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985A -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985A
KR20180029985A KR1020180015692A KR20180015692A KR20180029985A KR 20180029985 A KR20180029985 A KR 20180029985A KR 1020180015692 A KR1020180015692 A KR 1020180015692A KR 20180015692 A KR20180015692 A KR 20180015692A KR 20180029985 A KR20180029985 A KR 20180029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steam
foam
milk foam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4246B1 (ko
Inventor
권장하
Original Assignee
(주)미스터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스터커피 filed Critical (주)미스터커피
Priority to KR1020180015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2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9Steam nozzles, e.g. for introducing into a milk container to heat and foam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6Means to produce beverage with a layer on top, e.g. of cream, foam or fr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바리스타(Barista)가 아닌 일반인도 밀크 폼(milk foam)를 손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팀이 분출되는 커피머신의 결합부재 하단에 조립 설치되는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며, 밀크를 빨아들여 가열시킴과 아울러 공기를 주입시켜 거품을 형성시켜주는 밀크 폼 생성 수단;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바리스타(Barista)가 아닌 일반인도 밀크 폼(milk foam)을 손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밀크 폼 생성기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Automatic milk foam produce device for coffee machin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리스타(Barista)가 아닌 일반인도 밀크 폼(milk foam)을 손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밀크 폼 생성기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에스프레소 머신(Espresso Machine)은 보일러의 압력과 모터를 이용, 빠른 시간에 추출하는 현대식 추출방식이다. 현대 과학의 결정체라고 일컬어지는 커피머신의 발명과 발달은 에스프레소 커피가 현대식 커피의 대명사로 떠오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로 말미암아 커피사업자들은 커피의 경제적 부가가치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으며, 소비자들은 좀 더 맛있는 커피를 더욱 빠른 시간에, 더욱 안정적으로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바리스타라는 새로운 직업군이 형성되고 인정받는 데 크게 기여한 것도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이다. 사람들은 이 디자인이 세련되고 전문적인 기능을 가진 기계에 열광한다. 또 얼핏 보기에 아주 간단하고 쉬워 보이는 바리스타의 동작, 커피받기 동작, 팩킹동작, 탬핑동작, 홀더 맞추기 동작 등 손놀림 몇 번으로 그토록 맛있는 커피가 단숨에 만들어진다는 사실에 대해 경탄을 금치 못한다. 오늘날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은 전 세계의 카페나 커피전문점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필수불가결한 핵심장비로 자리 잡았다.
이런 에스프레소 커피의 추출과정을 잘 트레이닝 된 바리스타의 손 기술이 없더라도 기계적으로 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 이 전자동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 장치인 것이다. 이 추출장치는 뜨거운 물을 공급해주는 보일러 장치 그리고 원두커피를 분쇄해주는 분쇄기 장치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인데, 보일러나 분쇄기의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이 추출장치와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 기술의 핵심은 실린더와 피스톤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에스프레소 커피를 자동으로 손쉽게 추출해 준다는 것이다.
한편, 이태리의 에스프레소 커피와 기계가 유행하면서 카푸치노는 커피숍에서 가장 중요한 메뉴의 하나로 자리 잡았고, 바리스타 대회에서 바리스타들이 모양을 만들고 문양을 만들고 하여 기량을 겨루는 종목 중의 하나로 유명하다.
