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507A - 적층 시트, 액정 표시 모듈, 백라이트 유닛 및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 시트, 액정 표시 모듈, 백라이트 유닛 및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507A
KR20180033507A KR1020187002918A KR20187002918A KR20180033507A KR 20180033507 A KR20180033507 A KR 20180033507A KR 1020187002918 A KR1020187002918 A KR 1020187002918A KR 20187002918 A KR20187002918 A KR 20187002918A KR 20180033507 A KR20180033507 A KR 20180033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layer
laminated sheet
layer
mat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토히코 오카베
Original Assignee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33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29C47/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75Displays, monitors, TV-sets, compute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6Reflective polariz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6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 G02F1/133567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on the back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저감하면서,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적층 시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중간층과, 이 중간층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제1 매트층과, 이 중간층의 이면측에 적층되는 제2 매트층을 구비하고, 제2 매트층의 이면의 60˚ 광택도가 제1 매트층의 표면의 60˚ 광택도의 3/2 이상 10 이하이다. 상기 제1 매트층의 표면의 60˚ 광택도로서는 5 이상 2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매트층의 이면의 60˚ 광택도로서는 30 이상 8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매트층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로서는 0.5μm 이상 1μm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매트층의 이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로서는 제1 매트층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의 1/5 이상 9/10 이하가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적층 시트, 액정 표시 모듈, 백라이트 유닛 및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적층 시트, 액정 표시 모듈, 백라이트 유닛 및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박형, 경량, 저소비전력 등의 특징을 살려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로서 다용되며, 그 용도는 텔레비전, 퍼스널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전화 단말,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형 정보 단말 등 해마다 확대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101)과, 이 액정 패널(101)의 이면측(시인자측의 반대측)에 배열설치되는 각종 광학 시트(102)와, 이 각종 광학 시트(102)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백라이트(103)를 가진다. 액정 패널(101)은 한 쌍의 편광판(104, 105) 사이에 액정셀(106)이 배열설치된 구조를 가지고, TN(Twisted Nematic), VA(Vertical Alignment), IPS(In-Plane Switching) 등의 다양한 표시 모드가 제안되어 있다. 백라이트(103)는 액정 패널(101)을 이면측으로부터 비추는 것이며, 에지 라이트형(사이드 라이트형), 직하형 등의 형태가 보급되어 있다. 각종 광학 시트(102)는 백라이트(103)의 표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선을 효율적으로 또한 균일하게 액정 패널(101) 전체면에 입사시키기 위해, 액정 패널(101) 및 백라이트(103) 사이에 배열설치되어 있다. 이 각종 광학 시트(102)로서는 법선 방향측으로의 집광 및 확산 기능을 가지는 광확산 시트나, 법선 방향측으로의 굴절 기능을 가지는 프리즘 시트 등이 채용되어 있다.
액정 패널(101)에 구비되는 한 쌍의 편광판(104, 105)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광의 일방향 성분을 흡수하고, 나머지의 편광 성분을 투과하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편광판(104, 105)은 편광을 얻기 위해서 원리적으로 50%의 광이 흡수되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의 광의 이용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의 하나가 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편광판(104, 105)에 의한 광의 이용 효율의 저하를 개선하기 위해,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101)과 각종 광학 시트(102) 사이에 반사 편광 시트(107)를 배열설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반사 편광 시트(107)는 특정의 편광 성분을 투과하고, 또한 그 이외의 편광 성분을 반사함으로써 광의 재이용을 도모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이 반사 편광 시트(107)의 투과축 방향과 액정 패널(101)의 이면측에 구비되는 편광판(105)의 투과축 방향을 일치시켜둠으로써, 편광판(105)에 의해 광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이 반사 편광 시트(107)에 있어서는, 반사 편광자의 표리면에 각각 확산 시트를 적층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개 2011-75964호 공보 참조). 이 공보에 기재된 반사 편광 시트는 반사 편광자의 표리면에 각각 확산 시트를 적층함으로써,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광원이나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부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일본 특개 2011-75964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반사 편광 시트에 의하면,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광원이나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부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는 있지만, 반사 편광자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확산 시트의 표면 형상과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 이와 같은 반사 편광자의 표면 형상과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여 스파클이 발생할 우려는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의 극소화의 촉진에 따라 점점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저감하면서,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 가능한 적층 시트, 액정 표시 모듈 백라이트유닛 및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시트는 중간층과, 이 중간층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제1 매트층과, 이 중간층의 이면측에 적층되는 제2 매트층을 구비하고, 제2 매트층의 이면의 60˚ 광택도가 제1 매트층의 표면의 60˚ 광택도의 3/2 이상 10 이하이다.
당해 적층 시트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과, 이 액정 패널의 이면측의 광학 시트(예를 들면 프리즘 시트, 광확산 시트 등) 사이에 배열설치된다. 당해 적층 시트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과 광학 시트 사이에 배열설치되면, 광학 시트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고, 또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번쩍임」, 「꺼끌거림」, 「모아레」, 「광의 간섭」, 「불균일」, 「휘점」이라고도 함)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확실하지 않지만, 중간층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제1 매트 및 중간층의 이면측에 적층되는 제2 매트층을 구비하고, 제2 매트층의 이면의 60˚ 광택도가 제1 매트층의 표면의 60˚ 광택도의 3/2 이상 10 이하이므로, 이면측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제2 매트층의 이면에 의해 약간 확산시키고, 또한 제1 매트층의 표면에 의해 적당히 확산시킨 다음 표면측으로부터 출사시킴으로써,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제2 매트층의 이면의 60˚ 광택도에 대한 제1 매트층의 표면의 60˚ 광택도가 1/10 이상 2/3 이하이므로, 표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적당히 확산시킴으로써,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제1 매트층에서의 광의 확산이 불충분한 경우, 확산된 광의 간섭의 간격이 넓어지고, 이 간격이 액정셀보다 큰 경우, 액정셀 사이에서 광의 강약이 나타나는 것에 대해, 제1 매트층에서 충분한 확산이 행해진 경우, 광의 간섭의 간격이 작아져 액정셀 내에서 광의 강약이 나타나기 때문에, 액정셀 사이에서의 광의 강약은 나타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상기 제1 매트층의 표면의 60˚ 광택도로서는 5 이상 20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매트층의 표면의 60˚ 광택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의 저감 효과 및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의 발생 억제 효과를 보다 정확히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2 매트층의 이면의 60˚ 광택도로서는 30 이상 80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매트층의 이면의 60˚ 광택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정면 휘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1 매트층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로서는 0.5μm 이상 1μ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매트층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해상도가 높은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하기 쉽다.
상기 제2 매트층의 이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로서는 제1 매트층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의 1/5 이상 9/10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매트층의 이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정면 휘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1 매트층의 표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로서는 1.5μm 이상 4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로서는 60μm 이상 140μ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매트층의 표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 및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해상도가 높은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하기 쉽다.
