N,N'-1,6-헥산디일비스[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D-글루시톨, 1,3:2,4-비스-O-(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리덴)-; 2,2,4,4-테트라메틸-7-옥사-3,20-디아자-21-옥소-디스피로[5.1.11.2]헤네이코산; 프로판아미드, 2-메틸-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2-[(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아미노]-; 7-옥사-3,20-디아자디스피로[5.1.11.2]헤네이코산-20-프로판산, 2,2,4,4-테트라메틸-21-옥소-, 도데실 에스테르; N-(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β-아미노프로피온산 도데실 에스테르; N-(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N'-아미노옥살아미드; 프로판아미드,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3-[(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아미노]-; 4-헥사데실옥시- 및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혼합물; 3-도데실-1-(1,2,2,6,6-펜타메틸피페리딘-4-일)피롤리딘-2,5-디온; 3-도데실-1-(1-에타노일-2,2,6,6-펜타메틸피페리딘-4-일)피롤리딘-2,5-디온;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숙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딘-4-일) n-부틸 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트리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 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1,1'-(1,2-에탄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지논); 4-벤조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2-n-부틸-2-(2-하이드록시-3,5-디-tert-부틸벤질)말로네이트; 3-n-옥틸-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숙시네이트;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피롤리딘-2,5-디온; 3-도데실-1-(1-에타노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피롤리딘-2,5-디온; 3-도데실-1-(1,2,2,6,6-펜타메틸피페리딘-4-일)피롤리딘-2,5-디온; 4-헥사데실옥시- 및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혼합물; 2-운데실-7,7,9,9-테트라메틸-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1,5-디옥사스피로{5,5}운데칸-3,3-디카르복실산,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및 1,5-디옥사스피로{5,5}운데칸-3,3-디카르복실산,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 N1-(β-하이드록시에틸)3,3-펜타메틸렌-5,5-디메틸피페라진-2-온; N1-tert-옥틸-3,3,5,5-테트라메틸-디아제핀-2-온; N1-tert-옥틸-3,3-펜타메틸렌-5,5-헥사메틸렌-디아제핀-2-온; N1-tert-옥틸-3,3-펜타메틸렌-5,5-디메틸피페라진-2-온; 트랜스-1,2-사이클로헥산-비스-(N1-5,5-디메틸-3,3-펜타메틸렌-2-피페라지논; 트랜스-1,2-사이클로헥산-비스-(N1-3,3,5,5-디스피로펜타메틸렌-2-피페라지논); N1-이소프로필-1,4-디아자디스피로-(3,3,5,5)펜타메틸렌-2-피페라지논; N1-이소프로필-1,4-디아자디스피로-3,3-펜타메틸렌-5,5-테트라메틸렌-2-피페라지논; N1-이소프로필-5,5-디메틸-3,3-펜타메틸렌-2-피페라지논; 트랜스-1,2-사이클로헥산-비스-N1-(디메틸-3,3-펜타메틸렌-2-피페라지논); N1-옥틸-5,5-디메틸-3,3-펜타메틸렌-1,4-디아제핀-2-온; 및 N1-옥틸-1,4-디아자디스피로-(3,3,5,5)-펜타메틸렌-1,5-디아제핀-2-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원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는 CYASORB® UV-3853S(LDPE 포함, 50 중량% 농축물) 및 CYASORB® UV-3853PP5(폴리프로필렌 포함, 50 중량% 농축물)로 시판 중인,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과 C12 -21-포화 및 C18-불포화 지방산의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과 C12 -21-포화 및 C18-불포화 지방산의 에스테르는 또한 다른 열가소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와의 농축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는 CYASORB® UV-3346으로서 시판 중인,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헥사메틸렌디아민과 4-모폴리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안정제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1종의 첨가제는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과 C12 -21-포화 및 C18-불포화 지방산의 에스테르, 그리고 헥사데실 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의 조합일 수 있다.
"유기 포스파이트 또는 포스포나이트"는 하기로부터 선택된다: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7에 따른 화합물
Figure pct00003
상기 식 중,
지수들은 정수이고, n은 2, 3 또는 4이고; p는 1 또는 2이며; q는 2 또는 3이고; r은 4 내지 12이며; y는 1, 2 또는 3이고; z는 1 내지 6이며;
n이 2일 경우, A1은 C2-C18 알킬렌; 산소, 황 또는 -NR4-이 중간에 삽입된 C2-C12 알킬렌; 하기 화학식의 라디칼
Figure pct00004
또는 페닐렌이고;
n이 3일 경우, A1은 화학식 -CrH2r -1-의 라디칼이며;
n이 4일 경우, A1
Figure pct00005
이고;
n이 2일 경우, A2는 A1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으며;
B는 직접 결합, -CH2-, -CHR4-, -CR1R4-, 황, C5-C7 사이클로알킬리덴, 또는 사이클로헥실리덴이고, 이는 3, 4 및/또는 5 위치에서 1 개 내지 4 개의 C1-C4 알킬 라디칼로 치환되며;
p가 1일 경우, D1은 C1-C4 알킬이고, p가 2일 경우, -CH2OCH2-이며;
p가 1일 경우, D2는 C1-C4 알킬이고;
y가 1일 경우, E는 C1-C18 알킬, -OR1 또는 할로겐이며;
y가 2일 경우, E는 -O-A2-O-이고;
y가 3일 경우, E는 화학식 R4C(CH2O-)3 또는 N(CH2CH2O-3의 라디칼이며;
Q는 적어도 z-원자가 알코올 또는 페놀인 라디칼로서, 이 라디칼은 산소 원자를 통하여 인 원자와 결합되어 있고;
R1,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 -COOR4, -CN 또는 -CONR4R4에 의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는 C1-C18 알킬; 산소, 황 또는 -NR4-이 중간에 삽입된 C2-C18 알킬; C7-C9 페닐알킬; C5-C12 사이클로알킬, 페닐 또는 나프틸; 할로겐, 탄소 원자를 총 1 개 내지 18 개 가지는 알킬 라디칼 또는 알콕시 라디칼 1 개 내지 3 개, 또는 C7-C9 페닐알킬로 치환되는 나프틸 또는 페닐; 또는 하기 화학식 III의 라디칼이며
[화학식 III]
Figure pct00006
(상기 식 중, m은 3 내지 6의 범위에 있는 정수임);
R4는 수소, C1-C8 알킬, C5-C12 사이클로알킬 또는 C7-C9 페닐알킬이고;
R5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8 알킬 또는 C5-C6 사이클로알킬이며;
q가 2일 경우, R7 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C1-C4 알킬이거나, 또는 둘 다 2,3-데하이드로펜타메틸렌 라디칼이고; 및
q가 3일 경우, R7 및 R8은 메틸이며;
R14는 수소, C1-C9 알킬 또는 사이클로헥실이고;
R15는 수소 또는 메틸이며, 2개 이상의 라디칼 R14 및 R15가 존재할 경우, 이러한 라디칼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X 및 Y는 각각 직접 결합 또는 산소이고,
Z는 직접 결합, 메틸렌, -C(R16)2- 또는 황이며, 및
R16은 C1-C8 알킬; 및
하기 화학식 8에 따른 트리스아릴포스파이트
[화학식 8]
Figure pct00007
(상기 식 중, R17은 화학식 8의 방향성 부분의 0 내지 5 위치에 존재하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환기로서, 독립적으로 C1-C20 알킬, C3-C20 사이클로알킬, C4-C20 알킬 사이클로알킬, C6-C10 아릴, 및 C7-C20 알킬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원으로부터 선택됨); 및 이들의 조합.