상기 카푸치노를 만들기 위해서 에스프레소 기계의 스팀파이프(steam wand)를 이용하여 밀크를 스팀하여 두툼한 폼을 만들고 그 폼을 에스프레소 위에 올려 카푸치노의 모양을 완성시키는 것이 바리스타 교육의 중요한 교과목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구조적으로 전문가인 바리스타(Barista)가 아니면 밀크 폼(milk foam)을 만들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비전문가는 밀크를 가열시킴과 아울러 공기를 주입시켜 폼을 형성하는 기술이 없기 때문에 균일한 밀크 폼(milk foam)을 생성할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으로 지적 되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은 여러 다양한 커피머신에 밀크 폼 생성 장치를 적용하는 호환성이 없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유제품 음료 제조장치 또는 우유 거품 생성장치가 있기는 하나, 구조 및 설치가 복잡하고, 생산성 저하 및 제조원가 상승원인이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힌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94호(2011. 01. 20)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39393호(2006. 05. 08)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18001호(2009. 02. 19)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54052호(2013. 04. 08)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40290호(2015. 12. 15)가 공개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밀크 폼 생성 수단에 결합부재와 연결부재, 스팀분출구와 밀크흡입구, 폼조절레버와 밀크 및 스팀 혼합 배출구, 밀크 폼 배출구와 가스켓 단열커버가 포함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바리스타(Barista)가 아닌 노인, 장애인 등의 비전문가인 일반인도 밀크 폼(milk foam)을 손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밀크를 가열시킴과 아울러 공기를 주입시켜 폼을 형성하기 때문에 균일한 밀크 폼(milk foam)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밀크 폼(milk foam)을 최적의 품질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여러 다양한 커피머신에 밀크 폼 생성 장치를 적용하는 호환성이 있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구조 및 설치가 간단하고, 생산성 향상 및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며, 제7목적은 이로 인해 밀크 폼 생성기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바리스타(Barista)가 아닌 일반인도 밀크 폼(milk foam)을 손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팀이 분출되는 커피머신의 결합부재 하단에 조립 설치되는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며, 밀크를 빨아들여 가열시킴과 아울러 공기를 주입시켜 거품을 형성시켜주는 밀크 폼 생성 수단;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밀크 폼 생성 수단에 결합부재와 연결부재, 스팀분출구와 밀크흡입구, 폼조절레버와 밀크 및 스팀 혼합 배출구, 밀크 폼 배출구와 가스켓 단열커버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바리스타(Barista)가 아닌 노인, 장애인 등의 비전문가인 일반인도 밀크 폼(milk foam)을 손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밀크를 가열시킴과 아울러 공기를 주입시켜 폼을 형성하기 때문에 균일한 밀크 폼(milk foam)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밀크 폼(milk foam)을 최적의 품질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여러 다양한 커피머신에 밀크 폼 생성 장치를 적용하는 호환성이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구조 및 설치가 간단하고, 생산성 향상 및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밀크 폼 생성기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 의 (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팀분출구에 폼조절레버가 결합된 상태
에서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의
작동 상태도.
본 발명에 적용된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바리스타(Barista)가 아닌 일반인도 밀크 폼(milk foam)을 손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팀이 분출되는 커피머신(1)의 결합부재(110) 하단에 조립 설치되는 연결부재(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재(120)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며, 밀크를 빨아들여 가열시킴과 아울러 공기를 주입시켜 거품을 형성시켜주는 밀크 폼 생성 수단(100)이 포함된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원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밀크 폼 생성 수단(100)은 연결부재(120)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며, 커피머신(1)의 보일러에서 발생된 스팀이 공급된 후 하단으로 배출시키는 스팀분출구(13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은 스팀분출구(130)의 일측에 조립 설치되고, 타단은 호스(144)와 연결되어 밀크를 스팀분출구(130)로 유입시키는 밀크흡입구(14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팀분출구(130)의 타측에 조립 설치되며, 공기구멍(13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주입량을 조절시키는 폼조절레버(15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팀분출구(130)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며, 밀크와 스팀을 공간부(162)에서 상호 혼합시킨 후 밀크배출구멍(161)을 통해 하단으로 배출시키는 밀크 및 스팀 혼합 배출구(160)가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스팀분출구(13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연결부재(120)가 체결되고 스팀이 공급되도록 한 연결부재체결공(131)이 구비된다.
또한 밀크흡입구(140)가 체결되고 밀크가 공급되도록 한 흡입구체결공(133)이 구비된다.
