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233A -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233A
KR20180036233A KR1020160126569A KR20160126569A KR20180036233A KR 20180036233 A KR20180036233 A KR 20180036233A KR 1020160126569 A KR1020160126569 A KR 1020160126569A KR 20160126569 A KR20160126569 A KR 20160126569A KR 20180036233 A KR20180036233 A KR 20180036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inger
cinnamon
filtrate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1419B1 (ko
Inventor
한갑훈
김종화
오동순
변문성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에이알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에이알앤지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26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419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은 이강주 제조 원료에 해당하는 생강, 계피, 울금 및 배 각각을 분말상태로 마련하는 분말화 단계; 상기 분말화 단계를 통해 마련된 생강 분말, 계피 분말, 울금 분말 및 배 분말 45 내지 55 중량부 각각을 에탄올 수용액 850 내지 1000 중량부에 개별 혼합하여 각각의 혼합물을 마련하는 혼합 단계; 상기 혼합 단계를 통해 마련된 생강 혼합물, 계피 혼합물, 울금 혼합물 및 배 혼합물 각각을 항온 수조를 이용해 1차 추출하여 각각의 1차 추출물을 마련하는 제1추출 단계; 상기 제1추출 단계를 통해 마련된 생강 1차 추출물, 계피 1차 추출물, 울금 1차 추출물 및 배 1차 추출물 각각을 적어도 1회 이상 여과하여 각각의 여과물을 마련하는 여과 단계; 및 상기 여과 단계를 통해 마련된 생강 여과물, 계피 여과물, 울금 여과물 및 배 여과물 각각을 감압 농축하여 각각의 최종 추출물을 마련하는 제2추출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MANUFACTURING METHOD FOR EXTRACTS BASED ON LEEGANGJU BASE MATERIAL, EXTRACTS MANUFACTURED BY THEREOF METHOD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REOF EXTRACTS}
본 발명은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강주(梨薑酒)는 토종 누룩을 이용해 백미를 원료로 하여 덧술을 만든 후, 만들어진 덧술로 토종 소주를 내리고 여기에 배, 생강, 울금, 계피, 꿀 등의 제조 원료를 추가로 넣어 장기간 후숙시켜 만들어지는 술이다.
이러한 이강주는 전통소주가 지닌 향미와 울금과 계피가 지닌 향, 그리고 배와 생강, 꿀이 지는 달콤하면서도 시원한 맛이 조화를 이루어 우리나라에서는 5대 명주로 손꼽히던 술 중 하나로, 약제학적으로 신경 안정 및 피로 회복을 돕고 위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능을 제공하고 있다.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이강주 제조에 사용되는 천연 원료들을 이용해 단순히 술의 제조에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 각각의 원료들로부터 얻어지는 추출물들이 지난 약제학적 특성들을 활용하여 화장품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을 적용시키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천연 원료로부터 획득되는 추출물을 이용해 해당 추출물이 지닌 약제학적 성질이 화장품과 같은 특정 제품에 적용되어 발현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0315호의 "아토피 예방을 위한 발효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천연 원료 기반의 기능성 추출물 관련 기술 혹은 해당 추출물을 활용한 기술의 경우, 추출물을 획득하는 공정상의 구체화 및 세분화가 이루어지지 못해 단순하게 추출물을 획득함에 따라 추출 공정의 효율성 및 획득되는 추출물이 제공하는 기능성의 정도가 방법상의 조건적 문제로 인해 낮게 갖춰지는 문제점가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천연 원료 기반의 기능성 추출물 관련 기술 혹은 해당 추출물을 활용한 기술을 통해 획득되는 추출물 혹은 활용제품이 제공하는 항산화성 및 특정 균주에 관한 항균성에 관한 기능 활성 정도가 존재하나 미미한 수준에 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이강주 제조에 이용되는 원료들을 기반으로 하여 해당 원료들이 가진 약제학적 특성을 이용해 항산화성 및 특정 균주에 관한 항균성이 우수한 추출물을 마련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강주 제조에 이용되는 원료를 기반으로 한 추출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도록 활용하여, 해당 추출물들이 우수한 수준에서 각기 달리 제공하는 항산화성 및 특정 균주에 관한 항균성에 관한 기능 활성 정도를 종합적으로 갖춘 화장품 조성물을 마련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은, 이강주 제조 원료에 해당하는 생강, 계피, 울금 및 배 각각을 분말상태로 마련하는 분말화 단계; 상기 분말화 단계를 통해 마련된 생강 분말, 계피 분말, 울금 분말 및 배 분말 45 내지 55 중량부 각각을 에탄올 수용액 850 내지 1000 중량부에 개별 혼합하여 각각의 혼합물을 마련하는 혼합 단계; 상기 혼합 단계를 통해 마련된 생강 혼합물, 계피 혼합물, 울금 혼합물 및 배 혼합물 각각을 항온 수조를 이용해 1차 추출하여 각각의 1차 추출물을 마련하는 제1추출 단계; 상기 제1추출 단계를 통해 마련된 생강 1차 추출물, 계피 1차 추출물, 울금 1차 추출물 및 배 1차 추출물 각각을 적어도 1회 이상 여과하여 각각의 여과물을 마련하는 여과 단계; 및 상기 여과 단계를 통해 마련된 생강 여과물, 계피 여과물, 울금 여과물 및 배 여과물 각각을 감압 농축하여 각각의 최종 추출물을 마련하는 제2추출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은, 상기 제2추출 단계를 통해 감압 농축된 생강 최종 추출물, 계피 최종 추출물, 울금 최종 추출물 및 배 최종 추출물 각각을 동결 건조시키는 동결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말화 단계를 통해 마련되는 배 분말은 상기 분말화 단계 진행 전에 동결 건조 상태로 마련되는 전처리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처리 단계는, 배를 -65℃ 내지 -55℃의 온도환경에서 7시간 내지 9시간동안 냉동을 진행하는 냉동 단계; 상기 냉동 단계를 통해 냉동상태로 마련된 배를 -65℃ 내지 -55℃의 온도환경에서 47시간 내지 49시간동안 감압 건조시키는 제1건조 단계; 및 상기 제1건조 단계를 통해 건조된 배를 25℃ 내지 30℃의 온도환경에서 5시간 내지 7시간동안 건조시키는 제2건조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추출 단계는 55℃ 내지 65℃의 온도환경을 갖춘 항온수조에서 상기 생강 혼합물, 계피 혼합물, 울금 혼합물 및 배 혼합물 각각에 대해 22시간 내지 26시간동안 1차 추출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생강 혼합물, 계피 혼합물, 울금 혼합물 및 배 혼합물 각각은 상기 혼합 단계를 통해 4개의 에탄올 수용액 1L 각각에 생강 분말, 계피 분말, 울금 분말 및 배 분말 50g이 개별 혼합되는 비율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혼합 단계는 혼합 수행을 통해 마련된 상기 생강 혼합물, 계피 혼합물, 울금 혼합물 및 배 혼합물 각각에 대해 교반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혼합단계의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50% 또는 70% 에탄올 