바람직하게는 유기 포스파이트 또는 포스포나이트는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 알킬 포스파이트; 페닐 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 하기 화학식 A, B, C, D, E, F, G, H, J, K 및 L의 화합물: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2,4,6-트리-tert-부틸페놀 포스파이트, 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2,4-디-쿠밀페놀 포스파이트,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4-메틸-2,6-디-tert-부틸페놀 포스파이트 및 비스-(2,4,6-트리-tert-부틸-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의 유기 포스파이트 또는 포스포나이트는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IRGAFOS® 168); 비스(2,4-디쿠밀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DOVERPHOS® S9228); 및 테트라키스(2,4-디-tert-부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IRGAFOS® P-EPQ)로부터 선택된다.
"힌더드 페놀"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Va, IVb 또는 IVc 중 하나 이상에 따른 분자 단편을 포함한다:
[화학식 IVa]
Figure pct00011
[화학식 IVb]
Figure pct00012
[화학식 IVc]
Figure pct00013
상기 식 중,
R18은 수소 또는 C1 -4 하이드로카르빌로부터 선택되고;
R19 및 R2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20 하이드로카르빌로부터 선택되며; 및
R37은 C1-C12 하이드로카르빌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힌더드 페놀은 R18 및 R37이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또는 tert-부틸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의 힌더드 페놀 화합물은 (1,3,5-트리스(4-tert-부틸-3-하이드록시-2,6-디메틸벤질)-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1,1,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tert-부틸페닐)부탄; 트리에틸렌 글리콜 비스[3-(3-ter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4,4'-티오비스(2-tert-부틸-5-메틸페놀); 2,2'-티오디에틸렌 비스[3-(3-t-부틸-4-하이드록실-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옥타데실 3-(3'-ter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키스메틸렌(3-ter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하이드로신나메이트)메탄; N,N-헥사메틸렌 비스[3-(3-ter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온아미드]; 디(4-tert-부틸-3-하이드록시-2,6-디메틸 벤질)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및 옥타데실 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원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유용한 "크로만"은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V]
Figure pct00014
상기 식 중,
R21은 -COR28 또는 -Si(R29)3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28은 H 또는 C1-C20 하이드로카르빌로부터 선택되고; 및 R29는 C1-C12 하이드로카르빌 또는 알콕시로부터 선택되며;
R22는 화학식 V의 방향성 부분의 n = 0 내지 3 위치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치환기이고, 독립적으로 H 또는 C1-C12 하이드로카르빌로부터 선택되며;
R23은 H 또는 C1-C12 하이드로카르빌로부터 선택되며;
R24는 H 또는 C1-C20 하이드로카르빌로부터 선택되며;
R25 내지 R2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C12 하이드로카르빌; 및 -OR30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원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30은 H 또는 C1-C12 하이드로카르빌로부터 선택되며;
R27은 H이거나, 또는 R26과 함께 =O를 형성하는 결합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V의 화합물은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이들의 이성체들, 관련 토코트리에놀들,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원으로부터 선택되는 토코페롤 화합물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크로만은 하기 화학식 VI에 따른 비타민 E 아세테이트:
[화학식 VI]
Figure pct00015
또는 이의 이성체 및/또는 혼합물이다.
"자외선(UV) 흡수제"는 2-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 벤족사지논, 옥사미드, 옥사닐리드, 및 이것들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원으로부터 선택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자외선 흡수제는 하기 화학식 VII에 따른 2-(2'-하이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 화합물:
[화학식 VII]
Figure pct00016
상기 식 중,
R34 및 R35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 치환된 C6-C10 아릴기, C1-C10 하이드로카르빌 치환 아미노, C1-C10 아실 및 C1-C10 알콕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원으로부터 선택되고; 및
R36은 화학식 VII의 페녹시 부분의 0 내지 4 위치가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환기이고, 각각의 경우 하이드록실, C1-C12 하이드로카르빌, C1-C12 알콕실, C1-C12 알콕시에스테르, 및 C1-C12 아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원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2-(2'-하이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 화합물은, 4,6-비스-(2,4-디메틸페닐)-2-(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s-트리아진(Cytec(Solvay Group)로부터 시판되는 CYASORB® 1164); 4,6-비스-(2,4-디메틸페닐)-2-(2,4-디하이드록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4-디하이드록시페닐)-6-(4-클로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6-(4-클로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6-(2,4-디메틸페닐)-s-트리아진; 2,4-비스[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6-(4-브로모페닐)-s-트리아진; 2,4-비스[2-하이드록시-4-(2-아세톡시에톡시)페닐]-6-(4-클로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4-디하이드록시페닐)-6-(2,4-디메틸페닐)-s-트리아진; 2,4-비스(4-비페닐일)-6-[2-하이드록시-4-[(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리덴옥시]페닐]-s-트리아진; 2,4-비스(4-비페닐일)-6-[2-하이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s-트리아진; 2-페닐-4-[2-하이드록시-4-(3-sec-부틸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6-[2-하이드록시-4-(3-sec-아밀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4-디메틸페닐)-6-[2-하이드록시-4(- 3-벤질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하이드록시-4-n-부틸옥시페닐)-6-(2,4-디-n-부틸옥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4-디메틸페닐)-6-[2-하이드록시-4-(3-노닐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 y)-5-α-쿠밀페닐]-s-트리아진; 메틸렌비스-{2,4-비스(2,4-디메틸페닐)-6-[2-하이드록시-4-(3-부틸옥시-2-하이드록시프로폭시)페닐]-s-트리아진}; 3:5', 5:5' 및 3:3' 위치에서 5:4:1의 비로 가교된 메틸렌 가교 이량체 혼합물; 2,4,6-트리스(2-하이드록시-4-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이소-프로필리덴옥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4-디메틸페닐)-6-(2-하이드록시-4-헥실옥시-5-α-쿠밀페닐)-s-트리아진; 2-(2,4,6-트리메틸페닐)-4,6-비스[2-하이드록시-4-(3-부틸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s-트리아진; 2,4,6-트리스[2-하이드록시-4-(3-sec-부틸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s-트리아진; 4,6-비스-(2,4-디메틸페닐)-2-(2-하이드록시-4-(3-도데실옥시-2-하이드록시프로폭시)페닐)-s-트리아진 및 4,6-비스-(2,4-디메틸페닐)-2-(2-하이드록시-4-(3-트리데실옥시-2-하이드록시프로폭시)페닐)-s-트리아진의 혼합물(BASF사로부터 시판되는 TINUVIN® 400); 4,6-비스-(2,4-디메틸페닐)-2-(2-하이드록시-4(3-(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프로폭시)-페닐)-s-트리아진; 4,6-디페닐-2-(4-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s-트리아진;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원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자외선 