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778A - 발효복분자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효복분자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778A
KR20200069778A KR1020180157223A KR20180157223A KR20200069778A KR 20200069778 A KR20200069778 A KR 20200069778A KR 1020180157223 A KR1020180157223 A KR 1020180157223A KR 20180157223 A KR20180157223 A KR 20180157223A KR 20200069778 A KR20200069778 A KR 20200069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ermentation
bokbunja
antioxidant composition
bokbunja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5437B1 (ko
Inventor
이영섭
이대영
김금숙
김부민
김현욱
함준상
황경아
최두진
이재원
이상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80157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43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778A/ko
Priority to KR1020200151614A priority patent/KR102331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47Helveti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21Streptococcus, lactococcus
    • A23V2400/249Thermophil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51Bifidobacterium
    • A23V2400/533Longum
    • A23Y2220/39
    • A23Y2220/67
    • A23Y2240/75
    • A23Y2300/5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복분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발효 전 복분자 추출물보다 항산화 효과보다 향상된 발효복분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효복분자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Antioxidant composition containing femented Rubus coreanus extract}
본 발명은 발효 전 복분자 추출물보다 항산화 효과보다 향상된 발효복분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가 살아가기 위해서는 영양분의 섭취는 물론, 활발하게 호흡을 하며 이 호흡을 통하여 들어간 산소가 영양성분을 연소시켜 에너지를 방출함으로써 육체적인 운동을 포함한 두뇌활동도 가능하게 되고, 이 때 소량의 활성산소종(ROS)들과 반응성이 큰 유리기가 생성되는데, 신체가 노화되거나 기타 내외적인 요인에 의해서 활성산소 및/또는 유리기에 의한 조직손상이 야기된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일반적으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생산하고 제거하는 세포생화학적 프로세스 사이의 불균형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신경세포에서 ROS의 축적은 신경병성 장애의 발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활성산소는 단백질의 SH기와 반응하여 효소의 활성을 잃게 하거나 가교결합의 형성, DNA, RNA, 효소 및 세포막을 구성하는 불포화 지방산을 산화시켜 과산화지질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과산화지질은 생체에 매우 유독하여 동맥경화, 혈액순환장애, 피로, 당뇨병, 심장병, 간장장애, 발암, 암전이 등과 같은 질병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지질의 과산화를 막아주는 물질을 항산화물질이라 한다.
한편, 복분자는 6월 내지 8월에 수확되고, 음력 5월 즉, 6월 또는 7월 초에 익은 열매가 주로 검붉은색을 띠고 있다. 상기 복분자는 작은 단과가 여러 개 모영서 덩어리를 이룬 것으로, 원추형이나 눌러진 구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복분자는 다량의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어 항암효과, 동맥경화예방, 혈전 예방, 항염증 효과,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발효복분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복분자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건강강기능식품 및 화장품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균주를 복분자 추출물에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득된 발효복분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물을 이용하여 추출되고, 상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상기 복분자 추출물에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 또는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150~450 ㎍/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물을 이용하여 추출되고, 상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상기 복분자 추출물에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득된 것이고, 상기 조성물 내 170~250 ㎍/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물을 이용하여 추출되고, 상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상기 복분자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170~450 ㎍/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20~40%(v/v)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20~250 ㎍/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60~80%(v/v)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상기 복분자 추출물에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득된 것이고, 상기 조성물 내 80~250 ㎍/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상기 복분자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득된 것이고, 상기 조성물 내 20~250 ㎍/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 균주의 기탁번호는 각각 KACC91563, KACC91148, KACC91146, KACC91147 및 KACC92253P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조성물은 발효 전 복분자 추출물보다의 항산화 효과보다 현저히 향상된 발효복분자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항산화용 건강기능식품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도 1a는 추출 용매로 물을 사용하여 추출된 복분자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된 각각의 발효 복분자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b는 추출 용매로 30%(v/v) 주정을 사용하여 추출된 복분자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또는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된 각각의 발효 복분자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c는 추출 용매로 70%(v/v) 주정을 사용하여 추출된 