수용액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 단계는, 상기 제1추출 단계를 통해 마련된 생강 1차 추출물, 계피 1차 추출물, 울금 1차 추출물 및 배 1차 추출물 각각을 1차 여과시키는 제1여과 단계; 상기 제1여과 단계를 거친 생강 1차 여과물, 계피 1차 여과물, 울금 1차 여과물 및 배 1차 여과물 각각을 원심분리 수행하여 상동액을 회수하는 원심분리 단계; 및 상기 원심분리 단계를 통해 회수된 생강 분리액, 계피 분리액, 울금 분리액 및 배 분리액 각각을 2차 여과하여 상기 생강 여과물, 계피 여과물, 울금 여과물 및 배 여과물을 마련하는 제2여과 단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여과 단계는 상기 생강 1차 추출물, 계피 1차 추출물, 울금 1차 추출물 및 배 1차 추출물 각각을 2겹으로 포개진 상태의 면포에 거름망을 받쳐 1차 여과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원심분리 단계는 상기 생강 1차 여과물, 계피 1차 여과물, 울금 1차 여과물 및 배 1차 여과물 각각을 3℃ 내지 5℃의 온도환경에서 4000 RPM 내지 5000 RPM의 속도로 5분 내지 15분 동안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얻어지는 상동액을 회수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제2여과 단계는 상기 생강 분리액, 계피 분리액, 울금 분리액 및 배 분리액 각각을 여과지(Filter Paper)을 이용해 2차 여과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제2추출 단계는 상기 여과 단계를 통해 마련된 생강 여과물, 계피 여과물, 울금 여과물 및 배 여과물 각각을 40℃ 내지 50℃의 온도환경에서 60 RPM 내지 80 RPM의 속도로 감압 농축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은 앞 서 설명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들을 통해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중 생강 최종 추출물은 항산화성과 대장균(E.coli, Escherichia coli),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 aeruginosa, Pseudomonas aeruginosa) 및 칸디다 알비칸스(C.albicans,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중 계피 최종 추출물은 항산화성과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칸디다 알비칸스(C.albicans, Candida albicans) 및 흑구균(A. niger, Aspergillus niger)에 대한 항균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중 울금 최종 추출물은 항산화성과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 aeruginosa, Pseudomonas aeruginosa) 및 칸디다 알비칸스(C.albicans,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중 배 최종 추출물은 항산화성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은 앞 서 설명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중 상기 생강 최종 추출물; 계피 최종 추출물; 울금 최종 추출물; 및 배 최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여기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은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생강 최종 추출물 0.1 중량부; 상기 계피 최종 추출물 0.2 중량부; 상기 울금 최종 추출물 0.2 중량부; 및 배 최종 추출물 0.1 중량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이강주 제조 원료에 해당하는 생강으로부터 우수한 수준의 항산화성과 대장균(E.coli, Escherichia coli),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 aeruginosa, Pseudomonas aeruginosa) 및 칸디다 알비칸스(C.albicans,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성을 제공이 가능한 최종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둘째, 이강주 제조 원료에 해당하는 계피로부터 우수한 수준의 항산화성과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칸디다 알비칸스(C.albicans, Candida albicans) 및 흑구균(A. niger, Aspergillus niger)에 대한 항균성을 제공이 가능한 최종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셋째, 이강주 제조 원료에 해당하는 울금으로부터 우수한 수준의 항산화성과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 aeruginosa, Pseudomonas aeruginosa) 및 칸디다 알비칸스(C.albicans,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성을 제공이 가능한 최종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넷째, 이강주 제조 원료에 해당하는 배로부터 우수한 수준의 항산화성을 제공이 가능한 최종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다섯째, 앞 서 설명한 항산화성 및 특정 균주에 관한 항균성을 갖춘 생강, 계피, 울금 및 배 최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적정 함량 수준을 갖추도록 조성을 마련하여 우수한 수준의 항균성, 항산화성, 미백효과에 대한 기능성 제공이 가능하되 피부에 관한 부작용을 최소화한 화장품 조성물을 획득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들의 대장균(E.coli,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력 검사 결과가 나타난 배지 사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들의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력 검사 결과가 나타난 배지 사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들의 녹농균(P. aeruginosa,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력 검사 결과가 나타난 배지 사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들의 칸디다 알비칸스(C.albicans,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력 검사 결과가 나타난 배지 사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들의 흑구균(A. niger, Aspergillus niger)에 대한 항균력 검사 결과가 나타난 배지 사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들의 항산화성 시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들의 미백활성 시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피부자극 안정성 평가에 이용된 설문조사표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사용감 평가에 이용된 설문조사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에 관한 설명
도1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분말화 단계<S100>
본 단계에서는 이강주 제조 원료에 해당하는 생강, 계피, 울금 및 배 각각을 분말상태로 마련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강주 제조 원료에 해당하는 생강, 계피, 울금은 원료를 소정의 입도 크기로 분쇄하여 분말상태로 마련하고, 배는 원료를 동결 건조시키는 전처리 과정을 거친 뒤 분쇄하여 분말상태로 마련한다.