흡수제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은,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ert-부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5'-tert-부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ert-부틸-2'-하이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하이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sec-부틸-5'-tert-부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ert-아밀-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비스-(α,α-디메틸벤질)-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하이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하이드록시페닐)- 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하이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하이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하이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도데실-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하이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3'-tert-부틸-5'-(2-메톡시카르보닐에틸)-2'-하이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 생성물; [R-CH2CH2-COO-CH2CH2]2 (식 중, R은 3'-tert-부틸-4'-하이드록시-5'-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임); 2-[2'-하이드록시-3'-(α,α-디메틸벤질)-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1,1,3,3-테트라메틸부틸)-5'-(α,α-디메틸벤질)-페닐]벤조트리아졸;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자외선 흡수제 2-하이드록시벤조페논은 4-하이드록시, 4-메톡시, 4-옥틸옥시, 4-데실옥시, 4-도데실옥시, 4-벤질옥시, 4,2',4'-트리하이드록시 및 2-하이드록시벤조페논의 2'-하이드록시-4,4'-디메톡시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힌더드 벤조에이트"는, 4-tert-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디벤조일 레소르시놀, 비스(4-tert-부틸벤조일)레소르시놀, 벤조일 레소르시놀, 2,4-디-tert-부틸페닐 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 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 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메틸-4,6-디-tert-부틸페닐 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힌더드 벤조에이트는 Cytec(Solvay Group)으로부터 CYASORB® UV-2908로 시판되는, 헥사데실 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안정제들의 "하이드록실아민" 군은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원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하기 화학식 VIII에 따른 하이드록실아민 화합물
[화학식 VIII]
Figure pct00017
(상기 식 중,
T1은 선택 치환된 C1-C36 하이드로카르빌, 선택 치환된 C5-C12 사이클로알킬, 및 선택 치환된 C7-C9 아랄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원으로부터 선택되고; 및
T2는 수소 또는 T1으로부터 선택됨); 및
하기 화학식 IX에 따른 3차 아민 옥사이드 화합물
[화학식 IX]
Figure pct00018
(상기 식 중,
W1 및 W2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 C6-C36 알킬, C6-C12 아릴, C7-C36 아랄킬, C7-C36 알카릴, C5-C36 사이클로알킬, C6-C36 알크사이클로알킬; 및 C6-C36 사이클로알킬알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원으로부터 선택되는 C6-C36 하이드로카르빌로부터 선택되고;
W3은 직쇄 또는 분지쇄 C1-C36 알킬, C6-C12 아릴, C7-C36 아랄킬, C7-C36 알카릴, C5-C36 사이클로알킬, C6-C36 알크사이클로알킬; 및 C6-C36 사이클로알킬알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원으로부터 선택되는 C1-C36 하이드로카르빌로부터 선택되며;
단, W1, W2 및 W3 중 적어도 1종은 β 탄소-수소 결합을 함유하고;
여기서 상기 알킬, 아랄킬, 알카릴, 사이클로알킬, 알크사이클로알킬 및 사이클로알킬알킬 기들은 -O-, -S-, -SO-, -SO2-, -COO-, -OCO-, -CO-, -NW4-, -CONW4- 및 -NW4C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원으로부터 선택되는 1 개 내지 16 개의 기에 의해 단절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알킬, 아랄킬, 알카릴, 사이클로알킬, 알크사이클로알킬 및 사이클로알킬알릴 기들은 -OW4, -SW4, -COOW4, -OCOW4, -COW4, -N(W4)2, -CON(W4)2, -NW4COW4, 및 기 -C(CH3)(CH2Rx)NL(CH2Rx)(CH3)C-을 함유하는 5- 및 6-원 고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원으로부터 선택되는 기 1 개 내지 16 개의 기로 치환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알킬, 아랄킬, 알카릴, 사이클로알킬, 알크사이클로알킬 및 사이클로알킬알킬 기들은 상기 언급한 기들에 의해 단절 및 치환 둘 다 되고;
여기서 W4는 수소 또는 C1-C8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x는 수소 또는 메틸로부터 선택되며; 및
L은 C1-C30 알킬; -C(O)R 부, 또는 -OR 부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은 C1-C30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이고; 및
상기 아릴기는 1 개 내지 3 개의 할로겐기, C1-C8 알킬기, C1-C8 알콕시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원으로 치환될 수 있음).
화학식 VIII에 따른 바람직한 "하이드록실아민" 안정제 조성물은, T1 및 T2가 각각 독립적으로 벤질, 에틸, 옥틸, 라우릴, 도데실, 테트라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및 옥타데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원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T1 및 T2 각각은 수소화된 우지(tallow) 아민에서 발견되는 알킬 혼합물인 N,N-디하이드로카르빌하이드록실아민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VIII에 따른 화합물은, N,N-디벤질하이드록실아민; N,N-디에틸하이드록실아민; N,N-디옥틸하이드록실아민; N,N-디라우릴하이드록실아민; N,N-디도데실하이드록실아민; N,N-디테트라데실하이드록실아민; N,N-디헥사데실하이드록실아민; N,N-디옥타데실하이드록실아민; N-헥사데실-N-테트라데실하이드록실아민; N-헥사데실-N-헵타데실하이드록실아민; N-헥사데실-N-옥타데실하이드록실아민; N-헵타데실-N-옥타데실하이드록실아민; 및 N,N-디(수소화 우지)하이드록실아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원으로부터 선택되는 N,N-디하이드로카르빌하이드록실아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유리 라디칼 중합 억제제를 포함하는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의 제조, 증류/정제 및 보관/운송 동안, 단량체 안정제(즉 유리 라디칼 억제제)를 혼입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억제제는 상기 단량체의 미성숙한 중합을 예방하고, 조절되는 중합 조건 하에서 이 단량체가 유용한 중합체로 전환되는 시간까지 단량체가 제조, 증류, 그렇지 않으면 정제, 및 보관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의 예들은 스티렌, 부타디엔, α-메틸 스티렌, 비닐 톨루엔, 비닐 나프탈렌, 에틸렌, 프로필렌,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베르세테이트,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산의 다양한 C1 -40 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n-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레일 (메트)아크릴레이트, 팔미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기타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 2-브로모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페닐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나프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불포화 디- 및 트리-카르복실산의 모노-, 디-, 및 트리-알킬 에스테르 및 무수물, 예컨대 에틸 말레이트, 디메틸 푸마레이트, 트리메틸 아코니테이트, 및 에틸 메틸 이타코네이트; 카르복실산 작용성 단량체,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및 말레산, 그리고 카르복실산 작용성 단량체의 산 클로라이드 유도체, 예컨대 (메트)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는 또한 포스페이트-, 포스피네이트-, 또는 포스포나이트-작용성 단량체, 예를 들어 2-포스포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일 수도 있다.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는 또한 다중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일 수도 있다. 다중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의 예들은 알릴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알릴 프탈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디비닐톨루엔, 트리비닐벤젠, 및 디비닐 나프탈렌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롤레인, 부타디엔, 스티렌 및 클로로프렌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중합 억제제는 단량체 제조 공정에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된다. 억제제는 배합(즉 혼합) 탱크 내에서 적합한 공정 용제 또는 단량체 자체 내에 용해된다. 억제제는 용해도에 따라서 1 중량% 내지 50 중량%로 용해되어, 농축물을 생성한다. 이후, 농축물은 공정 흐름에 공급되어, 최종 사용 농도 10 ppm 내지 10,000 ppm을 제공한다.