상기 제2 매트층의 이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로서는 제1 매트층의 표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의 1/5 이상 9/10 이하가 바람직하고, 상기 제2 매트층의 이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로서는 제1 매트층의 표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의 6/5 이상 3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매트층의 이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 및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정면 휘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1 매트층 및 제2 매트층의 주성분이 각각 비정성 수지여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매트층 및 제2 매트층의 주성분이 각각 비정성 수지인 것에 의해, 제1 매트층 및 제2 매트층의 투명성을 높이고, 휘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비정성 수지는 내충격성이 우수하므로, 당해 적층 시트의 상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매트층 및 제2 매트층의 리타데이션값(Re)으로서는 각각 50n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매트층 및 제2 매트층의 리타데이션값(Re)이 각각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제1 매트층 및 제2 매트층에 의한 편광 방향의 변환 작용을 저감하고,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매트층 및 제2 매트층이 광확산제를 가지지 않으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매트층 및 제2 매트층이 광확산제를 가지지 않는 것에 의해, 제1 매트층 및 제2 매트층의 헤이즈값을 억제하기 쉽다.
상기 제1 매트층이 수지 매트릭스와 광확산제를 포함하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매트층이 수지 매트릭스와 광확산제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제1 매트층의 표면 형상에 기초하는 외부 확산, 및 광확산제와 수지 매트릭스와의 굴절률차 등에 기초하는 내부 확산에 의해, 표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기 쉽다.
상기 중간층이 반사 편광층이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중간층이 반사 편광층인 것에 의해, 이 반사 편광층에 의해 반사한 광의 재이용을 도모할 수 있고, 광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당해 적층 시트는 반사 편광층의 표면측에 제1 매트층이 적층되므로, 이 제1 매트층에 의해 반사 편광층에 기인하는 번쩍임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모듈은 당해 적층 시트와, 당해 적층 시트의 표면에 배열설치되는 액정 패널을 구비한다.
당해 액정 표시 모듈은 당해 적층 시트가 액정 패널의 이면에 배열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당해 액정 표시 모듈은 당해 적층 시트가 액정 패널의 이면에 배열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당해 적층 시트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당해 적층 시트와, 이 적층 시트의 이면에 배열설치되는 광학 시트를 구비한다.
당해 백라이트 유닛은 당해 적층 시트가 광학 시트의 표면에 배열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광학 시트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저감하면서,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은 용융 상태의 제1 매트층 형성 재료를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는 공정과, 상기 압출된 제1 매트층 형성 재료를 제1 매트롤 및 제1 압압롤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압압하는 공정과, 상기 압압된 제1 매트층 재료의 제1 압압롤과의 접촉면을 중간층의 표면측에 첩합하는 공정과, 용융 상태의 제2 매트층 형성 재료를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는 공정과, 상기 압출된 제2 매트층 형성 재료를 제2 매트롤 및 제2 압압롤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압압하는 공정과, 상기 압압된 제2 매트층 재료의 제2 압압롤과의 접촉면을 중간층의 이면측에 첩합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2 매트층의 이면의 60˚ 광택도가 제1 매트층의 표면의 60˚ 광택도의 3/2 이상 10 이하이다.
당해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은 중간층의 표면측에 제1 매트층을 구비하고, 이 중간층의 이면측에 제2 매트층을 구비하고, 제2 매트층의 이면의 60˚ 광택도가 제1 매트층의 표면의 60˚ 광택도의 3/2 이상 10 이하인 당해 적층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당해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당해 적층 시트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측」은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시인자측을 의미하고, 「이면측」은 그 반대를 의미한다. 「광택도」는 JIS-Z8741:1997에 준거한 값을 말한다. 또 「제1 매트층의 표면의 60˚ 광택도」 및 「제2 매트층의 이면의 60˚ 광택도」는 제1 매트층 및 제2 매트층을 중간층으로부터 박리한 다음, 이 제1 매트층 및 제2 매트층의 측정면과 반대측의 면을 흑색 매직 잉크로 빈틈없이 칠하여, 측정면과 반대측의 면의 영향을 배제한 다음 측정할 수 있다. 「산술 평균 거칠기(Ra)」,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는 JIS-B0601:2001에 준하여, 컷오프 λc 2.5mm, 평가 길이 12.5mm의 값을 말한다. 「십점 평균 거칠기(Rzjis)」는 JIS-B0601:1994에 준하여, 컷오프 λc 2.5mm, 평가 길이 12.5mm의 값을 말한다. 「주성분」은 가장 함유량이 많은 성분을 말하고, 예를 들면 함유량이 5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의 성분을 말한다. 「리타데이션값(Re)」은 파장 589nm의 광선(소듐 D선)에 의해 측정한 면내 리타데이션값을 말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 시트, 액정 표시 모듈, 백라이트 유닛 및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은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저감하면서,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시트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端面圖)이다.
도 2는 도 1의 적층 시트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적층 시트와는 상이한 형태에 따른 적층 시트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적층 시트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로서, (a)는 반사 편광 시트를 구비하지 않는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 (b)는 반사 편광 시트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6은 No.1의 적층 시트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스파클의 유무를 나타내는 화상이다.
도 7은 No.2의 적층 시트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스파클의 유무를 나타내는 화상이다.
이하, 적당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적층 시트>
도 1의 적층 시트(1)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의 이면에 배열설치되고, 상세하게는 액정 패널과, 이 액정 패널의 이면측의 광학 시트(예를 들면 프리즘 시트, 광확산 시트 등) 사이에 배열설치된다. 도 1의 적층 시트(1)는 중간층(2)과, 이 중간층(2)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제1 매트층(3)과, 이 중간층(2)의 이면측에 적층되는 제2 매트층(4)을 구비한다. 당해 적층 시트(1)는 중간층(2) 및 제1 매트층(3)이 접착제(5)에 의해 접착되고, 중간층(2) 및 제2 매트층(4)이 접착제(6)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당해 적층 시트(1)는 중간층(2), 제1 매트층(3) 및 제2 매트층(4)의 3층 구조체로 이루어진다. 당해 적층 시트(1)는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구성되어 있다.
당해 적층 시트(1)의 표면적의 하한으로서는 150cm2가 바람직하고, 180cm2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cm2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당해 적층 시트(1)의 표면적의 상한으로서는 840cm2가 바람직하고, 760cm2가 보다 바람직하고, 720cm2가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적층 시트(1)의 표면적이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소형 모바일 단말 이외의 대형 단말에 사용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당해 적층 시트(1)의 표면적이 상기 상한을 넘으면, 휨이 생기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중간층)
중간층(2)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도 1에서는 필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층(2)은 제1 매트층(3) 및 제2 매트층(4)에 의한 광확산 효과를 저해하지 않도록 광확산 기능을 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때문에 광확산제 등의 확산 소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2)은 본 발명의 적층 시트(1)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적합한 것을 적당히 사용할 수 있는데, 도 1에 있어서는 중간층(2)은 특정의 편광 성분을 투과하고, 또한 그 이외의 편광 성분을 반사하는 반사 편광층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중간층(2)은 제1 직선 편광 성분을 반사시키고, 그 이외의 직선 편광 성분을 투과시키는 직선 편광 분리형이어도 되고, 제1 회전 방향을 가지는 원 편광 성분을 반사시키고, 제1 회전 방향과 역방향의 원 편광 성분을 투과시키는 원 편광 분리형이어도 된다.
중간층(2)이 상기 직선 편광 분리형인 경우, 이 중간층(2)의 구체적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복굴절성을 가지는 층과, 실질적으로 복굴절성을 가지지 않는 층이 교대로 적층된 다층 구조체를 들 수 있다. 한편 중간층(2)이 상기 원 편광 분리형인 경우, 이 중간층(2)의 구체적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고정한 광반사층과, 이 광반사층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λ/4층과의 적층체를 들 수 있다.