구체적으로 분말화 단계(S100)를 통해 마련되는 배 분말은 본 단계 진행 전에 동결 건조 상태로 마련되는 전처리 단계를 거치게 되고, 해당 전처리 단계는 냉동 단계, 제1건조 단계 및 제2건조 단계로 세분화되어 순차 진행된다.
우선, 냉동 단계는 이강주 제조 원료에 해당하는 배를 -65℃ 내지 -55℃(가장 바람직하게는 -60℃)의 온도환경에서 7시간 내지 9시간(가장 바람직하게는 8시간)동안 냉동을 진행하는 과정으로, 본 과정을 통해 배를 언 냉동상태로 마련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1건조 단계는 앞 서 진행된 냉동 단계를 통해 냉동상태로 마련된 배를 -65℃ 내지 -55℃(가장 바람직하게는 -60℃)의 온도환경에서 47시간 내지 49시간(가장 바람직하게는 48시간)동안 감압 건조시키는 과정으로, 추후 진행될 실온 상의 건조 공정 진행 전 우선적으로 건조를 진행함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제2건조 단계는 앞 서 진행된 제1건조 단계를 통해 건조된 배를 25℃ 내지 30℃(가장 바람직하게는 29℃ 상온)의 온도환경에서 5시간 내지 7시간(가장 바람직하게는 6시간)동안 건조시키는 과정으로, 이와 같은 일련의 전처리 세부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함에 따라 배는 분쇄를 통한 분말화가 가능한 상태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이강주 제조 원료에 해당하는 배의 전처리 단계는 동결건조 장치의 수동모드 가동을 통해 제조자가 수행 가능하다.
(2) 혼합 단계<S200>
본 단계에서는 앞 서 진행된 분말화 단계(S100)를 통해 마련된 생강 분말, 계피 분말, 울금 분말 및 배 분말 45 내지 55 중량부 각각을 에탄올 수용액 850 내지 1000 중량부에 개별 혼합하여 각각의 혼합물을 마련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본 단계에서는 생강 분말 45 내지 55 중량부를 에탄올 수용액 850 내지 1000 중량부에 혼합시키고, 계피 분말 45 내지 55 중량부를 에탄올 수용액 850 내지 1000 중량부에 혼합시키고, 울금 분말 45 내지 55 중량부를 에탄올 수용액 850 내지 1000 중량부에 혼합시키며, 배 분말 45 내지 55 중량부를 에탄올 수용액 850 내지 1000 중량부에 혼합시켜 4종류의 생강 혼합물, 계피 혼합물, 울금 혼합물 및 배 혼합물을 마련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에탄올 수용액은 50% 또는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생강 혼합물, 계피 혼합물, 울금 혼합물 및 배 혼합물 각각은 4개의 50% 또는 70% 에탄올 수용액 1L 각각에 생강 분말, 계피 분말, 울금 분말 및 배 분말 50g이 개별 혼합되어 마련됨이 가장 바람직하며, 해당 이강주 제조 원료 분말 각각의 중량 수준과 해당 분말 각각이 혼합되는 에탄올의 부피가 이루는 비율은 최종 추출물의 기능성 구현 수준 확보를 위해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단계(S200)는 분말의 에탄올 수용액에 대한 혼합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생강 혼합물, 계피 혼합물, 울금 혼합물 및 배 혼합물 각각에 대해 교반기를 통해 교반 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제1추출 단계<S300>
본 단계에서는 앞 서 진행된 혼합 단계(S200)를 통해 마련된 생강 혼합물, 계피 혼합물, 울금 혼합물 및 배 혼합물 각각을 항온 수조를 이용해 1차 추출하여 각각의 1차 추출물을 마련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추출 단계(S300)는 55℃ 내지 65℃(가장 바람직하게는 60℃)의 온도환경을 갖춘 항온수조에서 생강 혼합물, 계피 혼합물, 울금 혼합물 및 배 혼합물 각각에 대해 22시간 내지 26시간(가장 바람직하게는 24시간)동안 1차 추출을 수행하여 생강 1차 추출물, 계피 1차 추출물, 울금 1차 추출물 및 배 1차 추출물을 마련한다.