복분자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또는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된 각각의 발효 복분자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조성물(composition)”은 본 발명의 황기 추출물에 희석제 또는 담체와 같은 다른 화학 성분들을 혼합한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조성물은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균주를 복분자 추출물에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득된 발효복분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 균주의 기탁번호는 각각 KACC91563, KACC91148, KACC91146, KACC91147 및 KACC92253P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조성물에 포함되는 발효복분자추출물은 복분자 추출물 제조 시 사용되는 용매, 발효 시 사용되는 균주, 항산화 조성물 내 포함되는 농도에 따라 항산화 특성이 현저히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추출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일예로 가열추출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복분자 추출물 제조 시 추출 용매로 물을 이용하여 추출될 경우, 50~90℃의 온도에서 2~8 시간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은 2~5회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반복 수행 시 목적하는 온도에 도달한 후 유지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에 다시 열처리가 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 조성물은 추출 용매로 물을 이용하여 추출된 복분자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및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득된 발효복분자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효 전 복분자추출물보다 항산화 효과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복분자 추출물 발효 시, 발효는 30~40℃의 온도에서 48~96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물을 이용하고,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 또는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될 경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170~45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250㎍/ml의 농도로 항산화 조성물 내 포함되어 항산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물을 이용하고,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될 경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20~45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450㎍/ml, 가장 바람직하게는 170~250㎍/ml의 농도로 항산화 조성물 내 포함되어 항산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 조성물은 추출 용매로 20~40%(v/v)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효 전 복분자 추출물 대비 발효복분자추출물의 항산화 효과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20~40%(v/v)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될 경우, 복분자추출물은 20~25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20~60㎍/ml의 농도로 항산화 조성물 내 포함되어 항산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복분자 추출물 제조 시 추출 용매로 20~40%(v/v)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될 경우, 50~90℃의 온도에서 2~8 시간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은 2~5회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반복 수행 시 목적하는 온도에 도달한 후 유지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에 다시 열처리가 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 조성물은 추출 용매로 60~80%(v/v)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효 전 복분자 추출물 대비 발효복분자추출물의 항산화 효과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복분자 추출물 제조 시 추출 용매로 60~80%(v/v)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될 경우, 50~90℃의 온도에서 2~8 시간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은 2~5회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반복 수행 시 목적하는 온도에 도달한 후 유지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에 다시 열처리가 시작될 수 있다.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60~80%(v/v) 주정을 이용하고,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될 경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80~250 ㎍/ml의 농도로 항산화 조성물 내 포함되어 항산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60~80%(v/v) 주정을 이용하고,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될 경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20~25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20~150㎍/ml, 가장 바람직하게는 70~150㎍/ml의 농도로 항산화 조성물 내 포함되어 항산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60~80%(v/v) 주정을 이용하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될 경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20~25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20~150㎍/ml, 가장 바람직하게는 70~150㎍/ml의 농도로 항산화 조성물 내 포함되어 항산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60~80%(v/v) 주정을 이용하고,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될 경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20~25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20~150㎍/ml, 가장 바람직하게는 70~150㎍/ml의 농도로 항산화 조성물 내 포함되어 항산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60~80%(v/v) 주정을 이용하고,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될 경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20~25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70~150㎍/ml의 농도로 항산화 조성물 내 포함되어 항산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종류에는 통상적으로 제조 및/또는 판매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 음료 조성물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포함되는 발효복분자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장료 조성물로 제제화되는 경우, 상기 항염증 조성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중량%이다. 최소한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발효 복분자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최소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과량 첨가에 따른 사용감 저하 및 각종 제형에의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발효 복분자 추출물은 상기 최대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발효 복분자 추출물의 함량은 제형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들의 함량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항염증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조예 1>