그리고 폼조절레버(150)가 체결되고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 레버체결공(132)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재체결공(131)과 흡입구체결공(133) 및 레버체결공(132)이 상호 연통됨과 아울러 레버체결공(132)의 일측에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 공기구멍(134)과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호스(144)의 하단에는 밀크를 호스로 공급시키는 유입구(145)가 구비되되, 이 유입구(145)의 하단은 유입구가 세워지더라도 막히지 않고 밀크가 호스(144)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유입홈(146)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연결부재(130)는 스팀이 스팀분출구(130)로 유입되도록 내부에 구멍이 상하로 관통되고, 상단은 밀크 포머 생성 수단(100)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원형헤드(121)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스팀분출구(130)의 하단에는 최종 혼합 가열된 밀크 폼을 컵으로 유입시키는 밀크 폼 배출구(170)가 구비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밀크 폼 배출구(170)의 외주면에는 밀크 폼 생성 수단(100)의 위치 각도를 조정할 때 뜨겁지 않게 손으로 잡기도 하고, 스팀분출구(130)와 밀크 폼 배출구(170)의 틈새를 메우는 가스켓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가스켓 단열 커버(180)가 구비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가스켓 단열 커버(180)는 테프론, 세라믹, 불소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은 커피머신(1)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커피머신(1)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커피머신(1)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 의 (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팀분출구(130)에 폼조절레버(1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로, (a)는 폼조절레버로 공기구멍을 막은 상태를 보인 것이고, (b)는 공기구멍을 오픈시킨 상태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연결부재의 상단이 원형헤드로 형성되어 밀크 폼 생성 수단이 일정 각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본원발명의 기술적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분출구(130)의 흡입구체결공(133)에 밀크흡입구(140)의 일단을 체결하고, 타단은 호스(144)를 체결하되, 호스의 선단에는 유입구(145)를 연결한다.
그리고 스팁분출구(130)의 레버체결공(132)에는 품조절레버(150)를 체결하고, 스팀분출구(130)의 하단에는 밀크 및 스팀 혼합 배출구(160)를 체결한다.
또한 상기 스팀분출구(130)의 하단에는 밀크 폼 배출구(170)를 체결하되, 이 밀크 폼 배출구(170)의 외주면에는 가스켓 단열커버(180)를 체결하여 도 2, 3 과 같이 밀크 폼 생성 수단(100)을 조립하게 된다.
상기한 밀크 폼 생성 수단(100)은 도 5, 6 에 도시된 사용 상태도에서와 같이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스팀분출구(130)의 상단 연결부재체결공(131)에는 연결부재(120)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20)의 상단은 원형헤드(121)로 형성되기 때문에 결합부재(110)에서 일정 각도로 움직여 결과적으로 도 6 과 같이 밀크 폼 생성 수단(100)이 일정 각도로 회전 작동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은 바리스타(Barista)가 아닌 일반인도 밀크 폼(milk foam)을 손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5,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머신(1)에서 발생된 고압의 스팀은 결합부재(110)와 연결부재(120)를 통해 스팀분출구(130)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스팀분출구(130)로 유입된 고압의 스팀은 도 3,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분출구의 통로를 밀고 들어가면서 통과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된 힘은 밀크흡입구(140)에 연결된 호스(144)와 유입구(145)를 통해 밀크를 흡입하여 공간부(162)로 유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145)에는 유입홈(146)이 형성되어 유입구가 세워지더라도 밀크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또한 상기 고압 스팀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은 스팀분출구(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주입량을 적절히 조절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4(a)는 폼조절레버(150)가 레버체결공(132)에 깊숙이 체결됨에 따라 폼조절레버(150)가 측면에 형성된 공기구멍(134)을 막게 되어 결과적으로 스팀분출구(130)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차단시키게 되는 것이고, 도 4(b)는 폼조절레버(150)가 레버체결공(132)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여 측면에 형성된 공기구멍(134)이 개폐되어 이 공기구멍(134)을 통해 공기가 화살표방향과 같이 스팀분출구(130) 내부로 유입되어 밀크의 거품생성을 많게 하거나 또는 적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작용에 의해 밀크는 스팀 및 공기와 함께 유입되면서 밀크 및 스팀 혼합 배출구(160)의 공간부(162) 내부로 유입되어 혼합 및 가열되고, 이후 상기 공간부(162)에서 혼합 가열된 밀크는 도 3 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밀크배출구멍(161)을 통해 하단으로 배출되고, 상기 하단으로 배출되는 밀크는 밀크폼배출구(170)를 통해 최종 컵으로 유입된다.