(4) 여과 단계<S400>
본 단계는 앞 서 설명된 제1추출 단계(S300)를 통해 마련된 생강 1차 추출물, 계피 1차 추출물, 울금 1차 추출물 및 배 1차 추출물 각각을 적어도 1회 이상 여과하여 각각의 여과물을 마련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여과 단계(S400)는 제1여과 단계(S410), 원심분리 단계(S420) 및 제2여과 단계(S430)의 세부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우선, 제1여과 단계(S410)는 제1추출 단계(S300)를 통해 마련된 생강 1차 추출물, 계피 1차 추출물, 울금 1차 추출물 및 배 1차 추출물 각각을 1차 여과시키는 단계로서, 생강 1차 추출물, 계피 1차 추출물, 울금 1차 추출물 및 배 1차 추출물 각각을 2겹으로 포개진 상태의 면포에 거름망을 받쳐 1차 여과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원심분리 단계(S420)는 제1여과 단계를 거친 생강 1차 여과물, 계피 1차 여과물, 울금 1차 여과물 및 배 1차 여과물 각각을 50ml 튜브에 옮긴 뒤 원심분리 수행하여 상동액을 회수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원심분리 단계(S420)는 구체적으로 생강 1차 여과물, 계피 1차 여과물, 울금 1차 여과물 및 배 1차 여과물 각각을 3℃ 내지 5℃(가장 바람직하게는 40℃)의 온도환경에서 4000 RPM 내지 5000 RPM(가장 바람직하게는 4500 RPM)의 속도로 5분 내지 15분(가장 바람직하게는 10분) 동안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얻어지는 상동액을 회수한다.
마지막으로, 제2여과 단계(S430)는 원심분리 단계(S420)를 통해 회수된 상동액 각각에 해당하는 생강 분리액, 계피 분리액, 울금 분리액 및 배 분리액 각각을 2차 여과하여 최종적인 생강 여과물, 계피 여과물, 울금 여과물 및 배 여과물을 마련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제2여과 단계(S430)는 구체적으로 강 분리액, 계피 분리액, 울금 분리액 및 배 분리액 각각을 여과지(Filter Paper)을 이용해 2차 여과함이 바람직하다.
(5) 제2추출 단계<S500>
본 단계는 앞 서 설명된 여과 단계(S400)를 통해 마련된 생강 여과물, 계피 여과물, 울금 여과물 및 배 여과물 각각을 감압 농축하여 각각의 최종 추출물을 마련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2추출 단계(S500)는 제2여과 단계(S430)를 통해 마련된 강 여과물, 계피 여과물, 울금 여과물 및 배 여과물 각각을 40℃ 내지 50℃(가장 바람직하게는 45℃)의 온도환경을 갖춘 워터베이스에서 60 RPM 내지 80 RPM의 속도로 감압 농축을 수행하여 최종 추출물 각각을 마련하다.
따라서 본 과정(S500)을 거치면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생강 최종 추출물,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계피 최종 추출물,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울금 최종 추출물 및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배 최종 추출물을 수득하게 된다.
실시에 따라 해당 최종 추출물을 즉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보관하여 추후 필요 시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동결 건조 단계(S600)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동결 건조 단계(S600)을 통해 제2추출 단계(S500)를 거쳐 마련된 최종 추출물 각각은 동결 건조되어 -20℃ 이하의 냉동실에 보관되었다가 필요 시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일련의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의 순차적 수행 결과 얻어지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생강 최종 추출물, 계피 최종 추출물, 울금 최종 추출물 및 배 최종 추출물은 우수한 수준의 항균성, 항산화성 및 미백효과 등의 기능적 물성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이강조 제조의 원료로서의 근본적 기능 외에도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생강 최종 추출물, 계피 최종 추출물, 울금 최종 추출물 및 배 최종 추출물을 통해 항균성, 항산화성 및 미백효과 등의 기능적 물성이 우수한 화장품 조성물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아래 단락을 통해 기능적 입증을 설명하고자 한다.
2.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들 각각의 물성 검사 결과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은 앞 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어 최종 추출물의 항균성, 항산화성을 확인하였으며, 당업계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수단에 의한 성질 등을 정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기 실험 방법들을 이용하였다.
(1)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들 각각의 항균성 검사 결과
우선,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의 순차적 수행 결과 얻어지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생강 최종 추출물, 계피 최종 추출물, 울금 최종 추출물 및 배 최종 추출물의 균주별 항균성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항균성 검사 대상이 되는 균주는 하기 표1에 나타난바와 같다.