중합 억제제는 혼합 탱크에 개별적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다수 개의 억제제에 대해 다수 회의 첨가가 필요할 수 있다. 억제제는 미세 분말, 플레이크, 캔디, 프릴, 또는 액체로서 공급된다. 제조 공정 흐름에 고체 형태의 취급 및 첨가에 있어서, 공기 운반, 스크루 및 테이블 이송장치, 오거(auger), 회전 밸브, 또는 기타 기계 장치들이 사용된다. 이들 장치의 사용은 억제제 마손, 고화(caking), 및 응괴 생성(clumping)을 초래할 수 있다. 억제제는 또한 그것의 원래 포장 용기 내에 또는 보관 저장고 내에 보관되는 동안 고화 및 응괴 생성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상 문제들은 생산성 손실의 잠재적 원인이다. 또한, 혼합 시스템에 억제제를 공급하는 것은 작업자의 조작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이는 억제제 화학물질의 잠재적인 유해 화학 효과에 노출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미세 분말 형태의 억제제는 분진 폭발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취급성이 개선된 중합 억제제, 즉 제조물의 마손, 파괴, 고화, 또는 응괴 생성 경향을 보이지 않는 중합 억제제에 대한 필요가 있다. 또한, 억제제 조합물을 단일 펠릿으로 제공하는 것이, 그것을 별도로 공정 흐름에 취급 및 첨가하는 것보다 단량체 제조 및 보관 작업을 간편화할 것이다.
중합 억제제의 예들은 페노티아진(PTZ) 및 이의 유도체, 디하이드록시벤젠(예를 들어 하이드로퀴논(HQ), 레소르시놀, 카테콜) 및 이들의 유도체(예를 들어 하이드로퀴논의 모노메틸 에테르(MEHQ), tert-부틸 하이드로퀴논(TBHQ), para-벤조퀴논(PBQ),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BHA),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 tert-부틸 카테콜(TBC))를 포함한다. 다른 중합 억제제는 금속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예를 들어 구리, 망간 또는 은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니트록실 라디칼(예를 들어 TEMPO, 4-하이드록시 TEMPO, 4-아세트아미도 TEMPO), 방향족 아민(예를 들어 페닐렌 디아민, 부틸화 디페닐아민, 옥틸화 디페닐아민, 페닐-α-메틸나프틸아민), 하이드록실아민(예를 들어 디에틸 하이드록실아민), 니트로사민(예를 들어 para-니트로소페놀), 및 힌더드 페놀을 포함한다. 하이드록실아민, 및 힌더드 페놀은 이전 단락들에 자세히 논의되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합 억제제는 페노티아진, 페노티아진 유도체,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의 모노메틸 에테르(MEHQ), 및 tert-부틸 카테콜(TBC)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합 억제제는 페노티아진(PTZ)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코어가 적어도 1종의 금속 추출 용제를 포함하는 말단 폐쇄형 펠릿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코어는 안정제에 더하여, 희석제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한다. 희석제 중합체는 외부 층의 중합체와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외부 층은 중합체에 더하여, 적어도 1종의 안정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외부 층의 적어도 1종의 안정제는 코어의 적어도 1종의 안정제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외부 층에 의해 캡슐화된 코어 재료를 튜브 형태로 공압출하여(여기서 코어 재료는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외부 층은 중합체를 포함함), 충전된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충전된 튜브를 다수의 불연속 분절 밀봉체(segment seal)로 절단함과 동시에 각 불연속 분절의 각 말단을 밀봉하는 밀봉 장치에 상기 충전된 튜브를 통과시켜, 말단 폐쇄형 펠릿을 제조하는 단계; 및 말단 폐쇄형 펠릿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이하 실시예 1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 있고, 이는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코어 재료와 외부 층을 공압출하는 데 사용되는 압출 헤드에 관한 설명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2종의 충전된 튜브들은 동일 장치로 동시에 압출, 절단, 밀봉 및 냉각되어, 말단 폐쇄형 펠릿에 대한 적어도 2개의 공정 흐름을 형성한다.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은 다양한 유기 재료들을 안정화하는 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정화 조성물은 안정화 유기 재료, 및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기 재료는 중합체, 코팅, 성형 물품, 섬유, 직물, 필름,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 왁스, 유기 화합물, 사진 필름, 종이, 화장품, 유기 염료 또는 잉크를 포함한다. 코팅의 예들은 용제계 코팅, 수계 코팅, 및 분말 코팅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기 재료는 중합체이다. 중합체의 예들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케톤, 폴리아미드, 천연 및 합성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삼량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삼량체,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셀룰로스 중합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페닐 설파이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카르보네이트, 열가소성 올레핀, 아미노 수지 가교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가교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페놀/포름알데히드, 우레아/포름알데히드 및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건조 및 비 건조 알키드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멜라민 수지와 가교된 아크릴레이트 수지, 우레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카르바메이트, 에폭시 수지, 무수물 또는 아민과 가교된 지방족, 지환족, 헤테로사이클릭 및 방향족 글리시딜 화합물들로부터 유래하는 가교 에폭시 수지, 폴리실록산, 마이클 첨가 중합체, 아민, 활성화된 불포화 및 메틸렌 화합물로 블로킹(blocking)된 아민, 활성화된 불포화 및 메틸렌 화합물을 포함하는 케티민, 불포화 아크릴 폴리아세토아세테이트 수지와 합체된 폴리케티민, 불포화 아크릴 수지와 합체된 폴리케티민, 방사선 경화성 조성물, 에폭시 멜라민 수지, 및 상기 중합체들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합체는 폴리올레핀이다. 폴리올레핀은 i)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트-1-엔, 폴리-4-메틸펜트-1-엔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올레핀들의 중합체; ii)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부타디엔으로부터 선택되는 디올레핀; iii) 사이클로펜텐으로부터 선택되는 사이클로올레핀과 노르보넨의 중합체; iv) 선택적으로 가교된 폴리에틸렌, 고 밀도 폴리에틸렌(HDPE), 고 밀도 및 고 분자량 폴리에틸렌(HDPE-HMW), 고 밀도 및 초 고 분자량 폴리에틸렌(HDPE-UHMW), 중 밀도 폴리에틸렌(MDPE), 저 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 밀도 폴리에틸렌(LLDPE), 초 저 밀도 폴리에틸렌(VLDPE), 및 극 저 밀도 폴리에틸렌(ULDPE)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에틸렌; v)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vi) 적어도 1종의 상기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혼합물일 수 있다.