당해 적층 시트(1)는 중간층(2)이 반사 편광층인 것에 의해, 이 반사 편광층에 의해 반사한 광의 재이용을 도모할 수 있고, 광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중간층(2)의 평균 두께의 하한으로서는 30μm가 바람직하고, 4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중간층(2)의 평균 두께의 상한으로서는 100μm가 바람직하고, 8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층(2)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기계적 강도가 불충분하게 되고, 제1 매트층(3) 및 제2 매트층(4)을 적층했을 때에 컬이 생길 우려가 있다. 반대로 중간층(2)의 평균 두께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당해 적층 시트(1)가 불필요하게 두꺼워질 우려가 있다.
(제1 매트층)
제1 매트층(3)은 당해 적층 시트(1)의 최표면을 구성한다. 제1 매트층(3)은 예를 들면 압출 성형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제1 매트층(3)은 표면 전체면에 대략 균일한 요철 형상을 가진다. 상기 요철 형상은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도록 미세하고 또한 고밀도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매트층(3)의 평균 두께의 하한으로서는 50μm가 바람직하고, 80μm가 바람직하고, 10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매트층(3)의 평균 두께의 상한으로서는 400μm가 바람직하고, 300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1 매트층(3)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1 매트층(3)에 의해 중간층(2)의 표면측의 기계적 강도, 내열성 등을 충분히 보강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1 매트층(3)의 평균 두께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당해 적층 시트(1)의 두께가 불필요하게 두꺼워질 우려가 있다.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60˚ 광택도(당해 적층 시트(1)의 표면의 60˚ 광택도)의 하한으로서는 5가 바람직하고, 7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60˚ 광택도의 상한으로서는 20이 바람직하고, 15가 보다 바람직하고, 12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1 매트층(3)의 60˚ 광택도가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1 매트층(3)의 헤이즈값이 높아지고, 광선투과율이 저하되어, 당해 적층 시트(1)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1 매트층(3)의 60˚ 광택도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60˚ 광택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의 저감 효과, 및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의 발생 억제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당해 적층 시트(1)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의 하한으로서는 0.5μm가 바람직하고, 0.6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의 상한으로서는 1μm가 바람직하고, 0.9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광의 확산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해상도가 높은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당해 적층 시트(1)의 표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의 하한으로서는 1.5μm가 바람직하고, 2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2.5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의 상한으로서는 4μm가 바람직하고, 3.5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3.2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가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광의 확산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해상도가 높은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당해 적층 시트(1)의 표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의 하한으로서는 60μm가 바람직하고, 80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의 상한으로서는 140μm가 바람직하고, 120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110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가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1 매트층(3)의 표면 형상을 형성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해상도가 높은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 당해 적층 시트(1)는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 및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가 모두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적층 시트(1)는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 및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가 모두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 해상도가 높은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하기 쉽다.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최대 높이 거칠기(Rz)(당해 적층 시트(1)의 표면의 최대 높이 거칠기(Rz))의 하한으로서는 1.5μm가 바람직하고, 2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3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최대 높이 거칠기(Rz)의 상한으로서는 15μm가 바람직하고, 10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8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최대 높이 거칠기(Rz)가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광의 확산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최대 높이 거칠기(Rz)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해상도가 높은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최대 높이 거칠기(Rz)」는 JIS-B0601:2001에 준하여, 컷오프 λc 2.5mm, 평가 길이 12.5mm의 값을 말한다.
제1 매트층(3)은 광을 투과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투명 특히 무색 투명의 합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제1 매트층(3)의 주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수지, 사이클로올레핀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1 매트층(3)의 주성분으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수지 등의 비정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카보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적층 시트(1)는 제1 매트층(3)의 주성분이 비정성 수지인 것에 의해, 제1 매트층(3)의 투명성을 높이고, 당해 적층 시트(1)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비정성 수지는 내충격성이 우수하므로, 당해 적층 시트(1)의 상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직쇄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분기 폴리카보네이트의 어느 한쪽만이어도 되고, 직쇄 폴리카보네이트와 분기 폴리카보네이트의 쌍방을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여도 된다.
직쇄 폴리카보네이트로서는 공지의 포스겐법 또는 용융법에 의해 제조된 직쇄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가 있고, 카보네이트 성분과 다이페놀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카보네이트 성분을 도입하기 위한 전구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포스겐, 다이페닐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이페놀로서는 예를 들면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데케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데케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1,1-비스(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도데케인,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에터, 4,4'-티오다이페놀, 4,4'-다이하이드록시-3,3-다이클로로다이페닐에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분기 폴리카보네이트로서는 분기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카보네이트가 있고, 분기제로서는 예를 들면 플로로글루신, 트리멜리트산, 1,1,1-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1,2-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1,2-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1,1,1-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1-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1,1,1-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1-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1,1-트리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1-트리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1,1-트리스(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1-트리스(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1,1-트리스(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1-트리스(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1,1-트리스(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1-트리스(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1,1-트리스(3-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1-트리스(3-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1,1-트리스(3,5-다이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1-트리스(3,5-다이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4,4'-다이하이드록시-2,5-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에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1 매트층(3)은 상기 주성분 외에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열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곰팡이 방지제, 가소제, 점착성 부여제, 보강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포함해도 된다.
제1 매트층(3)은 광확산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제를 함유시키지 않는 것에 의해, 제1 매트층(3)의 헤이즈값을 제어하기 쉬워진다. 또한 「광확산제를 함유하지 않는다」는 광확산제가 전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외에, 본 발명의 취지를 해치지 않을 정도의 광확산제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예를 들면 광확산제가 함유되어 있지만, 제1 매트층(3)의 광학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양으로 되어 있는 경우나, 제1 매트층(3) 중에서 적당히 점재하여 존재함으로써 제1 매트층(3)의 광학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제1 매트층(3)의 리타데이션값(Ra)의 상한으로서는 50nm가 바람직하고, 20nm가 보다 바람직하고, 10nm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1 매트층(3)의 리타데이션값(Ra)이 상기 상한을 넘으면, 편광 방향의 변환 작용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고, 당해 적층 시트(1)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제1 매트층(3)의 리타데이션값(Ra)의 하한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0nm로 할 수 있다.
제1 매트층(3)의 헤이즈값의 하한으로서는 50%가 바람직하고, 55%가 보다 바람직하고, 60%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매트층(3)의 헤이즈값의 상한으로서는 80%가 바람직하고, 75%가 보다 바람직하고, 70%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1 매트층(3)의 헤이즈값이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광의 확산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1 매트층(3)의 헤이즈값이 상기 상한을 넘으면, 당해 적층 시트(1)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헤이즈값」은 JIS-K7361:2000에 준하여 측정되는 값을 말한다.