발효복분자추출물 200 ㎎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 1 0.13 ㎎
비타민 B 2 0.15 ㎎
비타민 B 6 0.5㎎
비타민 B 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이하, 본 발명의 항산화용 화장품의 제조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조예2: 크림>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발효 복분자 추출물: 1중량%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중량%
세테아릴알콜: 2중량%
스테아린산: 1.5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5중량%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1중량%
스쿠알란: 3중량%
광물유: 5중량%
사이클로메치콘: 5중량%
디메치콘: 1중량%
초산토코페롤: 0.5중량%
글리세린: 5중량%
베타인: 3중량%
트리에탄올아민: 1중량%
산탄검: 0.05중량%
향: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 1)
건조된 복분자를 분쇄하여 수득한 복분자 분말을 증류수에 첨가한 후, 70℃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3회 반복하여 가열추출하였다. 추출에 사용된 용매는 진공여과법을 통해 제거되었다. 수득된 복분자 추출물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KACC)으로부터 분양받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기탁번호:KACC91147)를 복분자 추출물에 접종하고 35±2℃에서 72시간 동안 발효하여 발효복분자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15)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추출용매 및/또는 발효에 사용되는 균주를 달리하여 발효복분자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발효하지 않은 복분자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추출 용매로 30%(v/v) 주정을 사용하고, 발효하지 않은 복분자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추출 용매로 70%(v/v) 주정을 사용하고, 발효하지 않은 복분자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구분 복분자 추출물 발효 조건
추출 용매 균주
실시예1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기탁번호: KACC91146)(L.P)
실시예2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기탁번호: KACC91147)(S.th)
실시예3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Bifidobacterium longum, 기탁번호: KACC91563)(B.L)
실시예4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
(Lactobacillus helveticus, 기탁번호: KACC91148)(L.H)
실시예5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
(Enterococcus thailandicus, 기탁번호: KACC92253P)(E.th)
실시예6 30%(v/v) 주정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기탁번호: KACC91146)(L.P)
실시예7 30%(v/v) 주정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기탁번호: KACC91147)(S.th)
실시예8 30%(v/v) 주정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Bifidobacterium longum, 기탁번호: KACC91563)(B.L)
실시예9 30%(v/v) 주정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
(Lactobacillus helveticus, 기탁번호: KACC91148)(L.H)
실시예10 30%(v/v) 주정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
(Enterococcus thailandicus, 기탁번호: KACC92253P)(E.th)
실시예11 70%(v/v) 주정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기탁번호: KACC91146)(L.P)
실시예12 70%(v/v) 주정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기탁번호: KACC91147)(S.th)
실시예13 70%(v/v) 주정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Bifidobacterium longum, 기탁번호: KACC91563)(B.L)
실시예14 70%(v/v) 주정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
(Lactobacillus helveticus, 기탁번호: KACC91148)(L.H)
실시예15 70%(v/v) 주정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
(Enterococcus thailandicus, 기탁번호: KACC92253P)(E.th)
비교예1 수행하지 않음.
비교예2 30%(v/v) 주정 수행하지 않음.
비교예3 70%(v/v) 주정 수행하지 않음.
( 실험예1 )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실시예에서 제조한 발효 복분자 추출물,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복분자 추출물에 대하여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시료 10 mg을 DW 1 mL로 희석하여 0.1, 0.5, 1, 2, 3 mg/mL 농도로 각각 1 mL 씩 제조하였다. standard로 사용되는 BHT 용액은 BHT 10mg을 methanol 1mL로 희석하여 0.1, 0.5, 1, 2, 3 mg/mL의 농도로 각각 1 mL씩 제조하였다. DPPH 용액은 DPPH 0.002 g에 메탄올 25 mL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96 well plate에 BHT용액과 메탄올을 각각 80 mL씩 혼합한 군, BHT와 DPPH 용액을 각각 80 mL씩 혼합한 군, 시료와 DPPH 용액을 각각 80 mL씩 혼합한 군, 메탄올과 DPPH용액을 각각 80 mL씩 혼합한 군, 메탄올만을 160 mL씩 처리한 군, 증류수와 DPPH용액을 각각 80 mL씩 혼합한 군, 증류수와 메탄올을 각각 80 mL씩 혼합한 군을 각각 구분하여 분주한 후 빛과 반응하지 못하게 foil로 감싸준 뒤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ELISA reader를 이용해 517㎚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측정 후 동일한 추출 용매 및 동일한 추출물 농도에서 발효 복분자 추출물의 발효 전 대비 발효 후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을 하기 계산식 1로부터 계산하여, 그 결과를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하였다.