균주(Strain) 균주 수탁번호 배지(Media)
Escherichia coli KCTC 1039 LB
Staphylococcus aureus KCTC 3881 TSA
Pseudomonas aeruginosa KCTC 1637 TSA
Candida albicans KCTC 7965 YEPD
Aspergillus niger KCTC 6910 PDA
구체적으로, 그람(Gram) 양성균으로서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수탁번호 : KCTC 3881), 호기성 그람(Gram) 음성균으로서 대장균(E.coli, Escherichia coli, 수탁번호 : KCTC 1039) 및 녹농균(P. aeruginosa, Pseudomonas aeruginosa, 수탁번호 : KTCT 1637), 진균류로서 칸디다 알비칸스(C.albicans, Candida albicans, 수탁번호 : KTCT 7965), 흑국균으로서 흑구균(A. niger, Aspergillus niger, 수탁번호 : KTCT 6910)을 생물자원센터(KTCT)로부터 분양 받아 항균성 검사 대상 균주로 사용하였다.
우선, 항균성 검사 수행을 위해 -80℃에 보관되어 있던 상기 각 균주들을 상온에서 녹인 뒤, 대장균은 LB(Luria-Bertani) 배지에서, 황색포도상구균 및 녹농균은 TSA(Trypicsoy Agar) 배지에서, 칸디다 알비칸스는 YEPD(Yeast Extract Peptone Dextrose) 배지에서, 흑국균은 PDA(Potato Dextorse Agar) 배지에서 접종시킨 뒤 30℃읜 온도 환경에서 18 내지 48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아울러, 균주의 활성 저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7일에 한 간격으로 계대 배양을 하면서 균주를 사용하였다.
<항균성 검사 방법(Paper-disc Method)>
-계대배양을 통해 활성이 좋은 표1의 대상 균주들을 단일 콜로니(Colony)를 취해 고체 배지 전체에 균일하게 획선 도말을 수행
-멸균된 Paper-Disc를 도말된 플레이트 위에 올리고 40㎕ 내지 60㎕씩 각 추출물을 취함
-각 균주의 최적 조건하에서 배양을 수행
-배양 후 생육저해환(Clear Zone)을 확인하고 측정
이와 같은 일련의 항균성 검사를 거친 각 대상 균주별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의 순차적 수행 결과 얻어지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생강 최종 추출물, 계피 최종 추출물, 울금 최종 추출물 및 배 최종 추출물들의 항균성 검사 결과는 하기 표2, 도2 내지 도6에 나타나 있다.
+ : 0.5-1.5 mm / ++ : 1.6-2.5 mm / +++ : 2.6mm 이상
E.coli S.aureus P.aeruginosa C.albicans A.niger
계피
최종추출물
50%EtOH - - - + +
70%EtOH - + - ++ +++
울금
최종추출물
50%EtOH - - + ++ -
70%EtOH - ++ ++ ++ -
생강
최종추출물
50%EtOH - + + + -
70%EtOH ++ - + - -
결과적으로 표2, 도2 내지 도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중 생강 최종 추출물은 대장균(E.coli, Escherichia coli),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 aeruginosa, Pseudomonas aeruginosa) 및 칸디다 알비칸스(C.albicans,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성을 제공한다. 특히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중 생강 최종 추출물은 대장균(E.coli, Escherichia coli)에 관해 확연히 우수한 수준의 항균성을 갖추고 있다.
아울러, 표2, 도2 내지 도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중 계피 최종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칸디다 알비칸스(C.albicans, Candida albicans) 및 흑구균(A. niger, Aspergillus niger)에 대한 항균성을 제공한다, 특히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중 계피 최종 추출물은 흑구균(A. niger, Aspergillus niger)에 관해 확연히 우수한 수준의 항균성을 갖추고 있다.
또한, 표2, 도2 내지 도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중 울금 최종 추출물은 항산화성과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 aeruginosa, Pseudomonas aeruginosa) 및 칸디다 알비칸스(C.albicans,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성을 제공한다. 특히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중 울금 최종 추출물은 칸디다 알비칸스(C.albicans, Candida albicans)에 관해 확연히 우수한 수준의 항균성을 갖추고 있다.
(2)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들 각각의 항산화성 검사 결과
다음으로,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의 순차적 수행 결과 얻어지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생강 최종 추출물, 계피 최종 추출물, 울금 최종 추출물 및 배 최종 추출물의 균주별 항산화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피부노화를 일으키는 프리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함으로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의 유효성분로서 유효할지를 예측하는 1차 판단근거로 삼고자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성능을 검사하였다.
여기서, 항산화 성능은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가 가지고 있는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을 포획하는 능력(Scavenging Capacity)으로부터 평가하였다.
참고로, DPPH는 그 자체가 매우 안정한 자유라디칼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 517nm에서 흡광도를 나타내는 보라색 화합물이며 라디컬 소거활성이 있는 항산화 물질에 의에 정량적으로 보라색에서 노란색으로 탈색되므로 항산화 활성을 쉽게 측정할 수 있어 항산화제 검색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항산화성 검사 방법(DPPH Assay)>
- DPPH 0.2mM 농도의 에탄올 용액 1mL에 에탄올(또는 증류수)물에 녹여져 있는 시료(0.5mL/10mL) 0.5 mL을 가함
- 24℃의 온도조건에서 30분간 방치한다.