(제2 매트층)
제2 매트층(4)은 당해 적층 시트(1)의 최이면을 구성한다. 제2 매트층(4)은 예를 들면 압출 성형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제2 매트층(4)은 이면 전체면에 대략 균일한 요철 형상을 가진다. 상기 요철 형상은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일정 정도 저감시킨다. 제2 매트층이 제1 매트층과 동일 정도의 광확산 기능을 가지는 경우, 적층 시트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은 저감할 수 있는 한편, 제2 매트층의 헤이즈값이 높아지는 것에 기인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가 저하된다. 반대로 제2 매트층의 광확산 기능이 지나치게 낮아지면, 적층 시트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충분히 저감하기 위해서는 제1 매트층의 광확산 기능을 높게 할 필요가 있는데, 이와 같이 제1 매트층(3)의 광확산 기능을 높게 하면, 제1 매트층의 표면 거칠기 등이 지나치게 커져, 해상도가 높은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당해 적층 시트(1)는 제1 매트층(3) 및 제2 매트층(4)의 요철 형상의 최적화를 도모함으로써,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저감하고, 또한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요철 형상과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을 억제함과 아울러, 당해 적층 시트(1)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매트층(4)의 평균 두께의 하한으로서는 50μm가 바람직하고, 80μm가 바람직하고, 10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매트층(4)의 평균 두께의 상한으로서는 400μm가 바람직하고, 300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2 매트층(4)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2 매트층(4)에 의해 중간층(2)의 이면측의 기계적 강도, 내열성 등을 충분히 보강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2 매트층(4)의 평균 두께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당해 적층 시트(1)의 두께가 불필요하게 두꺼워질 우려가 있다.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60˚ 광택도(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의 60˚ 광택도)의 하한으로서는 30이 바람직하고, 35가 보다 바람직하고, 37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60˚ 광택도의 상한으로서는 80이 바람직하고, 60이 보다 바람직하고, 45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60˚ 광택도가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2 매트층(4)의 헤이즈값이 높아키고, 광선 투과율이 저하되어, 당해 적층 시트(1)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60˚ 광택도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제2 매트층(4)에 의한 광확산 기능이 불충분하게 되고,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60˚ 광택도(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의 60˚ 광택도)는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60˚ 광택도(당해 적층 시트(1)의 표면의 60˚ 광택도)의 3/2 이상이며, 2 이상이 바람직하고, 4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60˚ 광택도는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60˚ 광택도의 10 이하이며, 8 이하가 바람직하고, 6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60˚ 광택도가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2 매트층(4)에 의한 광의 확산 기능이 지나치게 커져 당해 적층 시트(1)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60˚ 광택도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60˚ 광택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의 하한으로서는 0.1μm가 바람직하고, 0.3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의 상한으로서는 0.8μm가 바람직하고, 0.6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제2 매트층(4)에 의한 광의 확산 기능이 지나치게 커져 당해 적층 시트(1)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의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의 9/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제2 매트층(4)에 의한 광의 확산 기능이 지나치게 커져 당해 적층 시트(1)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의 하한으로서는 1μm가 바람직하고, 1.5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1.7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의 상한으로서는 3.5μm가 바람직하고, 3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2.5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가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광의 확산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제2 매트층(4)에 의한 광의 확산 기능이 지나치게 커져 당해 적층 시트(1)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는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당해 적층 시트(1)의 표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의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는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의 9/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가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제2 매트층(4)에 의한 광의 확산 기능이 지나치게 커져 당해 적층 시트(1)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의 하한으로서는 120μm가 바람직하고, 140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160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의 상한으로서는 250μm가 바람직하고, 230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210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가 상기 범위 밖이면,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의 저감, 및 당해 적층 시트(1)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의 저하를 충분히 억제 가능한 제2 매트층(4)의 이면 형상을 형성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는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당해 적층 시트(1)의 표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의 6/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는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의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가 상기 범위 밖이면, 제1 매트층(3)의 표면 형상 및 제2 매트층(4)의 이면 형상을 조정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그 결과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저감하고,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요철 형상과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을 억제함과 아울러, 당해 적층 시트(1)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또 당해 적층 시트(1)는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에 대한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의 비, 및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에 대한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의 비가 모두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적층 시트(1)는 상기 십점 평균 거칠기(Rzjis)의 비 및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의 비가 모두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충분히 저감하면서, 정면 휘도의 저하를 억제하기 쉽다.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최대 높이 거칠기(Rz)(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의 최대 높이 거칠기(Rz))의 하한으로서는 1μm가 바람직하고, 1.5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2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최대 높이 거칠기(Rz)의 상한으로서는 13μm가 바람직하고, 8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6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최대 높이 거칠기(Rz)가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최대 높이 거칠기(Rz)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제2 매트층(4)에 의한 광의 확산 기능이 지나치게 커져 당해 적층 시트(1)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최대 높이 거칠기(Rz)(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의 최대 높이 거칠기(Rz))는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최대 높이 거칠기(Rz)(당해 적층 시트(1)의 표면의 최대 높이 거칠기(Rz))의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최대 높이 거칠기(Rz)는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최대 높이 거칠기(Rz)의 9/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최대 높이 거칠기(Rz)가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최대 높이 거칠기(Rz)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제2 매트층(4)에 의한 광의 확산 기능이 지나치게 커져 당해 적층 시트(1)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제2 매트층(4)은 광을 투과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투명 특히 무색 투명의 합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제2 매트층(4)의 주성분으로서는 제1 매트층(3)의 주성분과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당해 적층 시트(1)는 제1 매트층(3) 및 제2 매트층(4)의 주성분이 각각 비정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적층 시트(1)는 제1 매트층(3) 및 제2 매트층(4)의 주성분이 각각 비정성 수지인 것에 의해, 제1 매트층(3) 및 제2 매트층(4)의 투명성을 높이고, 휘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비정성 수지는 내충격성이 우수하므로, 당해 적층 시트(1)의 표리면의 상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매트층(3) 및 제2 매트층(4)의 주성분이 모두 비정성 수지인 것에 의해, 중간층(2)의 표리면에 가해지는 응력차를 작게 하여 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매트층(4)은 상기 주성분 외에,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열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곰팡이 방지제, 가소제, 점착성 부여제, 보강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포함해도 된다.
제2 매트층(4)은 광확산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제를 함유시키지 않는 것에 의해, 제2 매트층(4)의 헤이즈값을 제어하기 쉬워진다.
제2 매트층(4)의 리타데이션값(Ra)의 상한으로서는 50nm가 바람직하고, 20nm가 보다 바람직하고, 10nm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2 매트층(4)의 리타데이션값(Ra)이 상기 상한을 넘으면, 편광 방향의 변환 작용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고, 당해 적층 시트(1)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제2 매트층(4)의 리타데이션값(Ra)의 하한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0nm로 할 수 있다.
제2 매트층(4)의 헤이즈값의 하한으로서는 10%가 바람직하고, 15%가 보다 바람직하고, 17%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매트층(4)의 헤이즈값의 상한으로서는 40%가 바람직하고, 30%가 보다 바람직하고, 25%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2 매트층(4)의 헤이즈값이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광의 확산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2 매트층(4)의 헤이즈값이 상기 상한을 넘으면, 당해 적층 시트(1)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접착제)
접착제(5, 6)로서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감압성 접착제, 용제형 접착제 등, 공지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접착제(5, 6)로서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접착제(5, 6)로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접착제(5, 6)의 경화시에 있어서의 체적 수축을 억제할 수 있고, 중간층(2)에 컬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접착제(5, 6)의 주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터, 폴리유레테인, 폴리올레핀,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5, 6)의 평균 두께의 하한으로서는 5μm가 바람직하고, 1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접착제(5, 6)의 평균 두께의 상한으로서는 100μm가 바람직하고, 5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5, 6)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중간층(2)과, 제1 매트층(3) 및 제2 매트층(4)과의 밀착성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접착제(5, 6)의 평균 두께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당해 적층 시트(1)가 불필요하게 두꺼워짐과 아울러, 중간층(2)에 컬이 생길 우려가 있다.