[계산식 1]
Figure pat00001
상기 계산식 1에서, R, RA, RB는 각각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 발효 복분자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 발효전 복분자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이다.
도 1a는 추출 용매로 물을 사용하여 추출된 복분자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된 각각의 발효 복분자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추출 용매로 물을 사용하고, 발효 균주로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를 사용하여 발효시킨 발효 복분자 추출물은 40, 100, 200, 400 ㎍/ml의 농도에서 발효 전 복분자추출물보다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200㎍/ml의 농도에서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효 균주로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균주를 사용하여 발효시킨 발효 복분자 추출물은 40, 100, 200, 400 ㎍/ml의 농도에서 발효 전 복분자추출물보다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200㎍/ml의 농도에서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효 균주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균주를 사용하여 발효시킨 발효 복분자 추출물은 100, 200, 400 ㎍/ml의 농도에서 발효 전 복분자추출물보다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200㎍/ml의 농도에서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효 균주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를 사용하여 발효시킨 발효 복분자 추출물은 40, 100, 200, 400 ㎍/ml의 농도에서 발효 전 복분자추출물보다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200㎍/ml의 농도에서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효 균주로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를 사용하여 발효시킨 발효 복분자 추출물은 40, 100, 200, 400 ㎍/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을 보였으며, 특히 200㎍/ml의 농도에서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b는 추출 용매로 30%(v/v) 주정을 사용하여 추출된 복분자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또는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된 각각의 발효 복분자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추출 용매로 30%(v/v) 주정을 사용하여 추출된 복분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복분자추출물은 균주 농도에 관계없이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이 50%이상이었으며, 특히, 40㎍/ml의 농도에서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이 현격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발효복분자추출물의 농도가 40㎍/ml인 경우,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 균주를 각각 사용하여 제조한 항산화 조성물의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은 각각 1100%, 2920%, 2500%, 4040%, 2680%로 현격히 높게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복분자추출물 추출 시 추출 용매로 30%(v/v) 주정을 사용하고, 제조된 발효복분자추출물이 40㎍/ml의 농도로 항산화 조성물 내 포함될 경우 항산화 효과가 현격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c는 추출 용매로 70%(v/v) 주정을 사용하여 추출된 복분자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또는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된 각각의 발효 복분자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추출 용매로 70%(v/v) 주정을 사용하고, 발효 균주로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를 사용하여 발효시킨 발효 복분자 추출물은 40, 100, 200, 400 ㎍/ml의 농도에서 각각 490, 953, 534, 240%의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을 나타내었으며, 100㎍/ml의 농도에서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효 균주로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균주를 사용하여 발효시킨 발효 복분자 추출물은 40, 100, 200, 400 ㎍/ml의 농도에서 각각 883, 1132, 610, 276%의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을 나타내었으며, 100㎍/ml의 농도에서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효 균주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균주를 사용하여 발효시킨 발효 복분자 추출물은 40, 100, 200, 400 ㎍/ml의 농도에서 각각 152, 295, 243, 101%의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을 나타내었으며, 100, 200㎍/ml의 농도에서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이 더욱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효 균주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를 사용하여 발효시킨 발효 복분자 추출물은 40, 100, 200, 400 ㎍/ml의 농도에서 각각 1534, 1797, 961, 319%의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40, 100㎍/ml의 농도에서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효 균주로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를 사용하여 발효시킨 발효 복분자 추출물은 40, 100, 200, 400 ㎍/ml의 농도에서 각각 807, 1363, 692, 319%의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을 나타내었으며, 100㎍/ml의 농도에서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4)

  1.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균주를 복분자 추출물에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득된 발효복분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물을 이용하여 추출되고, 상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상기 복분자 추출물에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 또는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170~450 ㎍/ml의 농도로 포함되는 항산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물을 이용하여 추출되고, 상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상기 복분자 추출물에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득된 것이고, 상기 조성물 내 170~250 ㎍/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물을 이용하여 추출되고, 상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상기 복분자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170~450 ㎍/ml의 농도로 포함되는 항산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20~40%(v/v)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20~250 ㎍/ml의 농도로 포함되는 항산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60~80%(v/v)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상기 복분자 추출물에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득된 것이고, 상기 조성물 내 80~250 ㎍/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복분자추출물은 상기 복분자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득된 것이고, 상기 조성물 내 20~250 ㎍/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스트렙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엔테로코커스 타이랜디커스(Enterococcus thailandicus) 균주의 기탁번호는 각각 KACC91563, KACC91148, KACC91146, KACC91147 및 KACC92253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13. 제1항에 따른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건강기능식품.