- 517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소거된 DPPH의 농도를 정량
-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scavenging activity)는 다음 식에 의해 산출
- % scavenging = [ 1- (B-C)/A] x 100 (%) (A: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채 반응한 후의 흡광도, B: 시료 첨가하여 반응한 후의 흡광도, C: DPPH 대신 증류수로 대체하여 측정한 흡광도)
- 양성대조용 시료로서는 10 mg/mL로 제조한 비타민 C(Ascorbic acid)를 사용(메탄올 용해)
이와 같은 일련의 항산화성 검사를 거친 각 대상 균주별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의 순차적 수행 결과 얻어지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생강 최종 추출물, 계피 최종 추출물, 울금 최종 추출물 및 배 최종 추출물들의 항산화성 검사 결과는 도7에 나타나 있다.
결과적으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물의 항산화 시험 결과, 모든 시료에서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으며 배 최종 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최종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대체적으로 70%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한 추출물이 50%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한 추출물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계피 최종 추출물의 항산화가 59.8%로 가장 우수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생강 최종 추출물이 45.7%로 높게 나타났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의 순차적 수행 결과 얻어지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생강 최종 추출물, 계피 최종 추출물, 울금 최종 추출물 및 배 최종 추출물 우수한 수준의 항산화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계피 최종 추출물은 비타민C에 유사한 수준의 항산화성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들 각각의 미백활성 검사 결과
마지막으로,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의 순차적 수행 결과 얻어지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생강 최종 추출물, 계피 최종 추출물, 울금 최종 추출물 및 배 최종 추출물의 균주별 미백활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미백활성 검사는 도파(DOPA, L-3,4-dihydroxyphenylalanine)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평가하는 방법 (티로시나아제에 의한 in vitro DOPA 산화활성 저해시험)을 이용했다.
구체적으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작용에 의해 도파(DOPA)로부터 생성되는 DOPA-chrome의 량을 측정함으로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작용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미백활성 검사 방법(Tyrosinase Inhibition Assay)>
- 각 EP-tube에 0.1M 인산염완충액 (pH 7.0) 850μL, 시료액(10 mg/mL) 50μL, mushroom tyrosinase(2000 U/mL) 50μL, 및 기질용액인 6mM DOPA 50μL를 가함
- 37℃에서 1분간 방치한 후 UV-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475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
- 양성대조용 시료로서는 기존에 이미 미백활성이 인정되어 시판중인 알부틴과 비타민C를 사용하여 비교
-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활성은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다.
- 저해율 (%) = [ 1- (C-D/A-B)] x 100 (%) (A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액의 흡광도(tyrosinase + phosphate + DOPA), B: Tyrosinase와 완충액만 혼합한 반응액의 흡광도(tyrosinase + phosphate), C: 시료를 첨가한 반응액의 흡광도(tyrosinase + phosphate + sample + DOPA), D: DOPA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액의 흡광도(tyrosinase + phosphate + sample))
이와 같은 일련의 미백활성 검사를 거친 각 대상 균주별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의 순차적 수행 결과 얻어지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생강 최종 추출물, 계피 최종 추출물, 울금 최종 추출물 및 배 최종 추출물들의 미백활성 검사 결과는 도8에 나타나 있다.
결과적으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물의 미백활성 시험 결과, 모든 시료에서 미백 활성이 나타났으며 계피 최종 추출물의 경우 69.2%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울금 최종 추출물, 생강 최종 추출물 및 배 최종 추출물 순으로 미백 활성이 우수하게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의 순차적 수행 결과 얻어지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생강 최종 추출물, 계피 최종 추출물, 울금 최종 추출물 및 배 최종 추출물을 활용하여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마련한다면 친환경적이며, 항균성, 항산화성 및 미백활성을 우수한 수준에서 적합하게 갖춘 화장품을 구현할 수 있다.
3.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들 각각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의 적합성 및 이용 만족도 검사 결과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들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도록 활용된 화장품 조성물을 실질적으로 제조하여, 해당 화장품 조성물이 화장품으로서 기능을 제공함에 대한 적합성과 이동 만족도에 대해 실제 검사한 결과를 아래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여기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함량 수준을 100 중량부로 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의 순차적 수행 결과 얻어지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생강 최종 추출물 0.1 중량부, 계피 최종 추출물 0.2 중량부, 울금 최종 추출물 0.2 중량부 및 배 최종 추출물 0.1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마련하였다.
이와 같이 마련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은 나머지 조성의 구체화를 통해 영양 크림 형태로 최종 제조되었고, 우선적으로 화장품의 사용 목적과 안정적인 제형배합조건을 확립하고 이를 토대로 제조한 화장품이 피부에 안전한지를 확인하고자 도9의 설문내용과 사용방법을 안내하고 20~5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제품 사용 후의 피부 자극에 대하여 도9의 표를 기준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해당 피부 자극 설문 조사 결과는 하기 표3에 나타난 바와 같다.
Clinical Observation 영양크림
자극없음 약함 강함 매우강함
주관적
자극
가려움증(소양증) 19 (95%) 1 (5%) 0 0
따가움 19 (95%) 1 (5%) 0 0
화끈거림(작열감) 20 (100%) 0 0 0
쓰라림 20 (100%) 0 0 0
통증 20 (100%) 0 0 0
당김/조임 18 (90%) 1 (5%) 1 (5%) 0
객관적
자극
붉어짐(홍반) 20 (100%) 0 0 0
부어오름(부종) 20 (100%) 0 0 0
좁쌀돋음 20 (100%) 0 0 0
굳어짐(딱딱해짐) 20 (100%) 0 0 0
뾰루지 19 (95%) 1 (5%) 0 0
여드름 20 (100%) 0 0 0
각질생김 20 (100%) 0 0 0
물집 또는 수포 20 (100%) 0 0 0
색소침착 19 (95%) 1 (5%) 0 0
다음으로, 동일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은 나머지 조성의 구체화를 통해 영양 크림 형태로 최종 제조된 화장품을 가지고 사용감에 대한 관능평가를 수행하기 위하여 20~5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도10에 나타난 표를 기준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해당 사용감 조사 결과는 하기 표4에 나타난 바와 같다.