<제조 방법>
이어서 당해 적층 시트(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당해 적층 시트(1)의 제조 방법은 제1 압출 공정과, 제1 압압 공정과, 제1 첩합 공정과, 제2 압출 공정과, 제2 압압 공정과, 제2 첩합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압출 공정 및 제1 압압 공정은 도 2의 압출 성형 장치(11)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압출 성형 장치(11)는 압출기 및 T다이(12)와, 제1 매트롤(13)과, 제1 압압롤(14)과, 권취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T다이(12)로서는 예를 들면 피시테일 다이, 매니폴드 다이, 코트행거 다이 등의 주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매트롤(13) 및 제1 압압롤(14)은 인접하여 평행하게 배열설치되어 있다. 압출기 및 T다이(12)는 제1 매트롤(13) 및 제1 압압롤(14)의 닙에 용융 수지를 시트 형상으로 압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매트롤(13) 및 제1 압압롤(14)은 온도 제어 수단이 설치되어, 표면 온도를 압출 성형에 최적인 온도로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매트롤(13)로서 금속롤과 표면에 탄성체를 피복한 플렉서블롤로 이루어지는 금속 탄성롤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압압롤(14)로서 금속제의 경면롤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 제1 압압롤(14)로서는 금속롤과 표면에 탄성체를 피복한 플렉서블롤로 이루어지는 금속 탄성롤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매트롤(13)은 둘레면 전체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매트롤(13)의 둘레면은 제1 매트층(3)의 표면 형상의 형성형(形成型)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압출 공정 및 제2 압압 공정은 상기 제1 매트롤(13) 대신에, 둘레면이 제2 매트층(4)의 표면 형상의 형성형으로서 구성되는 제2 매트롤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 압출 성형 장치(1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는 압출 성형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제1 압출 공정)
상기 제1 압출 공정에서는 용융 상태의 제1 매트층 형성 재료를 시트 형상으로 압출한다. 제1 압출 공정은 용융 상태의 제1 매트층 형성 재료를 T다이(12)에 공급하고, 이 형성 재료를 압출기 및 T다이(12)로부터 제1 매트롤(13) 및 제1 압압롤(14)의 닙에 압출하는 용융 압출 성형법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T다이(12)로부터 압출하는 제1 매트층 형성 재료의 용융 온도는 사용되는 수지의 융점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선정된다.
(제1 압압 공정)
상기 제1 압압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압출 공정에 의해 압출된 용융 상태의 제1 매트층 형성 재료를 제1 매트롤(13) 및 제1 압압롤(14)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압압한다. 상기 제1 압압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제1 매트롤(13)로서 상기 금속 탄성롤을 사용하고, 또한 제1 압압롤(14)로서 상기 금속롤을 사용한 다음, 제1 매트롤(13) 및 제1 압압롤(14)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이 제1 압압 공정에 의해 얻어지는 제1 매트층 재료의 제1 매트롤(13)과의 접촉면의 60˚ 광택도를 예를 들면 5이상 20 이하로 조정한다.
(제1 첩합 공정)
상기 제1 첩합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압압 공정에 의해 압압된 제1 매트층 재료의 제1 압압롤(14)과의 접촉면을 중간층(2)의 표면측에 첩합한다. 상기 제1 첩합 공정은 제1 매트층 재료의 제1 압압롤(14)과의 접촉면과 중간층(2)의 표면을 접착제(5)에 의해 접착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제1 첩합 공정에 의해, 중간층(2)의 표면측에 표면의 60˚ 광택도가 예를 들면 5 이상 20 이하인 제1 매트층(3)이 형성된다.
(제2 압출 공정)
상기 제2 압출 공정에서는 용융 상태의 제2 매트층 형성 재료를 시트 형상으로 압출한다. 제2 압출 공정은 용융 상태의 제2 매트층 형성 재료를 T다이에 공급하고, 이 형성 재료를 압출기 및 T다이로부터 제2 매트롤 및 제2 압압롤의 닙에 압출하는 용융 압출 성형법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T다이로부터 압출하는 제2 매트층 형성 재료의 용융 온도는 사용되는 수지의 융점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선정된다.
(제2 압압 공정)
상기 제2 압압 공정에서는 상기 제2 압출 공정에 의해 압출된 용융 상태의 제2 매트층 형성 재료를 제2 매트롤 및 제2 압압롤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압압한다. 상기 제2 압압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제2 매트롤로서 금속 탄성롤을 사용하고, 또한 제2 압압롤로서 금속롤을 사용한 다음, 제2 매트롤 및 제2 압압롤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이 제2 압압 공정에 의해 얻어지는 제2 매트층 재료의 제2 매트롤과의 접촉면의 60˚ 광택도를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60˚ 광택도의 3/2 이상 10 이하로 조정한다.
(제2 첩합 공정)
상기 제2 첩합 공정에서는 상기 제2 압압 공정에 의해 압압된 제2 매트층 재료의 제2 압압롤과의 접촉면을 중간층(2)의 이면측에 첩합한다. 상기 제2 첩합 공정은 제2 매트층 재료의 제2 압압롤과의 접촉면과 중간층(2)의 이면을 접착제(6)에 의해 접착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제2 첩합 공정에 의해, 중간층(2)의 이면측에 이면의 60˚ 광택도가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60˚ 광택도의 3/2 이상 10 이하인 제2 매트층(4)이 형성된다.
<이점>
당해 적층 시트(1)는 액정 패널과 광학 시트 사이에 배열설치되면, 광학 시트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고, 또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확실하지 않지만, 당해 적층 시트(1)는 중간층(2)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제1 매트(3) 및 중간층(2)의 이면측에 적층되는 제2 매트층(4)을 구비하고,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60˚ 광택도가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60˚ 광택도의 3/2 이상 10 이하이므로, 이면측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제2 매트층(4)의 이면에 의해 약간 확산시키고, 또한 제1 매트층(3)의 표면에 의해 적당히 확산시킨 다음 표면측으로부터 출사시킴으로써,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당해 적층 시트(1)는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60˚ 광택도에 대한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60˚ 광택도가 1/10 이상 2/3 이하이므로, 표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적당히 확산시킴으로써,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제1 매트층(3)에서의 광의 확산이 불충분한 경우, 확산된 광의 간섭의 간격이 넓어지고, 이 간격이 액정셀보다 큰 경우, 액정셀 사이에서 광의 강약이 나타나는 것에 대해, 제1 매트층(3)에서 충분한 확산이 행해진 경우, 광의 간섭의 간격이 작아져 액정셀 내에서 광의 강약이 나타나기 때문에, 액정셀 사이에서의 광의 강약은 나타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당해 적층 시트(1)는 중간층(2)이 반사 편광층이므로, 중간층(2)에 의해 반사한 광의 재이용을 도모할 수 있고, 광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당해 적층 시트(1)는 반사 편광층의 표면측에 제1 매트층(3)이 적층되므로, 이 제1 매트층(3)에 의해 반사 편광층에 기인하는 번쩍임을 억제할 수 있다.
