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2007A - 부비동용 풍선 카테터 - Google Patents

부비동용 풍선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007A
KR20180032007A KR1020160120615A KR20160120615A KR20180032007A KR 20180032007 A KR20180032007 A KR 20180032007A KR 1020160120615 A KR1020160120615 A KR 1020160120615A KR 20160120615 A KR20160120615 A KR 20160120615A KR 20180032007 A KR20180032007 A KR 20180032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fluid
sinus
catheter
proced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0615B1 (ko
Inventor
강일규
김선태
Original Assignee
(의료)길의료재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길의료재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60120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615B1/ko
Publication of KR20180032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61B2017/2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for cleaning of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81Sinus (maxillar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풍선 카테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는 풍선(100) 및 상기 풍선(100)에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주입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풍선(100)에 유체 주입 시, 상기 풍선(100)의 확장을 통해 동시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입구부의 확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비동용 풍선 카테터{SINUS BALLOON CATHETHER}
본 발명은, 부비동용 풍선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비동염을 치료하기 위한 풍선 카테터 시술시 부비동 입구부의 확장된 상태를 시술 후에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지혈에 도움이 되고 협착을 방지함으로써 부비동염 재발 방지가 가능한 풍선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부비동염은 부비동에 이상이 생겨 부비동 분비물이 잘 배출되지 않아 세균 감염 및 염증이 발생하여 점막이 붓고, 부비동 입구가 좁아지는 병이다. 흔히 축농증이라 불리우며 일상 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부비동염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풍선 카테터를 시술 방법은 기존 시술 방법보다 절개부위의 회복이 빠른 장점을 가진다. 풍선 카테터 시술은 카테터를 비강에 삽입하고, 부비동 입구부에서 카테터의 말단에 위치하는 풍선이 확장되어 부비동 입구를 확장하고 부비동 내부의 염증, 분비물 등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풍선 카테터는 시술 후 카테터와 함께 풍선이 제거되기 때문에 부비동 입구가 다시 좁아지거나 협착 등으로 부비동염이 재발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풍선 카테터 시술 후 솜을 시술 부위에 우겨넣는 방식으로 지혈이 되게하나, 솜을 이용한 지혈 방식은 오랜 시간 유지될 수 없어 주기적으로 솜을 교체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불편함이 존재한다.
관련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113953호는 부비강 확장 시스템 및 방법으로서, 풍선 카테터를 이용하여 부비동 입구를 확장하는 기술을 개시하나, 시술 후에 카테터와 함께 풍선이 제거되므로 시술 후에도 재발 가능성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104401호는 풍선 및 마이크로구조체를 이용한 카테터 및 약물전달체로서, 풍선과 약품이 담지된 마이크로구조체를 이용하여 부비동에 약물이 전달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나, 단순히 약물만 전달될 뿐 풍선은 시술 후 카테터와 함께 제거되므로 시술 후에도 재발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부비동염을 치료하기 위한 풍선 카테터 시술 후에 풍선을 부비동 입구부에 위치시킬 수 있어 시술 부위 지혈, 협착 방지에 도움이 되며 동시에 여러 개의 입구부의 확장 및 확장 상태 유지할 수 있어 시술의 편리성이 증대된 풍선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풍선(100) 및 상기 풍선(100)에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주입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풍선(100)에 유체 주입 시, 상기 풍선(100)의 확장을 통해 동시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입구부의 확장 상태가 유지되는 풍선 카테터를 제공한다.
상기 풍선(100)은 상기 풍선 카테터와 분리 가능하며, 상기 풍선 카테터와 분리 후에도 상기 풍선(100)의 확장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풍선(100)은 제1단부(110), 제2단부(120) 및 제3단부(1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풍선 카테터는 상기 풍선(100)과 연결된 제거 튜브(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풍선(100)의 표면에는 스테로이드제가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풍선(100)은 적어도 일부가 비닐 또는 폴리우레탄인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는 가이드 와이어(300) 및 상기 풍선(100)과 상기 유체주입부(200)를 연결하며, 유체가 주입되는 통로인 채널(4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풍선(100)의 확장된 상태는 적어도 1주일 간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풍선 카테터를 통해, 풍선 카테터 시술 후에도 풍선을 부비동 입구부에 위치시킬 수 있어, 시술 부위의 지혈과 협착 방지에 도움이 되어 풍선 카테터 시술 후의 부비동염 재발 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동시에 여러 개의 부비동의 여러 입구를 확장하거나 확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풍선 카테터 시술의 편리성이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풍선이 더 이상 부비동 입구부에 위치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될 시 별도의 시술, 장비 없이 제거 튜브를 통해 간단히 제거 가능하여 시술자, 환자의 번거로움을 방지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선 카테터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풍선 카테터의 풍선이 유체 주입으로 인해 확장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 4는 도 2의 풍선이 부비동 입구부에 위치하여 입구부의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1. 풍선 카테터의 설명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입구부"는 부비동염 치료를 위해 풍선이 삽입되는 부비동의 입구를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는 풍선(100)과 유체주입부(200)를 포함한다.