처음 바를 때 느낌
영양크림 응답자 수
사용감 매우강함 강함 약함 없음 무응답
쉽게 퍼진다 8 9 2 1 0
끈적임이 있다 1 3 13 3 0
스며드는 속도가 빠르다 7 8 3 2 0
밀착감이 있다 7 8 3 2 0
피복감이 있다 6 12 2 0 0
신선한 느낌이 있다 10 5 3 2 0
3 14 3 0 0
바르고 난 후 피부상태
영양크림 응답자 수
사용감 매우강함 강함 약함 없음 무응담
피부가 촉촉하다 13 7 0 0 0
피부가 부드럽다 12 4 4 0 0
피부에 광택이 있다 8 7 2 3 0
자극이 있다 1 1 1 17 0
1 15 4 0 0
결과적으로 앞서 설명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방법을 통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은 각 추출물들이 지닌 항균성, 항산화성 등의 약제학적 물성을 조화롭게 종합적으로 갖추어 사용자에게 피부 보호, 살균, 미백, 보습 등의 피부 기능성 효과를 우수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이강주 제조 원료에 해당하는 생강, 계피, 울금 및 배 각각을 분말상태로 마련하는 분말화 단계;
    상기 분말화 단계를 통해 마련된 생강 분말, 계피 분말, 울금 분말 및 배 분말 45 내지 55 중량부 각각을 에탄올 수용액 850 내지 1000 중량부에 개별 혼합하여 각각의 혼합물을 마련하는 혼합 단계;
    상기 혼합 단계를 통해 마련된 생강 혼합물, 계피 혼합물, 울금 혼합물 및 배 혼합물 각각을 항온 수조를 이용해 1차 추출하여 각각의 1차 추출물을 마련하는 제1추출 단계;
    상기 제1추출 단계를 통해 마련된 생강 1차 추출물, 계피 1차 추출물, 울금 1차 추출물 및 배 1차 추출물 각각을 적어도 1회 이상 여과하여 각각의 여과물을 마련하는 여과 단계; 및
    상기 여과 단계를 통해 마련된 생강 여과물, 계피 여과물, 울금 여과물 및 배 여과물 각각을 감압 농축하여 각각의 최종 추출물을 마련하는 제2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은,
    상기 제2추출 단계를 통해 감압 농축된 생강 최종 추출물, 계피 최종 추출물, 울금 최종 추출물 및 배 최종 추출물 각각을 동결 건조시키는 동결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화 단계를 통해 마련되는 배 분말은 상기 분말화 단계 진행 전에 동결 건조 상태로 마련되는 전처리 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단계는,
    배를 -65℃ 내지 -55℃의 온도환경에서 7시간 내지 9시간동안 냉동을 진행하는 냉동 단계;
    상기 냉동 단계를 통해 냉동상태로 마련된 배를 -65℃ 내지 -55℃의 온도환경에서 47시간 내지 49시간 동안 감압 건조시키는 제1건조 단계; 및
    상기 제1건조 단계를 통해 건조된 배를 25℃ 내지 30℃의 온도환경에서 5시간 내지 7시간동안 건조시키는 제2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추출 단계는 55℃ 내지 65℃의 온도환경을 갖춘 항온수조에서 상기 생강 혼합물, 계피 혼합물, 울금 혼합물 및 배 혼합물 각각에 대해 22시간 내지 26시간동안 1차 추출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 혼합물, 계피 혼합물, 울금 혼합물 및 배 혼합물 각각은 상기 혼합 단계를 통해 4개의 에탄올 수용액 1L 각각에 생강 분말, 계피 분말, 울금 분말 및 배 분말 50g이 개별 혼합되는 비율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는 혼합 수행을 통해 마련된 상기 생강 혼합물, 계피 혼합물, 울금 혼합물 및 배 혼합물 각각에 대해 교반 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의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50% 또는 70% 에탄올 수용액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단계는,
    상기 제1추출 단계를 통해 마련된 생강 1차 추출물, 계피 1차 추출물, 울금 1차 추출물 및 배 1차 추출물 각각을 1차 여과시키는 제1여과 단계;
    상기 제1여과 단계를 거친 생강 1차 여과물, 계피 1차 여과물, 울금 1차 여과물 및 배 1차 여과물 각각을 원심분리 수행하여 상동액을 회수하는 원심분리 단계; 및
    상기 원심분리 단계를 통해 회수된 생강 분리액, 계피 분리액, 울금 분리액 및 배 분리액 각각을 2차 여과하여 상기 생강 여과물, 계피 여과물, 울금 여과물 및 배 여과물을 마련하는 제2여과 단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 단계는 상기 생강 1차 추출물, 계피 1차 추출물, 울금 1차 추출물 및 배 1차 추출물 각각을 2겹으로 포개진 상태의 면포에 거름망을 받쳐 1차 여과를 수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 단계는 상기 생강 1차 여과물, 계피 1차 여과물, 울금 1차 여과물 및 배 1차 여과물 각각을 3℃ 내지 5℃의 온도환경에서 4000 RPM 내지 5000 RPM의 속도로 5분 내지 15분 동안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얻어지는 상동액을 회수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여과 단계는 상기 생강 분리액, 계피 분리액, 울금 분리액 및 배 분리액 각각을 여과지(Filter Paper)을 이용해 2차 여과를 수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추출 단계는 상기 여과 단계를 통해 마련된 생강 여과물, 계피 여과물, 울금 여과물 및 배 여과물 각각을 40℃ 내지 50℃의 온도환경에서 60 RPM 내지 80 RPM의 속도로 감압 농축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중 생강 최종 추출물은 항산화성과 대장균(E.coli, Escherichia coli), 황색포도상구균(S.aureus, 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aeruginosa, Pseudomonas aeruginosa) 및 칸디다 알비칸스(C.albicans,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중 계피 최종 추출물은 항산화성과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칸디다 알비칸스(C.albicans, Candida albicans) 및 흑구균(A. niger, Aspergillus niger)에 대한 항균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중 울금 최종 추출물은 항산화성과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 aeruginosa, Pseudomonas aeruginosa) 및 칸디다 알비칸스(C.albicans,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중 배 최종 추출물은 항산화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19. 제15항에 따른 생강 최종 추출물; 제16항에 따른 계피 최종 추출물; 제17항에 따른 울금 최종 추출물; 및 제18항에 따른 배 최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생강 최종 추출물 0.1 중량부; 상기 계피 최종 추출물 0.2 중량부; 상기 울금 최종 추출물 0.2 중량부; 및 배 최종 추출물 0.1 중량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1020160126569A 2016-09-30 2016-09-30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101881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569A KR101881419B1 (ko) 2016-09-30 2016-09-30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569A KR101881419B1 (ko) 2016-09-30 2016-09-30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233A true KR20180036233A (ko) 2018-04-09