당해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은 중간층(2)의 표면측에 제1 매트층(3)을 구비하고, 이 중간층(2)의 이면측에 제2 매트층(4)을 구비하고, 제2 매트층(4)의 이면의 60˚ 광택도가 제1 매트층(3)의 표면의 60˚ 광택도의 3/2 이상 10 이하인 당해 적층 시트(1)를 제조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적층 시트>
도 3의 적층 시트(21)는 도 1의 적층 시트(1) 대신에 사용된다. 도 2의 적층 시트(21)는 중간층(2)과, 이 중간층(2)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제1 매트층(23)과, 이 중간층(2)의 이면측에 적층되는 제2 매트층(4)을 구비한다. 당해 적층 시트(21)는 중간층(2) 및 제1 매트층(23)이 접착제(5)에 의해 접착되고, 중간층(2) 및 제2 매트층(4)이 접착제(6)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당해 적층 시트(21)는 중간층(2), 제1 매트층(23) 및 제2 매트층(4)의 3층 구조체로 이루어진다. 당해 적층 시트(21)는 제1 매트층(23)의 구성이 상이한 것 이외에 도 1의 당해 적층 시트(1)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그 때문에 제1 매트층(23) 이외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매트층)
제1 매트층(23)은 수지 매트릭스(24)와 광확산제(25)를 포함한다. 제1 매트층(23)은 광확산제(25)가 수지 매트릭스(24) 중에 대략 등밀도로 분산되어 있다. 또 광확산제(25)는 수지 매트릭스(24)에 둘러싸여 있다.
수지 매트릭스(24)는 광을 투과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투명 특히 무색 투명의 합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수지 매트릭스(24)의 주성분으로서는 도 1의 제1 매트층(3)의 주성분과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또한 수지 매트릭스(24)는 상기 주성분 외에,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열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곰팡이 방지제, 가소제, 점착성 부여제, 보강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포함해도 된다.
광확산제(25)는 광선을 확산시키는 성질을 가지는 입자이며, 무기 필러와 유기 필러로 크게 구별된다. 무기 필러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황화바륨, 마그네슘실리케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유기 필러의 구체적인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아크릴로나이트릴 수지, 폴리유레테인, 폴리염화바이닐, 폴리스타이렌, 폴리아마이드,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이 높은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가 특히 바람직하다.
광확산제(25)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구 형상, 입방 형상, 침 형상, 봉 형상, 방추 형상, 판 형상, 비늘조각 형상, 섬유 형상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광확산성이 우수한 구 형상의 비즈가 바람직하다.
광확산제(25)의 평균 입자 직경의 하한으로서는 1μm가 바람직하고, 2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광확산제(25)의 평균 입자 직경의 상한으로서는 10μm가 바람직하고, 5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광확산제(25)의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광확산제(25)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매트층(23)의 표면의 요철이 작아져, 광확산성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광확산제(25)의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상한을 넘으면, 제1 매트층(23)의 표면의 요철이 지나치게 커져, 당해 적층 시트(21)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광확산제(25)의 배합량(수지 매트릭스 100질량부에 대한 고형분 환산의 배합량)의 하한으로서는 3질량부가 바람직하고, 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광확산제(25)의 배합량의 상한으로서는 4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3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광확산제(25)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으면, 광확산성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광확산제(25)의 배합량이 상기 상한을 넘으면, 제1 매트층(23)의 헤이즈값이 지나치게 높아져 당해 적층 시트(21)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제1 매트층(23)의 표면(당해 적층 시트(21)의 표면)의 60˚ 광택도, 산술 평균 거칠기(Ra), 십점 평균 거칠기(Rzjis),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 최대 높이 거칠기(Rz)로서는 도 1의 제1 매트층(3)과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또 제1 매트층(23)의 리타데이션값(Ra), 헤이즈값, 평균 두께로서는 도 1의 제1 매트층(3)과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제조 방법>
당해 적층 시트(21)는 도 1의 적층 시트(1)와 마찬가지로, 제1 압출 공정과, 제1 압압 공정과, 제1 첩합 공정과, 제2 압출 공정과, 제2 압압 공정과, 제2 첩합 공정을 구비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점>
당해 적층 시트(21)는 제1 매트층(23)이 수지 매트릭스(24)와, 이 수지 매트릭스(24)에 분산되는 광확산제(25)를 가지므로, 제1 매트층(23)의 표면 형상에 기초하는 외부 확산, 및 광확산제(25)와 수지 매트릭스(24)의 굴절률차 등에 기초하는 내부 확산에 의해, 표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기 쉽다.
<액정 표시 장치>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도 1의 적층 시트(1)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의 액정 표시 장치는 퍼스널컴퓨터나 액정 텔레비전 등, 비교적 대형의 표시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당해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모듈(31)을 구비한다.
(액정 표시 모듈)
액정 표시 모듈(31)은 직하형이며, 당해 적층 시트(1)와, 당해 적층 시트(1)의 표면에 배열설치되는 액정 패널(32)과,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에 배열설치되는 광학 시트(33)와, 광학 시트(33)의 이면에 배열설치되는 백라이트(34)를 구비한다. 또 당해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당해 적층 시트(1), 광학 시트(33) 및 백라이트(34)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한다. 액정 패널(32), 당해 적층 시트(1), 광학 시트(33) 및 백라이트(34)는 대략 동일 또한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고,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으로 이 순서로 중첩되어 있다.
(액정 패널)
액정 패널(32)은 대략 평행으로 또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설치되는 표면측 편광판(35) 및 이면측 편광판(36)과, 그 사이에 배열설치되는 액정셀(37)을 가진다. 표면측 편광판(35) 및 이면측 편광판(36)은 예를 들면 아이오딘계 편광자, 염료계 편광자, 폴리엔계 편광자 등의 편광자 및 그 양측에 배열설치되는 한 쌍의 투명 보호 필름으로 구성된다. 표면측 편광판(35) 및 이면측 편광판(36)의 투과축 방향은 직교하고 있다.
액정셀(37)은 투과하는 광량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공지의 각종의 것이 채용된다. 액정셀(37)은 일반적으로는 기판, 컬러 필터, 대향 전극, 액정층, 화소 전극, 기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체이다. 이 화소 전극에는 ITO 등의 투명 도전막이 사용된다. 액정셀(37)의 표시 모드로서는 예를 들면 TN(Twisted Nematic), VA(Vertical Alignment), IPS(In-Plane Switching), FLC(Ferroelectric Liquid Crystal), AFLC(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OCB(Optically Compensatory Bend), STN(Supper Twisted Nematic), HAN(Hybrid Aligned Nematic)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액정 패널(32)의 화소 피치(액정셀(37)의 화소 피치)로서는 예를 들면 25μm 이하로 할 수 있다.
(적층 시트)
당해 적층 시트(1)는 액정 패널(32)의 바로 아래에 배열설치되어 있다. 당해 적층 시트(1)의 중간층(2)의 투과축 방향은 액정 패널(32)의 이면측 편광판(36)의 투과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광학 시트)
광학 시트(33)로서는 광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마이크로렌즈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마이크로렌즈 시트는 단체로 사용되어도 되고, 복수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백라이트)
백라이트(34)는 직하형의 면광원 장치이며, 액정 패널(32)을 이면측으로부터 조사한다. 백라이트(34)는 예를 들면 케이싱(38), 복수의 광원(39), 확산판(40) 등을 가진다. 케이싱(38)은 사각형의 트레이 형상(표면이 개구한 얇은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표면측에 광선을 출사하도록 내면에 금속막 등의 반사층을 가지고 있다. 복수의 광원(39)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LED가 사용된다. 확산판(40)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등에 무기 필러 등을 분산한 수지판이 사용된다.