  14. 제1항에 따른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품.
KR1020180157223A 2018-12-07 2018-12-07 발효복분자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185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223A KR102185437B1 (ko) 2018-12-07 2018-12-07 발효복분자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0200151614A KR102331207B1 (ko) 2018-12-07 2020-11-13 발효복분자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223A KR102185437B1 (ko) 2018-12-07 2018-12-07 발효복분자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614A Division KR102331207B1 (ko) 2018-12-07 2020-11-13 발효복분자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778A true KR20200069778A (ko) 2020-06-17
KR102185437B1 KR102185437B1 (ko) 2020-12-01

Family

ID=7140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223A KR102185437B1 (ko) 2018-12-07 2018-12-07 발효복분자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4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182A (ko) 2021-11-26 2023-06-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삽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성장 증진을 위한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8566A (ja) * 2004-06-24 2006-01-12 Ichimaru Pharcos Co Ltd 果汁の乳酸菌醗酵物を有効成分とする美容剤とその応用
KR20080094459A (ko) * 2007-04-20 2008-10-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65917B1 (ko) * 2011-06-29 2014-02-20 전라북도 고창군 복분자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KR20180056455A (ko) * 2016-11-18 2018-05-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유산균을 이용한 베리류 발효액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베리류 발효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8566A (ja) * 2004-06-24 2006-01-12 Ichimaru Pharcos Co Ltd 果汁の乳酸菌醗酵物を有効成分とする美容剤とその応用
KR20080094459A (ko) * 2007-04-20 2008-10-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65917B1 (ko) * 2011-06-29 2014-02-20 전라북도 고창군 복분자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KR20180056455A (ko) * 2016-11-18 2018-05-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유산균을 이용한 베리류 발효액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베리류 발효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437B1 (ko)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854B1 (ko) 매실, 매엽 및 매근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96588B1 (ko) 발효복분자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1894807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052523B1 (ko)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294278B1 (ko) 발효오디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185437B1 (ko) 발효복분자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298700B1 (ko) 천마 및 적하수오를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101258646B1 (ko) 유자, 매실, 석류, 현미를 발효하여 만든 초효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 화장료 조성물
KR102298782B1 (ko) 하수오 발효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8549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331207B1 (ko) 발효복분자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189326B1 (ko) 용암해수 미네랄수를 포함하는 유익균 증진 및 유해균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12517B1 (ko) 하수오 발효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5438B1 (ko) 발효오디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176983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11222B1 (ko) 동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과그의 제조방법
KR102214621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671827B1 (ko)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질소 생성 저해 효과가 우수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175244B1 (ko)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96276B1 (ko) 여드름 유발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산화 효능을 갖는 녹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KR102537844B1 (ko) 마리골드 추출물에 모유 유산균으로 생물전환 시킨 성분을 함유하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194314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녹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07001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KR102104955B1 (ko) 세토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