KR101881419B1 KR101881419B1 (ko) 2018-07-24

Family

ID=6197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569A KR101881419B1 (ko) 2016-09-30 2016-09-30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4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376A (ko) * 2021-12-08 2023-06-15 (주)누보 치자 추출물을 이용한 절화수명연장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880A (ko) * 2014-05-23 2015-12-02 조정형 유기농 복분자 발효액에서 분리한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에 b-8를 이용한 오디 브랜디 강화 와인 제조 방법
KR101616379B1 (ko) * 2015-12-11 2016-04-28 이수연 황촉규 추출물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황촉규 추출물 및 상기 황촉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880A (ko) * 2014-05-23 2015-12-02 조정형 유기농 복분자 발효액에서 분리한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에 b-8를 이용한 오디 브랜디 강화 와인 제조 방법
KR101616379B1 (ko) * 2015-12-11 2016-04-28 이수연 황촉규 추출물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황촉규 추출물 및 상기 황촉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376A (ko) * 2021-12-08 2023-06-15 (주)누보 치자 추출물을 이용한 절화수명연장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419B1 (ko) 201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587B1 (ko)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서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품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CN109843263B (zh) 包含利用黑酵母菌及乳酸菌发酵的人参果发酵产物的化妆品组合物
CN106726949B (zh) 一种葡萄籽发酵原浆化妆品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227539B1 (ko) 천연발효 추출물 혼합 조성물
CN109939059B (zh) 一种稻胚芽五菌发酵缓释化妆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2250908B1 (en) Method for fermenting natural materials with salt and fermented extracts prepared therefrom
JP2021530215A (ja) ビーブレッド製造のための微生物学的プロセス
KR101194226B1 (ko) 파프리카 효모발효 추출액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81419B1 (ko)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제조 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이강주 제조 원료 기반의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JP7252749B2 (ja) 麹菌発酵産物、麹菌発酵産物原料、麹菌発酵産物の製造方法、発酵食品の製造方法、甘酒の製造方法及び酵素産生促進剤
KR101552472B1 (ko)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이 증진된 굴 추출물의 제조방법
TWI679982B (zh) 乳酸菌發酵物用於製造戊糖素(pentosidine)生成抑制劑之用途
KR20200067075A (ko)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EP2958547B1 (fr) Utilisation cosmétique de la queuine
KR101760174B1 (ko) 버섯균주를 이용한 우엉 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218224B1 (ko) 곤달비잎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증 또는 피부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93437A (ko) 간세포 보호작용을 갖는 민들레 복합식물 발효추출 조성물
KR20160122379A (ko) 동치미 원료를 이용한 복합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1824107B1 (ko) 녹차씨 또는 녹차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효모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69778A (ko) 발효복분자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627236B1 (ko) 바이오 전환 기술을 접목시킨 멍게 껍질 발효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 항산화, 주름개선, 피부 재생, 피부 탄력,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84502A (ko) 알로에와 울금을 이용한 혼합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간 기능 개선용 제제
RU2733141C9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фитокомпозиции
EP4134440A1 (en) Malva sylvestris fermentation product and use thereof
WO2021256325A1 (ja) マジョラム発酵物及びその利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