또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밀크폼배출구(170)의 외주면에 가스켓단열커버(180)가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이것을 잡고 밀크폼배출구(17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손으로 잡을 때 뜨겁지 않도록 해주게 되고, 아울러 스팀분출구(130)와 밀크폼배출구(170)의 사이 틈새를 긴밀히 밀봉하는 가스켓 역할도 해주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밀크 폼 생성 수단(100)은 연결부재(120)로부터 이탈시킨 후 다른 커피머신에도 호환성 있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커피머신
100: 밀크 폼 생성 수단
110: 결합부재
120: 연결부재
130: 스팀분출구
140: 밀크흡입구
150: 폼조절레버
160: 밀크 및 스팀 혼합 배출구
170: 밀크 폼 배출구
180: 가스켓 단열커버

Claims (2)

  1. 바리스타(Barista)가 아닌 일반인도 밀크 폼(milk foam)을 손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팀이 스팀분출구로 유입되도록 내부에 구멍이 상하로 관통되고, 상단은 밀크 폼 생성 수단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원형헤드로 이루어지며, 스팀이 분출되는 커피머신의 결합부재 하단에 조립 설치되는 연결부재; 연결부재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며, 밀크를 빨아들여 가열시킴과 아울러 공기를 주입시켜 거품을 형성시켜주는 밀크 폼 생성 수단;이 포함되되,
    상기 밀크 폼 생성 수단은, 연결부재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며, 연결부재가 체결되고 스팀이 공급되도록 한 연결부재체결공과 밀크흡입구가 체결되고 밀크가 공급되도록 한 흡입구체결공과 폼조절레버가 체결되고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 레버체결공과 연결부재체결공과 흡입구체결공 및 레버체결공이 상호 연통됨과 아울러 레버체결공의 일측에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 공기구멍과 상호 연통되도록 하고, 커피머신의 보일러에서 발생된 스팀이 공급된 후 하단으로 배출시키는 스팀분출구;
    일단은 스팀분출구의 일측에 조립 설치되고, 타단은 호스와 연결되어 밀크를 스팀분출구로 유입시키는 밀크흡입구; 스팀분출구의 타측에 조립 설치되며, 공기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주입량을 조절시키는 폼조절레버; 및 스팀분출구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며, 밀크와 스팀을 공간부에서 상호 혼합시킨 후 밀크배출구멍을 통해 하단으로 배출시키는 밀크 및 스팀 혼합 배출구;
    아울러 상기 스팀분출구의 하단에는 최종 혼합 가열된 밀크 폼을 컵으로 유입시키는 밀크 폼 배출구;가 포함되고,
    더하여 상기 호스의 하단에는 밀크를 호스로 공급시키는 유입구가 구비되되, 이 유입구의 하단은 유입구가 세워지더라도 막히지 않고 밀크가 호스로 유입되도록 한 통로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유입홈;이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밀크 폼 배출구의 외주면에는, 밀크 폼 생성 수단의 위치 각도를 조정할 때 뜨겁지 않게 손으로 잡기도 하고, 스팀분출구와 밀크 폼 배출구의 틈새를 메우는 가스켓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가스켓 단열 커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
  2.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단열 커버는,
    테프론, 세라믹, 불소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
KR1020180015692A 2018-02-08 2018-02-08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 KR101944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692A KR101944246B1 (ko) 2018-02-08 2018-02-08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692A KR101944246B1 (ko) 2018-02-08 2018-02-08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726A Division KR20170129335A (ko) 2016-05-16 2016-05-16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985A true KR20180029985A (ko) 2018-03-21
KR101944246B1 KR101944246B1 (ko) 2019-01-31

Family

ID=6190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692A KR101944246B1 (ko) 2018-02-08 2018-02-08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2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45609A (zh) * 2019-12-24 2022-08-02 皇家飞利浦有限公司 一种混合装置
KR20240048896A (ko) 2022-10-07 2024-04-16 바나플 주식회사 스팀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183A (ko) 2021-03-23 2022-09-30 주식회사 이디야 크리미한 풍미가 우수한 인스턴트 조제커피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801Y1 (ko) * 2003-12-19 2004-03-09 영 근 송 각도조절이 가능한 샤워기
JP2005245498A (ja) * 2004-03-01 2005-09-15 Sanyo Electric Co Ltd ミルクフォーマー及びそれを備えた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JP2005245696A (ja) * 2004-03-03 2005-09-15 Sanyo Electric Co Ltd 飲料製造装置