<이점>
당해 액정 표시 모듈(31)은 당해 적층 시트(1)가 액정 패널(32)의 이면에 배열설치되어 있으므로, 액정 패널(32)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당해 액정 표시 모듈(31)은 당해 적층 시트(1)가 액정 패널(32)의 이면에 배열설치되어 있으므로,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당해 백라이트 유닛은 당해 적층 시트(1)가 광학 시트(33)의 표면에 배열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광학 시트(33)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저감하면서, 액정 패널(32)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을 억제할 수 있다.
당해 액정 표시 장치는 당해 액정 표시 모듈(31)을 구비하므로, 액정 패널(32)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당해 적층 시트(1)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시트, 액정 표시 모듈, 백라이트 유닛 및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은 상기 양태 외에, 각종 변경, 개량을 시행한 양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간층과 제1 매트층 및 제2 매트층 사이에는 다른 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제1 매트층의 표면측 또는 제2 매트층의 이면측에는 하드코트층 등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매트층이 광확산제를 가지는 경우, 이 제1 매트층은 기재층과 광확산층의 2층 구조체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광확산층이 수지 매트릭스와, 이 수지 매트릭스에 분산되는 광확산제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당해 적층 시트는 상기 제2 매트층의 구성으로서, 수지 매트릭스와, 이 수지 매트릭스에 분산되는 광확산제를 가지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중간층은 반드시 반사 편광층일 필요는 없다. 상기 중간층은 예를 들면 광의 일방향 성분을 흡수하고, 나머지 편광 성분을 투과하는 편광층이어도 된다. 상기 중간층이 편광층인 경우, 당해 적층 시트는 예를 들면 액정 패널의 액정셀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어, 이면측 편광판 대신에 사용되어도 된다.
또 상기 중간층은 예를 들면 투명한 합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층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합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타이렌, 폴리올레핀, 셀룰로스아세테이트, 내후성 염화바이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이 이와 같은 기재층인 경우, 당해 적층 시트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과, 이 액정 패널의 이면측의 광학 시트와의 사이에 배열설치되는 상용 확산 시트로서 사용된다. 당해 적층 시트는 이와 같은 상용 확산 시트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저감하면서,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당해 액정 표시 모듈 및 백라이트 유닛은 반드시 직하형 백라이트를 구비할 필요는 없고, 광원과, 이 광원에 단부가 따르도록 배치되는 도광판을 구비하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당해 액정 표시 장치는 퍼스널컴퓨터나 액정 텔레비전 등, 비교적 대형의 표시 장치로서 구성되는 것 외에,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전화 단말이나,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형 정보 단말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No.1]
<제1 수지 필름>
압출 성형 장치를 사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를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제1 매트롤 및 제1 압압롤 사이에서 압압하여, 편면이 매트면으로서 형성된 제1 수지 필름을 제조했다.
<제2 수지 필름>
압출 성형 장치를 사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를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제2 매트롤 및 제2 압압롤 사이에서 압압하여, 편면이 매트면으로서 형성된 제2 수지 필름을 제조했다.
<품질>
제1 수지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의 품질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있어서의 각 품질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평균 두께)
임의의 10점의 두께를 측정하고, 이 10점의 두께의 평균값을 평균 두께로 했다.
(60˚ 광택도)
60˚ 광택도는 매트면의 반대측의 면을 흑색 매직 잉크로 빈틈없이 칠한 상태에서, 스가시켄키 가부시키가이샤제의 「Gloss Mobile GM-1」을 사용하여 JIS-Z8741:1997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산술 평균 거칠기)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JIS-B0601:2001에 준하여, 가부시키가이샤 미츠토요사제의 「SURFTEST SJ-210」을 사용하여 컷오프 λc 2.5mm, 평가 길이 12.5mm의 값을 구했다.
(십점 평균 거칠기)
십점 평균 거칠기[Rzjis]는 JIS-B0601:1994에 준하여, 가부시키가이샤 미츠토요사제의 「SURFTEST SJ-210」을 사용하여 컷오프 λc 2.5mm, 평가 길이 12.5mm의 값을 구했다.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는 JIS-B0601:2001에 준하여, 가부시키가이샤 미츠토요사제의 「SURFTEST SJ-210」을 사용하여 컷오프 λc 2.5mm, 평가 길이 12.5mm의 값을 구했다.
(리타데이션)
리타데이션[Re]은 오지케이소쿠키키 가부시키가이샤제의 「KOBRA ADH21」을 사용하여, 파장 589nm의 광선(소듐 D선)에 의해 측정했다.
Figure pct00001
<적층 시트>
평균 두께 100μm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준비하고, 상기 제1 수지 필름의 매트면과 반대측의 면 및 제2 수지 필름의 매트면과 반대측의 면을 PET 필름의 양면에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첩합하고, 제1 수지 필름의 매트면이 표면측에 위치하고, 제2 수지 필름의 매트면이 이면측에 위치하는 No.1의 적층 시트를 제조했다.
[No.2]
<적층 시트>
상기 제2 수지 필름의 매트면이 표면측에 위치하고, 제1 수지 필름의 매트면이 이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것 이외에는 No.1과 마찬가지로 하여 No.2의 적층 시트를 제조했다.
[No.3]
<적층 시트>
한 쌍의 제1 수지 필름을 준비하고, 이 한 쌍의 제1 수지 필름의 매트면과 반대측의 면을 상기 PET 필름의 양면에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첩합함으로써 No.3의 적층 시트를 제조했다.
[No.4]
<적층 시트>
한 쌍의 제2 수지 필름을 준비하고, 이 한 쌍의 제2 수지 필름의 매트면과 반대측의 면을 상기 PET 필름의 양면에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첩합함으로써 No.4의 적층 시트를 제조했다.
<액정 표시 장치>
단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선을 표면측으로 이끄는 도광판과, 이 도광판의 단면을 따라 배열설치되는 복수의 LED 광원과, 이 도광판의 표면에 배열설치되는 광확산 시트와, 이 광확산 시트의 표면에 배열설치되는 프리즘 시트를 가지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의 프리즘 시트의 표면에 No.1~No.4의 적층 시트를 배열설치하고, 또한 이 적층 시트의 표면에 액정 패널을 배열설치했다.
(정면 휘도)
No.1~No.4의 적층 시트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를 가부시키가이샤 톱콘테크노하우스사제의 「색채휘도계 BM-7」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이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스파클)
No.1~No.4의 적층 시트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스파클의 유무를 이하의 기준으로 육안으로 평가했다. 이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No.1의 적층 시트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스파클의 유무의 확인 결과를 도 6에, No.2의 적층 시트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스파클의 유무의 확인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A:스파클이 확인되지 않는다.
B:스파클이 확인된다.