풍선(100)은 풍선 카테터의 단부에 위치하며 유체주입부(200)의 유체 주입으로 인해 확장되어 염증으로 인해 좁아진 입구부를 확장시킨다. 입구부가 확장됨에 따라 수술 기구가 입구부를 거쳐 부비동 내에 삽입되어 부비동 내의 염증, 분비물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풍선(100)은 풍선 카테터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시술 시 입구부를 확장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시술 후에도 입구부에 잔존하여 입구부의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시술 후에도 입구부의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다시 입구부가 좁아지게 되면서 부비동염이 재발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풍선(100)은 제1단부(110), 제2단부(120) 및 제3단부(130)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일자형 풍선의 일단부를 한 곳에 접합하여 일자형 풍선을 세 개 합성한 형태로 구비된다. 풍선(100)이 제1단부(110), 제2단부(120) 및 제3단부(130)를 포함하기 때문에 하나의 풍선(100)만으로도 기존의 일자형 풍선 3개가 사용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제1단부(110), 제2단부(120) 및 제3단부(130) 각각은 부비동의 구성인 전두동, 사골동, 상악동 입구부에 삽입되어 동시에 세 개의 입구부를 확장하거나 시술 후 세 개의 확장된 입구부 상태를 유지한다. (도 3, 도 4) 대안적으로, 풍선(100)의 형태 변형에 따라 동시에 두 개의 입구부를 확장할 수도 있고, 네 개 또는 그 이상의 입구부 확장도 가능하다. 풍선(100)이 상기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술 시 입구부를 각각 열어주거나, 시술 후에 입구부 확장 상태 유지를 위해 부비동 각 입구부에 풍선을 일일이 위치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시술 시간이 단축되며 시술 예후의 양호함이 충분히 예상가능하다.
또한, 풍선(100)은 풍선 카테터와 분리 후에도 적어도 1주일 간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여 각 입구부의 확장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솜을 우겨넣어 입구부 확장 상태를 유지하거나 지혈하는 방법은 자주 솜을 교체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적어도 1주일 간 풍선(100)의 확장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시술자, 환자의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선(100)은 제거 튜브(140)를 더 포함한다. 풍선(100)이 적어도 1주일 간 입구부의 확장 상태를 유지 후 더 이상 출혈이나 협착 등의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풍선(100)을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제거 튜브(140)는 환자의 비강 밖까지 돌출될 수 있도록 환자의 비강 길이보다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 튜브(140)가 환자의 비강 밖까지 돌출됨에 따라 별도의 시술이나 장비 없이 제거 튜브(140)를 당김으로써 풍선(100)의 제거가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제거 튜브(140)는 유체가 풍선(100)으로 주입, 배출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관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 튜브(140)는 유체의 주입, 배출 통로를 개폐가능한 조임 수단(141)를 포함하고 있어 풍선(100)이 입구부에 확장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 조임 수단(141)을 조작하여 제거 튜브(140) 중앙부 폐쇄로 인해 풍선(100)내의 유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풍선(100)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 조임 수단(141)을 조작하여 제거 튜브(140) 중앙부 개방으로 인해 풍선(100) 내의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여 풍선(100)의 부피를 작게 하여 풍선(100)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풍선(100)은 유체주입부(200)의 주입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가져야하므로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일부가 비닐 또는 폴리우레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풍선(100)의 표면에는 약품이 코팅될 수 있으며, 특히 스테로이드제가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로이드제가 시술 부위에 흡수되면서 절개 부위에서 발생한 출혈의 지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풍선(100)의 재질 자체가 약품이 담지된 재질인 surgicel로 이루어질 수 있어 풍선(100)의 표면에 약품의 코팅 없이 지혈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는 가이드 와이어(300)와 채널(400)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 와이어(300)는 부비동 입구부에 풍선 카테터가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채널(400)은 풍선(100)과 유체주입부(200)를 연결하는 통로이며, 유체주입부(200)에서 주입되는 유체가 풍선(100)으로 이동하는 통로이기도 하다. 유체주입부(200)를 통해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통로를 통해 풍선(100)에 유체가 주입되어 풍선(100)이 확장된다.
가이드와이어(300)와 채널(400) 또한 마찬가지로 풍선 카테터가 풍선(100)으로부터 분리 시 함께 분리되어 풍선(100)이 부비동 입구부에 잔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풍선
110 : 제1단부
120 : 제2단부
130 : 제3단부
140 : 제거 튜브
141 : 조임 수단
200 : 유체주입부
300 : 가이드 와이어
400 : 채널