안정화 조성물은, 안정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75 중량%의 안정제를 포함한다. 안정화 조성물은, 안정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범위 내에서, 0.01 중량% 내지 65 중량%, 0.01 중량% 내지 50 중량%, 0.01 중량% 내지 25 중량%, 0.01 중량% 내지 15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0.05 중량% 내지 5 중량%의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정화 유기 재료와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에 더하여, 안정화 조성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금속 비활성화제, 니트론, 락톤, 공 안정제, 조핵제, 청징제, 중화제, 금속 스테아레이트, 금속 산화물, 하이드로탈사이트, 충전제 및 강화제, 가소제, 윤활제, 유화제, 안료, 레올로지 첨가제, 촉매, 평탄화제, 형광 발광제, 난연제, 정전기 방지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통상의 첨가제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안정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안정화 조성물은 결과적으로 다양한 물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자동차 부품, 지오멤브레인(geomembrane), 농업용 필름, 및 태양광 패널에 사용될 수 있다. 지오멤브레인의 예들은 방수포, 그라운드 커버(ground cover), 밑 깔기(underlayment), 수방벽, 및 부식 억제 막 등을 포함한다. 안정화 조성물은 또한 열 및/또는 UV 안정화로부터 유익할 수 있는 기타 임의의 물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본 방법은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중합체와 용융 혼합하여, 안정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안정화 조성물을 성형하여 성형 물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용융 혼합은, 니딩 장치, 예컨대 단일 또는 한 쌍의 스크루 압출기, 밴버리(Banbury) 혼합기, 또는 고온 롤러에서 수행될 수 있다. 성형은 사출 성형, 회전 성형, 취입 성형, 릴 대 릴 성형(reel to reel molding), 금속 사출 성형, 압축 성형, 이송 성형, 딥 성형, 가스 보조 성형(gas assist molding), 삽입 사출 성형, 미세 성형(micro molding), 반응 사출 성형, 및 투 샷 사출 성형(two shot injection molding)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기 구현예들을 포함한다.
구현예 1. 코어 및 상기 코어를 캡슐화하는 외부 층을 포함하는 말단 폐쇄형 펠릿으로서 제공되는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이며, 여기서 코어는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외부 층은 중합체를 포함하며, 외부 층의 두께는 0.001 ㎜ 내지 1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현예 2. 구현예 1에 정의된 바와 같은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이며, 여기서 적어도 1종의 첨가제는 안정제를 포함한다.
구현예 3. 구현예 2에 정의된 바와 같은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이며, 여기서 안정제는 적어도 1종의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HALS), 유기 포스파이트 또는 유기 포스포나이트, 힌더드 페놀, 크로만, 자외선(UV) 흡수제, 힌더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실아민, 3차 아민 옥사이드, 및 유리 라디칼 중합 억제제를 포함한다.
구현예 4. 구현예 2에 정의된 바와 같은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이며, 여기서 안정제는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과 C12 -21-포화 및 C18-불포화 지방산의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구현예 5. 구현예 2에 정의된 바와 같은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이며, 여기서 안정제는 적어도 1종의 페노티아진, 페노티아진 유도체, 하이드로퀴논 및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MEHQ)를 포함한다.
구현예 6. 구현예 1 내지 5 중 임의의 것에 정의된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이며, 여기서 중합체는 열가소성 중합체인이다.
구현예 7. 구현예 6에 정의된 바와 같은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이며, 여기서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케톤, 폴리아미드, 천연 및 합성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삼량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삼량체,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셀룰로스 중합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구현예 8. 구현예 6에 정의된 바와 같은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이며, 여기서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구현예 9. 구현예 6 내지 8 중 임의의 것에 정의된 바와 같은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이며, 여기서 코어는 외부 층의 열가소성 중합체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열가소성 중합체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구현예 10. 구현예 1 내지 9 중 임의의 것에 정의된 바와 같은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이며, 여기서 외부 층은 적어도 1종의 안정제를 포함한다.
구현예 11. 안정화 유기 재료, 및 구현예 1 내지 10 중 임의의 것에 정의된 바와 같은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안정화 조성물.
구현예 12. 구현예 11에 정의된 바와 같은 안정화 조성물이며, 여기서 유기 재료는 중합체, 코팅, 성형 물품, 직물, 섬유, 필름,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 왁스, 유기 화합물, 사진 필름, 종이, 화장품, 유기 염료, 또는 잉크를 포함한다.
구현예 13. 안정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구현예 1 내지 10 중 임의의 것에 정의된 바와 같은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의 용도.
구현예 14. 구현예 1 내지 10 중 임의의 것에 정의된 바와 같은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본 방법은 하기를 포함한다: 외부 층에 의해 캡슐화된 코어 재료를 튜브형으로 공압출하여(여기서 코어 재료는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외부 층은 중합체를 포함함), 충전된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충전된 튜브를 다수의 불연속 분절들로 절단함과 동시에 각각의 불연속 분절의 각 말단을 밀봉하는 밀봉 장치에 상기 충전된 튜브들을 통과시켜 말단 폐쇄형 펠릿을 제조하는 단계; 및 말단 폐쇄형 펠릿을 냉각시키는 단계.
구현예 15. 구현예 14에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이며, 여기서 적어도 2종의 충전된 튜브들은 동일 장치로 동시에 압출, 절단, 밀봉, 및 냉각되어, 말단 폐쇄형 펠릿에 대해 적어도 2종의 공정 흐름을 형성한다.
구현예 16.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본 방법은 구현예 1 내지 10 중 임의의 것의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중합체와 용융 혼합하여 안정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안정화 조성물을 성형하여 성형 물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임의의 구현예들을 더 잘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제공된다. 이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캡슐화된 안정제( CEP )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압출 헤드와 본 발명에 따른 말단 폐쇄형 펠릿의 제조를 도시한 도 6을 참고한다. 중합체(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또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로서 제공된 외부 층은 중합체용 압출기에 대한 접속 부(4)를 통하여 압출기(외부 압출 헤드(1); 및 내부 압출 헤드(5))에 공급되고, 또한 중합체 용융물용 채널(2) 내에 공급된다. 안정제로서 제공된 코어 재료(예를 들어, CYASORB® UV-3853, 또는 페노티아진)는, 접속부(3)를 통하여 펌핑 시스템 또는 또 다른 압출기에 의해 압출 헤드(1)의 또 다른 부분에 공급된다. 공압출 과정에서, 압출기 헤드(1)는, 다이 입구(6)에서 중합체 튜브(7)를 성형하는데, 이와 동시에 이 중합체 튜브에 코어 재료가 충전된다. 그 다음, 충전된 튜브는 밀봉 및 절단되기 위해 폐쇄 장치(8) 내로 도입된다. 이후 충전된 튜브는 튜브의 각 말단(폐쇄된 말단)이 밀봉되고 동시에 다수의 불연속 분절들로 절단되어, 다수 개의 말단 폐쇄형 펠릿이 제조된다. 그 다음 펠릿들은 수 분사 노즐(9)에 의해 전달된 물로 냉각된다. 이후 말단 폐쇄형 펠릿들은 건조되고 패킹(packing)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말단 폐쇄형 펠릿을 도시한다. 도 2a는 페노티아진의 상이한 형태들, 분말(좌측), 프릴(폴리스티렌 중 컴파운딩, 중앙), 및 CEP(폴리스티렌 캡슐화제 사용, 우측)를 도시한다. 도 2b는 상이한 크기를 갖는, 폴리스티렌 캡슐화된 페노티아진(CEP)들을 도시한다. 자(눈금)는 센티미터 단위이다.
실시예 2: 가공 후 캡슐화된 안정제( CEP )의 안정제 분산에 대한 효과
하기 실험은 중합체 안정화에 있어서 캡슐화된 안정제의 유용성을 입증하고, 제조 후 중합체 중 안정제의 분산에 대한 캡슐화된 안정제(CEP) 사용의 임의의 역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 실험을 위해서, 캡슐화된 안정제(CEP)의 상이한 시료 2개가, 원통형 펠릿의 비교 시료 하나와 함께 관찰되었다(표 1 참조).