Figure pct00002
<평가 결과>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ET 필름의 이면측에 적층되는 수지 필름의 이면의 60˚ 광택도가 PET 필름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수지 필름의 표면의 60˚ 광택도의 약4.5배인 No.1의 적층 시트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 휘도를 충분히 유지하면서 스파클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No.2 및 No.4의 적층 시트는 스파클을 정확하게 억제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No.3의 적층 시트는 PET 필름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제1 수지 필름의 60˚ 광택도가 낮은 점에서 스파클의 억제 효과가 얻어지기는 하지만, 정면 휘도가 크게 저하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적층 시트, 액정 표시 모듈, 백라이트 유닛 및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은 당해 적층 시트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다른 광학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는 휘도 불균일을 저감하면서, 액정 패널의 화소 피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스파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휘도 불균일이 억제된 액정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1, 21…적층 시트 2…중간층
3, 23…제1 매트층 4…제2 매트층
5, 6…접착제 11…압출 성형 장치
12…T다이 13…제1 매트롤
14…제1 압압롤 24…수지 매트릭스
25…광확산제 31…액정 표시 모듈
32…액정 패널 33…광학 시트
34…백라이트 35…표면측 편광판
36…이면측 편광판 37…액정셀
38…케이싱 39…광원
40…확산판 101…액정 패널
102…광학 시트 103…백라이트
104, 105…편광판 106…액정셀
107…반사 편광 시트

Claims (15)

  1. 중간층과, 이 중간층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제1 매트층과, 이 중간층의 이면측에 적층되는 제2 매트층을 구비하고,
    제2 매트층의 이면의 60˚ 광택도가 제1 매트층의 표면의 60˚ 광택도의 3/2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트층의 표면의 60˚ 광택도가 5 이상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매트층의 이면의 60˚ 광택도가 30 이상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트층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0.5μm 이상 1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트.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매트층의 이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제1 매트층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의 1/5 이상 9/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트.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트층의 표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가 1.5μm 이상 4μm 이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가 60μm 이상 140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트.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매트층의 이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가 제1 매트층의 표면의 십점 평균 거칠기(Rzjis)의 1/5 이상 9/10 이하이며,
    상기 제2 매트층의 이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가 제1 매트층의 표면의 거칠기 곡선 요소의 평균 길이(RSm)의 6/5 이상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트.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트층 및 제2 매트층의 주성분이 각각 비정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트.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트층 및 제2 매트층의 리타데이션값(Re)이 각각 5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트.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트층 및 제2 매트층이 광확산제를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트.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트층이 수지 매트릭스와 광확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트.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이 반사 편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트.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시트와, 이 적층 시트의 표면에 배열설치되는 액정 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모듈.
  14.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시트와, 이 적층 시트의 이면에 배열설치되는 광학 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5. 용융 상태의 제1 매트층 형성 재료를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는 공정과,
    상기 압출된 제1 매트층 형성 재료를 제1 매트롤 및 제1 압압롤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압압하는 공정과,
    상기 압압된 제1 매트층 재료의 제1 압압롤과의 접촉면을 중간층의 표면측에 첩합하는 공정과,
    용융 상태의 제2 매트층 형성 재료를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는 공정과,
    상기 압출된 제2 매트층 형성 재료를 제2 매트롤 및 제2 압압롤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압압하는 공정과,
    상기 압압된 제2 매트층 재료의 제2 압압롤과의 접촉면을 중간층의 이면측에 첩합하는 공정
    을 구비하는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2 매트층의 이면의 60˚ 광택도가 제1 매트층의 표면의 60˚ 광택도의 3/2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187002918A 2015-07-23 2016-07-06 적층 시트, 액정 표시 모듈, 백라이트 유닛 및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 KR201800335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45532 2015-07-23
JP2015145532 2015-07-23
PCT/JP2016/070045 WO2017014051A1 (ja) 2015-07-23 2016-07-06 積層シート、液晶表示モジュール、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507A true KR20180033507A (ko) 2018-04-03

Family

ID=5783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918A KR20180033507A (ko) 2015-07-23 2016-07-06 적층 시트, 액정 표시 모듈, 백라이트 유닛 및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74483B2 (ko)
JP (1) JPWO2017014051A1 (ko)
KR (1) KR20180033507A (ko)
CN (1) CN107850698B (ko)
TW (1) TWI710830B (ko)
WO (1) WO20170140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369B1 (ko) * 2017-06-06 2021-06-16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상부용 광 확산 시트 및 그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TWI776088B (zh) * 2019-09-11 2022-09-01 誠屏科技股份有限公司 導光板以及顯示模組
KR20230002866A (ko) * 2020-05-22 2023-01-05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광학 시트, 백라이트 유닛, 액정 표시 장치 및 정보 기기
JP2021187122A (ja) * 2020-06-03 2021-12-13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WO2023017863A1 (ja) * 2021-08-13 2023-02-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加飾フィルム、加飾パネル、及び、表示装置
CN115598748B (zh) * 2022-10-17 2023-09-19 长春希龙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屏纳米调光膜、led显示模组及其封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413B2 (ja) * 1989-09-14 1996-03-06 恵和商工株式会社 押出ラミネート法
US7695781B2 (en) * 2004-02-16 2010-04-13 Fujifilm Corporation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image display unit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antireflective film
JP2007179035A (ja) * 2005-12-01 2007-07-12 Toray Ind Inc 拡散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11075964A (ja) * 2009-10-01 2011-04-14 Sekisui Chem Co Ltd 液晶表示装置
JP5755429B2 (ja) * 2009-11-18 2015-07-29 恵和株式会社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11123380A (ja) 2009-12-11 2011-06-23 Sony Corp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49916B2 (ja) * 2010-01-20 2013-02-20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用マットフィルム
JP2011232683A (ja) * 2010-04-30 2011-11-17 Tomoegawa Paper Co Ltd 光学積層体、偏光板および表示装置
US20120051091A1 (en) 2010-08-31 2012-03-01 Skc Haas Display Films Co., Ltd. Optical sheet manufactured with patterned rollers
KR20140066449A (ko) * 2012-11-23 2014-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사 시트, 백라이트 유닛,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6181937B2 (ja) * 2013-02-25 2017-08-16 恵和株式会社 ライトガイドフィルム、超薄型液晶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携帯型コンピュータ
US9638841B2 (en) * 2014-04-10 2017-05-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aminated diffuser
WO2016007592A1 (en) * 2014-07-11 2016-01-1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Low gloss thermoplastic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014051A1 (ja) 2018-05-10
CN107850698B (zh) 2021-07-06
TWI710830B (zh) 2020-11-21
CN107850698A (zh) 2018-03-27
US20180207907A1 (en) 2018-07-26
US10974483B2 (en) 2021-04-13
TW201706683A (zh) 2017-02-16
WO2017014051A1 (ja)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3507A (ko) 적층 시트, 액정 표시 모듈, 백라이트 유닛 및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
KR101900932B1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 액정 표시장치
US8279370B2 (en) Optical laminate film,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WO2007049515A1 (ja) 光透過性樹脂板
CN104246590A (zh) 液晶显示设备
US8508691B2 (en) Optical path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481308B2 (en) Optical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optical film
US8118469B2 (en) Surface illuminat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WO2004090587A1 (ja) 光拡散板
US1057173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104459B2 (ja) 光学部材と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ディスプレイ
JP2010044269A (ja) 光拡散板、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2103489A (ja) 保護フィルム、偏光板、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KR101720435B1 (ko) 액정 표시장치
JP2010044268A (ja) 光拡散板、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2215895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KR101965333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JP7368430B2 (ja) 光拡散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情報機器、及び光拡散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2204136A (ja) 導光板、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表示装置
WO2023228684A1 (ja) 光拡散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及び情報機器
JP5550869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9237475A (ja) 光学シートと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JP2023126072A (ja) 複合光拡散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及び情報機器
KR102160042B1 (ko) 백라이트 유닛
JP5136325B2 (ja) 光学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ならびにディスプレ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