KR20060039393A (ko) 2003-05-02 2006-05-08 엠. 쉐어러 아게 우유 및/또는 우유 거품 배출 장치
EP1672996B1 (en) * 2003-10-06 2008-04-23 Fabrizia Di Giampaolo Sterilisable device for producing a heated emulsion of milk and air
KR20090018001A (ko) 2007-08-16 2009-02-19 카피나 아게 우유 거품 생성 및 스티밍용 장치
WO2010052966A1 (ja) * 2008-11-06 2010-05-14 有限会社エス・エス・アンド・ダブリュー 泡立て用ノズル
JP2010178738A (ja) * 2009-02-06 2010-08-19 Melitta Haushaltsprodukte Gmbh & Co Kg ミルクを送出するための装置
KR101011294B1 (ko) 2002-06-18 2011-02-07 스티븐 씨. 에켄하우젠 유제품 음료 자동판매기, 고온의 유제품 음료 분배방법 및유제품 액체를 위한 일회용 용기
KR101254052B1 (ko) 2004-11-12 2013-04-12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액상 식품으로부터 거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140290A (ko) 2013-04-10 2015-12-15 윌리엄 웨스트모어 펄튼 에스프레소 우유 거품기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294B1 (ko) 2002-06-18 2011-02-07 스티븐 씨. 에켄하우젠 유제품 음료 자동판매기, 고온의 유제품 음료 분배방법 및유제품 액체를 위한 일회용 용기
KR20060039393A (ko) 2003-05-02 2006-05-08 엠. 쉐어러 아게 우유 및/또는 우유 거품 배출 장치
EP1672996B1 (en) * 2003-10-06 2008-04-23 Fabrizia Di Giampaolo Sterilisable device for producing a heated emulsion of milk and air
KR200343801Y1 (ko) * 2003-12-19 2004-03-09 영 근 송 각도조절이 가능한 샤워기
JP2005245498A (ja) * 2004-03-01 2005-09-15 Sanyo Electric Co Ltd ミルクフォーマー及びそれを備えた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JP2005245696A (ja) * 2004-03-03 2005-09-15 Sanyo Electric Co Ltd 飲料製造装置
KR101254052B1 (ko) 2004-11-12 2013-04-12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액상 식품으로부터 거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90018001A (ko) 2007-08-16 2009-02-19 카피나 아게 우유 거품 생성 및 스티밍용 장치
WO2010052966A1 (ja) * 2008-11-06 2010-05-14 有限会社エス・エス・アンド・ダブリュー 泡立て用ノズル
JP2010178738A (ja) * 2009-02-06 2010-08-19 Melitta Haushaltsprodukte Gmbh & Co Kg ミルクを送出するための装置
KR20150140290A (ko) 2013-04-10 2015-12-15 윌리엄 웨스트모어 펄튼 에스프레소 우유 거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45609A (zh) * 2019-12-24 2022-08-02 皇家飞利浦有限公司 一种混合装置
KR20240048896A (ko) 2022-10-07 2024-04-16 바나플 주식회사 스팀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246B1 (ko)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246B1 (ko)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
JP5180317B2 (ja) 泡立て用ノズル
CN104068751B (zh) 一种发泡蒸汽杆
CA2840922C (en)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WO2006050881A3 (en) Self-cleaning mixing head for producing a milk-based mixture and beverage production machines comprising such a mixing head
WO2015154211A1 (zh) 自动产生泡沫牛奶的牛奶发泡装置
US5233915A (en) Steam injection nozzle for beverages
JP6456490B2 (ja) ディスペンサ用の消耗品及びディスペンサ用の処理ユニット
JP2003180526A (ja) ミルク泡立て及び加熱装置
EP1501398A1 (en) Device for heating and working up milk
CN203802270U (zh) 自动产生泡沫牛奶的牛奶发泡装置
ITMI20131726A1 (it) Macchina automatic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quali caffe&#39; espresso, cappuccino e simili.
JP2008225743A (ja) コーヒー抽出器
KR20170129335A (ko)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
CN101090659A (zh) 饮料冲泡机
CN104000497A (zh) 一种咖啡机出水嘴的安装结构
JP2004073442A (ja) 牛乳の泡立て用ノズル構造
JP2018007848A (ja) コーヒー抽出装置
US11284739B2 (en) Steam milk frother
CN217645002U (zh) 一种具备蒸汽吸奶的牛奶发泡器
CN105011770B (zh) 咖啡机出水端结构
CN213757782U (zh) 一种方便快速制作奶泡的蒸汽管结构
KR20210054571A (ko) 커피 고수율 거품발생 방법 및 장치
CN215738424U (zh) 连接在锅炉底端的咖啡酿造装置
CN203970140U (zh) 一种咖啡机出水嘴的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