장비 및 재료: 사용된 장비: Davis-Standard (Killion); 수지 유형: 폴리프로필렌 수지(Pro-fax 6301); 온도 프로필 범위: 205℃ 내지 230℃.
공정 설명: 압출기를 필요 가공 온도(205℃ 내지 230℃)에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펠릿화 장치, 취입기 및 압출기를 작동 개시하였다. 압출기 모터 속도 및 펠릿화 장치 속도를 동기화하여(즉 대략 동일한 속도로 설정하여), 재료가 조(bath)를 통과하여 균일하게 펠릿화 장치로 도입되도록 하였다. 압출기 속도는 65 rpm으로 유지시켰다. 중합체 중 목표 농도 0.25%로 제조된 제조 수지(원통형 펠릿 및 CEP 형태의 안정제 사용)가 압출기 호퍼 깔대기에 부어졌다. 수 분 경과 후, 다이로부터 투명 재료가 흘러나왔다. 다이로부터 흘러나온 재료는 얼음 물에 담가졌고, 여기에서 실의 형태로 고화되었다. 이 실들은 펠릿화 장치 내로 공급되었고, 압출기 스크루 속도는 적당한 회전 속도(65 rpm)로 맞추어졌으며, 펠릿화 장치 유닛으로부터 나온 펠릿들은 플라스틱 백에 수집되었다.
PP 펠릿은 GC/FID에 의해 안정제 양에 관하여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들이 표 1에 제시되어 있는데, 이는 원통형 펠릿 비교 시료의 경우처럼 본 발명의 CEP 기술로 목표 농도가 달성되었고, 역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음을 입증한다.
Figure pct00019
실시예 3: 압출기 공급 스로트 브리징에 대한 캡슐화된 안정제( CEP ) 사용의 효과
본 실험에서는 안정제 침착물 생성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압출기 공급 스로트 브리징 시뮬레이션이 행하여졌다. 표 2와 도 3의 I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CEP 재료는 어떠한 침착물도 남기지 않았던 반면, 플레이크 재료와 스킨 MB 재료는 압출기 스크루에 침착물을 남긴 것(각각 도 3의 C 및 F 각각 참조)으로 보아, CEP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분명히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장비: Davis-Standard (Killion); 온도: 호퍼 90℃ 내지 100℃; (스크루 작동 전) 보류 시간: 1시간; 시료의 양: 50g 내지 100g; 마스터배치: UV-3853S(LDPE 중 50% 활성, 플레이크), UV-3853PP5(PP 중 50% 활성, 원통형 펠릿), UV-3853PPC(PPC 중 70% 활성, CEP).
3가지 유형의 재료, 플레이크, 원통형 펠릿 및 CEP는 호퍼에 동일한 방식이되 별도로 공급되었으며, 호퍼 내 90℃ 내지 100℃에서 1시간 동안 보류되었다. 이후, 압출기 스크루가 켜졌으며, 호퍼 또는 압출기 스크루에 남는 임의의 잔류물의 침착에 다음과 같은 등급들이 매겨졌다. 표 2와 도 3의 A 내지 I에 분명히 보인 바와 같이, 오로지 CEP만이 어떠한 침착물도 남기지 않았으며, 최선의 결과를 보였다.
등급 체계: 1 - 호퍼, 압출기 공급 스로트 및 압출기 스크루 내에 침착물이 존재하지 않음; 2 - 호퍼, 압출기 공급 스로트 및 압출기 스크루 내에 최소한의 침착물이 존재함; 3 - 호퍼, 압출기 공급 스로트 및 압출기 스크루 내에 약간의 침착물이 존재함; 4 - 호퍼, 압출기 공급 스로트 및 압출기 스크루 내에 상당량의 침착물이 존재함. 결과들은 이하 표 2에 보였다.
Figure pct00020
실시예 4: 응집에 관한 비교 연구 - 첨가제의 응괴 생성 및 차폐성
본 실험은 상온 초과의 온도에서 보관 및 취급 동안 분말형 (그리고 다른 형태) 안정제의 응괴 생성 여부, 차폐성 및 이쇄성을 평가하기 위해 행하여졌다. 일부 첨가제의 용융점은 꽤 낮았는데(25℃ 내지 40℃), 이는 여름 몇 달 중 응괴 생성 및 취급상의 문제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40℃ 내지 60℃ 범위와 같이 실온 초과의 온도 중 보관되었을 때 첨가제들 또는 마스터배치 펠릿(중합체 캐리어 중 첨가제 20% 내지 60%)들의 상대적 응괴 생성, 차폐성, 이쇄성 및 유동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 방법이 개발되었다. "응괴 생성"이란, 첨가제 입자들 또는 마스터배치 펠릿들이 서로 응집하거나 들러붙는 것을 지칭한다. "차폐"란, 첨가제 펠릿들이 응집하여, 유동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지칭하고, "이쇄성"이란, 첨가제 입자들 또는 펠릿들이 쉽게 바스러지거나 가루가 되는 것을 지칭한다.
절차: 안정제 양들은 이하 표 3에 제시되어 있다. 캡슐화제는, CEP 및 원통형 펠릿의 경우 폴리프로필렌(PP)이었다. 각각의 시료를 250 ㎖들이 비커에 50 g씩 넣은 다음, 분말 또는 펠릿이 담긴 비커 상부에 약간 작은 자(jar)를 놓고 나서, 상기 자의 상부에 500-그램의 하중을 가하여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주었다. 이 시료를 강제 통풍 오븐(Blue M Oven)(40℃, 50℃ 또는 60℃)에 24 시간 동안 넣어 두었다(상기 각 온도에는 새로 마련된 시료가 노출됨). 시료를 2 시간에 걸쳐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시료를 대상으로 응괴 생성, 차폐성, 이쇄성 및 유동성에 대하여 하기 등급 체계를 사용하여 등급을 매겼다:
1등급 - 자유 유동.
2등급 - 약간의 덩어리가 생성되고, 쉽게 부서짐(이쇄성).
3등급 - 대부분이 덩어리로 뭉쳐지고, 어느 정도 힘을 가하여야 부서짐(경도 이쇄성).
4등급 - 대부분이 덩어리로 뭉쳐지고, 부서지지 않음.
5등급 - 융합되어 고체가 됨.
50℃에서 얻어진 결과들은 이하 표 3에 제공되었다.
Figure pct00021
도 4a는 시료 1 내지 3을 사진으로 촬영한 결과들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b는 비교 시료 10 내지 12를 사진으로 촬영한 결과들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시예 5: 운송 동안 이쇄성 평가: 진탕기 시험(Red Devil Shaker - Model # 5400)
본 시험은, 최신 기술의 재료 형태, 즉 MB 및 스킨 MB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CEP 안정제를 평가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운송 및 선적 동안 일부 안정제 또는 안정제 배합물이 부스러지기 쉽게 될 수 있어, 최종 사용자에게 허용될 수 없는 미세 분말이 상당량 생성될 수 있을 때 문제가 발생한다.