Claims (8)

  1. 풍선(100); 및
    상기 풍선(100)에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주입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풍선(100)에 유체 주입 시, 상기 풍선(100)의 확장을 통해 동시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입구부의 확장 상태가 유지되는,
    풍선 카테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100)은,
    상기 풍선 카테터와 분리 가능하며,
    상기 풍선 카테터와 분리 후에도 상기 풍선(100)의 확장된 상태가 유지되는,
    풍선 카테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100)은 제1단부(110), 제2단부(120) 및 제3단부(130)를 포함하는,
    풍선 카테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100)과 연결된 제거 튜브(140);를 더 포함하는,
    풍선 카테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100)의 표면에 스테로이드제가 코팅된,
    풍선 카테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100)은 적어도 일부가 비닐 또는 폴리우레탄인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풍선 카테터.
  7.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300); 및
    상기 풍선(100)과 상기 유체주입부(200)를 연결하며, 유체가 주입되는 통로인 채널(400)을 더 포함하는,
    풍선 카테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100)의 확장된 상태는,
    적어도 1주일 간 유지되는,
    풍선 카테터.
KR1020160120615A 2016-09-21 2016-09-21 부비동용 풍선 카테터 KR101850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615A KR101850615B1 (ko) 2016-09-21 2016-09-21 부비동용 풍선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615A KR101850615B1 (ko) 2016-09-21 2016-09-21 부비동용 풍선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007A true KR20180032007A (ko) 2018-03-29
KR101850615B1 KR101850615B1 (ko) 2018-04-19

Family

ID=6190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615A KR101850615B1 (ko) 2016-09-21 2016-09-21 부비동용 풍선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6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1396B2 (ja) * 1992-09-29 2001-07-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クロック発生回路
JP2008149089A (ja) 2006-12-19 2008-07-03 New Wave Medical:Kk 鼻腔拡張用カテーテル
JP5759736B2 (ja) 2011-02-02 2015-08-05 株式会社グッドマン バルーンカテーテル
CN103007425B (zh) * 2012-11-13 2013-11-06 浦易(上海)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治疗鼻窦炎或过敏性鼻炎的球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615B1 (ko)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45895B (zh) 用于鼻窦的经鼻扩张和冲洗的装置和方法
JP2019162472A (ja) ガイドワイヤーバルブを備える注入カテーテル
US104565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rrigating sinus cavity
US90052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dilating the ethmoid infundibulum
EP2921200B1 (en) Balloon system for treating sinusitis or allergic rhinitis
JP6297537B2 (ja) 耳管拡開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6492093B2 (ja) インターベンショナル副鼻腔内視鏡
US20070299462A1 (en) Nasolacrimal system irrigation and dilatation tool
AU2015238860B2 (en) Methods of treating tissue within a bodily passage
MX2014012379A (es) Dispositivos y metodo para lavado del seno maxilar.
WO2007139919A2 (en) Nasolacrimal system surgical tool and method
GB2498175A (en) Thrombus removal apparatus
US20190328412A1 (en) Systems, instruments and methods for treating sinuses
US20070179518A1 (en) Balloon Catheters and Methods for Treating Paranasal Sinuses
KR101697533B1 (ko) 부비동염을 치료하고 부비동 개구를 확장하기 위한 장치
JP2008521546A (ja) 乳突洞換気チューブ
KR101850615B1 (ko) 부비동용 풍선 카테터
JP7361400B2 (ja) 耳カテーテル
JP2020529294A (ja) 鼻腔及び副鼻腔疾患に対する保存的療法装置
CN113491843A (zh) 气囊导管
CN113081138A (zh) 一种经鼻腔止血装置及其操作方法
JP2023508900A (ja) 過剰な薬剤送達を最小限に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90053817A1 (en) Circumferential irrigation method of sinusitis treatment
JPH04241877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CN118079212A (zh) 耳导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