시료는 다음과 같이 시험되었다. 시료로 중량을 채운, 입구가 개방된, 16 oz. 유리 자를 3분의 1이 되도록 채웠다. (펠릿당 약 140 그램). 자에 분말이 추가되지 않도록 주의가 기울여졌다. 자는 적당한 뚜껑으로 밀폐되었다. 이 자는 Red Devil 진탕기(Model # 5400) 상에 올려 놓아졌으며, 이후 기저부를 윗 쪽으로 조여주어 클램프로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진탕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시료가 담긴 자가 부주의하게 풀리지 않도록 하였다. 시료들은 5 분 동안 진탕되었다. 자에 담긴 내용물은 35 메쉬(직경 0.011 인치 와이어 - 입구 0.0175 인치) 스크린을 통과하여 호일 트레이 위에 걸러져 비워졌다. "미세 분말"의 중량은 트레이 내 분말 중량과 비커 내부에 잔류하는 분말의 중량을 합한 양이었다.
Figure pct00022
실시예 7. 코어 내 중합체 희석제.
코어로서 UV-3853 50 중량% 및 LDPE 50 중량%과, 이 코어를 캡슐화하는 외부 층으로서 PP로 구성된 CYASORB® UV-3853S로 말단 폐쇄형 펠릿이 제조되었다. 코어와 외부 층의 중량은 CEP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60 중량%와 40 중량%이었다. 따라서 CEP의 전체 조성은 UV-3853 30 중량%, LDPE 30 중량%, 및 PP 40 중량%이었다.
실시예 8. 코어를 캡슐화하는 외부 층 내 안정제
코어로서 CYASORB® UV-3853(100% 활성)과, 이 코어를 캡슐화하는 외부 층으로서 CYASORB® UV-3346 50 중량% 및 PP 50 중량%의 혼합물로 말단 폐쇄형 펠릿이 제조되었다. 상기 코어 및 외부 층의 중량은 CEP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60 중량%와 40 중량%였다. 따라서 CEP의 전체 조성은 UV-3853 60 중량%, UV-3346 20 중량%, 및 PP 20 중량%였다.
실시예 9. 상이한 형태를 가지는 페노티아진의 스티렌 중 용해 시간의 비교
용해 시간은 페노티아진(2 중량%)뿐만 아니라 폴리스티렌 캐리어(프릴용) 또는 캡슐화제(CEP용)가 스티렌 중에 완전히 용해되어 균질 용액을 생성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정의되었다. 결과들은 하기 표에 요약되어 있으며, 이는 페노티아진의 CEP 형태가 스티렌 단량체 중에 용이하게, 완전히, 그리고 프릴 형태처럼 신속하게 용해될 수 있음을 입증해준다. 폴리스티렌 중합체는 스티렌 단량체 중에 완전히 용해되었고, 증류를 포함한 임의의 후속 제조 공정에 대한 임의의 악영향을 최소화하였다.
Figure pct00023
실시예 10: 페노티아진의 상이한 형태들의 이쇄성과 무결성의 비교
폴리스티렌 중 페노티아진 분말, 프릴, 그리고 (폴리스티렌 중 캡슐화된) CEP 시료들은 자 내에 배치되어 격렬하게 진탕되었다. 시료 첨가 직후 및 다시 격렬하게 진탕된 후, 분진 생성에 대해 시료들을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들은 하기 표 6에 요약되었으며, 여기서 분진화의 정도는 "비분진화(none)", "경도 분진화(slight)" 또는 "중간 분진화(moderate)"로 특성 규명되었다.
Figure pct00024
상기 결과들은, 페노티아진의 CEP 형태가 탁월한 제조물 무결성을 가지고, 분말 및 분진 생성 경향이 심지어 프릴 형태의 경우보다 더 감소하였음을 입증한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CEP 형태는 가공 장비 내에 고화/응괴 생성 또는 브리징/엉김(clogging)이 발생하는 경향을 줄일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작업자가 페노티아진에 직접 노출되는 일이 없어지고, 임의의 분진 폭발 위험도 최소화된다.
기타 단량체 안정제(즉 억제제)의 CEP들은, 둘 다 각각 및 조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CEP를 제조하기 위해 본원에 개시된 기타 열가소성 중합체가 캡슐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었다. 열가소성 중합체의 선택은 부분적으로 이 중합체 자체가 억제 단량체 또는 용제에 용해되는 속도에 의존한다.
다수의 특허 및/또는 과학 문헌과 같은 참고문헌이 본 출원 전체에 인용되어 있다. 이러한 공보의 개시내용은 그 자체로서 본원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되어 있다. 상기 발명의 설명과 실시예들이 고려되었을 때, 당업자는 과도한 실험 없이도 청구된 개시내용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전술된 발명의 설명은 본 교시내용의 근본적인 신규 특징들을 보여주고, 기술하며, 또한 명시하고 있지만, 예시된 장치 및 이의 용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의 형태에 다양한 생략, 대안 및 수정이, 본 교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가하여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교시내용의 범위는 전술된 논의들에 제한되어서는 안 되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코어 및 상기 코어를 캡슐화하는 외부 층을 포함하는 말단 폐쇄형 펠릿으로서 제공되는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로서, 상기 코어는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층은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층의 두께가 0.001 ㎜ 내지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첨가제는 안정제를 포함하는,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안정제는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HALS), 유기 포스파이트 또는 유기 포스포나이트, 힌더드 페놀, 크로만, 자외선(UV) 흡수제, 힌더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실아민, 3차 아민 옥사이드 및 유리 라디칼 중합 억제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안정제는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과 C12 -21-포화 및 C18-불포화 지방산의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안정제는 페노티아진, 페노티아진 유도체,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MEHQ) 및 tert-부틸 카테콜(TBC)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는 열가소성 중합체인,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케톤, 폴리아미드, 천연 및 합성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삼량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삼량체,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셀룰로스 중합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어는 외부 층의 열가소성 중합체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열가소성 중합체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층은 안정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과, 안정화 유기 재료로 제조된, 안정화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유기 재료는 중합체, 코팅, 성형 물품, 직물, 섬유, 필름,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 왁스, 유기 화합물, 사진 필름, 종이, 화장품, 유기 염료 또는 잉크를 포함하는, 안정화 조성물.
  13. 안정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의 용도.
  14. 외부 층에 의해 캡슐화된 코어 재료를 튜브형으로 공압출하여(여기서 코어 재료는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외부 층은 중합체를 포함함), 충전된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충전된 튜브를 밀봉 장치(상기 충전된 튜브를 다수의 불연속 분절로 절단하고, 동시에 각각의 불연속 분절의 각 말단을 밀봉함) 내에 통과시켜, 말단 폐쇄형 펠릿을 제조하는 단계; 및
    말단 폐쇄형 펠릿을 냉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2종의 충전된 튜브들은 동일 장치가 사용되어 동시에 압출, 절단, 밀봉 및 냉각되고, 그 결과 적어도 2종의 말단 폐쇄형 펠릿의 공정 흐름을 형성하는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수지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중합체와 용융 혼합하여, 안정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안정화 조성물을 성형하여 성형 물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0187005663A 2015-07-31 2016-07-29 캡슐화된 안정제 조성물 KR102641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99265P 2015-07-31 2015-07-31
US62/199,265 2015-07-31
PCT/US2016/044721 WO2017023755A1 (en) 2015-07-31 2016-07-29 Encapsulated stabilizer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742A true KR20180036742A (ko) 2018-04-09
KR102641063B1 KR102641063B1 (ko) 2024-02-27

Family

ID=56684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663A KR102641063B1 (ko) 2015-07-31 2016-07-29 캡슐화된 안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10974417B2 (ko)
EP (1) EP3328929B1 (ko)
JP (2) JP6850791B2 (ko)
KR (1) KR102641063B1 (ko)
CN (2) CN108137863A (ko)
BR (1) BR112018001961B1 (ko)
CA (1) CA2993973C (ko)
ES (1) ES2735148T3 (ko)
HU (1) HUE044832T2 (ko)
MX (1) MX2018001168A (ko)
PL (1) PL3328929T3 (ko)
PT (1) PT3328929T (ko)
RU (1) RU2679252C1 (ko)
SA (1) SA518390842B1 (ko)
TR (1) TR201910378T4 (ko)
WO (1) WO2017023755A1 (ko)
ZA (1) ZA2018005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9266A (en) * 2017-10-13 2019-06-19 Nottingham Univ Hospitals Nhs Trust Methods of forming solid or liquid charged capsules
WO2020003048A1 (en) * 2018-06-25 2020-01-02 Songwon Industrial Co., Ltd. Polyolefine stabilizers with reduced fragmentation
TWI818054B (zh) 2018-08-31 2023-10-11 美商陶氏全球科技有限責任公司 具有氣味控制組分之纖維
CA3133837A1 (en) 2019-03-29 2020-10-0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ellet containing additives
BR112021016848A2 (pt) * 2019-03-29 2021-10-1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Grânulo, e, processo
CN110157094B (zh) * 2019-04-30 2022-01-14 南通市东方塑胶有限公司 具有抗热氧老化功能的阻燃光扩散pp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4402A (en) * 1970-03-04 1972-09-26 Ici Ltd Process of incorporating additives into thermoplastics
JPS5981121A (ja) * 1982-11-01 1984-05-10 Toyo Seikan Kaisha Ltd 多層ペレツトの製造方法
JPH01207334A (ja) * 1987-11-10 1989-08-21 Du Pont Canada Inc 濃厚物カプセル
JP2000080172A (ja) * 1998-09-02 2000-03-21 Sumika Color Kk マスターバッチ樹脂ペレ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7042438A1 (en) * 2005-10-12 2007-04-19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Encapsulated luminescent pigments
KR20070105960A (ko) * 2004-09-03 2007-10-31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다층펠렛
WO2014010492A1 (ja) * 2012-07-10 2014-01-16 株式会社Adeka 混合ペレ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21094D0 (en) 1986-09-01 1986-10-08 Ici Plc Loading of polymer additives
US5525659A (en) 1993-09-08 1996-06-11 The Dow Chemical Company Batch inclusion packages
JPH0952956A (ja) 1995-08-10 1997-02-25 Nippon Shokubai Co Ltd 樹脂用添加剤のマスターバッチ
RU2192304C2 (ru) * 1995-12-29 2002-11-10 Циба Спешиалти Кемикалз Уотер Тритментс Лимитед Частицы с полимерной оболочкой и их получение
ES2198679T3 (es) 1997-09-29 2004-02-01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Granulados de estabilizadores epoxidados, exentos de polvillo,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WO2000077084A1 (en) 1999-06-14 2000-12-21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Stabilization of plastics and articles produced or coated therewith
US6387986B1 (en) * 1999-06-24 2002-05-14 Ahmad Moradi-Araghi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oil field applications
US8110284B2 (en) * 2003-07-31 2012-02-07 Sol-Gel Technologies Ltd. Microcapsules loaded with active ingredients and a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RU2007104041A (ru) * 2004-07-02 2008-08-10 Фирмениш Са (Ch) Инкапсулированные гидрофильные соединения
JP5456237B2 (ja) 2007-02-05 2014-03-26 株式会社Adeka 樹脂添加剤マスターバッチ
EP2554620B1 (en) 2010-03-31 2018-04-11 Sekisui Chemical Co., Ltd. Thermally expandable microcapsule, method for producing thermally expandable microcapsule, foamable masterbatch and foam molded article
JP5680879B2 (ja) 2010-05-26 2015-03-04 株式会社Adeka 樹脂添加剤マスターバッチ
JP2012097130A (ja) 2010-10-29 2012-05-24 Toppan Forms Co Ltd 帯電防止剤含有樹脂マスターバッチ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装置、並びに前記製造方法によるマスターバッチ
CN102399393B (zh) 2011-11-23 2014-07-09 上海日之升新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永久抗静电pp复合材料及制备方法
EP2794085B1 (de) * 2011-12-19 2016-07-27 Basf Se Mikrokapseldispersion enthaltend mikrokapseln mit einem hydrophilem kapselker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4402A (en) * 1970-03-04 1972-09-26 Ici Ltd Process of incorporating additives into thermoplastics
JPS5981121A (ja) * 1982-11-01 1984-05-10 Toyo Seikan Kaisha Ltd 多層ペレツトの製造方法
JPH01207334A (ja) * 1987-11-10 1989-08-21 Du Pont Canada Inc 濃厚物カプセル
JP2000080172A (ja) * 1998-09-02 2000-03-21 Sumika Color Kk マスターバッチ樹脂ペレ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105960A (ko) * 2004-09-03 2007-10-31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다층펠렛
WO2007042438A1 (en) * 2005-10-12 2007-04-19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Encapsulated luminescent pigments
WO2014010492A1 (ja) * 2012-07-10 2014-01-16 株式会社Adeka 混合ペレ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50791B2 (ja) 2021-03-31
SA518390842B1 (ar) 2021-06-28
CN108137863A (zh) 2018-06-08
RU2679252C1 (ru) 2019-02-06
BR112018001961A2 (pt) 2019-05-14
TR201910378T4 (tr) 2019-08-21
WO2017023755A1 (en) 2017-02-09
ES2735148T3 (es) 2019-12-16
EP3328929B1 (en) 2019-04-17
CN115627027A (zh) 2023-01-20
JP2018523731A (ja) 2018-08-23
KR102641063B1 (ko) 2024-02-27
US10974417B2 (en) 2021-04-13
US20220048218A1 (en) 2022-02-17
JP6872048B2 (ja) 2021-05-19
EP3328929A1 (en) 2018-06-06
HUE044832T2 (hu) 2019-11-28
BR112018001961B1 (pt) 2022-04-26
ZA201800568B (en) 2023-07-26
US20180222087A1 (en) 2018-08-09
CA2993973C (en) 2021-06-22
MX2018001168A (es) 2018-07-06
PT3328929T (pt) 2019-07-16
PL3328929T3 (pl) 2019-09-30
JP2020062892A (ja) 2020-04-23
CA2993973A1 (en)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1063B1 (ko) 캡슐화된 안정제 조성물
CN111448250B (zh) 用于稳定无卤素的热塑性回收材料的方法、经稳定的塑料组合物和模塑料及由其制备的模塑件
US20220212375A1 (en) Polymeric hollow articles containing chroman-based compounds and made by rotational molding
KR102519575B1 (ko) 중합체 수지에서의 사용을 위한 과립 안정화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22526925A (ja)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のリサイクル物の安定化方法、安定化プラスチック組成物、並びに、それから製造される成形材料および成形部品
KR102214704B1 (ko) 치환된 크로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안정제 조성물 및 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